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8250A1 -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8250A1
WO2014088250A1 PCT/KR2013/010731 KR2013010731W WO2014088250A1 WO 2014088250 A1 WO2014088250 A1 WO 2014088250A1 KR 2013010731 W KR2013010731 W KR 2013010731W WO 2014088250 A1 WO2014088250 A1 WO 20140882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re
molding
powder
temperature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7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규진
Original Assignee
배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은영 filed Critical 배은영
Priority to US14/649,48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325351A1/en
Priority to JP2015546374A priority patent/JP2016507887A/ja
Priority to CN201380068134.0A priority patent/CN104884196A/zh
Publication of WO20140882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8250A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8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particles having an amorphous micro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0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 B22F1/102Metallic powder coated with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0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 B22F1/105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containing inorganic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e.g. metal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6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a non-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4After-treatment of workpieces or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03Making ferrous alloys making amorph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5/00Amorphous alloys
    • C22C45/02Amorphous alloys with iron as the major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08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based on Fe/N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16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based on C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41Preparation processes therefor
    • H01F1/1535Preparation processes therefor by powder metallurgy, e.g. spark e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83Applying coatings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8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4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by moulding or by pressing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2003/023Lubricant mixed with the metal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22F2003/145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by warm compacting, below debinde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4After-treatment of workpieces or articles
    • B22F2003/248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amorphous or microcrystal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 C22C2202/02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frequency band from several KHz to several tens of MHz by automatic molding at a high temperature of 200 to 550 ° C., which has not been possible in the prior art, and has a high permeability amorphous green powder core core having a high permeability of 75% or mo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the permeability is not high is that the molding density is only about 70% of the true density, and one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increase the molding temperature.
  • a conventional lubricant cannot be used as a precondition, and a lubricant tha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is required, and an improvement in insulation properties is required as the compression density by molding is increas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high molding density, no surface crack, good inter-particle insulation, low frequency dependence, high permeability by high temperature molding with a small variation in the effective permeability even in high frequency band To provide amorphous green cores.
  • the molding may be performed at a pressure of 10 to 25 ton / cm 2 in a temperature section of 200 to 550 ° C., and the heat treatment of the core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400 to 600 ° 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은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분말 간의 절연제로서 인산코팅 및 폴리이미드계에 의한 2회 코팅을 실시하고, 고온에서 분말의 윤활이 가능한 이황화몰리브덴(MoS2) 혹은 흑연분말을 사용하여, 약 200~550℃의 온도에서 자동 압축성형을 통하여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고, 실효투자율이 75 이상이면서, 50KHz 주파수와 유도자속밀도 1000Gauss의 조건하에서 철손이 300mW/cc 이하로 매우 낮은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온에서 자동 성형한 고투전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는 성형 밀도가 높고 표면 크랙이 전혀 없으며, 입자간 절연이 양호하여 주파수 의존성이 적으며,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기 때문에 수 KHz에서 수십 MHz 주파수 대역의 전기 및 전자 디바이스의 자성 재료로서 이용 가능한 경제적인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종래 기술로는 불가능하였던 200~550℃의 고온에서 자동성형에 의하여 수 KHz에서 수십 MHz 주파수 대역까지 적용이 가능하며, 실효투자율이 75 이상인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자성 비정질 합금은 결정질 재료에 비해 투자율, 철손 등이 우수하여 전기 및 전자 기기의 각종 디바이스의 자성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적 용도로는 트랜스포머, 인덕터, 모터, 제너레이터, 릴레이 등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은 기계적 합금화법, 급냉 응고법, 수분사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고압의 수분사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고압의 수분사법은 낙하하는 용탕을 30MPa 이상이 되는 고압의 물을 분사시켜 미립으로 분쇄하고 급냉시켜서 평균입경이 30㎛ 이하인 미립의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의 제조 방법이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한 발명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37226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연자성 비정질 합금을 결정화 부근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나노 결정된 비정질 합금은 결정화 온도 이하에서 열처리한 비정질 합금에 비해 연자기 특성이 매우 양호하다.
아울러, 적정 열처리에 의해 나노 결정화가 유망한 비정질 상태의 합금 분말계로는 Fe-Si-B계, Fe-Al-B계, Fe-Nb-B 등이 있다. 이들 합금의 결정화 온도는 약 400~500℃ 전후이다.
이러한 뛰어난 연자기 특성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업화가 지연된 이유는 비정질 합금자체가 지닌 고강도 및 고인성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온에서의 성형에 의해서는 실효투자율이 최대로 60 정도가 한계이다. 따라서 상온에서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를 제조하는 방법이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한 발명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특허 10-0344010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투자율이 높지 못한 이유는 성형밀도가 진밀도의 약 70%에 불과한 것에 기인하는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성형온도를 높이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전제조건으로 종래의 윤활제를 사용할 수 없고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윤활제가 필요하고 성형에 의한 압축밀도가 높아짐에 따른 절연성의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을 이용한 코아 제조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그 연화점이 비정질 합금의 결정화 온도보다 낮아야 하며, 상온에서도 적절한 결합 강도를 나타내 상온에서 성형 압력에 따라 코아의 자체 형상을 유지하면서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적정 바인더로는 폴리이미드계와 페놀계의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의 성형 공정은 합금의 비정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합금의 결정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에서 합금 분말을 성형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에 연화점이 낮은 글라스 분말을 기계적으로 보올 밀(Ball mill method) 등을 이용하여 혼합한 다음, 약 500℃ 부근의 고온에서 글라스 분말을 연화시켜 가압함으로써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을 접합시키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이때 적용되는 실험적 성형방법으로는 열간등방가압(Hot Isotropic Pressing)이 있으며, 이 외에도 폭약법, 충격총법 등이 있으나 이 방법들은 모두 매우 높은 에너지를 얻기 위한 특수 장치가 필요하며, 특히 성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연속생산이 불가능하여 대량생산도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00~550℃의 온도범위에서 고온 자동성형하는 제조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진밀도가 85%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자동성형기술에 의해 종래에는 불가능하였던 수 KHz에서 수십 MHz 주파수대역까지 이용 가능한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의 절연성 및 성형 시에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회 코팅을 실시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한 다음, 고온에서도 윤활성을 유지하는 금속산화물계 윤활제를 적용하여, 200~550℃의 온도범위에서 자동 압축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상온 성형 시에 사용되는 성형프레스에서 생산이 될 수 있고,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은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성형 밀도가 높고 표면 크랙이 전혀 없으며, 입자간 절연이 양호하여 주파수 의존성이 적으며,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은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은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은, (a)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에 인산과 폴리이미드계 수지 0.5-3.0wt%를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2회 액상 코팅처리를 행하여 균일하고 치밀하게 코팅된 복합 입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복합 입자를 이황화몰리브덴(MoS2) 혹은 흑연의 미립분말을 윤활제로 하여 0.5 - 3.0wt%로 균일 혼합하는 단계; (c) 혼합분말을 고온 성형하는 단계; 및 (d)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성형은, 200~550℃의 온도구간에서 10~25ton/cm2의 압력으로 하며, 코아의 열처리는, 400~6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은, Fe계, Ni계 및 Co계 등이며, 상기 각 코팅의 양은, 총질량의 0.5~3.0wt%가 적당하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은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제조방법에 따른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는, 실효투자율이 75 이상이며, 1MHz 및 0.1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투자율비가 0.90 이상이며, 주파수 50KHz와 유도자속밀도 1000Gauss의 조건하에서 철손이 300mw/cc 이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은 기계적 합금화법, 급냉 응고법, 수분사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고압의 수분사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을 사용하였다. 특히 비정질 상태로서 사용이 유망한 합금 분말계로는 Fe계(Fe-Si-B계, Fe-Al-B계, Fe-Nb-B계 등), Co계(Co-Fe-Si-B계) 등이 있다. 이들 합금의 결정화 온도는 약 400~500℃ 전후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자성 비정질 분말의 절연성 및 성형 시에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회 코팅이 적당하며, 본 발명에서의 1차 코팅제로서는 인산을 적용하였다. 인산 코팅양은 총질량의 0.5~3.0wt%가 적당하다. 0.5wt% 이하에서는 절연성이 떨어지며, 3.0wt% 이상에서는 연자기 특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2차 코팅제는 절연성 및 성형 시에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팅제의 연화점이 비정질 합금의 열처리보다 낮아야 하며, 200~550℃의 온도에서도 적정 결합강도를 나타내어야 하기 때문에 성형 압력에 따라 코아의 자체 형상을 유지하면서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적정 바인더로서는 폴리이미드(polyimide)계와 페놀(phenol)계의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압분자심 코아 제조 시에 사용되는 물유리계(water glass)는 총질량의 3.0wt%(중량 백분율) 까지 첨가하더라도 분말 입자간 접합 강도가 약하므로 부적당하다. 본 발명에서의 바인더의 양은 총질량의 0.5~3.0wt%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양이 총질량의 0.5wt% 이하에서는 접합 강도가 약하여 비정질 합금 분말의 성형화가 곤란하며, 한편 바인더의 양이 너무 많으면 합금 분말 입자간의 접합 강도는 강해지지만 성형된 압분자심 코아에서 비정질 합금 분말의 양이 적게 되어 연자기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총질량 '이란, 제조되는 코아를 구성하는 코팅제와 비정질 합금의 질량의 합을 의미하며, 유기 용매의 질량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바인더를 코팅하여 제조한 비정질 합금 분말의 고온 윤활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이황화몰리브덴(MoS2) 혹은 흑연 분말이 적당하며, 분말의 평균입경은 1~10㎛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첨가량은 총질양의 0.5~3.0wt%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wt% 이하에서는 분말간의 윤활성이 결여되며 이로 인하여 성형용 펀치에 손상을 끼치게 되며, 3.0wt% 이상은 연자기 특성이 저하되고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압분자심 코아 성형 시에는 10~30ton/cm2의 압력이 적당하다. 성형 압력이 10ton/cm2 이하이면 압분자심 코아의 성형밀도가 낮아져 연자기 특성이 나빠지며, 한편 너무 높으면 성형 다이스의 마모 및 파손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여 생산 원가 단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의 성형 시의 온도는 200~550℃의 온도영역이 바람직하다. 성형 온도가 200℃ 이하에서는 적정 성형밀도가 구현되지 않으며, 성형 온도가 높을수록 코아의 성형 밀도가 높아지고 분말 입자간 치밀도가 높아지지만, 비정질 합금 분말의 특성상 결정화 이하의 온도에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비정질 합금 분말의 결정화 온도는 400~550℃ 부근이므로 최대 성형온도는 5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압분자심 코아의 열처리 온도는 비정질 합금 성분 및 전처리 온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인 나노 결정화가 되지 않는 비정질 합금 분말계의 경우는 비정질 합금의 결정화 온도보다 50~100℃ 정도 낮은 350~500℃가 적당하다. 압분자심 코아의 열처리 온도가 너무 낮으면 성형 시에 발생한 내부 응력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으며, 너무 높으면 비정질상에서 결정상으로 상변태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한편, 나노 결정화가 가능한 비정질 합금분말의 열처리인 경우에는 결정화 온도영역에서 열처리를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정질 합금을 결정화 부근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나노결정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이와 같은 나노결정화가 가능한 비정질 합금은, 결정화 온도 이하에서 열처리한 비정질 합금에 비해 연자기 특성이 매우 양호하다.
본 발명에서의 열처리 분위기는 비활성 가스 또는 환원성 가스 분위기로 하고, 시간은 30~60분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열처리 시간이 너무 짧으면 충분한 응력제거 및 결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한편 너무 길면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고온성형에 의한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은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분말간의 절연제로서 인산코팅 및 폴리이미드계에 의한 2회 코팅을 실시하고, 고온에서 분말의 윤활이 가능한 이황화몰리브덴 (MoS2) 혹은 흑연분말을 사용하여, 200~550℃의 고온에서 압축 성형을 통하여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으면서 실효투자율이 75 이상이며 철손이 매우 낮은 고온성형에 의한 고유전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성형 후에 성형 밀도가 높고 표면 크랙이 전혀 없으며, 입자간 절연이 양호하여 주파수 의존성이 적으며,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기 때문에 수 KHz에서 수십 MHz 주파수 대역의 전기 및 전자 디바이스의 자성 재료로서 이용 가능한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인 실시예 1은, 고압의 수분사법에 의해 제조된 적정 열처리에 의해 나노 결정화가 유망한 비정질 상태의 합금 분말인 Fe73.5Si13.5B9Nb3Cu1(평균 입경 약 15㎛) 1000g에 인산(H3PO4) 10g을 아세톤에 넣어 희석하여 1차 인산 코팅처리를 하여 건조한 다음, 폴리이미드 10g을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용액에 녹여 제조된 용액으로 2차 코팅처리를 한 후, 건조처리를 행하여 폴리이미드가 평균 입경 약 15㎛의 비정질 합금 분말의 표면에 약 1㎛ 이하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된 복합 입자의 분말을 제조하여 건조한 다음에 평균입경이 3㎛인 이황화몰리브덴(MoS2)분말 10g을 균일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혼합된 복합입자 분말을 약 450℃의 온도로 유지된 외경 12.7mm, 내경 7.65mm 크기의 성형 다이스의 내부에 2.50g 정도로 자동 장입한 후 20ton/㎠의 압력으로 분당 10타의 속도로 성형하여 평균 높이 4.75mm의 압분자심 코아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성형된 압분자심 코아는 아르곤(Ar) 가스 분위기의 550℃의 온도에서 60분간 열처리하여 코아의 내부조직이 나노 결정화된 압분자심 코아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태의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해 측정된 밀도, 크랙 발생 유무 및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실효 투자율(effective permeability), 철손(core loss) 등의 자기 특성을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나온 결과를 종합하여 표 1에 나타낸다.
여기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밀도는 코아의 실질량을 코아의 체적으로 나누어 계산된 값이며, 크랙 발생유무는 10개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제조 시에 1개 이상 크랙 발생 시에 크랙 발생으로 판단하였으며, 실효 투자율은 LCR meter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10mOe의 외부 자장 하에서 측정된 값이다. 철손값은 주파수 50kHz와 유도 자속밀도 1000Gauss의 조건하에서 BH Analyzer로 측정한 것이다.
표 1
조건번호 비정질합금계 성형온도(℃) 크랙발생유무 성형밀도(g/cm3) 열처리온도(℃) 실효투자율 투자율비 철손(mW/cc)
실시예1 Fe73.5Si13.5B9Nb3Cu1 450 X 6.10 550 185 0.91 185
실시예2 Fe73.5Si13.5B9Nb3Cu1 450 X 6.08 550 145 0.95 160
실시예3 Fe73.5Si13.5B9Nb3Cu1 450 X 6.05 550 140 0.97 150
실시예4 Fe73.5Si13.5B9Nb3Cu1 200 X 5.59 550 75 0.98 220
300 X 5.64 550 87 0.98 200
400 X 5.89 550 127 0.97 170
실시예5 Fe73.5Si13.5B9Nb3Cu1 450 X 6.05 570 174 0.98 195
실시예6 Fe83Nb7B9Cu1 450 X 6.05 570 135 0.98 185
실시예7 Fe78Si13B9 400 O 5.91 410 85 0.99 280
비교예1 Fe73.5Si13.5B9Nb3Cu1 450 O 6.15 550 140 0.71 423
비교예2 Fe73.5Si13.5B9Nb3Cu1 450 X 5.45 550 115 0.53 745
비교예3 Fe73.5Si13.5B9Nb3Cu1 25 X 5.45 550 61 0.99 310
Fe73.5Si13.5B9Nb3Cu1 100 X 5.46 550 61 0.99 305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실시예 2는, 인산 25g으로 인산코팅처리를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제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실시예 3은, 폴리이미드 20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여 용액을 제조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제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실시예 4는, 성형온도를 200℃, 300℃, 400℃의 온도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자기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실시예 5는, 평균입경이 5㎛인 흑연분말을 윤활제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자기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실시예 6은, 고압의 수분사법에 의해 제조된 Fe83Nb7B9Cu1 비정질 합금 분말(평균 입경 약 16㎛)을 사용하여 코아를 성형하고 결정화 이상의 온도인 56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제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실시예 7은, 고압의 수분사법에 의해 제조된 Fe78Si13B9 비정질 합금 분말(평균 입경 약 12㎛)을 사용하여 압분자심 코아를 성형하고 결정화 이하의 온도인 41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7은 비정질 합금을 결정화 부근의 온도이하에서 열처리하였기 때문에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나노결정이 형성된 비정질 압분자심과는 다르게 일반적인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에 대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제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여기서, 표 1을 참조하면, 성형온도가 증가하면 성형밀도가 직선적으로 증가하다가 400℃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며, 더불어 실효투자율도 급격히 증가하며, 종래 연속생산에서 불가능하였던 실효투자율이 75 이상 가능하며, 특히 400℃ 이상에서는 실효투자율이 125 이상 가능하다. 철손도 300mW/cc 이하로 매우 우수하며, 이는 일반적인 압분자심 코아인 Sendust, HF, MPP에 비하여 우수하다. 1MHz 및 0.1MHz 주파수 대역에서의 투자율비는 0.90 이상으로 주파수 의존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국 수십 MHz의 주파수 대역까지 사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비교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폴리이미드 3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여 용액을 제조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제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인산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제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성형온도를 25℃ 및 100℃의 온도에서 성형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결정화된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에 대한 제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여기서, 표 1을 참조하면, 성형온도가 200℃ 이하에서는 성형밀도가 5.5g/㎤을 넘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실효투자율이 75 이상 불가능하며, 코팅을 단독으로 하거나 코팅양이 적을 때는 압분자심 코아 내의 크랙이 일부 발생하였으며, 또한 코아 내부의 분말간의 절연성이 떨어져서 주파수 특성이 크게 나빠지며, 철손이 크게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고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고투전율의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는 성형 밀도가 높고 표면 크랙이 전혀 없으며, 입자간 절연이 양호하여 주파수 의존성이 적으며,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실효투자율의 변화폭이 적은 연자성 재료로서, 결정질 재료에 비해 실효투자율, 철손 등이 매우 우수하여, 수 KHz에서 수십 MHz 주파수 대역의 각종 전기 및 전자 디바이스의 자성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적 용도로는 트랜스포머, 인덕터, 모터, 제너레이터, 릴레이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a)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에 2회 코팅을 실시하여 분말 간에 절연성, 결합력 및 성형성이 우수한 복합 입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복합 입자 분말에 고온 윤활제인 미립의 이황화몰리브덴(MoS2) 혹은 흑연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분말을 고온에서 자동 성형하는 단계;
    (d) 상기 성형된 복합 입자 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은 Fe계, Ni계 및 Co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비정질 합금 분말의 2회 코팅 실시는, 1차 코팅에서는 인산코팅으로서 코팅양은 총질량의 0.5~3.0wt%이며, 2차 코팅에서는 폴리이미드로서 코팅양은 총질량의 0.5~3.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시에 성형온도는 200~550℃ 범위의 고온에서 10~30ton/㎠의 압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400~5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따른 고투전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는, 실효투자율이 85 이상이며, 1MHz 및 0.1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투자율비가 0.90 이상이며, 50KHz 주파수와 유도자속밀도 1000Gauss의 조건하에서 철손값이 300mW/c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의 제조 방법에 따른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PCT/KR2013/010731 2012-12-04 2013-11-25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8825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49,488 US20150325351A1 (en) 2012-12-04 2013-11-25 High-permeability amorphous compressed powder core by means of high-temperature molding,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2015546374A JP2016507887A (ja) 2012-12-04 2013-11-25 高温成形による高投資率の非晶質圧粉磁心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380068134.0A CN104884196A (zh) 2012-12-04 2013-11-25 基于高温成型的高磁导率非晶质压粉磁芯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29 2012-12-04
KR1020120139429A KR101499297B1 (ko) 2012-12-04 2012-12-04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코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8250A1 true WO2014088250A1 (ko) 2014-06-12

Family

ID=5088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731 WO2014088250A1 (ko) 2012-12-04 2013-11-25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25351A1 (ko)
JP (1) JP2016507887A (ko)
KR (1) KR101499297B1 (ko)
CN (1) CN104884196A (ko)
WO (1) WO20140882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3068A (zh) * 2021-06-02 2021-09-07 安徽智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铁钴基壳核软磁合金磁芯粉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147B1 (ko) * 2014-09-10 2017-01-09 티엠나노테크 주식회사 메탈케이스 제조방법
CN105047395A (zh) * 2015-08-14 2015-11-11 杭州史宾纳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钕铁硼各向异性多极磁环全自动热压一次成型设备
KR101837280B1 (ko) * 2016-07-04 2018-03-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희토류계 소결 자석의 제조방법
KR101837279B1 (ko) * 2016-07-04 2018-03-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희토류계 영구 자석의 결정립 성장 제어 방법
KR102082810B1 (ko) * 2018-04-12 2020-03-02 제닉스주식회사 고성능 복합 전자파 차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970188A (zh) * 2018-09-28 2020-04-07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粘结磁体及其制造方法
KR102080088B1 (ko) * 2019-03-29 2020-02-24 제닉스주식회사 전자파의 차폐 및 흡수 기능이 우수한 복합 자성체 차폐시트
KR102080087B1 (ko) * 2019-03-29 2020-02-24 제닉스주식회사 전자파의 차폐 및 흡수와 방열 특성이 우수한 자성체시트의 제조방법
CN110853858A (zh) * 2019-11-13 2020-02-28 中钢集团南京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升压电感用有效磁导率为125的铁硅铝镍软磁粉心及其制备方法
KR102244550B1 (ko) * 2019-12-24 2021-04-2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합금 분말을 이용한 비정질 연자성 코어 제조 방법 및 비정질 연자성 코어
KR102293279B1 (ko) 2020-04-20 2021-08-26 제닉스주식회사 전자파 흡수체용 과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흡수체의 제조 방법
CN114260455A (zh) * 2021-12-28 2022-04-01 苏州铂韬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磁导率吸波粉体的球磨工艺
KR20230173414A (ko) 2022-06-17 2023-12-27 제닉스주식회사 압분자심 코어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압분자심 코어
KR20240003268A (ko) 2022-06-30 2024-01-08 제닉스주식회사 고주파 특성이 우수한 비정질 복합 분말 코어 제조 방법
KR20240010220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필리퍼 고온 성형에 의한 Fe-xSi(x=4-10.0wt%) 합금 압분자심 코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465A (ko) * 2001-02-16 2001-05-07 김규진 고주파 특성이 우수한 나노 결정 합금 분말 코아 및 그제조 방법
KR20010067174A (ko) * 1999-09-09 2001-07-12 구보다코포레이션 비정질 연자성체의 제조 방법
KR20050015563A (ko) * 2003-08-06 2005-02-21 주식회사 아모텍 철계 비정질 금속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자성코어의 제조방법
KR20060054395A (ko) * 2003-08-06 2006-05-22 니뽄 가가쿠 야킨 가부시키가이샤 연자성 복합분말 및 그 제조방법과 연자성 성형체의제조방법
JP2009019259A (ja) * 2007-07-13 2009-01-29 Daido Steel Co Ltd 非晶質軟磁性金属粉末および圧粉磁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5786B1 (en) * 1985-06-26 1990-01-31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core and preparation thereof
JPH0247812A (ja) * 1988-08-10 1990-02-16 Tdk Corp アモルファス合金圧粉コ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4004B2 (ja) * 2001-03-21 2009-06-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圧粉磁心用粉末、高強度圧粉磁心の製造方法
CN100442403C (zh) * 2004-09-30 2008-12-10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软磁材料,粉末磁芯和制备软磁材料的方法
CN100429024C (zh) * 2006-09-27 2008-10-29 王忠强 高磁导率铁粉芯的制造方法
JP2008189950A (ja) * 2007-02-01 2008-08-21 Sumitomo Electric Ind Ltd 軟磁性粉末の製造方法、軟磁性材料の製造方法、圧粉磁心の製造方法、軟磁性粉末、軟磁性材料、および圧粉磁心
JP5370688B2 (ja) * 2010-03-18 2013-12-18 Tdk株式会社 圧粉磁心及びその製造方法
US9646756B2 (en) * 2010-03-26 2017-05-09 Hitachi Powdered Metals Co., Ltd. Powder magnetic co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27983B2 (ja) * 2010-04-09 2012-05-0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圧粉磁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5438669B2 (ja) * 2010-12-28 2014-03-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圧粉磁心用鉄基軟磁性粉末および圧粉磁心
JP2012253317A (ja) * 2011-05-09 2012-12-20 Kobe Steel Ltd 圧粉磁心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圧粉磁心
KR101242570B1 (ko) * 2011-06-17 2013-03-19 한국화학연구원 자가냉각 특성을 갖는 내마모성 코팅 조성물
JP6052960B2 (ja) * 2012-01-12 2016-12-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軟磁性鉄基粉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174A (ko) * 1999-09-09 2001-07-12 구보다코포레이션 비정질 연자성체의 제조 방법
KR20010035465A (ko) * 2001-02-16 2001-05-07 김규진 고주파 특성이 우수한 나노 결정 합금 분말 코아 및 그제조 방법
KR20050015563A (ko) * 2003-08-06 2005-02-21 주식회사 아모텍 철계 비정질 금속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자성코어의 제조방법
KR20060054395A (ko) * 2003-08-06 2006-05-22 니뽄 가가쿠 야킨 가부시키가이샤 연자성 복합분말 및 그 제조방법과 연자성 성형체의제조방법
JP2009019259A (ja) * 2007-07-13 2009-01-29 Daido Steel Co Ltd 非晶質軟磁性金属粉末および圧粉磁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3068A (zh) * 2021-06-02 2021-09-07 安徽智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铁钴基壳核软磁合金磁芯粉的制备方法
CN113363068B (zh) * 2021-06-02 2022-09-20 安徽智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铁钴基壳核软磁合金磁芯粉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84196A (zh) 2015-09-02
KR101499297B1 (ko) 2015-03-05
JP2016507887A (ja) 2016-03-10
US20150325351A1 (en) 2015-11-12
KR20140071631A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8250A1 (ko) 고온성형에 의한 고투자율 비정질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 방법
CN102623121B (zh) 一种铁硅材料及μ90铁硅磁粉芯的制造方法
WO2014116004A1 (ko) Fe계 비정질 금속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정질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CN102294474B (zh) 一种铁硅材料及μ50铁硅磁粉芯的制造方法
CN103730224A (zh) 具有超高磁导率的铁基非晶磁粉芯的制备方法
CN104190945A (zh) 一种非晶金属软磁粉芯的制备方法
CN102294475B (zh) 一种铁硅材料及μ60铁硅磁粉芯的制造方法
CN103745791A (zh) 一种具有超高磁导率的铁基纳米晶磁粉芯的制备方法
CN102294476A (zh) 一种铁硅材料及μ75铁硅磁粉芯的制造方法
KR100374292B1 (ko) 대전류 직류중첩특성이 우수한 역률개선용 복합금속분말및 그 분말을 이용한 연자성 코아의 제조방법
CN103377786B (zh) 一种铁硅铝合金磁粉芯的制备方法
CN102303115B (zh) 一种铁硅材料及μ26铁硅磁粉芯的制造方法
US20160303652A1 (en) Iron powder for dust cores
WO2013111957A1 (ko) 연자성 코어 재료용 Fe-Al 합금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자성 코어의 제조 방법
KR20230173414A (ko) 압분자심 코어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압분자심 코어
CN109192430B (zh) 提高金属软磁粉芯高频有效磁导率的制备方法及产品
CN104036903A (zh) 一种铁硅镍磁粉芯的制备方法
KR100344010B1 (ko) 고주파 특성이 우수한 비정질 합금 분말 코아 및 그 제조방법
WO2024014639A1 (ko) 고온 성형에 의한 fe-xsi(x=4-10.0wt%) 합금 압분자심 코어의 제조 방법
WO2014175555A1 (ko) 고성능 센더스트 압분자심 코아 및 그 제조방법
CN102214510B (zh) 一种铁镍合金软磁材料及其制造方法
WO2021133149A1 (ko) 합금 분말을 이용한 비정질 연자성 코어 제조 방법 및 비정질 연자성 코어
KR102466860B1 (ko) Fe-Ni계 연자성 합금 분말의 열처리 조건, 이를 이용한 코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8013A (ko) 철계 나노결정 비정질 합금분말 및 이를 이용한 철계 나노결정 압분자심코아의 제조방법.
KR102617701B1 (ko) 연자성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덕터 코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96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4637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64948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96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