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50738A1 -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50738A1
WO2012150738A1 PCT/KR2011/005141 KR2011005141W WO2012150738A1 WO 2012150738 A1 WO2012150738 A1 WO 2012150738A1 KR 2011005141 W KR2011005141 W KR 2011005141W WO 2012150738 A1 WO2012150738 A1 WO 20121507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bon
microbial fuel
mfc
recovery
proteo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1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찬수
Original Assignee
알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180048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153883A/zh
Priority to US14/114,746 priority patent/US20140083933A1/en
Publication of WO20121507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50738A1/ko
Priority to GBGB1319441.0A priority patent/GB201319441D0/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5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8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y or the form in which the microorganisms are added or do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06Manganese or manganes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2Chromium or chromium compounds, e.g. chro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1Upstream control, i.e. monitoring for predict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5Combined electrochemical biolog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with power generation using microbial fuel cells (MFC) from heavy metals or precious metal containing wastewater.
  • MFC microbial fuel cells
  • mercury is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oisoning.
  • Mercury exists mainly in three forms: elemental mercury (Hg), inorganic mercury compounds, and organic mercury compounds.
  • the compounds of all mercury are called total mercury.
  • the inorganic mercury compound is divided into a first mercury salt, a second mercury salt or amalgam, and the organic mercury compound is divided into an alkyl mercury compound.
  • All mercury forms are highly toxic and each form has a different effect on human health.
  • Methylmercury and Hg 2 Cl 2 are carcinogenic to humans.
  • Mercury and its compounds are widely used in paint, pulp and paper manufacturing, oil refining, battery manufacturing, and pharmaceutical processes. Emissions of wastewater containing mercury ions can pollu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an be seriously damaging to human health, either directly into the water by humans or indirectly through the food chain.
  •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containing heavy metals such as mercury include neutralization precipitation method, solvent extraction method, membrane separation method, adsorption and ion exchange resin method, but sedimentation method and solvent extraction method require post-processing because secondary sources are generat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silver film, pretreatment of the treatment source is essential.
  • the ion exchange resin method is widely used for water treatment,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adsorbing minerals contained in the water (Seo Jung-ho, signature bridge, Kwak Young-kyu, Kang Shin-mook, Noh Jong-soo, Lee Kuk-ui, Choi Yun-ch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Hygiene , 1998 , 24 (1), 98).
  • microorganisms has the property of selectively adsorbing specific heavy metals, and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toxic heavy metals contained in industrial wastewater and for the recovery of expensive heavy metals (Seo Jung Ho, Signature Bridge, Shin Muk Kang, Exotic, Choi Yun Chan, Jung Gu Gu , Eui-Yong Ki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ygiene , 1997, 23 (4), 21) ..
  • the microbial fuel cell generates a voltage that transfers electrons generated when the microorganism of the anode part decomposes an organic material, which is a substrate, to the reduction electrode part, and is recently used to purify contaminants such as waste water and sedimen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38240 discloses a fuel cell type biochemical oxygen demand meter using a low nutritional electrochemically active microorganism and a biochemical low concentration oxygen dem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Doing.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66460 (2008. 07.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9234 discloses a dechlorination method using a bioelectrochemical system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7766 discloses a microbial fuel cell for indirectly oxidizing organic matter in a sediment layer using microorganisms by providing a cathode in a sediment layer deposited on a lower layer such as a lake and an anode on a water surface, and a method of reducing greenhouse effect using the same.
  • techniques for removing heavy metals 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using microbial fuel cells are not known.
  • microbial fuel cells use organic wastes to remove heavy metals or recover precious metals while simultaneously obtaining power.
  • organic matter can also be removed from organic wastewater.
  • the electrochemical method is known to have the ability to remove heavy metal ions from contaminated water to very low levels (ppb units) without secondary contamination, thus developing a new sustainable method for treating heavy metal containing wastewater. do.
  • Microbial cell technology is hopeful and new, but also conducive to wastewater treatment and power generation (Cheng, SA, Dempsey, BA, Logan, BE, Environ Sci Technol. 2007, 4 , 8149).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ider the cost and by-products of heavy metals such as mercury in conventional wastewater, and concomitantly utilizes microbial fuel cells (MFC), which are recently used to purify contaminants such as wastewater and sediments. In produc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of removing heavy metals 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wastewater containing heavy metals and precious metals economically without by-products.
  • MFC microbial fuel cells
  • the heavy metal to be removed is Hg 2+ , Hg + , Cr 6+ , Cr 5+ , Cr 4+ , Cr 3+ , Cr 2+ , As 5+ , As 3+ , Co 2+ , Co 3+ , Cu 2+ , Cu + , U 6+ , Mn 7+ , Mo 6+ , Cd 2+ , Pb 2+ , and the precious metals recovered are Ag + , Au 2+ , Au + , Pd 4 + , Pd 2+ , Pt 4+ , Pt 2+ , Rh 2+ , Ir 3+ , Re 3+ .
  • anaerobic microorganisms that can be used in the microbial fuel cell (MF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 -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are made of carbon material such as carbon felt, carbon cloth, carbon rod, carbon paper, carbon brush, and the separator between the electrode chamber is a cation exchange membrane (CEM), composite Membrane, nylon membrane, anion exchange membrane (AEM), and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microbial fuel cell (MFC).
  • CEM cation exchange membrane
  • AEM anion exchange membrane
  • a single MFC can remove or recover heavy metals directly if the voltage is sufficient.However, if sufficient voltage cannot be obtained in the constitution of a continuous MFC, the voltage from the front MFC is applied to the subsequent MFCs, and the metal ions at both ends can be removed. It is also possible to remove them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a multiple MFC configuration composed of two or more MFCs, even if the ion species removed at the front end are not ions of the same metal having a different valence from the rear end, if the voltage generation at the rear end is insufficient, the voltage is sufficient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at the front end MFC. Therefore, the ionic species can be removed or recovered from the rear end, which is difficult to react with a single MF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while simultaneously removing Hg 2+ from solid mercury containing sediments or deposits of metal Hg or Hg 2 Cl 2 from mercury-containing wastewater as a heavy metal.
  • the mercury-containing wastewater is preferably adjusted to an initial pH of 2 to 4.8, an initial Hg 2+ concentration of 25 to 100 mg / L, and more preferably to an initial pH using dilute hydrochloric acid.
  • Hg 2+ is removed as a solid precipitate or sediment of the metal Hg or Hg 2 Cl 2
  • Hg 2+ is removed as a solid precipitate or sediment of the metal Hg or Hg 2 Cl 2
  • the electrons generated during the bio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anode chamber are transferred through an external circuit toward the cathode, which reacts with the electron acceptor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Meanwhile, ions such as protons are transported through the membrane between the electrode chambers to achieve charge neutrality (Kim, JR, Cheng, SA, Oh, SE, Logan, BE, Environ. Sci. Technol . 2007, 41 , 1004 ).
  • Hg 2+ is also an electron acceptor which may be used as an MFC due to its high standard potential (when used as an electron acceptor).
  • the electrochemical scheme and the potential for the hydrogen standard electrode at 25 ° C. are as follows:
  • HCO 3 at pH 7 of the reduction potential is as follows:
  • Hg 2+ As the electron acceptor and acetate as the electron donor, an electromotive force of 1.195 V can be theoretically obtained according to Reaction (1) and Reaction (4).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moval mechanism of the heavy metal and the recovery of the noble metal having the reduction potential of the ear rather than the reduction potential of the organic matter. Removal or recovery of metals of the same kind with different oxidation numbers that do not have a reducing potential at the ear side can be removed or recovered secondary by supplying power to a battery configuration using the same or different metals having a reducing potential at the ear side.
  • MFC technology can be used to remove or recover heavy metals or precious metals in wastewater with power generation.
  • Hg 2+ can be effectively removed as a solid precipitate or deposit of metal Hg or Hg 2 Cl 2 , in addition to the removal of chromium and arsenic ions, and recovery of silver, gold, palladium, platinum, rhodium, iridium and rhenium ions.
  • the use of a double MFC can remove or recover a large number of ions by applying the voltage of the front end MFC to the rear end when the voltage of the rear end MFC is not sufficient.
  •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moval mechanism of the heavy metal and the recovery of the noble metal having the reduction potential of the ear rather than the reduction potential of the organic matter.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MFC for Hg 2+ remov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lease Hg concentration for various initial pH in the M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and 5 are graphs showing the emission Hg concentration (FIG. 4) and the maximum power density (FIG. 5) against various initial Hg 2+ concentrations in the M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maximum power density and voltage expressed as a function of current density in the M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showing dual MFC installation for Cr 6+ and Cr 3+ removal.
  • 8 to 12 are graphs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Cr 3+ as a solid material in a double M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oltage curve over time.
  • 13 and 14 is a graph showing the removal efficienc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remaining Cr 3+ Cr 3+,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be 50 ppm and 100 ppm, respectively.
  • 15 is a schematic showing dual MFC installation for As 5+ and As 3+ removal.
  • 16 to 20 are graphs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As 3+ from a dual M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voltage curve over time.
  • 21 is a graph showing the removal efficiency and the remaining As 3+ concentration of As 3+ 3+ As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50 ppm.
  • FIG. 2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voltage over time at various Ag + concentrations (25, 50, 100, 200 ppm)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4 is a graph showing the recovery of Ag over time at various initial Ag + concentrations (25, 50, 100, 200 ppm).
  • 25 is a graph showing the recovery of Au over time at various initial Au 3+ concentrations (25, 50, 100 ppm)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6 is a graph showing the recovery of Pd over time at various initial concentrations of Pd 2+ (25, 50, 100 ppm)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is a graph showing the recovery of Pt over time at various initial Pt 4+ concentrations (25, 50, 100 ppm)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9 is a graph showing the recovery of Ir with time at various initial Ir 3+ concentrations (25, 50, 100 ppm)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is a graph showing the recovery of Re with time at various initial Re 3+ concentrations (25, 50, 100 ppm)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Hg 2+ ions from synthetic mercury wastewater (MWW) using the MFC technique.
  • factors affect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Hg 2+ such as initial pH and concentration of initial Hg 2+ were considered.
  • the cell was fabricated using carbon felt as anode (reduction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and carbon paper as cathode (reduction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and the microbial fuel cell was constructed using the separator between electrode chambers as anion exchange membrane.
  • the bisilic MF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of plexiglass with each electrode chamber having a capacity of 137 ml (length: 7 cm, diameter: 5 cm). The effective doses were both 120 ml.
  • AEM was pretreated by immersion in NaCl solution before use and washed thoroughly with the next distilled water (Kim, JR, Cheng, SA, Oh, SE, Logan, BE, Environ. Sci. Technol . 2007, 41 , 1004).
  • AEM membranes is expected to prevent direct migration of Hg 2+ and prevent the influx of harmful agents to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 concentration of Hg 2+ was not detected from the anode chamber solution. Protons will also be in the same situation as Hg 2+ .
  • the pH was well controlled for the batch operation with the use of phosphate buffer.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MFC for Hg 2+ remov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Anaerobic inoculation microorganisms were collected at the Okcheon Sewage Treatment Plant. In order to remove dissolved oxygen in 90 ml artificial wastewater (AW) and 30 ml sludge mixture, it was blown with nitrogen gas and pumped into the anode chamber.
  • the artificial wastewater contains the following per liter: 1.36 g CH 3 COONaH 2 O, 1.05 g NH 4 Cl, 1.5 g KH 2 PO 4 , 2.2 g K 2 HPO 4 , and 0.2 g yeast extract as an electron donor.
  • 0.2 g electron donor was replenished in the anode chamber when the voltage dropped below 25 mV in each cycle.
  • the anode chamber was continuously stirred with a magnetic straw.
  • the cathode chamber was filled with 120 ml of distilled water and air was injected to use dissolved oxygen as the electron acceptor.
  • Anaerobic microorganisms that can be used in the microbial fuel cell (MF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 -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 the artificial wastewater in the anode chamber was replaced with a new artificial wastewater.
  • the cathode chamber was refilled with MWW (mercury-containing wastewater).
  • MWW dissolves HgCl 2 in distilled water to make this solution of 200 mg / L Hg 2+ and dilute with distilled water as needed to make the required MWW.
  • Dilute hydrochloric acid was used to control pH (Yardim, MF, Budinova, T., Ekinci, E., Petrov, N., Razvigorova, M., Minkova, V., Chemosphere 2003, 52 , 835).
  • the presence of Cl ⁇ ions was expected to help remove mercury ions with Hg 2 Cl 2 .
  • the cathode chamber was continuously blown with N 2 gas (60 ml / min) during the experiment to prevent the dissipation of dissolved oxygen and to mix the solution.
  • the initial pH and Hg 2+ concentration effective for removal of Hg 2+ was evaluated in the arrangement.
  • the cathode chamber was switched from batch to continuous to maintain a constant Hg 2+ from the MWW reservoir while blowing with N 2 gas.
  • the external resistance was changed from 4000 ⁇ to 50 ⁇ .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30 ° C. in a thermostatic incubator.
  • Coulomb efficiency (C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 the internal resistance was determined by the slope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IV curve. At scheduled intervals of 1 or 2 hours, a 1 ml solution was taken from the N 2 outlet of the cathode chamber to analyze the total mercury using ICP emission spectra (ICPE-9000, Shimadzu, Japan). Deposits on the bottom of the cathode chamber were collected by filtration through glass microfiber filters. The chemical form of the deposit was identified by EDS (Quantax 200, Bruke, Germany).
  • the release Hg 2+ concentrations for the 5 hour reaction were 3.08 ⁇ 0.07, 4.21 ⁇ 0.34, 4.84 ⁇ 0.00 and 5.25 ⁇ 0.36 mg / L at initial pH 2, 3, 4 and 4.8, respectively.
  • the release mercury concentration in the 10 hour reaction ranged from 0.44-0.69 mg / L, indicating 98.22-99.54% removal efficiency.
  • This removal efficiency of Hg 2+ was similar to the values reported in the prior art.
  • the generation of electricity, the unnecessary exchange of adsorbents such as activated carbon, and the possible treatment of organic matter in the wastewater as electron donors make MFC a hopeful and sustainable technology as opposed to other technologies (Hutchison, A., Atwood, D.). , Santilliann-Jiminez, QE, 2008, J. Hazard Mater., 156 , 458).
  • Table 1 below compares the removal efficiency of Hg 2+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 FIG. 4 are graphs showing the emission Hg concentration (FIG. 4) and the maximum power density (FIG. 5) against various initial Hg 2+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 2, external resistance from 4000 ⁇ to 50 ⁇ ). ).
  • the release Hg 2+ concentration initially decreased sharply for two hours and slowly slowed down within six hours. Reduction rate of the Hg 2+ i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Hg 2+. After reacting for 6 hours, the concentration of released Hg 2+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other Hg 2+ .
  • the concentration of release Hg 2+ for the 10 hour reaction ranged from 0.44 mg / L to 0.69 mg / L for the concentration of Hg 2+ between 25 mg / L and 100 mg / L.
  • the internal resistance decreased from 146.9 ⁇ to 107.9 ⁇ .
  • the CE was calculated in the range of 1.55 to 4.04%. The low CE was probably due to dissolved oxygen dissolved in the medium solution that consumed organics during the short discharge period without removing dissolved oxygen with N 2 before pumping into the anode chamber.
  • Hg 2+ 1.5 times higher than reduction (433.1 mW / m2 280 mW / m2) (Wang, Z. J., Lim, B. S., Lu, H., Fan, J., Choi, C. S., Bull. Korean Chem. Soc . 2010, 7 , 2025.) If Hg 2+ If it is used only as an electron acceptor, it does not seem to be suitable due to its toxicity. In this embodiment, Hg 2+ Is intended to be removed from the wastewater and power is obtained as a by-product.
  • the initial pH in the M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fected the removal efficiency of Hg 2+ from electrochemical and chemical reactions.
  • the concentrations of release Hg 2+ after 5 hours reaction showed 3.08 ⁇ 0.07, 4.21 ⁇ 0.34, 4.84 ⁇ 0.00 and 5.25 ⁇ 0.36 mg / L at pH 2, 3, 4 and 4.8, respectively.
  • the concentration of released Hg 2+ at various initial concentrations of Hg 2+ ranged from 0.44 to 0.69 mg / L.
  • Initial pH and Hg 2+ concentrations affected both power generation. Lower pH and higher Hg 2+ concentrations resulted in more peak power densities. A maximum power density of 433.1 mW / m 2 was achieved at 100 mg / L Hg 2+ at pH 2.
  • Example 2 Removal of them from wastewater contaminated with Cr 6+ / Cr 3+
  • FIG. 7 is a schematic showing dual MFC installation for Cr 6+ and Cr 3+ removal. This dual MFC is used to remove and recover by applying the voltage of the front end MFC to the rear end when the voltage of the rear end MFC is not sufficient. In this way, many ions can be removed or recovered.
  • FIGS. 8 to 12 are graphs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Cr 3+ as a solid material in a double M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oltage curve over time.
  • the initial concentration is 100 ppm. That is, it develops from the microbial fuel cell composed of the acetate organic wastewater and Cr 6+ wastewater at the front end, and theoretically connects the external load resistance to the microbial fuel cell composed of the same organic wastewater and Cr 3+ wastewater with a voltage of about 1.6 V. It is a voltage curve over time that shows the process of removing Cr 3+ as a solid material by supplying it directly instead of.
  • the latter battery is applied with a voltage of about 1.05 V.
  • the removal of Cr from metal Cr to metal Cr is an energy absorption process that requires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voltage loss of about 0.55 V from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front end.
  •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front end drops to about 0.7 V after about 30 hours due to the large concentration overvoltage due to the subsequent removal of Cr 3+ .
  • the Cathode electrode chamber of the latter cell which is the Cr 3+ removal step, the precipitation of blue solids was visually observed, and it was possible to separate them with laboratory filter paper.
  • the current versus time curve it can be seen that in about 20 hours, the current is lowered to its lowest state and Cr 3+ is almost completely removed.
  • 13 and 14 is a graph showing the removal efficienc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remaining Cr 3+ Cr 3+,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be 50 ppm and 100 ppm, respectively. From here, after about 30 hours and the level of the removal processing of the remaining Cr 3+ Cr 3+ showed the concentration of 50 ppm and 100 ppm both 97.26% and 1.37 ppm of the initial Cr 3+. On the other hand, hexavalent chromium is more easily removed than trivalent chromium, resulting in a removal rate of more than 99%.
  • Example 3 Removal of them from wastewater contaminated with As 5+ / As 3+
  • FIG. 15 is a schematic showing dual MFC installation for As 5+ and As 3+ removal. This dual MFC is used to remove and recover by applying the voltage of the front end MFC to the rear end when the voltage of the rear end MFC is not sufficient. In this way, many ions can be removed or recovered.
  • 16 to 20 are graphs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As 3+ from a dual M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voltage curve over time.
  • the initial concentration is 50 ppm.
  • the energy generated during the reduction of H 3 AsO 4 to HAsO 2 in the front end is supplied to the absorption energy necessary for the precipitation of AsO 2 - in the rear part to remove As 5+ and As 3+.
  • the process is shown as an electrochemical signal. These are the reactions that take place in the cathode chamber and the oxidation of acetate, one of the organic wastewaters, occurs at the anode.
  • Reduction to HAsO 2 of the shear acid solution H 3 AsO 4 is a second electron reaction and the HAsO 2 generated in the shear AsO 2 of the basic solution - so the reaction was three electron reaction which by the reduction with As, volume if the density of the The shear should be at least 1.5 times.
  • a solution of the same concentration and the volume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end to the quantitative solution AsO 2 should be at least 1.5 times -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reduction.
  • the concentration was doubled to the same volume, and the reaction system was prepared with the front end of 100 ppm and the rear end of 50 ppm.
  •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rear end and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rear end to react.
  • Table 4 and Figure 21 is a table and graph showing the removal efficiency and the free concentration of As As 3+ 3+ 3+ As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50 ppm.
  • Table 5 and Fig. 22 is a table and graph showing the removal efficiency and the free concentration of As As 3+ 3+ 3+ As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100 ppm.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time to recover silver by directly using the electrical energy obtained from organic wastewater containing silver and silver ion wastewater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dule is capable of generating sufficient power even with a forged cell.
  • an electrolysis virtual experiment of typically about 3 hours was conducted to recover silver in the cathode chamber.
  • various carbon materials which can use not only a carbon brush but also an electrode area such as a carbon felt or a graphite film plate are preferably used.
  • the anode is fabricated so as not to affect the reaction of the cathode by using a much larger area than the cathode (about 10 times or more).
  • FIG. 2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voltage over time at various Ag + concentrations (25, 50, 100, 200 ppm)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periment temperature was 30 ° C. and was loaded at 1000 kPa.
  • Table 6 and FIG. 24 show the recovery of Ag over time at various initial Ag + concentrations (25, 50, 100, 200 ppm).
  • the solution was analyzed using ICP-AES.
  • tes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erformance as a silver recovery or removal module and is likely to be a breakthrough in application and utilization in the field.
  •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for the recovery of silver from electronic waste or silver plating waste water, but also can be used critically for the recovery of silver by-products and refining of silver minerals in copper mines,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and supply electric power. It is meaningful.
  • the silver recovery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the results can also be similar to or better than those for silver.
  • the following examples illustrate the recovery of Au, Pd, Pt, Rh, Ir, and Re, all showing recovery rates of 99% or more.
  • the recovery of platinum was carried out analogously to the recovery of silver mentioned above using K 2 PtCl 6 solid reagent or H 2 PtCl 6 solid reagent.
  • Table 9 and Figure 27 shows the recovery of Pt over time at various initial Pt 4 + concentrations (25, 50, 100 ppm) using a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KNO 3 of 0.2 M was used and the experiment temperature was 30 ° C. and 1000 kPa was loaded.
  • the solution was analyzed using ICP-AES.
  • MFC technology can be used to remove or recover heavy metals or precious metals in wastewater with power generation.
  • Hg 2+ can be effectively removed as a solid precipitate or deposit of metal Hg or Hg 2 Cl 2 , in addition to the removal of chromium and arsenic ions, and recovery of silver, gold, palladium, platinum, rhodium, iridium and rhenium ions.
  • the use of a double MFC can remove or recover a large number of ions by applying the voltage of the front end MFC to the rear end when the voltage of the rear end MFC is not suffici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금속 또는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미생물 연료전지(MFC)를 사용하여 전력 생산과 함께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g2+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부산물이 무해하며, 장기적인 경제적 운전 등의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본 발명은 중금속 또는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미생물 연료전지(MFC)를 사용하여 전력 생산과 함께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금속 중에서는 특히 수은이 환경오염과 중독의 원인이 되고 있다. 수은은 주로 원소성 수은(Hg), 무기 수은 화합물, 유기 수은 화합물 등의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 수은 전체의 화합물을 총 수은이라고 한다. 무기 수은 화합물은 제 1 수은염, 제 2 수은염 또는 아말감으로 나뉘고, 유기 수은 화합물은 알킬수은 화합물로 나누어진다. 모든 수은의 형태는 매우 높은 독성이 있고, 각각의 형태마다 인간의 건강에 각기 다른 영향을 주는데, 메틸수은과 Hg2Cl2는 인간에 대한 발암 가능 물질로 되어있다. 수은과 그 화합물은 페인트, 펄프 및 종이 제조, 오일 정제, 밧데리 제조산업, 및 제약 공정에 널리 사용된다. 수은 이온을 함유하는 폐수의 방출은 주위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고, 인간에 의하여 직접 물로 투입되거나 간접적으로 먹이사슬을 통해 투입되어 인간의 건강에 심각하게 손상을 줄 수 있다.
수은 등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 처리공정으로는 중화 침전법, 용매추출법, 막분리법, 흡착, 이온교환수지법 등이 있으나, 침전법과 용매추출법은 2차 오염원이 발생하므로 후공정이 요구되며, 막분리법은 막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오염원의 전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이온교환수지법은 상수처리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 성분도 함께 흡착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서정호, 서명교, 곽영규, 강신묵, 노종수, 이국의, 최윤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1998, 24(1), 98).
이와 같은 종래의 폐수 처리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흡착을 이용하여 상수, 지하수 및 폐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희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방법은 기술개발의 잠재력이 높아 향후 폐수 속의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최익원, "해조류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제 제조 및 중금속 처리효과", 순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특히, 해조류, 조류, 미생물과 같은 유용 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처리용 생물 흡착 제제 및 생물학적 처리 신기술 개발은 기존의 활성탄과 같은 재래식 흡착제보다 뛰어난 선택성과 고기능성으로 인하여 경제성과 대체시장성이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생물 흡착 제제가 높은 응용 가능성과 함께 세계적으로 시장성이 확장되고 있는 이유는 다당류, 단백질 및 지방질로 구성된 미생물 세포벽에 존재하는 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록실,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및 아미노 리간드에 중금속이 잘 흡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생물 흡착제로는 발효공정이나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폐 바이오매스(biomass)를 이용하기 때문에 손쉽게 구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며, 폐자원을 가공 처리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특정 중금속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산업폐수 내 함유된 독성 중금속의 처리 및 고가의 중금속 회수에도 사용 가능하다(서정호, 서명교, 강신묵, 이국의, 최윤찬, 조정구, 김의용, 한국환경위생학회지, 1997, 23(4), 21)..
한편, 미생물 연료전지는 산화전극부의 미생물이 기질인 유기물질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전자를 환원전극부에 전달하는 전압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최근 폐수나 퇴적물 같은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특허공개 제10-2003-0038240호(2003. 05. 16)에서는 저영양성 전기화학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연료전지형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생화학적 저농도 산소요구량 측정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특허공개 제10-2008-0066460호(2008. 07. 16)에서는 미생물 연료전지 반응조 내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미생물의 생장을 제한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슬러지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10-2010-0109234호(2010. 10. 08)에서는 생물전기화학 시스템을 이용한 탈 염소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특허공개 제10-2010-0137766호(2010. 12. 31)에서는 호소 등의 저층에 축적되는 퇴적물의 퇴적층에 음극을 설치하고 수표면에 양극을 설치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퇴적층의 유기물을 간접적으로 산화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와 이를 이용한 온실효과 저감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을 회수하는 기술은 알려지지 않았다.
위에 언급한 폐수 중 중금속 제거 기술이 고비용뿐 아니라 해로운 부산물이 나온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미생물 연료전지는 유기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을 회수하는 동시에 전력을 얻는다는 장점이 있다. 당연히 유기물 폐수로부터 유기물 제거 작용도 할 수 있다. 더욱이, 전기화학 방법은 이차 오염이 없이 오염수로부터 매우 낮은 수준(ppb 단위)까지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는 능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중금속 함유 폐수를 처리하는 새로운 지속 가능한 방법의 개발이라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미생물 전지기술은 희망이 있고 새로울 뿐 아니라, 폐수처리와 전력생산에 도움이 된다(Cheng, S. A., Dempsey, B. A., Logan, B.E., Environ Sci Technol. 2007, 4, 8149).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폐수 중 수은 등 중금속 처리 기술이 갖는 비용 및 부산물 문제를 고려하여, 최근 폐수나 퇴적물 같은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 연료전지(MFC)를 이용하여 부수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면서, 부산물 없이 경제적으로 중금속 및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그리고 양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s)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제거되는 중금속은 Hg2+, Hg+, Cr6+, Cr5+, Cr4+, Cr3+, Cr2+, As5+, As3+, Co2+, Co3+, Cu2+, Cu+, U6+, Mn7+, Mo6+, Cd2+, Pb2+일 수 있으며, 회수되는 귀금속은 Ag+, Au2+, Au+, Pd4+, Pd2+, Pt4+, Pt2+, Rh2+, Ir3+, Re3+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 연료전지(MFC)에 사용할 수 있는 혐기성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그리고, 본 발명의 미생물 연료전지(MFC)에서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은 탄소 펠트, 탄소 천, 탄소 봉, 탄소 종이, 탄소 솔 등의 탄소 재료,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은 양이온 교환막(CEM), 복합막, 나일론막, 음이온 교환막(AEM)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미생물 연료전지(MFC)가 2 개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일 MFC는 전압이 충분할 경우에는 직접 중금속의 제거 또는 회수가 가능하지만, 연속되는 MFC의 구성에서 충분한 전압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단의 MFC에서 나오는 전압을 연속되는 후단의 MFC에 가하여 양단의 금속 이온들을 동시에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 개 이상의 MFC로 구성되는 복수 MFC 구성은 전단에서 제거되는 이온종이 후단과 다른 원자가를 가진 같은 금속류의 이온이 아니더라도, 후단에 전압 생성이 부족한 경우 전단의 MFC에서 생성된 전압의 인가로 전압이 충분하여 단일 MFC로는 반응이 어려운 후단으로부터 이온종의 제거 또는 회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중금속으로서 수은 함유 폐수로부터 Hg2+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제거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수은 함유 폐수는 초기 pH를 2 내지 4.8로 조절하고, 초기 Hg2+ 농도를 25 내지 100 ㎎/L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희석한 염산을 사용하여 초기 pH를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MFC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생산과 함께 폐수 속의 중금속이나 귀금속을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제거 또는 회수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Hg2+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제거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그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이실(anode와 cathode) MFC에서는 산화전극실(anode)에서 유기물을 생분해하는 동안에 생성된 전자가 전류를 일으키기 위해서 전자수용체와 반응하는 환원전극 쪽으로 외부 회로를 통해 전달된다. 그동안 양성자와 같은 이온은 전하 중성을 성취하기 위해서 전극실 사이에 있는 분리막을 통해서 이동된다(Kim, J. R., Cheng, S. A., Oh, S. E., Logan, B. E., Environ. Sci. Technol. 2007, 41, 1004). 물질을 MFC에서 전자수용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들 표준 전위가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사이에 양의 기전력(emf)를 일으키기 위해 환원전극(cathode)의 전위가 산화전극(anode) 상의 미생물 안에 있는 NAD+/NADH의 전위보다 높아야 한다. 발표된 결과들에 의하면 전자수용체의 표준 전위가 높을수록 MFC 속에서 전력생산은 더 크게 개선된다(Li, Z. J., Zhang, X. W., Lei, L. C., Proc. Biochem. 2008, 43, 1352).
Hg2+ 또한 (전자수용체로 사용시) 높은 표준전위로 인하여 MFC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전자수용체이다. 전기화학 반응식과 25℃에서 수소 표준전극에 대한 전위는 다음과 같다:
2Hg2+(aq) + 2e-=Hg2 2+(aq) E0=0.911 V (1)
Hg2 2+(aq) + 2e-=2Hg(l) E0=0.796 V (2)
Cl-의 존재하에서 Hg2 2+는 아래와 같은 화학반응에 의하여 침전이 될 수 있으며, 그 반응은 반응 (2)과 경쟁하게 될 것이다.
Hg2 2++2Cl-=Hg2Cl2(s) (3)
전자공여체로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경우, pH 7에서 HCO3 -/CH3COO-의 환원전위는 다음과 같다:
HCO3 -+8H++CO2+8e-=CH3COO-+3H2O E0=-0.284V (4)
Hg2+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고 아세테이트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면 반응(1)과 반응(4)에 따라서 1.195 V의 기전력이 이론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Hg2+은 환원전위가 기질로 사용된 아세테이트 이온의 전위(pH 7에서 E0=-0.284 V)보다 더 높기 때문에 MFC의 전자수용체로 작용하여 환원됨으로써 이론적으로 이 유독물질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Hg2+ 이외에, 본 발명에 따라 제거될 수 있는 금속의 환원전위를 보면 다음과 같다:
Cr2O7 2-(aq) + 14H+ + 6e- = 2Cr3+ + 7H2O Eo=1.29 V
Cr5+(aq) + e- = Cr4+ Eo=1.34 V
Cr4+(aq) + e- = Cr3+ Eo=2.10 V
Cr3+(aq) + e- = Cr2+ Eo=-0.424 V (2 MFCs 사용 필요)
Cr2+(aq) + 2e- = Cr(s) Eo=-0.79 V (2 MFCs 사용 필요)
H3AsO4(aq) + 2H+ + 2e- = HAsO2(aq) + 2H2O Eo=0.559 V
AsO2 -(aq) + 2H2O + 3e- = As(α) + 4OH- Eo=-0.68 V (2 MFCs 사용 필요)
Co3+(aq) + e- = Co2+ Eo=1.95 V
Co2+(aq) + 2e- = Co(s) Eo=-0.287 V (2 MFCs 사용 필요)
Cu2+(aq) + 2e- = Cu(s) Eo=0.337 V
Cu+(aq) + e- = Cu(s) Eo=0.521 V
UO2 2+(aq) + 4H+ + 2e- = U4+ + 2H2O Eo=0.269 V
U4+ + 4OH- = U(OH)4(s)
MnO4 -(aq) + 4H+ + 3e- = MnO2(s) + 2H2O Eo=1.69 V
MnO4 -(aq) + 2H2O + 3e- = MnO2(s) + 4OH- Eo=0.596 V
MoO4 2-(aq) + 4H+ + 2e- = MoO2(s) + 2H2O Eo=0.606 V
Pb2+(aq) + 2e- = Pb(s) Eo=-0.126 V
Cd2+(aq) + 2e- = Cd(s) Eo=-0.403 V (2 MFCs 사용 필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회수될 수 있는 금속의 환원전위는 다음과 같다:
[Ag(NH3)2]-(aq) + e- = Ag(s) + 2NH3 Eo=0.373 V
Ag2+(aq) + e- = Ag+ Eo=1.980 V
Ag+(aq) + e- = Ag(s) Eo=0.799 V
AuI2 - + e- = Au(s) +2I- Eo=0.578 V
[Au(SCN)2]- + e- = Au(s) +2SCN- Eo=0.689 V
[AuCl2]- + e- = Au(s) +2Cl- Eo=1.154 V
Au3+ + 3e- = Au(s) Eo=1.50 V
Au+ + e- = Au(s) Eo=1.68 V
PdCl6 2-(aq) + 2e- = PdCl4 2-(aq) + 2Cl- Eo=1.29 V
PdCl4 2-(aq) + 2e- = Pd(s) + 4Cl- Eo=0.59 V
Pd2+ + 2e- = Pd(s) Eo=0.915 V
[PtCl4]2- + 2e- = Pt(s) + 4Cl- Eo=0.847 V
[PtCl6]2- + 2e- = [PtCl4]2-(aq) + 2Cl- Eo=1.011 V
Pt2+ + 2e- = Pt(s) Eo=1.320 V
Rh3+ + 3e- = Rh(s) Eo=0.758 V
Ir2O3(s) + 3H2O + 6e- = 2Ir(s) + 6OH- Eo=0.098 V
IrCl6 3- + 3e- = Ir(s) + 6Cl- Eo=0.86 V
Ir3- + 3e- = Ir(s) Eo=1.16 V
ReO2(s) + 4H+ +4e- = Re(s) + 2H2O Eo=0.260 V
Re3+ +3e- = Re(s) Eo=0.300 V
ReO4 - + 4H+ + 3e- = ReO2(s) + 2H2O Eo=0.510 V
ReO4 - + 2H+ + e- = ReO2(s) + H2O Eo=0.768 V
도 1은 유기물의 환원전위보다 귀측의 환원전위를 갖는 중금속의 제거 및 귀금속의 회수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귀측의 환원전위를 가지지 않는 산화수가 다른 동종의 금속의 제거나 회수는 귀측의 환원전위를 갖는 동종이나 이종 금속의 환원전위를 이용한 전지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2차적으로 제거 또는 회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MFC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생산과 함께 폐수 속의 중금속 또는 귀금속을 제거 또는 회수할 수 있다. 특히 Hg2+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밖에 크롬 및 비소 이온의 제거, 그리고 은, 금, 팔라듐, 백금, 로듐, 이리듐 및 레늄 이온의 회수를 고효율로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이중 MFC를 사용하면 후단 MFC의 전압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 전단 MFC의 전압을 후단에 인가하는 방식에 의해 많은 이온들을 제거 또는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유기물의 환원전위보다 귀측의 환원전위를 갖는 중금속의 제거 및 귀금속의 회수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g2+ 제거를 위한 MFC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여러 가지 초기 pH에 대한 방출 Hg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여러 가지 초기 Hg2+ 농도에 대한 방출 Hg 농도(도 4) 및 극대 전력밀도(도 5)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전류밀도의 함수로 표시한 극대전력밀도와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Cr6+ 및 Cr3+ 제거를 위한 이중 MFC 설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MFC에서 Cr3+를 고형물질로 제거하는 과정을 시간에 따른 전압곡선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 및 14는 초기 농도가 각각 50 ppm 및 100 ppm일 때 Cr3+의 제거 효율과 남은 Cr3+ 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As5+ 및 As3+ 제거를 위한 이중 MFC 설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MFC에서 As3+를 제거하는 과정을 시간에 따른 전압곡선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초기 As3+ 농도가 50 ppm일 때 As3+의 제거 효율과 남은 As3+ 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초기 As3+ 농도가 100 ppm일 때 As3+의 제거 효율과 남은 As3+ 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Ag+ 농도(25, 50, 100, 2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여러 가지 초기 Ag+ 농도(25, 50, 100, 2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Ag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Au3+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Au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Pd2+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Pd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Pt4+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Pt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Rh3+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Rh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Ir3+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Ir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Re3+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Re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음은 폐수에 포함된 중금속 중 수은, 크롬 및 비소를 제거하는 실시예, 그리고 귀금속 중 은, 금, 팔라듐, 백금, 로듐, 이리듐, 레늄의 회수를 보여주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폐수로부터 수은의 제거
MFC 기술을 사용하여 합성 수은 폐수(MWW)로부터 Hg2+ 이온의 제거를 시도하였으며, 먼저 초기 pH와 초기 Hg2+의 농도와 같은 Hg2+의 제거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고찰하였다.
전지의 제작은 anode(산화전극, 플러스극)로 탄소 펠트, cathode(환원전극, 마이너스극)로 탄소 종이를 사용하고,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음이온 교환막으로 하여 미생물 연료전지를 구성하였다.
(1) MFC 제작
본 발명에 사용된 이실 MFC는 137 ㎖의 용량(길이: 7 ㎝, 직경: 5 ㎝)의 각 전극실을 갖는 플랙시 유리로 제작하였다. 유효 용량은 둘 다 120 ㎖였다. 전극실은 19.6 ㎠(직경=5 ㎝)의 표면적을 갖는 음이온 교환막(AEM, AMI-7001, Membrane International, Inc. USA)으로 분리하였다. AEM은 사용 전 NaCl 용액에 침지하여 전처리하고 다음 증류수로 완전히 세척하였다(Kim, J. R., Cheng, S. A., Oh, S. E., Logan, B.E., Environ. Sci. Technol. 2007, 41, 1004).
산화전극으로 35.6 ㎠(3.5 ㎝× 3 ㎝, 1.12 ㎝ 두께, Alfa Aesar, USA)의 표면적을 갖는 탄소 펠트를 선택하였고, 21 ㎠(3 ㎝×.3.5 ㎝)의 표면적을 갖는 탄소 종이를 환원전극으로 사용하였다.
Wang 등(Wang, X., Cheng, S. A., Feng, Y. J., Merrill, M. D., Saito, T., Logan, B. E., Environ. Sci. Technol. 2009, 43, 6870)에 의하여 보고된 대로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모두 24 시간 아세톤에 침지하여 전처리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뒤 머플로에 450 ℃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전기를 수집하기 위하여 티타늄선을 연결하고 탄소에폭시로 접촉점을 덮어 200 ℃에서 약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연결하였다. 외부 저항 500 Ω을 별도 언급하지 않으면 연결하였다.
AEM 분리막의 사용으로 Hg2+의 직접적인 이동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 예상되며 미생물 성장에 치명적인 원인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실제 ICP 분석 결과, Hg2+의 농도가 산화전극실 용액으로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양성자 또한 Hg2+와 같은 상황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산 완충액의 사용으로 pH가 배치운전에 대하여 잘 조절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g2+ 제거를 위한 MFC의 개략도이다.
(2) 접종
혐기성 접종미생물은 옥천 하수처리장에서 수집하였다. 90 ㎖ 인공폐수(AW)와 30 ㎖ 슬러지 혼합액에서 용존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기체로 불어낸 후 산화전극실로 펌핑하였다. 인공폐수는 1 L 당 다음을 포함하고 있다: 전자공여체로 1.36 g CH3COONaH2O, 1.05 g NH4Cl, 1.5g KH2PO4, 2.2 g K2HPO4, 및 0.2 g 이스트 추출물.
각 주기마다 전압이 25 mV 이하로 떨어질 때 0.2 g 전자공여체를 산화전극실에 보충하였다. 산화전극실은 자석 젓개로 연속적으로 저어주었다. 환원전극실은 120 ㎖의 증류수로 채우고 전자수용체로 용존산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였다.
본 발명의 미생물 연료전지(MFC)에 사용할 수 있는 혐기성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3) 운전
MFC를 성공적으로 시작한 후 산화전극실의 인공폐수는 새 인공폐수로 대체하였다. 환원전극실은 MWW(수은함유폐수)로 다시 채웠다. MWW는 HgCl2를 증류수에 녹여 200 ㎎/L Hg2+의 본 용액을 만들고 필요에 따라 증류수로 희석하여 필요한 MWW를 만들었다. pH를 조절하기 위해서 희석한 염산을 사용하였다(Yardim, M. F., Budinova, T., Ekinci, E., Petrov, N., Razvigorova, M., Minkova, V., Chemosphere 2003, 52, 835). Cl- 이온의 존재는 수은 이온을 Hg2Cl2로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환원전극실은 용존산소에 의한 전자소모를 막고 용액의 혼합을 위해서 실험하는 동안에 N2 기체(60 ㎖/min)를 연속적으로 불어넣었다.
Hg2+의 제거에 대한 pH와 초기 Hg2+ 농도 효과를 배치 상태에서 평가하였다. 극대 전력밀도를 성취하기 위하여 환원전극실은 N2 기체로 불어주는 동안 MWW 저장소로부터의 일정한 Hg2+를 유지하기 위해서 배치 상태에서 연속 상태로 전환하였다. 나아가 외부저항을 4000 Ω에서 50 Ω까지 변화시켰다. 모든 실험은 온도조절 배양기에서 30 ℃로 수행되었다.
(4) 계산과 분석
전압(V)은 매분마다 정전압장치(WMPG 1000, Won-A Tech, 한국 또는 LabView, 미국)로 측정되었다. 전력밀도는 P = V2/RA에 따라서 계산되었다. 여기서 R은 외부 저항, A는 환원전극의 표면적이다. 쿨롱효율(CE)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CTKR2011005141-appb-I000001
여기에서 8은 O2의 분자량을 위한 MO2=32와 산소 몰당 교환된 전자수 4와 COD 값을 위해서 항상 사용되었다. I는 I=V/R로 계산된 전류이고, t는 시간 간격, F는 Faraday 상수(96485 C/mol e-), v는 산화전극실의 유효부피, △COD는 소비된 산소요구량의 변화이다.
내부저항은 I-V 곡선의 직선부분의 기울기로 결정되었다. 1시간 또는 2시간 계획된 시료채취 간격에, ICP 발광 스펙트라법(ICPE-9000, Shimadzu, 일본)을 사용하여 총 수은을 분석하기 위해서 1 ㎖ 용액을 환원전극실의 N2 출구에서 채취하였다. 환원전극실 바닥의 침적물은 유리 미세 섬유 필터를 통하여 걸러서 수집하였다. 침적물의 화학적 형태는 EDS(Quantax 200, Bruke, 독일)로 식별하였다.
(5) 결과
① pH 효과
초기상태의 낮은 pH는 높은 방출 수은 농도로 이어졌다. pH를 4.8에서 2로 조절한 것은 이온전도도를 13.2 ㎲/㎝에서 5160 ㎲/㎝로 증가시켰고, 이는 전기환원 반응속도(반응식 (1))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한편, 높은 pH에 비하여 낮은 pH는 Hg2Cl2의 높은 용해도(25 ℃에서 Ksp = 3.5x10-18)로 유도되어, 비록 Hg2 2+ 이온이 반응식 (2)에 따라 수은 금속으로 더 환원이 될 수 있더라도, 용액 중의 Hg2 2+ 이온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낮은 pH에서의 총 수은 방출 농도는 높은 pH에서의 그것보다 더 높았다.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Hg2+은 낮은 pH에서 수은 금속으로 환원이 되고 높은 pH에서 Hg2Cl2를 형성하여 제거되었다.
환원전극 표면과 환원전극실 바닥에 있는 침적물의 EDS 분석을 수행한 결과, 환원전극 표면에는 수은만이 검출된 반면, 전극실 바닥의 침적물로부터는 수은과 염소가 둘 다 검출되었다. 이는 Hg2+이 반응식 (1)과 (2)에 따라 환원전극 표면에서 Hg로 완전 환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Hg2Cl2의 침전이 환원전극실 용액으로부터 입증되었다.
5시간 반응에 대하여 방출 Hg2+ 농도는 초기 pH 2, 3, 4 및 4.8에서 각각 3.08±0.07, 4.21±0.34, 4.84±0.00 및 5.25±0.36 ㎎/L이었다. 10시간 반응에서 방출 수은 농도는 0.44∼0.69 ㎎/L의 범위에 있었으며 이는 98.22∼99.54 %의 제거효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Hg2+의 제거효율은 종래 기술에서 보고된 값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전력생산,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의 불필요한 교환, 전자공여체로 폐수에 들어있는 유기물의 가능성 있는 처리들은 MFC를 타 기술에 대조적으로 희망이 있고 지속적인 기술로 만들어 준다(Hutchison, A., Atwood, D., Santilliann-Jiminez, Q.E., 2008, J. Hazard Mater., 156, 458).
다음 표 1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Hg2+의 제거 효율을 종래의 방법과 비교한 것이다.
표 1
방법 초기 농도(mg/L) 제거효율(%) 참고
이온교환 90 99.96 Monteagudo and Ortiz, 2000
2-머캡토벤즈이미다졸 점토를 이용한 흡착 50 >99 Manohar 등, 2002
알기닌 개질한 TiO2에 의한 광촉매 제거 150 >99 Skubal과 Meshkov, 2002
복수의 황을 함유한 개방 사슬 리간드 상에 침전 30 92.83-100 Hutchison 등, 2008
활성탄 흡착 40 96.29-99.7 Rao 등, 2009
미생물 연료전지 25-100 98.22-99.54 본 발명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여러 가지 초기 pH에 대한 방출 Hg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50 ㎎/L Hg2+, average±SD, n=2).
pH가 4.8에서 2로 조절될 때 극대 전력밀도는 8.9 mW/㎡에서 318.7 mW/㎡로 증가하였다. 반응식 (1)과 (2)에 따른 Hg2+이나 Hg2 2+의 환원에 양성자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생산의 증가는 pH 4.8에서 2로의 감소에 따른 MFC의 내부저항 3816.6 Ω에서 126.7 Ω으로의 감소에 기인해야만 한다. 내부저항의 이러한 변화는 초기 pH가 4.8에서 2로 조절될 때 13.2 ㎲/㎝에서 5160 ㎲/㎝로 증가된 이온 전도도로부터 일어났다. 이는 양성자 이온이 전자수용체의 환원에 수반되는 과망간산 이온(You, S. J., Zhao, Q. L., Zhang, J. N., Jiang, J. Q., Zhao, S. Q., J. Power Sources 2006, 162, 1409)과 같은 전자수용체의 다른 종류와 달랐다.
② 초기 Hg2+의 효과
pH 2의 고정 pH에서, 25 내지 100 ㎎/L의 여러 가지 초기 Hg2+ 농도에 대한 총 방출 Hg2+의 농도 프로파일을 조사하였다. 도 4 및 5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초기 Hg2+ 농도에 대한 방출 Hg 농도(도 4)와 극대전력밀도(도 5)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H 2, 4000 Ω에서 50 Ω까지의 외부저항).
여기에서 보듯이, 방출 Hg2+ 농도는 처음에는 두 시간 동안 급격히 감소하고 6 시간 이내에 서서히 속도가 늦추어졌다. Hg2+의 환원속도는 Hg2+의 초기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6시간 동안 반응한 후에는 방출 Hg2+의 농도가 다른 Hg2+의 농도에 대하여 크게 변하지 않았다. 10시간 반응에 대하여 방출 Hg2+의 농도는 25 ㎎/L 내지 100 ㎎/L의 Hg2+의 농도에 대해 0.44 ㎎/L 내지 0.69 ㎎/L의 범위에 있었다.
Hg2+의 농도가 25 ㎎/L에서 100 ㎎/L로 증가될 때 극대 전력밀도는 256.2 mW/㎡에서 433.1 mW/㎡로 상승되었다. 초기 Hg2+의 농도 효과는 다른 연구그룹에 의하여 보고된 다른 종류의 전자수용체와 유사함을 발견하였다(Li, Z. J., Zhang, X. W., Lei, L. C., Proc. Biochem. 2008, 43, 1352).
높은 전자수용체 농도는 환원전위를 상승시키고 나아가 MFC의 개방회로 전압과 전력생산을 상승시킨다. 또한 전자수용체의 높은 농도는 전지의 내부저항을 감소시킨다(Li, Z. J., Zhang, X. W., Lei, L. C., Proc. Biochem. 2008, 43, 1352). Hg2+의 농도를 일정한 산화전위 하에서 25 ㎎/L에서 100 ㎎/L로 증가시켰을 때, MFC의 환원전위와 개방회로 전압이 실제로 각각 275.0 mV에서 454.4 mV, 그리고 663.8 mV에서 845.1 mV로 상승되었다. 동시에 이온전도도는 4.96 ㎳/㎝에서 5.46 ㎳/㎝으로 상승하였다. 결과적으로 내부저항은 146.9 Ω에서 107.9 Ω으로 감소하였다. 여러 가지 다른 Hg2+의 농도에 대해서 CE는 1.55∼4.04 % 범위 내로 계산이 되었다. 낮은 CE는 아마도 산화전극실로 펌핑하기 전에 N2로 용존산소를 제거하지 않아서 짧은 방전 기간 동안에 유기물을 소모시켰던 매질 용액 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에 기인했을 것이다.
도 6은 전류밀도의 함수로 표시한 극대전력밀도와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00 ㎎/L Hg2+, pH 2, 4000 Ω에서 50 Ω까지의 외부저항). 외부저항이 1.44 A/㎡의 전류밀도에서 100 Ω일 때 전력곡선으로부터 극대전력밀도 433.1 mW/㎡로 결정되었다. 내부저항 107.9 Ω(R2=0.998)은 전류 대 전압곡선의 기울기로부터 얻어진 값이다. 이론적으로 극대전력밀도는 내부저항값에서 일어나야 한다. 두 값은 근접한 값으로 나타났고 두 방법 공히 실험 오차 범위 내에서 신뢰할 수 있었다. Hg2+ 환원을 가진 MFC는 사용된 다른 환원물질에 관계없이 Cu2+ 환원보다 1.5 배 더 높았다(433.1 mW/㎡ 대 280 mW/㎡)(Wang, Z. J., Lim, B. S., Lu, H., Fan, J., Choi, C. S., Bull. Korean Chem. Soc. 2010, 7, 2025.) 만일 Hg2+을 전자수용체로만 사용한다면 그의 독성에 기인하여 적합하지 않은 듯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Hg2+을 폐수에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전력은 부산물로 얻어지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초기 pH는 전기화학 및 화학반응으로부터 Hg2+의 제거효율에 영향을 미쳤다. 5 시간 반응 후 방출 Hg2+의 농도는 pH 2, 3, 4 및 4.8에서 각각 3.08±0.07, 4.21±0.34, 4.84±0.00 및 5.25±0.36 ㎎/L를 나타내었다. 10 시간 반응 후, 여러 가지 Hg2+ 초기농도(25, 50 및 100 ㎎/L)에서 방출 Hg2+의 농도는 0.44 내지 0.69 ㎎/L의 범위에 있었다. 초기 pH와 Hg2+의 농도는 전력생산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낮은 쪽의 pH와 높은 쪽의 Hg2+의 농도가 더 많은 극대 전력밀도로 이어졌다. pH 2의 100 ㎎/L Hg2+에서 극대전력밀도 433.1 mW/㎡가 달성되었다.
실시예 2: Cr6+/Cr3+으로 오염된 폐수로부터 이들의 제거
도 7은 Cr6+ 및 Cr3+ 제거를 위한 이중 MFC 설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러한 이중 MFC는 후단 MFC의 전압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 전단 MFC의 전압을 후단에 인가하여 제거 및 회수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식을 가지고 많은 이온들을 제거 또는 회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환원전극실의 조건은 다음 표 2에 나타낸다.
표 2
1번 환원전극실 2번 환원전극실
이온 Cr6+ Cr3+
재료 탄소 솔 2.5*2.5 ㎝ 탄소 천 1.7*1.3 ㎝
용적 100 mL 100 mL
이온 농도 200 ppm 100 ppm
멤브레인 CEM AEM
pH 값 2 미조정, 6.4
K2SO4 농도 200 mM 200 mM
교반 방식 N2 제거 N2 제거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MFC에서 Cr3+를 고형물질로 제거하는 과정을 시간에 따른 전압곡선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초기 농도는 100 ppm이다. 즉, 전단에 있는 아세테이트 유기물 폐수와 Cr6+ 폐수로 구성된 미생물 연료전지로부터 발전하여 이론적으로 약 1.6 V의 전압을 같은 유기물 폐수와 Cr3+ 폐수로 구성된 후단의 미생물 연료전지에 외부 부하저항을 연결하지 않고 직접 공급하여 Cr3+를 고형물질로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간에 따른 전압곡선이다.
이들 전압곡선을 자세히 관찰하여 보면, 후단의 전지는 약 1.05 V의 전압이 가해지는 것으로 보아 후단의 전지에서는 Cr3+에서 금속 Cr로 제거되는 과정이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는 흡에너지 과정이기 때문에 전단의 전지 기전력으로부터 0.55 V 정도의 전압손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전압은 약 30시간 뒤에는 0.7 V 정도로 떨어지는데, 이는 후단의 Cr3+ 제거로 농도 과전압이 크게 걸리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Cr3+ 제거단인 후단의 전지의 Cathode 전극실에는 푸른색 고형물의 침전이 육안으로도 관찰이 되었으며 실험실용 거름종이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했다. 전류 대 시간 곡선에서 보듯이, 약 20시간 정도면 전류는 거의 최저상태로 내려가고 Cr3+는 거의 완전 제거됨을 알 수 있다.
도 13 및 14는 초기 농도가 각각 50 ppm 및 100 ppm일 때 Cr3+의 제거 효율과 남은 Cr3+ 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면, 약 30 시간 처리 후에 Cr3+의 제거율과 남은 Cr3+의 준위는 초기 Cr3+의 농도 50 ppm과 100 ppm 공히 97.26%와 1.37 ppm을 보였다. 한편 6가 크롬은 3가 크롬보다 더 제거가 용이하여 99%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3: As5+/As3+로 오염된 폐수로부터 이들의 제거
도 15는 As5+ 및 As3+ 제거를 위한 이중 MFC 설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러한 이중 MFC는 후단 MFC의 전압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 전단 MFC의 전압을 후단에 인가하여 제거 및 회수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식을 가지고 많은 이온들을 제거 또는 회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환원전극실의 조건은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표 3
1번 환원전극실 2번 환원전극실
이온 As5+ As3+
재료 탄소 솔 2.5*2.5 ㎝ 탄소 천 1.7*1.3 ㎝
용적 100 mL 100 mL
이온 농도 100 ppm 50 ppm
멤브레인 CEM CEM
pH 값 2 미조정, 9.5
K2SO4 농도 200 mM 200 mM
교반 방식 N2 제거 N2 제거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MFC에서 As3+를 제거하는 과정을 시간에 따른 전압곡선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초기 농도는 50 ppm이다. 즉, 전단에서 H3AsO4가 HAsO2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발전되는 에너지를 후단의 AsO2 -가 As로 석출되는 과정에 필요한 흡에너지 과정에 공급하여 As5+와 As3+ 둘 다를 제거하는 과정을 전기화학적 신호로 보여준다. 이들은 환원전극실에서 일어나는 반응들이고 산화전극에서는 유기물 폐수의 하나인 아세테이트의 산화가 일어난다. 전단의 산성 용액의 H3AsO4의 HAsO2로의 환원은 2 전자 반응이고 전단에서 발생된 HAsO2를 염기성 용액의 AsO2 -로 하여 As로 환원시키는 반응이 3 전자 반응이므로, 같은 부피라면 농도는 전단이 최소 1.5 배는 되어야 한다. 한편 같은 농도의 용액을 사용한다면 전단의 용액의 부피가 최소 1.5 배는 되어야 정략적으로 후단의 AsO2 -를 완전 환원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같은 부피로 농도를 2 배가 되게 하였으며 전단을 100 ppm으로 후단을 50 ppm으로 하여 반응계를 준비하였다. 바로 전단의 마이너스극을 후단의 플러스극에 연결하고 전단의 플러스극을 후단의 마이너스극에 연결하여 반응을 시킨다.
다음 표 4 및 도 21은 초기 As3+ 농도가 50 ppm일 때 As3+의 제거 효율과 남은 As3+ 농도를 보여주는 표 및 그래프이다.
표 4
반응시간/일 1 2 3 4
남은 As3+ 농도(As3+/ppm) 0.04 0.03 0.02 0.01
제거 효율 % 99.92 99.94 99.96 99.98
표 4와 도 21에서 보듯이, 1일 정도 반응시킨 후 ICP-AES 분석한 결과 후단의 음극반응조의 AsO2 -가 50 ppm에서 0.04 ppm으로 농도가 내려가 AsO2 -의 제거율은 99.92%을 나타내었으며, 4일 후 남은 As3+의 준위는 0.01 ppm이고 제거율은 99.98%를 나타내었다.
다음 표 5 및 도 22는 초기 As3+ 농도가 100 ppm일 때 As3+의 제거 효율과 남은 As3+ 농도를 보여주는 표 및 그래프이다.
표 5
반응시간/일 1 2 3 4
남은 As3+ 농도(As3+/ppm) 0.20 0.10 0.06 0.04
제거 효율 % 99.80 99.90 99.94 99.96
표 4와 도 22에서 보듯이, 초기 농도 100 ppm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야기하여 높은 As3+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5가 비소는 3가 비소보다 더 제거가 용이하여 거의 모든 초기 농도에서 99%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Ag의 회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해로운 중금속의 제거는 물론 귀금속의 회수도 가능하며, 이는 유기물 폐수처리와 전력생산만을 목적으로 한 것보다 현실적으로 경제적 가치가 높아서 다양한 분야로 응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은을 포함하는 유기물 폐수와 은 이온 폐수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에너지를 직접 사용하여 은을 회수하는 것은 본 발명이 최초이다. 이 모듈은 단조를 가진 전지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전력형성이 가능하다.
태양광 전지산업과 전자산업에서 프린트 회로판 등으로부터 금은 물론 은의 회수는 실로 막대한 경제적 의미를 가진다. 은의 사용은 태양광 전지와 전자기기 생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전자산업 폐기물로부터 은을 회수하는 것은 경제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전극실에 탄소 브러시 전극을 장착하고 에너지원으로 인공폐수인 초산을 넣고 전극 상에 미생물을 성장시키고, 환원전극에는 탄소 천을 사용하고 0.2 M의 KNO3 수용액에 은 이온을 25∼200 ppm의 농도로 하여, 환원전극실의 은 회수를 위해 전형적으로 3 시간 정도의 전기분해 가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산화전극으로는 탄소 브러시 뿐만 아니라 탄소 펠트나 흑연막판 등 전극 면적을 되도록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탄소 재료라면 바람직하다. 산화전극은 환원전극에 비하여 월등히 넣은 면적을 사용하여 환원전극에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작한다(약 10배 이상).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Ag+ 농도(25, 50, 100, 2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실험 온도는 30 ℃이고, 1000 Ω의 부하를 주었다. 다음 표 6 및 도 24는 여러 가지 초기 Ag+ 농도(25, 50, 100, 2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Ag의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용액은 ICP-AE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6
Ag+의 초기 농도 25 ppm 50 ppm 100 ppm 200 ppm
시간/h Ag 회수효율(%) Ag 회수효율(%) Ag 회수효율(%) Ag 회수효율(%)
1 99.61 99.70 99.79 67.20
2 99.80 99.85 99.87 99.90
3 99.80 99.85 99.90 99.94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은을 회수하게 되면, 은을 회수하기 위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도 23에서 보듯이, 초기 은 농도 200 ppm에서 1000 Ω의 부하에도 0.8 V의 전압을 생산하여 3.620 A/㎡를 얻어 2.90 W/㎡를 얻었다. 또한, 표 6 및 도 24에서 보듯이, 은 이온(Ag+) 초기 농도가 200 ppm에서 최대 99.94%의 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최저 남아 있는 은 이온의 농도는 0.12 ppm 수준까지 내려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기 은 이온 농도가 25 ppm일 경우에는 같은 3시간 이내에 0.049 ppm에 도달하여, 더욱 시간을 길게 사용하여 전기분해를 한다면 더욱 낮은 농도 준위까지 성취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모듈은 은 회수 또는 제거 모듈로 탁월한 성능을 갖고, 본 분야에서의 응용과 활용에 획기적인 돌파구가 될 가능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비실험에서는 은 회수율이 99.94%에 도달하는 동안 약 64 Wh/kg의 전기에너지를 부산물로 얻는 것이 가능하였다. 반면, 종래의 한 방법에 따르면 전기 석출에 의한 은의 회수율 94%를 얻는데 5.77 KWh/kg의 전기에너지 소비가 필요했다(Thasan Raju, Sang Joon Chung, and Il Shik Moon, Korean J. Chem. Eng., 2009, 26(4), 1053). 이로써, 종래의 은 회수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은 회수 방법이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큰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순히 전자기기 폐기물이나 은 도금 폐수로부터 은의 회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리 광산에서 은의 부산물의 회수나 은 광물의 정련에 긴요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상기 기술된 은의 회수 방법은 금과 같은 다른 귀금속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결과 역시 은에 대한 결과와 유사하거나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Au, Pd, Pt, Rh, Ir 및 Re의 회수를 예시하고 있으며, 모두 99%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5: Au의 회수
금의 회수는 AuCl3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상기 언급된 은의 회수와 유사하게 실시하였다. 다음 표 7 및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Au3+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Au의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0.2 M의 KNO3를 사용하고 실험 온도는 30 ℃, 1000 Ω의 부하를 주었다. 용액은 ICP-AE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7
Au3+의 초기 농도 25 ppm 50 ppm 100 ppm
시간/h Au 회수효율(%) Au 회수효율(%) Au 회수효율(%)
1 99.7 99.60 99.50
2 99.80 99.85 99.87
3 99.90 99.87 99.90
실시예 6: Pd의 회수
팔라듐의 회수는 PdCl2를 사용하여 용액을 제조해서 상기 언급된 은의 회수와 유사하게 실시하였다. 다음 표 8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Pd2+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Pd의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0.2 M의 KNO3를 사용하고 실험 온도는 30 ℃, 1000 Ω의 부하를 주었다. 용액은 ICP-AE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8
Pd2+의 초기 농도 25 ppm 50 ppm 100 ppm
시간/h Pd 회수효율(%) Pd 회수효율(%) Pd 회수효율(%)
1 99.50 99.40 99.30
2 99.90 99.50 99.87
3 99.90 99.80 99.70
실시예 7: Pt의 회수
백금의 회수는 K2PtCl6 고체 시약 또는 H2PtCl6 고체 시약을 사용하여 상기 언급된 은의 회수와 유사하게 실시하였다. 다음 표 9 및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Pt4+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Pt의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0.2 M의 KNO3를 사용하고 실험 온도는 30 ℃, 1000 Ω의 부하를 주었다. 용액은 ICP-AE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9
Pt4+의 초기 농도 25 ppm 50 ppm 100 ppm
시간/h Pt 회수효율(%) Pt 회수효율(%) Pt 회수효율(%)
1 99.7 99.60 99.40
2 99.90 99.82 99.80
3 99.90 99.87 99.87
실시예 8: Rh의 회수
로듐의 회수는 RhCl3 고체시약을 사용하여 상기 언급된 은의 회수와 유사하게 실시하였다. 다음 표 10 및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Rh3+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Rh의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0.2 M의 KNO3를 사용하고 실험 온도는 30 ℃, 1000 Ω의 부하를 주었다. 용액은 ICP-AE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0
Rh3+의 초기 농도 25 ppm 50 ppm 100 ppm
시간/h Rh 회수효율(%) Rh 회수효율(%) Rh 회수효율(%)
1 99.40 99.50 99.20
2 99.70 99.65 99.57
3 99.80 99.70 99.70
실시예 9: Ir의 회수
이리듐의 회수는 IrCl3 고체 시약을 사용하여 상기 언급된 은의 회수와 유사하게 실시하였다. 다음 표 11 및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Ir3+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Ir의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0.2 M의 KNO3를 사용하고 실험 온도는 30 ℃, 1000 Ω의 부하를 주었다. 용액은 ICP-AE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1
Ir3+의 초기 농도 25 ppm 50 ppm 100 ppm
시간/h Ir 회수효율(%) Ir 회수효율(%) Ir 회수효율(%)
1 99.37 99.26 99.12
2 99.65 99.53 99.47
3 99.72 99.63 99.54
실시예 10: Re의 회수
레늄의 회수는 ReCl3 고체 시약을 사용하여 상기 언급된 은의 회수와 유사하게 실시하였다. 다음 표 12 및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초기 Re3+ 농도(25, 50, 100 ppm)에서 시간에 따른 Re의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0.2 M의 KNO3를 사용하고 실험 온도는 30 ℃, 1000 Ω의 부하를 주었다. 용액은 ICP-AE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2
Re3+의 초기 농도 25 ppm 50 ppm 100 ppm
시간/h Re 회수효율(%) Re 회수효율(%) Re 회수효율(%)
1 99.35 99.25 99.16
2 99.56 99.47 99.29
3 99.87 99.64 99.43
이상의 실시예는 폐수로부터 수은 이온의 제거, 크롬 및 비소 이온의 제거, 그리고 은, 금, 팔라듐, 백금, 로듐, 이리듐 및 레늄 이온의 회수에 대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중금속의 제거 또는 귀금속의 회수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는 데 곤란성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MFC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생산과 함께 폐수 속의 중금속 또는 귀금속을 제거 또는 회수할 수 있다. 특히 Hg2+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밖에 크롬 및 비소 이온의 제거, 그리고 은, 금, 팔라듐, 백금, 로듐, 이리듐 및 레늄 이온의 회수를 고효율로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이중 MFC를 사용하면 후단 MFC의 전압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 전단 MFC의 전압을 후단에 인가하는 방식에 의해 많은 이온들을 제거 또는 회수할 수 있다.

Claims (18)

  1.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그리고 양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s)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거되는 중금속이 Hg2+, Hg+, Cr6+, Cr5+, Cr4+, Cr3+, Cr2+, As5+, As3+, Co2+, Co3+, Cu2+, Cu+, U6+, Mn7+, Mo6+, Cd2+ 또는 Pb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혐기성 미생물이 다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4.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은 각각 탄소 펠트, 탄소 천, 탄소 봉, 탄소 종이 및 탄소 솔을 포함하는 탄소 재료,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은 양이온 교환막(CEM), 복합막, 나일론막 또는 음이온 교환막(AEM)으로 미생물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미생물 연료전지(MFC)가 2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거되는 중금속이 Cr6+, Cr3+, As5+ 또는 As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그리고 양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s)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회수되는 귀금속이 Ag+, Au2+, Au+, Pd4+, Pd2+, Pt4+, Pt2+, Rh2+, Ir3+ 또는 Re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혐기성 미생물이 다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10. 제 7 항에 있어서,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은 각각 탄소 펠트, 탄소 천, 탄소 봉, 탄소 종이 및 탄소 솔을 포함하는 탄소 재료,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은 양이온 교환막(CEM), 복합막, 나일론막 또는 음이온 교환막(AEM)으로 미생물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미생물 연료전지(MFC)가 2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그리고 양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s)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은 함유 폐수로부터 Hg2+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제거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혐기성 미생물이 다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14. 제 12 항에 있어서,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은 각각 탄소 펠트, 탄소 천, 탄소 봉, 탄소 종이 및 탄소 솔을 포함하는 탄소 재료,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은 양이온 교환막(CEM), 복합막, 나일론막 또는 음이온 교환막(AEM)으로 미생물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미생물 연료전지(MFC)가 2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수은 함유 폐수는 초기 pH를 2 내지 4.8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희석한 염산을 사용하여 초기 pH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수은 함유 폐수는 초기 Hg2+ 농도를 25 내지 100 ㎎/L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11/005141 2011-05-04 2011-07-13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WO20121507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487110A CN103153883A (zh) 2011-05-04 2011-07-13 利用微生物燃料电池去除重金属或回收贵金属的方法
US14/114,746 US20140083933A1 (en) 2011-05-04 2011-07-13 Method for heavy metal elimination or precious metal recovery using microbial fuel cell
GBGB1319441.0A GB201319441D0 (en) 2011-07-13 2013-11-04 Method for heavy metal elimination or precious metal recovery using microbial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2226A KR101276660B1 (ko) 2011-05-04 2011-05-04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KR10-2011-0042226 2011-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738A1 true WO2012150738A1 (ko) 2012-11-08

Family

ID=4710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141 WO2012150738A1 (ko) 2011-05-04 2011-07-13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83933A1 (ko)
KR (1) KR101276660B1 (ko)
CN (1) CN103153883A (ko)
WO (1) WO201215073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7004A (zh) * 2016-07-09 2016-10-12 南京工业大学 一种利用其它重金属废水强化含铬废水处理的方法
CN107010734A (zh) * 2017-06-07 2017-08-04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去除铅、锌重金属的燃料电池型人工湿地
CN108707561A (zh) * 2018-05-24 2018-10-26 江苏世邦生物工程科技有限公司 用于修复土壤的复合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94B1 (ko) * 2011-12-29 2014-02-2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폐수로부터 은 금속의 회수 및 전력 생산 방법
EP2893587B1 (en) * 2012-09-09 2020-04-29 Biocheminsights Inc. Electrochemical bioreactor modul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3397195B (zh) * 2013-08-09 2014-09-24 内蒙古科技大学 废弃印刷电路板中金属铜的回收装置与回收方法
CN103627661B (zh) * 2013-11-29 2015-06-03 西南大学 苍白杆菌在制备微生物燃料电池中的应用及其装置和方法
CN103910437B (zh) * 2014-04-18 2015-07-15 湖南大学 去除水体中重金属离子的方法
KR101745115B1 (ko) * 2014-07-30 2017-06-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폐수로부터 전력 생산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 및 연료전지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CN104141147B (zh) * 2014-08-01 2016-08-24 太原理工大学 微生物燃料电池自驱动微生物电解池制氢储氢方法
CN104174648B (zh) * 2014-08-21 2016-03-09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一种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及其专用设备
KR101676944B1 (ko) * 2015-02-17 2016-11-17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음이온성 염료 및 금속에 흡착 효능을 갖는 에어로모나스 하이드로필라 jb-01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CN104801537A (zh) * 2015-04-09 2015-07-29 上海大学 一种重金属污染土壤的电动-微生物联合修复方法
CN105060504B (zh) * 2015-08-12 2017-04-05 北京化工大学 一种间歇式无功率输出并联两个mfc提高电压处理重金属废水的方法
CN105489917A (zh) * 2015-11-28 2016-04-13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处理生活污水的微生物燃料电池
CN105355927A (zh) * 2015-11-28 2016-02-24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vo2/s-ac泡沫镍空气阴极
CN105355952A (zh) * 2015-11-28 2016-02-24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微生物燃料反应器及应用该反应器的电池
CN105355929A (zh) * 2015-11-28 2016-02-24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对氧化三甲胺介质的微生物燃料电池
CN106932455B (zh) * 2015-12-29 2020-02-07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重金属传感监测装置
CN105621593B (zh) * 2016-01-18 2018-04-10 大连理工大学 一种清洁有效的从钨钼酸盐混合溶液中分离钨钼的方法
CN111704324A (zh) * 2016-04-25 2020-09-25 陈逸君 一种去除电镀废水中锌的处理系统
CN111747619A (zh) * 2016-04-25 2020-10-09 陈逸君 一种去除电镀废水中锌的处理方法
CN106571498B (zh) * 2016-11-11 2019-02-01 大连理工大学 利用微生物燃料电池从钼锡酸盐混合溶液中分离并回收钼锡方法
CN107045012B (zh) * 2016-11-24 2019-08-13 北京化工大学 一种微生物燃料电池毒性传感器及运行方法
CN108690915A (zh) * 2017-04-06 2018-10-23 华东理工大学 一种从含铂废水回收铂炭的方法
CN108689482A (zh) * 2017-04-06 2018-10-23 华东理工大学 一种处理含铂废水并且回收铂炭的方法
CN107245580B (zh) * 2017-05-08 2018-10-16 大连理工大学 一种清洁有效的从酸性废蚀刻溶液中分离并回收铜、锡和铁的方法
CN107081333B (zh) * 2017-05-18 2020-09-25 大连理工大学 一种光催化燃料电池的水体沙土修复方法
WO2018235106A1 (en) * 2017-06-23 2018-12-27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IIT Madras) WASTEWATER METAL EL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7946623A (zh) * 2017-10-31 2018-04-20 江苏理工学院 一种处理矿山酸性含铜废水的微生物燃料电池及铜回收的方法
CN108114972B (zh) * 2017-12-21 2020-11-10 中科京投环境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异位修复汞污染土壤的方法
US11008234B2 (en) * 2017-12-22 2021-05-18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Reactor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recovering extracellular metal or metalloid nanoparticles
CN108330084B (zh) * 2018-01-30 2021-01-26 湖南农业大学 一种适用于高海拔低温环境的耐砷菌株及基于该菌株制备微生态制剂的发酵方法
CN110364758A (zh) * 2018-04-11 2019-10-22 华东理工大学 一种基于微型管式微生物燃料电池的水质毒性监测方法
CN108893420B (zh) * 2018-05-24 2021-12-10 苏州逸凡特环境修复有限公司 处理重金属污染土壤用微生物菌株及其筛选方法与应用
CN108946947A (zh) * 2018-06-19 2018-12-07 北京师范大学-香港浸会大学联合国际学院 微藻产生细胞活电电池及在清理水中的重金属污染物上的应用
CN110071316B (zh) * 2019-04-26 2020-11-27 重庆大学 利用废弃印制电子线路板构成的热再生氨电池及处理方法
CN110635159B (zh) * 2019-08-19 2020-11-03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微生物燃料电池、应用及管道气体监测装置
KR102278201B1 (ko) * 2019-10-15 2021-07-15 박용학 높은 환원 전위를 갖는 전자 흡수체를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생산방법
CN111430766A (zh) * 2020-04-01 2020-07-17 广东工业大学 一种外加降解菌种阳极光合太阳能燃料电池系统及其应用
CN113003701B (zh) * 2021-02-08 2022-12-16 哈尔滨工业大学 电耦生物滤池深度净化铅锌矿尾矿库废水装置
CN113398523B (zh) * 2021-05-12 2022-06-14 华南理工大学 一种FeSx电极及制备方法、FeSx协同微生物矿化固定Cr(VI)的装置及方法
US11577979B1 (en) 2021-07-28 2023-02-14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ocesses for treatment of wastewater
CN113860476B (zh) * 2021-09-03 2023-06-06 江苏理工学院 一种强化微生物燃料电池产电回收金属的方法
CN115181692A (zh) * 2022-06-23 2022-10-14 江西师范大学 一种硫化亚铁次生矿物杂化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501A (ja) * 1995-05-30 1999-06-08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金属イオンの回収方法
KR20030038240A (ko) 2001-11-10 2003-05-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저영양성 전기화학 활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연료전지형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를 이용한 생화학적 저농도산소요구량 측정방법
JP2007287542A (ja) * 2006-04-19 2007-11-01 Hiroshima Univ 生物燃料電池用隔膜及び生物燃料電池
KR20080066460A (ko) 2007-01-12 2008-07-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연료 전지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
JP2010516017A (ja) * 2007-01-05 2010-05-13 アケルミ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イオアノード及びバイオカソードのスタックアセンブリ
KR20100137766A (ko)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이비테크넷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 연료전지 및 그를 이용한 온실효과 저감방법
KR20110008015A (ko) * 2008-03-28 2011-01-25 도쿠리쓰교세이호징 가가쿠 기주쓰 신코 기코 미생물 연료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7513B2 (en) * 2009-02-06 2013-12-03 Ut-Battelle, Llc Microbial fuel cell treatment of fuel process wastewat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501A (ja) * 1995-05-30 1999-06-08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金属イオンの回収方法
KR20030038240A (ko) 2001-11-10 2003-05-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저영양성 전기화학 활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연료전지형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를 이용한 생화학적 저농도산소요구량 측정방법
JP2007287542A (ja) * 2006-04-19 2007-11-01 Hiroshima Univ 生物燃料電池用隔膜及び生物燃料電池
JP2010516017A (ja) * 2007-01-05 2010-05-13 アケルミ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イオアノード及びバイオカソードのスタックアセンブリ
KR20080066460A (ko) 2007-01-12 2008-07-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연료 전지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
KR20110008015A (ko) * 2008-03-28 2011-01-25 도쿠리쓰교세이호징 가가쿠 기주쓰 신코 기코 미생물 연료 전지
KR20100137766A (ko)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이비테크넷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 연료전지 및 그를 이용한 온실효과 저감방법

Non-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NG, S. A.; DEMPSEY, B. A.; LOGAN, B. E., ENVIRON SCI TECHNOL., vol. 4, 2007, pages 8149
CHOI, IKWON: "The production and its effect of adsorption material of heavy metal using seaweeds", MASTER THESIS, 2004
HUTCHISON, A.; ATWOOD, D.; SANTILLIANN-JIMINEZ, Q.E., J. HAZARD MATER., vol. 156, 2008, pages 458
KIM, J. R.; CHENG, S. A.; OH, S. E.; LOGAN, B.E., ENVIRON. SCI. TECHNOL., vol. 41, 2007, pages 1004
KIM, J. R; CHENG, S. A.; OH, S. E.; LOGAN, B. E., ENVIRON. SCI. TECHNOL., vol. 41, 2007, pages 1004
LI, Z. ET AL., PROCESS BIOCHEMISTRY 2008, vol. 43, 31 December 2008 (2008-12-31), pages 1352 - 1358, XP025611846 *
LI, Z. J.; ZHANG, X. W.; LEI, L. C., PROC. BIOCHEM., vol. 43, 2008, pages 1352
LI, Z. J.; ZHANG, X. W.; LEI, L.C., PROC. BIOCHEM., vol. 43, 2008, pages 1352
SUH JEONGHO; SEO MYUNGGYO; KANG SHINMOOK; LEE KOOKEUI; CHOI YOONCHAN; CHO JEONGKOO; KIM EUIYO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YGIENIC SOCIETY, vol. 23, no. 4, 1997, pages 21
SUH JEONGHO; SEO MYUNGGYO; KWAK YOUNGKYU; KANG SHINMOOK; NOH JONGSOO; LEE KOOKEUI; CHOI YOONCH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YGIENIC SOCIETY, vol. 24, no. 1, 1998, pages 98
THASAN RAJU; SANG JOON CHUNG; IL SHIK MOON, KOREAN J. CHEM. ENG., vol. 26, no. 4, 2009, pages 1053
WANG, X.; CHENG, S. A.; FENG, Y. J.; MERRILL, M. D.; SAITO, T.; LOGAN, B. E., ENVIRON. SCI. TECHNOL., vol. 43, 2009, pages 6870
WANG, Z. J.; LIM, B. S.; LU, H.; FAN, J.; CHOI, C. S., BULL. KOREAN CHEM. SOC., vol. 7, 2010, pages 2025
YOU, S. J.; ZHAO, Q. L.; ZHANG, J.N.; JIANG, J. Q.; SHAO, S. Q., J. POWER SOURCES, vol. 162, 2006, pages 140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7004A (zh) * 2016-07-09 2016-10-12 南京工业大学 一种利用其它重金属废水强化含铬废水处理的方法
CN107010734A (zh) * 2017-06-07 2017-08-04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去除铅、锌重金属的燃料电池型人工湿地
CN108707561A (zh) * 2018-05-24 2018-10-26 江苏世邦生物工程科技有限公司 用于修复土壤的复合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529A (ko) 2012-11-14
US20140083933A1 (en) 2014-03-27
KR101276660B1 (ko) 2013-06-19
CN103153883A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50738A1 (ko)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WO2016047901A1 (ko) 폐수를 이용하여 생산된 산화제를 사용하는 자원 재이용 방식 산업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0143865A2 (ko) 3 전극형 미생물 연료전지 및 그의 동작방법
WO2018093179A1 (ko) 막 결합형 고도전기산화법 및 이를 위한 수처리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 시스템
WO2014196825A1 (ko) 다가 이온 제거 기능을 갖는 생물전기화학 시스템
Xu et al. Coupling of anodic biooxidation and cathodic bioelectro-Fenton for enhanced swine wastewater treatment
Liu et al. Enhancing copper recovery and electricity generation from wastewater using low-cost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with a carbonized clay cup as cathode
CN105236628B (zh) 光电协同催化降解污水装置
WO2012067338A2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그 전극의 제조방법,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제조장치, 그 제조방법, 전해액의 선택이온 농도계, 선택이온 농도 측정방법 및 자립용 전지 시스템
WO2021075816A1 (ko) 높은 환원 전위를 갖는 전자 흡수체를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생산방법
CN101913693B (zh) 利用电催化激活分子氧处理难降解有机废水的装置和方法
CN100366545C (zh) 一种利用感应电芬顿反应去除水中有机物的方法及装置
KR101676626B1 (ko) 물을 정화하는 장치
WO2018212513A2 (ko) 수처리, 탈염 및 화학물질 생산 복합 시스템
KR20090047048A (ko) 태양 전지의 기전력을 이용한 광촉매 유기 오염물질 분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분해 시스템.
CN111689571A (zh) 控制过氧化氢生成和消除的微生物电化学系统及方法
CN1884631A (zh) 利用电化学方法清洗有机物的方法与装置
CN113860436B (zh) 一种偕胺肟化多孔碳电极处理含铜废水的电化学方法
CN113697938B (zh) 一种微生物燃料电池装置及其耦合电活化过硫酸盐方法
KR100406142B1 (ko) 난분해성 폐수처리용 수치안정성 전극
KR20170054781A (ko) 이중전극 구조의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CN113213719B (zh) 导光导电纤维电极联合光-电活性微生物原位修复底泥的装置与方法
CN106082420B (zh) 一种产电微生物阳极辅助异质结阳极的自偏压污染控制系统
KR20160120377A (ko) 탄소 나노평면구조를 갖는 전극 제조방법
CN201817319U (zh) 一种利用电催化激活分子氧处理难降解有机废水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48711.0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648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14746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11053274

Country of ref document: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648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9441.0

Country of ref document: GB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ffective date: 2013110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648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