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362B1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362B1
KR101997362B1 KR1020170168006A KR20170168006A KR101997362B1 KR 101997362 B1 KR101997362 B1 KR 101997362B1 KR 1020170168006 A KR1020170168006 A KR 1020170168006A KR 20170168006 A KR20170168006 A KR 20170168006A KR 101997362 B1 KR101997362 B1 KR 10199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adipocytes
strain
obesity
inhib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025A (ko
Inventor
박창욱
손성오
김초록
최재원
최광열
Original Assignee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3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67
    • C12R1/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이 포함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장내부착성이 우수하고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고, 각종 발효식품의 종균(starter)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or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체중(kg)을 신장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되는 체질량 지수 (BMI: body mass index)가 30 이상인 경우, 이를 비만으로 간주하고 있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등과 같은 이상 등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로는 라덕틸, 제네칼 등이 있으며 라덕틸은 시브트라민을 주 원료로 교감신경계의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식욕을 억제한다. 그러나 심장박동과 혈압 등에 영향을 주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최근 유럽 및 국내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제네칼은 올리스타드를 주원료로 리파아제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흡수를 억제하고, 총콜레스테롤 등을 감소시켜 혈당 개선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장내가스발생, 복부 팽만감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기존 비만 치료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로 인해 새로운 개념의 비만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비만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항비만 연구가 많이 진행 중이다. Bifidobacterium breves는 지방 흡수와 지방세포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Biofactors 2007; 29:105-12), L. paracasei가 고지방 식이 마우스에 대한 항비만 효과(Funct Foods 2013; 5: 905-13), L. gasseri SBT2055가 체중 및 허리둘레를 감소(Eur J Clin Nutr 2010; 64: 636-43), VSL#3(Streptococcus thermophilus, Bifidobacteria, Lactobacilli 몇 균주의 혼합체)의 음식섭취 억제 및 내당능 (glucose tolerance)를 개선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J Biol Chem 2013; 288:25088-97).
이러한 비만치료에 있어 효과가 우수한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장내 균종의 불균형 해소, 장내 유익균 증가, 장점막 회복 등 복합적인 방법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의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유산균은 인간과 동물의 구강, 장, 질, 분변, 그리고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등에 널리 분포하면서 사람과 동물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고, 정장작용, 유해균 억제, 면역조절,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항암 등 다양한 건강증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신규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가 장내부착력과 항비만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481호 (발명의 명칭 :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FH185 균주, 출원인 : 한국식품연구원, 등록일 : 2015년04월0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8149호 (발명의 명칭 :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출원인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개일 : 2016년08월18일)
Biofactors 2007; 29:105-12. Funct Foods 2013; 5: 905-13. Eur J Clin Nutr 2010; 64: 636-43. J Biol Chem 2013; 288:25088-97. Appl. Environ. Microbiol., 1992, 58, 2034-2039).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항비만 효능이 있는 신규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식품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발효식품은 김치, 젓갈, 요거트 또는 장류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장류는 된장, 간장, 고추장 또는 청국장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의 배양물은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액체 상태의 배양물은 이를 건조하거나 분말화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고체 형태의 배양물도 마찬가지로 수분함량에 따라 이를 건조하거나 분말화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이 포함된 조성물은 식용가능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이 포함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고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비만의 예방/개선/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481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8149호에도 비만 억제 효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가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에서처럼 균주의 장내부착성이 항비만능에 영향을 주었음에 대해서는 확인된 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주의 유전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계통수 그림이다.
도 2는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가 처리된 지방세포의 분화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처리군의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동정>
양파 발효 추출물의 원액을 MRS 배지에 도말하여 얻은 균단일집락을 루프로 수거하여 MRS broth에 배양하였다. DNA 추출 및 16S rRNA 서열분석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의뢰하여 동정하였다. 균주의 동정은 16SrRNA 서열을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www.ncbi.nlm.nih.gov)의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검색엔진과 EzTaxon 서버로 유사도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하기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번호 1 : 16S rRNA of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Figure 112017122371750-pat00001
또한, 분석 결과, 상기 유산균 균주는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도시한 도 1의 계통수 그림에서처럼,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ACGZ01000098와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 관계를 보였다.
이렇게 확인된 균주를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으로 명명하여,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7년 11월 14일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FCC11749P).
또한 상기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균주는 통성혐기성이며, 생육 가능한 최소온도는 25℃, 생육 가능한 최고온도 45℃, 생육 가능한 pH는 4~7, 적정 배양시간은 24~48시간, 생육 적정 온도는 30~37℃로 확인되었다. 상기 균주의 배양에 가장 적절한 배지는 Lactobacilli MRS media이며, 이 외 다양한 동식물 재료를 원료로 하여 배양가능함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는 ZYM kit을 이용한 균주의 효소학적 특성에서 식균작용을 활성화 하는 Naphthol-AS-BI-phosphohydrolase와 유당분해효소결핍증에 효과가 있는 α-Glucosidase의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 표 1에 나타내었고, API 50 CH kit을 이용하여 당 이용 능력을 조사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및 표 2에서 각 효소 및 탄소원을 이용하면 +로, 이용하지 않으면 -로, 약한 반응을 보이면 W로 표시하였다.
Enzyme(효소)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Alkaline phosphatase +
Esterase (C4) w
Esterase Lipase (C8-Lipases) w
Lipase (C14) -
Leucine arylamidase +
Valine arylamidase +
Cystine arylamidase (Proteases) +
Trypsin -
α-Chymotrypsin -
Acid phosphatase (Phosphatases) +
Naphthol-AS-BI-phosphohydrolase +
α-Galactosidase (melibiase) -
β-Galactosidase (lactases) +
β-Glucuronidase (hyaluronidase) -
α-Glucosidase (maltases) +
β-Glucosidase (cellulases) +
N-acetyl- β-glucosaminidase (chitinases) +
α-Mannosidase -
α-Fucosidase -
Characteristic(당)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Glycerol -
D-arabinose -
D-Ribose +
D-Xylose +
D-Galactose +
D-Glucose +
D-Fructose +
D-Mannose +
D-Mannitol +
D-Sorbitol +
Methyl-α-D-glucopyranozide +
N-acetylglucosamine +
Amygdalin +
Arbutin +
Salicin +
D-Celobiose +
D-Maltose +
D-Lactose (of cow origin) +
D-Saccharose +
D-Trehalose +
Inulin +
D-Melesitose -
<실시예 2.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장 부착 능력 평가>
장내 다양한 생리효과가 체내에서 발휘되기 위해서는 유산균이 장내에 장기간 생존하는 장내 부착능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Appl. Environ. Microbiol., 1992, 58, 2034-2039).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에 대한 장 부착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Haghshenas 등 (2015)의 방법을 변형하여 Caco-2 세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RPMI-1640 media에서 culture (5% CO2) 하여 2 x 105 cells/well로 깐 다음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과 대조군 Lactobacillus plantarum VB6 (O.D. = 1; 108 cfu/mL)의 균체를 Caco-2 세포와 1 : 1 (2 x 105; v/v) 비율로 co-culture (37℃, 3 hrs., absented CO2 condition)하여 유산균주의 장 부착능력을 현미경 관찰과 생균수를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대조군인 Lactobacillus plantarum VB6에서는 장부착 능력이 보이지 않으나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에서는 1.3 x 103 cfu/ml로 장부착 능력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Identified species Treated (cfu/well) Adhesion (cfu/ml)
Lactobacillus plantarum VB6 KCCM11921P 1.7 x 105 0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1.13 x 105 1.3 x 103
<실시예 3. 지방세포 분화과정 및 지방축적량 확인>
3T3-L1 세포주는 특정 배양조건에서 지방세포(adipocytes)로 분화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지방세포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포주이다. 3T3-L1은 Fetal bovine serum (FBS)가 없는 조건에서는 preadipocyte로 계속 분열하지만(proliferation),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위해서는 100% confluency로 세포를 배양하여 cell contact inhibition에 의해 세포 성장을 멈추게 하는(growth arrest) 지방세포 분화유도 준비상태를 만들어 (Day 0) 이 상태에서 지방세포 분화유도 물질인 Isobutylmethylxanthine, Dexamethason, Insulin (MDI)을 FBS가 포함된 세포배양액에 처리하여 (Day 0) 2-3일간 clonal expansion을 유도한 후, Insulin만 포함된 배지로 세포를 배양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였다 (Day 2~, terminal differentiation).
양성대조군은 고시 원료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5 μg/ml을 대조군으로 사용하고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생균수 108 cfu/mL을 처리하여 배양 시간 경과에 따라 lipid droplet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Day 13일째 지방측정용 시약 (AdipoRed Assay Reagent kit)을 이용하여, 세포내 lipid droplet만 선택적으로 염색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형광강도 측정기로 지방 세포내 triglyceride 축적량을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를 확인하면 무처리군인 대조군(control)에 비해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가 처리된 지방세포의 분화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3의 지방축적량을 비교해도 역시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처리군에서 지방축적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된다.
마찬가지로 같은 조건에서 다른 균주인 Lactobacillus plantarum BK-022 KFCC11750P과 비교하여 확인한 바, 역시 본 발명의 균주가 갖는 항비만능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Identified species O.D.
Control 0.49
Lactobacillus plantarum BK-022 KFCC11750P 0.47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0.34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캡슐제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배양액에서 균체만을 수거한 후 동결건조한 분말을 캡슐에 넣어 캡슐형 유산균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발효김치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배양액에서 수거한 균체가 1중량%가 되게 김치 양념용 조성물에 혼합하였고, 상기 양념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요거트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배양액에서 수거한 균체 0.1g을 우유 1ℓ에 접종하여 37℃에서 8시간 동안 배양하여 요거트를 제조하였다.
[수탁기관]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
수탁번호 : KFCC11749P
수탁일자 : 20171114
<110> BIOKOGEN CO., LTD. <120>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or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comprising thereof <130> 376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06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400> 1 tagagtttga tcctggctca ggacgaacgc tggcggcgtg cctaatacat gcaagtcgaa 60 cgaactctgg tattgattgg tgcttgcatc atgatttaca tttgagtgag tggcgaactg 120 gtgagtaaca cgtgggaaac ctgcccagaa gcgggggata acacctggaa acagatgcta 180 ataccgcata acaacttgga ccgcatggtc cgagtttgaa agatggcttc ggctatcact 240 tttggatggt cccgcggcgt attagctaga tggtggggta acggctcacc atggcaatga 300 tacgtagccg acctgagagg gtaatcggcc acattgggac tgagacacgg cccaaactcc 360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ac aatggacgaa agtctgatgg agcaacgccg 420 cgtgagtgaa gaagggtttc ggctcgtaaa actctgttgt taaagaagaa catatctgag 480 agtaactgtt caggtattga cggtatttaa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540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gtccggattt attgggcgta aagcgagcgc 600 aggcggtttt ttaagtctga tgtgaaagcc ttcggctcaa ccgaagaagt gcatcggaaa 660 ctgggaaact tgagtgcaga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gaaatgcgta 720 gatatatgga agaacaccag tggcgaaggc ggctgtctgg tctgtaactg acgctgaggc 780 tcgaaagtat gggtagca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taccg taaacgatga 840 atgctaagtg ttggagggtt tccgcccttc agtgctgcag ctaacgcatt aagcattccg 900 cctggggagt acggccgcaa ggc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960 gtggagcatg tggtttaatt cgaagct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acta 1020 tgcaaatcta agagattaga cgttcccttc ggggacatgg atacaggtgg tgcatggttg 1080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tat 1140 cagttgccag cattaagttg ggcactctgg tg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1200 tggggatgac gtcaaatcat catgcccctt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1260 atggtacaac gagttgcgaa ctcgcgagag taagctaatc tcttaaagcc attctcagtt 1320 cggattgtag gctgcaactc gcctacatga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c 1380 atgccgcggt gaatacgttc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gtgagagttt 1440 gtaacatcca atgtcggtgg ggtcacgcta agtcgtacca acgtcgcagt agagatgacg 1500 gacgaa 1506

Claims (5)

  1.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 기능과 지방 세포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축적 억제 기능으로 인한 항비만 효능 및 장내 부착 기능이 있는 신규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2.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 기능과 지방 세포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축적 억제 기능이 있는 항비만용 조성물.
  3. 제2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 기능과 지방 세포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축적 억제 기능이 있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4. 제1항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 기능과 지방 세포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축적 억제 기능이 있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발효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김치, 젓갈, 요거트 또는 장류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 기능과 지방 세포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축적 억제 기능이 있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발효식품.
KR1020170168006A 2017-12-08 2017-12-0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9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06A KR101997362B1 (ko) 2017-12-08 2017-12-0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06A KR101997362B1 (ko) 2017-12-08 2017-12-0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25A KR20190068025A (ko) 2019-06-18
KR101997362B1 true KR101997362B1 (ko) 2019-07-08

Family

ID=6710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006A KR101997362B1 (ko) 2017-12-08 2017-12-0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3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827B1 (ko) * 2020-07-24 2021-01-05 주식회사 리부트라이프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6366B1 (ko) 2022-08-16 2023-03-09 (주)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43B1 (ko) * 2019-04-01 2021-02-26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3551B1 (ko) * 2020-04-21 2020-10-07 (주) 에이투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g-k2 또는 atg-k6를 함유하는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74678B1 (ko) 2020-07-16 2021-07-12 (주)코엔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Ceb-kc-00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KR102454241B1 (ko) * 2021-05-26 2022-10-14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균주 lrcc5282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81B1 (ko) 2013-10-21 2015-04-16 한국식품연구원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fh185 균주
KR101611834B1 (ko) * 2015-06-08 2016-04-14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 cbt lp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717A1 (ko) 2014-02-17 2015-08-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81B1 (ko) 2013-10-21 2015-04-16 한국식품연구원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fh185 균주
KR101611834B1 (ko) * 2015-06-08 2016-04-14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 cbt lp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4, pp.324~330(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P05-06, pp.276(2016.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827B1 (ko) * 2020-07-24 2021-01-05 주식회사 리부트라이프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6366B1 (ko) 2022-08-16 2023-03-09 (주)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25A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36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RU2734031C2 (ru) Новая лактобактерия, характеризующаяся различными функциями,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KR101108428B1 (ko) 인간의 모유에서 분리한 프로바이오틱 활성 및 체중 증가억제 효과를 갖는 유산균
KR100911115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72870B1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KR2019006802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2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44245A (ko)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AU2003252888A1 (en) Acid- and bile salt-resistant Lactobacillus isolates having the ability to lower and assimilate cholesterol
KR102294445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mg459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AU2021242110A1 (en)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CKDB001 strai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comprising same
KR20180011490A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및 이의 용도
KR102091757B1 (ko) 혈당저하와 스트레스 완화에 유효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3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2054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5463A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및 이의 용도
KR100889300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k7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1772875B1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CN116555075B (zh) 一株植物乳植杆菌jf1及其在制备抗衰老食品药品中的应用
KR101266328B1 (ko)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에이치와이702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JP2020100660A (ja) 乳酸菌、該乳酸菌由来の自然免疫活性化剤、感染症予防・治療薬及び飲食品
KR102499838B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KR102501957B1 (ko) 인삼으로부터 유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72872B1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KR102294456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g450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07532B1 (ko)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