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838B1 -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838B1
KR102499838B1 KR1020220065475A KR20220065475A KR102499838B1 KR 102499838 B1 KR102499838 B1 KR 102499838B1 KR 1020220065475 A KR1020220065475 A KR 1020220065475A KR 20220065475 A KR20220065475 A KR 20220065475A KR 102499838 B1 KR102499838 B1 KR 10249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bcc
lpl
lactobacillus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진
신금주
이종서
이동완
정의천
임혜지
이나래
권태준
Original Assignee
(주)헥토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헥토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헥토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2006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38B1/ko
Priority to PCT/KR2023/007170 priority patent/WO20232293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수탁번호 KCTC14808BP)인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수탁번호 KCTC 14809BP)를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 or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derived from human having body fat reducing activity and mixtur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이의 배양물, 혼합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신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이의 배양물, 혼합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과잉의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되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고, 다양한 대사 이상이 유발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과도하게 축적된 체지방으로 인한 비만은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과 특정 암의 발병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이러한 비만을 야기시키는 주요 원인으로서는 과도한 칼로리의 섭취로 인한 지방의 축적이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기전을 통해 지방세포가 증가하게 된다. 먼저 체 내 섭취 된 지방은 리파아제(lipase)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 되어 흡수 되고, 또한 과다 섭취 된 탄수화물은 당으로 분해되어 혈당을 높이거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 시켜 지방세포 생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방이 축적되면 비만이 발생하게 된다.
체지방 감소 기전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리파아제 등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 소화흡수를 억제하는 기전과 지방세포의 합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체지방 합성 억제 기전이 있다. 따라서 생체 내 지방을 생성하는 세포에 대한 연구로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이 in vitro 상에서 연구되고 있다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ume 63, Article number: 9 (2020)).
비만으로부터 야기되는 다양한 합병증이 증가하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비만 발생의 과정을 억제하는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며 부작용이 큰 실정이다. 대부분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들이 다수 존재하며 이는 간 손상, 호르몬의 변화 등을 나타내며 약제 복용 중단 시 체중의 재증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투여 기간이 길어지고 투여 증례가 많아지는 만큼 문제가 발생할 확률도 높아지므로 발생 빈도가 적은 부작용이라도 심각한 부작용들은 간과할 수 없기때문에, 이러한 약물을 대체할 수 있는 무해한 자연 친화성이 높은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체지방 감소 소재의 후보군들 중 프로바이오틱스가 다수 연구 되고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는 고지방 음식을 섭취하는 쥐들의 체중 증가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지방의 감소 및 비만관련 생화학적 지표를 유의하게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따라서, 지방 흡수의 억제 및 세포의 분화 억제에 효능을 갖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분리하고, 이의 체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신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혼합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혼합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혼합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의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및/또는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및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들의 혼합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들의 혼합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들의 혼합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BCC-LP-02인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CC-LPL-53 균주 또는 상기 균주들의 혼합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산(FA, fatty acid) 농도 감소, 세포외다당류(EPS, Exopolysaccharide) 생성, 리파아제(Lipase) 효소 억제 활성 및 포도당(glucose) 흡수 저해를 통해 지방 세포 분화 및 세포 내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우수한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소장세포 또는 소화관에서 지방 흡수 억제, 탄수화물 흡수 저해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로 인해,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체중 증가량의 감소,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감소 및 체지방량의 감소로 시킴으로써,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신규 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KCTC 14808BP) 및 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KCTC 14809BP)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신규 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KCTC 14808BP) 및 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KCTC 14809BP)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in vitro 실험에서 300여가지 다양한 종의 균주들 중에서 접종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하여 지방산(FA) 흡수능이 가장 우수한 4균주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선발된 4개의 균주들의 sucrose agar에서 EPS 생성능을 확인한 mucoid colony 사진이다.
도 5는 선발된 4개의 균주들의 리파아제(Lipase) 억제 활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선발된 4개의 균주들의 Caco-2 cell을 이용한 포도당(glucose) 흡수 저해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선발된 4개의 균주들의 전지방분화세포인 3T3-L1에서 지방세포 분화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체지방 감소 선발 균주들의 포뮬레이션 균주 선발을 위해 균주들의 배양시간에 따른 몇몇 대사물질들의 증가 및 감소 패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선발된 포뮬레이션 2균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8주간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F(LP02+LPL53)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후 체중 증가율 감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8주간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F(LP02+LPL53)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후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감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8주간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F(LP02+LPL53)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및 부검 후 피하지방 및 복부지방(부고환지방 및 신장주위지방) 감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다음의 신규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제공한다: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각각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2021. 12. 06.로 수탁하였다.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는 BCC-LP-02(경우에 따라서 LP-02)로 기재되어 있고,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는 BCC-LPL-53 (경우에 따라서 LPL-53)으로 기재되어 있다.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한다.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는 서열번호 2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 각각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지방산(FA, Fatty acid) 농도 감소;
세포외다당류(EPS, Exopolysaccharide) 생성;
리파아제(lipase) 효소 억제 활성;
포도당(glucose) 흡수 저해능;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활성.
구체적으로, 지방산(FA) 농도 감소, 세포외다당류(EPS) 생성, 리파아제(lipase) 효소 억제 활성, 포도당(glucose) 흡수 저해능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BCC-LP-02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CC-LPL-53 균주일 수 있다.
상기 균주의 배양물과 관련하여, "배양물"은 상기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 각각 또는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 또는 배양액에서 배양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상기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 각각 또는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제형이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양물의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배양물의 농축액, 건조물 또는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등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및/또는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및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의 혼합은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의 공배양(co-culture)시 대사체(glyceric acid, malic acid, orotic acid, lactose) 이용 과정에서 상호 보완 관계를 유지하며 생장에 도움을 주는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는 균주 수가 예를 들어 6:4 내지 4:6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특성을 유지하는 경우라면 혼합 비율에는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2:8, 3:7, 4:6, 5:5, 6:4, 7:3 또는 8:2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균주의 최적 혼합 비율이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상기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들의 혼합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및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치료 또는 개선"은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비만 관련 질환은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체중 증가율 감소, 식이 효율 (food efficiency) 감소, 또는 피하지방 및 복부지방(부고환지방, 신장주위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소장세포 또는 소화관에서 지방 성분 흡수 억제, 탄수화물 흡수 저해 및/또는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락토스,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피부 노화 개선을 위한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배설 속도, 질병 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상기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들의 혼합 또는 이의 배양물을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및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은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기능식품은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낙농제품,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상기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들의 혼합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및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의약외품은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제로, 인간 또는 동물의 구조 또는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제제 이외의 제제를 의한다.
의약외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BCC-LP-02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상기 BCC-LPL-53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혼합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BCC-LP-02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CC-LPL-53 균주의 분리
한국인에게 맞는 신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건강한 한국인 아기 및 성인의 분변, 모유 등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1g을 멸균 식염수에 10배 연속 희석한 후 희석액 0.1mL를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혐기조건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단일 콜로니를 MRS 액체배지에 37℃, 18시간 동안 순수 배양하였다.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BCC-LP-02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CC-LPL-53 균주의 당 이용성
선별된 균주의 당 이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API 50 CH kit(BioMerieux, Lyon, France)를 사용하여 49개의 탄소원에 대한 이용성을 확인하였다. MRS 고체배지에서 배양된 균주의 콜로니를 2 MacFarland의 탁도로 조절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탁도를 맞춘 API 50 CHL medium을 API 50CH 스트립 튜브에 120μL씩 분주하고 큐플에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을 2 방울씩 첨가하여 37℃에서 24 시간 및 48 시간 동안 배양하여 당 이용 패턴을 확인하였다. 동정 결과는 API web 프로그램(https://apiweb.biomerieux.com) 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동정 결과,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과 99.9% 로 동일함을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22056395916-pat00001
실시예 3. 균주의 동정: 16S rRNA 염기 서열 분석
균주의 동정을 위해 Solgent(Daejeon, Korea)에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였다. 균주의 순수배양액 1 mL에서 Wizard genomic DNA purification kit(Promega, USA)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16S rRNA 염기서열 영역을 27F(AGAGTTTGATCMTGGCTCAG), 1492R(TACGGYTACCTTGTTACGACTT) primer로 PCR을 수행하여 DNA sequencing(Solgent)을 진행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토대로 NCBI의 BLAST 상의 Gene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다른 표준균주와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서열번호 1 및 2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가지며(도 1), 본 발명자들은 LP-02, LPL-53 유산균을 각각 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및 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라 명하였고, 각각의 유산균은 Lactobacillus paracsei R094T 와 100% 및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JCM 1149T와 100% 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Mega 7 program을 이용하여 상동성을 분석하고 계통도를 얻었다(도 2).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균주를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로 동정하였고, 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및 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으로 명명하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21년 12월 06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4808BP 및 14809BP). 또한, 상기 균주 염기서열은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GenBank 에 등록하여 accession No. OL988622(BCC-LP-02)와 OL988624(BCC-LPL-53)을 받았다.
실시예 4. 선발유산균의 사균 및 동결건조 분말 제조
선발 유산균의 in vitro 실험 수행을 위해, 유산균을 MRS 배지에 18 시간 배양한 뒤, 3600rpm에서 15분 이상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획득하여 상등액 제거 후 배양액 동량의 1xPBS로 1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균체에 배양 시 배지 용량의 1/10에 해당하는1xPBS를 첨가하여 농축한 뒤,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기를 이용하여 간접 멸균하였다.
멸균된 유산균 사균체는 -80℃의 초저온냉동고에서 24시간 냉동을 거친 뒤, 동결건조기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 하였다. 동결건조 된 분말은 수거하여 냉장 보관하며 실험 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균주에 의한 지방산(FA) 흡수능 in vitro 평가 및 Exopolysaccharide 생성능 확인
시료내에 존재하는 지방산이 CoA 유도체로 전환되고, 산화되면서 probe에 발색을 유도하는 중간물질(H2O2)를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흡광도(OD 570nm)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배지 내 지방산을 감소시키는 균주가 체내에 흡수 되었을 때, 소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 에 녹아 있는 지방산(fatty acid, FA) 농도를 감소시켜서 체내로 흡수되는 지방산의 양을 줄여서 지방 생성을 저해할 수 있는 원리를 바탕으로 지방산 흡수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 하였다.
장 환경으로부터 분리 보존된 균주들을 MRS agar 혹은 MRS(+0.05% cysteine) agar에 접종한 후 anaerobic chamber(WHITLEY A35 Workstation, Labconsult)에서 37℃ 혐기배양 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single colony를 1mL MRS 혹은 MRS(+0.05% cysteine) broth에 접종(E-tube 사용)하여 37℃ 에서 18~20h 동안 혐기배양 하였다. 0.5%(w/v) Brij58 및 0.25mM sodium palmitate이 들어있는 MRS broth 900μL 가 담긴 E-tube에 상기 배양된 균주 배양액 100μL 접종하여 37℃ 에서 24h 동안 혐기배양 하였다. 배양액은 원심분리(13,000 rpm, 1 min, 4℃)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상등액 10μL에 남아있는 잔여 지방산(FA)농도를 측정하였다. 상등액의 지방산 양은 EnzyChrom™ Free Fatty Acid Assay Kit (Bio-Assay Systems, USA)를 이용하여 57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표준물질의 정량곡선으로 균주 배양액 안의 지방산 양을 계산하고 접종하지 않은 대조군(negative control, NC) 대비하여 균주의 지방산 농도 감소능을 계산하고, 도 3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300여가지 이상의 다양한 종의 고시형 균주들 중 배지 내 지방산(FA)를 가장 우수하게 감소시키는 각자 다른 종의 4가지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결과는 도 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가지 선발 균주들은 낮게는 39%에서 높게는 86%의 지방산 흡수능을 보였으며, 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이 86%로 가장 높은 흡수능을 가지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Exopolysaccharide(EPS)는 미생물이 대사 시 분비하여 축적되는 다당류로, 세포벽 주위에 협막을 형성하거나 세포벽 외부에 점질 형태로서 존재하는 1차 또는 2차 대사 산물이다. 유산균이 생성하는 EPS는 발효유제품에서 천연 안정제로 효능이 입증되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생리적인 기능성 소재로 연구되어왔다. 대표적으로 면역 관련 기능성이 보고 되었고 이 외에도 체지방 감소 및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효능도 보고되고있다. 유산균이 당을 섭취하여 EPS를 생성하면 체내에 잘 흡수 되지 않는 다당류로 변환되어 배출됨으로 기존 당과 경쟁적으로 작용될 수 있으며, 이는 칼로리 흡수를 저하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산이 우수한 균주들의 EPS 생성능 검증을 통해 추가적인 체지방 감소 관련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EPS 생성능 확인을 위해 sucrose agar1% trypton, 0.5% yeast extract, 0.5% dipotassium phosphate, 0.5% diammonium citrate, 5% sucrose, 15% agar, pH 7.0)에 선발 균주들을 스트리킹 도말하여 37℃, 혐기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한 뒤 콜로니의 점성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선발 4균주 모두 점성을 띠는 mucoid colony를 띄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6. 리파아제(Lipase) 효소 억제 활성
췌장 리파아제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2-모노아실글리세롤(2- 과 지방산으로 분해하는 지방분해효소로, 섭취된 지방을 50% 내지 70% 정도 분해하는 효소이다. 리파아제 활성이 증가하게 되면 체내 섭취되는 지방을 더욱 흡수하여 체내 지방세포의 축적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면 음식물로부터 흡수된 지방의 분해가 감소하게 되며, 체내 지방 흡수가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칼로리 섭취량을 감소시켜 몸무게를 줄여주는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
리파아제 억제능은 Lipid(triglyceride)에 리파아제를 처리한 혼합물에 선발 균주 일정 시간 반응 후 최종적으로 분해되어 나오는 지방산(FA) 농도를 측정하여, 균주 처리 시 리파아제 활성을 얼마나 억제하는지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Triolein(80mg), Lecithin(10mg) 및 Taurocholic acid(5mg)을 9mL의 TES buffer(0.1M TES, 0.1M NaCl, pH7.0, Biosaesang, South Korea)에 첨가하여 lipid solution을 제조하고 10unit/mL로 희석된 Pancreatic Lipase(500unit/mg) 용액을 준비한다. 100ul의 열처리 사균체 용액과 lipid solution 100ul 및 50ul의 Lipase 용액(10unit)을 혼합하여 37℃의 heat-block에 30분간 반응시킨다. 반응 후 분해된 지방산(FA)의 측정은 EnzyChrom™ Free Fatty Acid Assay Kit (Bio-Assay Systems,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선발된 4균주들의 리파아제 억제 활성은 균주가 처리되지 않은 혼합물(대조군)에서 유리된 지방산(FA)의 양과 비교하였다(도 5).
LPL-53 균주가 약 45%로 가장 우수한 리파아제 활성 억제능을 보였으며, LH-04균주 및 LP02 균주가 각각 34.3% 및 25.8%의 억제능을 보였다. LF-01균주는 리파아제 활성 억제능을 보이지 않았다. 리파아제 활성을 보인 3가지 균주는 체지방 감소 효능을 지닌 유산균으로 알려진 LG 균주의 억제능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포도당(glucose) 흡수 저해능 평가
음식물의 소화 과정에서 탄수화물은 일반적으로 단당류인 포도당(glucose)로 최종 분해되어 장에서 흡수된다. 흡수되는 포도당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만 과잉 섭취된 포도당은 흡수되지 못하고 지방산과 만나 지방세포를 생성하여 비만을 유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국표준균주은행(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한 인체 유래 장 세포인 Caco-2(human epithelial)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장 세포에 선발 균주들 처리 한 뒤 세포의 당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포도당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Caco-2 세포는 10% 소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이 포함된 MEM(Gibco, USA) 배지에 배양하였으며, 세포를 96 well plate에 100% confluence를 나타낼 때까지 2일 이상 배양한 뒤, 2일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하며 15일 동안 3D layer의 세포 표면을 형성할 때까지 배양한다. 배양 완료 후 선발 균주가 1x107 CFU/mL 수준으로 희석된 혈청 및 포도당이 첨가되지 않은 DMEM(ATCC, USA) 배지를 Caco-2 세포에 처리한 뒤 37℃ 의 5% CO2 환경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한다. 6시간 후 균주 및 배지를 제거한 뒤 1xPBS로 세척하고 세포의 포도당 흡수 정도를 Glucose uptake-Glo assay kit(Promega, USA)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4종의 선발 균주들 중 BCC-LPL-53 및 BCC-LF-01 균주를 처리한 세포의 당 흡수 정도가 아무것도 처리하지않은 대조군 세포의 당 흡수 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BCC-LF-01은 대조군 대비 43%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BCC-LPL-53은 대조군 대비 38%의 억제율을 보였다.
실시예 8.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활성
1) 3T3-L1 지방세포 분화 유도
미국표준균주은행(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한 생쥐 유래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인 3T3-L1 cell을 10% 소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이 포함된 DMEM(ATCC, USA)배지를 이용하여 5% CO2 incubator,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mouse embryonic fibroblast를 지방 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T3-L1 세포가 100% confluence를 나타내는 시점(day 0)으로부터 2일 후(day 2)에 120% confluence의 세포를 사용한다. 배양된 3T3-L1 세포의 기존 배지를 제거한 후, 10% FBS, 1% P/S, 1μg/mL insulin(Sigma, USA), 0.5mM 3-isobutyl-1-methlxanthine(IBMX, Sigma, USA) 및 1μM dexamethasone(Sigma, USA)이 포함된 DMEM(분화 배지, MDI)로 배양한다. 분화 배지 처리 2일 후(day 4)에 10% FBS와 1μg/mL insulin이 포함된 DMEM(인슐린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하였다. 이로부터 2일 후(day 6)에 10% FBS만 포함된 기존 DMEM 배지(안정화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하였다. 안정화 배지 교체 4일 후(day 10) 3T3-L1 세포의 90% 이상이 지방세포로 분화되어 지방구를 형성하면 완전히 분화되었다고 본다.
2) 3T3-L1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 억제능 평가
배양한 3T3-L1 지방세포에 분화 배지를 첨가하는 시점(day 0)에 각각의 시험 균주 열처리/동결건조 분말을 1mg/mL(0.1%)로 함께 첨가하였다. 분화 배지 처리 2일 뒤 균주 및 분화 배지를 제거 한 후, 위에서 설명 한 분화 유도 방법으로 인슐린 배지 및 안정화 배지 교체의 과정을 거쳐 총 10일간 분화 시킨다.
분화 완료 후 지방구가 생성된 3T3-L1 지방전구세포(maturing 3T3-L1 pre-adipocyte) 배양액을 1xPBS로 2번 세척하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포르말린 (Biosesang, South Korea)으로 30분 동안 첨가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포르말린 제거 후, 60% isopropanol을 처리하여 5분간 세포를 추가 고정한다. Isopropanol을 제거 한 뒤, 0.5% Oil-Red O(Sigma, USA)와 D.W.가 3:2 비율로 희석된 염색 시약을 고정된 세포에 처리하여 20분 동안 염색했다. 염색 시약을 제거한 뒤, 1xPBS 로 2회 세척하여 염색된 지방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분화도의 측정은 Isopropanol 100%(Duksan, South Korea)를 염색된 세포에 처리하여 염색 시약을 유리시킨 뒤,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도 7)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 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BCC-LP02 사균체를 처리한 군이 78.7%로 가장 높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을 보였으며, BCC-LH-04, BCC-LPL-53 및 BCC-LF-01이 각각 72.4%, 63.9% 및 17.7%의 정도로 지방분화도를 억제하였다. BCC-LF-01을 제외한 선발 3균주는 상용화 된 체지방 감소 기능성 균주인 Lactobacillus 복합물(LCP)과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억제능을 보였다.
실시예 9. 체지방 감소 선발 균주의 대사적 특성 확인 및 후보군 설정
유산균이 배양 시 이용하는 대사적 특성을 확인하여 균주 간의 시너지 효과를 입증함과 동시에 포뮬레이션 설정을 위해, 선발 균주들의 배양 시간에 따른 대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간단한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선발 된 체지방 감소 후보 균주 4균주를 혐기조건 37℃ 에서 18시간 이상 배양하면서 각 균주의 생장곡선에 대해 시간대별 5개 지점(0h, mid-exponential phase, late exponential phase, early stationary phase and stationary phase)을 선정 한 뒤, 해당 지점의 배양액을 수거하여 원심분리한 상등액의 대사체를 LC-MS/MS을 사용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도 8에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기산, 아미노산 및 탄수화물 등을 포함한 총 74개의 대사체들이 동정되었고, 위 도 8과 같이 5개 대사체(glyceric acid, malic acid, orotic acid, lactose 및 N.I. 11 metabolite)에서 균주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 2와 같이 선발 4균주간의 대사체 이용 상호 관계를 분석한 결과 BCC-LPL-02와 BCC-LPL-53은 4가지 대사체에서 모두 서로 상호 및 중립의 관계를 가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그 외 균주들은 모두 1가지 이상의 대사체에서 경쟁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BCC-LF-01 및 BCC-LH-04는 4가지의 대사체에서 모두 경쟁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선발 4균주 중에서 공배양에서의 대사체 분석을 통해 상호 보완 관계를 가지는 BCC-LPL-02와 BCC-LPL-53을 포뮬레이션 균주로 선정하였다.
표 2.
Figure 112022056395916-pat00002
실시예 10. 선정 동물실험 후보군 포뮬레이션 설정
대사체 분석 시 상호 보완 관계를 가지는 BCC-LP-02 및 BCC-LPL-53의 동물실험 포뮬레이션 비율 설정을 위해 두 균주의 열처리 사균체 동결건조 분말을 실시예 4에 따라 개별 균주 및 각 비율 별 포뮬레이션을 선정하여 인슐린으로 분화가 유도된 지방전구세포인 3T3-L1에 처리하여 그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BCC-LP-02 및 BCC-LPL-53을 각각 8:2, 6:4, 4:6 및 2:8의 비율로 처리 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냈다.
시험 결과 개별 균주를 처리한 시험군 보다 포뮬레이션을 처리한 시험군에서 더 우수한 분화 억제능을 나타냈고, 포뮬레이션 중에서는 BCC-LP-02 및 BCC-LPL-53를 6:4와 4:6의 비율로 처리한 세포에서 분화 세포 대비 각각 8.8% 및 10.6%로 유의하게 낮은 분화율을 보였다.
표 3에 실시예 1부터 실시예 9까지의 결과를 취합하여 선발 과정을 요약하였다. 종합적으로 BCC-LPL-53이 가장 우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보였으며, 대사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BCC-LP-02를 선발하여 한 뒤, 비율 실험을 통하여 최종 동물실험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표 3.
Figure 112022056395916-pat00003
실시예 11. 실험동물에서의 체지방 감소 효과 실험
마우스에서의 체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5주령 C57BL/6J(Charles River Japan) 마우스를 1주간 순치 후, 3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1군은 보통식이(ND)를 투여한 군, 제2군은 고지방식이(HFD, 60 Kcal% fat diet, D12492)를 투여한 군, 제3군은 고지방식이(HFD)와 함께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F(LP02+LPL53, 109 CFU/mouse)을 투여한 군으로, 주 5회 경구투여 하였다. 매주 2회 체중(body weight)과 식이 섭취량(food intake)을 확인하고 8주 투여 후에 부검하여 지방 조직의 무게 및 크기를 측정하였다.
1) 마우스 체중 증가율의 감소
0 주차 체중을 100%로 하여 시간에 다른 체중 증가율을 측정하여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군(HFD+F)은 제2군(HFD)과 비교하여, 1주 후부터 0 주차 체중을 100%로 하여 시간에 따른 체중 증가율을 측정하여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군(HFD+F)은 제2군(HFD)과 비교하여, 1주 후부터 체중 증가율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6주차에는 제3군의 체중 증가율이 139.86%이고, 제2군의 증가율은 146.56%로, 제3군은 제2군보다 체중 증가율이 6.7% 감소하였다. 8주차에는 제3군의 체중 증가율은 148.06%로 6주차와 비교하여 체중 증가가 8.2%인 반면에, 제2군의 체중 증가율은 158.65%로 6주차와 비교하여 12.1% 체중 증가하였다. 특히, 8주차에 제3군은 제2군보다 체중 증가율이 10.6% 감소하였다. 하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군의 8주가 체중 증가량은 11.12이고, 제2군의 8주간 체중 증가량은 13.40으로, 약 17%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지방식이를 한 제2군과 고지방식이를 하면서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F(LP02+LPL53)을 동시 투여한 제3군을 비교한 결과, 1주 후부터 체증 증가율에 차이를 나타내기 시작하면서 시간이 갈수록 체중 증가율이 차이가 현저히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
Figure 112022056395916-pat00004
2) 식이 효율(food efficiency)의 감소
8주 동안의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식이 효율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22056395916-pat00005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군은 제2군에 비해서 마우스당 식이 섭취량이 1.8배 증가 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오히려 2.3g 감소하였다. 따라서 체중 증가량과 식이 섭취량으로 식이 효율을 계산한 결과, 제2군에서는 4.90으로 나타났지만 제3군에서는 2.21로 제2군에 비해 약 55% 훨씬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제1군에서의 식이 효율 2.20과 유사한 값을 보였다. 도 11 에서도 볼 수 있듯이,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F(LP02+LPL53)을 처리한 그룹이 식이 섭취량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서 체중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피하지방, 부고환지방 및 신장주위지방의 감소
8주간 투여 및 부검 후에 피하지방, 부고환지방 및 신장주위지방의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22056395916-pat00006
상기 표 6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군의 체지방은 제2군의 체지방의 양과 비교하여 피하지방은 31.7%, 부고환지방은 19.9%, 신장주위지방은 19.6%로 유의하게(P<0.01)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 복합물 F(LP02+LPL53)이 마우스 체지방 감소 개선에 있어 현저하게 뚜렷한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수탁번호]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 14808BP(BCC-LP-02)
KCTC 14809BP(BCC-LPL-53)
수탁일자 : 2021. 12. 06.

Claims (13)

  1. (i)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및
    (ii)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CC-LP-02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CC-LPL-53 균주는 서열번호 2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다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지방산(FA) 농도 감소;
    세포외다당류(EPS) 생성;
    리파아제(lipase) 효소 억제 활성;
    포도당(glucose) 흡수 저해능;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활성.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CC-LP-02 균주 및 BCC-LPL-53 균주의 공배양(co-culture)시 글리세린산, 말산 오르틴산 및 락토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대사체 이용 과정에서 상호 보완 관계를 유지하며 생장에 도움을 주는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체중 증가율 감소,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감소, 또는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소장세포 또는 소화관에서 지방 흡수 억제, 탄수화물 흡수 저해 및/또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12. (i)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및
    (ii)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i) 수탁번호 KCTC14808B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BCC-LP-02 균주; 및
    (ii) 수탁번호 KCTC 14809B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CC-LPL-53 균주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220065475A 2022-05-27 2022-05-27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KR10249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75A KR102499838B1 (ko) 2022-05-27 2022-05-27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PCT/KR2023/007170 WO2023229394A1 (ko) 2022-05-27 2023-05-25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75A KR102499838B1 (ko) 2022-05-27 2022-05-27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838B1 true KR102499838B1 (ko) 2023-02-16

Family

ID=8532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475A KR102499838B1 (ko) 2022-05-27 2022-05-27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9838B1 (ko)
WO (1) WO20232293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394A1 (ko) * 2022-05-27 2023-11-30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655A (ko) * 2015-02-16 2016-08-24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bg-c1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73239B1 (ko) * 2017-10-13 2018-07-04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10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6173A (ko) * 2018-10-08 2018-10-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81333B1 (ko) * 2018-10-31 2019-05-23 주식회사 메디오젠 항비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4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68078A (ko) * 2017-12-08 2019-06-18 한국식품연구원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0407A (ko) * 2017-12-26 2019-08-02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94445B1 (ko) * 2021-02-17 2021-08-27 주식회사 메디오젠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mg459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38B1 (ko) * 2019-11-22 2021-12-28 이진영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94442B1 (ko) * 2021-02-17 2021-08-27 주식회사 메디오젠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mg4555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99838B1 (ko) * 2022-05-27 2023-02-16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655A (ko) * 2015-02-16 2016-08-24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bg-c1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73239B1 (ko) * 2017-10-13 2018-07-04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10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8078A (ko) * 2017-12-08 2019-06-18 한국식품연구원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0407A (ko) * 2017-12-26 2019-08-02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116173A (ko) * 2018-10-08 2018-10-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81333B1 (ko) * 2018-10-31 2019-05-23 주식회사 메디오젠 항비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4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94445B1 (ko) * 2021-02-17 2021-08-27 주식회사 메디오젠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mg459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394A1 (ko) * 2022-05-27 2023-11-30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9394A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279B1 (ko)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US10676708B2 (en) Method for preparing microbial preparation and microbial preparation produced by the same
KR102134209B1 (ko) 효소 생산능이 우수한 전통 발효식품 유래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곡물 발효 효소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US11738057B2 (en) Lactobacillus having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and antioxidant effect
AU2017337936B2 (en) Novel Lactobacillus Sakei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N116814464B (zh) 一株发酵粘液乳杆菌jf5及其在制备减脂和助消化食品药品中的应用
KR101426275B1 (ko) 지방합성 억제 및 지방산화 촉진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5종의 유산균 복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56867B1 (ko) 콜레스테롤 저감 및 비만증세 완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kdb009 및 이의 용도
CN116555076B (zh) 一株长双歧杆菌长亚种my1及其在制备通便和护肠食品药品中的应用
US20230141868A1 (en) Microorganism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or inhibiting fat accumulation, and uses of same
KR102499838B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US20230107022A1 (en) Lactobacillus rhamnosus lrh05 isolate, and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7054111B2 (ja) 乳酸菌、該乳酸菌由来の血糖低下剤、糖尿病治療薬、及び飲食品
US11484557B2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er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er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16286519B (zh) 一株副干酪乳酪杆菌ks3及其在制备抗衰老和助消化食品药品中的应用
KR100889300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k7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1266328B1 (ko)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에이치와이702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CN116555075B (zh) 一株植物乳植杆菌jf1及其在制备抗衰老食品药品中的应用
KR102536627B1 (ko) 키위 발효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34006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495246B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09616B1 (ko) 항비만효과를 가지는 케피어 유래 프로바이오틱 균주
US20200069748A1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re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re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220057323A (ko) 락토바실러스 무단지앙엔시스 ckdb001 균주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비만,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6656526B (zh) 一株植物乳植杆菌jf4及其在制备降血糖和降胆固醇食品药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