KR101795580B1 -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580B1
KR101795580B1 KR1020170095158A KR20170095158A KR101795580B1 KR 101795580 B1 KR101795580 B1 KR 101795580B1 KR 1020170095158 A KR1020170095158 A KR 1020170095158A KR 20170095158 A KR20170095158 A KR 20170095158A KR 101795580 B1 KR101795580 B1 KR 10179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ooth
hole
key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대현
Original Assignee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8Teeth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 되는 투스어댑터와 이에 연결되는 굴삭용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결속력을 높이고,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어댑터바디의 전단부에는 인서트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바디의 후단부에는 굴삭기의 버킷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투스어댑터와;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가 삽입되는 인서트홈을 갖는 포인트바디의 전단부에 굴삭지면을 굴착하는 굴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투스포인트;
로 이루어진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는 투스어댑터의 인서트와 투스포인트의 포인트바디에는, 결합 시 상호 일치하게 되는 결합공과 끼움공이 각각 좌우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끼움공에는 커넥팅유닛이 삽입되어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를 상호 결합 또는 해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팅유닛은,
외주면이 상기 투스어댑터의 결합공과 투스포인트의 끼움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하관통된 노출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장착홈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싱의 노출공을 통해서 회동되어 돌출되거나 요입되는 잠금키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키의 주변부 외주면에는 면부가 형성된 키뭉치와;
상기 케이싱에 내재되어 상기 키뭉치의 면부와 밀착되면서 키뭉치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러버;
로 구성되고,
상기 포인트바디의 인서트홈 내부에는 상기 키뭉치의 잠금키가 회동하면서 걸림 또는 해지되는 회동공간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결속력을 높이며, 나아가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A BUCKET TOOTH OF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 결합 되는 투스어댑터와 이에 연결되는 굴삭용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결속력을 높이고,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기술이다.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6-0011366호(2006.02.03.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굴삭기용 버킷에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장착부에 연이어 상기 버킷의 외부로 노출되는 인서트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투스어댑터와, 상기 투스어댑터에 결합되어 굴착지면을 굴삭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부가 삽입되는 일측 개구된 인서트홈이 형성된 투스포인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있어서,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부에 결합핀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상기 인서트부의 상하면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투스포인트에는 결합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상기 투스어댑터의 끼움공과 일치하면서 상기 투스포인트의 상하면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투스어댑터의 일측 끼움공 입구에는 스냅링이 삽입되는 걸림요홈이 상기 삽입공과 단턱지면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에는 상기 일치된 투스어댑터의 끼움공과 투스포인트의 삽입공에 결합핀이 끼워질 경우 상기 투스어댑터의 걸림요홈에 내재된 스냅링이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링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본 출원인에 출원된 기술로서, 본 발명은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결속력을 높이며, 나아가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를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001] 제10-2006-0011366호
본 발명은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결속력을 높이며, 나아가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어댑터바디의 전단부에는 인서트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바디의 후단부에는 굴삭기의 버킷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투스어댑터와;
상기 투스어댑터의 인서트가 삽입되는 인서트홈을 갖는 포인트바디의 전단부에 굴삭지면을 굴착하는 굴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투스포인트;
로 이루어진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는 투스어댑터의 인서트와 투스포인트의 포인트바디에는, 결합 시 상호 일치하게 되는 결합공과 끼움공이 각각 좌우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끼움공에는 커넥팅유닛이 삽입되어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를 상호 결합 또는 해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팅유닛은,
외주면이 상기 투스어댑터의 결합공과 투스포인트의 끼움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하관통된 노출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장착홈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싱의 노출공을 통해서 회동되어 돌출되거나 요입되는 잠금키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키의 주변부 외주면에는 면부가 형성된 키뭉치와;
상기 케이싱에 내재되어 상기 키뭉치의 면부와 밀착되면서 키뭉치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러버;
로 구성되고,
상기 포인트바디의 인서트홈 내부에는 상기 키뭉치의 잠금키가 회동하면서 걸림 또는 해지되는 회동공간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투스어댑터와 투스포인트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결속력을 높이며, 나아가 조립 및 분리의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팅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팅유닛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키뭉치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버킷에 장착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임볼트 및 조임홈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투스포인트(2)의 방향을 전방, 투스어댑터(1)의 방향을 후방이라 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는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투스어댑터(1), 투스포인트(2), 커넥팅유닛(3)으로 구성되며,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투스어댑터(1)는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을 위해 상기 투스포인트(2)가 연결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버킷(4)에 결합 되는 것으로,
어댑터바디(11)의 전단부에는 인서트(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바디(11)의 후단부에는 굴삭기의 버킷(4)에 장착되는 장착부(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12)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즉 전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바디(11)는 일반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서트(12)의 중단부에는 좌우관통된 결합공(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공(121)은 오뚝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21)은 전체적으로 오뚝이형상으로 이루어져 소공(小孔)(121a)과 대공(大孔)(121b)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소공(121a)은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대공(121b)은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3)는 상기 어댑터바디(11)의 후단부 상하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되는 두 분체로 이루어져, 이 두 분체 사이로 굴삭기의 버킷(4)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 된다.(도 6 참조)
투스포인트(2)는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스어댑터(1)에 연결되어 굴삭면을 굴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스어댑터(1)의 인서트(12)가 삽입되는 인서트홈(211)을 갖는 포인트바디(21)의 전단부에 굴삭지면을 굴착하는 굴착부(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도 2의 "A")
여기서 상기 굴착부(22)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즉 전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홈(211)은 상기 인서트(12)와 상응한 내부 공간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포인트바디(21)에는 끼움공(212)이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공(212)은 포인트바디(21)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상기 인서트홈(211)까지 관통된 제1끼움공(212a) 및 제2끼움공(212b)로 구분된다.(도 2의 "A")
이때 상기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2)의 결합 시 상기 투스어댑터(1)의 결합공(121)과 투스포인트(2)의 끼움공(212)은 상호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공(212)의 상기 결합공(121)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그 형상은 결합공(121)과 동일한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공(212)은 전체적으로 오뚝이형상으로 이루어져 소공(小孔)(212c)과 대공(大孔)(212d)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소공(212c)은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대공(212d)은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포인트바디(21)의 인서트홈(211) 내부 천장면에는 회동공간부(213)가 상방 함몰 형성되는데, 상기 회동공간부(213)는 전후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키뭉치(32)의 잠금키(321)가 상기 회동공간부(213)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넥팅유닛(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스어댑터(1)와 상기 투스포인트(2)를 상호 고정 결합 또는 해지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케이싱(31), 키뭉치(32), 잠금러버(33)로 구성된다.
케이싱(31)은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유닛(3)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외주면이 상기 투스어댑터(1)의 결합공(121)과 투스포인트(2)의 끼움공(2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싱(31)의 단면 형상은 상기 결합공(212) 및 상기 끼움공(212)과 동일한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싱(31)은 상기 투스포인트(2)의 제1끼움공(212a)에 삽입된 후, 상기 투스어댑터(1)의 결합공(121)을 거쳐 투스포인트(2)의 제2끼움공(212b)에 삽입되어 배치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는 장착홈(311)이 형성되는데, 케이싱(31)의 단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315)를 갖고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홈(311)의 형상은 케이싱(31)의 단면 형상과 마찬가지로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착홈(311)은 전측에 형성된 소(小)공간홈(311a)과 후측에 연이어 형성된 대(大)공간홈(311b)으로 구획 분리된다.(도 3의 "B")
그리고 상기 개구부(315)에는 커버(316)가 결합 되는데, 상기 커버(316)는 상기 케이싱(3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착홈(311)의 대공간홈(311b)과 접하는 커버(316)에는 좌우관통된 관통공(316a)이 형성되고, 소공간홈(311a)과 접하는 커버(316)의 내측면에는 끼움돌기(316b)가 형성되어 상기 소공간홈(311a)의 일측에 상기 끼움돌기(316b)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316)가 상기 케이싱(31)에 결합 된다.(도 3의 "C")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16)의 끼움돌기(316b)에는 조임공(316c)이 좌우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소공간홈(311a)의 우측면에는 상기 조임공(316c)과 대응하는 조임홈(311d)이 암나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임공(316c)과 조임홈(311d)에는 조임볼트(317)가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커버(316)가 상기 케이싱(31)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1)의 상부에는 상하관통된 노출공(313)이 형성되는데, 상기 노출공(313)은 전후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노출공(313)은 케이싱(31)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소공간홈(311a)과 대공간홈(311b)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출공(313)은 케이싱(31)이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에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투스포인트(2)에 형성된 회동공간부(213)와 상호 일치하는 케이싱(31)의 상부에 형성된다.(도 4의 '가' 참조)
따라서 노출공(313)은 상기 투스포인트(2)의 회동공간부(213)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에 언급한대로 상기 노출공(3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1)의 상부에 상하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케이싱(31)의 개구부(315) 상측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는 상기 장착홈(311)과 연통되도록 장착홈(311)의 전방에 고정홈(314)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홈(314)에는 상기 잠금러버(33)가 끼워져 내재 된다.(도 3의 "B")
이때 고정홈(314)에는 상기 장착홈(311)의 대공간홈(311b)을 향한 방향에 단턱부(314a)가 형성되어 잠금러버(33)가 고정홈(3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단턱부(314a)는 고정홈(314)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는 상기 장착홈(311)의 대공간홈(311b)의 측면과 연통되는 위치에 함몰된 수용홈(311c)이 형성된다.(도 3의 "B")
키뭉치(32)는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1)의 장착홈(3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원기둥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싱(31)의 노출공(313)을 통해서 회동 되어 상기 노출공(313)의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노출공(313)의 하방으로 요입되는 잠금키(3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키(321)의 주변부 키뭉치(32)의 외주면에는 면부(322)가 형성되는데, 상기 면부(322)는 두 개가 형성된다.(도 3의 "D")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부(322)는 상기 키뭉치(32)의 비(非)회전 시 상기 잠금러버(33)와 마주하며 접하게 되는 제1면부(322a)와 키뭉치(32)의 회전 시 잠금러버(33)와 마주하며 접하게 되는 제2면부(32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면부(322a)와 상기 제2면부(322b)는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제1면부(322a)와 제2면부(322b)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가압부(322c)가 형성된다.
따라서 키뭉치(32)의 제1면부(322a)는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제2면부(322b)는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키뭉치(32)의 회전 시, 키뭉치(32)를 따라 회전하게 되는 상기 가압부(322)의 회전반경은 키뭉치(32)의 직경에 근접하되 직경은 넘지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한편,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32)가 상기 장착홈(311)에 삽입이 완료되면, 키뭉치(32)의 일측단부는 상기 장착홈(3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싱(31)의 커버(316)에 형성된 관통공(316a)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316)의 관통공(316a)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키뭉치(32)의 일측단부 측면에는 렌치끼움홈(323)이 형성되며, 상기 렌치끼움홈(323)의 주변에는 표시부(324)가 형성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키뭉치(32)의 일측단부 측면에는 키뭉치(32)를 회전시킬 수 있는 범위내에서, 렌치끼움홈(323)이 아닌 다양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24)는 키뭉치(32)의 회전 여부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2)의 상호 결합 또는 해지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도 4의 '가' 및 '나' 참조)
또한 상기 키뭉치(32)의 타측단부 측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회전부재(325)가 형성되는데, 상기 케이싱(31)의 수용홈(311c)에 삽입된다.(도 3의 'B")
상기 회전부재(325)는 키뭉치(32)의 회전 시, 키뭉치(32)와 동시에 상기 수용홈(311c)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부재(325)가 키뭉치(32)를 상기 케이싱(31)의 장착홈(311)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유도한다.
잠금러버(33)는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1)의 고정홈(314)에 내재되어 상기 키뭉치(32)의 면부(322)와 밀착되면서 키뭉치(32)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것으로, 고무 및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잠금러버(33)의 후측에는 상기 키뭉치(32)의 면부(322)와 접하는 대응면부(331)가 형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러버(33)는,
후단부에 상기 대응면부(331)가 형성된 바디부(332)와;
상기 바디부(332)의 전단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면서 바디부(332)의 가압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러버부(333);
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키뭉치(32)의 가압부(322c)가 상기 바디부(332)의 대응면부(331)를 가압 시, 바디부(332)가 상기 러버부(333)를 가압하며 전방으로 이동하고, 압력이 해지되면 러버부(33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가압부(322c)와 바디부(332)의 직접적인 마찰이 감소하므로, 가압부(322c)와 바디부(332)가 상호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32)의 잠금키(321)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잠금키(321)와 상기 잠금키(321)가 회전하여 위치하게 되는 회동공간부(213)의 결합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결속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커넥팅유닛(3)을 상기 투스포인트(2)의 제1끼움공(212a)에 삽입하고, 커넥팅유닛(3)이 제1끼움공(212a)을 지나 상기 투스어댑터(1)의 결합공(121)을 거쳐 투스포인트(2)의 제2끼움공(212b)까지 끼워지도록 삽입한다.
이때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유닛(3)의 키뭉치(32)에 형성된 잠금키(321)는 케이싱(31)의 노출공(313)의 하방으로 요입되어 있는 상태이며, 동시에 상기 노출공(313)은 상기 투스포인트(2)의 회동공간부(213)와 일치하도록 위치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키뭉치(32)의 제1면부(322a)는 상기 케이싱(31)의 고정홈(314)에 내재된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와 상호 마주하며 접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키뭉치(32)의 렌치끼움홈(323)에 렌치를 끼운 후, 렌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킨다.
그러면 키뭉치(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키뭉치(32)에 형성된 면부(322)와 잠금키(321)도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면부(322a)가 회전하면서 제1면부(322a)와 제2면부(322b)사이에 형성된 가압부(322c)가 상방을 향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가압부(322c)의 회전반경으로 인하여, 가압부(322c)가 탄성재질의 상기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를 점차 가압하면서 회전하게 된다.(도 5의 '나')
이때 가압부(322c)가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 중단부에 위치했을 때, 잠금러버(33)에 대한 가압부(322c)의 압력은 최고치에 이르게 되고, 가압부(322c)가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 중단부를 지나 상방으로 향할수록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322c)가 계속 회전하여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를 지나 대응면부(331)와 비(非) 접하게 되는 순간,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에 대한 가압부(322c)의 압력은 해지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키뭉치(32)의 제2면부(322b)가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와 마주하며 접하게 된다.(도 5의 '다')
한편, 상기 키뭉치(32)가 회전하면 키뭉치(32)에 형성된 잠금키(321)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잠금키(321)가 케이싱(31)의 노출공(313)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투스포인트(2)의 회동공간부(213)에 배치된다.(도 4의 '나' 참조)
즉, 키뭉치(32)의 가압부(322c)가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를 가압하며 회전하기 시작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잠금키(321)가 회전하면서 투스포인트(2)에 형성된 회동공간부(213)의 전단부 영역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잠금키(321)는 가압부(322c)가 잠금러버(33)를 최대치로 가압 시 회동공간부(213)의 중단부 영역에 위치하게 되고, 가압부(322c)가 잠금러버(33)에 대한 압력을 해지 시 회동공간부(213)의 후단부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회동공간부(213)의 후단부에서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키뭉치(32)의 제2면부(322b)가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와 마주하며 접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키뭉치(3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이상 키뭉치(32)는 비 회전하게 되고, 키뭉치(32)의 잠금키(321)가 회동공간부(213) 후단부의 벽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시계방향으로도 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키뭉치(32)의 잠금키(321)가 투스포인트(3)의 회동공간부(213)에 걸리게 됨으로써,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3)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 결합 되도록 구현된 것이다.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2)의 결합을 해지하는 방법은 키뭉치(32)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키뭉치(32)의 제1면부(322a)와 잠금러버(33)의 대응면부(331)가 상호 마주하며 접하도록 하면 된다.
즉,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2)의 결합 방법의 역순으로 투스어댑터(1)과 투스포인트(2)를 상호 해지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21)과 끼움공(212) 그리고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에 삽입되는 케이싱(31)의 형상은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121)과 끼움공(212) 그리고 케이싱(31)의 형상이 일반적인 원형인 경우, 케이싱(31)을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에 삽입 시, 케이싱(31)이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에서 회전을 하기가 쉽다.
케이싱(31)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싱(31)이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게 되면, 케이싱(31)의 노출공(313)과 투스포인트(2)의 회동공간부(213)의 위치가 상호 불일치하게 되어 키뭉치(32)의 회전이 불가하므로,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2)를 상호 결합할 수 없다.
더군다나 케이싱(31)의 노출공(313)과 투스포인트(2)의 회동공간부(213)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2)를 상호 결합하여도, 사용 시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키뭉치(32)의 잠금키(321)가 투스포인트(2)의 회동공간부(213)의 내부 벽면에 반복적으로 충돌하게 되어, 잠금키(321)가 파손되거나 결합 상태가 해지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공(121)과 끼움공(212) 그리고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에 삽입되는 케이싱(31)은,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2)의 상호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투스어댑터
11 ; 어댑터바디
12 ; 인서트
121 ; 결합공
121a ; 소공
121b ; 대공
13 ; 장착부
2 ; 투스포인트
21 ; 포인트바디
211 ; 인서트홈
212 ; 끼움공
212a ; 제1끼움공
212b ; 제2끼움공
212c ; 소공
212d ; 대공
213 ; 회동공간부
22 ; 굴착부
3 ; 커넥팅유닛
31 ; 케이싱
311 ; 장착홈
311a ; 소공간홈
311b ; 대공간홈
311c ; 수용홈
311d ; 조임홈
313 ; 노출공
314 ; 고정홈
314a ; 단턱부
315 ; 개구부
316 ; 커버
316a ; 관통공
316b ; 끼움돌기
316c ; 조임공
317 ; 조임볼트
32 ; 키뭉치
321 ; 잠금키
322 ; 면부
322a ; 제1면부
322b ; 제2면부
322c ; 가압부
323 ; 렌치끼움홈
324 ; 표시부
325 ; 회전부재
33 ; 잠금러버
331 ; 대응면부
332 ; 바디부
333 ; 러버부
4 ; 버킷

Claims (10)

  1. 어댑터바디(11)의 전단부에는 인서트(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바디의(11) 후단부에는 굴삭기의 버킷(4)에 장착되는 장착부(13)가 형성된 투스어댑터(1)와;
    상기 투스어댑터(1)의 인서트(12)가 삽입되는 인서트홈(211)을 갖는 포인트바디(21)의 전단부에 굴삭지면(掘削地面)을 굴착하는 굴착부(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투스포인트(2);
    로 이루어진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에 있어서,

    상호 결합 되는 투스어댑터(1)의 인서트(12)와 투스포인트(2)의 포인트바디(21)에는, 결합 시 상호 일치하게 되는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이 각각 좌우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에는 커넥팅유닛(3)이 삽입되어 투스어댑터(1)와 투스포인트(2)를 상호 결합 또는 해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팅유닛(3)은,
    외주면이 상기 투스어댑터(1)의 결합공(121)과 투스포인트(2)의 끼움공(21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는 장착홈(3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하관통된 노출공(313)이 형성된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의 장착홈(311)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싱(31)의 노출공(313)을 통해서 회동되어 돌출되거나 요입되는 잠금키(321)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키(321)의 주변부 외주면에는 면부(322)가 형성된 키뭉치(32)와;
    상기 케이싱(31)에 내재되어 상기 키뭉치(32)의 면부(322)와 밀착되면서 키뭉치(32)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러버(33);
    로 구성되고,

    상기 포인트바디(21)의 인서트홈(211) 내부에는 상기 키뭉치(32)의 잠금키(321)가 회동하면서 걸림 또는 해지되는 회동공간부(213)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어댑터(1)의 결합공(121)과 투스포인트(2)의 끼움공(212), 그리고 상기 결합공(121)과 끼움공(212)에 삽입되는 커넥팅유닛(3)의 케이싱(31)은 오뚝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유닛(3)의 키뭉치(32) 일측에는 렌치끼움홈(3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러버(33)에는 상기 키뭉치(32)의 면부(322)와 접하는 대응면부(3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뭉치(32)의 면부는, 제1면부(322a)와 제2면부(32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면부(322a)와 상기 제2면부(322b)는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러버(33)는,
    후단부에 상기 대응면부(331)가 형성된 바디부(332)와;
    상기 바디부(332)의 전단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면서 바디부(332)의 가압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러버부(33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1)의 장착홈(311)은,
    일측에 개구부(315)가 형성되고, 전측에는 소(小)공간홈(311a)이 형성되며, 후측에는 대(大)공간홈(311b)이 상기 소(小)공간홈(311a)과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15)에는 커버(316)가 결합 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16)는,
    상기 케이싱(3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홈(311)의 대공간홈(311b)과 접하는 커버(316)에는 좌우관통된 관통공(316a)이 형성되고, 소공간홈(311a)과 접하는 커버(316)의 내측면에는 끼움돌기(316b)가 형성되어 상기 소공간홈(311a)의 일측에 상기 끼움돌기(316b)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316)가 상기 케이싱(31)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16)의 끼움돌기(316b)에는 조임공(316c)이 좌우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소공간홈(311a)의 우측면에는 상기 조임공(316c)과 대응하는 조임홈(311d)이 암나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임공(316c)과 조임홈(311d)에는 조임볼트(317)가 결합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뭉치(32)의 잠금키(321)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20170095158A 2017-07-27 2017-07-27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179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58A KR101795580B1 (ko) 2017-07-27 2017-07-27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58A KR101795580B1 (ko) 2017-07-27 2017-07-27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580B1 true KR101795580B1 (ko) 2017-12-01

Family

ID=6092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158A KR101795580B1 (ko) 2017-07-27 2017-07-27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4307A (zh) * 2020-07-27 2020-10-20 宁波市鄞州精铸五金厂 一种挖掘机斗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1023B2 (en) 2001-12-03 2006-10-17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wear member
US20100074674A1 (en) 2006-10-19 2010-03-25 Sky Line Cranes & Technologies Ltd Coupling pin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468725B2 (en) 2007-04-03 2013-06-25 Cqms Pty Ltd Mounting pin assembly for an excavator wear member
US8468724B2 (en) 2007-03-29 2013-06-25 Cqms Pty Ltd Mounting of wear memb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1023B2 (en) 2001-12-03 2006-10-17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wear member
US20100074674A1 (en) 2006-10-19 2010-03-25 Sky Line Cranes & Technologies Ltd Coupling pin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468724B2 (en) 2007-03-29 2013-06-25 Cqms Pty Ltd Mounting of wear members
US8468725B2 (en) 2007-04-03 2013-06-25 Cqms Pty Ltd Mounting pin assembly for an excavator wear me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4307A (zh) * 2020-07-27 2020-10-20 宁波市鄞州精铸五金厂 一种挖掘机斗齿
CN111794307B (zh) * 2020-07-27 2024-01-16 宁波市鄞州精铸五金厂 一种挖掘机斗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064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1806958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1795580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JP3685290B2 (ja) コネクタ
AU8520198A (en) Rotary lock system for excavating tooth/adapter assembly
JPH0696869B2 (ja) 弾性ロック部材を有する掘削用歯先
CN103924630A (zh) 在挖掘机接合器的鼻部上使用的挖掘机斗齿
US6194659B1 (en) Cable entry device
KR101581696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KR100253438B1 (ko) 굴삭기 치형
CA3126653C (en) Combined structure
US3740876A (en) Tooth for the bucket of a digging machine
KR20060011366A (ko)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
CN218060521U (zh) 锁销组件和挖掘齿锁销固定系统
JP3812732B2 (ja) コネクタ
CN214135785U (zh) 驱动转接头
JP7086421B2 (ja) 方向切替が容易なラチェットレンチ
US11981013B2 (en) Dust cover for hammer work tool
KR101817063B1 (ko)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JP2597768B2 (ja) 管継手における押輪の押し込み装置
JP4360311B2 (ja) コネクタ
KR200366057Y1 (ko)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
WO2022196839A1 (en) Tooth assembly of bucket for excavator
CN214194737U (zh) 一种斗齿及工程机械
CN114221174B (zh) 一种具有分离助推作用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