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827B1 -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827B1
KR102198827B1 KR1020200092418A KR20200092418A KR102198827B1 KR 102198827 B1 KR102198827 B1 KR 102198827B1 KR 1020200092418 A KR1020200092418 A KR 1020200092418A KR 20200092418 A KR20200092418 A KR 20200092418A KR 102198827 B1 KR102198827 B1 KR 10219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activity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아
이나경
한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부트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부트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부트라이프
Priority to KR102020009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C12R1/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NOVEL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OBESIT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보다 복잡한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불규칙한 식생활의 변화, 부족한 운동량, 과중한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인체 내 자유 유기 히드로포록사이드,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시 라디칼, 수퍼 옥사이드, 일산화 질소와 같은 독성 활성 산소종(ROS)에 이끄는 프로 산화제와 항산화 제의 불균형에 의해 야기 되어 노화를 촉진하고 인체의 염증 유발하거나 여러 가지 질병에 취약하게 면역력 감소를 가져오며 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생체 내에서 에너지 공급을 위해서 생화학적 반응이 끊임없이 발생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은 기본적으로 자기방어 기구인 생체 내 기작에 의해 대부분 소멸되지만, 조직의 방어능을 넘어선 활성산소 및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의 생성은 성인병 및 순환기 장애뿐만 아니라 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과산화물은 인체 내에 존재하는 지질 중 특히 불포화 지방산에서 쉽게 발생하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촉진되어진다.
이처럼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로 인하여 몸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물질을 항산화제(antioxidants)라고 하는데 항산화제를 약물로서 복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장기간 노출 될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비만은 체지방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체내에 축적되면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합병증 발생을 높이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 19세 이상 성인비만 유병율이 2005년 31.3%에서 2016년 34.8%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체질량 3.0 이상의 고도비만인구의 경우 2003년 3.5%에서 2015년 5.3%로 증가하였으며 2030년에는 9.0%로 전망하고 있다.
지방세포 분화 억제 관련된 기전으로 지방세포는 전구세포(preadipocyte)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되고, 지방세포에서 지방합성이 증가하면서 성숙된 지방세포로 변화되어 지방조직이 증가하므로 지방세포 분화(adipogenesis)와 지방세포 내 지방합성(lipogenesis)을 억제하면 체지방 축적 감소가 가능하다. 지방 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감소하는 전사인자들(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PPA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C/EBPα), sterol-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REBP) 등)의 발현을 억제하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체지방 합성에 관련된 효소들의 활성이나 발현을 억제하므로 체지방 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적당한 양을 섭취 시, 숙주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위를 거쳐 장에 도달하여 장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항산화, 면역조절능, 콜레스테롤 저하능, 항당뇨, 항비만 효능들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기능성은 균주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Lee N.K., Han K.J., Son S.H., Eom S.J., Lee S.K., Paik H.D. (2015) Multifunctional effect of probiotic Lactococcus lactis KC24 isolated from cucumber jangajji.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64: 1036-1041.
본 발명은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제공한다.
상기 체지방 감소 활성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또는 지방산 합성 억제를 통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하기 ⅰ) 내지 ⅳ)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ⅰ)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부착능;
ⅱ) β-글루쿠로니다아제(β-Glucuronidase) 활성 억제; 및 류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e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lamidase),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β-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및 N-아세틸-β-글루코사미니다아제(β-Glucosaminidase) 활성 증가;
ⅲ) 암피실린(Ampicillin) 및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및
ⅳ) 항산화 활성.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을 코딩하는 DNA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생균체, 사균체 또는 배양여액일 수 있다.
상기 균주가 사균체인 경우, 상기 균주를 30℃ 내지 40℃에서 10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배양한 후, 7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사균체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균주(KCCM 12212P)는 안정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는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활용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균주(KCCM 12212P)는 항산화 활성이 특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분화 억제 또는 지방산 합성 억제를 통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므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계통도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a) 내지 (c)는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지방산 산화 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의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여부를 나타낸 그래프(LGG, L. rhamnosus GG; KU15117, L. plantarum KU15117)이다.
도 4(a) 및 (b)는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지방구 감소 여부를 관찰하여 나타낸 사진(ⅰ, Negative control; ⅱ, Positive control; ⅲ, L. rhamnosus GG 1×108 CFU/mL;ⅳ, L. plantarum KU1511710 1×108 CFU/mL;ⅴ, L. rhamnosus GG 1×109 CFU/mL; ⅵ, L. plantarum KU15117 1×109 CFU/mL) 및 그래프(NC, Negative control; PC, Positive control; LGG, L. rhamnosus GG; KU15117, L. plantarum KU15117)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감소 여부를 나타낸 그래프(NC, Negative control; PC, Positive control; LGG, L. rhamnosus GG; KU15117, L. plantarum KU15117)이다.
도 6(a) 내지 (c)는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체지방 감소 관련 유전자 발현 감소 여부를 나타낸 그래프(NC, Negative control; PC, Positive control; LGG, L. rhamnosus GG; KU15117, L. plantarum KU15117)이고, 도 6(d)는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체지방 감소 관련 단백질 함량 감소 여부를 나타낸 사진(NC, Negative control; PC, Positive control; LGG-8, L. rhamnosus GG 1×108 CFU/mL; LGG-9, L. rhamnosus GG 1×109 CFU/mL; 117-8, L. plantarum KU15117 1×108 CFU/mL; 117-9, L. plantarum KU15117 1×109 CFU/mL)이다.
본 발명자들은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깍두기 김치로부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분리 및 동정한 후, 이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안정성 및 안전성)을 검증하고, 항산화 및 체지방 감소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의 아종으로 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그람양성의 간균으로 약간의 호기성을 띄는 균주로 자연계에서 가장 분포가 넓은 유산균 중 하나이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정상 유산 발효를 하며 대표적인 김치 유산균으로서 아라비노스, 글루코스, 프럭토스, 갈락토스, 말토스, 슈크로스, 덱스트란 등을 발효하여 젖산을 생성한다. 주로 유제품이나 피클이나 김치와 같은 침채류, 토마토 등에서 분리되며 특히 김치의 발효 후기에 김치의 발효가 많이 되어 신맛이 날 때 주로 생장하여 우점하게 되면서 다른 종의 생육을 억제하는 균으로 통상적으로 내산성 및 내답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균주(KCCM 12212P)의 계통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깍두기 김치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상기 분리된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16S rRNA 서열을 분석한 결과, 상기 균주(KCCM 12212P)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을 코딩하는 DNA서열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며, 2018년 1월 17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CM 12212P를 부여받았다.
상기 균주(KCCM 12212P)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중에서도 우수한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지방 감소 활성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또는 지방산 합성 억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방세포 분화 억제 여부는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지방구 감소 여부를 확인하거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감소 여부를 측정하거나, C/EBPα 및 PPARγ 등 지방세포 분화 억제 관련 유전자 발현 조사 및 단백질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방산 합성 억제 여부는 Fatty acid synthase(FAS) 등 지방산 합성 억제 관련 유전자 발현 조사 및 단백질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상기 균주(KCCM 12212P)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활용가능하기 위해, 안정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균주(KCCM 12212P)는 하기 ⅰ) 내지 ⅳ)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ⅰ)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부착능;
ⅱ) β-글루쿠로니다아제(β-Glucuronidase) 활성 억제; 및 류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e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lamidase),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β-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및 N-아세틸-β-글루코사미니다아제(β-Glucosaminidase) 활성 증가;
ⅲ) 암피실린(Ampicillin) 및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및
ⅳ) 항산화 활성.
상기 ⅰ)에서 내산성은 pH 2.5 조건에서 3시간 반응시, 상기 균주(KCCM 12212P)의 생존율이 95% 이상일 수 있고, 내답즙성은 0.3%(w/v) oxgall 조건에서 24시간 반응시, 상기 균주(KCCM 12212P)의 생존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ⅱ)에서 β-글루쿠로니다아제(β-Glucuronidase) 활성 억제를 통해, 생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류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e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lamidase),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β-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및 N-아세틸-β-글루코사미니다아제(β-Glucosaminidase) 활성 증가를 통해, 유용 물질을 생산함으로써 유용 물질의 생물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ⅲ)에서 암피실린(Ampicillin) 및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가지는바,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전이에 따른 우려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ⅳ)에서 항산화 활성은 유리라디칼 모델인 DPPH, ABTS+에서 라디칼 소거능 평가를 통해, 또는 지방산 산화 모델인 β-carotene에서 표백 억제능 평가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 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균주(KCCM 12212P)는 생균체, 사균체 또는 배양여액인 것일 수 있는데, 사균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내 "사균체"라 함은 균주를 배양한 생균체의 열처리를 통해 제조되는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균주의 활성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한 형태로서, 세포질, 박테리오신 등의 항균 활성 물질, 유기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균체는 상기 균주(KCCM 12212P)를 30℃ 내지 40℃에서 10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배양한 후, 7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사균체는 생균체 대비, 항산화 및 체지방 감소 활성이 더욱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유통의 편리성 및 품질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그 유통기한이 월등히 연장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균주(KCCM 12212P)의 용량은 1×106 CFU/mL 내지 1×1010 CFU/mL일 수 있고, 1×109 CFU/mL 내지 1×1010 CFU/m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균주(KCCM 12212P)의 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해당 활성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균주(KCCM 12212P)의 용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독성의 우려사항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제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할 수 있고, 제형화를 위하여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게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상기 균주(KCCM 12212P)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1일 0.0001 내지 2,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 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균주(KCCM 12212P)는 생균체, 사균체 또는 배양여액인 것일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사균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KCCM 12212P)의 용량은 1×106 CFU/mL 내지 1×1010 CFU/mL일 수 있고, 1×109 CFU/mL 내지 1×1010 CFU/m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균주(KCCM 12212P)의 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해당 활성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균주(KCCM 12212P)의 용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독성의 우려사항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균주(KCCM 12212P)를 건강기능식품의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예방, 건강 또는 치료 등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균주(KCCM 12212P)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밖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용 스타터, 종균 조성물 또는 발효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균주(KCCM 12212P)는 안정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는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활용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균주(KCCM 12212P)는 항산화 활성이 특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분화 억제 또는 지방산 합성 억제를 통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므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 분리 및 동정
신규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깍두기 김치 국물을 샘플링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깍두기 김치 국물을 열처리(80℃, 30 분)하고, 10배 희석법을 사용하여 TSA 한천 배지에 도말하고 여러 차례 획선 도말하고 배양한 후 콜로니 형태를 관찰하여 신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신규 균주의 동정을 위해 Bionics(Seoul, Korea)에 16S rRNA 서열분석을 의뢰하였다. 구체적으로, 16S rRNA 서열분석을 수행하였고, 16S rRNA 유전자를 27F와 1492R 프라이머(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나온 결과를 토대로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enbank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다른 표준균주와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신규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로 확인되었고, 유사성은 99%로 나타났다. 또한, Mega 7 program을 이용하여 상동성을 분석하고 계통도를 얻었다(도 1). 이때,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는 2018년 1월 17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CM 12212P를 부여받았다.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20% 글리세롤 스탁하여 - 80℃에서 보존하고,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2회 계대배양하였다. 이후,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lactobacilli MRS broth(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 USA)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초기 균수를 1.0×109CFU/mL로 조절하였다. 이후, 원심분리(12,000×g, 4℃, 10분) 및 PBS로 2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추가적인 열처리(80℃, 30 분)를 통하여 균주 사균체를 제조하였고, - 80℃에서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1: Lactobacillus rhamnosus LGG 균주 사균체 제조
상업용 프로바이오틱스로 알려진 Lactobacillus rhamnosus LGG 균주를 준비하였다. 배양 및 추가적인 열처리 조건은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예 1: 균주의 프로바이오틱 안정성 평가
(1) 균주의 내산성 및 내답즙성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내산성 평가를 위해서 인공위액(pH 2.5, 0.3(w/v)% pepsin 첨가 MRS 배지)을 만들어 균주를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살아있는 균수를 확인하였고, 내담즙성 평가를 위해서 MRS 배지에 0.3%(w/v) oxgall을 첨가하여 균주를 37℃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살아있는 균수를 측정하였다.
처리 균수(Log CFU/mL)
초기 균수 8.50 ± 0.04
0.3%(w/v) pepsin, pH 2.5, 3시간 8.24 ± 0.11
(96.93 ± 0.12 %)
0.3%(w/v) oxgall, 24시간 7.20 ± 0.01
(84.80 ± 0.05 %)
* 값은 평균±SD(n = 3)로 표현된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내산성 및 내답즙성 평가 결과, 체내의 소화 환경에 충분한 저항성을 가지고 장으로 전달되어 정착함으로써, 장내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균주의 장부착능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KCCM 12212P)의 장부착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장부착능 평가를 위해서 1Х105 cells/well로 접종한 HT-29(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 line) 세포주가 단일층을 형성할 때까지 배양한 후 균주를 접종하고 37℃에서 2시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세 번 세척하여 부착되지 않은 균을 제거하였으며 1% Triton X-100 용액을 사용하여 세포주를 떼어낸 후 MRS 배지를 이용하여 세포주에 부착된 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장부착능 평가결과, 장부착능이 2.34%인 것으로 확인되는데(* 값은 평균±SD(n = 3)로 표현된다), 종래 유용 유산균의 장부착능 기준이 통상 1%임을 고려하면,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는 장부착능이 우수한 균주로 볼 수 있다.
실험예 2: 균주의 프로바이오틱 안전성 평가
(1) 균주의 효소 생산능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효소 생산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효소 생산능 평가를 위해서 API ZYM kit를 이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균주를 대수증식기까지 배양한 후 배양여액 제거를 위해 12,000 rpm에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세 번 세척하여 균체만 얻은 후 각 기질이 들어있는 큐플에 접종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용액 A, B를 각각 넣고 발색 정도에 따라 효소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효소 효소 생산능
Control 0
Alkaline phosphatase 0
Esterase 0
Esterase lipase 0
Lipase 0
Leucine arylamidase 4
Valine arylamidase 3
Cystine arylamidase 0
Trypsin 0
α-Chymotrypsin 0
Acid phosphatase 1
Naphthol-AS-BI-phosphohydrolase 1
α-Galactosidase 0
β-Galactosidase 2
β-Glucuronidase 0
α-Glucosidase 1
β-Glucosidase 4
N-Acetyl-β-glucosaminidase 2
α-Mannosidase 0
α-Fucosidase 0
* 0, 0 nmol; 1, 5 nmol; 2, 10nmol; 3, 20nmol; 4, 30nmol; 5, ≥40nmol.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효소 생산능 평가 결과, 암 유발 효소인 β-글루쿠로니다아제(β-Glucuronidase)를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바, 생체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류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e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lamidase),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β-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및 N-아세틸-β-글루코사미니다아제(β-Glucosaminidase)를 높은 농도로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는바, 유용 물질의 생물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2) 균주의 항생제 저항성
CLSI(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기준에 맞춰,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항생제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생제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평판도말법을 이용하여 균주를 106 CFU/mL의 농도로 MRS 배지에 접종한 뒤 8가지의 항생제(ampicillin, gentamicin, kana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ciprofloxacin, chloramphenicol, doxycycline)를 각각 주입한 지름 8 mm의 페이퍼 디스크를 로딩한 다음,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clear zone을 측정하였다.
항생제 항생제 저항성
Ampicillin S
Gentamicin R
Kanamycin R
Streptomycin R
Tetracycline R
Ciprofloxacin R
Chloramphenicol R
Doxycycline S
* S: 감수성; R: 저항성.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는 젠타마이신(Gentamicin), 카나마이신(Kanamycine),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및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에 대한 항생제 저항성을 가지나, 암피실린(Ampicillin) 및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험예 3: 균주의 항산화 활성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항산화 활성을 하기 (1)~(3) 실험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비교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rhamnosus GG 균주(KCTC 12202BP)(LGG)와 비교하였다.
하기 (1)~(3) 실험을 위해, 균주를 MRS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균체를 회수한 후, PBS 세척하였다. 이후, 최종적으로 균체를 PBS에 현탁하여 이용하였다.
(1) 균주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평가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 μM로 제조한 DPPH 용액 1 mL과 균주 현탁액 200 μL를 혼합하고 실온의 암소에서 15분 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Figure 112020077698744-pat00001
(2) 균주의 ABTS (2,2'-azino-bis(3-et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소거능 평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동량의 7.4 mM의 ABTS 시약과 2.6 mM의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24시간 반응시킨 후, 732 nm에서 흡광도가 0.70±0.01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고 1 mL을 취하여 균주 현탁액 100 μL와 혼합하였다. 실온의 암소에서 15분 간 반응시킨 후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3) 균주의 지방산 산화 억제능 평가
β-Carotene 산화 억제능의 경우 Chloroform 10 mL에 β-carotene, linoleic acid 및 Tween 80을 각각 2 mg, 44 μL, 200 μL 첨가하여 혼합하고 50℃에서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 100 mL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제조한 β-carotene 수용액 4.5 mL을 취해 0.5 mL의 균주 현탁액과 혼합하고 50℃에서 반응시키면서 2시간 간격으로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Figure 112020077698744-pat00002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이 44.68%이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이 18.11%이며, 지방산 산화 억제능이 38.94%인 것으로 확인되는데(* 값은 평균±SD(n = 3)로 표현되고, 막대 상의 글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결정된 통계적 유의성(p <0.05)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는 LGG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실험예 4: 균주의 체지방 감소 활성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가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를 통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때, 비교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rhamnosus GG 균주(KCTC 12202BP)의 사균체(LGG)와 비교하였다.
(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여부 확인
지방전구세포인 3T3-L1(mouse embryo, ATCC CL-173)에 대한 세포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TT(methylthizol-2-yl-2,5-diphenyl tetrazoliumbromide) 분석을 실시하였다.
96 well-plate에 DMEM에 현탁한 균주 사균체를 0.1 mL 넣어 4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한 후 well에 MTT(2.5 mg/mL)을 100 μL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환원반응을 유도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0.1 mL의 DMSO (Dimethyl sulfoxide) 용액을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켜 생성된 결정을 녹여 주었다. 이후 흡광도를 540 ㎚에서 측정한 후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20077698744-pat00003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는 비교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rhamnosus GG 균주(KCTC 12202BP)의 사균체와 마찬가지로, 108 CFU/mL 및 109 CFU/mL 두 농도에서 지방전구세포인 3T3-L1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값은 평균±SD(n = 3)로 표현되고, 막대 상의 글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결정된 통계적 유의성(p <0.05)을 나타낸다).
(2) Oil red O 염색법을 통한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여부 확인
지방전구세포인 3T3-L1(1.5×104cells/dish)을 6 cm dish에 접종하여 지방세포가 dish에 융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10 μM dexamethasone 및 5 μg/mL insulin이 첨가된 DMEM 배지(MDI배지)에 균주 사균체를 녹여 지방세포에 처리하여 2일 동안 배양하였다. 5 μg/mL insulin이 첨가된 DMEM 배지에 균주 사균체를 녹여 지방세포에 처리하여 2일 간격으로 6일차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분화시킨 지방세포를 고정시키기 위해 10% 포름알데하이드 용액을 처리하고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PBS로 2번 세척한 후 0.5% oil red O 용액을 처리하고 20분 동안 상온에서 염색시켜 주었다. 그리고 사진촬영하여 관찰하고 PBS로 2번 세척한 후 이소프로판올로 처리하여 염색된 oil red O를 용출시키고 520 nm로 흡광도 측정하였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PC(positive control) 또는 LGG에 비해,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지방구에 염색이 덜되어져 있어 지방구를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108 CFU/mL 보다 109 CFU/mL 농도로 처리한 경우 지방구를 더욱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된다.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히, 109 CFU/mL 농도를 기준으로, LGG를 처리한 경우, 지방구 감소율이 54.98%에 불과하였지만,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지방구 감소율이 62.12%인 것으로(* 값은 평균±SD(n = 3)로 표현되고, 막대 상의 글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결정된 통계적 유의성(p <0.05)을 나타냄),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3)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측정을 통한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여부 확인
지방전구세포인 3T3-L1(1.5×104 cells/dish)을 6 cm dish에 접종하여 지방세포가 dish에 융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10 μM dexamethasone 및 5 μg/mL insulin이 첨가된 DMEM 배지(MDI배지)에 균주 사균체를 녹여 지방세포에 처리하여 2일 동안 배양하였다. 5 μg/mL insulin이 첨가된 DMEM 배지에 균주 사균체를 녹여 지방세포에 처리하여 2일 간격으로 6일차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분화시킨 지방세포 안에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측정을 통해 지방세포 분화 억제 여부를 확인하였다. 분화시킨 지방세포의 단백질을 모으기 위해 14,000×g 25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단백질을 모아 triglyceride quantification kit(BioVision)를 통해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PC(positive control) 또는 LGG에 비해,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108 CFU/mL 보다 109 CFU/mL 농도로 처리한 경우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약 2 mM 이상 더욱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109 CFU/mL 농도를 기준으로, LGG를 처리한 경우, PC를 처리한 경우에 비해 약 29.1% 정도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감소시켰지만,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PC를 처리한 경우에 비해 약 92.96% 정도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감소시켰는바(* 값은 평균±SD(n = 3)로 표현되고, 막대 상의 글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결정된 통계적 유의성(p <0.05)을 나타냄),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4) 체지방 감소 관련 유전자 발현 조사 및 단백질 함량 측정을 통한 체지방 감소 활성 평가
지방전구세포인 3T3-L1(1.5×104cells/dish)을 6 cm dish에 접종하여 지방세포가 dish에 융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10 μM dexamethasone 및 5 μg/mL insulin이 첨가된 DMEM 배지(MDI배지)에 균주 사균체를 녹여 지방세포에 처리하여 2일 동안 배양하였다. 5 μg/mL insulin이 첨가된 DMEM 배지에 균주 사균체를 녹여 지방세포에 처리하여 2일 간격으로 6일차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Fatty acid synthase(FAS), C/EBPα, PPARγ의 증감 여부를 표 4의 RNA 프라이머를 이용한 real time PCR 및 western blot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RNA 순도는 Multiscan GO(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이용하였고, cDNA로 Revertaid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Thermo Fisher Scientific)를 이용하여 전환하였다. Semi-quantitative real-time PCR은 SYBR Green PCR Master Mix를 이용하였고, PCR 조건은 총 20 μL 볼륨으로, 95°C for 2 min as initial denaturation; 95°C for 5 s as denaturation(40 cycle); 60°C for 15 s as annealing and extension으로 하였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β-Actin
정방향 5′-TGT CCA CCT TCC AGC AGA TGT-3′
역방향 5′-AGC TCA GTA ACA GTC CGC CTA GA-3′
FAS
정방향 5′-AGG GGT CGA CCT GGT CCT CA-3′
역방향 5′-GCC ATG CCC AGA GGG TGG TT-3′
C/EBPα 정방향 5′-GGA ACT TGA AGC ACA ATC GAT C-3′
역방향 5′-TGG TTT AGC ATA GAC GTG CAC A-3′
PPARγ
정방향 5′-TTG ATT TCT CCA GCA TTT CT-3′
역방향 5′-RTG TTG TAG AGC TGG GTC TTT-3′
* FAS, fatty acid synthase; C/EBP-α, CCAAT/ enhance-binding protein-α;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또한, 분화시킨 지방세포의 단백질을 모으기 위해 14,000×g 25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단백질을 모아 10% SDS-page겔에 로딩한 100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여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였고, 분리된 단백질을 20V, 400A이하의 조건으로 2시간 동안 전기영동하여 Bio-trace PVDF 막(PALL Life Sciences, USA)에 옮겼다. 단백질이 옮겨진 막에 0.1% Tween-20 및 5% 스킴밀크를 포함하는 트리스-완충 식염수(10 mM Tris-HCl, pH 7.6, 150 mM NaCl)를 처리하여 막에 단백질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을 차단한 후, 차단 용액에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희석된 1차 항체[항-PPARγ 항체 또는 항-FAS 항체 및 C/EBPα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를 결합시킨 후, 세척하였다. 이후, 차단용액에 1:5,000로 희석한 2차 항체(항토끼-IgG-HRP; Amersham Bioscience, UK)와 함께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다시 세척하였다. ECL 검출 키트(Thermo Fisher Scientific, USA)로 발광반응을 유발하였고 필름에 노출시켜 결합 반응을 관찰하였다.
도 6(a) 내지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real time-PCR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PC를 처리한 경우에 비해 체지방 감소 관련 유전자 발현을 모두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108 CFU/mL 보다 109 CFU/mL 농도로 처리한 경우 체지방 감소 관련 유전자 발현을 크게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되고(막대값은 평균±SD(n = 3)로 표현되고, 막대 상의 글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결정된 통계적 유의성(p <0.05)을 나타냄), 이러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의 사균체를 처리한 경우, LGG를 처리한 경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및 지방산 합성 억제능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6(d)에 나타난 바와 같이, western blot 결과에서도 real time-PCR 결과와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균주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 20 mg
유당수화물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수화물 10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 10 mg
미결정셀룰로오스 3 mg
유당수화물 14.8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인산일수소나트륨 26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 1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레몬향 적량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멸균시켜 갈색병에 충진하여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 1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음료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 1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정제수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rebootlife corporation <120> NOVEL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OBESITY COMPRISING THE SAME <130> KU15117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90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400> 1 cgaacgctgg cggcgtgcct aatacatgca agtcgaacga actctggtat tgattggtgc 60 ttgcatcatg atttacattt gagtgagtgg cgaactggtg agtaacacgt gggaaacctg 120 cccagaagcg ggggataaca cctggaaaca gatgctaata ccgcataaca acttggaccg 180 catggtccga gtttgaaaga tggcttcggc tatcactttt ggatggtccc gcggcgtatt 240 agctagatgg tggggtaacg gctcaccatg gcaatgatac gtagccgacc tgagagggta 300 atcggccaca ttgggactga gacacggccc aaactcctac gggaggcagc agtagggaat 360 cttccacaat ggacgaaagt ctgatggagc aacgccgcgt gagtgaagaa gggtttcggc 420 tcgtaaaact ctgttgttaa agaagaacat atctgagagt aactgttcag gtattgacgg 480 tatttaacca gaaagccacg gctaactacg tgccagcagc cgcggtaata cgtaggtggc 540 aagcgttgtc cggatttatt gggcgtaaag cgagcgcagg cggtttttta agtctgatgt 600 gaaagccttc ggctcaaccg aagaagtgca tcggaaactg ggaaacttga gtgcagaaga 660 ggacagtgga actccatgtg tagcggtgaa atgcgtagat atatggaaga acaccagtgg 720 cgaaggcggc tgtctggtct gtaactgacg ctgaggctcg aaagtatggg tagcaaacag 780 gattagatac cctggtagtc cataccgtaa acgatgaatg ctaagtgttg gagggtttcc 840 gcccttcagt gctgcagcta acgcattaag cattccgcct ggggagtacg gccgcaaggc 900 tgaaactcaa aggaattgac gggggcccgc acaagcggtg gagcatgtgg tttaattcga 960 agctacgcga agaaccttac caggtcttga catactatgc aaatctaaga gattagacgt 1020 tcccttcggg gacatggata caggtggtgc atggttgtcg tcagctcgtg tcgtgagatg 1080 ttgggttaag tcccgcaacg agcgcaaccc ttattatcag ttgccagcat taagttgggc 1140 actctggtga gactgccggt gacaaaccgg aggaaggtgg ggatgacgtc aaatcatcat 1200 gccccttatg acctgggcta cacacgtgct acaatggatg gtacaacgag ttgcgaactc 1260 gcgagagtaa gctaatctct taaagccatt ctcagttcgg attgtaggct gcaactcgcc 1320 tacatgaagt cggaatcgct agtaatcgcg gatcagcatg ccgcggtgaa tacgttcccg 1380 ggccttgtac acaccgcccg tcacaccatg agagtttgta acacccaaag tcggtggggt 1440 aaccttttag gaaccagccg cctaaggtgg gacagatgat tagggtgaag 1490

Claims (8)

  1. 하기 ⅰ) 내지 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서열번호 1의 16S rRNA를 코딩하는 D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깍두기 김치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
    ⅰ) 체지방 감소 활성;
    ⅱ)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부착능;
    ⅲ) β-글루쿠로니다아제(β-Glucuronidase) 활성 억제; 및 류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e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lamidase),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β-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및 N-아세틸-β-글루코사미니다아제(β-Glucosaminidase) 활성 증가;
    ⅳ) 암피실린(Ampicillin) 및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및
    ⅴ) 항산화 활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감소 활성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또는 지방산 합성 억제를 통한 것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생균체, 사균체 또는 배양여액인 것인,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사균체인 경우, 상기 균주를 30℃ 내지 40℃에서 10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배양한 후, 7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사균체로 제조된 것인,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U15117 균주(KCCM 1221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00092418A 2020-07-24 2020-07-24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418A KR102198827B1 (ko) 2020-07-24 2020-07-24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418A KR102198827B1 (ko) 2020-07-24 2020-07-24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827B1 true KR102198827B1 (ko) 2021-01-05

Family

ID=7414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418A KR102198827B1 (ko) 2020-07-24 2020-07-24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66B1 (ko) * 2022-08-16 2023-03-09 (주)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240A (ko) * 2004-09-02 2006-03-07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와 이를 함유한식품
KR20160098149A (ko) * 2014-02-17 2016-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KR20180020741A (ko) * 2016-08-19 2018-02-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3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34796A (ko) * 2017-09-25 2019-04-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7362B1 (ko) * 2017-12-08 2019-07-08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240A (ko) * 2004-09-02 2006-03-07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와 이를 함유한식품
KR20160098149A (ko) * 2014-02-17 2016-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KR20180020741A (ko) * 2016-08-19 2018-02-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3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34796A (ko) * 2017-09-25 2019-04-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7362B1 (ko) * 2017-12-08 2019-07-08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N.K., Han K.J., Son S.H., Eom S.J., Lee S.K., Paik H.D. (2015) Multifunctional effect of probiotic Lactococcus lactis KC24 isolated from cucumber jangajji.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64: 1036-1041.
The FASEB Journal, Vol.34, pp.1-19(Epub.2020.07.2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66B1 (ko) * 2022-08-16 2023-03-09 (주)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WO2024038980A1 (ko)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991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8744B1 (ko) 면역증강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소화액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7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1961069B1 (ko) 신규 와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80065667A (ko) 와인 발효 모로미 유래의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유산균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102234569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84326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g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알레르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09744B1 (ko) 균체외 다당을 생성하고 건강기능성 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KR1018258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0189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83841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98827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09746B1 (ko) 균체외 다당을 생성하고 건강기능성 효과를 갖는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R102320379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9023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21579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865075B1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101982759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중독 원인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7552B1 (ko)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g72 균주를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3743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kc24 균주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4456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g450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86858B1 (ko) 신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040899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