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208848A1 -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208848A1
WO2014208848A1 PCT/KR2013/011782 KR2013011782W WO2014208848A1 WO 2014208848 A1 WO2014208848 A1 WO 2014208848A1 KR 2013011782 W KR2013011782 W KR 2013011782W WO 2014208848 A1 WO2014208848 A1 WO 20142088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rain
lactobacillus brevis
acid
gamma
kacc91784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17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인철
유문려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42088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88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05Amino acids other than alpha- or beta amino acids, e.g. gamma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4Lactobacillus brev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use which can produce gamma aminobutyl acid in high production yield.
  • GABA Gamma-aminobutyric acid
  • the gamma aminobutyl acid may cause an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and is an excitatory inhibitory neurotransmitter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neurotransmitters in the mammalian central nervous system along with glutamic acid or glycine.
  • the gamma aminobutyric acid is known to occupy about 30% of the total neurotransmitt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 the gamma aminobutyric acid is present in the neuromuscular junction of the cerebellum, bone marrow or crustaceans in mammals, and in plants, it is widely present in germinated grains such as germinated brown rice, tea, yellow rice, and mulberry, and is known to be present in large amounts in red yeast rice. have.
  • gamma aminobutyl acid was widely distributed in mammalian nerve tissue, and it was estimated to nourish the neurological function of the brain. Since then, gamma aminobutyl acid is biosynthesized and produced by glutamic acid in vivo. It has been shown to promote the metabolism of brain cells by activating blood flow and enhancing the oxygen supply of the brain.
  • the gamma aminobutyric acid has been studi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brain function and learning ability, such as improving blood flow to the brain, improving brain metabolism, mental stability, prevention of stroke and dementia, memory, and insomnia, preventing hypertension.
  • brain function improvement or obesity improvement As the effects of diuretic effect, liver function improvement or obesity improvement have been studied, it has been applied to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based on various functionalities.
  • the gamma aminobutyl acid is registered as a medicine for treating stroke.
  • the lactic acid bacteria are bacteria that ferment saccharides to produce at least 50% lactic acid, which means the most beneficial microorganisms available to humans. It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natural world such as the oral cavity, digestive tract, and soil of mammals as well as food, and it is a beneficial strain for human lif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related to food preserv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Lactic acid bacteria, widely used as foods as fermented food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for a long time, have been recognized as stability as GRAS microorganisms.
  • Kimchi is a food that can be manufactured by anyone at home without any special knowledge. More specifically, Kimchi is Kore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fermented food that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fermented foods that are aged through the fermentation process by microorganisms that exist around the living environment by mixing spices such as garlic and garlic.
  • the research on the lactic acid bacteria has been mainly conducted for dairy products, and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es on lactic acid bacteria involved in kimchi foot effect tablet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compared to the long history.
  • lactic acid bacteria specifically Lactobacillus brevis ( Lactobacillus brevis ) or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made from starter (starter) in cheese and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milk Research has been reported that gamma aminobutyl acid is produced. Also, recently, strains capable of producing gamma aminobutyric acid have been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lacquer, or soybean fermented foods such as soybean paste or cheonggukja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in having excellent production efficiency of gamma aminobutyl aci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gamma aminobutyl acid from the culture of the strain and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rai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ain having excellent gamma aminobutyl acid (GABA) production capacity, specifically, lactic acid bacteria having excellent gamma aminobutyl acid production capacity.
  • GABA gamma aminobutyl acid
  • the strain may b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isolated from kimchi and having gamma aminobutyl acid (GABA) production capacity.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has a gamma aminobutyl acid (GABA) conversion rate of converting glutamic acid or a salt thereof, specifically, sodium glutamate or monosodium glutamate (MSG) to gamma aminobutyl acid (GABA). May be from 97% to 100% strain.
  • GABA gamma aminobutyl acid
  • the present invention 1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ulture thereof, a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culture solution, the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1 I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more than one speci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1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ulture thereof, a concentrate of the culture solution, the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1 It provides a fermentation starter containing at least one speci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ermented food fermented by the fermenting starter or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Lactobacillus brevis F109- MD3, KACC91784P) strai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the fermented food may be kimchi.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gamma aminobutyl acid using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the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ulturing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in the culture medium; And separating gamma aminobutyl acid from the culture medium in which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is cultured.
  • the culture medium is glutamic acid or a salt thereof may be a glutamic acid sodium salt, preferably, the culture medium is monosodium glutamate (MSG, 0.5% (w / v) based on the total culture medium volume To 10% (w / v) may be included.
  • MSG monosodium glutamate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a method for producing a large amount of gamma aminobutyl acid having various functionalities, in particular, a method using microorganisms, were studying a lactic acid bacterium having a high gamma aminobutyl acid producing ability among lactic acid bacteria which are GRAS microorganisms. From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hinese, Kimchi, and Kakdugi prepared in Jeonnam region, lactic acid bacteria with remarkably superior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tion ability were identified as compared to previously reported lactic acid bacteria.
  • the strain is monosodium glutamate (MSG, monosodium glutamate) in the medium containing 1% (w / v) and 5% (w / v) based on the volume of the medium to convert the total amount of monosodium glutamate to gamma aminobutyl acid It was confirmed that gamma amino butyric acid conversion ability is 100%, sodium glutamate salt in the medium The conversion of gamma aminobutyl acid was 97.4%, which was converted to gamma aminobutyric acid as a result of reacting for 72 hours in a medium having a monosodium glutamate content of 10% (w / v). It can be produc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ustrial significance is very large,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belonging to Lactobacillus brevis ( Lactobacillus brevis ),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 MSG monosodium glutamate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in capable of producing gamma aminobutyl acid with high efficiency, specifically high gamma aminobutyl acid production ability, specifically monosodium glutamate (MSG, monosodium glutamate) has a high gamma aminobutyl acid production capacity capable of producing gamma aminobutyl acid at a conversion rate of more than 97% in certain conditions and 100%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contains a high concentration of substrate, that is, a high concentration of monosodium glutamate.
  • MSG monosodium glutamate
  • Figure 1 is a photograph for confirming the shape of the strain F109-MD3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 of gram staining and confirmed under a microscope (x1,000) F109-MD3 strain
  • 1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F109-MD3 strain confirmed by electron microscopy (SEM, x20,000).
  • Figure 2 is a nucleotide sequence of 16S rRNA of the F109-MD3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other bacteria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F109-MD3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RS medium was purchased from CRITERION TM (SantaMaria, USA), Sodium L-glutamate (MSG) was purchased from Yakuri Pure Chemicals Co. (Japan), and used ⁇ -Aminobutyric acid standard, phenyl isothiocyanate (PITC, protein). Sequencing grade) and triethylamine (TEA, minimum 99%) were purchased from Sigma Chemical Co. (USA). Acetonitrile and methanol were purchased from Merck Chemical Co. (UK) and Ninhydrin monohydrate (99%) was purchased from Alfa Aesar (USA).
  • a fresh and tasty kakdugi was selected to isolate strains from the kakdugi.
  • the strain was put into 90 ml of sterile water to crush the entire contents using a blender to prepare a sample solution of 10% (w / v) concentration. After serial dilution, it was dispensed on MRS medium (Difco Co., France) medium containing 0.5% (w / v) of calcium carbonate (CaCO 3 ) and incubated at 30 ° C. for 2 days. Strains forming transparent rings were isolated from the culture medium.
  • MRS medium Dens Co., France
  • CaCO 3 calcium carbonate
  • lactobacillus which is a GRAS (generally regarded as safe) microorganism among the isolated strains
  • Gram stain kit Gram stain kit, BD Co., USA
  • hydrogen peroxidase test Catalase test kit, Biomrieus Co., France
  • Gram-positive, catalase negative colons were tentatively isolated as lactic acid bacteria and named F109-MD3.
  • the inoculated strain was inoculated in 5 mL liquid MRS medium, and then incubated for 18 hours at a temperature of 30 °C, the pH of the culture medium during the culture was pH meter (pH-200L, Istek Inc., Korea) ) Was measured.
  • the cultured F109-MD3 made 25% glycerol stock and stored at ⁇ 70 ° C. until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 Example 1-1 In order to identify the strain for the F109-MD3 strain which was tentatively isolated as lactic acid bacteria in Example 1-1, the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biochemical identification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gram staining of the strain and confirming the form through observation using a microscope.
  • lactic acid bacteria were inoculated with one colony in 5 mL MRS liquid medium and incubated at 30 ° C. for 24 hours, and then 0.1% of this was inoculated into fresh liquid medium to be incubated.
  • the medium for measuring acid resistance was prepared by adjusting the MRS liquid medium (pH 6.2) to pH 2.0 with 0.1 N HCl and then sterilizing under reduced pressure.
  • the cells were recovered by centrifuging 5 mL of the cultured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t 1,100 ⁇ g for 10 minutes.
  • the recovered cells were suspended in an equal volume of MRS (pH 2.0) medium and incubated at 30 ° C. for 24 hours.
  • Viable cell count was measured using the plate count method.
  • the bile resistance was carried out by the same method as the acid resistance, but was incubated for 24 hours in an MRS liquid medium containing 0.5% oxgall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the viable bacteria.
  • lactic acid bacteria which were primarily screened were measured for secondary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in consideration of intestinal retention time.
  • the cells were suspended in an MRS liquid medium adjusted to pH 2.0 in the same volume and incubated at 30 ° C. for 3 hours.
  • the cells were recovered by centrifugation and suspended in MRS medium containing 0.5% oxgall and incubated at 30 ° C. for 24 hours.
  • the viable cell number was diluted in stages, aliquoted into MRS solid medium, incubated at 30 ° C. for 2 days, and the colonies were counted.
  • the secondary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measurement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colonies were counted, it was determined that they were biliary or acid resistant.
  • Table 1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nd FIG. 1.
  • Table 1 indicates a positive response or resistance, and ⁇ indicates a negative response or no resistance.
  • the F109-MD3 strain is Gram-stained by bacilli, is Gram-positive, does not have catalase activity, and the pH of the culture medium is about pH 4.81. Was reviewed.
  • the biochemical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a method of confirming the glycemic activity of the strain using an API kit and comparing with other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 is a positive reaction,-is a negative reaction, V is a variable, D indicates that the reaction is delayed.
  • Lactobacillus brevis NCL912 (Annals of Microbiology, 58 (4), 649-653 (2008)), Lactobacillus brevis YSM-1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6 (1), 68-76 (2006) and Lactobacillus brevis KLDS1
  • the results of .0355 (Journal of Shandong University (Natural Science), 43 (7), 1-7 (2008)) were obtained from known results.
  • the F109-MD3 strain is mannitol, esculin L-arabinose, ribose, Ribose, D-xylose, galactose. (galactose), glucose (glucose), fructose (fructose) and maltose (maltose), etc. have been found to be available, and this glucose action was considered to be very similar to other known Lactobacillus brevis strains.
  • 16S rRNA sequencing of the isolated strain was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known strains. was performed.
  • genomic DNA extraction of the F109-MD3 was performed using a Genome DNA kit (Q-Biogene, USA), the extracted genomic DNA extraction primer (primer) for 16s rDNA amplification PCR was performed using the 27F primer (Forward primer) and 1492R primer (Reverse primer) to confirm the sequenc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FIG. 3 the F109-MD3 strain exhibited 99% homology with Lactobacillus brevis M58810 (ATCC 14869T), and finally named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was deposited on February 20, 2013 to the National Agricultural Science Institute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 Center, 34, Seoho-ro, Gwon-gu, Suwon-si, Gyeonggi-do, Korea. Was given number KACC91784P.
  • GABA gamma aminobutyl acid
  • 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for 5 minutes under conditions of 4 ° C and 10,000 xg (high speed centrifuge Supra). 22K , Hanil Science, Korea).
  • the filtrate obtained through the centrifugation (supernant) is derived using PITC (derivatiz
  • the F109-MD3 strain is mannitol (Mannitol), esculin (Esculin) L- arabinose (L- arabinose, ribose, D-xylose, galactose, glucose, fructose and maltose have been found to be available. It was considered very similar to other known Lactobacillus brevis strains.
  • 16S rRNA sequencing of the isolated strain was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known strains. was performed.
  • genomic DNA extraction of the F109-MD3 was performed using a Genome DNA kit (Q-Biogene, USA), the extracted genomic DNA extraction primer (primer) for 16s rDNA amplification PCR was performed using the 27F primer (Forward primer) and 1492R primer (Reverse primer) to confirm the sequenc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FIG. 3 the F109-MD3 strain exhibited 99% homology with Lactobacillus brevis M58810 (ATCC 14869T), and finally named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was deposited on February 20, 2013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National Genetics Institute, 34, Seoho-ro, Gwon-gu, Suwon-si, Gyeonggi-do, Korea. Was given number KACC91784P.
  • GABA gamma aminobutyl acid
  • 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for 5 minutes under conditions of 4 ° C and 10,000 xg (high speed centrifuge Supra). 22K , Hanil Science, Korea).
  • the supernant obtained through the centrifugation was derivatized using PITC and filtered through a 0.45 ⁇ m filter (Whatman, UK). In order to measure gamma aminobutyl acid contained in the filtrate, HPLC was performed.
  • the HPLC is Shimadzu instrument (Shimadzu Corp, Japan) and C18 (2) column was used a (250 ⁇ 4.6 mm ID, particle size 5 ⁇ m, Phenomenex ® Luna, USA) carried out at 46 °C, using a UV detector 254 Measured at nm.
  • Solvent A was formulated to contain 1.4 mM sodium acetate, 0.1% TEA and 6% Acetonitrile, and the pH was titrated to pH 6.1 using acetic acid.
  • Solvent B was formulated to contain 60% Acetonitrile. The flow rate was 1.0 mL / min, and the column was eluted for 20 minutes with a linear increase in concentration gradient of solvent B from 0 to 100%.
  • M SO in the following formula is the concentration of monosodium glutamate (MSG) added (mM), and Ms is the concentration of monosodium glutamate (MSG) contained in cultured medium (mM).
  • GABA conversion rate (%) (M S0 -Ms) / M S0 ⁇ 100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differs only in the time of conversion to gammaaminobutyl aci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itial monosodium glutamate, but only 100% conversion of monosodium glutamate to gammaaminobutyl acid It was confirmed that.
  • Lactobacillus brevis BH2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12, 707-712 (2007)
  • Lactobacillus brevis NCL 9121 Annals of Microbiology, 58 (4), 649-653 (2008)
  •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 Table 4
  • the results of Food Microbiology, 22, 497-504 (2005) are obtained from known results.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unlike other strains, has a remarkably excellent monosodium glutamate conversion ability, that is, gamma aminobutyl acid production ability, and the production rate was also confirmed to be fast. Specifically, the conversion rate was about 15% higher than that of Lactobacillus brevis BH2 when compared to the same strain for 48 hours, and the reaction time was 48 hours compared to Lactobacillus brevis NCL 9121. , It was found to have higher production capacity.
  •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 Food Microbiology, 22, 497-504 (2005)
  •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 a lactic acid bacterium, which is currently reported for industrial use in relation to gamma aminobutyl acid production.
  •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 showed about 60% conversion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s had half the response time of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 at 10%, which had a higher initial monosodium content. In time, a high conversion rate of about 97.4% was confirmed.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s associated with monosodium glutamate conversion, i.e., gammaaminobutyl acid yield, with high yields of gammaamino in a short time even in medium with high substrate content, i.e., high monosodium glutamate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ain can produce butyric acid.
  • the culture means that a specific microorganism is cultured in a culture medium or a culture medium, and the culture may or may not include the specific microorganism.
  • the culture is not limited in its formula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liquid or a solid.
  • the culture medium means a solid or liquid containing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animal cells, plant cells or bacteria.
  • the culture means the culture by inoculating the strain into the liquid medium.
  • the culture solution may be one containing a strain or culture culture by inoculating the strain, and then sterile, that is, the culture filtrate to remove the strain (cell-free).
  • the concentrate of the culture solution refers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solution
  • the dried matter of the culture solution means that the water of the culture solution is removed.
  • the fermentation starter is an agent compri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croorganisms, lactic acid bacteria or bacteria involved in fermentation, cultures thereof, concentrates of the culture and dried products of the culture. Or composition.
  • the starter for fermentation is used to provide a microorganism that can be added to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ood, such as microorganisms or dominant species that can grow in fermented foods.
  • the quality of the fermentation food may be constantly adjusted by the microorganisms included in the fermentation starter, or the rate or stage of fermentation may be adjusted, and the fermentation may achieve a specific purpose. Food can be prepared.
  • the spawn refers to a microorganism used for fermentation, and refers to a microorganism inoculated into a substrate or food for fermentation
  • the spawn composition refers to a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inoculating cells necessary to start fermenta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od means a natural product or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and preferably means a state in which i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processing step, for example, fruit, Vegetables, fruits, dried or cut products of fruits, fruit juices, vegetable juices, mixed juices, chips, noodles, livestock processed foods, fish processed foods, dairy processed foods, fermented foods, legumes foods, cereal foods, microbial fermented foods , Bakery, condiments, processed meat, acidic beverages, licorice, herb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cluding fermented foods, functional foods and processed foods in the present invention.
  • a certain processing step for example, fruit, Vegetables, fruits, dried or cut products of fruits, fruit juices, vegetable juices, mixed juices, chips, noodles, livestock processed foods, fish processed foods, dairy processed foods, fermented foods, legumes foods, cereal foods, microbial fermented foods , Bakery, condiments, processed meat, acidic beverages, licorice, herbs, and the like, but are
  • the fermented food refers to a food made by adding one or two or more microorganisms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or enzymes and using the fermentation action of the microorganisms, specifically, produced by adding and fermenting the spawn for fermented foods on the food base Means food.
  • the fermented food includes all non-sterile open fermented foods such as liquor, bread, kimchi, salted fish, soybean paste, soy sauce, cheese, butter, yogurt.
  • kimchi means salting vegetables such as radishes, cabbages, cucumbers, and salted fermented foods of vegetables soaked with various spices such as red pepper, green onion, garlic, and ging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cabbage Means using but not limited t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actic acid bacteria excellent in gamma amino butyric acid producing 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isolated from kimchi and having gamma aminobutyl acid (GABA) production capacity.
  • KACC91784P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GABA gamma aminobutyl acid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has a gamma aminobutyl acid (GABA) conversion rate of converting glutamic acid or a salt thereof, specifically, sodium glutamate or monosodium glutamate (MSG) to gamma aminobutyl acid (GABA). May be from 97% to 100% strain.
  • GABA gamma aminobutyl acid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has a gamma aminobutyl acid (in the medium of 10% (w / v) of glutamate sodium salt or monosodium glutamate (MSG) in the medium in terms of industrial use, It was confirmed that gamma aminobutyl acid (GABA) conversion, which is a converting ability to convert to GABA), is 90% or more, preferably 97% or more.
  • GABA gamma aminobutyl acid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was deposited on February 06, 2013 to the National Agricultural Science Institute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 Center, 34, Seoho-ro, Gwon-gu, Suwon-si, Gyeonggi-do, and received the accession number KACC91784P on February 20, 2013.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s a strain having the following bacteriological properties.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s a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specifically Kakadugi, and is a gram-positive rod-like rod, and the optimum growth pH determined from the pH of the culture medium when cultured in MRS medium. Is from pH 4.78 to pH 4.84 and has acid tolerance and acid tolerance.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the sugar metabolism was confirmed as a result, mannitol (Mannitol), esculin (esculin), 2-ketogluconate (2 keto-gluconate), 5-ketogluconate (5 keto- Using gluconate, L-arabinose, Ribose, D-xylose, galactose, glucose, fructose and maltose Possible, ie, having a glucose-tolerant activity for the sugar.
  • the gamma aminobutyl aci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s a nonproteinaceous amino acid that acts as an inhibitory neurotransmitter that a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mammals, and plays a role in regulating neuronal excitement in the nervous system. Aminobutyl acid can directly regulate the state of the muscles.
  • the gamma aminobutyl acid is bound to a receptor in the plasma membrane of the inhibitory synapse of the brain in vertebrates, thereby opening the cell's ion channel, containing negatively charged chlorine ions, and also releasing positively charged potassium ions.
  • the gamma aminobutyl acid inhibits the receptors of grown vertebrates, affects the stimulation of the glands of the entire glands, and gives a major stimulus to the hippocampus and cortex of the mammalian brain, leading to the growth of glutamate synapses. Become an irritant
  • gamma aminobutyl acid is synthesized in the nerve prior to the intersynaptic connection structure in the growth phase, and acts as an intercellular signal regulator.
  • the gamma aminobutyl acid contributes to the proliferation, migration, differentiation of neurocytes, extension of neurites and synapse formation, regulation of growth of embryonic stem cells and neural stem cells, and the regulation of neural cells through brain stimulation inducers. Can affect growth.
  • Kidney and liver function activation relieves stress, prevents anemia and colon cancer, relieves insomnia, increases memory, alleviates depression, prevents stroke and dementia, promotes alcohol metabolism, improves menopausal disorders and early aging, improves mental disorders, relieves anxiety and Benefit from treatment, prevention or amelioration of diseases such as antidepressant relief.
  •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ed by the strain can be usefully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food production, feed production, etc.,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strain itself, to those suffering from extreme shortage of gamma aminobutyl acid concentration in the body. It may also be provid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relief or treatment of symptoms caused by the lack of gamma aminobutyl acid.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from the results confirmed above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gamma amino butyric acid because the production capacity of gamma amino butyric acid is superior to other strains as well as have acid and bile resistance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probiotic or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s) because it can produce gamma aminobutyl acid in the human body, that is, in the intestine through taking.
  • probiotics probiotics
  •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lture thereof, a concentrate of the culture, a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and a combination thereof are food. It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s or cultures thereof, specifically,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s, cultures thereof, concentrates of the cultures, dried products of the cultures and combinations thereof It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ulture includes all of the results obtained by culturing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n a culture medium, and specifically,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ulture solution, a concentrate of the culture solution, a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food means a natural product or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and preferably means a state in which i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some processing process, for example, a fruit, a vegetable, a fruit or a vegetable. Dried or cut products, fruit juices, vegetable juices, mixed juices, chips, noodles, livestock processed foods, fish processed foods, dairy products, fermented foods, legumes foods, grain foods, microbial fermented foods, confectionery, condiments , Meat processing, acidic beverages, licorice, herb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other ingredients except for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nd may include various flavors or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as in the general food composition. It is not limited.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dded to raw materials in the manufacture of foods, beverages, health drink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health functional foods, or by appropriately mixing the cooked foods, food acceptable food It may be added together with auxiliary additives.
  •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use and the method of use, for example, 0.01 to 99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9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More preferably 1 to 75 parts by weight.
  •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commonly used.
  • the food may be, for example, fermented food, health food or beverage.
  • Fermented foo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ood made by adding one or two or more microorganisms,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or yeast, using the fermentation action of the microorganisms, and in detail to add the fermented food spawn to the food base and to prepare Means food.
  • the fermented food includes all non-sterile open fermented foods, such as liquor, bread, kimchi, milk brown, miso, soy sauce, cheese, butter, yogurt, preferably may be kimchi.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may be used as a seed for fermented food, preferably as a seed of kimchi.
  • the amount of spawn is prefer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ermented food and the type of spawn.
  • the strain may be added to, inoculated, used at 0.0001 to 0.01 part by weight (wet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ood main ingredient.
  • Functional foo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trol of biological defense rhythm, disease prevention and recovery of food groups or food compositions that have added value to the food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biotechnological techniques, etc. It means a food processed and designed to fully express the gymnastics function related to the living body.
  • the drink refers to a generic term for drinking to quench thirst or enjoy the taste, and includes alcoholic beverages, soft drinks, water, syrup, tea, coffee, fruit drinks, and the like, and include lactic acid bacteria drinks.
  • the lactic acid bacteria drink refers to a beverage in which lactic acid bacteria are cultured and lactic acid fermentation is added by diluting with sterilized water and adding sugar and flavoring.
  • the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other ingredients except for containing the probiotic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ordinary drinks.
  •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ed by the strain is mixed with the strain itself or included alone as a food composition, and those who suffer from extreme shortage of gammaaminobutyl acid concentration in the body when ingested due to the lack of gammaaminobutyl acid The effect of prevention or improvement can be expected.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can be used as a seed of fermented food, and in this aspect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or its culture can be used as a fermentation starter.
  •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its culture, the concentrate of the culture, the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relates to a fermentation starter comprising as a component.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ncluded in the fermentation starter cultures thereof, concentrates of the cultures, dried products of the culture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quality of the fermented food may be constantly adjusted b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the rate of fermenta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amount of the starter or the initial number of bacteria.
  • Fermented food prepared by the starter for fermentation preferably kimchi may be a fermented food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gamma amino butyric aci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ermented food.
  • the fermentation starter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commonly used.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converts monosodium glutamate (MSG, monosodium glutamate) to gamma aminobutyl acid in high yield, so that the monosodium glutamate added to food can be converted to gamma aminobutyl acid during fermentation.
  • the starter for fermentation may further comprise glutamic acid or salts thereof, preferably sodium glutamate or monosodium glutamate.
  • the starter for fermentation may include a medium component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strain.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a culture thereof, a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culture solution, the dried material of the culture solution and combina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rmented food may be kimchi
  • the seed composition may be a seed composition for producing kimchi.
  • the quality of the fermented food can be constantly controlled by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contained in the seed composition, the amount of the seed composition added Alternatively, the rate of fermenta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initial bacterial count.
  • gamma aminobutyl acid may be produced and accumulat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by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n the seed composition.
  • Fermented food prepared by the starter for fermentation preferably kimchi may be a fermented food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gamma amino butyric aci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ermented food.
  • the see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commonly used.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converts monosodium glutamate to gammaaminobutyl acid in high yield, thereby converting monosodium glutamate added to food into gammaaminobutyl acid during fermentation,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monosodium glutamate Problems due to ingestion may not occur.
  • the spawn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glutamic acid or a salt thereof, preferably sodium glutamate or monosodium glutamate.
  • the seed composition may include a medium component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strain.
  • the invention provides a fermented food fermented by the fermenting starter or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Lactobacillus brevis F109- MD3, KACC91784P) strain.
  • the fermented food may be kimchi.
  • the fermented foods fermented with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gamma aminobutyl acid by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contained in a large amount in the fermented food
  • the gamma aminobutyl acid produced by the strain may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or ameliorating the symptoms caused by the lack of gamma aminobutyl acid in people suffering from extreme shortages of gammaaminobutyl acid concentrations in the body.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converts monosodium glutamate (MSG, monosodium glutamate) to gamma aminobutyl acid in high yield, so that the monosodium glutamate added to food can be converted to gamma aminobutyl acid during fermentation. Therefore, the problem due to the large intake of monosodium glutamate may not occur.
  • monosodium glutamate may be added together with the fermentation starter or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n the preparation of the fermented foo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gamma aminobutyl acid using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str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gamma aminobutyl acid produc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ulturing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And separating the gamma aminobutyl acid from the culture medium of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specifically, the culture medium in which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was cultured.
  • the culture includes all of the results obtained by culturing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n a culture medium, and specifically,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ulture solution, a concentrate of the culture solution, a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 the culture medium refers to a solid medium or a liquid medium containing nutrients necessary for growing animal cells, plant cells or bacteria, and the culture medium means the culture by inoculating a strain into the liquid medium.
  • the culture solution may be a culture filtrate containing a strain or a cell-free bactericidal bacteria after inoculation by inoculation with the strain.
  • the concentrate of the culture solution may be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by concentrating the culture solution, the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may be prepared by removing the moisture from the culture solution to dry matter.
  • the culture medium includes all culture mediums capable of culturing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and may be, for example, a medium for culturing lactic acid bacteria or an MRS medium.
  • the step of culturing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specifically the step of culturing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n a culture medium is carried out in a conventional method that can be cultured lactic acid bacteria, specifically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For example, but may be cultured using MRS medium at a temperature of 28 °C to 32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eparating the gamma aminobutyl acid may be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method of obtaining a material from a strain or a culture thereof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or example, a culture May be carried out by filtration or lyophilization.
  • the filtra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a conventional method of filtering the culture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ulture medium may be glutamic acid or its salt containing glutamic acid sodium salt.
  • the culture medium is monosodium glutamate (MSG, 0.5% (w / v) to 10% (w / v) or 1% (w / v) to 5 based on the total culture medium volume % (w / v) may be included.
  • the Lactobacillus brevis F109-MD3 strain is industrially converted to gamma aminobutyl acid after 72 hours of reaction in a medium having a high substrate content, that is, a sodium glutamate or monosodium glutamate content of 10% (w / v).
  • the conversion ability of gamma aminobutyl acid was 97.4%, so that it was possible to produce gamma aminobutyl acid in a very high yield, which is expected to be of great industrial significance.
  • gamma aminobutyl acid which is a highly functional substance,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related to gamma aminobutyl acid, including the food industry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Can b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되고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생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 스타터(starter), 상기 균주 발효시킨 발효식품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본 발명은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높은 생산수율로 생산할 수 있는 유산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감마아미노부틸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사람에 있어서는 신경계 및 혈액에서 발견되고, 뇌와 척추에 많이 존재하는 흥분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은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를 일으킬 수 있으며, 글루타민산이나 글라이신과 함께 포유류의 중추 신경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신경 전달 물질 중 하나인 흥분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은 중추신경계 전체 신경전달물질 중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은 동물의 경우 포유동물의 소뇌나 골수 또는 갑각류의 신경근 접합부에 많이 존재하고, 식물에서는 발아현미를 비롯한 발아곡류, 차, 황기, 뽕 등에 널리 존재하며, 홍국 중에도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대에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이 포유동물의 뇌신경조직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 발견되면서 뇌의 신경기능에 영양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후 감마아미노부틸산가 생체내에서 글루탐산으로부터 생합성되어 생성되는 것과 뇌의 혈류를 활발하게 하고 뇌의 산소공급량을 증진시킴으로서 뇌세포의 대사기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이 뇌 혈류개선, 뇌 대사증진 작용, 정신안정, 중풍 및 치매의 예방, 기억력증진, 불면증 개선과 같은 뇌 기능 개선 및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고혈압 예방, 이뇨작용, 간 기능개선 또는 비만개선 등의 효과가 연구되면서, 다양한 기능성을 바탕으로 의약품과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응용되고 있다. 일 예로,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은 뇌졸증 치료제로서 의약품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해 의약품이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감마아미노부틸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식물체가 함유하고 있는 감마아미노부틸산는 양이 많지 않아 순수한 감마아미노부틸산를 회수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식물 중에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발아현미, 구체적으로 발아현미의 배, 녹차 또는 뽕잎의 경우에도, 상기 식물의 섭취를 통하여 섭취될 수 있는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함량은 약리작용을 발휘하기에는 턱없이 낮아 자연적인 섭취로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리작용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지난 수년 동안 연구되어온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화학적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 감마아미노부틸산의 경우 식욕부진, 변비 또는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는 문제점이 있고, 발효 제법을 통한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산법의 경우 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식물내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서 보리맥아의 제조시 발아된 보리의 혐기적 처리법 또는 현미 발아시 글루탐산(glutamic acid) 첨가를 통하여 식물체내 감마아미노부틸산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효율과 수율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식물을 원재료로 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의 생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연구와 관련하여, 안전성의 측면에서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미생물인 유산균을 이용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다.
상기 유산균은 당류를 발효해서 50% 이상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유익한 미생물을 의미한다. 음식물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의 구강과 소화관, 토양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식품의 보존과 관능적 특성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 등을 수행하는 인간생활에 유익한 균주이다. 전 세계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유산균 함유 발효 식품으로 널리 식품으로 사용된 유산균은 GRAS 미생물로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한편, 김치는 특별한 지식 없이도 가정에서 누구나 전래의 보편적인 방법으로 제조 가능한 식품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삼국시대부터 발달한 한국의 대표적 전통발효식품으로 소금물에 절인 배추나 무 등의 채소류에 고춧가루, 파, 마늘 등의 양념류를 혼합하여 생활환경 주변에 존재하는 미생들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쳐 숙성되는 대표적인 한국의 발효식품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김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가 다수 발표되었으며, 일 예로 면역활성 증진 및 항암효과 등의 생리활성 기능이 밝혀지면서 영양공급 외에도 건강유지에 꼭 필요한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고, 신선한 야채를 열처리하지 않고 담그기 때문에 야채의 모든 영양소가 유지되어 유산균에게 좋은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산균의 함유량이 발효유제품에 비하여 놓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제품에 대해서 진행되어 왔으며, 오랜 역사에 비해 김치발효과정에 관여하는 유산균에 대해서는 최근에서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 연구와 관련해서 일 예로, 유산균,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스타터(starter)로 하여 만들어진 치즈와 유산균 발효유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가 생산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김치, 젖갈 또는 된장이나 청국장과 같은 콩 발효 식품 등의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성할 수 있는 균주가 분리된 것으로 알려 있다.
그러나, 아직은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효능 연구 또는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가 포함된 식품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산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활용 측면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균주를 이용한 대량생산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수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성능 즉, 글루탐산으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높은 수율로 전환할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산효율이 우수한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의 배양물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생산능이 우수한 균주, 구체적으로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이 우수한 유산균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김치로부터 분리되고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생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 구체적으로 글루탐산 나트륨염 또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을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능인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전환률이 97% 내지 100%인 균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 스타터(starter)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발효 스타터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식품은 김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를 배양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가 배양된 배양배지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배지는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은 글루탐산 나트륨염이 포함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양배지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가 전체 배양배지 부피를 기준으로 0.5%(w/v) 내지 10%(w/v)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다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방법, 구체적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과 관련하여, GRAS 미생물인 유산균 중에서 높은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을 갖는 유산균에 대해 연구하던 중, 김치, 구체적으로 전남지역에서 제조된 깍두기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으로부터 기존 보고된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을 가진 유산균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을 가진 유산균을 확인하였고, 추가 실험에 의하여 상기 균주가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가 배지 부피를 기준으로 1%(w/v) 및 5%(w/v) 포함된 배지에서 상기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 전량을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켜 감마아미노부틸산 전환능이 100%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배지 내에 글루탐산 나트륨염 또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의 함량이 10%(w/v)인 배지에서 72시간 반응시킨 결과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능인 감마아미노부틸산 전환률이 97.4%여서, 매우 높은 수율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산할 수 있어, 산업적인 의미가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기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에 속하는 균주임을 동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는 고효율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산할 수 있는 균주, 구체적으로 높은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 구체적으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가 첨가된 배지에서 97% 이상, 특정 조건에서는 100%의 전환율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산할 수 있는 높은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을 가지고, 고농도의 기질 즉, 고농도의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가 포함된 배지에서도 97% 이상의 높은 전환율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산할 수 있는 균주이므로, 자연상태에서 낮은 함량으로 식품 등에 포함되어 있으나, 고기능성을 갖는 물질인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활용에 이바지할 수 있으므로, 식품산업이나 의약산업을 포함한 감마아미노부틸산과 관련된 여러 산업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109-MD3 균주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한 사진으로, 도 1a는 F109-MD3 균주를 그램 염색하고 현미경(x1,000)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b는 F109-MD3 균주를 전자현미경(SEM, x20,000)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109-MD3 균주의 16S rRNA의 염기서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109-MD3 균주의 염기서열을 기초로 한 다른 세균(bacteria)과의 계통발생론적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준비예: 실험재료의 준비>
MRS 배지는 CRITERIONTM(SantaMari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Sodium L-glutamate(MSG)는 Yakuri Pure Chemicals Co.(일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γ-Aminobutyric acid standard, phenyl isothiocyanate(PITC, protein sequencing grade) 및 triethylamine(TEA, minimum 99%)는 Sigma Chemical Co.(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Acetonitrile 및 methanol는 Merck Chemical Co.(영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Ninhydrin monohydrate(99%)는 Alfa Aesar(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1: 유산균주의 분리 및 동정>
1-1. 김치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전국 각 지역에서 수집된 약 30 종류의 김치 중, 신선하고 맛이 좋은 깍두기를 선택하여, 상기 깍두기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다.
상기 균주는 상기 깍두기의 무게 10g을 측정한 후, 90 ml의 멸균수에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내용물 전체를 파쇄하여 10%(w/v) 농도의 시료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단계별로 희석(serial dilution)한 후, 탄산칼슘(CaCO3)이 0.5%(w/v) 포함된 MRS 배지(Difco Co., 프랑스) 배지에 분주하고, 30℃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균주 중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미생물인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그람 염색 테스트(Gram stain kit, BD Co., USA)와 과산화수소분해효소 시험(Catalase test kit, Biomrieus Co., 프랑스)을 수행하여, 그람양성이고, 카탈라아제 음성인 집락(colony)을 잠정적으로 유산균으로 분리하고, F109-MD3으로 명명하였다.
상기 잠정적으로 유산균으로 분리된 균주를 5 mL 액체 MRS 배지에 접종한 후, 30℃의 온도 조건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 중 배양배지의 pH를 pH 미터기(pH-200L, Istek Inc.,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배양된 F109-MD3는 25% glycerol stock을 만들어, 실험 수행 전까지 - 70℃에서 보관하였다.
1-2. 분리된 균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잠정적으로 유산균으로 분리된 F109-MD3 균주에 대해 상기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동정, 생화학적 동정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동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형태학적 동정은 상기 균주의 그람 염색여부 및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을 통한 형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유산균을 5 mL MRS 액체 배지에 한 콜로니를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이것의 0.1%를 새로운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본 배양하였다. 상기 내산성을 측정하기 위한 배지는 MRS 액체배지(pH 6.2)를 0.1 N HCl로 pH 2.0이 되도록 조절한 다음 감압살균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본 배양된 유산균 배양액 5 mL을 1,1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였다. 상기 유산균의 내산성을 1차적으로 선별하기 위해, 상기 회수된 균체에 동일한 부피의 MRS(pH 2.0)배지를 넣어 현탁시켜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존균수는 plate count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내담즙성은 상기 내산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0.5% oxgall이 들어 있는 MRS 액체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존균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방법에서 1차적 선별이 된 유산균은 장관 머무름 시간을 고려하여 2차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측정하였다. 본 배양이 완료된 유산균의 균체를 회수한 뒤, 동일한 부피의 pH 2.0으로 조절된 MRS 액체배지에 현탁하여 30℃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시 원심분리를 통해 균체를 회수하여 0.5% oxgall이 들어있는 MRS 배지에 현탁시켜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균수는 단계별 희석하여 MRS 고체배지에 분주하고 30℃에서 2일 동안 배양 후, 콜로니를 계수하였다. 상기 2차 내산성 및 내담즙성 측정결과, 일정 수 이상의 콜로니가 계수된 경우, 내담증성 또는 내산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상기 분석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는 양성 반응을 나타내거나 내성이 있는 경우이고, -는 음성반응을 나타내거나 내성이 없는 경우이다.
표 1
특 성 F109-MD3
Source 깍두기
형태(Morphology, Shape) 간균(rod)
그람염색(Gram-stain) 여부 +
Catalase test -
pH 4.81±0.03
Acid tolerance +
Bile tolerance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F109-MD3 균주는 간균으로 그람염색이 되어 그람양성이며, 카탈라제 활성이 없고, 배양배지의 pH가 약 pH 4.81인 산성으로 상기 형태학적 특징은 유산균에 해당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상기 생화학 동정은 API 키트를 이용하여 상기 균주의 당대사능을 확인하고, 다른 유산균 균주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분석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는 양성 반응, -는 음성반응, V는 variable, D는 반응이 지연된 것을 나타낸다. 하기 표 2의 Lactobacillus brevis NCL912(Annals of Microbiology, 58(4), 649-653(2008)), Lactobacillus brevis YSM-1(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6(1), 68-76(2006) 및 Lactobacillus brevis KLDS1.0355(Journal of Shandong University (Natural Science), 43(7), 1-7(2008))의 결과는 공지된 결과로부터 수득된 것이다.
표 2
Substrate Strain
Lb.brevisF109-MD3 Lb.brevisNCL912 Lb.brevisYSM-1 Lb.brevisATCC14869 Lb.brevisKLDSI.0355
Control - - -
Glycerol - - -
Erythritol - - -
D-Arabinose - - +
L-Arabinose + + + + +
Ribose + + + + +
D-Xylose + + + + +
L-Xylose - - +
Adonitol - - -
MD-Xyloside - - -
Galactose + + + + +
Glucose + + + + +
Fructose + + + D +
Mannose - + - -
Sorbose - - -
Rhamnose - - -
Dulcitol - - -
Inositol - - -
Mannitol D - - -
Sorbitol - - - -
a Methyl-D-mannoside - - -
a Methyl-D-glucoside - + - - -
N-Acetyl glucosamine D + - D +
Amygdalin - - - -
Arbutin - - + -
Esculin + - - +
Salicin - - - -
Cellobiose - - + -
Maltose + + + - +
Lactose - - - -
Malibiose - + + - +
Sucrose - + - -
Trehalose - - - -
Inulin - - -
Melezitose - - - -
Raffinose - + - -
Amidon - - -
Glydogen - - -
Xylitol - - -
Gentiobiose - - - -
D-Turanose - - - -
D-Lyxose - - -
D-Fucose - - -
L-Fucose - - -
D-Arabitol - + - -
L-Arabitol - - -
Gluconate D + + V -
2-keto-gluconate V - -
5-keto-gluconate D - - -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F109-MD3 균주는 만니톨(Mannitol), 에스큘린(esculin) L-아라비노스(L-arabinose), 리보스(Ribose), D-자일로스(D-xylose), 갈락토스(galactose), 글루코스(glucose), 과당(fructose) 및 말토스(maltose) 등을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당대사능이 공지의 다른 Lactobacillus brevis 균주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상기 형태학적 검토 및 생화학적 검토에 의해 유산균으로 검토된 상기 F109-MD3 균주에 대하여 최종적인 동정을 위하여 분리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알려진 균주들과 비교하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동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F109-MD3의 genomic DNA 추출은 Genome DNA kit(Q-Biogene,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상기 추출된 genomic DNA 추출은 16s rDNA 증폭용 프라이머(primer)인 27F 프라이머(Forward primer)와 1492R 프라이머(Reverse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서열을 확인하였으며, 확인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확인된 총 1,411bp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기초로 상동성 분석을 수행하여, 다른 세균과의 계통발생론적 관계를 확인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F109-MD3 균주는 Lactobacillus brevis M58810(ATCC 14869T)와 99% 상동성을 나타내어 최종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라 명명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 34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3년 02월 06일자로 기탁하여, 2013년 2월 20일 자로 수탁번호 KACC91784P를 부여 받았다.
<실시예2: GABA 생성능 확인 >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 및 동정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의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우선,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의 함량을 달리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을 전환시켜 생산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측정하여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MRS 배지에 배지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를 각각 1%(w/v), 5%(w/v), 7.5%(w/v) 및 10%(w/v) 첨가한 각각의 배지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접종하고, 30℃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24시간시간 별로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배지에 포함된 감마아미노부틸산량을 HPLC법으로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각각의 함량으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후, 배양배지를 4℃ 및 10,000 x g의 조건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high speed centrifuge Supra 22K, 한일과학, 대한민국)하였다. 상기 원심분리를 통해 수득한 여액(supernant)은 PITC를 이용해서 유도(derivatiz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F109-MD3 균주는 만니톨(Mannitol), 에스큘린(esculin) L-아라비노스(L-arabinose), 리보스(Ribose), D-자일로스(D-xylose), 갈락토스(galactose), 글루코스(glucose), 과당(fructose) 및 말토스(maltose) 등을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당대사능이 공지의 다른 Lactobacillus brevis 균주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상기 형태학적 검토 및 생화학적 검토에 의해 유산균으로 검토된 상기 F109-MD3 균주에 대하여 최종적인 동정을 위하여 분리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알려진 균주들과 비교하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동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F109-MD3의 genomic DNA 추출은 Genome DNA kit(Q-Biogene,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상기 추출된 genomic DNA 추출은 16s rDNA 증폭용 프라이머(primer)인 27F 프라이머(Forward primer)와 1492R 프라이머(Reverse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서열을 확인하였으며, 확인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확인된 총 1,411bp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기초로 상동성 분석을 수행하여, 다른 세균과의 계통발생론적 관계를 확인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F109-MD3 균주는 Lactobacillus brevis M58810(ATCC 14869T)와 99% 상동성을 나타내어 최종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라 명명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 34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3년 02월 06일자로 기탁하여, 2013년 2월 20일 자로 수탁번호 KACC91784P를 부여 받았다.
<실시예2: GABA 생성능 확인 >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 및 동정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의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우선,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의 함량을 달리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을 전환시켜 생산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측정하여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MRS 배지에 배지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를 각각 1%(w/v), 5%(w/v), 7.5%(w/v) 및 10%(w/v) 첨가한 각각의 배지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접종하고, 30℃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24시간시간 별로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배지에 포함된 감마아미노부틸산량을 HPLC법으로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각각의 함량으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후, 배양배지를 4℃ 및 10,000 x g의 조건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high speed centrifuge Supra 22K, 한일과학, 대한민국)하였다. 상기 원심분리를 통해 수득한 여액(supernant)은 PITC를 이용해서 유도(derivatized)하여, 0.45 μm 필터(Whatman, 영국)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에 포함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측정하기 위하여, HPLC를 수행하였다.
상기 HPLC는 Shimadzu 계측기(Shimadzu Corp, 일본)와 C18(2) column(250×4.6 mm I.D., particle size 5 μm, Phenomenex® Luna, USA)을 이용하여 46℃에서 수행하였고, UV 감지기를 이용하여 254 nm에서 측정하였다. 용매 A는 1.4 mM sodium acetate, 0.1% TEA 및 6% Acetonitrile을 포함하도록 조성하였고, pH는 아세트산을 이용해서 pH 6.1로 적정하였다. 용매 B는 60% Acetonitrile을 포함하도록 조성하였다. 유량은 1.0 mL/min로 하였고, 용매 B의 농도 구배를 0 내지 100%로 선형증가 시키면서 20분간 컬럼에 용출시켰다.
상기 측정결과로부터 GABA 전환율(conversion rate) 즉,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량은 하기 계산식으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계산식의 MS0는 첨가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의 농도(mM)이고, Ms는 배양된 배지에 포함되어 있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의 농도(mM) 이다.
[계산식]
GABA 전환율(%) = (MS0 - Ms) / MS0 × 100
표 3
초기 MSG 양(%) 균주 GABA 전환률(%)
24 hours 48 hours 72 hours
1 F109-MD3 99.2 100 -
5 F109-MD3 63.7 98.0 10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초기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의 양에 따라서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하는 시간에만 차이가 있을 뿐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을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100 %의 전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MRS 배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를 각각 1%(w/v), 5%(w/v), 7.5%(w/v) 및 10%(w/v) 첨가한 각각의 배지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접종하고, 30℃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24시간시간 별로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배지에 포함된 감마아미노부틸산량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을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100% 전환할 수 있는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기존 종래 공지 균주와 비교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의 Lactobacillus brevis BH2(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12, 707-712(2007)), Lactobacillus brevis NCL 9121(Annals of Microbiology, 58(4), 649-653(2008)) 및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Food Microbiology, 22, 497-504(2005))의 결과는 공지된 결과로부터 수득된 것이다.
표 4
균주 초기MSG 양(%) 반응시간(h) GABA 생산량(mM) 전환률(%)
Lb. brevis F109-MD3 1 24 53 99.2
48 53.4 100
5 48 261.9 98.0
72 267 100.0
7.5 72 398 99.3
10 72 520 97.4
Lb. brevis BH2 5 48 194 73
Lb. brevis NCL912 3 48 149.05 93
Lb. paracaseiNFRI 7415 9.4 150 302 60.4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다른 균주와 달리 현저하게 우수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 전환능 즉,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을 가지며, 상기 생산속도도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동종의 균주와 비교하여 Lactobacillus brevis BH2에 비해서는 동일한 시간인 48시간 반응 시 약 15% 정도 더 높은 전환률이 확인되었고, Lactobacillus brevis NCL 9121과 비교해서도 동일한 시간인 48시간을 반응시킨 결과, 더 높은 생산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과 관련하여 현재 산업적 사용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Food Microbiology, 22, 497-504(2005))의 경우와 비교해서도, 초기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의 함량이 높은 범위에서도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은 약 60% 정도의 전환율을 나타낸 반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초기 모노소디움의 함량이 더 높은 10%의 범위에서도 Lactobacillus paracasei NFRI 7415 반응시간의 절반인 72시간 만에 약 97.4%의 높은 전환율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경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 전환능 즉,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량과 관련하여, 높은 기질 함량 즉, 높은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 함량의 배지에서도 짧은 시간 안에 높은 수율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산할 수 있는 균주임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물이란 특정미생물을 배양배지 또는 배양액에서 배양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배양물은 상기 특정 미생물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않고, 일 예로 액체 또는 고체 일 수 있다. 상기 배양배지란 동물세포나 식물세포 또는 세균 따위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들어있는 고체 또는 액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액이란 액체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액은 균주를 포함하는 것 또는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후, 제균 즉 균주를 제거(cell-free)한 배양여액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액의 농축액이란 상기 배양액을 농축한 것을 말하고, 배양액의 건조물이란 상기 배양액의 물기를 없앤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효용 스타터(stater)란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 또는 세균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이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제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용 스타터는 발효식품 등의 생산 시 첨가하여 발효식품에서 생장할 수 있는 미생물 또는 우점종으로 생장할 수 있는 미생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발효용 스타터를 사용하여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발효용 스타터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식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조절하거나, 발효의 속도 또는 단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정한 목적을 달성한 발효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균이란 발효에 이용되는 미생물로서, 발효를 위하여 기질 또는 식품에 접종되는 미생물을 의미하고, 종균 조성물이란 발효를 개시하는데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접종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규,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발효식품, 기능성 식품 및 가공식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효식품이란 유산균이나 효소 등 미생물을 한가지 또는 둘 이상 첨가하고 상기 미생물의 발효 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식품을 의미하며, 상세하게는 식품 기재에 발효식품용 종균을 첨가하고 숙성시켜 제조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식품으로는 주류, 빵류, 김치, 젓갈, 된장, 간장,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 비살균 개방형 발효식품 모두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김치란 무, 배추, 오이 등과 같은 채소를 소금에 절이고, 고추, 파, 마늘, 생강 등 여러 가지 양념을 버무려 담근 채소의 염장 발효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는 배추를 이용한 것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능이 우수한 유산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되고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생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 구체적으로 글루탐산 나트륨염 또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을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능인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전환률이 97% 내지 100%인 균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산업적 활용이란 측면에서, 배지 내에 글루탐산 나트륨염 또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의 함량이 10%(w/v)인 배지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능인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전환률이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7%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 34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3년 02월 06일자로 기탁하여, 2013년 2월 20일 자로 수탁번호 KACC91784P를 부여 받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하기와 같은 균학적 성질을 갖는 균주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김치, 구체적으로 깍두기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으로, 그람 양성(Gram-positive)의 막대형인 간균(rod)이고, MRS 배지에서 배양 시 배양배지의 pH로부터 확인한 최적 생육 pH는 pH 4.78 내지 pH 4.84이며, 내산성(acid tolerance) 및 내담즙성(acid tolerance)을 가진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당 대사능을 확인한 결과, 만니톨(Mannitol), 에스큘린(esculin), 2-케토글루코네이트(2 keto-gluconate), 5-케토글루코네이트(5 keto-gluconate), L-아라비노스(L-arabinose), 리보스(Ribose), D-자일로스(D-xylose), 갈락토스(galactose), 글루코스(glucose), 과당(fructose) 및 말토스(maltose)를 이용가능한 것 즉, 상기 당에 대한 당대사능을 가진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은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억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신경계에서 신경흥분을 조절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인간의 경우 감마아미노부틸산에 의해 근육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는 척추동물에서 뇌의 억제 시냅스의 원형질 막 안의 수용기에 결속되고, 이로 인해 세포의 이온통로를 열어 음전하로 하전된 염소이온을 들이며, 양전하로 하전된 칼륨 이온을 배출하기도 한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은 성장한 척추동물의 수용기에서 억제작용을 하고, 전체 분비선의 자극에도 영향을 미치며, 포유류의 두뇌의 해마와 피질에 주요한 자극을 주어 글루타민산염 시냅스가 성장할 때까지 두뇌의 많은 부위의 주요 자극물질이 된다. 또한, 성장단계에서 시냅스간 연결구조에 앞서 감마아미노부틸산이 신경에 합성되어 각각의 동일한 세포와 가까운 세포간 신호조정자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은 신경조세포의 확산, 이동, 분화, 신경돌기의 연장 및 시냅스 형성에 기여하고, 배아줄기세포와 신경줄기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며, 뇌신경자극 유도인자를 거쳐 신경조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식품 또는 약품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경우 뇌세포 대사촉진, 뇌 혈류 개선, 체내 산소 공금 증가, 간기능 개선,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 변비의 완화, 혈압 강하, 신경의 안정, 신장 및 간장의 기능 활성화, 스트레스 해소, 빈혈 및 대장암의 예방, 불면 해소, 기억력 증가, 우울증 완화, 중풍 및 치매 예방, 알코올대사 촉진, 갱년기 장애 및 초기노화 개선, 정신장애 개선, 불안해소 및 항우울 해소와 같은 질환에 대한 치료,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감마아미노부틸산은 상기 균주 자체와 혼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식품제조분야, 사료제조분야 등에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고, 체내 감마아미노부틸산 농도의 극심한 부족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 의 부족으로 인한 증세의 완화 내지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된 결과로부터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산능력이 다른 균주보다 우수하여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산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고 있어 복용을 통하여 인체 내에서 즉, 장 내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균활성제 또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probiotics)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양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배양배지에서 배양한 결과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에 대하여는 상기의 기재와 같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 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유효성분은 식품류, 음료, 건강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의 제조 시 원료 물질에 첨가되거나 조리된 식품에 적절히 혼합하는 방법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와 함께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목적 및 사용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항균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일 예로 발효식품, 건강식품 또는 음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효식품이란 유산균이나 효모 등 미생물을 한 가지 또는 둘 이상 첨가하고 상기 미생물의 발효 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식품을 의미하며, 상세하게는 식품 기재에 발효식품용 종균을 첨가하고 숙성시켜 제조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식품으로는 주류, 빵류, 김치, 젖갈, 된장, 간장,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 비살균 개방형 발효식품 모두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김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은 발효식품용 종균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김치의 종균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종균의 사용량은 발효식품의 종류 및 종균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상기 균주는 식품 주재료 100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부(습윤 중량부)로 첨가 즉, 접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고 주류, 청량음료, 물, 시럽, 차, 커피, 과실음료 등이 이에 해당되며 유산균 음료를 포함한다. 유산균 음료란 유산균을 배양하여 유산발효시킨 것에 살균수를 가해서 희석하고 당분, 향료 등을 가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생균활성제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감마아미노부틸산는 상기 균주 자체와 혼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식품 조성물로 포함하여 섭취하는 경우 체내 감마아미노부틸산 농도의 극심한 부족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부족으로 인한 증세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는 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것이므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발효식품의 종균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발효 스타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 스타터(starter)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효용 스타터를 발효식품의 생산 시 첨가하여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발효용 스타터에 포함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의하여 발효식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스타터의 첨가량 또는 초기 균수에 의하여 발효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용 스타터를 발효식품, 바람직하게는 김치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에 의해 김치의 발효 과정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이 생산되어 축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발효용 스타터에 의해 제조된 발효식품, 바람직하게는 김치는 기존 발효식품에 비하여 다량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을 포함한 발효식품일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스타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높은 수율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을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켜, 음식에 첨가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를 발효 과정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의 다량 섭취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발효용 스타터는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글루탐산 나트륨염 또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을 더욱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발효용 스타터는 균주의 생육에 필요한 배지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식품 제조용 종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효식품은 김치일 수 있고,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종균 조성물은 김치 제조용 종균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종균 조성물을 발효식품의 생산 시 첨가하여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종균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에 의해 발효식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종균 조성물의 첨가량 또는 초기 균수에 의하여 발효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균 조성물을 발효식품 제조, 구체적으로 김치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종균 조성물 내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에 의해 김치의 발효 과정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이 생산되어 축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발효용 스타터에 의해 제조된 발효식품, 바람직하게는 김치는 기존 발효식품에 비하여 다량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을 포함한 발효식품일 수 있다.
상기 종균 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높은 수율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를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켜, 음식에 첨가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를 발효 과정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의 다량 섭취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종균 조성물은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글루탐산 나트륨염 또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종균 조성물은 균주의 생육에 필요한 배지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스타터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식품은 김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로 발효된 발효식품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에 의해 감마아미노부틸산이 다량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발효식품에 다량 함유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가 생산하는 감마아미노부틸산는 체내 감마아미노부틸산 농도의 극심한 부족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부족으로 인한 증세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높은 수율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을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켜, 음식에 첨가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을 발효 과정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의 다량 섭취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발효식품의 제조과정에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을 상기 발효 스타터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와 함께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의 배양물,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가 배양된 배양배지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배양배지에서 배양한 결과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배양배지란 동물세포, 식물세포 또는 세균 따위를 기르는데 필요한 영양소가 들어있는 고체배지 또는 액체배지를 의미하고, 배양액이란 액체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액은 균주를 포함하는 것 또는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후 제균 즉 균주를 제거(cell-free)한 배양여액 일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은 상기 배양액을 농축시켜 농도를 높인 것 일 수 있고,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은 상기 배양액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물로 제조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배양배지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배양할 수 있는 모든 배양배지를 포함하고, 일 예로 유산균 배양을 위한 배지 또는 MRS 배지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배양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는 유산균,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배양할 수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일 예로 28℃ 내지 32℃의 온도조건에서 MRS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 분리하는 단계 즉,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수득하는 단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물질을 수득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일 예로 배양물을 여과 또는 동결건조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배양액을 여과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을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배양배지는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은 글루탐산 나트륨염이 포함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양배지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가 전체 배양배지 부피를 기준으로 0.5%(w/v) 내지 10%(w/v) 또는 1%(w/v) 내지 5%(w/v)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는 산업적인 측면에서 높은 기질 함량 즉, 글루탐산 나트륨염 또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의 함량이 10%(w/v)인 배지에서 72시간 반응시킨 결과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능인 감마아미노부틸산 전환률이 97.4%여서, 매우 높은 수율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산할 수 있어, 산업적인 의미가 매우 큰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 균주를 이용하여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산업적 의미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자연상태에서 낮은 함량으로 식품 등에 포함되어 있으나, 고기능성을 갖는 물질인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활용에 이바지하여, 식품산업이나 의약산업을 포함한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과 관련된 여러 산업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김치로부터 분리되고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생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는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을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능인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전환률이 97% 내지 100%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은 글루탐산 나트륨염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4.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5.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 스타터(starter).
  6.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김치인 발효식품.
  8.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를 배양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F109-MD3(Lactobacillus brevis F109-MD3, KACC91784P) 균주가 배양된 배양배지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배지는 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이 포함된 것인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배지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SG, monosodium glutamate)가 전체 배양배지 부피를 기준으로 0.5%(w/v) 내지 10 %(w/v) 포함된 것인 감마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
PCT/KR2013/011782 2013-06-24 2013-12-18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WO201420884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42A KR20150000372A (ko) 2013-06-24 2013-06-24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KR10-2013-0072742 2013-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848A1 true WO2014208848A1 (ko) 2014-12-31

Family

ID=5214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1782 WO2014208848A1 (ko) 2013-06-24 2013-12-18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00372A (ko)
WO (1) WO201420884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879B1 (ko) * 2017-03-13 2017-12-20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Gaba를 이용한 에리스로포이에틴 증진 방법
CN109315493A (zh) * 2018-11-19 2019-02-12 徐州工程学院 一种发酵鹰嘴豆乳产gaba单因素实验及响应面法优化方法
CN110982855A (zh) * 2019-11-13 2020-04-10 南昌大学 一种高效合成γ-氨基丁酸的生物转化方法
CN112300955A (zh) * 2019-07-29 2021-02-02 台湾中油股份有限公司 一种γ-胺基丁酸高产乳酸菌株及应用
CN114933989A (zh) * 2022-05-18 2022-08-23 四川生力源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植物乳杆菌及其发酵培养基与一种富含γ-氨基丁酸的桑叶茶及其制备方法
CN115074290A (zh) * 2022-07-06 2022-09-20 福建生物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联产苯乳酸和γ-氨基丁酸的干酪乳杆菌及其应用
CN115968988A (zh) * 2022-12-20 2023-04-18 合肥中科健康生物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发酵荔枝汁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141B1 (ko) * 2022-12-26 2023-07-25 김미진 가바(gaba) 함유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바 함유 발효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075A (ja) * 1999-01-21 2000-08-02 Taiyo Corp γ―アミノ酪酸高生産能を有する乳酸菌、及びその乳酸菌を使用したγ―アミノ酪酸高含有発酵食品とその製造法。
KR20040069437A (ko) * 2003-01-29 2004-08-06 변유량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KR20060058225A (ko) * 2004-11-24 2006-05-3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y-1 균주 및 이 균주를함유한 발효유
KR100631857B1 (ko) * 2004-07-15 2006-10-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고생산성 균주인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오피케이-3
JP2006314207A (ja) * 2005-05-10 2006-11-24 Otsuka Shokuhin Kk 乳酸菌および茶飲料の製造方法
KR20120007917A (ko) * 2010-07-15 2012-01-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KR20120072562A (ko) * 2010-12-24 2012-07-04 한국화학연구원 락토바실러스 균주 또는 재조합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글루탐산나트륨으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075A (ja) * 1999-01-21 2000-08-02 Taiyo Corp γ―アミノ酪酸高生産能を有する乳酸菌、及びその乳酸菌を使用したγ―アミノ酪酸高含有発酵食品とその製造法。
KR20040069437A (ko) * 2003-01-29 2004-08-06 변유량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KR100631857B1 (ko) * 2004-07-15 2006-10-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고생산성 균주인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오피케이-3
KR20060058225A (ko) * 2004-11-24 2006-05-3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opy-1 균주 및 이 균주를함유한 발효유
JP2006314207A (ja) * 2005-05-10 2006-11-24 Otsuka Shokuhin Kk 乳酸菌および茶飲料の製造方法
KR20120007917A (ko) * 2010-07-15 2012-01-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KR20120072562A (ko) * 2010-12-24 2012-07-04 한국화학연구원 락토바실러스 균주 또는 재조합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글루탐산나트륨으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MIN-JU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 55, no. 6, 31 December 2012 (2012-12-31), pages 777 - 785 *
SHIN, JI-WON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AML15 Producing gamma-Aminobutyric Acid", JOURNAL OF LIFE SCIENCE, vol. 17, no. 7, 2007, pages 970 - 975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879B1 (ko) * 2017-03-13 2017-12-20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Gaba를 이용한 에리스로포이에틴 증진 방법
CN109315493A (zh) * 2018-11-19 2019-02-12 徐州工程学院 一种发酵鹰嘴豆乳产gaba单因素实验及响应面法优化方法
CN112300955A (zh) * 2019-07-29 2021-02-02 台湾中油股份有限公司 一种γ-胺基丁酸高产乳酸菌株及应用
CN110982855A (zh) * 2019-11-13 2020-04-10 南昌大学 一种高效合成γ-氨基丁酸的生物转化方法
CN110982855B (zh) * 2019-11-13 2022-10-11 南昌大学 一种合成γ-氨基丁酸的生物转化方法
CN114933989A (zh) * 2022-05-18 2022-08-23 四川生力源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植物乳杆菌及其发酵培养基与一种富含γ-氨基丁酸的桑叶茶及其制备方法
CN115074290A (zh) * 2022-07-06 2022-09-20 福建生物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联产苯乳酸和γ-氨基丁酸的干酪乳杆菌及其应用
CN115968988A (zh) * 2022-12-20 2023-04-18 合肥中科健康生物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发酵荔枝汁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72A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208848A1 (ko)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KR102134209B1 (ko) 효소 생산능이 우수한 전통 발효식품 유래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곡물 발효 효소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8744B1 (ko) 면역증강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소화액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7 균주 및 그의 용도
TWI551684B (zh) Swiss lactic acid bacteria with high proteolytic activity
KR101271379B1 (ko) 와인 발효 모로미 유래의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유산균
US11634685B2 (en) Sporichthyaceae microorganism and use thereof
EA030356B1 (ru) Штамм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animalis
TW201927316A (zh) 具有體力提升作用及抗疲勞作用中一種以上作用的組成物
KR20230095039A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101589026B1 (ko) 바이오제닉 아민은 생산하지 않고,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j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70016253A (ko)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s1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05747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WO2024071624A1 (ko) 키위 발효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30107940A (ko) 발효 홍삼 제조방법
KR102005617B1 (ko) 항콜레스테롤 활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f.m.b #3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7630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2050015B1 (ko) 유산균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0631857B1 (ko)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고생산성 균주인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오피케이-3
KR20140087518A (ko)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배양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118568A (ko)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KR100609779B1 (ko)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젖산균
KR102198827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46331A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면역증강 활성을 증가시키는 배양 방법
KR102221579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87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87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