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552A -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552A
KR20190055552A KR1020170152395A KR20170152395A KR20190055552A KR 20190055552 A KR20190055552 A KR 20190055552A KR 1020170152395 A KR1020170152395 A KR 1020170152395A KR 20170152395 A KR20170152395 A KR 20170152395A KR 20190055552 A KR20190055552 A KR 20190055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kim0060
lactobacillus plantarum
present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143B1 (ko
Inventor
최학종
오영준
장자영
이지은
김남희
임슬기
권민성
박효경
신미영
정도현
왕인경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1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은 멜라닌 및 홍반 생성 억제, 경피수분증발량 감소 활성을 갖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 정장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having skin whitening and skin moisturizing activities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 빛 중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살균작용의 역할이 있으나, 피부염, 피부암, 일광 화상, 피부노화, 건조, 잔주름 등을 생기게도 한다. 자외선 중간 파장인 UVB(290-320nm)는 급성이나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 심각한 피부 손상을 야기하는데, 피부 진피 내 구성성분이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을 파괴하여 피부의 탄력 손실을 유도하게 되어 그 결과 굵은 주름이 생성된다. 이러한 특징적인 변화들은 광 노화를 유도하며 피부 홍반이나 거칠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 노화로 인해 흑화 증상이 발생되는데, 이는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색소인 멜라닌에 의한다. 멜라닌은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노좀에서 합성되며, 피부 세포 내의 멜라닌 양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광 노화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으로 주름, 보습 및 흑화 개선 화장료로써 유산균, 효모와 같은 미생물을 화장품 산업에 사용하는 예도 증가되고 있다.
유산균은 인체 내에서 유익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로서, 특히, 위 장관 면역 증강의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경구섭취 하였을 때 피부세포의 면역조절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들이 있다. 하지만 유산균의 발효액, 배양액이 아닌 유산균 자체의 생균 섭취와 관련된 피부미백 및 보습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KR 등록특허 제10-1627850호(2016.05.31.)
본 발명은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면서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 균주를 찾고자 노력한 결과,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을 분리, 동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은 김치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신규 균주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을 김치에서 분리, 동정하기는 했으나, 이의 입수 경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SEQ ID NO: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EQ ID NO: 1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본 발명의 미생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7년 10월 18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CM12132P).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은 그람양성균이고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세포는 간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의 일반적인 정장 효과 및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 락토바실러스 속의 유산균이 정장 효과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 내에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단일 또는 복합균주 형태로 사람이나 동물에 건조된 세포 형태나 발효산물 형태로 급여될 경우, 숙주의 장내 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이 UVB 조사 무모 마우스에서 광 손상에 의해 유도되는 멜라닌 및 홍반을 억제하고, 경피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균주가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면역강화,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은 생균체 또는 사균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조성물 내에 포함시키기 적합한 유산균의 형태 및 제제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생균으로 존재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균주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정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 조성물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 질환의 예방, 치료, 개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물은 소, 말, 돼지와 같은 가축을 포함한다. 상기 '위장 질환'으로는 위장 위해 세균감염 및 염증성 장 질환을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병원성 미생물(대장균, 살모넬라, 클로스트리디움 등)에 의한 감염성 설사, 위장염증, 염증성 장 질환, 신경성 장염 증후군, 소장 미생물 과성장증, 장 급이성 설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위장 질환의 종류, 질환의 정도, 연령, 성별, 인종, 치료 또는 예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1천만 마리에서 1,000억마리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락토바실러스 속의 유산균이 정장 효과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색소 침착(hypopigmentation)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색소 침착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멜라닌 과잉 합성 및 축적에 따른 색소 침착으로, 예컨대 기미, 주근깨 또는 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미백”은 자외선 조사에 따른 색소 침착이나 홍반 및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 감소 또는 개선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 개선”은 경피의 수분 증발량이 감소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은 이러한 유리한 작용으로 인해 의약, 건강기능식품, 식품, 사료, 사료 첨가제, 유산균 스타터 또는 화장료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당, 옥수수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용 식품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 바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발효유 등의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또는 이의 배양물로 이루어지는 발효용 유산균 스타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비타민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 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등의 유기산이나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료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탑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를 동물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동물, 및 실험용 설치동물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어류로서 송어 등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균주의 양은 1회를 기준으로 약 106 내지 1012 cfu/g일 수 있으며, 예컨대 107 내지 1011 cfu/g, 108 내지 1010 cfu/g일 수 있다. 균주를 투여할 경우에는 생균 상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섭취 전에 사멸시키거나 감쇄(attenuation) 상태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상등액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경우에는 열처리 과정을 통한 멸균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최소의 효능을 가지는데 필요한 균주량 및 일일 섭취 정도는 섭취자의 신체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 106 내지 1012 cfu/g일 수 있으며, 예컨대 107 내지 1011 cfu/g, 108 내지 1010 cfu/g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미백 및 보습 개선용 화장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은 위에서 기술한 모든 내용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은 멜라닌 및 홍반 생성 억제, 경피수분증발량 감소 활성을 나타내므로,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면역강화, 위장 질환,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발효용 스타터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WiKim0060 균주 처리에 따른 멜라닌 및 홍반 생성 억제 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iKim0060 균주 처리에 따른 멜라닌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WiKim0060 균주 처리에 따른 홍반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WiKim0060 균주 처리에 따른 경피수분증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김치 추출물의 원액을 MRS 배지에 도말하여 얻은 균단일집락을 루프로 수거하여 MRS broth에 배양하였다. DNA 추출은 QIAamp DNA Mini Kit(QIAgen, Germany)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1.5% 아가로스 겔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16S rDNA gene을 증폭하기 위하여 추출된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진행하였고, PCR 조건은 denaturation 95℃ 1분, annealing 45℃ 1분, extension 72℃ 1분 30초로 30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PCR 산물은 마크로젠(Seoul, Korea)에 의뢰하여 서열을 분석하였다. 세균의 동정은 16S rDNA 서열을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www.ncbi.nlm.nih.gov)의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검색엔진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을 위한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SEQ ID NO: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7년 10월 18일자로 기탁하였다(KCCM12132P).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의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 효능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균주는 MRS 배지에서 30℃,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된 균체를 8,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PBS로 헹군 후 남아있는 배지성분을 제거하였다. 이후, PBS를 이용하여 1ⅹ109 CFU/ml 균수로 정량하였으며, 0.1㎖(1ⅹ109 CFU)씩 존대를 이용하여 8주령의 암컷 무모 쥐 모델(female SKH hairless mice)에 UVB 조사 일주일 전부터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이때 음성 및 양성 대조군에는 멸균된 PBS를 투여하였으며, UVB 처리는 주 3회 무모 쥐의 등 부분에 조사하고, 자외선 조사량은 1주차에 2MED(50mJ/cm2)로 조사를 시작하여 매주 1MED씩 높여서 조사하였다. 실험은 총 12주간 진행하였다.
1) UVB 조사 무모 쥐 모델에서의 육안 관찰
UVB 조사 무모 쥐 모델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처리에 따른 피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도 1).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처리군(WiKim0060)에서 멜라닌 및 홍반 정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2) 멜라닌 정도 측정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균주를 실험 동물에 경구투여하여 12주 후, Mexameter(MX18)를 이용하여 멜라닌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 등 부위의 8곳을 측정하여 그 평균 값을 결과 값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조군(C)에 비해 WiKim0060 처리구에서 멜라닌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상군(N)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3) 홍반 정도 측정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균주를 실험 동물에 경구투여하여 12주 후, Mexameter(MX18)를 이용하여 홍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 등 부위의 8곳을 측정하여 그 평균 값을 결과 값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조군(C)에 비해 WiKim0060 처리구에서 홍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경피수분증발량 측정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균주를 실험 동물에 경구투여하여 12주 후, Tewameter를 이용하여 경피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 등 부위의 8곳을 측정하여 그 평균 값을 결과 값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조군(C)에 비해 WiKim0060 처리구에서 경피수분증발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균주 처리에 따른 피부 보습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2132P 20171018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having skin whitening and skin moisturizing activities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130> P17R10C1431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759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400> 1 tgtgaaagcc ttcggctcaa ccgaagaagt gcatcggaaa ctgggaaact tgagtgcaga 60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ga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120 tggcgaaggc ggctgtctgg tctgtaactg acgctgaggc tcgaaagtat gggtagcaaa 180 caggattaga taccctggta gtccataccg taaacgatga atgctaagtg ttggagggtt 240 tccgcccttc agtgctgcag ctaacgcatt aagcattccg cctggggagt acggccgcaa 300 ggc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360 cgaagct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acta tgcaaatcta agagattaga 420 cgttcccttc ggggacatgg at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480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tat cagttgccag cattaagttg 540 ggcactctgg tg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tgac gtcaaatcat 600 catgcccctt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atggtacaac gagttgcgaa 660 ctcgcgagag taagctaatc tcttaaaacc attctcagtt cggattgtag gctgcaactc 720 gcctacatga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 759

Claims (11)

  1. 수탁번호 KCCM12132P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수탁번호 KCCM1213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인 식품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 바 또는 발효유인 식품 조성물.
  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수탁번호 KCCM1213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수탁번호 KCCM1213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정장제 조성물.
  7.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수탁번호 KCCM12132P) 또는 이의 배양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발효용 유산균 스타터.
  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수탁번호 KCCM1213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수탁번호 KCCM1213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과색소 침착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색소 침착은 기미, 주근깨 및 흑자(lentig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1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Lactobacillus plantarum WiKim0060; 수탁번호 KCCM1213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52395A 2017-11-15 2017-11-15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7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395A KR102070143B1 (ko) 2017-11-15 2017-11-15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395A KR102070143B1 (ko) 2017-11-15 2017-11-15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52A true KR20190055552A (ko) 2019-05-23
KR102070143B1 KR102070143B1 (ko) 2020-01-29

Family

ID=6668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395A KR102070143B1 (ko) 2017-11-15 2017-11-15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14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1672A (zh) * 2018-02-12 2019-08-23 景岳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乳杆菌gmnl-6组合物用于皮肤保养的用途
KR102149102B1 (ko) * 2019-07-05 2020-08-27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기능이 있는 더모바이오틱스 블록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63479B1 (ko) 2020-12-30 2021-06-10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산균 사균체 또는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3769B1 (ko) * 2020-11-27 2021-10-18 한국식품연구원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13770B1 (ko) * 2020-11-27 2021-10-18 한국식품연구원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WO2022080839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20230022514A (ko) * 2021-08-09 2023-02-16 (주)정 코스메틱 도고온천수를 이용하여 배양된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2773B1 (ko) * 2022-07-28 2023-09-27 한국콜마홀딩스 주식회사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271B1 (ko) * 2020-09-07 2023-07-03 주식회사 휴먼바이오 참외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3180B1 (ko) 2022-05-25 2022-09-14 주식회사 셀젠느 천연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943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알엔에이 유산균 파쇄물의 상등액을 포함하는 항 염증, 피부 미백 및 항 노화용 조성물
KR20160038864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알엔에이 비배당체가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제제
KR101627850B1 (ko) 2013-07-23 2016-06-07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3586A (ko) * 2016-02-05 2017-08-1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943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알엔에이 유산균 파쇄물의 상등액을 포함하는 항 염증, 피부 미백 및 항 노화용 조성물
KR101627850B1 (ko) 2013-07-23 2016-06-07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8864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알엔에이 비배당체가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제제
KR20170093586A (ko) * 2016-02-05 2017-08-1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1672A (zh) * 2018-02-12 2019-08-23 景岳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乳杆菌gmnl-6组合物用于皮肤保养的用途
CN114072128B (zh) * 2019-07-05 2023-09-12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具有皮肤保湿以及皮肤再生功能的皮肤益生菌块组合物的制造方法
KR102149102B1 (ko) * 2019-07-05 2020-08-27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기능이 있는 더모바이오틱스 블록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21006549A1 (ko) * 2019-07-05 2021-01-14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기능이 있는 더모바이오틱스 블록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4072128A (zh) * 2019-07-05 2022-02-18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具有皮肤保湿以及皮肤再生功能的皮肤益生菌块组合物的制造方法
WO2022080839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20220049069A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313769B1 (ko) * 2020-11-27 2021-10-18 한국식품연구원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13770B1 (ko) * 2020-11-27 2021-10-18 한국식품연구원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263479B1 (ko) 2020-12-30 2021-06-10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산균 사균체 또는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087428A (zh) * 2020-12-30 2022-09-20 杰克斯博士株式会社 包括植物乳杆菌乳酸菌死菌体或乳酸菌的培养物的用于防止或改善皮肤老化的化妆品组成物
WO2022145663A1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산균 사균체 또는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22514A (ko) * 2021-08-09 2023-02-16 (주)정 코스메틱 도고온천수를 이용하여 배양된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2773B1 (ko) * 2022-07-28 2023-09-27 한국콜마홀딩스 주식회사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143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143B1 (ko)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5718916B2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KR101801764B1 (ko) 양모 촉진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wikim55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22004765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or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leuconostoc citreum wikim0104
KR101838281B1 (ko) 알레르기성 질환의 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wikim53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51771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950928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w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KR20180036592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72059B1 (ko) 와이셀라 헬레니카 WiKim0103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51888A (zh) 猪血发酵物的制造方法以及利用上述发酵物的抗菌组合物及养鸡饲料组合物
KR101992331B1 (ko)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005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4383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Weissella cibaria WIKIM2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57785B1 (ko) 2-하이드록시아이소카프로익 에시드(2-hydroxyisocapro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락티스 WIKIM4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62507B1 (ko)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아종 톨러란스 WiKim0148 및 이의 용도
KR101838280B1 (ko) 관절염의 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5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834379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컨퓨사 WIKIM51(Weissella confusa WIKIM5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51772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86438A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및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nucc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39097A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wikim2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0000577A2 (en) Use of honeybush or honeybush extracts for skin and hair
KR102457366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457367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4464B1 (ko) 베타인 생성능을 갖는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 WiKim008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