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4267A1 - 현미순 재배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및 음식조리방법 - Google Patents

현미순 재배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및 음식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4267A1
WO2014014267A1 PCT/KR2013/006386 KR2013006386W WO2014014267A1 WO 2014014267 A1 WO2014014267 A1 WO 2014014267A1 KR 2013006386 W KR2013006386 W KR 2013006386W WO 2014014267 A1 WO2014014267 A1 WO 20140142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water
air
growth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3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선
고성년
Original Assignee
Kim Jong Sun
Ko Sung Nye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7766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3629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956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41746B1/ko
Application filed by Kim Jong Sun, Ko Sung Nyeon filed Critical Kim Jong Sun
Priority to CN201380038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486939A/zh
Priority to JP2015523007A priority patent/JP2015530871A/ja
Publication of WO20140142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42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ducing brown rice sprouts by germinating brown rice, as well as a cultivation method and a food cooking method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sterilizati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losed space and sterilization process of water required for cultivation of brown rice sprou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produce high productivity and non-polluted brown rice sprouts by applying hydroponic cultivation by artificially supplying light, air and water by artificially supplying the sealed space by minimizing the amount of free radicals and active oxyge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eparing food using brown rice sprouts grown by the above cultivation method so that germinated brown rice can be grown without corruption.
  • arabinoxysilane is a complex of representative polysaccharides, arabinose and xylose, which inhibits free radicals, which is useful for NK cell activation function and leukocyte activation function to enhance body immunity and remove tumor cells. It is a substance.
  • aribinoxysilane has a high absorption rate in the intestine of the body and has an advantage of easy digestion by increasing digestive enzymes.
  • Melatonin is basically a natural hormone that is naturally produced in the body. It increases HDL cholesterol, which is useful for the human body, while lowering harmful LDL cholesterol and reducing triglycerides to improve lipid metabolism in the blood. It is a useful ingredient having functions such as enhancement.
  • Gava is also a non-protein amino acid widely distributed in nature and is an amino acid neurotransmitter in the body.
  • Gabba is a useful substance that functions as an antistress, blood pressure suppression, growth hormone secretion, pain relief, and activating the brain blood flow.
  • brown rice When using brown rice as a food ingredient, it is possible to consume nutritionally excellent foods. Recently, many studies and sales of foods using germinated brown ric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food have been made, but in the case of brown rice, i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germinated brown rice. Even though it contains nutrients, it is not used as a food ingredient, and research on food using brown rice sprouts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brown rice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obtain a high content of active ingredients such as melatonin and gaba.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repared using brown rice cultivated by the cultivation meth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food using brown rice grown by the above cultivation method.
  • a growth space is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t least one of brown rice and wheat, and an air inlet is formed at one side and an exhaust port is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to connect the space part and the outside.
  • the air supply unit for sterilizing the external air dur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located on one side of the growth case and supplying the external water to the growth space brown rice and wheat Spray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for sterilizing and alkalizing the water in the process of water supply.
  • the air supply unit has an air intake duct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n air movement path is formed therein, and an air intake duct in which a portion except the air intake duct is located in the growth space in the air outlet is formed at the side thereof.
  • Intake air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located in the intake port, the filter is formed in the air movement path and filters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take air flow control unit, the air formed in the air movement path and passed through the filter
  • At least one sterilization lamp for sterilizing and may be formed in the air movement path and may include a thermo-hygrostat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being moved.
  • the intake duct may include a first duct positioned outside the growth case and a second duct positioned inside the growth space, and the thermo-hygrostat is positioned 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 the sterilizing lamp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ake ducts, and the air outle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uct.
  •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for receiving water, the water conversion unit for connecting the water tank to change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into a low molecular form and at the same time suppressing the ionic reaction.
  • Under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for steriliz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one end is located in the growth space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may include a water injection pipe for spraying water supplied to the brown rice and wheat accommodated in the growth space .
  •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ourmaline, volcanic stone and oxygen generator installed in the water tank.
  • a nutrien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accommodating a separate nutrient solution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gether into the growth space in a water supply process of the water tank.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edestals positioned in the growth space, and stacked in a vertically spaced space, and a receiving container seated on each pedestal, wherein the brown rice and the wheat are accommodated. Exposed in a stacked form can be sprayed separately to each of the containers, each pedestal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ide end so that the water dropped on each pedestal flows to one 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each pedestal As it fall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falling water into the pedestal and the receiving vessel located below.
  • it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lamp located in the growth space, wherein the illumination lamp may have a color rendering index of 91 or more.
  •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growth space through the intake duct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so that a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growth space.
  • the brown rice germination step of repeating two to three to five hours keeping in dark conditions, the first growth step of brown rice to repeat two cycles of keeping the brown rice for three to five hours in light and dark conditions, 2nd growth step of repeating the cycle of maintaining the brown rice sprouts for 2 to 4 hours in the light condition and the dark condition, respectively; and 3 repeating 4 to 10 times maintaining the brown rice sprouts for 1 to 3 hours in the light condition and the dark condition, respectively.
  • the brown rice germination step is a condition of the temperature of 36 to 37 °C and relative humidity 60 to 75%,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praying water for 10 seconds at intervals of 30 minutes.
  • the first growth step of the brown rice is a condition of the temperature of 30 to 35 °C and relative humidity of 60 to 80%,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praying water for 15 seconds at intervals of 30 minutes.
  • Any one ste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econd order growth stage, the third order growth st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is a condition of light intensity 800 to 900 Lux, temperature 30 to 35 °C and relative humidity 60 to 80%,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praying for 15 seconds at intervals of 15 minutes.
  • Any one ste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econd window growth step, the third growth step and a combination thereof may further include injecting carbon dioxide.
  • F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od prepared by the cultivation method.
  • the method for preparing por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ixing 50 to 99.9% by weight of germinated brown rice and 0.1 to 50% by weight of brown rice grown by the cultivation method and the mixture and water by weight ratio of 1.0: 1.0 to Mixing 1.0: 2.0 to produce porridge.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mpted to cultivate brown rice sprouts in view of the nutrients are better than germinated brown rice in the case of brown rice sprouts, but in the case of germinated brown rice, there is a problem that easily decays after a certain length, while studying to solve this problem, Cultivation method for cultivating brown rice sprouts with good nutrition and no smell without decaying germination brown rice by adjusting the cultivation conditions of brightness, temperature, humidity and luminous time and pattern of food using brown rice cultivated by the cultivation method The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brown rice refers to rice from which rice husks consisting of rice bran layers, pears and pears are removed
  • germinated brown rice refers to brown rice sprouted from the brown rice, and brown rice sprout of brown rice It means the sprout of brown rice which sprouted.
  • water is used to water the plant during plant cultivation, and it is meant to include all water that can be commonly used for plant cultivation.
  • the water was collected in the water tank through a pi-water system that converts the water into a low molecular form before being collected into the water tank, and a separate underwater sterilizer wa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o purify the LF ceramic and tourmaline (tourmaline).
  • Water having a bactericidal antibacterial action and particularly close to pH 7 may be preferably used.
  • the wa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water used in other crops, and in principle, oxygen water is provided as the oxygen-rich water.
  • the pi-water system and the LF ceramics increase the water absorption rate so that the pH is close to 7.
  • the LF ceramics maintain the Fe state similar to the biological water, unlike the case of using acidic tap water. Rhythm is improved.
  • a cultivation method includes all methods of growing conventional plants, and for example, includes both nutrient solution and soil cultivation.
  • the light condition means that the plant is exposed to light of a certain intensity
  • the color rendering index such as a solar fluorescent lamp
  • the solar fluorescent lamp uses light that is almost similar to sunlight
  • the solar fluorescent lamp is characterized by uniform near-infrared rays and the same color and temperature.
  • the dark condition means exposing the plant to a dark state in which light is limited.
  • Brown rice growing method includes a brown rice germination step and brown rice growth step.
  • the germinated brown rice may be brown rice in a state in which sprouts of about 1 mm to 5 mm are germinated from the brown rice, and the brown rice sprout may be a bud of germinated brown rice in which the shoots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grow to reach 45 mm to 72 mm.
  • the brown rice cultiv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germination preparation step.
  • the cultivation method is preferably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 the nutrient cultivation is also referred to as solution cultiv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ant to include all the methods for growing the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rops in an aqueous solution, preferably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 the method of cultivating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a cultivation method of dipping the brown rice in the nutrient solution and / or a spray cultivation method of spraying the nutrient solution through the nozzle to the brown rice, spray spraying method may be preferably used.
  • brown rice sprouts by the spray cultivation method brown rice is easily decayed by moisture, which prevents the growth of brown rice sprouts, and periodically cleans the brown rice with clean water, that is, as described above, completely sterilized water. It will prevent the corruption and contamination of brown rice.
  • the germination preparation step may be a method of maintaining the light intensity with respect to brown rice for 40 to 50 hours, preferably 47 to 48, the germination preparation step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35 °C to 37 °C conditions. .
  • the germination preparation step is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brown rice in water or placed in a separate tray there is a method of spraying water for 10 seconds every 25-30 minutes, the spray method is more advantageous.
  • the reason is that if the germinated brown rice is soaked in water, the phytic acid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may be decomposed into water and contaminate the water.
  • each tray is placed up and down, but a partition is plac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ays to prevent 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brown rice from flowing into the lower tray, thereby preventing the continuous contamination of the brown rice of one tray to the brown rice of the other tray. do.
  • the brown rice germination step is to maintain the brown rice 40 ⁇ 50 hours in the dark conditions and the germination step may be made under the conditions of 36 °C to 37 °C and relative humidity 60 to 75%.
  • the germination step may be performed by further comprising spraying water for 10 seconds at 25 to 35 minutes intervals to the brown rice.
  • the nutrient solution (nanofertilizer) is injected into the brown rice to supply carbon dioxide to facilitate photosynthesis, and stop supplying nutrient solution or carbon dioxide under dark conditions.
  • the first growth step of brown rice may be carried out by repeating the cycle of maintaining the brown rice for 7 to 9 hours in light conditions and 3 to 5 hours in dark conditions, the brightness 800 to 900 Lux, temperature 30 to The brown rice sprouts may be grown at 35 ° C. and 60-80% relative humidity.
  • the first growth step may be performed by further comprising spraying water on the brown rice for 15 seconds at intervals of 25 to 35 minutes.
  • the second growth step of the brown rice may be carried out by repeating the cycle of maintaining the brown rice for 4 to 6 hours in the light conditions and 2 to 4 hours in the dark conditions, brightness 800 to 900 Lux, temperature 30 to The brown rice sprouts may be grown at 35 ° C. and 60-80% relative humidity.
  • the secondary growth step may be perform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praying water for 15 seconds at intervals of 10 to 20 minutes to the brown rice.
  • the third growth step of the brown rice may be performed by repeating the cycle of maintaining the brown rice 3 to 5 hours in the light conditions and 1 to 3 hours in the dark conditions, the brightness 800 to 900 Lux, temperature 30 to The brown rice sprouts may be grown at 35 ° C. and 60-80% relative humidity.
  • the third growth step may be perform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praying water for 15 seconds at intervals of 10 to 20 minutes to the brown rice.
  • the method of cultivating brown rice sprouts can control the growth of brown rice in a manner of promoting the growth of brown rice sprouts by controlling the light condi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or brown rice sprouts, that is, the amount of light.
  •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by breathing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exposure to light conditions can be increased to promote quantitative growth through photosynthesis so that brown rice can grow rapidly.
  • the brown rice cultiv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by further including the step of injecting carbon dioxide each independently in the brown rice growth step.
  • the carbon dioxide may be preferably injected when the brown rice is exposed under light conditions.
  • carbon dioxide may be injected at 0.1 to 0.2% by volume with respect to the total volume of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brown rice sprouts, and the carbon dioxide is independently independently grown in the second and third growing stages of brown rice sprouts. It may be injected at 0.1 to 0.35% by volume relative to the total volume of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brown rice sprouts.
  • carbon dioxide is injected in the growth stage of brown rice sprouts, photosynthesis of brown rice sprouts is promoted, so that the sprouts of brown rice can be grown faster to harvest brown rice sprouts.
  • the method of cultivating brown rice sprout may be perform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jecting nutrients independently from each of the brown rice growing stage, the nutrients may be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the f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brown rice grown by the cultivation method.
  • the food is meant to include all foods to be taken daily, and includes health supplements.
  • Examples of the food include but not limited to porridge, health drinks, alcohol, ramen and hamburgers.
  • the food may be prepared by adding the brown rice sprouts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each food, the brown rice sprouts dried and pulveriz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brown rice.
  • the porrid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including the brown rice cultivated by the cultivation method.
  • the method for preparing porridge may include mix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and brown rice sprouts. 50 to 99.9% by weight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and 0.1 to 50% by weight of the brown rice may be mixed. If the content of the brown rice sprout exceeds 50% by weight, the porridge may be too thin to decrease the texture.
  • the dead including the brown rice preferably may be a mixture of 65 to 75% by weight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and 25 to 35% by weight of brown rice.
  • the savory taste of porridge may be excellent by brown rice, and the texture may be excellent, but porridge with high nutritional value may be produced.
  • the method for preparing porridge may include a step of preparing porridge by mixing the mixture of germinated brown rice and brown rice sprouts with water in a weight ratio of 1.0: 1.0 to 1.0: 2.0.
  • porridge containing brown rice sprouts almost all of them are not present in brown rice sprouts, so the amount of water becomes more important.
  • the weight of water exceeds 2.0 times with respect to the mixture, the porridge becomes too thin to reduce texture and palatability. If it is added less than 1.0 times with respect to the mixture, porridge may become too much and the palatability may also be reduced.
  • the method for preparing porridge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including other additives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porridge by mixing the mixture with water,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conventional methods and forms in which the additive is used.
  • the other additives are meant to include all th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orridge, and may be, for example, seafood, vegetables, meat, salt, sesame oil, soy sauce and perilla o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ir volume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is set, and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air is more than the amount of exhausted air.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contaminants from entering the growth space.
  •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growth space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at all times, thereby improving the net cultivation environment.
  • the water is supplied in a state of converting into a piwater form similar to biological water, high water absorption can be obtained, and the chemical structure is changed from Mg state to Fe state equivalent to human hemoglobin in the conversion process.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biophysical light.
  •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s sterilized by an underwater disinfection device to prevent the harmful effects of cultivation caused by the contamina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brown rice and wheat, as well as to further improve the water purification efficiency by tourmaline and volcanic stone, as well as underwater components. It is also mineralized and has the advantage of helping net cultivation.
  • the base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in which the brown rice is accommodated in the growth space is formed in a stacked form to maximize the capacity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 the water on the pedestal flows down the side along the slope. By falling, it will not flow into the lower container.
  • brown rice sprouts can be grown without decay of germinated brown rice, and the cultivation period is shortened, so that a large amount of brown rice sprouts of excellent quality can be grown.
  • 1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 Figure 2 is a side schematic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 the present brown rice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es a growth case 100 and the air supply unit 300,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400 and the illumination lamp 500 as shown in [FIG. 1] and [FIG. 2]. .
  • the growth case 100 is a portion in which brown rice to be cultivated is cultivated.
  • the growth case 100 is formed in a sealed box shape in all directions and has a growth space 110 in which brown rice and wheat are grown.
  • a through hole 120 for penetrating the intake duct 31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one upper end of the growth case 100, and an exhaust drain 130 is formed at one lower end of the growth case 100.
  •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wth case 100 is formed as the inclined surface 140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xhaust drain 130, the water is dropped to the drain in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in the future to grow smoothly discharged to the drain
  • the humidity of the space 110 is maintained to be constant.
  •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growth space through the intake duct described later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so that a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growth space.
  • th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drain exhaust port and the air outlet of the intake duct is controlled.
  •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of the growth space 110 is about 2 to 5 °, but the inclin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growth case.
  • the growth case 100 is divided into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number of growth cases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disposed one or three or more.
  • the growth space 1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200 for installation of the pedestal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frame 200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pipes or the like connected in a grid form.
  • the support frame 200 is installed pedestal 210 for seating installa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pedestal 210 is connected to one side wall surface of the growth space 110, such as a shelf Is installed as a structure.
  • Pedestal 210 is arranged in a superimposed form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a state provided in a plurality, wherein each pedestal 210 is reduced in length by 1.5cm toward the lower pedestal and each pedestal 210 toward the outer end Incline downwards about 0.29 ° to form a slope.
  • each pedestal 210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212 bent about 125 ° downward.
  • each pedestal is shortened toward the bottom, and the bent portion 212 is formed at the end,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pedestal is prevented from falling onto the lower pedestal.
  • Receiving vessel 22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edestals 210 installed in this way, the accommodating container 220 is a portion in which the brown rice to be cultivated is accommodated, the top of which is in the form of an open container and is seated on each pedestal 210. Is installed.
  • each pedestal is not limited to the above value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ire apparatus.
  • the container 22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and sizes, such as plastic or metal, and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ocher clay, such as far-infrared rays may emit itself if necessary.
  • the air supply unit 300 is further installed in the growth case 100 installed up to the receiving container 220.
  • the air supply unit 300 serves to supply appropriate air necessary for net growth to the growth space 110 in the growth case 100, and an intake duct 310, an intake air amount adjusting unit 314, a filter 316, Sterilization lamp an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320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intake duct 310 serves as a path for guiding external air to the growth space 110, and is divided into a first duct 312 and a second duct 330.
  • the first duct 312 is a section in which first air filtering and sterilization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external air is first introduced, and is entirely hollow. At one end, an air intake 313 of external air is formed, and the growth case 100 is outside. Is located in.
  • the intake air amount adjusting unit 314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313 of the first duct 312, the intake air amount adjusting unit 314 serves to adjust the inflow of external air to an appropriate level, a general damper structure, That is, the damper located in the air intake 313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al shaft,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flow of external ai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damper.
  • a separate motor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such that the damper may 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 a filter 316 is further installed in the first duct 312 together with the intake air amount adjusting unit 314.
  • the filter 316 is fine dust or heavy metal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intake air amount adjusting unit 314. It plays a role of filtering foreign matters such as, non-woven fabric or activated carbon, such as a type generally used for air filter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 the first sterilization lamp 318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first duct 312.
  • the first sterilization lamp 318 is an external air before passing through the filter 316 into the growth space 110.
  • a general sterilization lamp is used so that the external air sterilization by ultraviolet ligh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sterilization lamp (318).
  •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duct 312 provided with the intake air amount adjusting unit 314, the filter 316, and the primary sterilization lamp 318.
  •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320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growth space 110 suitable for the growing environment in the order of rice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duct 312 to an appropriate level In this way,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first duct in a stat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ct 312.
  •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duct 312 is adjus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while passing through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pparatus, and then supplied to the growth space 110 so that the growth space 110 is always at a temperature of 32.5 ° C. to 36.5 ° C. Is maintained and humidity of 66-75% is maintained.
  •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growth spac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value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growth space.
  •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may be operated in such a manner as to increase the moisture content in the air passing by heating and cooling external air at the same time through a heater or the like.
  • the second duct 330 constituting the intake duct 310 together with the first duct 312 having this structure is sterilized again by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duct 312 and finally supplied to the growth space 110.
  • it is also hollow form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320).
  •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320 is directly supplied into the second duct 330.
  • the second duct 33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0 of the growth case 100 and is positioned on the ceiling of the growth space 110.
  • the position of the second duct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disposed upward from the side wall or the floor.
  • the first duct and the thermo-hygrostat are shown in the form of being erected upward in the drawing, such an installation structure is also limited to the drawing.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forms to suit the position of the second duct.
  •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332 are formed at the side of the section located in the growth space 110 among the second ducts 330, and the air discharge holes 332 are spac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duct 330. It is formed in the form arranged in the direction and toward the end as the diameter increases, so tha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in a uniform amount for each air discharge hole.
  • a secondary sterilization lamp 334 is installed in the second duct 33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ary sterilization lamp 334 is firstly sterilized by the first air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lamp 318 of the first duct 312. To sterilize again just before the flow into the growth space 110, an ultraviolet lamp is used and a plurality of arrays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duct 330.
  • the outside air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first duct through the air inlet 313 of the first duct 312, at which time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is introduced by the intake air amount adjusting unit 314, and the introduced air is
  • the foreign matter is first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316 is sterilized by the primary sterilization lamp 318,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vel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320.
  • the external air passing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320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duct 330 and finally sterilized by the secondary sterilization lamps 334, and then the growth space 110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332. Inflow).
  • a separate intake fan may be installed in the intake duct so that proper intake efficiency may be maintained.
  • the sterilized water supply unit 400 is further connected to the growth case 100 installed up to the air supply unit 300.
  •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unit 400 serves to supply the water necessary for net cultivation to the growth space 110, and further includes a water tank 410, a piwater converter 420, and a sterilization water injection pipe 430. It is configured by.
  • the water tank 410 is a portion in which water required for net cultivation is stored, which is made of a general water tank structure, and is separately installed outside the growth case 100.
  • the water tank 410 is provided with components for process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in a form suitable for net cultivation, first, tourmaline 412 is installed in the water.
  • Tourmaline 412 is also known as tourmaline ore and itself emits anion and far infrared rays, so when installed in the water serves to mineralize the magnesium, sodium, iron, boron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water.
  • the volcanic stone 414 is further installed in the water, and the volcanic stone 414 has a high self-anion emission rate, thereby purifying water and simultaneously disinfecting and antibacterial water.
  • the oxygen generator 416 is also installed in the water. As the name suggests, the oxygen generator improves the dissolved oxygen rate by increasing the oxygen content in the water to help the body activate when brown rice is absorbed.
  • a functional component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410, since the water is sterilized before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growth space 110 and its own functional components are activated, general tap water or groundwater directly into the growth space 110. In the case of supply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rot etc. due to pollutants contained in the water.
  • Components required for such water improvement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s well as under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the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used together and can be used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 the water conversion unit 420 is further installed to improve the water.
  • the piwater converter 420 converts the water into a low molecular form before tap water or groundwater is collected into the water tank 410, and converts the water into a low molecular form before supplying the water to maximize the water absorption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To increase the growth rate and improve the basic properties of the water.
  • Pywater is a water in which ionic reactions are suppressed.
  • red water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biological water.
  • human hemoglobin has Fe sulfide and the chemical structure of brown rice sprout also has Fe as a whole.
  • the water by converting the water into a form similar to biological wat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e structure of brown rice sprouts.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uman rhythm.
  •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water into a piwater form to make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biological water, and then collect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10, and additionally undergoes sterilization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10.
  • the conventional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ter prevent the phenomenon such as rotting brown rice sprouts,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growth of brown rice sprouts.
  • the sterilizing water injection pipe 430 constituting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400 serves to supply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10 to the brown rice in the growth space 110, one end of which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410. Exposed in each growth space 110 in a connected state, in this case, the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section located in the growth space 110 of the sterilizing water injection pipe 430.
  • the sterilizing water injection pipe 430 is divided into several branches and then disposed between each pedestal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sprayed separately for each receiving container 220 seated on each pedestal 210.
  •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ethod of spraying the water in the form of a spray without filling the water in the container and applying normal hydroponic cultivation, because the phytic acid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in water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decomposition and eventually water contamination.
  • the growth c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nutrient supply unit 440.
  • the nutrient supply unit 440 is intended to help the growth of brown rice sprouts by supplying a separate nutrient solution with water.
  • the nutrient tank and the water tank may be provided with separate level switches so that the appropriate amount of nutrient solution may be supplied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y or may be separately supplied.
  • a separate carbon dioxide supply unit 450 may be connected to the growth space 110 to assist the photosynthesis of the net.
  • each pedestal is installed with one end connected to a separate support frame 200.
  • the support frame 20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ipe, and a spray nozzle is formed.
  • the supply tank may also be to supply the water through the support frame 200.
  • the lighting lamp 500 is further installed in the growth cas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 the lighting lamp 500 serves to artificially supply sunlight required for photosynthesis. As described above, the growth space 110 is completely enclosed to prevent inflow of external pollutants, thereby achieving dark conditions.
  • the lighting lamp 500 used for this purpose is referred to as a so-called 'true light', which has a color rendering index of 91 or more, which is almost the same as the sunlight, and the emission color and the medium and near-ultraviolet light are also almost same as the sunlight. Have the same level.
  • These lighting lamps 500 are basic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growth space 110, when installing a separate support in the growth space 110 is also installed on each support, and also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pedestal three-dimensional optical light Allow investigation to take place.
  • Cultivation of brown rice sprouts takes place from 1 to 4 or 5 days after the production of sprouted eggs, and the photosynthesis time (day) and breathing time (night) are adjusted in a proper manner.
  • photosynthesis time is a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lamp 500 emits light
  • breathing time means a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lamp is turned off.
  • photosynthesis time is assigned to 8 hours and breathing time is assigned to 4 hours and repeated twice a day.
  • carbon dioxide is not injected separately at each photosynthesis time on day 1, because in the day 1, fresh rice of brown rice is freshly produced. There is no separate carbon dioxide supply through.
  • the water is sprayed for 10 seconds at 30 minute intervals, and when the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growth space,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outside air is made larger than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 the temperature in the growth space at day 1 is to maintain about 36 ⁇ 37 °C, because the reference is because the stable growth of the baby at a temperature similar to the human body temperature.
  • the net growth process of day 2 at day 2 allocates photosynthesis time and respiration time as day 1 as shown in ⁇ Table 2>.
  • the water supply is sprayed for 15 seconds at 30 minute interval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baby.
  •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outside air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thereby forming a positive pressure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pollutants.
  • the flow of external air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exhaust air, and the process of passing the filter, the sterilization lamp and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dur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net growing process.
  • the description of the sterilization and temperature / humidity control of the external air for setting the external air amount is omitted.
  • Temperature in the growth space is maintained at about 32.5 ⁇ 33 °C on the second day, although the growth rate is high at almos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body temperature, bu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odor occurs in the buds after the second day I lowered the temperature as above and the odor problem was solved.
  • photosynthesis time is assigned to 5 hours and breathing time is assigned to 3 hours and repeated 3 times a day.
  • the temperature in the growth space on Day 3 i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as Day 2.
  • the net growth process of sprouts was made by the photosynthesis time from 6 am to 10 am and the breathing time from 10 am to 12 pm as shown in ⁇ Table 4>. After allocating photosynthesis time, it is again assigned to breathing time from 4 pm to 6 pm.
  • photosynthesis time is assigned to 4 hours and breathing time is assigned to 2 hours and repeated 4 times a day.
  • the carbon dioxide supply through the supply unit is maintained at 0.1 vol% to 0.35 vol%, and the supply of nutrient solution is also maintained at 30 ml / 5 l.
  • the water supply on the 4th and 5th days is also sprayed for 15 seconds at 15 minute intervals, and the temperature in the growth space is maintained at about the same as the 3rd day.
  • the present invention artificially sets the photosynthesis time differently from general outdoor cultivation.
  • the photosynthesis time is about 5 hours a day,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artificially increase the photosynthesis time through an illumination device.
  • the growth rate can be improved because the photosynthesis time and the humidification time are sufficiently distributed.
  • the switching time does not occur, and thus the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tim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 the water is supplied in a modified state to help the growth of the buds through the piwater conversion unit, and is processed and processed by tourmaline, volcanic stones, and oxygen generators, and thus damage to the buds due to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ter. To prevent.
  • Brown rice was cultivated in an enclosed space where light and air were completely controlled, and the indoor gas ratio was 22% by volume of oxygen, 75% by volume of nitrogen, and 3% by volume of carbon dioxide.
  • the brown rice was sprayed with water for 10 seconds at 30 minutes interval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36.5 ° C. and the humidity of 66% for 8 hours at a brightness of 600 Lux. After the exposure, the light was again blocked for 4 hours, and the dark condition was maintained for 4 hours, and the same brightness was again exposed for 8 hours and the dark condition was maintained for 4 hours.
  • brown rice After exposing the brown rice to a brightness of 800 Lux for 8 hours while spraying water for 15 seconds at 30 minute interval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32.5 ° C. and humidity of 66%, the light was again blocked for 4 hours after maintaining all dark conditions. It was again exposed to the same brightness as above for 8 hours and maintained for 4 hours in dark conditions. In addition, when exposed to light conditions, brown rice was grown by injecting 0.1% by volume of carbon dioxide.
  • brown rice After exposing the brown rice to the brightness 800 Lux for 5 hours while spraying water for 15 seconds at 15 minute interval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32.5 ° C. and humidity of 66%, the light blocking dark condition was again maintained for 3 hours. The same cycle was performed two more times. In addition, when exposed to light conditions, brown rice was grown by injecting 0.2% by volume of carbon dioxide.
  • brown rice was harvested, and germinated brown rice could not grow and decay.
  • Example 1 As in Example 1, without changing the light and dark conditions, the day and night in the natural state is changed, and the water is not sprayed repeatedly, but instead of spraying for 20 seconds once an hour Example 1 Brown rice was grown in the same manner as.
  •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production amount in growing 100 g of brown rice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t least 5 cm.
  • the following brown rice sprouts are harvested when the brown rice germinates and has grown to 5 cm or more, and the amount of rot of brown rice is not germinated or grows in brown rice sprouts during the cultivation process of brown rice of 100 g of brown rice us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Investigate what was discarded.
  • Brown rice yield (g) Rotten Brown Rice (g) Brown rice color Smell of brown rice Example 1 240-259 g 2-5% loss Dark green radish Comparative Example 1 Length below 1cm: 120g Length above 1cm: 20 ⁇ 30g 5g80 ⁇ 70g Change from black red green to black (rotation begins) Plant rancid
  • brown rice sprouts can be grown.
  • the porridg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porridge was prepared in the amount of brown rice sprouts and germinated brown rice in Example 2, respectively, from 10 g to 90 g.
  • the porridg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porridge was prepared by using 100 g of germinated brown rice in Example 2.
  • Example 2 porridg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contents of brown rice sprouts and germinated brown rice were 60 g and 40 g, respectively.
  • the flavor of the porridge, savory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investigated.
  • the flavor, savory taste and overall palatability of the porridge were investigated by performing sensory tests on a five-point scale in a total of 30 people who are not smoking. In the 5-point scale, 5 represents very high (good), 4 represents moderately high (good), 3 represents moderate, 2 represents moderately low (bad), and 1 represents very low (bad).
  •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by the 5-point scale metho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as the average value.
  • Example 2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zest 4.0 3.7 3.1 3.3 Savory taste 4.1 4.1 4.2 3.1 Overall preference 4.3 4.0 3.5 3.7 color Pale green grass Pale green grass Off White Pale green grass smell A sweet smell A sweet smell A sweet smell A sweet smell A sweet smell A sweet smell A sweet smell
  •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marked as being excellent by including porridge.
  • porridge containing less than 0.1 to 50% by weight of brown rice showed an excellent effect in the overall taste, including flavor, savory taste. Therefore, when preparing the porridge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with excellent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porridge, and in the case of such porridge, because it contains brown rice sprouts, the nutritionality is high and can be used as a recovery formula for patients of all ages as well as patients. There will be.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를 인위적으로 발아시켜 순을 생성시키도록 하되, 자체적으로 공기 및 물의 정화기능을 갖도록 하고 적정 광 조사 시간 및 물 공급 시간 등의 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순의 성장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아라비녹실란과 멜라토닌 및 가바 등의 유효 성분의 높은 함유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현미순 재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그리고 발아 현미가 부패되지 않게 식용 현미순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미순 재배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및 음식조리방법
본 발명은 현미를 발아시켜 현미순을 제조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및 음식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처리하고 현미순 재배에 필요한 물 또한 살균 가공처리하여 현미의 수분흡수율과 활성산소를 최소화 함에 따라 밀폐공간을 인위적으로 무균실 형태로 만들어 광과 공기 및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해 수경재배를 응용해 높은 생산성 및 비 오염 상태의 현미순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발아 현미가 부패되지 않게 식용 현미순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러한 인간의 건강은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섭취율이 가장 높은 쌀과 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쌀과 밀알을 발아시켜 순을 생성시키는 과정에서 순에는 쌀과 밀에 포함된 탄수화물과 단백질 및 지방의 영양소가 소진됨과 동시에 아리비녹실란(Arabinoxylane)과 멜라토닌(Melatonine) 및 가바(Gamma-Aminobutyric Acid ;GABA)의 성붐이 생성됨이 연구 확인되었다.
그 중 아라비녹실란은 대표적인 다당류인 아라비노오스와 자일로오스의 복합체로 활성산소를 억제시켜 신체 면역력의 증강 기능과 종양세포 등의 제거 기능을 하는 NK세포의 활성기능, 백혈구의 활성화 기능을 갖는 유용한 물질이다.
뿐만 아니라 아리비녹실란은 다른 다당류와 달리 신체의 장내에서 흡수율이 높아 소화효소를 증가시켜 소화가 쉬운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멜라토닌은 기본적으로 신체 체내에서 자연 생성되는 자연호르몬으로 인체에 유용한 HDL콜레스테롤은 높이는 반면 유해한 LDL콜레스테롤은 낮추며 중성지방을 줄여 혈액 내 지질대사를 개선시켜, 노화억제 기능과 면연력 증강기능, 생식능력 향상 등의 기능을 갖는 유용한 성분이다.
또한 가바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된 비단백질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신체에서의 아미노산 신경전달 물질이다.
이러한 가바는 항스트레스, 혈압상승억제, 성장로르몬 분비촉진, 통증완화와 더불어 뇌혈류의 활성화 기능을 하는 유용한 물질이다.
이러한 세가지 성분은 타 곡물에 비해 밀과 현미에 높게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밀과 현미를 발아시켜 순을 생성시킬 경우 현미순과 밀순에 약 60~100배 정도 함량이 증가된다.
최근에는 아라비녹실란 성분 등을 확보하기 위해 왕겨를 약 200℃의 고온으로 가열처리하여 초 미분화 형태로 만드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방식은 가열과정에서 유효유기성분들의 소실율이 크고 변성되어 성분확보 및 증가율에 한계가 있다.
특히 현미나 밀 순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햇빛과 공기 및 물이 필수요소인데, 일반적인 수경재배나 토양재배등을 이용할 경우, 공급되는 물의 오염성분과 토양의 오염성분 및 공기의 오염성분 등에 의해 재배 과정에서 순이 썩는 현상 등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필수요소 외에도 재배일차에 따른 광합성 시간과 물 및 영양성분의 공급 주기를 적정수준으로 설정하는 것도 중요한데, 기존에는 이러한 설정조건이 정해지지 않아 양질의 현미 밀 순을 얻기 어려운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미순을 식재료로 이용하는 경우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의 섭취가 가능한데, 최근 발아 현미를 이용한 식품 및 상기 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와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미순의 경우 발아 현미보다 현저히 높은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식재료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바, 상기 현미순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밀 또는 현미를 인위적으로 발아시켜 순을 생성시키도록 하되, 자체적으로 공기 및 물의 정화기능을 갖도록 하고 적정 광 조사 시간 및 물 공급 시간 등의 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순의 성장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아라비녹실란과 멜라토닌 및 가바 등의 유효 성분의 높은 함유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현미순 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발아 현미가 부패되지 않게 식용 현미순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내부에는 현미와 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용될 수 있는 성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성장케이스, 상기 공기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킴에 따라 외부공기가 상기 성장공간로 유입되도록 하되 외부공기의 유입과정에서 외부공기를 멸균처리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성장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외부의 물을 상기 성장공간로 공급하여 현미와 밀에 분무하되 물의 공급과정에서 물을 살균 및 알칼리화시키는 살균용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부는 일단부에 공기흡기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이동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부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흡기구를 제외한 일부구간이 상기 성장공간에 위치되어 있는 흡기덕트, 상기 공기흡기구에 위치하여 공기량을 조절하는 흡기량조절부, 상기 공기이동로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기량조절부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상기 공기이동로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램프, 상기 공기이동로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는 항온합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는 상기 성장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제1덕트 및 상기 성장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2덕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 간 연결지점에는 상기 항온항습기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제1, 2흡기덕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제2덕트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용수 공급부는 물이 수용되는 용수탱크, 상기 용수탱크와 연결되어 용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을 저분자 형태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이온반응이 억제되도록 하는 파이워터변환부, 상기 용수탱크에 연결되어 용수탱크내 수용된 물을 살균처리하는 수중멸균장치, 일단부가 상기 용수탱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성장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성장공간에 수용된 현미와 밀에 물을 분사 공급하는 용수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용수 공급부는 상기 용수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석과 화산석 및 산소발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수탱크와 연결되어 있고 별도의 양액을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용수탱크의 물 공급과정에서 양액을 상기 성장공간 안으로 함께 공급하는 영양제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장공간에 위치하되 상하 간격을 두고 적층형태로 위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받침대 및 상기 각 받침대 상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현미와 밀이 수용되어 있는 수용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수분사관은 상하 적층 형태로 배설되어 상기 각 용기에 개별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받침대는 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기울어져 있어 각 받침대 상으로 떨어진 물이 각 받침대의 경사면을 따라 일측으로 흘러간 후 아래로 떨어짐에 따라 아래쪽에 위치하는 받침대 및 수용용기로 낙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성장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조명랭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조명랭프는 연색지수가 91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덕트를 통해 성장공간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량보다 크도록 하여 성장공간 내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아현미의 재배방법에 관한 실시예는,
발아현미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암조건에서 3 내지 5 시간 유지시키는 것을 2회 반복하는 현미 발아 단계, 상기 현미순을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3 내지 5 시간 유지시키는 사이클을 2회 반복하는 현미순 1차 성장 단계, 상기 현미순을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각각 2 내지 4 시간 유지시키는 사이클을 2회 반복하는 현미순 2차 성장 단계 및 상기 현미순을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각각 1 내지 3 시간 유지시키는 것을 4 내지 10회 반복하는 3차 성장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미 발아 단계는 온도 36 내지 37 ℃ 및 상대습도 60 내지 75 %의 조건이고, 용수를 30분 간격으로 10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미순 1차 성장 단계는 온도 30 내지 35 ℃ 및 상대습도 60 내지 80 %의 조건이고, 용수를 30분 간격으로 15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미순 2차 성장 단계, 상기 현미순 3차 성장 단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단계는 광도 800 내지 900 Lux, 온도 30 내지 35 ℃ 및 상대습도 60 내지 80 %의 조건이고, 용수를 15분 간격으로 15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현미순 2창 성장 단계, 3차 성장단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계는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죽 제조방법은 발아 현미 50 내지 99.9 중량% 및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 0.1 내지 5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0 : 1.0 내지 1.0 : 2.0으로 섞어 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되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발명자는 현미순의 경우 발아 현미보다 영양소가 더욱 우수해 짐에 착안하여 현미순의 재배를 시도하였으나, 발아 현미의 경우 일정 길이 이후에 쉽게 부패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광도, 온도, 습도 및 광도시간의 재배 조건을 조절하여 발아 현미가 부패됨 없이 영양이 우수하고 냄새도 없는 현미순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방법 및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현미는 쌀겨층, 배 그리고 배젖으로 이루어진 왕겨를 제거한 쌀을 의미하고, 발아 현미는 상기 현미에서 싹이 발아된 상태의 현미를 의미하고, 현미순은 상기 발아 현미의 싹이 성장한 현미의 싹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용수는 식물 재배 시 식물에 물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물을 이용하며, 식물 재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용수는 물탱크로 집수되기 전 물을 저분자 형태로 변화시키는 파이-워터시스템을 거쳐 물탱크에 집수되도록 하고, 물탱크 속에 별도의 수중 멸균기를 설치하여 LF세라믹, 토르말린(전기석)을 넣어 정제했으며 살균 항균작용을 하고 특히 pH 7에 근접한 용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수는 타 작물에 사용되는 용수와는 분명히 구별되고 산소발생기를 넣어서 용존산소가 풍부한 용수로 제공됨을 원칙으로 한다.
상기 파이-워터시스템과 LF세라믹은 용수의 흡수율을 증가시켜 pH가 7에 가까워지도록 하고, 특히 LF세라믹은 산성인 수돗물을 사용할 때와 달리 물을 생체수와 유사한 Fe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결국 생체리듬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재배 방법은 통상의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일 예로 양액재배 및 토양재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광조건은 식물체를 일정한 광도의 광에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특히 태양형광등 처럼 연색지수가 91로 태양광과 거의 비슷한 광을 사용하는데, 태양형광등은 근적외선이 균일하며 색 및 온도가 같은 특징이 있으며 밀폐된 공간에서 태양형광등을 켜면 낮 조건이 되어 광합성이 이루이고 태양형광등을 끄면 밤이되어 호흡작용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암조건은 식물체를 광을 제한한 암상태에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순 재배방법은 현미 발아 단계 및 현미순 성장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아 현미는 상기 현미에서 약 1mm 내지 5mm의 싹이 발아된 상태의 현미 일 수 있고, 상기 현미순은 상기 발아 현미의 싹이 성장하여 45mm 내지 72mm에 이른 상태의 발아 현미의 싹일 수 있다.
상기 현미순 재배 방법은 발아 준비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재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양액재배 일 수 있다.
상기 양액재배는 용액재배라고도 불리며, 본 명세서에서는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수용액으로 만들어 재배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고, 바람직하게는 수경재배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양액재배의 방법은 양액에 상기 현미를 침지시키는 담액 재배 방법 및/또는 현미에 노즐을 통하여 양액을 분사하는 분무 재배 방법일 수 있고, 분무 재배 방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무 재배 방법으로 현미순을 재배하는 경우 현미가 수분에 의하여 쉽게 부패하여 현미순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깨끗한 물, 즉 위 설명처럼 정제되어 완전 멸균된 용수로 현미를 세척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현미의 부패 및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발아 준비 단계는 현미에 대하여 광도를 암조건을 40 내지 50 시간, 바람직하게는 47 내지 48 동안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발아 준비 단계는 온도 35 ℃ 내지 37 ℃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아 준비 단계에서는 현미를 물에 침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거나 별도의 트레이에 놓고 용수를 25~30분마다 10초씩 분무하는 방법이 있는데, 스프레이 방식이 더 유리하다.
그 이유는 발아현미를 물에 담근 상태로 키우면 발아현미의 피틴산이 물에 분해되면서 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트레이를 상하 배치하되 상하 트레이 사이에 칸막이를 두어 위쪽 현미에 공급된 물이 아래 트레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어느 한 트레이의 현미가 오염되더라도 타 트레이의 현미까지 연속적으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현미 발아 단계는 상기 현미를 암조건에서 40~50 시간 유지시키고 상기 발아 단계는 36 ℃ 내지 37 ℃ 및 상대습도 60 내지 75 %의 조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발아 단계는 현미에 대하여 용수를 25분 내지 35분 간격으로 10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현미순 1차 성장 단계는 상기 현미를 광조건에서 양액(나노비료)를 분사하여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광합성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암조건에서는 양액이나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 현미순 1차 성장 단계는 상기 현미를 광조건에서 7 내지 9 시간 유지시키고, 암조건에서 3 내지 5 시간 유지시키는 사이클을 2회 반복하는 방법으로 수행 할 수 있고, 광도 800 내지 900 Lux, 온도 30 내지 35 ℃ 및 상대습도 60 내지 80 %의 조건에서 상기 현미순을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1차 성장 단계는 상기 현미에 대하여 용수를 25분 내지 35분 간격으로 15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현미순 2차 성장 단계는 상기 현미를 광조건에서 4 내지 6 시간 유지시키고, 암조건에서 2 내지 4 시간 유지시키는 사이클을 2회 반복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광도 800 내지 900 Lux, 온도 30 내지 35 ℃ 및 상대습도 60 내지 80 %의 조건에서 상기 현미순을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2차 성장 단계는 상기 현미에 대하여 용수를 10분 내지 20분 간격으로 15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현미순 3차 성장 단계는 상기 현미를 광조건에서 3 내지 5 시간 유지시키고, 암조건에서 1 내지 3 시간 유지시키는 사이클을 2회 반복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광도 800 내지 900 Lux, 온도 30 내지 35 ℃ 및 상대습도 60 내지 80 %의 조건에서 상기 현미순을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3차 성장 단계는 상기 현미에 대하여 용수를 10분 내지 20분 간격으로 15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현미순 재배 방법은 발아된 현미 또는 현미순의 광조건, 즉 광량 시간을 조절하여 현미순의 성장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현미의 성장을 조절 할 수 있다. 암조검에 노출되는 시간을 점점 줄임으로 호흡으로 소비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이고, 광조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횟수를 증가시켜 광합성을 통한 양적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현미순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종래 현미순의 재배시 현미가 부패하여 현미순의 성장이 더뎌 지거나, 현미순에서 냄새가 나는 문제를 최적의 광조건 및 광량 시간으로 재배 조건을 통하여 해결하였다.
상기 현미순 재배 방법은 상기 현미순 성장 단계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이산화 탄소는 바람직하게 상기 현미를 광조건 하에 노출 시킨 경우에 주입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현미순 1차 성장 단계에서는 이산화 탄소를 상기 현미순을 재배하는 공간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0.1 내지 0.2 부피%로 주입 할 수 있고, 상기 현미순 2차 성장 단계 및 3차 성장 단계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산화 탄소를 상기 현미순을 재배하는 공간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0.1 내지 0.35 부피%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현미순 성장 단계에서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는 경우 현미순의 광합성이 촉진되어 더욱 빠르게 상기 현미의 싹을 성장시켜 현미순을 수확할 수 있다.
상기 현미순 재배 방법은 상기 현미순 성장 단계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영양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일 수 있고, 상기 영양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상기 재배 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식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건강기능보조식품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일 예로 죽, 건강음료, 술, 라면 및 햄버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은 각 식품을 제조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상기 현미순을 더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것 일 수 있고, 상기 현미순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하고 분쇄한 현미순 가루 일 수 있으나, 상기 현미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죽 제조방법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죽 제조방법은 발아 현미와 현미순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아 현미 50 내지 99.9 중량% 및 상기 현미순 0.1 내지 50 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현미순의 함량이 50 중량%를 넘어가는 경우 죽이 너무 묽어져 질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현미순을 포함하는 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아 현미 65 내지 75 중량% 및 상기 현미순 25 내지 35 중량%를 혼합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발아 현미와 현미순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현미에 의하여 죽의 고소한 맛이 우수하고, 식감이 우수하게 유지되면서도 현미순에 의한 영양성이 높은 죽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죽 제조방법은 상기 발아 현미와 현미순의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0 : 1.0 내지 1.0 : 2.0으로 섞어 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미순을 포함하는 죽의 경우 현미순에 전부의 거의 존재하지 않아 물의 양이 더욱 중요하게 되는데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물의 중량이 2.0 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죽이 너무 묽어져 식감 및 기호도가 저하되고,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1.0 배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죽이 너무 되어 역시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죽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물과 물을 섞어 죽을 제조하는 단계에 기타 첨가물을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물은 상기 첨가물이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 및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죽의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고, 일 예로 해산물, 채소, 고기, 소금, 참기름, 간장 및 들기름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외부공기가 성장공간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일단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여 순재배에 적합한 공기량을 설정함과 동시에 배기되는 공기량보다 많게 하여 성장공간 내부에서 양압이 형성됨으로 외부 오염물질이 성장공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흡기덕트 내에서 필터를 통해 외부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고 살균램프를 통해 살균이 이루어짐으로써 성장공간에 공급되는 공기의 오염도가 최소화 됨으로 순 재배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이와 더불어 흡기덕트를 지나는 외부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성장공간 내부의 온도습도를 항시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순 재배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공급되는 물을 생체수와 유사한 파이워터 형태로 변환시킨 상태로 공급시키기 때문에 높은 물 흡수율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환과정에서 화학구조가 Mg상태에서 사람의 혈색소와 동일한 Fe 상태로 변화됨으로 섭취 시 생체리등이 향상되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용수탱크 내 수용된 물이 수중살균장치에 의해 살균됨으로 현미와 밀에 공급되는 용수의 오염에 의한 재배악영향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전기석과 화산석에 의해 물의 정화효율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수중의 성분등이 미네랄화 됨으로 순 재배에 도움이되는 장점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용수탱크내에 산소발생기를 더 추가함으로써 수중의 용존산소율을 높임으로써 순의 성장에 더욱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성장공간 안에서 현미 밀이 수용되는 수용용기의 받침대가 적층형태로 형성되어 수용용기의 수용량을 최대화하되, 각 방침대가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받침대 상의 물이 경사면을 따라 측부로 흘러내려가 떨어짐으로, 아래쪽의 수용용기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위쪽 수용용기를 통과한 낙수가 아래쪽 수용용기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낙수가 오염된 상태라도 타 수용용기에 수용된 현미 또는 밀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의하면 발아 현미의 부패 없이 현미순을 재배할 수 있고, 재배 기간이 단축되어 우수한 품질의 현미순을 다량으로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현미순에 포함된 높은 함량의 아라비록실란, 멜라토닌, GABA를 체내에 쉽게 흡수할 수 있으므로 건강식, 환자의 회복식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현미순을 이용하여 죽을 제조하는 경우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맛이 뛰어난 죽을 제조할 수 있다.
도1은 재배장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2는 전체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현미순 재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성장케이스(100)와 공기공급부(300), 살균수공급부(400) 및 조명랭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성장케이스(100)는 재배하려하는 현미가 수용 재배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사방이 밀폐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현미 및 밀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성장공간(11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성장케이스(100)의 상단 일측에는 후술하는 흡기덕트(310)의 관통 설치를 위한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는 배기 배수구(130)가 형성된다.
이때 성장케이스(100)의 바닥면은 배기 배수구(130)쪽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140)이 형성되어 추후 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떨어진 용수가 배수구쪽으로 유도되어 원활히 배출됨에 따라 성장공간(110)의 습도 등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흡기덕트를 통해 성장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량보다 크도록 하여 성장공간 내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배수 배기구의 직경와 흡기덕트의 공기배출구 간 직경 차이를 조절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현한다.
참고로 실험결과 성장공간(110)바닥의 경사도는 약 2~5°가 접합한데, 경사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성장케이스의 크기 등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성장케이스(100)는 상호 좌우 간격을 두고 2개로 나뉘어 배치된다.
물론 성장케이스(1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성장공간(110)에는 후술하는 받침대(210)의 설치를 위한 지지프레임(200)이 설치되는데, 지지프레임(200)은 파이프 등을 격자 형태 등으로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프레임(200)에는 후술하는 수용용기(220)의 안착 설치를 위한 받침대(210)가 설치되는데, 받침대(210)는 일단부가 성장공간(110)의 일측 벽면에 연결되어 마치 선반과 같은 구조로 설치된다.
받침대(210)는 복수개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 간격을 두고 중첩 형태로 배치되는데, 이때 각 받침대(210)는 아래쪽 받침대 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1.5cm정도씩 줄어들도록 하고 각 받침대(210)는 외측 단부쪽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약 0.29°정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각 받침대(210)의 외측 단부는 아래를 향해 약 125°정도 구부러진 절곡부(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각 받침대 상에 떨어진 물은 받침대의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흘러 내려간 후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하여 각 받침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진 상태이고 단부에 절곡부(2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쪽 받침대에서 떨어진 용수가 아래쪽 받침대 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렇게 설치된 각 받침대(210)에는 수용용기(220)가 설치되는데, 수용용기(220)는 재배하려 하는 현미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이고 각 받침대(21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참고로 각 받침대의 기울기나 길이는 위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 장치의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용기(22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다양한 재질 및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황토 옹기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자체적으로 원적외선 등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용용기(220)까지 설치된 성장케이스(100)에는 공기공급부(300)가 더 설치된다.
공기공급부(300)는 성장케이스(100) 내 성장공간(110)으로 순 성장에 필요한 적정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흡기덕트(310)와 흡기량 조절부(314), 필터(316), 살균램프 및 항온 항습장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흡기덕트(310)는 외부공기를 성장공간(110)으로 안내하는 경로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덕트(312)와 제2덕트(330)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제1덕트(312)는 외부공기가 최초로 유입됨과 동시에 1차필터링 및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전체적으로 중공 형태이고 일단부에는 외부공기의 공기흡기구(3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성장케이스(100) 외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1덕트(312)의 공기흡기구(313)에는 흡기량 조절부(314)가 설치되는데, 흡기량 조절부(314)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적정수준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댐퍼구조, 즉 공기흡기구(313) 내에 위치한 댐퍼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댐퍼의 회동각도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동축에는 별도의 모터 등이 연결되어 댐퍼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덕트(312)의 내부에는 흡기량 조절부(314)와 더불어 필터(316)가 더 설치되는데, 필터(316)는 흡기량 조절부(314)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직포나 활성탄 등 일반적으로 공기필터에 사용되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덕트(312)의 내부에는 1차살균램프(318)가 더 설치되는데, 1차살균램프(318)는 필터(316)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성장공간(110)으로 유입되기 전에 외부공기에 함유된 세균 등을 살균처리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살균램프가 사용되며 외부공기가 1차살균램프(318)를 지나는 과정에서 자외선에 의해 살균처리되도록 한다.
이렇게 흡기량 조절부(314)와 필터(316) 및 1차살균램프(318)가 설치된 제1덕트(312)에는 항온항습장치(320)가 연결된다.
*항온항습장치(320)는 제1덕트(312)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함에 따라 성장공간(110) 내 온도와 습도를 현미순의 성장 환경에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덕트(312)의 타 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덕트의 해당 단부와 연통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덕트(312)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항온항습장치를 지나면서 적정온도 및 습도로 조절된 뒤 성장공간(110)으로 공급됨에 따라 성장공간(110)은 항시 32.5℃~36.5℃의 온도가 유지되며 66~75%의 습도가 유지된다.
물론 성장공간(110)의 온도 및 습도는 위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성장공간의 크기 등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참고로 항온항습장치는 히터 등을 통해 외부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킴과 동시에 수분을 분사시켜 지나는 공기에 수분함유량을 높이는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1덕트(312)와 함께 흡기덕트(310)를 구성하는 제2덕트(330)는 제1덕트(312)를 통과한 외부공기를 재차 살균한 뒤 성장공간(110)으로 최종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역시 중공 형태이며 일단부가 항온항습장치(320)에 연결된다.
따라서 항온항습장치(320)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곧바로 제2덕트(330) 안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제2덕트(330)는 성장케이스(100)의 관통공(120)을 관통하여 성장공간(110)의 천장 상에 위치된다.
물론 제2덕트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벽이나 바닥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배설될 수도 있으며 제1덕트와 항온항습장치도 도면에서는 위쪽을 향해 세워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설치구조 또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제2덕트의 위치등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때 제2덕트(330) 중 성장공간(110)에 위치한 구간의 측부에는 복수개의 공기배출공(332)이 형성되는데, 공기배출공(332)은 제2덕트(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고 단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크게 함에 따라, 외부공기가 각 공기배출공 마다 균일한 양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된 제2덕트(330)에는 2차살균램프(334)가 설치되는데, 2차살균램프(334)는 제1덕트(312)의 1차살균램프(318)를 통해 1차살균된 외부공기가 성장공간(110)으로 유입되기 직전에 재차 살균처리하는 것으로, 자외선 램프가 사용되며 제2덕트(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외부공기가 먼저 제1덕트(312)의 공기흡기구(313)를 통해 제1덕트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흡기량 조절부(314)에 의해 적정량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필터(316)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1차로 제거된 후 1차살균램프(318)에 의해 살균처리되고, 항온항습장치(320)를 지나면서 온도와 습도가 적정수준으로 조절된다.
그 후 항온항습장치(320)를 지난 외부공기는 제2덕트(330)로 유입됨과 동시에 각 2차살균램프(334)에 의해 최종적으로 살균된 후 공기배출공(332)을 통해 성장공간(110)으로 유입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흡기덕트에 별도의 흡기팬을 설치하여 적정 흡기효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공기공급부(300)까지 설치된 성장케이스(100)에는 살균용수 공급부(400)가 더 연결된다.
살균용수 공급부(400)는 순 재배에 필요한 용수를 성장공간(11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용수탱크(410)와 파이워터변환부(420) 및 살균수 분사관(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용수탱크(410)는 순 재배에 필요한 용수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물탱크 구조로 이루어지고 성장케이스(100)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다.
이러한 용수탱크(410)에는 탱크안에 수용된 물을 순 재배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처리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데, 먼저 수중에는 전기석(412)이 설치된다.
전기석(412)은 일명 토르말린 원석이라 불리며 자체적으로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이렇게 수중에 설치될 경우 용수에 함유된 마그네슘, 나트륨, 철, 붕소 등을 미네랄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별개로 수중에는 화산석(414)이 더 설치되는데, 화산석(414)은 자체 음이온 방출율이 높아 물의 정화기능을 함과 동시에 용수의 살균과 항균 기능을 한다.
또한 수중에는 산소발생기(416)도 함께 설치된다. 산소발생기는 명칭 그대로 수중에 산소함유량을 높여 용존산소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현미가 흡수하였을 때 체내에서 활성화를 돕도록 한다.
이처럼 용수탱크(410) 내에 이러한 기능성 구성요소를 설치함에 따라 용수가 성장공간(110)으로 공급되기 전에 살균됨과 동시에 자체 기능성분이 활성화된 상태가 되므로, 일반 수도물이나 지하수를 직접 성장공간(110)으로 공급하는 경우 용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에 의해 순이 썩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용수 개선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은 위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수중 멸균장치등을 더 설치할 수도 있으며, 위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함께 사용될 필요는 없고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용수의 개선을 위해 파이워터변환부(420)가 더 설치된다.
파이워터변환부(420)는 수도물이나 지하수가 용수탱크(410) 안으로 집수되기 전에 용수를 저분자 형태로 변화시키고 공급되기 이전에 해당 용수를 저분자 형태로 변환시켜 발아현미의 수분흡수율이 최대화 되도록 함으로써 순의 성장율을 높이고 용수의 기본 성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파이워터는 이온반응이 억제되는 물로, 일반적인 수도물과 지하수와 달리 산화환원반응이 억제되는 성질을 가져 마치 생체수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혈색소는 Fe 설질을 띠고 현미싹의 화학구조 또한 전체적으로 Fe를 띠는데 이렇게 용수를 생체수와 유사한 형태로 변환시킴에 따라 현미순의 Fe 구조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 결국 이러한 현미순을 취식한 사람의 생체리듬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용수를 1차적으로 파이워터 형태로 변환시켜 생체수와 유사한 구조로 만든 후 용수탱크(410)에 집수시키고, 용수탱크(410) 내부에서도 용수의 살균 등의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침에 따라, 기존처럼 용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에 의해 현미순이 썩는 등의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현미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살균용수 공급부(400)를 구성하는 살균수 분사관(430)은 용수탱크(410) 내 용수를 성장공간(110)내 현미순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용수탱크(4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 성장공간(110) 내에 배설되고 이때 살균수 분사관(430) 중 성장공간(110)내에 위치된 구간에는 분사공이 형성된다.
이때 살균수 분사관(430)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 배설된 뒤 각 받침대 사이로 배설되어 각 받침대(210)에 안착된 수용용기(220)마다 살균수를 개별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렇게 수용용기내에 용수를 채워 일반 수경재배를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용수를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하는 방식을 적용하는데, 그 이유는 발아현미를 물에 담군 상태로 재배하면 발아현미의 피틴산이 물에 분해되어, 결국 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수용용기 내 용수가 오염될 경우, 최종적으로 발아현미가 썩는 등의 현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해진 주기마다 적정량의 용수를 분무 형태로 공급함으로써 재배과정에서 용수의 오염에 의한 재배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외에도 성장케이스 외부에는 별도의 영양제 공급부(440)를 더 구비시키는데 영양제 공급부(440)는 용수와 더불어 별도의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현미순의 성장을 돕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영양제 탱크와 물탱크에 별도의 레벨스위치를 구비시켜 용수공급 시 적정량의 양액이 함께 공급되도록 하거나 별도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성장공간(110)에는 별도의 이산화탄소공급부(450)를 연결시켜 순의 광합성을 돕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 받침대는 일단부가 별도의 지지프레임(200)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지지프레임(200)을 배관 형태로 제작하고 분사노즐을 형성시킨 뒤 용수공급탱크와 연결시킴으로써 지지프레임(200)을 통해서도 용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성장케이스(100)에는 조명램프(500)가 더 설치된다.
조명램프(500)는 광합성에 필요한 햇빛을 인위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위 설명처럼 성장공간(110)은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기위해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됨으로, 암조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별도의 조명장치를 통해 인위적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적정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조명램프(500)는 일명 '태양형광등(true light)'이라 칭하는 것이 사용되는데, 이는 연색지수가 91이상으로 태양빛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고 발광색과 중.근자외선도 태양빛과 거의 동일한 수준을 갖는다.
따라서 사방이 밀폐된 성장공간(110) 내에서도 실외에서 태양광을 받는 것과 거의 동일한 광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명램프(500)는 기본적으로 성장공간(110)의 천장에 설치되고, 성장공간(110)에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할 경우 각 지지대에도 설치하며, 각 받침대의 하부면에도 설치함으로써 현미에 입체적인 광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현미순의 재배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현미순 재배는 순아 생성 후 1내지 4 또는 5일차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각 일차별로 광합성시간(낮)과 호흡시간(밤)을 적정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광합성시간은 조명램프(500)를 발광시킨 상태이며 호흡시간은 조명램프가 꺼진 상태를 의미한다.
표 1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광합성 시간 호흡시간 광합성 시간 호흡시간
1일차에서의 순아 성장과정은 위의 <표1>처럼 먼저 광합성 시간을 오전 6시부터 오후 2시까지 시키고 오후 2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호흡시간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이후 오후 6시부터 익일 오전 2시까지 다시 광합성시간을 가지며 오전 2시부터 오전 6시까지 다시 호흡시간을 갖는다.
이처럼 1일차에서는 광합성시간을 8시간, 호흡시간을 4시간으로 배정하여 하루에 2회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1일차에서 각 광합성시간에는 이산화탄소를 별도로 주입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1일차에서는 현미의 순아가 갓 생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순아자체가 이산화탄소를 크게 필요치 않고 이산화탄소의 흡수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공급부를 통한 별도 이산화 탄소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발아현미 자체의 잉여 양분으로도 충분히 순아의 성장이 충분하므로 영양제 공급부(440)를 통한 별도 양액공급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이 과정에서 용수는 30분 간격으로 10초동안 분사를 시키며 외부공기를 성장공간으로 공급할 때 외부공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크게 형성시킨다.
따라서 성장공간에는 양압이 형성됨에 따라 성장케이스 외부의 대기중 오염물질이 배기구를 통해 성장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렇게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필터(316)와 1차살균램프(318), 항온항습장치(320) 및 2차살균램프(334)를 거치면서 이물질제거 및 살균이 이루어지고 적정온도와 습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성장공간(110)으로 유입됨으로 순아가 공기의 오염물질에 의해 성장에 악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1일차에서의 성장공간 내 온도는 약 36~37℃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참고로 순아는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성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성장공간의 습도는 61~71%정도로 유지한다.
그리고 1일차에서는 순아가 스트레스에 약하므로 조명장치의 조도를 약간 낮춘 상태를 유지한다.
표 2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광합성 시간 호흡시간 광합성 시간 호흡시간
2일차에서의 순아 성장과정은 위의 <표2>처럼 1일차와 동일하게 광합성 시간과 호흡시간을 배정한다.
반면 2일차에서는 순아가 어느정도 성장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공급부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0.1vol%이상 공급하여 본격적으로 광합성이 촉진되도록 한다.
또한 이때부터는 순아의 성장이 촉진되므로 영양제 공급부를 통해 양액을 약 30ml/5L 정도 공급하여 발아현미 자체의 잉여 영양분을 보충하도록 한다.
그리고 2일차에서의 용수공급은 30분 간격으로 15초동안 분사를 시켜 순아의 발육을 촉진시킨다.
또한 2일차에서도 외부공기를 성장공간으로 공급할 때 외부공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크게 하여 양압을 형성시킴으로써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참고로 이렇게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배기공기의 양보다 크게 하는 상태 및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필터와 살균램프 및 항온항습장치를 거치는 과정은 순 재배 과정 내내 유지된다.
따라서 이후 일차에서는 외부공기량의 설정의 외부공기의 살균 및 온.습도 조절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2일차에서의 성장공간 내 온도는 약 32.5~33℃를 유지하는데, 신체의 온도와 거의 동일한 온도에서 성장율이 높기는 하지만, 실험결과 일정시간이 지나면 순아에서 악취가 발생되는 경우가 생겨서 2일차 이후부터는 온도를 위와 같이 낮추었더니 냄새문제는 해결되었다.
그리고 성장공간 내 습도는 약 66~75%를 유지한다.
표 3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광합성시간 호흡시간 광합성시간 호흡시간 광합성시간 호흡시간
3일차에서의 순아 성장과정은 위의 <표3>처럼 광합성 시간을 오전 6시부터 오전 11시까지 시키고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는 호흡시간으로 진행되며 오후 2시부터 오후 7시까지 다시 광합성시간을 배정한다.
그리고 오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다시 호흡시간을 가지며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3시까지 다시 광합성시간을 가진 뒤 오전 3시부터 오전 6시까지 호흡시간을 갖는다.
이처럼 3일차에서는 광합성시간을 5시간, 호흡시간을 3시간으로 배정하여 하루에 3회 반복하는 것이다.
3일차에서는 2일차와 더불어 순아가 왕성하게 성장되는 단계이므로 이산화탄소 공급부를 통한 이산화탄소 공급량을 0.1vol% 내지 0.35vol%로 늘리고 양액의 공급은 2일차와 동일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3일차에서의 용수공급은 15분 간격으로 15초동안 분사를 시켜 용수의 공급량도 늘린다.
또한 3일차에서의 성장공간 내 온도는 2일차와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한다.
표 4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광합성시간 호흡시간 광합성시간 호흡시간 광합성시간 호흡시간 광합성시간 호흡시간
4일차와 5일차에서의 순아 성장과정은 위의 <표4>처럼 광합성 시간을 오전 6시부터 오전 10시까지 시키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12시까지는 호흡시간으로 진행되며 오후 12시부터 오후 4시까지 다시 광합성시간을 배정한 뒤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다시 호흡시간으로 배정한다.
그리고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다시 광합성시간을 가지며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12시까지 호흡시간을 가지고 오전 12시부터 오전 4시까지 광합성시간을 가지며 오전 4시부터 오전 6시까지 다시 호흡시간을 갖는다.
이처럼 4일차와 5일차에서는 광합성시간을 4시간, 호흡시간을 2시간으로 배정하여 하루에 4회 반복하는 것이다.
4, 5일차에서는 순아의 성장이 절정기에 이른 상태이므로 3일차와 마찬가지로 공급부를 통한 이산화탄소 공급량을 0.1vol% 내지 0.35vol%로 유지하고 양액의 공급도 30ml/5L을 유지한다.
그리고 4, 5일차에서의 용수공급도 15분 간격으로 15초동안 분사를 시키고 성장공간 내 온도는 3일차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일반적인 야외 재배와 달리 광합성시간을 인위적으로 설정하는데, 태양빛을 이용할 경우 광합성시간이 하루에 약 5시간 정도인 반면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통해 인위적으로 광합성 시간을 늘릴 수 있음은 물론, 광합성시간과 호습시간을 충분히 분배하므로 성장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태양빛을 이용한 재배환경에서는 광합성과정과 호흡과정 간의 전환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실제 광합성시간과 호흡시간은 더욱 짧을 수밖에 없다.
반면 본 발명은 조명장치의 점등 상태에 따라 광합성상태와 호습상태가 명확히 구분되므로 전환시간이 발생되지 않아, 그만큼 광합성과 호흡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함에 있어 외부공기의 유입과정에서 살균과 항온항습이 이루어짐으로 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에 의한 순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항온항습을 실시함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각 일차별 온도와 차이가 발생하였을 때 순아에서 악취가 발생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수도 파이워터 변환부를 통해 순아의 성장에 도움이 되도록 변화된 상태로 공급됨은 물론, 전기석과 화산석, 산소발생장치등에 의해 가공처리된 상태에서 공급되므로 용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에 의해 순아의 훼손 등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용수를 설정된 시간마다 분무 형태로 공급함으로써 수경재배와 달리 과도한 수분에 의해 순아가 부패할 우려가 적다.
이와 관련되어 재배예 및 음식조리예를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재배예: 현미순의 재배]
<실시예1>
현미는 빛 및 공기가 완전히 제어되는 밀폐형 공간에서 재배하였고, 실내 가스 비율은 산소가 22 부피%, 질소가 75 부피 %, 이산화 탄소가 3 부피%가 되도록 하였다.
선별한 현미 100g을 48 시간 동안 빛이 차단된 상태에 놓아 둔 후, 상기 현미를 온도 36.5 ℃, 습도 66%를 유지한 상태에서 30분 간격으로 용수를 10초간 분사하면서 광도 600 Lux에 8시간 동안 노출 시킨 후, 다시 빛을 모두 차단 암조건을 4 시간 유지시킨 뒤, 상기와 동일한 광도에 다시 8시간 노출 시키고, 또 암조건에서 4 시간 유지 시켰다.
상기 현미를 온도 32.5 ℃, 습도 66%를 유지한 상태에서 30분 간격으로 용수를 15초간 분사하면서 광도 800 Lux에 8시간 동안 노출 시킨 후, 다시 빛을 모두 차단 암조건을 4 시간 유지시킨 뒤, 상기와 동일한 광도에 다시 8시간 노출 시키고, 또 암조건에서 4 시간 유지 시켰다. 또한 상기 현미를 광조건에 노출 시킬 때 이산화 탄소를 0.1 부피% 주입하여 현미순을 성장시켰다.
상기 현미를 온도 32.5 ℃, 습도 66%를 유지한 상태에서 15분 간격으로 용수를 15초간 분사하면서 광도 800 Lux에 5시간 동안 노출 시킨 후, 다시 빛을 모두 차단 암조건을 3 시간 유지시켰고, 상기와 같은 싸이클을 2 번 더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현미를 광조건에 노출 시킬 때 이산화 탄소를 0.2 부피% 주입하여 현미순을 성장시켰다.
상기 현미를 온도 32.5 ℃, 습도 66%를 유지한 상태에서 15분 간격으로 용수를 15초간 분사하면서 광도 800 Lux에 4시간 동안 노출 시킨 후, 다시 빛을 모두 차단 암조건을 2 시간 유지시켰고, 상기와 같은 싸이클을 3 번 더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현미를 광조건에 노출 시킬 때 이산화 탄소를 0.2 부피% 주입하였다.
상기 단계를 모두 마친 후 현미순을 수확 하였고, 성장하지 못하고 부패한 발아 현미를 조사하였다.
<비교예1>
상기 실시예1에서와 같이 광조건과 암조건을 조절하지 않고 자연상태에서 낮과 밤이 바뀌게 하고, 상기 용수를 반복적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1시간에 한 번씩 20초간 분사시키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현미순을 재배하였다.
상기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따른 현미 100g을 현미순 5cm이상 키우는데 있어서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현미순은 현미가 발아하여 5cm 이상으로 성장한 것을 수확한 것이고, 현미의 부패량은 상기 실시예1 및 비교예1에서 사용된 현미 100g 중 현미순 재배과정 중에서 발아하지 않거나 현미순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현미가 썩어버린 것을 조사한 것이다.
표 5
현미순 수확량(g) 부패(손실)한 현미(g) 현미순의 색 현미순의 냄새
실시예1 240~259g 2~5% 손실 진한 그린색
비교예1 길이1cm이하: 120g길이1cm이상: 20~30g 5g80~70g 검붉은 그린색에서검은색에 가깝게 변화(부패시작) 식물 썩은 냄새
상기 실험을 통하여 현미순의 광량시간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는 경우 현미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용수를 주기적으로 분사하는 방법으로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현미 자체의 오염을 막아 현미의 부패 없이 다량의 품질이 우수한 현미순을 재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현미순을 이용한 죽의 제조]
<실시예2>
현미순을 자연상태에서 바람을 불어주어 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얻은 가루 30g 및 발아 현미 70g을 준비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물을 140g 넣고 5 분간 가열하는 방법으로 죽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3>
상기 실시예2에서 현미순과 발아 현미의 함량을 각각 10g 내지 90g으로 하여 죽을 제조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상기 실시예2에 있어서 발아 현미를 100g으로 하여 죽을 제조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상기 실시예2에 있어서 현미순과 발아 현미의 함량을 각각 60g 및 40g으로 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2 내지 실시예3 및 비교예2 내지 비교예3에서 제조된 죽에 대하여 죽의 풍미, 고소한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조사 하였다. 상기 죽의 풍미, 고소한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 조사는 흡연을 하지 않는 10 대부터 60 대까지 총 30 명에게 관능검사를 5점 척도법으로 수행하여 조사하였다. 상기 5점 척도법에서 5는 매우 높음(좋음), 4는 보통으로 높음(좋음), 3은 보통, 2는 보통으로 낮음(나쁨) 및 1은 매우 낮음(나쁨)을 나타낸다. 상기 5점 척도법에 의한 관능검사의 결과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고, 그 평가 결과를 평균값으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발명자가 상기에서 제조한 죽의 색 및 냄새를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표 6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풍미 4.0 3.7 3.1 3.3
고소한 맛 4.1 4.1 4.2 3.1
전체적인 기호도 4.3 4.0 3.5 3.7
옅은 연두 옅은 연두 미색 옅은 연두
냄새 구수한 냄새 구수한 냄새 구수한 냄새 구수한 냄새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인 기호도는 포함하는 죽이 우수한 것으로 화인 되었다. 특히 현미순을 0.1 내지 5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죽의 경우 풍미, 고소한 맛을 비롯한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죽을 제조하는 경우 맛 및 전체적이 기호도가 뛰어난 죽을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죽의 경우 현미순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영양성도 높아 모든 연령층은 물론 환자의 회복식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내부에는 현미 알곡이 수용될 수 있는 성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배수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성장케이스,
    상기 공기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킴에 따라 외부공기가 상기 성장공간로 유입되도록 하되 외부공기의 유입과정에서 외부공기를 멸균처리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성장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외부의 물을 상기 성장공간으로 공급하여 현미에 분무하되 물의 공급과정에서 물을 살균 및 알칼리화시키는 살균용수 공급부
    를 포함하는 현미순 재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일단부에 공기흡기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이동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부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흡기구를 제외한 일부구간이 상기 성장공간에 위치되어 있는 흡기덕트,
    상기 공기흡기구에 위치하여 공기량을 조절하는 흡기량조절부,
    상기 공기이동로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기량조절부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상기 공기이동로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램프,
    상기 공기이동로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는 항온합습기
    를 포함하는 현미순 재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흡기덕트는,
    상기 성장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제1덕트 및 상기 성장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2덕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 간 연결지점에는 상기 항온항습기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제1, 2흡기덕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제2덕트에 형성되어 있는
    현미순 재배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살균용수 공급부는,
    물이 수용되는 용수탱크,
    상기 용수탱크와 연결되어 용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을 저분자 형태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이온반응이 억제되도록 하는 파이워터변환부,
    상기 용수탱크에 연결되어 용수탱크내 수용된 물을 살균처리하는 수중멸균장치,
    일단부가 상기 용수탱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성장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성장공간에 수용된 현미에 물을 분사 공급하는 용수분사관
    을 포함하는 현미순 재배장치.
  5. 제5항에서,
    상기 살균용수 공급부는,
    상기 용수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석과 화산석 및 산소발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현미순 재배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용수탱크와 연결되어 있고 별도의 양액을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용수탱크의 물 공급과정에서 양액을 상기 성장공간 안으로 함께 공급하는 영양제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현미순 재배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성장공간에 위치하되 상하 간격을 두고 적층형태로 위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받침대 및 상기 각 받침대 상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현미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수분사관은 상하 적층 형태로 배설되어 상기 각 용기에 개별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받침대는 측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기울어져 있어 각 받침대 상으로 떨어진 물이 각 받침대의 경사면을 따라 일측으로 흘러간 후 아래로 떨어짐에 따라 아래쪽에 위치하는 받침대 및 수용용기로 낙수가 유입되지 않는
    현미순 재배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성장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조명랭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랭프는 연색지수가 91 이상인
    현미순 재배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흡기덕트를 통해 성장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상기 배수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량보다 크도록 하여 성장공간 내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현미순 재배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아래를 향해 꺽여져 있는 절곡부
    를 더 포함하는 현미순 재배장치.
  11. 제2항에서,
    상기 성장케이스는 좌우 양측에 대칭 형태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2덕트는 상기 각 성장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각 성장케이스로 공급되는
    현미순 재배장치.
  12. 발아현미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암조건에서 3 내지 5 시간 유지시키는 것을 2회 반복하는 현미 발아 단계, 상기 현미순을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각각 3 내지 5 시간 유지시키는 사이클을 2회 반복하는 현미순 1차 성장 단계, 상기 현미순을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각각 2 내지 4 시간 유지시키는 사이클을 2회 반복하는 현미순 2차 성장 단계 및 상기 현미순을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각각 1 내지 3 시간 유지시키는 것을 4 내지 10회 반복하는 3차 성장 단계
    를 포함하는 현미순 재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 발아 단계는 온도 36 ℃ 내지 37 ℃ 및 상대습도 60 내지 75 %의 조건이고, 용수를 25분 내지 35분 간격으로 10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현미순 재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순 1차 성장 단계는 용수를 25분 내지 35분 간격으로 15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현미순 재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순 2차 성장 단계, 상기 현미순 3차 성장 단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단계는 광도 800 내지 900 Lux, 온도 30 내지 35 ℃ 및 상대습도 60 내지 80 %의 조건이고, 용수를 10분 내지 20분 간격으로 15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현미순 재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순 2창 성장 단계, 3차 성장단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계는 양액과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현미순 재배 방법.
  17. 제12항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을 포함하는 식품.
  18. 발아 현미 50 내지 99.9 중량% 및 상기 제1항에 의하여 재배된 현미순 0.1 내지 5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0 : 1.0 내지 1.0 : 2.0으로 섞어 죽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죽 제조방법.
PCT/KR2013/006386 2012-07-17 2013-07-17 현미순 재배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및 음식조리방법 WO20140142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38163.2A CN104486939A (zh) 2012-07-17 2013-07-17 糙米芽栽培装置和利用该装置的栽培方法及食物制作方法
JP2015523007A JP2015530871A (ja) 2012-07-17 2013-07-17 玄米の芽栽培装置と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および飲食調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64A KR101336295B1 (ko) 2012-07-17 2012-07-17 현미순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한 현미순의 이용
KR10-2012-0077664 2012-07-17
KR1020120095625A KR101441746B1 (ko) 2012-08-30 2012-08-30 현미순 재배장치
KR10-2012-0095625 2012-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4267A1 true WO2014014267A1 (ko) 2014-01-23

Family

ID=4994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386 WO2014014267A1 (ko) 2012-07-17 2013-07-17 현미순 재배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및 음식조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530871A (ko)
CN (1) CN104486939A (ko)
WO (1) WO2014014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8908A (zh) * 2015-06-10 2017-01-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942040A (zh) * 2017-03-16 2017-07-14 刘家齐 一种糙米发芽机和糙米发芽方法
CN106962065A (zh) * 2017-05-08 2017-07-21 上海市农业生物基因中心 一种节水抗旱稻的工厂化育种系统
JP6347021B1 (ja) * 2018-03-05 2018-06-20 慶孝 大友 体内を還元させる野菜、果実の乾燥粉末の製造及び保存方法
CN109041879A (zh) * 2018-09-21 2018-12-21 周口师范学院 一种高效小麦育种装置
CN110679364B (zh) * 2019-09-27 2022-03-25 昆明理工大学 一种提高三七抗叶部病害能力的方法及应用
CN112219709A (zh) * 2020-10-20 2021-01-15 麻阳福地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糙米发芽罐
CN114158689A (zh) * 2021-12-15 2022-03-11 安徽燕之坊食品有限公司 一种调味发芽糙米即食米饭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718A (ja) * 1993-02-12 1994-08-30 Hishiyoushiya:Kk 発芽玄米製造装置及び発芽玄米の製造方法
KR19980079624A (ko) * 1997-04-08 1998-11-25 장세순 현미를 발아 시키는 방법
JPH11192020A (ja) * 1997-11-07 1999-07-21 Yushichi Inaba 発芽玄米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050018928A (ko) * 2005-02-01 2005-02-28 박승원 발아현미 제조장치
KR100476656B1 (ko) * 2002-08-14 2005-03-18 김일두 홍국을 이용한 기능성 발아현미 재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6476A (en) * 1975-12-19 1977-06-27 Gunze Kk Aseptic cultivating chamber
JPS5523940A (en) * 1978-08-08 1980-02-20 Takayuki Ono Forcing culture installation of alfalfa *lucerne*
JPS5571420A (en) * 1978-11-21 1980-05-29 Nakashima Iwahide Forcing culture method
JPS57146523A (en) * 1981-03-06 1982-09-10 Nitsukou Plant Kk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plant
JPS6164260U (ko) * 1984-09-29 1986-05-01
JPH08249909A (ja) * 1995-03-10 1996-09-27 N K K Plant Kensetsu Kk 太陽光照明装置
JPH09262036A (ja) * 1996-03-27 1997-10-07 Kazuhiro Tsuge そば幼植物およびその栽培方法
JPH10178930A (ja) * 1996-12-25 1998-07-07 Kensuke Hatsutori 栽培ハウス
JP2003180158A (ja) * 2001-12-19 2003-07-02 Go Sogo Kenkyusho:Kk キノコ・植物の栽培装置
JP4525157B2 (ja) * 2004-04-28 2010-08-18 東亞合成株式会社 養液殺菌剤を用いる養液栽培装置、および養液栽培方法
CN101380075A (zh) * 2008-10-27 2009-03-11 福建农林大学 一种富含γ-氨基丁酸萌芽糙米的生产方法
JP2012075331A (ja) * 2010-09-30 2012-04-19 Daikin Industries Ltd 植物栽培施設用の換気装置
CN202121935U (zh) * 2011-04-07 2012-01-25 嵊州市科灵机械有限公司 种子发芽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718A (ja) * 1993-02-12 1994-08-30 Hishiyoushiya:Kk 発芽玄米製造装置及び発芽玄米の製造方法
KR19980079624A (ko) * 1997-04-08 1998-11-25 장세순 현미를 발아 시키는 방법
JPH11192020A (ja) * 1997-11-07 1999-07-21 Yushichi Inaba 発芽玄米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476656B1 (ko) * 2002-08-14 2005-03-18 김일두 홍국을 이용한 기능성 발아현미 재배방법
KR20050018928A (ko) * 2005-02-01 2005-02-28 박승원 발아현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30871A (ja) 2015-10-29
CN104486939A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4267A1 (ko) 현미순 재배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및 음식조리방법
WO2020032677A1 (ko) 식물 재배 장치 및 식물 재배 방법
KR100959254B1 (ko) 청정수삼 및 인삼 엽 생산방법
KR101779114B1 (ko)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어린 인삼의 재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및 재배된 인삼
WO2020040598A1 (ko) 식물 재배용 광원
KR101782565B1 (ko) 플라즈마 방전수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CN104904464B (zh) 一种豌豆芽苗菜的栽培方法
KR101241796B1 (ko) 초록콩나물 재배장치
WO2017082691A1 (ko) 플라즈마 방전수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비가열 살균을 위한 수처리용 플라즈마 활성종 발생장치 및 사용방법
WO2020197284A1 (ko) 식물 재배 광원 및 식물 재배 장치
Ouzounis et al. LED or HPS in ornamentals? A case study in roses and campanulas
KR20110036384A (ko) 살균수와 특정 파장 영역의 광원 조사를 이용한 새싹채소의 재배방법
US7647725B2 (en) Ozone treatment of mushroom house
KR20140028706A (ko) 현미순 재배장치
CN106258955B (zh) 一种诱导罗汉果胚乳细胞成苗的方法
KR101336295B1 (ko) 현미순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한 현미순의 이용
CN107549000B (zh) 智能电解空气营养孵化育苗系统及孵化方法
Watjanatepin Modification of growth and yield of the leafy vegetable under phosphor-converted light-emitting diode
CN205584983U (zh) 一种高效节能型自控恒温豆芽机
KR20210093405A (ko) 땅콩 나물 재배 방법
KR20170102835A (ko)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어린 인삼의 재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및 재배된 인삼
WO2018066738A1 (ko) 무독성 옻액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발효미강 분말 및 분말곡물영양식품 제조방법
CN112205199A (zh) 一种led光源照射辅助糙米发芽过程中品质稳定与营养物质富集的方法
KR20130037970A (ko) 현미싹 재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현미싹
CN110771364A (zh) 一种绿色蔬菜的环保型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192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2300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6/04/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192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