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675B1 -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675B1
KR102573675B1 KR1020210190020A KR20210190020A KR102573675B1 KR 102573675 B1 KR102573675 B1 KR 102573675B1 KR 1020210190020 A KR1020210190020 A KR 1020210190020A KR 20210190020 A KR20210190020 A KR 20210190020A KR 102573675 B1 KR102573675 B1 KR 102573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kim0142
latilactobacillus
sakei
composition
psori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283A (ko
Inventor
최학종
권민성
오영준
임슬기
박효경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9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75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the 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이나 감염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인 방어기작으로, 주로 면역계를 이루는 체액성 매개체(humoral mediator)가 직접 반응하거나, 국부적 또는 전신적 작동 시스템(effector system)을 자극함으로써 일어나는 연쇄적인 생체반응에 의해 유발된다. 주요 염증성 질환으로는 위염, 염증성 장염 등의 소화기질환, 치주염 등의 구강 질환,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비염 등의 호흡기질환, 아토피 피부염, 탈모, 건선 등의 피부질환,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관절염; 및 비만, 당뇨병, 간경화증 등의 대사질환이 포함된다(특허문헌 0001).
염증 부위에서 발현되는 염증 매개인자, 즉, IL-1α, IL-1β, IL-6, IL-8 등과 같은 싸이토카인(cytokine), 케모카인(chemokine), 활성산소중간생성물,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xygenase-2, COX-2), 5-리폭시게나아제 (5-lipoxygenase, 5-LOX), 매트릭스 매탈로프로티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 MMP) 등은 염증반응의 발생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염증 매개인자들의 발현은 전사인자인 NF-κβ(nuclear factor κβ),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AP-1(activator protein1), HIF-1a(hypoxiainducible factor 1a) 등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0001).
염증성 질환중 하나인 건선은 비정적으로 활성화된 T 세포의 과도한 면역 반응 증가로 인해 피부 조직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자 자가면역 질환으로 극복해야 할 난치성 면역 질환의 하나이다. 현대 사회에는 스트레스, 기후 변화, 불규칙한 생활패턴 등의 영향 인자로 인해 건선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건선 발병 시 대부분 장기 질환으로 진전되며 건선성 관절염, 대사증후군, 심혈관 질환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이 동반될 수 있다. 건선 환자는 전 세계 인구의 약 2~3%에 달하며, 국내에도 2012년 이후 5년간 약 8천 5백 명 정도 증가하여 인구 대비 약 3%에 달하는 16만 8천 명으로 조사되고 있다.
건선은 주로 20대에 발병하여 20년간 지속될 수 있는 질병으로 피부가 거북이 등처럼 갈라지고 각질이 떨어지는 외형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증상으로 인해 건선 환자의 삶이 질적 저하와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현재 건선 치료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 뿐 아니라 평생 치료하고 관리하면서 살아가야 할 만성 질환인 만큼 의료비용이 크게 부담되고 있다. 따라서 치료 부작용이 적으며 염증성 증상 완화에 효과를 보이고, 복용이 간편하면서 안전한 건선증 개선 기술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21-0031301호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이 우수한 신규한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속 유산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 균주를 찾고자 노력한 결과,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 균주인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을 분리, 동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은 김치 유래의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신규 균주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의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김치에서 분리, 동정하기는 했으나, 이의 입수 경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유산균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SEQ ID NO: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EQ ID NO: 1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본 발명의 미생물을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21년 8월 26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CM13042P).
본 발명의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는 그람양성균이고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세포는 간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이 정상군에 비해 건선증 유발 시 등피부 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TNF-α, IL-6) 및 Th17 사이토카인(IL-17)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김치유산균을 투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TNF-α, IL-6) 및 Th17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선증 유발군에 비해 김치유산균 투여군에서 림프절의 T 세포 IL-17 생성을 억제시키는 반면 면역조절 사이토카인인 IL-10 생성 증가 및 면역 조절 T 세포의 분포가 증가하는 것을 밝혔으며, 결과적으로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 (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균주의 건선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는 사람 또는 동물의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사이토카인(IL-1β, TNF-α, IL-6) 및 Th17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IL-17 생성 억제 및 IL-10 생성 증가 효과가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는 생균체 또는 사균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조성물 내에 포함시키기 적합한 유산균의 형태 및 제제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는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배양물이거나, 상기 균주와 추가의 성분을 함께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물이거나, 상기 균주를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상기 균주의 세포막을 용해시키거나, 파쇄 또는 균질화 처리한 용해물(또는 파쇄물)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생균 또는 사균으로 존재하는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위염, 구강염,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부비동염, 비염, 결막염, 천식, 피부염, 염증성 콜라겐 혈관질환, 사구체신염, 뇌염, 염증성 장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패혈증, 패혈성 쇼크증, 폐섬유증, 미분화 척추관절증, 미분화 관절병증, 관절염, 염증성 골용해,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 질환, 궤양성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골관절염, 공피증, 골다공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염, 심내막염, 심낭염, 낭성 섬유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나병, 매독, 라임병 (Lyme disease), 보렐리아증(Borreliosis), 신경성-보렐리아증, 결핵,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루프스, 동창성 루프스, 결핵성 루프스, 루프스 신염,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황반변성, 포도막염, 과민대장 증후군, 크론씨병, 쇼그랜 증후군, 섬유근통, 만성피로 증후군, 만성피로 면역부전 증후군, 근육통성 뇌척수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파키슨병, 및 다발성경화증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건선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 균주의 배양물, 파쇄물, 발효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 균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당, 옥수수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 바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발효유 등의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비타민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 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등의 유기산이나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료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탑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를 동물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은 포유류를 포함하고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동물, 및 실험용 설치동물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 균주의 양은 1회를 기준으로 약 106 내지 1012 cfu/g일 수 있으며, 예컨대 107 내지 1011 cfu/g, 108 내지 1010 cfu/g일 수 있다. 균주를 투여할 경우에는 생균 상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섭취 전에 사멸시키거나 감쇄(attenuation) 상태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상등액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경우에는 열처리 과정을 통한 멸균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최소의 효능을 가지는데 필요한 균주량 및 일일 섭취 정도는 섭취자의 신체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 106 내지 1012 cfu/g일 수 있으며, 예컨대 107 내지 1011 cfu/g, 108 내지 1010 cfu/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으로서, 우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항원 특이적 T세포를 이용한 질환 개선능을 가진 김치 유산균 후보 균주 선별 단계의 그림 (a) 및 그래프 (b)이다.
도 2는 Imiquimod 크림 도포를 통한 건선 마우스의 효과 확인 실험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김치 유산균 WiKim0142 섭취에 따른 건선 증상 개선을 확인한 등 사진 (a) 및 귀 두께 측정 그래프 (b)이다.
도 4는 건선 마우스 등 조직의 염증 마커 mRNA 발현 확인을 통한 건선 개선 효능 검증 그래프이다.
도 5는 림프절의 T 세포 사이토카인 발현 확인을 통한 건선 개선 효능 검증 그래프이다.
도 6은 림프절의 Th17 T 세포 분포 검증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의 분리 및 배양
본 발명자는 김치로부터 김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김치 시료를 파쇄하고 김치 추출물의 원액을 MRS agar 배지(Difco)에 도말 후 30℃에서 24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성된 단일 콜로니를 계대배양하여 균단일 집락을 선별하였고, 선별된 균단일 집락은 16S 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동정하였다.
MRS agar 배지(Difco)에 배양된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Latilactobacillus sakei)의 단일 콜로니를 MRS 배지에서 30℃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체를 8,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PBS로 헹궈서 남아있는 배지 성분을 제거하였다. .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을 위한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SEQ ID NO: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 (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21년 8월 26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CM13042P).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의 API 50 CHL kit (Biomerieux 사)분석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테스트 번호 반응 기질 WiKim0142 테스트 번호 반응 기질 WiKim0142
24 h 48 h 24 h 48 h
0 control - - 25 에스큘린 + +
1 글리세롤 - - 26 살리신 - -
2 에리스리톨 - - 27 셀로비오스 + +
3 D-아라비노스 - - 28 말토스 + +
4 L-아라비노스 + + 29 락토스 - -
5 리보스 + + 30 멜리비오스 + +
6 D-크실로스 - - 31 수크로스 + +
7 L-크실로스 - - 32 트레할로스 + +
8 아도니톨 - - 33 이눌린 - -
9 ß 메틸-D-크실로사이드 - - 34 멜레지토스 - -
10 갈락토스 + + 35 라피노스 - -
11 글루코스 + + 36 녹말 - -
12 프럭토스 + + 37 글리코겐 - -
13 만노스 + + 38 크실리톨 - -
14 소르보스 - - 39 ß 겐티오비오스 - -
15 람노스 - - 40 D-투라노스 - -
16 둘시톨 - - 41 D-라이소스 - -
17 이노시톨 - - 42 D-타가토스 - -
18 만니톨 - - 43 D-푸코스 - -
19 소르비톨 - - 44 L-푸코스 - -
20 메틸-D-만노사이드 - - 45 D-아라비톨 - -
21 메틸-D-글루코사이드 - - 46 L-아라비톨 - -
22 N-아세틸-글루코사민 + + 47 글루코네이트
23 아미그달린 - - 48 2-케토-글루코네이트 - -
24 알부틴 - - 49 5-케토-글루코네이트 - -
실시예 2: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의 건선 개선 효과 확인 결과
도 1의 방법으로 항원 특이적 T 세포를 이용한 질환 개선능을 가진 김치 유산균 후보 균주를 선별하였다. 동족, 동속인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LS01, LS02균주보다, 면역조절 사이토카인 생성 비율 (IL-10/IL-17)이 높은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W0142)를 선별하였다 (도 1 (b)).
Imiquimod 크림을 도포한 건선 마우스에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3주간 경구투여하였으며 (도 2), 건선증 개선을 임상적인 육안 평가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3). Imiquimod 크림을 귀 및 등 피부에 도포(건선증 유발 대조군)하였으며, 3주 동안 건선 치료제인 Dexa를 섭취시킨 군과 WiKim0142를 섭취시킨 군을 비교하였다 (도 3), 그 결과, 정상군(naive)에 비해 건선증 유발 대조군에서 관능 평가시 기준이 되는 귀 및 등 조직에서 홍반, 부풀어 오름의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WiKim0142를 섭취시킨 군에서, 홍반 및 부풀어 오름 현상이 완화되고, 등 피부에서 눈에 띄는 건선 증상 개선 효과가 보였으며(도 3 (a)), 귀두께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b)).
실시예 3: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2에서, 건선 마우스 등 피부 조직의 염증 마커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4). 정상군(Naive)에 비해 건선증 유발 대조군(IMQ)의 등피부 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TNF-α, IL-6) 및 Th17 사이토카인(IL-17)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WiKim0142를 섭취한 마우스의 등 조직에서, IL-1β, TNF-α, IL-6, IL-17, IL-22 및 IL-23의 발현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건선 마우스의 림프절의 T세포 사이토카인의 발현도 확인하였다. (도 5). WiKim0142를 섭취한 마우스의 림프절 T세포의 IL-17 발현 감소 및 IL-10 발현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의 림프절의 면역조절 T세포 분포 검증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2에서, 건선 마우스의 림프절 Th17 T 세포의 분포(도 6)를 검증하였다. WiKim0142를 섭취시킨 군에서, 림프절의 IL-17 생성 T 세포 분포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3042P 20210826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130> P21R10C0822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0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Latilactobacillus sakei <400> 1 tttagattga aggagcttgc tcctgattga taaacatttg agtgagtggc ggacgggtga 60 gtaacacgtg ggtaacctgc cctaaagtgg gggataacat ttggaaacag atgctaatac 120 cgcataaaac ctaacaccgc atggtgtagg gttgaaagat ggtttcggct atcactttag 180 gatggacccg cggtgcatta gttagttggt gaggtaaagg ctcaccaaga ccgtgatgca 240 tagccgacct gagagggtaa tcggccacac tgggactgag acacggccca gactcctacg 300 ggaggcagca gtagggaatc ttccacaatg gacgaaagtc tgatggagca acgccgcgtg 360 agtgaagaag gttttcggat cgtaaaactc tgttgttgga gaagaatgta tctgatagta 420 actgatcagg tagtgacggt atccaaccag aaagccacgg ctaactacgt gccagcagcc 480 gcggtaatac gtaggtggca agcgttgtcc ggatttattg ggcgtaaagc gagcgcaggc 540 ggtttcttaa gtctgatgtg aaagccttcg gctcaaccga agaagtgcat cggaaactgg 600 gaaacttgag tgcagaagag gacagtggaa ctccatgtgt agcggtgaaa tgcgtagata 660 tatggaagaa caccagtggc gaaggcggct gtctggtctg taactgacgc tgaggctcga 720 aagcatgggt agcaaacagg attagatacc ctggtagtcc atgccgtaaa cgatgagtgc 780 taggtgttgg agggtttccg cccttcagtg ccgcagctaa cgcattaagc actccgcctg 840 gggagtacga ccgcaaggtt gaaactcaaa ggaattgacg ggggcccgca caagcggtgg 900 agcatgtggt ttaattcgaa gcaacgcgaa gaaccttacc aggtcttgac atcctttgac 960 cactctagag atagagcttt cccttcgggg acaaagtgac aggtggtgca tggttgtcgt 1020 cagctcgtgt cgtgagatgt tgggttaagt cccgcaacga gcgcaaccct tattactagt 1080 tgccagcatt tagttgggca ctctagtgag actgccggtg acaaaccgga ggaaggtggg 1140 gacgacgtca aatcatcatg ccccttatga cctgggctac acacgtgcta caatggatgg 1200 tacaacgagt tgcgagaccg cgaggtttag ctaatctctt aaaaccattc tcagttcgga 1260 ttgtaggctg caactcgcct acatgaagcc ggaatcgcta gtaatcgcgg atcagcatgc 1320 cgcggtgaat acgttcccgg gccttgtaca caccgcccgt cacaccatga gagtttgtaa 1380 cacccaaagc cggtgaggta a 1401

Claims (11)

  1. 수탁번호 KCCM13042P의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2.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수탁번호 KCCM13042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선은 IL-1β, TNF-α, IL-6, IL-17, IL-22 및 IL-2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의한 것인, 식품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인 식품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 또는 바인 식품 조성물.
  7.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수탁번호 KCCM13042P) 또는 이의 배양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발효용 유산균 스타터.
  8.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수탁번호 KCCM13042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9.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Latilactobacillus sakei WiKim0142; 수탁번호 KCCM13042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건선은 IL-1β, TNF-α, IL-6, IL-17, IL-22 및 IL-2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의한 것인, 약학 조성물.
KR1020210190020A 2021-12-28 2021-12-28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3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20A KR102573675B1 (ko) 2021-12-28 2021-12-28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20A KR102573675B1 (ko) 2021-12-28 2021-12-28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283A KR20230100283A (ko) 2023-07-05
KR102573675B1 true KR102573675B1 (ko) 2023-09-01

Family

ID=8715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020A KR102573675B1 (ko) 2021-12-28 2021-12-28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6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17B1 (ko) 2015-09-01 2016-11-2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23505B1 (ko) 2019-03-26 2020-06-17 한국식품연구원 관절염 저감화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09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608A (ko) * 2011-03-04 2012-09-12 주식회사 알엔에이 면역관련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101
KR20200058849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면역활성이 높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 사균 또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저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1301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의 용도
KR102325947B1 (ko) * 2020-02-05 2021-11-15 주식회사 에이치이엠파마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hem224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천식의 치료용 조성물
KR102441405B1 (ko) * 2020-06-01 2022-09-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 균주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17B1 (ko) 2015-09-01 2016-11-21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23505B1 (ko) 2019-03-26 2020-06-17 한국식품연구원 관절염 저감화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09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rontiers in Microbiology, Vol.9, Article No.1021, pp.1-11(2018.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283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98433B (zh) 包含嗜柠檬酸明串珠菌WiKim0104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肥胖或脂肪肝疾病的组合物
KR20190051771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950928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w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KR102072059B1 (ko) 와이셀라 헬레니카 WiKim0103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802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2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101757785B1 (ko) 2-하이드록시아이소카프로익 에시드(2-hydroxyisocapro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락티스 WIKIM4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498820A1 (en)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acterium or dead cell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ad cells
KR1021306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16396B1 (ko) 질산염 제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1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2562507B1 (ko)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아종 톨러란스 WiKim0148 및 이의 용도
KR102573675B1 (ko) 라티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42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3677B1 (ko)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 WiKim0139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3674B1 (ko) 라티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WiKim0140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3676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0141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7532B1 (ko)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48488B1 (ko) 인삼으로부터 유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8280B1 (ko) 관절염의 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5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90694B1 (ko)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WiKim0130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1772A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06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63809B1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에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WiKim01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91017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WiKim0133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