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367B1 -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 Google Patents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367B1
KR101889367B1 KR1020160143334A KR20160143334A KR101889367B1 KR 101889367 B1 KR101889367 B1 KR 101889367B1 KR 1020160143334 A KR1020160143334 A KR 1020160143334A KR 20160143334 A KR20160143334 A KR 20160143334A KR 101889367 B1 KR101889367 B1 KR 10188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iston
cylinder
ai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350A (ko
Inventor
이경운
Original Assignee
이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운 filed Critical 이경운
Priority to KR102016014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3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22Hydraulic or 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 B06B1/18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operating with reciprocating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04Driving mean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308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연장된 양단 로드부로 구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에 공기배출부와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후 중 적어도 한 면을 밀폐시키는 밀폐 캡; 및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을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 양단에 로드부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양쪽 지지를 통해 요동시 진동으로부터 가이드공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 공기 유입부 및 공기 배출부를 피스톤이 아닌 로드부에 형성하여 피스톤의 외경 축소에 따른 장치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공기 유입부를 로드부에 형성하면서 우회시켜 공기를 유입하는 경우 실린더 외관에 설치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간섭이나 설치공간의 협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양로드 진동장치의 타단 로드부측은 폐쇄시킨 상태에서 일단 로드부를 탄성체로 지지하여 실린더가 전후 이동되게 하거나, 양로드 진동장치의 일단 로드부측은 폐쇄시킨 상태에서 타단 로드부에 헤머를 장착하여 헤머가 대상물을 타격하게 하거나, 양로드 진동장치의 일타단 로드부측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피스톤이 전후 이동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모드를 구현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VIBRATIONAL TRANSFERRING MACHINE HAVING DOUBLE ROD VIBRATOR}
본 발명은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양단에 로드가 설치되어 실린더에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피스톤이 전후로 반복 이송되면서 진동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도록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장치는 컴프레서(compressor)에서 발생된 공기압을 공급받아 일정구간에서 왕복 피스톤운동을 하게 하며 이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진동 또는 충격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진동 장치는 실린더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피스톤이 전후로 반복 이송되어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물체가 진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길이를 갖는 로드부의 후단부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가압슬라이드부가 연이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 및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을 갖는 공기안내홀이 후단부 개구되도록 일정구간 형성되며, 상기 가압슬라이드부의 단부 중앙에는 공기쳄버가 공기안내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피스톤과; 내부에 상기 피스톤의 가압슬라이드부가 끼워져 슬라이드 하는 후단부 밀폐된 가압슬라이드 가이드공과 로드부가 끼워져 슬라이드 하는 관통된 로드가이드공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슬라이드 가이드공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로드가이드공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공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과 일치되는 내주면 주위에는 공기를 공기배출공으로 유도하는 공기배출유도홀이 형성된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종래기술의 진동 장치는 공기가 공기유입공과 공기안내홀을 통해 공기챔버 내부로 유입되면 실린더 리어캡에 충돌하면서 생성되는 반발력에 의해 전진하고, 전진하다가 공기배출홀이 공기배출공에 연통되면 공기가 배출되면서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피스톤의 가압슬라이드부를 후진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진동 장치는 로드부가 일단에만 형성되므로 진동에 의해 가압슬라이드부가 요동쳐 가압슬라이드 가이드공에 흠을 내면서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576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부 양단에 로드부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양쪽 지지를 통해 요동시 진동으로부터 가이드공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 공기 유입부 및 공기 배출부를 피스톤이 아닌 로드부에 형성하여 피스톤의 외경 축소에 따른 장치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공기 유입부를 로드부에 형성하면서 우회시켜 공기를 유입하는 경우 실린더 외관에 설치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간섭이나 설치공간의 협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양로드 진동장치의 타단 로드부측은 폐쇄시킨 상태에서 일단 로드부를 충격전달부로 지지하여 실린더가 전후 이동되게 하거나, 양로드 진동장치의 일단 로드부측은 폐쇄시킨 상태에서 타단 로드부에 헤머를 장착하여 헤머가 대상물을 타격하게 하거나, 양로드 진동장치의 일타단 로드부측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피스톤이 전후 이동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모드를 구현 가능한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연장된 양단 로드부로 구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에 공기배출부와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후 중 적어도 한 면을 밀폐시키는 밀폐 캡; 및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을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는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연장된 양단 로드부로 구성되며, 타단측 로드부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단부에서 외주면까지 연결홀이 관통된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공기배출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후 중 적어도 한 면을 밀폐시키는 밀폐 캡; 및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을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라인을 포함하는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실린더의 후방을 밀폐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노출된 상기 피스톤의 일단 로드부에 충격전달부로 지지하여 상기 실린더가 전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실린더의 전방을 밀폐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노출된 상기 피스톤의 타단 로드부에 헤머를 장착하여 상기 헤머가 대상물을 타격할 수 있다.
더욱이, 공기유입부가 실린더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실린더의 전후방을 밀폐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 양단에 로드부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양쪽 지지를 통해 요동시 진동으로부터 가이드공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 공기 유입부 및 공기 배출부를 피스톤이 아닌 로드부에 형성하여 피스톤의 외경 축소에 따른 장치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공기 유입부를 로드부에 형성하면서 우회시켜 공기를 유입하는 경우 실린더 외관에 설치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간섭이나 설치공간의 협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양로드 진동장치의 타단 로드부측은 폐쇄시킨 상태에서 일단 로드부를 충격전달부로 지지하여 실린더가 전후 이동되게 하거나, 양로드 진동장치의 일단 로드부측은 폐쇄시킨 상태에서 타단 로드부에 헤머를 장착하여 헤머가 대상물을 타격하게 하거나, 양로드 진동장치의 일타단 로드부측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피스톤이 전후 이동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모드를 구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10)는 실린더(100) 및 피스톤(2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후방을 밀폐 캡(14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220)의 일단 로드부(210)에 충격전달부(42)로 지지하고 상기 실린더(100)를 전후 이동되게 하도록 상기 실린더(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200)이 왕복 운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100)는 몸체(110), 전방 캡(120), 후방 캡(130) 및 밀폐 캡(14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에 후술할 피스톤(200)의 헤드부(220)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공(112)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몸체(110)는 가이드공(112)의 위쪽 후단에서 후방으로 굴절 형성된 공기배출부(116)와 상기 공기배출부(116)의 반대쪽 가이드공(112) 내주면에 바이패스 라인(118)이 형성된다.
즉, 공기배출부(116)는 가이드공(112)의 내주면 후단에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몸체(110)의 후벽면까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라인(118)은 피스톤(200)의 일단 로드부(210)에 형성된 공기유입부(2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200) 헤드부(230)의 전면을 밀면서 선단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 후단의 출구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부(230)의 후면을 밀 수 있도록 공기를 우회시키는 통로이다.
즉, 상기 바이패스 라인(118)은 실린더(100)의 몸체(110) 내주면에 형성되어 공기유입부(2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피스톤(20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선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선단에서 후단으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2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방 캡(120)은 몸체(110)의 전방에 후단이 삽입 배치되되 삽입면에 오링(O-ring)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와의 결합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며, 로드 가이드공(122)을 포함한다.
로드 가이드공(122)은 전방 캡(120)의 내부에 피스톤(200)의 일단 로드부(210)가 슬라이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후방 캡(130)은 몸체(110)의 후방에 선단이 삽입 배치되되 삽입면에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와의 결합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더욱이, 상기 후방 캡(130)은 몸체(110)의 공기배출부(116) 출구와 연통되도록 제1 홀(134)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134) 앞쪽에 고속으로 배기되는 에어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는 소음기(136)가 내장 형태로 구비된다.
밀폐 캡(140)은 후방 캡(130)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캡(130)을 밀폐시키며, 상기 후방 캡(130)의 제1 홀(134)과 연통되도록 제2 홀(142)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홀(142)의 앞쪽에 소음기(144)가 별도로 설치된다.
피스톤(200)은 일단 로드부(210), 헤드부(220) 및 타단 로드부(230)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220)는 몸체(110)의 가이드공(112)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일단 로드부(210)는 전방 캡(120)의 로드 가이드공(12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타단 로드부(230)는 후방 캡(130)의 로드 가이드공(132)과 마감 캡(140)의 로드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은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이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보다 크면 상기 타단 로드부(220)를 미는 압력이 켜서 작동이 안하고,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이 상기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보다 작으면 작동되고,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과 상기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이 같으면 그 자리에서 서버리게 된다.
이렇게,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과 상기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이 같으면 에어 압력이 예를 들어 4㎏ 들어갔을 때 헤드부(220)의 앞쪽에 걸리는 단면적 4㎏하고 상기 헤드부(220) 뒤쪽에 걸리는 단면적 4㎏ 하고 미는 힘이 같아서 중간에 서있게 되며, 공기를 넣어도 움직이지 않고 서있게 된다.
또한, 일단 로드부(210)와 타단 로드부(230)의 단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홀을 형성하고 홀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거나 암나사에 볼트 등의 구성품이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일단 로드부(21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212)가 전면부터 헤드부(230)의 전까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212)의 후단에 방사상의 연통홀(212a)이 관통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일단 로드부(210)에는 충격전달부(12)가 설치되어 실린더(100)의 진동발생시 가해지는 요동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충격전달부(12)는 피스톤(200)의 구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전달하는 탄성체 등이 적용되며, 플라스틱, 금속, 우레탄, 고무, 금속 및 실리콘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실린더의 몸체에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면 상기 공기유입부에 에어 니플 등이 체결되어야 하는데 공기유입부(212)가 피스톤(200)의 일단 로드부(210)에 형성되게 하므로 다른 구성과의 간섭이나 설치공간 협소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1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200)의 헤드부(220)가 실린더(100)의 가이드공(112)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유입부(2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통홀(212a)를 거쳐 헤드부(230)의 전면을 밀게 된다. 이때, 피스톤(20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실린더(100)가 전방 캡(120) 방향으로 전진된다.
다음으로, 실린더(100)가 전진되면 헤드부(220)가 바이패스 라인(118)의 입구를 막고 있다가 개방하면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라인(118)을 통해 유입된 후 출구로 토출되면서 상기 헤드부(22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지만 피스톤(20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실린더(100)가 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기배출부(116)가 헤드부(220)에서 이격되면서 개방되면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116)를 거쳐 제1 홀(134)과 제2 홀(1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제1 홀(134)과 상기 제2 홀(142)에 내장된 소음기(136, 144)를 거치면서 소음을 감쇄시킨다.
다음으로, 바이패스 라인(118)의 입구가 헤드부(220)에 의해 밀폐되면 더이상 외부 공기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실린더(100)가 정지하며, 상기 헤드부(220)의 뒤쪽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헤드부(220) 앞쪽의 원압이 커 압력차에 의해 실린더(100)가 전방 캡(120) 방향으로 전진된다.
다음으로, 공기유입부(2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몸체(110)의 바이패스 라인(118)을 통해 헤드부(23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지만 피스톤(20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실린더(100)가 후진하게 되며, 그 후엔 앞선 방법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10)는 실린더(100) 및 피스톤(2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후방을 밀폐 캡(14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220)의 일단 로드부(210)에 충격전달부(42)로 지지하고 상기 실린더(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실린더(100)가 왕복 운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1-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10)는 실린더(100)의 몸체(11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116)가 몸체(110)의 후면까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공(112)의 내주면에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렇게 형성되면서, 출구 쪽에 소음기(152)가 나선 체결 방식의 고정구(1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점만 제1-1 실시예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소음기(152)가 고정구(150)에 의해 외장형으로 구비되어 분리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10)는 실린더(100) 및 피스톤(2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후방을 밀폐 캡(14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220)의 일단 로드부(210)에 충격전달부(12)로 지지하고 상기 실린더(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실린더(100)가 왕복 운동하는 장치로, 앞선 제1-1 실시예와 달리 공기배출부(116')가 상기 실린더(100)의 몸체(110)의 후단에서 가이드공(112)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20)는 실린더(300) 및 피스톤(4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후방을 밀폐 캡(34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400)의 일단 로드부(410)에 충격전달부(22)로 지지하고 상기 실린더(300)를 전후 이동되게 하도록 상기 실린더(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400)이 왕복 운동하는 장치로, 앞선 제1-3 실시예와 같이 상기 피스톤(400)의 일단 로드부(410)에 공기유입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412)의 후단에 방사상의 연통홀(412a)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실린더(300)를 구성하는 전방 캡(320)과 몸체(310)에 상기 연통홀(412a)이 연결되어 통하는 제1 공기 유입라인(326)과 제2 공기 유입라인(319)이 형성되는 것만 상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412)가 피스톤(400)의 일단 로드부(410)의 전면부터 헤드부(330)의 전까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412)의 후단에 방사상의 연통홀(412a)이 관통 형성되며, 제1 공기 유입라인(326)이 실린더(300)의 전면에 구비된 전방 캡(320)의 로드 가이드공(322) 내주면에서 후면까지 굴절 형태로 연통 형성되고, 제2 공기 유입라인(319)이 상기 제1 공기 유입라인(326)과 연통되면서 상기 실린더(300)의 가이드공(322)의 내주면까지 연통 형성되는 것이다.
결국, 본 실시예는 공기유입부(412)로 유입되는 공기가 연통홀(412a)을 거쳐 전방 캡(320)의 제1 공기 유입라인(326)과 몸체(310)의 제2 공기 유입라인(319)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전방 캡(320)의 연결홀(324)을 통과한 상태에서 가이드공(312)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외부 공기가 공기유입부(412), 연통홀(412a)과 전방 캡(320)과 몸체(310)에 형성된 제1 공기 유입라인(326)과 제2 공기 유입라인(319)을 통해 실린더(300)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공기유입부(314)를 깊게 가공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가공 난해성과, 축경, 구멍 깊이가 길어지면 열처리시 열변형 현상을 방지하면서, 공압 진동 발생장치의 두께를 얇게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2는 충격전달부이고, 316은 공기배출부이고, 318은 바이패스 라인이고, 330은 후방 캡이고, 33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334는 제1 홀이고, 336은 소음기이고, 340은 밀폐 캡이고, 342는 제2 홀이고, 344는 소음기이고, 320은 타단 로드부이고, 330은 헤드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20)는 실린더(300) 및 피스톤(4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후방을 밀폐 캡(34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400)의 일단 로드부(410)에 충격전달부(22)로 지지하고 상기 실린더(300)가 전후 이동되록 상기 실린더(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400)이 왕복 운동하는 장치로, 앞선 제2-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실린더(300)의 몸체(31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316)가 상기 몸체(310)의 후면까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공(312)의 내주면에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렇게 형성되면서, 출구 쪽에 소음기(352)가 나선 체결 방식의 고정구(3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점만 제2-1 실시예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제2-1 실시예에서와 같이 소음기(352)가 고정구(350)에 의해 외장형으로 구비되어 분리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30)는 크게 실린더(300) 및 피스톤(4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후방을 밀폐 캡(34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400)의 일단 로드부(410)에 충격전달부(22)로 지지하고 상기 실린더(300)를 전후 이동되게 하도록 상기 실린더(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400)이 왕복 운동하는 장치로, 앞선 제2-2 실시예와 달리 공기배출부(316')가 상기 실린더(300)의 몸체(310)의 후단에서 가이드공(312)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30)는 실린더(500) 및 피스톤(6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후방을 밀폐 캡(54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600)의 일단 로드부(610)에 충격전달부(32)로 지지하고 상기 실린더(500)를 전후 이동되게 하도록 상기 실린더(5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600)이 왕복 운동하는 장치로, 상기 실린더(500)의 몸체(510) 상단 정점 부위에 공기유입부(5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510)의 가이드공(512)에서 상기 몸체(510)의 전면까지 형성된 제1 공기 배출라인(519)과 상기 제1 공기 배출라인(519)과 연통되도록 전방 캡(520)에 직립하게 형성된 공기배출부(528)과 연결되어 통하는 제2 공기 배출라인(526) 그리고 바이패스 라인(518)이 상기 제1 공기 배출라인(519)과 상기 제2 공기 배출라인(526)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것만 상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 공기 배출라인(519)은 실린더(500)의 몸체(510)에 형성된 가이드공(512)의 내주면에서 굴절된 전면까지 연통 형성되고, 제2 공기 배출라인(526)은 전방 캡(520)의 로드 가이드공(522) 내주면까지 연결되어 상기 전방 캡(52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528)와 연통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524는 연결홀이고, 530은 후방 캡이고, 53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540은 밀폐 캡이고, 610은 일단 로드부이고, 620은 타단 로드부이고, 630은 헤드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4-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40)는 실린더(700) 및 피스톤(8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전방을 밀폐 캡(75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800)의 타단 로드부(820)에 해머(42)로 지지하고 상기 피스톤(800)을 공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하여 상기 해머(42)로 대상물을 타격하는 장치로, 제1-1 실시예와 달리 몸체(710)의 외주면 선단에 공기유입부(714)가 수직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연결홀(724)을 통해 가이드공(712)과 연통되고, 밀폐 캡(750)이 전방 캡(720)의 전방에 구비되면서, 상기 피스톤(800) 중 타단 로드부(820)의 단부에 헤머(42)가 장착되어 상기 헤머(42)의 전후 이동을 통해 대상물을 타격하게 된다.
더욱이, 밀폐 캡(750)은 전방 캡(720)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 캡(720)의 내주면에서 굴절되어 전면으로 연통되는 제3 홀(752)에 소음기(754)가 매립된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716은 공기배출부이고, 718은 바이패스 라인이고, 72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730은 후방 캡이고, 73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734는 제4 홀이고, 736은 소음기이고, 740은 마감 캡이고, 742는 제5 홀이고, 744는 소음기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4-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4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800)의 헤드부(820)가 실린더(700)의 가이드공(712)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유입부(7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결홀(724)로 이동하면서 헤드부(830)의 전면을 밀게 된다.
다음으로, 피스톤(800)이 후진되면 헤드부(820)가 바이패스 라인(718)의 입구를 막고 있다가 개방하면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라인(718)을 통해 유입된 후 출구로 토출되면서 상기 헤드부(82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어 헤머(42)를 전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공기배출부(716)를 막고 있던 헤드부(82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하면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716)를 거쳐 제3 홀(734)과 제4 홀(7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제3 홀(734)과 상기 제4 홀(742)에 내장된 소음기(736, 744)를 거치면서 소음을 감쇄시킨다.
다음으로, 헤드부(820)가 바이패스 라인(718)의 입구를 밀폐시키면 더이상 외부 공기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피스톤(800)이 정지하며, 상기 헤드부(820)의 뒤쪽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헤드부(820) 앞쪽의 원압이 커 압력차에 의해 상기 피스톤(800)이 뒤로 후진하게 되고 헤머(42)를 후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공기유입부(7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몸체(710)의 바이패스 라인(718)을 통해 헤드부(83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게 되어 헤머(42)를 전진시키게 되며, 그 후엔 앞선 방법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4-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40)는 실린더(700) 및 피스톤(8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전방을 밀폐 캡(75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800)의 타단 로드부(820)에 해머(42)로 지지하고 상기 피스톤(800)을 공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하여 상기 해머(42)로 대상물을 타격하는 장치로, 앞선 제4-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실린더(700)의 몸체(71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716)가 상기 몸체(710)의 후면까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공(712)의 내주면에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렇게 형성되면서, 출구 쪽에 소음기(762)가 나선 체결 방식의 고정구(760)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점만 제4-1 실시예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제4-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감 캡이 생략되고 소음기(762)가 고정구(760)에 의해 외장형으로 구비되어 분리가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4-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40)는 실린더(700) 및 피스톤(8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전방을 밀폐 캡(750)으로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800)의 타단 로드부(820)에 해머(42)로 지지하고 상기 피스톤(800)을 공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하여 상기 해머(42)로 대상물을 타격하는 장치로, 앞선 제4-1 실시예와 달리 공기배출부(716')가 상기 실린더(700)의 몸체(710)의 후단에서 가이드공(712)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50)는 실린더(900) 및 피스톤(1000)을 포함한 양로드 진동장치의 전후방을 밀폐 캡(940, 750)으로 밀폐시켜 상기 피스톤(1000)이 상기 실린더(900)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점이 상이하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910은 몸체이고, 912는 가이드공이고, 914는 공기유입부이고, 916은 공기배출부이고, 918은 바이패스 라인이고, 920은 전방 캡이고, 92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924는 연결홀이고, 930은 후방 캡이고, 93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934는 제5 홀이고, 936은 소음기이고, 942는 제6홀이고, 944는 소음기이고, 950은 밀폐 캡이고, 952는 제7 홀이고, 942는 소음기이고, 1010은 일단 로드부이고, 1020은 타단 로드부이며, 1030은 헤드부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50)는 앞선 4-1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유입부(914)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피스톤(1000)을 전후이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20, 30, 40, 50: 진동이송기
100, 300, 500, 700, 900: 실린더
200, 400, 600, 800, 1000: 피스톤

Claims (5)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연장된 양단 로드부로 구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에 공기배출부와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며, 개구된 몸체의 전후에 로드 가이드공이 각각 관통 형성된 전방 캡과 후방 캡으로 마감되어 상기 피스톤의 양단 로드부 각각이 상기 로드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
    상기 전방 캡과 후방 캡 중 적어도 한 면을 밀폐시키는 밀폐 캡; 및
    상기 실린더의 몸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을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는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2.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연장된 양단 로드부로 구성되며, 타단측 로드부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단부에서 외주면까지 연결홀이 관통된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공기배출부가 형성되며, 개구된 몸체 전후에 로드 가이드공이 각각 관통 형성된 전방 캡과 후방 캡으로 마감되어 상기 피스톤의 양단 로드부 각각이 상기 로드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
    상기 전방 캡과 후방 캡 중 적어도 한 면을 밀폐시키는 밀폐 캡; 및
    상기 실린더의 몸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을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라인을 포함하는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실린더의 후방을 밀폐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노출된 상기 피스톤의 일단 로드부를 탄성체로 지지하여 상기 실린더가 전후 이동되는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실린더의 전방을 밀폐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노출된 상기 피스톤의 타단 로드부에 헤머를 장착하여 상기 헤머가 대상물을 타격하는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실린더의 전후방을 밀폐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KR1020160143334A 2016-10-31 2016-10-31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KR10188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334A KR101889367B1 (ko) 2016-10-31 2016-10-31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334A KR101889367B1 (ko) 2016-10-31 2016-10-31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350A KR20180047350A (ko) 2018-05-10
KR101889367B1 true KR101889367B1 (ko) 2018-08-17

Family

ID=6218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334A KR101889367B1 (ko) 2016-10-31 2016-10-31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8090B (zh) * 2020-07-08 2022-02-0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应用有弹性波发生器的净水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665A (ja) * 2002-07-24 2005-11-10 バントリー リミテッド ソニックドリル
KR101635866B1 (ko) * 2014-11-05 2016-07-05 김병찬 진동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9306B2 (ja) * 1998-11-24 2005-09-28 日精工機株式会社 往復動加振装置
KR101025504B1 (ko) * 2008-12-03 2011-04-04 이경운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KR101546056B1 (ko) * 2013-08-09 2015-08-20 이경운 진동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665A (ja) * 2002-07-24 2005-11-10 バントリー リミテッド ソニックドリル
KR101635866B1 (ko) * 2014-11-05 2016-07-05 김병찬 진동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350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8375A1 (en) Axially Driven Piston-Cylinder Unit
US9102044B2 (en) Machine tool
KR101889367B1 (ko)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CN105722645A (zh) 手持工具机
KR20080030708A (ko) 밀폐형 압축기
US3754396A (en) Impacting device
KR101025504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JP6226213B2 (ja) 振動発生装置
KR101874293B1 (ko) 양로드 진동장치
CN107820553A (zh) 缓冲装置
KR101009919B1 (ko) 진동발생장치
ATE463306T1 (de) Schwingungserzeuger mit einem zwischen druckkammern verschiebbar gelagerten arbeitskolben
JP2587778Y2 (ja) 衝撃工具
US3630294A (en) Self-excited oscillator
RU2346803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машина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KR101846944B1 (ko) 진동발생장치
RU2244827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машина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KR101635866B1 (ko) 진동발생장치
WO2004081379A3 (en)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vibration attenuating supporting unit
KR20180028138A (ko) 고하중 공압 항타기
KR101644473B1 (ko) 타격 효율을 향상시키는 부스팅 장치를 갖는 타격장치
KR100311379B1 (ko) 밸브조립체의댐핑장치
RU90126U1 (ru) Вибробезопасная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машина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RU2309038C2 (ru) Вибробезопасная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машина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KR10048656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맥동 및 소음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