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532B1 -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532B1
KR101607532B1 KR1020150190229A KR20150190229A KR101607532B1 KR 101607532 B1 KR101607532 B1 KR 101607532B1 KR 1020150190229 A KR1020150190229 A KR 1020150190229A KR 20150190229 A KR20150190229 A KR 20150190229A KR 101607532 B1 KR101607532 B1 KR 10160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kim29
weissella
composition
present
glucosid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희
박해웅
최학종
이진아
박보연
이세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9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23L1/0345
    • A23L1/3014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2Alpha-glucosidase (3.2.1.2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은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당뇨 또는 비만 개선, 정장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발효 식품의 스타터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eissella confusa WIKIM29 capable of inhibiting alpha-glucosidase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에 의한 올리고당의 분해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일부 식물이나 미생물에 분포하고 있다. 미생물 기원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로는 액티노플라네스(Actinoplanes) 균주 기원의 수도올리고당(pseudooligosaccharide), 스트렙토마이시스(Streptomyces) 및 바실러스(Bacillus) 속의 세균이 생산하는 1-데옥시노지리마이신(1-deoxynojirimycin)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유도체는 혈당강하용 의약품으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현재 많은 수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들이 임상실험 중이거나 이미 약제로서 시판되고 있으며, 이미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혈당 강하용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로는 바이엘(Bayer)사의 액티노플라네스 균주가 발효하여 생산하는 이차 대사산물인 수도올리고당의 1972년에 발견된 물질인 아카보오스(Acarbose)를 주성분으로 하는 글루코베이(Glucobay), 1978년에 스트렙토마이시스 속 균주로부터 분리된 1-데옥시노지리마이신(Asano, l994)의 유도체인 미글리톨(miglitol)과 에미글리테이트(emiglitate) 중 미글리톨(DeBuono et al, l993), 또한 다케다 (Takeda)사의 발리오라닌(valiolanin)의 유도체인 보글리보오스(Voglibose) 등이 있다. 또한, 임상시험 단계까지 이른 물질에는 폴리펩티드인 텐다미스테트(tendamistat), 단당류인 에미글리테이트(emiglitate) 등이 있다. 이러한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미생물의 배양액에서 많이 분리되었는데, 특히 액티노플라네스(Actinoplanes), 앰풀라리엘라(Ampullariella) 및 스트렙토포란지움(Streptoporangium) 속의 균과 아스페르질러스(Aspergillus) 및 클라도소리움(Cladosorium) 속의 곰팡이 균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생산이 보고되었다.
이들 대부분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탄수화물 유도체로서, 활성 부위에 치환된 시클로헥센 고리와 4,6-디-데옥시-4-아미노-D-글루코오스(4,6-dideoxy-4-amino-D-glucose) 구조를 가지며, 이 구조의 아미노기가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히드록실기가 기질의 산소 결합에 가수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저해한다. 그 밖에도 다양한 기원의 폴리페놀류가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에만 특이적이지는 않지만 효과적으로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며, 따라서 혈당 상승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혈당강하 및 비만치료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억제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억제제를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웨이셀라(Weissella) 속 유산균은 그람 양성균으로 호기성 조건과 혐기성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상 혐기성이며, 헤테로 발효를 하고 운동성 및 내성 포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특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바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 균주 유래의 글리코시드 히드롤라제(glycoside hydrolase)에 대해 보고한 바 있으나, 상기 균주가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보고는 개시된 바 없다.
삭제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43421호(2014.04.09)
본 발명은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 저해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신규한 웨이셀라 속 유산균 균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우수한 효과는 나타내는 유산균 균주를 찾고자 노력한 결과, 신규한 웨이셀라 속 유산균 균주인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을 분리, 동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은 김치 유래의 웨이셀라 컨퓨사 신규 균주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의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김치에서 분리, 동정하기는 했으나, 이의 입수 경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 상기 유산균 균주는 도 1의 트리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웨이셀라 컨퓨사와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본 발명의 미생물을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 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5년 12월 16일자로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KFCC11638P).
본 발명의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은 그람양성균이고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간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의 일반적인 정장 효과 및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 웨이셀라 속의 유산균이 정장 효과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 내에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단일 또는 복합균주 형태로 사람이나 동물에 건조된 세포 형태나 발효산물 형태로 급여될 경우, 숙주의 장내 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이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능 테스트에서 높은 저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비만 예방, 면역강화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은 생균체 또는 사균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조성물 내에 포함시키기 적합한 유산균의 형태 및 제제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포함하는 정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 조성물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 질환의 예방, 치료, 개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물은 소, 말, 돼지와 같은 가축을 포함한다. 상기 '위장 질환'으로는 위장 위해 세균감염 및 염증성 장 질환을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병원성 미생물(대장균, 살모넬라, 클로스트리디움 등)에 의한 감염성 설사, 위장염증, 염증성 장 질환, 신경성 장염 증후군, 소장 미생물 과성장증, 장 급이성 설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위장 질환의 종류, 질환의 정도, 연령, 성별, 인종, 치료 또는 예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1천만 마리에서 1000억마리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웨이셀라 속의 유산균이 정장 효과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발명은 또한,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포함하는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포함하는 비만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포함하는 발효용 유산균 스타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은 이러한 유리한 작용으로 인해 의약, 건강기능식품, 식품,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당, 옥수수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뇨 또는 비만 개선용 식품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발효유 등의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비타민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식물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로써 이용될 수 있다.
사료 첨가제로써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등의 유기산이나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료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탑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를 동물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사료는 동물의 식이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곡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곡분, 또는 옥수수/콩곡분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동물, 및 실험용 설치동물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어류로서 송어 등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은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위장 질환 또는 비만 예방, 면역강화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발효용 스타터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의 분자계통학적 유연 관계를 보여주는 트리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의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능을 확인한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의 동정
김치 추출물의 원액을 MRS 배지에 도말하여 얻은 균단일집락을 루프로 수거하여 MRS broth에 배양하였다. DNA 추출은 QIAamp DNA Mini Kit (QIAgen, Germany)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1% 아가로스 겔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16S rRNA gene을 증폭하기 위하여 추출된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진행하였고, PCR 조건은 denaturation 95℃ 1분, annealing 45℃ 1 분, extension 72℃ 1 분 30초로 30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PCR 산물은 마크로젠(Seoul, Korea)에 의뢰하여 서열을 분석하였다. 세균의 동정은 16SrRNA 서열을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www.ncbi.nlm.nih.gov)의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검색엔진과 EzTaxon 서버로 유사도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또한, Gen III Microplates와 inoculating fluid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이 각 탄소원을 이용하면 +로, 이용하지 않으면 -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을 위한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 상기 유산균 균주는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도시한 도 1의 트리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웨이셀라 컨퓨사 JCM1093와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 관계를 보였다.
<서열번호 1> 16S rRNA of Weissella confusa WIKIM29
CTTGACAACTCCAGAGATGGAGCGTTCCCTTCGGGGACAAGG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TACTAGTTGCCAGCATTCAGTTGGGCACTCTAGTG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CGTATACAACGAGTTGCCAACCCGCGAGGGTGAGCTAATCTCTTAAAGTACGTCTCAGTTCGGATTGTAGGCTGCAACTCGCCTACATGAAGT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GCGGTTGGAATACGTTTCCCCGGGTCTTGTACACACCCGCCCGTCACACCATGAGGAGTTTGTAACACCCAAAGCCCGGTGGGGTAACCTTCCGGGAGCCAGCCGTCTAAGGTGGGACAGATGATTAGGGTGAAGTCG
이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5년 12월 16일자로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KFCC11638P).
Characteristic Weissella confusa WIKIM29
Dextrin +
D-Maltose +
D-Trehalose -
D-Cellobiose +
Gentiobiose +
Sucrose +
D-Turanose +
Stachyose -
D-Raffinose -
α-D-Lactose +
D-Melibiose -
β-Methyl-DGlucoside +
D-Salicin +
N-Acetyl-D-Glucosamine +
N-Acetyl-β-D-Mannosamine +
N-Acetyl-D-Galactosamine -
N-Acetyl Neuraminic Acid -
α-D-Glucose +
D-Mannose +
D-Fructose +
D-Galactose +
3-Methyl Glucose +
D-Fucose +
L-Fucose -
L-Rhamnose -
Inosine +
D-Sorbitol -
D-Mannitol -
D-Arabitol -
myo-Inositol -
Glycerol -
D-Glucose-6-PO4 +
D-Fructose-6-PO4 +
Aspartic Acid -
D-Serine -
Gelatin -
Glycyl-L-Proline -
L-Alanine -
L-Arginine -
L-Aspartic Acid -
L-Glutamic Acid -
L-Histidine -
L-Pyroglutamic Acid -
L-Serine -
Pectin +
D-Galacturonic Acid -
L-Galactonic Acid Lactone -
D-Gluconic Acid +
D-Glucuronic Acid -
Glucuronamide +
Mucic Acid -
Quinic Acid -
D-Saccharic Acid -
p-Hydroxy-Phenylacetic Acid -
Methyl Pyruvate +
D-Lactic Acid Methyl Ester +
L-Lactic Acid +
Citric Acid -
α-Keto-Glutaric Acid -
D-Malic Acid -
L-Malic Acid -
Bromo-Succinic Acid -
Tween 40 -
γ-Amino-Butryric Acid +
α-Hydroxy- Butyric Acid +
β-Hydroxy-D,Lbutyric Acid -
α-Keto-Butyric Acid +
Acetoacetic Acid +
Propionic Acid -
Acetic Acid +
Formic Acid -
본 발명의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분석 결과, 그람양성균이며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이다. 또한, 헤테로발효를 하며 운동성 및 내성포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실시예 2: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의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저해 활성 측정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을 각각 MRSB 배지(Difco) 에서 30℃에서 1일 동안 배양하였다. 균주의 배양액을 11000rpm/10min으로 원심분리하여 펠렛과 배양액을 분리하였고 배양액과 MRSB 배지를 Oasis HLB 96-well Plate (Waters)를 통해 분리 정제 하였다. 배양액과 MRSB 배지 샘플 40㎕과 5 unit α-glucosidase 10㎕를 37℃에서 2시간 동안 incubation하였다. 기질 4-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를 5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에 각각 10mM이 되게 용해하였다. Incubation한 배양액 샘플에 위 기질 50㎕ 넣은 후, 37℃에서 하루 동안 incubation한다. 1M의 Na2CO3를 100㎕를 각 샘플에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405nm 흡광도를 이용하여 p-nitrophenol을 측정하였다. MRSB 배지 샘플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여 하기 일반식에 따라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일반식]
Figure 112015129049117-pat00001
상기 식에서, A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배양액을 넣은 시료의 흡광도, B는 대조군의 흡광도이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에 대한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능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의 결과에 따르면,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은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능 테스트에서 대조군(MRSB 배지)과 비교한 결과,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배양액에서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능이 약 84%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638P 20151216
<110> World Institute of Kimchi <120> Weissella confusa WIKIM29 capable of inhibiting alpha-glucosidase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130> P15R10C1614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530 <212> RNA <213> Weissella confusa WIKIM29 <400> 1 tttgaatcat ggctcaggat gaacgctggc ggcgtgccta atacatgcaa gtcgaacgct 60 ttgtggttca actgatttga agagcttgct cagatatgac gatggacatt gcaaagagtg 120 gcgaacgggt gagtaacacg tgggaaacct acctcttagc aggggataac atttggaaac 180 agatgctaat accgtataac aatgacaacc gcatggttgt tatttaaaag atggttctgc 240 tatcactaag agatggtccc gcggtgcatt agctagttgg taaggtaatg gcttaccaag 300 gcgatgatgc atagccgagt tgagagactg atcggccaca atgggactga gacacggccc 360 atactcctac gggaggcagc agtagggaat cttccacaat gggcgaaagc ctgatggagc 420 aacgccgcgt gtgtgatgaa gggtttcggc tcgtaaaaca ctgttgtaag agaagaatga 480 cattgagagt aactgttcaa tgtgtgacgg tatcttacca gaaaggaacg gctaaatacg 540 tgccagcagc cgcggtaata cgtatgttcc aagcgttatc cggatttatt gggcgtaaag 600 cgagcgcaga cggttattta agtctgaagt gaaagccctc agctcaactg aggaattgct 660 ttggaaactg gatgacttga gtgcagtaga ggaaagtgga actccatgtg tagcggtgaa 720 atgcgtagat atatggaaga acaccagtgg cgaaggcggc tttctggact gtaactgacg 780 ttgaggctcg aaagtgtggg tagcaaacag gattagatac cctggtagtc cacaccgtaa 840 acgatgagtg ctaggtgttt gagggtttcc gcccttaagt gccgcagcta acgcattaag 900 cactccgcct ggggagtacg accgcaaggt tgaaactcaa aggaattgac ggggacccgc 960 acaagcggtg gagcatgtgg tttaattcga agcaacgcga agaaccttac caggtcttga 1020 catcccttga caactccaga gatggagcgt tcccttcggg gacaaggtga caggtggtgc 1080 atggttgtcg tcagctcgtg tcgtgagatg ttgggttaag tcccgcaacg agcgcaaccc 1140 ttattactag ttgccagcat tcagttgggc actctagtga gactgccggt gacaaaccgg 1200 aggaaggtgg ggatgacgtc aaatcatcat gccccttatg acctgggcta cacacgtgct 1260 acaatggcgt atacaacgag ttgccaaccc gcgagggtga gctaatctct taaagtacgt 1320 ctcagttcgg attgtaggct gcaactcgcc tacatgaagt cggaatcgct agtaatcgcg 1380 gatcagcacg ccgcggttgg aatacgtttc cccgggtctt gtacacaccc gcccgtcaca 1440 ccatgaggag tttgtaacac ccaaagcccg gtggggtaac cttccgggag ccagccgtct 1500 aaggtgggac agatgattag ggtgaagtcg 1530

Claims (7)

  1. 수탁번호 KFCC11638P의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
  2.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 수탁번호 KFCC11638P)을 포함하는, 알파 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의 활성 저해를 통한 당뇨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 ; 수탁번호 KFCC11638P)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뇨 또는 비만 개선용 식품인, 식품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인, 식품 조성물.
  6.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 수탁번호 KFCC11638P)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용 유산균 스타터.
  7.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Weissella confusa WIKIM29 ; 수탁번호 KFCC11638P)을 포함하는 정장제 조성물.
KR1020150190229A 2015-12-30 2015-12-30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0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229A KR101607532B1 (ko) 2015-12-30 2015-12-30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229A KR101607532B1 (ko) 2015-12-30 2015-12-30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532B1 true KR101607532B1 (ko) 2016-03-31

Family

ID=5565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229A KR101607532B1 (ko) 2015-12-30 2015-12-30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379B1 (ko) * 2016-11-14 2018-03-05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컨퓨사 WIKIM51(Weissella confusa WIKIM5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08520A (ko) * 2020-02-25 2021-09-03 박수민 난황 황색도를 높이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며 난황계수가 향상된 기능성 유정란을 생산하기 위한 매리골드를 활용한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정란 생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57B1 (ko) 2010-05-25 2010-11-19 (주)비타바이오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바이셀라 컨퓨자 유산균주
CN103571782A (zh) 2013-11-26 2014-02-12 江南大学 一株融合乳杆菌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57B1 (ko) 2010-05-25 2010-11-19 (주)비타바이오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바이셀라 컨퓨자 유산균주
CN103571782A (zh) 2013-11-26 2014-02-12 江南大学 一株融合乳杆菌及其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379B1 (ko) * 2016-11-14 2018-03-05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컨퓨사 WIKIM51(Weissella confusa WIKIM5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08520A (ko) * 2020-02-25 2021-09-03 박수민 난황 황색도를 높이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며 난황계수가 향상된 기능성 유정란을 생산하기 위한 매리골드를 활용한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정란 생산 방법
KR102364769B1 (ko) * 2020-02-25 2022-02-23 박수민 난황 황색도를 높이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며 난황계수가 향상된 기능성 유정란을 생산하기 위한 매리골드를 활용한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정란 생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941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R101370942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P3950928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w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KR102013565B1 (ko) 글리세롤로부터 루테린을 고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oh0335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55552A (ko)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51771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070009503A1 (en) Antibio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Antibiotic,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the Antibiotic and/or Said Compositions to Livestock
KR2019006802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2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1749065B1 (ko) 상온 발효가 가능한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mss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66314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ac0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8281B1 (ko) 알레르기성 질환의 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wikim53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57785B1 (ko) 2-하이드록시아이소카프로익 에시드(2-hydroxyisocapro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락티스 WIKIM4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4383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Weissella cibaria WIKIM2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07532B1 (ko)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16396B1 (ko) 질산염 제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1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07964A (ko)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8280B1 (ko) 관절염의 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5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4379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컨퓨사 WIKIM51(Weissella confusa WIKIM5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63809B1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에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WiKim01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39097A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wikim2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190051772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82048B1 (ko) 폐감귤박 배지에서 생장하는 신규 바실러스 속 ls 1-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프로바이오틱스 제조방법
KR102573675B1 (ko)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