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293B1 - 양로드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양로드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293B1
KR101874293B1 KR1020160143227A KR20160143227A KR101874293B1 KR 101874293 B1 KR101874293 B1 KR 101874293B1 KR 1020160143227 A KR1020160143227 A KR 1020160143227A KR 20160143227 A KR20160143227 A KR 20160143227A KR 101874293 B1 KR101874293 B1 KR 10187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d
piston
cylinder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278A (ko
Inventor
이경운
Original Assignee
이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운 filed Critical 이경운
Priority to KR102016014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2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양로드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연장된 양단 로드부로 구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에 공기배출부와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을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 양단에 로드부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양쪽 지지를 통해 요동시 진동으로부터 가이드공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 공기 유입부 및 공기 배출부를 피스톤이 아닌 로드부에 형성하여 피스톤의 외경 축소에 따른 장치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공기 유입부를 로드부에 형성하면서 우회시켜 공기를 유입하는 경우 실린더 외관에 설치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간섭이나 설치공간의 협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로드 진동장치 {DOUBLE ROD VIBRATOR}
본 발명은 양로드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양단에 로드가 설치되어 실린더에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피스톤이 전후로 반복 이송되면서 진동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양로드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장치는 컴프레서(compressor)에서 발생된 공기압을 공급받아 일정구간에서 왕복 피스톤운동을 하게 하며 이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진동 또는 충격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진동 장치는 실린더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피스톤이 전후로 반복 이송되어 상기 피스톤에 결합된 물체가 진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길이를 갖는 로드부의 후단부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가압슬라이드부가 연이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 및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을 갖는 공기안내홀이 후단부 개구되도록 일정구간 형성되며, 상기 가압슬라이드부의 단부 중앙에는 공기쳄버가 공기안내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피스톤과; 내부에 상기 피스톤의 가압슬라이드부가 끼워져 슬라이드 하는 후단부 밀폐된 가압슬라이드 가이드공과 로드부가 끼워져 슬라이드 하는 관통된 로드가이드공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슬라이드 가이드공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로드가이드공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공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과 일치되는 내주면 주위에는 공기를 공기배출공으로 유도하는 공기배출유도홀이 형성된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종래기술의 진동 장치는 공기가 공기유입공과 공기안내홀을 통해 공기챔버 내부로 유입되면 실린더 리어캡에 충돌하면서 생성되는 반발력에 의해 전진하고, 전진하다가 공기배출홀이 공기배출공에 연통되면 공기가 배출되면서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피스톤의 가압슬라이드부를 후진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진동 장치는 로드부가 일단에만 형성되므로 진동에 의해 가압슬라이드부가 요동쳐 가압슬라이드 가이드공에 흠을 내면서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576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부 양단에 로드부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양쪽 지지를 통해 요동시 진동으로부터 가이드공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 공기 유입부 및 공기 배출부를 피스톤이 아닌 로드부에 형성하여 피스톤의 외경 축소에 따른 장치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공기 유입부를 로드부에 형성하면서 우회시켜 공기를 유입하는 경우 실린더 외관에 설치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간섭이나 설치공간의 협소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양로드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연장된 양단 로드부로 구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에 공기배출부와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일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을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는 양로드 진동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단 로드부의 끝단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거나, 홀을 형성하고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출구측에 적어도 하나의 소음기가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드부 중 타단 로드부의 외경은 일단 로드부의 외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양단 로드부의 일단부에 충격전달부 또는 헤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 양단에 로드부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양쪽 지지를 통해 요동시 진동으로부터 가이드공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 공기 유입부 및 공기 배출부를 피스톤이 아닌 로드부에 형성하여 피스톤의 외경 축소에 따른 장치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공기 유입부를 로드부에 형성하면서 우회시켜 공기를 유입하는 경우 실린더 외관에 설치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간섭이나 설치공간의 협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10)는 실린더(100) 및 피스톤(200)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200)이 왕복 운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100)는 몸체(110), 전방 캡(120), 후방 캡(130) 및 마감 캡(14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에 후술할 피스톤(200)의 헤드부(230)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공(112)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 선단에 공기유입부(114)가 상기 가이드공(112)과 직교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몸체(110)는 가이드공(112)의 위쪽 후단에서 후방으로 굴절 형성된 공기배출부(116)와 상기 공기배출부(116)의 반대쪽 가이드공(112) 내주면에 바이패스 라인(118)이 형성된다.
즉, 공기배출부(116)는 가이드공(112)의 내주면 후단에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몸체(110)의 후벽면까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라인(118)은 공기유입부(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피스톤(200)의 헤드부(230)의 전면을 밀면서 선단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 후단의 출구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부(230)의 후면을 밀 수 있도록 공기를 우회시키는 통로이다.
즉, 상기 바이패스 라인(118)은 실린더(100)의 몸체(110) 내주면에 형성되어 공기유입부(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피스톤(20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선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선단에서 후단으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2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방 캡(120)은 몸체(110)의 전방에 후단이 삽입 배치되되 삽입면에 오링(O-ring)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와의 결합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며, 로드 가이드공(122) 및 연결홀(124)을 포함한다.
로드 가이드공(122)은 전방 캡(120)의 내부에 피스톤(200)의 일단 로드부(210)가 슬라이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연결홀(124)은 몸체(110)의 내주면 선단에 삽입되는 전방 캡(120)의 후단 외주면에 몸체(110)의 공기유입부(114)와 연통되도록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홀(124) 중 외주면에 형성된 입구는 상하 또는 상하좌우에 형성되지만 출구 쪽은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피스톤(200)의 후진시 헤드부(230)의 전면 전체에 공기압이 가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홀(124)의 출구 쪽은 피스톤(200)의 로드부(21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내주면이 전방 캡(120)의 후면까지 개구 형성되어 개구된 공간이 연결되면서 서로 통하게 된다.
후방 캡(130)은 몸체(110)의 후방에 산단이 삽입 배치되되 삽입면에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와의 결합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더욱이, 상기 후방 캡(130)은 몸체(110)의 공기배출부(116) 출구와 연통되도록 제1 홀(134)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134) 앞쪽에 고속으로 배기되는 에어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는 소음기(136)가 내장 형태로 구비된다.
마감 캡(140)은 후방 캡(130)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캡(130)의 제1 홀(134)과 연통되도록 제2 홀(142)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홀(142)의 앞쪽에 소음기(144)가 별도로 설치된다.
피스톤(200)은 일단 로드부(210), 헤드부(230) 및 타단 로드부(220)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230)는 몸체(110)의 가이드공(112)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일단 로드부(210)는 전방 캡(120)의 로드 가이드공(12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타단 로드부(220)는 후방 캡(130)의 로드 가이드공(132)과 마감 캡(140)의 로드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은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이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보다 크면 상기 타단 로드부(220)를 미는 압력이 켜서 작동이 안하고,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이 상기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보다 작으면 작동되고,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과 상기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이 같으면 그 자리에서 서버리게 된다.
이렇게,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과 상기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이 같으면 에어 압력이 예를 들어 4㎏ 들어갔을 때 헤드부(230)의 앞쪽에 걸리는 단면적 4㎏하고 상기 헤드부(230) 뒤쪽에 걸리는 단면적 4㎏ 하고 미는 힘이 같아서 중간에 서있게 되며, 공기를 넣어도 움직이지 않고 서있게 된다.
또한, 일단 로드부(210)와 타단 로드부(220)의 단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홀을 형성하고 홀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거나 암나사에 볼트 등의 구성품이 체결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일단 로드부(210) 또는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단부에 충격전달부 또는 헤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일단 로드부(210) 또는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단부에 충격전달부가 설치되는 경우 실린더(100)의 진동발생시 가해지는 요동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충격전달부는 피스톤(200)의 구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전달하는 탄성체 등이 적용되며, 플라스틱, 금속, 우레탄, 고무, 금속 및 실리콘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단 로드부(210) 또는 상기 타단 로드부(230)의 단부에 헤머가 장착되어 피스톤(200)의 전후 구동시 헤머의 전후 이동을 통해 대상물을 타격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타단 로드부(220)의 외경과 상기 일단 로드부(210)의 외경을 같게 한 상태에서 양로드 진동장치(10)를 세워서 진동테이블(도면에 미도시)에 올려놨을 때 스스로 힘의 균형을 잡기 위해서 외부에서 무게를 실으면 무게가 더 무거우므로 살짝 처지지만 중앙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셀프 진동 테이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1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200)의 헤드부(230)가 실린더(100)의 가이드공(112)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유입부(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결홀(124)로 이동하면서 헤드부(230)의 전면을 밀게 된다.
다음으로, 피스톤(200)이 후진되면 헤드부(230)가 바이패스 라인(118)의 입구를 막고 있다가 개방하면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라인(118)을 통해 유입된 후 출구로 토출되면서 상기 헤드부(23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다음으로, 공기배출부(116)를 막고 있던 헤드부(2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하면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116)를 거쳐 제1 홀(134)과 제2 홀(1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제1 홀(134)과 상기 제2 홀(142)에 내장된 소음기(136, 144)를 거치면서 소음을 감쇄시킨다.
다음으로, 헤드부(230)가 바이패스 라인(118)의 입구를 밀폐시키면 더이상 외부 공기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피스톤(200)이 정지하며, 상기 헤드부(230)의 뒤쪽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헤드부(230) 앞쪽의 원압이 커 압력차에 의해 상기 피스톤(200)이 뒤로 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기유입부(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몸체(110)의 바이패스 라인(118)을 통해 헤드부(23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게 되며, 그 후엔 앞선 방법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10)는 크게 실린더(100) 및 피스톤(200)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100)에서 앞선 제1-1 실시예와 달리 마감 캡이 생략되며, 상기 실린더(100)의 몸체(11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116)가 상기 몸체(110)의 후면까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공(112)의 내주면에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렇게 형성되면서, 출구 쪽에 소음기(152)가 나선 체결 방식의 고정구(1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점만 제1-1 실시예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제1-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감 캡이 생략되고 소음기(152)가 고정구(150)에 의해 외장형으로 구비되어 분리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10)는 크게 실린더(100) 및 피스톤(200)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100)에서 앞선 제1-1 실시예와 달리 마감 캡이 생략되며, 공기배출부(116')가 상기 실린더(100)의 몸체(110)의 후단에서 가이드공(112)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20)는 실린더(300) 및 피스톤(400)을 포함하며, 실린더의 몸체에 공기유입부가 형성된 앞선 제1-1 실시예와 달리 상기 피스톤(400)의 일단 로드부(410)에 형성되는 것만 상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314)가 피스톤(400)의 일단 로드부(410)의 전면부터 헤드부(430)의 전까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314)의 후단에 방사상의 연통홀(314a)이 관통 형성된다.
이렇게 실린더의 몸체에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면 상기 공기유입부에 에어 니플 등이 체결되어야 하는데 공기유입부(314)가 피스톤(400)의 일단 로드부(410)에 형성되게 하므로 다른 구성과의 간섭이나 설치공간 협소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310은 몸체이고, 312는 가이드공이고, 316은 공기배출부이고, 318은 바이패스 라인이고, 320은 전방 캡이고, 32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330은 후방 캡이고, 33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334는 제1 홀이고, 336은 소음기이고, 340은 마감 캡이고, 342는 제2 홀이고, 344는 소음기이고, 420은 타단 로드부이고, 430은 헤드부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2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400)의 헤드부(430)가 실린더(300)의 가이드공(312)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유입부(3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헤드부(330)의 전면을 밀게 된다.
다음으로, 피스톤(400)이 후진되면 헤드부(430)가 바이패스 라인(318)의 입구를 막고 있다가 개방하면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라인(318)을 통해 유입된 후 출구로 토출되면서 상기 헤드부(43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다음으로, 공기배출부(316)를 막고 있던 헤드부(4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하면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316)을 거쳐 제1 홀(334)과 제2 홀(3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제1 홀(334)과 상기 제2 홀(342)에 내장된 소음기(336, 344)을 거치면서 소음을 감쇄시킨다.
다음으로, 헤드부(430)가 바이패스 라인(318)의 입구를 밀폐시키면 더이상 외부 공기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피스톤(400)이 정지하며, 상기 헤드부(430)의 뒤쪽 압력이 작아지면서 상기 헤드부(430) 앞쪽의 원압이 커 압력차에 의해 상기 피스톤(400)이 뒤로 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기유입부(3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몸체(310)의 바이패스 라인(318)을 통해 헤드부(43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게 되며, 그 후엔 앞선 방법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20)는 크게 실린더(300) 및 피스톤(400)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300)에서 앞선 제2-1 실시예와 달리 마감 캡이 생략되며, 상기 실린더(300)의 몸체(31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316)가 상기 몸체(310)의 후면까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공(312)의 내주면에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렇게 형성되면서, 출구 쪽에 소음기(352)가 나선 체결 방식의 고정구(3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점만 제2-1 실시예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제2-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감 캡이 생략되고 소음기(352)가 고정구(350)에 의해 외장형으로 구비되어 분리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20)는 크게 실린더(300) 및 피스톤(400)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300)에서 앞선 제2-1 실시예와 달리 마감 캡이 생략되며, 공기배출부(316')가 상기 실린더(300)의 몸체(310)의 후단에서 가이드공(312)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1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30)는 실린더(500) 및 피스톤(600)을 포함하며, 앞선 제2-1 실시예와 같이 상기 피스톤(600)의 일단 로드부(610)에 공기유입부(514)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514)의 후단에 방사상의 연통홀(514a)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실린더(500)를 구성하는 전방 캡(520)과 몸체(510)에 상기 연통홀(514a)이 연결되어 통하는 제1 공기 유입라인(526)과 제2 공기 유입라인(519)이 형성되는 것만 상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514)가 피스톤(600)의 일단 로드부(610)의 전면부터 헤드부(530)의 전까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514)의 후단에 방사상의 연통홀(514a)이 관통 형성되며, 제1 공기 유입라인(526)이 실린더(500)의 전면에 구비된 전방 캡(520)의 로드 가이드공(522) 내주면에서 후면까지 굴절 형태로 연통 형성되고, 제2 공기 유입라인(519)이 상기 제1 공기 유입라인(526)과 연통되면서 상기 실린더(500)의 가이드공(522)의 내주면까지 연통 형성되는 것이다.
결국, 본 실시예는 공기유입부(514)로 유입되는 공기가 연통홀(514a)을 거쳐 전방 캡(520)의 제1 공기 유입라인(526)과 몸체(510)의 제2 공기 유입라인(519)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전방 캡(520)의 연결홀(524)을 통과한 상태에서 가이드공(512)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외부 공기가 공기유입부(514), 연통홀(514a)과 전방 캡(520)과 몸체(510)에 형성된 제1 공기 유입라인(526)과 제2 공기 유입라인(519)을 통해 실린더(500)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공기유입부(514)를 깊게 가공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가공 난해성과, 축경, 구멍 깊이가 길어지면 열처리시 열변형 현상을 방지하면서, 공압 진동 발생장치의 두께를 얇게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516은 공기배출부이고, 518은 바이패스 라인이고, 530은 후방 캡이고, 532는 로드 가이드공이고, 534는 제1 홀이고, 536은 소음기이고, 540은 마감 캡이고, 542는 제2 홀이고, 544는 소음기이고, 520은 타단 로드부이고, 530은 헤드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2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30)는 크게 실린더(500) 및 피스톤(600)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500)에서 앞선 제3-1 실시예와 달리 마감 캡이 생략되며, 상기 실린더(500)의 몸체(51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516)가 상기 몸체(510)의 후면까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공(512)의 내주면에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렇게 형성되면서, 출구 쪽에 소음기(552)가 나선 체결 방식의 고정구(5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점만 제3-1 실시예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제3-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감 캡이 생략되고 소음기(552)가 고정구(550)에 의해 외장형으로 구비되어 분리가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3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30)는 크게 실린더(500) 및 피스톤(600)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500)에서 앞선 제3-1 실시예와 달리 마감 캡이 생략되며, 공기배출부(516')가 상기 실린더(500)의 몸체(510)의 후단에서 가이드공(512)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40)는 실린더(700) 및 피스톤(800)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700)의 몸체(710) 상단 정점 부위에 공기유입부(7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710)의 가이드공(712)에서 상기 몸체(710)의 전면까지 형성된 제1 공기 배출라인(719)과 상기 제1 공기 배출라인(719)과 연통되도록 전방 캡(720)에 직립하게 형성된 공기배출부(728)과 연결되어 통하는 제2 공기 배출라인(726) 그리고 바이패스 라인(118)이 상기 제1 공기 배출라인(719)과 상기 제2 공기 배출라인(726)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것만 상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 공기 배출라인(719)은 실린더(700)의 몸체(710)에 형성된 가이드공(712)의 내주면에서 굴절된 전면까지 연통 형성되고, 제2 공기 배출라인(726)은 전방 캡(720)의 로드 가이드공(722) 내주면까지 연결되어 상기 전방 캡(72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728와 연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로드 진동장치(4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800)의 헤드부(830)가 실린더(700)의 가이드공(712)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유입부(7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결홀(724)로 이동하면서 헤드부(830)의 전면을 밀게 된다.
다음으로, 피스톤(800)이 후진되면 헤드부(830)가 바이패스 라인(718)의 입구를 막고 있다가 개방하면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라인(718)을 통해 유입된 후 출구로 토출되면서 상기 헤드부(83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다음으로, 제1 공기 배출라인(719)을 막고 있던 헤드부(8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하면 내부 공기가 상기 제1 공기 배출라인(719)과 제2 공기 배출라인(7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헤드부(830)가 정지된다.
다음으로, 공기유입부(7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헤드부(830)를 밀다가 몸체(810)의 바이패스 라인(818) 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바이패스 라인(818)을 통해 상기 헤드부(830)를 반대로 밀게 되며, 그 후엔 앞선 방법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20, 30, 40: 양로드 진동장치
100, 300, 500, 700: 실린더
200, 400, 600, 800: 피스톤

Claims (5)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연장된 양단 로드부로 구성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단과 타단에 공기배출부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밀폐되었던 일단이 개방되면 개방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부의 후면을 밀어 상기 피스톤을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는 양로드 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로드부의 끝단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거나, 홀을 형성하고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양로드 진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출구측에 적어도 하나의 소음기가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구비되는 양로드 진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 중 타단 로드부의 외경은 일단 로드부의 외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양로드 진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로드부의 일단부에 충격전달부 또는 헤머가 구비되는 양로드 진동장치.
KR1020160143227A 2016-10-31 2016-10-31 양로드 진동장치 KR10187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27A KR101874293B1 (ko) 2016-10-31 2016-10-31 양로드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27A KR101874293B1 (ko) 2016-10-31 2016-10-31 양로드 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78A KR20180047278A (ko) 2018-05-10
KR101874293B1 true KR101874293B1 (ko) 2018-07-04

Family

ID=6218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227A KR101874293B1 (ko) 2016-10-31 2016-10-31 양로드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2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224B1 (ko) * 2006-12-14 201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컴프레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41B1 (ko) * 2011-04-07 2012-10-18 김석환 에어 진동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224B1 (ko) * 2006-12-14 201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컴프레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78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080B1 (ko) 이젝터용 조임 슬리브, 및 장착 방법
KR100755722B1 (ko) 공압장치용 사일렌서
MY155084A (en) Cyclonic fluid separator
JP2020510525A (ja) ブローガン
US7383894B2 (en) Pneumatic hammer drill (I)
RU2016136983A (ru) Способ упрочняющей дробеструйной обработки внутренней стенки трубы изогнутой заготовки, имеющей отверстие, а также дробеструйный сопловой узел и система дробеструйной камеры для него
KR101874293B1 (ko) 양로드 진동장치
KR101889367B1 (ko) 양로드 진동장치를 구비한 진동이송기
WO2008128400A1 (fr) Pompe à air portable
KR101025504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KR100357699B1 (ko) 진동 발생 장치
JP6226213B2 (ja) 振動発生装置
JP2017198155A5 (ko)
JP2019098518A (ja) 1次圧力を用いて打撃するエア振動発生装置
KR101009919B1 (ko) 진동발생장치
EP3343034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200363316Y1 (ko) 에어진동발생장치
CN109869395B (zh) 高速内牙钉
KR101635866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554034B1 (ko) 소음저감 및 안전 기능을 구비한 에어 충격 진동발생장치
JP2008196476A (ja) コンパクト型エアポンプ
KR101710323B1 (ko) 긴 공정거리를 갖는 공압 진동 발생장치
SE0700673L (sv) Aspirator
KR100624563B1 (ko) 이젝터 펌프
CN109184551A (zh) 冲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