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660B1 -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660B1
KR101276660B1 KR20110042226A KR20110042226A KR101276660B1 KR 101276660 B1 KR101276660 B1 KR 101276660B1 KR 20110042226 A KR20110042226 A KR 20110042226A KR 20110042226 A KR20110042226 A KR 20110042226A KR 101276660 B1 KR101276660 B1 KR 10127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itial
mercury
mfc
fuel cell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4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529A (ko
Inventor
최찬수
임봉수
Original Assignee
알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4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660B1/ko
Priority to CN2011800487110A priority patent/CN103153883A/zh
Priority to US14/114,746 priority patent/US20140083933A1/en
Priority to PCT/KR2011/005141 priority patent/WO2012150738A1/ko
Publication of KR2012012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5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8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y or the form in which the microorganisms are added or do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06Manganese or manganes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2Chromium or chromium compounds, e.g. chro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1Upstream control, i.e. monitoring for predict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5Combined electrochemical biolog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금속 또는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미생물 연료전지(MFC)를 사용하여 전력 생산과 함께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g2 +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부산물이 무해하며, 장기적인 경제적 운전 등의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METHOD FOR REMOVAL OF HEAVY METALS OR RECOVERY OF PRECIOUS METALS USING A MICROBIAL FUEL CELL}
본 발명은 중금속 또는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미생물 연료전지(MFC)를 사용하여 전력 생산과 함께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g2 + 함유 폐수로부터 미생물 연료전지(MFC)를 사용하여 전력 생산과 함께 Hg2 +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중금속 중에서는 특히 수은이 환경오염과 중독의 원인이 되고 있다. 수은은 주로 원소성 수은(Hg), 무기 수은 화합물, 유기 수은 화합물 등의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 수은 전체의 화합물을 총 수은이라고 한다. 무기 수은 화합물은 제1 수은염, 제2 수은염 또는 아말감으로 나뉘고, 유기 수은 화합물은 알킬수은 화합물로 나누어진다. 모든 수은의 형태는 매우 높은 독성이 있고, 각각의 형태마다 인간의 건강에 각기 다른 영향을 주는데, 메틸수은과 Hg2Cl2는 U.S. EPA의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IRIS)에서 인간에 대한 발암 가능 물질 C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국립환경과학원).
수은과 그 화합물은 페인트, 펄프 및 종이 제조, 오일 정제, 밧데리 제조산업, 및 제약 공정에 널리 사용된다. 수은 이온을 함유하는 폐수의 방출은 주위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고, 인간에 의하여 직접 물로 투입되거나 간접적으로 먹이사슬을 통해 투입되어 인간의 건강에 심각하게 손상을 줄 수 있다.
현재 수은의 연간 사용량은 200,778 ㎏/년으로, 수입량은 256,693 ㎏/년, 그리고 배출량은 14,440 ㎏/년으로 조사되었다(환경부, 2006년). 도 1은 수은의 물질 흐름도로서, 여기에서 보면 수은은 제품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표 1은 국내 수은 유통 및 배출목록을 나타낸 것으로(환경부, 국내 수은 유통 및 배출현황 기초조사, 2009년), 여기에서 보면 수은은 여러 발생원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은을 직접 사용하는 산업에 의한 발생원은 수은 유입량의 5%이고 석탄이나 철광석 등 비의도적 발생원에 의한 수은 배출이 95%로 나타나, 이러한 배출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44개 배출원에서 수은이 환경으로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중 29개 배출원에 대한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었다. 29개 배출원 중에서 3개 배출원(치과 아말감, 매장, 폐수 처리시설)은 배출원 특성상 대기 배출량이 없고 수계 또는 토양으로 수은이 전량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1033147318-pat00001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의료폐기물 1 톤에서 발생하는 수은의 양은 174 ㎎으로 나타났으며(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시스템 개발연구(Ⅲ), 국립환경과학원, 2005년),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기에서 발생하는 수은의 양은 1개의 제품당 17.93 ㎎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제2차 비점오염원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 환경부, 2006년).
다음 표 2는 수은 함유 폐수의 성상을 나타낸 것이고, 표 3은 수질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수은(단위 ㎎/L)을 나타낸 것이다(수질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2007년, 환경부).
총 수은 3.8 ㎎/L
유기 수은 2.5 ㎎/L
Hg(Ⅱ) 1.3 ㎎/L
총 용존 고체 675 ㎎/L
총 부유 고체 49 ㎎/L
페놀 0.7 ㎎/L
염기도 3.24 meq/L
구리 0.12 ㎎/L
0.025 ㎎/L
아연 0.12 ㎎/L
275 color units
탁도 56 NTU
pH 8.3
청정지역 0.001 이하
가지역 0.005 이하
나지역 0.005 이하
특례지역 0.005 이하
수은 폐수 처리공정으로는 중화 침전법, 용매추출법, 막분리법, 흡착, 이온교환수지법 등이 있으나, 침전법과 용매추출법은 2차 오염원이 발생하므로 후공정이 요구되며, 막분리법은 막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오염원의 전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이온교환수지법은 상수처리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 성분도 함께 흡착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서정호, 서명교, 곽영규, 강신묵, 노종수, 이국의, 최윤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1998, 24(1), 98).
이와 같은 종래의 수은 폐수 처리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흡착을 이용하여 상수, 지하수 및 폐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희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방법은 기술개발의 잠재력이 높아 향후 폐수 속의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최익원, "해조류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제 제조 및 중금속 처리효과", 순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특히, 해조류, 조류, 미생물과 같은 유용 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처리용 생물 흡착 제제 및 생물학적 처리 신기술 개발은 기존의 활성탄과 같은 재래식 흡착제보다 뛰어난 선택성과 고기능성으로 인하여 경제성과 대체시장성이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생물 흡착 제제가 높은 응용 가능성과 함께 세계적으로 시장성이 확장되고 있는 이유는 다당류, 단백질 및 지방질로 구성된 미생물 세포벽에 존재하는 carboxylate, hydroxyl, sulphate, phosphate 및 amino 리간드에 중금속이 잘 흡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생물 흡착제로는 발효공정이나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폐 biomass를 이용하기 때문에 손쉽게 구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며, 폐자원을 가공 처리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특정 중금속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산업폐수 내 함유된 독성 중금속의 처리 및 고가의 중금속 회수에도 사용 가능하다(서정호, 서명교, 강신묵, 이국의, 최윤찬, 조정구, 김의용, 한국환경위생학회지, 1997, 23(4), 21)..
현재 가장 보편화 되어 있는 수은제거 방법으로는 활성탄 흡착에 의한 수은제거 방법이 있다(Patrick, J. C., Rominder, P. S. S., Edward, D. H., Water Res. 2002, 36,,4725; Starvin, A. M., Rao, T. P., J Hazard Mater B. 2004, 113, 75). 하나의 예로서, 의료제약 폐수의 수은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된 GAC(Granular Activated Carbon)법의 경우 99.8%의 수은 제거율을 보였다. 도 2a 및 2b는 GAC를 이용한 수은제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진 및 모식도이다.
이밖에 생물 축적(Deng, X.. Hu, Z. L.. Yi, X. E.. J Hazard Mater. 2008, 153, 487; Southworth, G. R., Peterson, M. J., Bogle, M. A., Chemosphere. 2002, 49, 455), 광촉매 제거(Zhang, F. S., Nriagu, J. O., Itoh, H., J Photochemis and Photobiol A: Chem. 2004, 167, 223) 및 아임계 수출(Wang, B. F., Li, W., Chen, H. K., Li, B. Q., Wang, G., Fuel Processing Technol. 2006, 7, 443)과 같은 여러 가지 기술이 수은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한편, 미생물 연료전지는 음극부의 미생물이 기질인 유기물질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전자를 양극부에 전달해 전압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최근 폐수나 퇴적물 같은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특허공개 제10-2003-0038240호 (2003. 05. 16)에서는 저영양성 전기화학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연료전지형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생화학적 저농도 산소요구량 측정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특허공개 제10-2008-0066460호(2008. 07. 16)에서는 미생물 연료전지 반응조 내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미생물의 생장을 제한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슬러지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10-2010-0109234호(2010. 10. 08)에서는 생물전기화학 시스템을 이용한 탈 염소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특허공개 제10-2010-0137766호(2010. 12. 31)에서는 호소 등의 저층에 축적되는 퇴적물의 퇴적층에 음극을 설치하고 수표면에 양극을 설치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퇴적층의 유기물을 간접적으로 산화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와 이를 이용한 온실효과 저감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특정 중금속을 제거하는 기술은 알려지지 않았다.
위에 언급한 수은 제거 기술이 고비용뿐 아니라 해로운 부산물이 나온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미생물 연료전지는 유기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동시에 전력을 얻는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전기화학 방법은 이차 오염이 없이 오염수로부터 매우 낮은 수준(ppb 단위)까지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는 능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수은을 함유하고 있는 폐수를 처리하는 새로운 지속 가능한 방법의 개발이라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미생물 전지기술은 희망이 있고 새로울 뿐 아니라, 폐수처리와 전력생산에 도움이 된다(Cheng, S. A., Dempsey, B. A., Logan, B.E., Environ Sci Technol. 2007, 4, 8149; Zhao, F., Rahunen, N., Varcoe, J. R., Chandra, A., Avignone-Rossa, C., Thumser, A. E., Slade, R. C. T., Environ . Sci . Technol . 2008, 42, 4971; He, Z., Kan, J. J., Wang, Y. B., Huang, Y. L., Mansfeld, F., Nealson, K. H., Environ Sci Technol. 2009, 43, 3391; Li, Y., Lu, A. H., Ding, H. R., Jin, S., Yan, Y. H., Wang, C. Q., Zen, C. P., Wang, X., Electrochem Comm. 2009, 11, 1496).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폐수 중 수은 등 중금속 처리 기술이 갖는 비용 및 부산물 문제를 고려하여, 최근 폐수나 퇴적물 같은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 연료전지(MFC)를 이용하여 부수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면서, 부산물 없이 경제적으로 수은을 비롯한 중금속 및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그리고 양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MFC)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중금속으로서 수은 함유 폐수로부터 Hg2 +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제거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수은 함유 폐수는 초기 pH를 2 내지 4.8로 조절하고, 초기 Hg2 + 농도를 25 내지 100 ㎎/L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희석한 염산을 사용하여 초기 pH를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제거되는 중금속은 Hg2 +뿐 아니라 Hg+, Co2 +, Co3 +, Cu2+, Cu+, Cr6 +, Cr5 +, Cr4 +, Cr3 +, Cr2 +, As5 +, As3 +, U6 +, Mn7 +, Mo6 +, Pb2 +일 수 있으며, 회수되는 귀금속은 Ag+, Au2 +, Au+, Pt4 +, Pt2 +, Rh2 +, Pd4 +, Pd2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 연료전지(MFC)에 사용할 수 있는 혐기성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본 발명에서는 MFC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생산과 함께 폐수 속의 중금속이나 귀금속을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제거 또는 회수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Hg2 +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제거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그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이실(anode와 cathode) MFC에서는 산화전극실(anode)에서 유기물을 생분해하는 동안에 생성된 전자가 전류를 일으키기 위해서 전자수용체와 반응하는 환원전극 쪽으로 외부 회로를 통해 전달된다. 그동안 양성자와 같은 이온은 전하 중성을 성취하기 위해서 전극실 사이에 있는 분리막을 통해서 이동된다(Kim, J. R., Cheng, S. A., Oh, S. E., Logan, B. E., Environ . Sci . Technol. 2007, 41, 1004; Heijne, A. T., Hamelers, H. V. M., Wilde, V. D., Rozendal, R. A., Buisman. C. J. N., Environ Sci Technol . 2006, 40, 5200). 물질을 MFC에서 전자수용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들 표준 전위가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사이에 양의 기전력(emf)를 일으키기 위하여 산화전극(anode) 상에 미생물 안에 있는 NAD+/NADH의 전위보다 높아야 한다. 발표된 결과들에 의하면 전자수용체의 표준 전위가 높을수록 MFC 속에서 전력생산은 더 크게 개선된다(Li, Z. J., Zhang, X. W., Lei, L. C., Proc . Biochem . 2008, 43, 1352; You, S. J., Zhao, Q. L., Zhang, J. N., Jiang, J. Q., Zhao, S. Q., J. Power Sources 2006, 162, 1409).
Hg2 + 또한 (전자수용체로 사용시) 높은 표준전위로 인하여 MFC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전자수용체이다. 전기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Hg2 +(aq) + 2e-=Hg2 2 +(aq) E0=0.911 V (1)
Hg2 2 +(aq) + 2e-=2Hg(l) E0=0.796 V (2)
Cl-의 존재하에서 Hg2 2 +는 아래와 같은 화학반응에 의하여 침전이 될 수 있으며, 그 반응은 반응 (2)과 경쟁하게 될 것이다.
Hg2 2 ++2Cl-=Hg2Cl2(s) (3)
전자공여체로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경우, pH 7에서 HCO3 -/CH3COO-의 환원전위는 다음과 같다:
HCO3 -+8H++CO2+8e-=CH3COO-+3H2O E0=-0.284V (4)
Hg2 +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고 아세테이트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면 반응(1)과 반응(4)에 따라서 1.195 V의 기전력이 이론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Hg2 +은 환원전위가 기질로 사용된 아세테이트 이온의 전위(pH 7에서 E0=-0.284 V)보다 더 높기 때문에 MFC의 전자수용체로 작용하여 환원됨으로써 이론적으로 이 유독물질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Hg2 + 이외에, 본 발명에 따라 제거될 수 있는 금속의 환원전위를 보면 다음과 같다:
Co3 +(aq) + e- = Co2 + Eo=1.95 V
Co2 +(aq) + 2e- = Co(s) Eo=-0.287 V
Cu2 +(aq) + 2e- = Cu(s) Eo=0.337 V
Cu+(aq) + e- = Cu(s) Eo=0.521 V
Cr2O7 2 -(aq) + 14H+ + 6e- = 2Cr3 + + 7H2O Eo=1.29 V
Cr5 +(aq) + e- = Cr4+ Eo=1.34 V
Cr4 +(aq) + e- = Cr3 + Eo=2.10 V
Cr3 +(aq) + e- = Cr2 + Eo=-0.424 V
Cr2 +(aq) + 2e- = Cr(s) Eo=-0.79 V
H3AsO4(aq) + 2H+ + 2e- = HAsO2(aq) + 2H2O Eo=0.559 V
AsO2 -(aq) + 2H2O + 3e- = As(α) + 4OH- Eo=-0.68 V
MnO4 -(aq) + 4H+ + 3e- = MnO2(s) + 2H2O Eo=1.69 V
MnO4 -(aq) + 2H2O + 3e- = MnO2(s) + 4OH- Eo=0.596 V
UO2 2 +(aq) + 4H+ + 2e- = U4 + + 2H2O Eo=0.269 V
U4 + + 4OH- = U(OH)4(s)
MoO4 2 -(aq) + 4H+ + 2e- = MoO2(s) + 2H2O Eo=0.606 V
Pb2 +(aq) + 2e- = Pb(s) Eo=-0.126 V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회수될 수 있는 금속의 환원전위는 다음과 같다:
[Ag(NH3)2]-(aq) + e- = Ag(s) + 2NH3 Eo=0.373 V
Ag2 +(aq) + e- = Ag+ Eo=1.980 V
Ag+(aq) + e- = Ag(s) Eo=0.799 V
AuI2 - + e- = Au(s) +2I- Eo=0.578 V
[Au(SCN)2]- + e- = Au(s) +2SCN- Eo=0.689 V
[AuCl2]- + e- = Au(s) +2Cl- Eo=1.154 V
Au3 + + 3e- = Au(s) Eo=1.50 V
Au+ + e- = Au(s) Eo=1.68 V
[PtCl4]2- + 2e- = Pt(s) + 4Cl- Eo=0.847 V
[PtCl6]2- + 2e- = [PtCl4]2-(aq) + 2Cl- Eo=1.011 V
Pt2 + + 2e- = Pt(s) Eo=1.320 V
Rh3 + + 3e- = Rh(s) Eo=0.758 V
PdCl6 2 -(aq) + 2e- = PdCl4 2 -(aq) + 2Cl- Eo=1.29 V
PdCl42-(aq) + 2e- = Pd(s) + 4Cl- Eo=0.59 V
Pd2 + + 2e- = Pd(s) Eo=0.915 V
도 3은 유기물의 환원전위보다 귀측의 환원전위를 갖는 중금속의 제거 및 귀금속의 회수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Cr6 +, Cr3 +, Cr2 +의 제거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상세도이고, 도 5는 H3AsO4와 HAsO2의 제거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귀측의 환원전위를 가지지 않는 산화수가 다른 동종의 금속의 제거나 회수는 귀측의 환원전위를 갖는 동종이나 이종 금속의 환원전위를 이용한 전지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2차적으로 제거 또는 회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MFC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생산과 함께 폐수 속의 중금속 또는 귀금속을 제거 또는 회수할 수 있다. 특히 Hg2 +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Hg2 +의 제거 효율은 Hg2 +의 농도 25∼100 ㎎/L에 대하여 98.22 %∼99.54 %로 타 방법과 유사하지만, 다른 기술과 비교하여 부수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부산물이 무해하며, 장기적인 경제적 운전 등의 장점을 갖는다. 현 실험범위 내에는 여러 가지 다른 초기 Hg2 + 농도에 대하여 방출되는 총 수은 농도가 0.44∼0.69 ㎎/L 범위에 있었다.
도 1은 수은의 물질 흐름도이다.
도 2a 및 2b는 GAC를 이용한 수은제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진 및 모식도이다.
도 3은 유기물의 환원전위보다 귀측의 환원전위를 갖는 중금속의 제거 및 귀금속의 회수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Cr6 +, Cr3 +, Cr2 +의 제거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5는 H3AsO4와 HAsO2의 제거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g2 + 제거를 위한 MFC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여러 가지 초기 pH에 대한 방출 Hg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여러 가지 초기 Hg2 + 농도에 대한 방출 Hg 농도(도 8a)와 극대 전력밀도(도 8b)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전류밀도의 함수로 표시한 극대전력밀도와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폐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귀금속 중 수은의 제거를 보여주는 대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폐수로부터 수은의 제거
MFC 기술을 사용하여 합성 수은 폐수(MWW)로부터 Hg2 + 이온의 제거를 시도하였으며, 먼저 초기 pH와 초기 Hg2 +의 농도와 같은 Hg2 +의 제거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고찰하였다.
전지의 제작은 anode(산화전극, 양극)로 탄소 펠트, cathode(환원전극, 음극)로 탄소 종이를 사용하고,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음이온 교환막으로 하여 미생물 연료전지를 구성하였다.
(1) MFC 제작
본 발명에 사용된 이실 MFC는 137 ㎖의 용량(길이: 7 ㎝, 직경: 5 ㎝)의 각 전극실을 갖는 플랙시 유리로 제작하였다. 유효 용량은 둘 다 120 ㎖였다. 전극실은 19.6 ㎠(직경=5 ㎝)의 표면적을 갖는 음이온 교환막(AEM, AMI-7001, Membrane International, Inc. USA)으로 분리하였다. AEM은 사용 전 NaCl 용액에 침지하여 전처리하고 다음 증류수로 완전히 세척하였다(Kim, J. R., Cheng, S. A., Oh, S. E., Logan, B.E., Environ . Sci . Technol. 2007, 41, 1004).
산화전극으로 35.6 ㎠(3.5 ㎝× 3 ㎝, 1.12 ㎝ 두께, Alfa Aesar, USA)의 표면적을 갖는 탄소 펠트를 선택하였고, 21 ㎠(3 ㎝×.3.5 ㎝)의 표면적을 갖는 탄소 종이를 환원전극으로 사용하였다.
Wang 등(Wang, X., Cheng, S. A., Feng, Y. J., Merrill, M. D., Saito, T., Logan, B. E., Environ . Sci . Technol . 2009, 43, 6870)에 의하여 보고된 대로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모두 24 시간 아세톤에 침지하여 전처리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뒤 머플로에 450 ℃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전기를 수집하기 위하여 티타늄선을 연결하고 탄소에폭시로 접촉점을 덮어 200 ℃에서 약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연결하였다. 외부 저항 500 Ω을 별도 언급하지 않으면 연결하였다.
AEM 분리막의 사용으로 Hg2 +의 직접적인 이동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 예상되며 미생물 성장에 치명적인 원인물질을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실제로 ICP 분석을 통하여 Hg2 +의 농도가 산화전극실 용액으로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양성자 또한 Hg2 +와 같은 상황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산 완충액의 사용으로 pH가 배치운전에 대하여 잘 조절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g2 + 제거를 위한 MFC의 개략도이다.
(2) 접종
혐기성 접종미생물은 옥천 하수처리장에서 수집하였다. 90 ㎖ 인공폐수(AW)와 30 ㎖ 슬러지 혼합액에서 용존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기체로 불어낸 후 산화전극실로 펌핑하였다. 인공폐수는 1 L 당 다음을 포함하고 있다: 전자공여체로 1.36 g CH3COONaH2O, 1.05 g NH4Cl, 1.5g KH2PO4, 2.2 g K2HPO4, 및 0.2 g 이스트 추출물.
각 주기마다 전압이 25 mV 이하로 떨어질 때 0.2 g 전자공여체를 산화전극실에 보충하였다. 산화전극실은 자석젓개로 연속적으로 저어주었다. 환원전극실은 120 ㎖의 증류수로 채우고 전자수용체로 용존산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였다.
본 발명의 미생물 연료전지(MFC)에 사용할 수 있는 혐기성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Geobacter sulfurreducens, Geobacter sulfurreducens KN400, Ochrobactrum anthropi YZ-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3) 운전
MFC를 성공적으로 시작한 후 산화전극실의 인공폐수는 새 인공폐수로 대체하였다. 환원전극실은 MWW(수은함유폐수)로 다시 채웠다. MWW는 HgCl2를 증류수에 녹여 200 ㎎/L Hg2 +의 본 용액을 만들고 필요에 따라 증류수로 희석하여 필요한 MWW를 만들었다. pH를 조절하기 위해서 희석한 염산을 사용하였다(Yardim, M. F., Budinova, T., Ekinci, E., Petrov, N., Razvigorova, M., Minkova, V., Chemosphere 2003, 52, 835). Cl- 이온의 존재는 수은 이온을 Hg2Cl2로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환원전극실은 용존산소에 의한 전자소모를 막고 용액의 혼합을 위해서 실험하는 동안에 N2 기체(60 ㎖/min)를 연속적으로 불어넣었다.
Hg2 +의 제거에 대한 pH와 초기 Hg2 + 농도 효과를 배치 상태에서 평가하였다. 극대 전력밀도를 성취하기 위하여 환원전극실은 N2 기체로 불어주는 동안 MWW 저장소로부터의 일정한 Hg2 +를 유지하기 위해서 배치 상태에서 연속 상태로 전환하였다. 나아가 외부저항을 4000 Ω에서 50 Ω까지 변화시켰다. 모든 실험은 온도조절 배양기에서 30 ℃로 수행되었다.
(4) 계산과 분석
전압(V)은 매분마다 정전압장치(WMPG 1000, Won-A Tech, 한국)로 측정되었다. 전력밀도는 P = V2/RA에 따라서 계산되었다. 여기서 R은 외부저항, A는 환원전극의 표면적이다. 쿨롱효율(CE)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1033147318-pat00002
여기에서 8은 O2의 분자량을 위한 MO2=32와 산소 몰당 교환된 전자수 4와 COD 값을 위해서 항상 사용되었다. I는 I=V/R로 계산된 전류이고, t는 시간 간격, F는 Faraday 상수(96485 C/mol e-), v는 산화전극실의 유효부피, △COD는 소비된 산소요구량의 변화이다.
내부저항은 I-V 곡선의 직선부분의 기울기로 결정되었다. 1시간 또는 2시간 계획된 시료채취 간격에, ICP 발광 스펙트라법(ICPE-9000, Shimadzu, 일본)을 사용하여 총 수은을 분석하기 위해서 1 ㎖ 용액을 환원전극실의 N2 출구에서 채취하였다. 환원전극실 바닥의 침적물은 유리 미세 섬유 필터를 통하여 걸러서 수집하였다. 침적물의 화학적 형태는 EDS(Quantax 200, Bruke, 독일)로 식별하였다.
(5) 결과
① pH 효과
초기상태의 낮은 pH는 높은 방출 수은 농도로 이어졌다. pH를 4.8에서 2로 조절한 것은 이온전도도를 13.2 ㎲/㎝에서 5160 ㎲/㎝로 증가시켰고, 이는 전기환원 반응속도(반응식 (1))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한편, 높은 pH에 비하여 낮은 pH는 Hg2Cl2의 높은 용해도(25 ℃에서 Ksp = 3.5x10-18)로 인도되어, 비록 Hg2 2 + 이온이 반응식 (2)에 따라 수은 금속으로 더 환원이 될 수 있더라도, 용액 중의 Hg2 2 + 이온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낮은 pH에서의 총 수은 방출 농도는 높은 pH에서의 그것보다 더 높았다.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Hg2 +은 낮은 pH에서 수은 금속으로 환원이 되고 높은 pH에서 Hg2Cl2를 형성하여 제거되었다.
환원전극 표면과 환원전극실 바닥에 있는 침적물의 EDS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환원전극 표면에는 수은만이 검출된 반면, 전극실 바닥의 침적물로부터는 수은과 염소가 둘 다 검출되었다. 이는 Hg2 +이 반응식 (1)과 (2)에 따라 환원전극 표면에서 Hg로 완전 환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Hg2Cl2의 침전이 환원전극실 용액으로부터 입증되었다.
5시간 반응에 대하여 방출 Hg2 + 농도는 초기 pH 2, 3, 4와 4.8에서 각각 3.08±0.07, 4.21±0.34, 4.84±0.00 및 5.25±0.36 ㎎/L이었다. 10시간 반응에서 방출 수은 농도는 0.44∼0.69 ㎎/L의 범위에 있었으며 이는 98.22∼99.54 %의 제거효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Hg2 +의 제거효율은 종래 기술에서 보고된 값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전력생산,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의 불필요한 교환, 전자공여체로 폐수에 들어있는 유기물의 가능성 있는 처리들은 MFC를 타 기술에 대조적으로 희망이 있고 지속적인 기술로 만들어 준다(Hutchison 등, 2008; Rao 등, 2009).
다음 표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Hg2 +의 제거 효율을 비교한 것이다.
방법 초기 농도(mg/L) 제거효율(%) 참고
이온교환 90 99.96 Monteagudo and Ortiz, 2000
2-머캡토벤즈이미다졸 점토를 이용한 흡착 50 >99 Manohar 등, 2002
알기닌 개질한 TiO2에 의한 광촉매 제거 150 >99 Skubal과 Meshkov, 2002
복수의 황을 함유한 개방 사슬 리간드 상에 침전 30 92.83-100 Hutchison 등, 2008
활성탄 흡착 40 96.29-99.7 Rao 등, 2009
미생물 연료전지 25-100 98.22-99.54 본 발명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여러 가지 초기 pH에 대한 방출 Hg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50 ㎎/L Hg2 +, average±SD, n=2).
pH가 4.8에서 2로 조절될 때 극대 전력밀도는 8.9 mW/㎡에서 318.7 mW/㎡로 증가하였다. 반응식 (1)과 (2)에 따른 Hg2 +이나 Hg2 2 +의 환원에 양성자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생산의 증가는 pH 4.8에서 2로의 감소에 따른 MFC의 내부저항 3816.6 Ω에서 126.7 Ω으로의 감소에 기인해야만 한다. 내부저항의 이러한 변화는 초기 pH가 4.8에서 2로 조절될 때 13.2 ㎲/㎝에서 5160 ㎲/㎝로 증가된 이온 전도도로부터 일어났다. 이는 양성자 이온이 전자수용체의 환원에 수반되는 과망간산 이온(You, S. J., Zhao, Q. L., Zhang, J. N., Jiang, J. Q., Zhao, S. Q., J. Power Sources 2006, 162, 1409)과 같은 전자수용체의 다른 종류와 달랐다.
② 초기 Hg2 +의 효과
pH 2의 고정 pH에서, 25 내지 100 ㎎/L의 여러 가지 초기 Hg2 + 농도에 대한 총 방출 Hg2 +의 농도 프로파일을 조사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초기 Hg2 + 농도에 대한 방출 Hg 농도(도 8a)와 극대전력밀도(도 8b)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H 2, 4000 Ω에서 50 Ω까지의 외부저항).
여기에서 보듯이, 방출 Hg2 + 농도는 처음에는 두 시간 동안 급격히 감소하고 6 시간 이내에 서서히 속도가 늦추어졌다. Hg2 +의 환원속도는 Hg2 +의 초기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6시간 동안 반응한 후에는 방출 Hg2 +의 농도가 다른 Hg2 +의 농도에 대하여 크게 변하지 않았다. 10시간 반응에 대하여 방출 Hg2 +의 농도는 25 ㎎/L 내지 100 ㎎/L의 Hg2 +의 농도에 대해 0.44 ㎎/L 내지 0.69 ㎎/L의 범위에 있었다.
Hg2 +의 농도가 25 ㎎/L에서 100 ㎎/L로 증가될 때 극대 전력밀도는 256.2 mW/㎡에서 433.1 mW/㎡로 상승되었다. 초기 Hg2 +의 농도 효과는 다른 연구그룹에 의하여 보고된 다른 종류의 전자수용체와 유사함을 발견하였다(Li, Z. J., Zhang, X. W., Lei, L. C., Proc . Biochem . 2008, 43, 1352; You, S. J., Zhao, Q. L., Zhang, J. N., Jiang, J. Q., Zhao, S. Q., J. Power Sources 2006, 162, 1409; Wang, X., Feng, Y. J., Lee, H., Water Sci Technol. 2008, 57(7), 1117).
높은 전자수용체 농도는 환원전위를 상승시키고 나아가 MFC의 개방회로 전압과 전력생산을 상승시킨다. 또한 전자수용체의 높은 농도는 전지의 내부저항을 감소시킨다(Li, Z. J., Zhang, X. W., Lei, L. C., Proc . Biochem. 2008, 43, 1352). Hg2+의 농도를 일정한 산화전위 하에서 25 ㎎/L에서 100 ㎎/L로 증가시켰을 때, MFC의 환원전위와 개방회로 전압이 실제로 각각 275.0 mV에서 454.4 mV, 그리고 663.8 mV에서 845.1 mV로 상승되었다. 동시에 이온전도도는 4.96 ㎳/㎝에서 5.46 ㎳/㎝으로 상승하였다. 결과적으로 내부저항은 146.9 Ω에서 107.9 Ω으로 감소하였다. 여러 가지 다른 Hg2 +의 농도에 대해서 CE는 1.55∼4.04 % 범위 내로 계산이 되었다. 낮은 CE는 아마도 산화전극실로 펌핑하기 전에 N2로 용존산소를 제거하지 않아서 짧은 방전 기간 동안에 유기물을 소모시켰던 매질 용액 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에 기인했을 것이다.
도 9는 전류밀도의 함수로 표시한 극대전력밀도와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00 ㎎/L Hg2 +, pH 2, 4000 Ω에서 50 Ω까지의 외부저항). 외부저항이 1.44 A/㎡의 전류밀도에서 100 Ω일 때 전력곡선으로부터 극대전력밀도 433.1 mW/㎡로 결정되었다. 내부저항 107.9 Ω(R2=0.998)은 전류 대 전압곡선의 기울기로부터 얻어진 값이다. 이론적으로 극대전력밀도는 내부저항값에서 일어나야 한다. 두 값은 근접한 값으로 나타났고 두 방법 공히 실험 오차 범위 내에서 신뢰할 수 있었다. Hg2 + 환원을 가진 MFC는 사용된 다른 환원물질에 관계없이 Cu2 + 환원보다 1.5 배 더 높았다(433.1 mW/㎡ 대 280 mW/㎡)(Wang, Z. J., Lim, B. S., Lu, H., Fan, J., Choi, C. S., Bull . Korean Chem . Soc. 2010, 7, 2025.) 만일 Hg2 +을 전자수용체로만 사용한다면 그의 독성에 기인하여 적합하지 않은 듯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Hg2 +을 폐수에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전력은 부산물로 얻어지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MFC에서 초기 pH는 전기화학 및 화학반응으로부터 Hg2 +의 제거효율에 영향을 미쳤다. 5 시간 반응 후 방출 Hg2 +의 농도는 pH 2, 3, 4 및 4.8에서 각각 3.08±0.07, 4.21±0.34, 4.84±0.00 및 5.25±0.36 ㎎/L를 나타내었다. 10 시간 반응 후, 여러 가지 Hg2 + 초기농도(25, 50 및 100 ㎎/L)에서 방출 Hg2 +의 농도는 0.44 내지 0.69 ㎎/L의 범위에 있었다. 초기 pH와 Hg2 +의 농도는 전력생산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낮은 쪽의 pH와 높은 쪽의 Hg2 +의 농도가 더 많은 극대 전력밀도로 이어졌다. pH 2의 100 ㎎/L Hg2 +에서 극대전력밀도 433.1 mW/㎡가 달성되었다.
이상의 실시예는 폐수로부터 수은의 제거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중금속의 제거 또는 귀금속의 회수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는 데 곤란성이 없을 것이다.

Claims (10)

  1.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그리고 양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MFC)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초기 pH를 2 내지 4.8, 초기 중금속 농도를 25 내지 100 ㎎/L로 조절한 중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거되는 중금속이 Co2+, Co3+, Cu2+, Cu+, As5+, As3+, U6+, Mn7+, Mo6+ 또는 Pb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혐기성 미생물이 다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Clostridia, Shewanella oneidensis MR-1, Shewanella oneidensis DSP-10, Shewanella putrefaciens SR-21, IR-1, MR-1, Ochrobactrum anthropi YZ-1, Brevibacillus sp. PTH1, E. coli K12 HB101, Aeromonas hydrophila, Corynebacterium sp. MFC03, Leptothrix discophora SP-6,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pirulina platensis,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gallinarum, Acetobacter aceti, Gluconobacter roseus.
  4.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전극은 탄소 펠트, 환원전극은 탄소 종이,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은 음이온 교환막으로 미생물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그리고 양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MFC)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초기 pH를 2 내지 4.8, 초기 귀금속 농도를 25 내지 100 ㎎/L로 조절한 귀금속 함유 폐수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회수되는 귀금속이 Ag+, Au2 +, Au+, Pt4 +, Pt2 +, Rh2 +, Pd4 + 또는 Pd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그리고 양 전극실 사이의 분리막을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MFC)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초기 pH를 2 내지 4.8, 초기 Hg2+ 농도를 25 내지 100 ㎎/L로 조절한 수은 함유 폐수로부터 Hg2+를 금속 Hg나 Hg2Cl2의 고형 침전물이나 침적물로서 제거하는 동시에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희석한 염산을 사용하여 초기 pH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KR20110042226A 2011-05-04 2011-05-04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KR10127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2226A KR101276660B1 (ko) 2011-05-04 2011-05-04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CN2011800487110A CN103153883A (zh) 2011-05-04 2011-07-13 利用微生物燃料电池去除重金属或回收贵金属的方法
US14/114,746 US20140083933A1 (en) 2011-05-04 2011-07-13 Method for heavy metal elimination or precious metal recovery using microbial fuel cell
PCT/KR2011/005141 WO2012150738A1 (ko) 2011-05-04 2011-07-13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2226A KR101276660B1 (ko) 2011-05-04 2011-05-04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529A KR20120124529A (ko) 2012-11-14
KR101276660B1 true KR101276660B1 (ko) 2013-06-19

Family

ID=4710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42226A KR101276660B1 (ko) 2011-05-04 2011-05-04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83933A1 (ko)
KR (1) KR101276660B1 (ko)
CN (1) CN103153883A (ko)
WO (1) WO20121507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15B1 (ko) * 2014-07-30 2017-06-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폐수로부터 전력 생산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 및 연료전지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94B1 (ko) * 2011-12-29 2014-02-2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폐수로부터 은 금속의 회수 및 전력 생산 방법
BR112015005172B1 (pt) * 2012-09-09 2021-07-20 Biocheminsights, Inc. Módulo de biorreator eletroquímico e métodos para usar o mesmo
CN103397195B (zh) * 2013-08-09 2014-09-24 内蒙古科技大学 废弃印刷电路板中金属铜的回收装置与回收方法
CN103627661B (zh) * 2013-11-29 2015-06-03 西南大学 苍白杆菌在制备微生物燃料电池中的应用及其装置和方法
CN103910437B (zh) * 2014-04-18 2015-07-15 湖南大学 去除水体中重金属离子的方法
CN104141147B (zh) * 2014-08-01 2016-08-24 太原理工大学 微生物燃料电池自驱动微生物电解池制氢储氢方法
CN104174648B (zh) * 2014-08-21 2016-03-09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一种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及其专用设备
KR101676944B1 (ko) * 2015-02-17 2016-11-17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음이온성 염료 및 금속에 흡착 효능을 갖는 에어로모나스 하이드로필라 jb-01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CN104801537A (zh) * 2015-04-09 2015-07-29 上海大学 一种重金属污染土壤的电动-微生物联合修复方法
CN105060504B (zh) * 2015-08-12 2017-04-05 北京化工大学 一种间歇式无功率输出并联两个mfc提高电压处理重金属废水的方法
CN105355929A (zh) * 2015-11-28 2016-02-24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对氧化三甲胺介质的微生物燃料电池
CN105489917A (zh) * 2015-11-28 2016-04-13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处理生活污水的微生物燃料电池
CN105355952A (zh) * 2015-11-28 2016-02-24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微生物燃料反应器及应用该反应器的电池
CN105355927A (zh) * 2015-11-28 2016-02-24 成都九十度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vo2/s-ac泡沫镍空气阴极
CN106932455B (zh) * 2015-12-29 2020-02-07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重金属传感监测装置
CN105621593B (zh) * 2016-01-18 2018-04-10 大连理工大学 一种清洁有效的从钨钼酸盐混合溶液中分离钨钼的方法
CN105693044B (zh) * 2016-04-25 2020-09-01 江门市久协电镀有限公司 一种去除电镀废水中锌的处理系统
CN111747619A (zh) * 2016-04-25 2020-10-09 陈逸君 一种去除电镀废水中锌的处理方法
CN106007004B (zh) * 2016-07-09 2019-11-19 南京工业大学 一种利用其它重金属废水强化含铬废水处理的方法
CN106571498B (zh) * 2016-11-11 2019-02-01 大连理工大学 利用微生物燃料电池从钼锡酸盐混合溶液中分离并回收钼锡方法
CN107045012B (zh) * 2016-11-24 2019-08-13 北京化工大学 一种微生物燃料电池毒性传感器及运行方法
CN108689482A (zh) * 2017-04-06 2018-10-23 华东理工大学 一种处理含铂废水并且回收铂炭的方法
CN108690915A (zh) * 2017-04-06 2018-10-23 华东理工大学 一种从含铂废水回收铂炭的方法
CN107245580B (zh) * 2017-05-08 2018-10-16 大连理工大学 一种清洁有效的从酸性废蚀刻溶液中分离并回收铜、锡和铁的方法
CN107081333B (zh) * 2017-05-18 2020-09-25 大连理工大学 一种光催化燃料电池的水体沙土修复方法
CN107010734A (zh) * 2017-06-07 2017-08-04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去除铅、锌重金属的燃料电池型人工湿地
WO2018235106A1 (en) * 2017-06-23 2018-12-27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IIT Madras) WASTEWATER METAL EL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7946623A (zh) * 2017-10-31 2018-04-20 江苏理工学院 一种处理矿山酸性含铜废水的微生物燃料电池及铜回收的方法
CN108114972B (zh) * 2017-12-21 2020-11-10 中科京投环境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异位修复汞污染土壤的方法
US11008234B2 (en) * 2017-12-22 2021-05-18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Reactor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recovering extracellular metal or metalloid nanoparticles
CN108330084B (zh) * 2018-01-30 2021-01-26 湖南农业大学 一种适用于高海拔低温环境的耐砷菌株及基于该菌株制备微生态制剂的发酵方法
CN110364758A (zh) * 2018-04-11 2019-10-22 华东理工大学 一种基于微型管式微生物燃料电池的水质毒性监测方法
CN108707561B (zh) * 2018-05-24 2022-05-10 江苏世邦生物工程科技有限公司 用于修复土壤的复合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893420B (zh) * 2018-05-24 2021-12-10 苏州逸凡特环境修复有限公司 处理重金属污染土壤用微生物菌株及其筛选方法与应用
CN108946947A (zh) * 2018-06-19 2018-12-07 北京师范大学-香港浸会大学联合国际学院 微藻产生细胞活电电池及在清理水中的重金属污染物上的应用
CN110071316B (zh) * 2019-04-26 2020-11-27 重庆大学 利用废弃印制电子线路板构成的热再生氨电池及处理方法
CN110635159B (zh) * 2019-08-19 2020-11-03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微生物燃料电池、应用及管道气体监测装置
KR102278201B1 (ko) * 2019-10-15 2021-07-15 박용학 높은 환원 전위를 갖는 전자 흡수체를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생산방법
CN111430766A (zh) * 2020-04-01 2020-07-17 广东工业大学 一种外加降解菌种阳极光合太阳能燃料电池系统及其应用
CN113003701B (zh) * 2021-02-08 2022-12-16 哈尔滨工业大学 电耦生物滤池深度净化铅锌矿尾矿库废水装置
CN113398523B (zh) * 2021-05-12 2022-06-14 华南理工大学 一种FeSx电极及制备方法、FeSx协同微生物矿化固定Cr(VI)的装置及方法
US11577979B1 (en) 2021-07-28 2023-02-14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ocesses for treatment of wastewater
CN113860476B (zh) * 2021-09-03 2023-06-06 江苏理工学院 一种强化微生物燃料电池产电回收金属的方法
CN115181692A (zh) * 2022-06-23 2022-10-14 江西师范大学 一种硫化亚铁次生矿物杂化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0438B2 (ja) 1995-05-30 2006-08-16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金属イオンの回収方法
KR20110008015A (ko) * 2008-03-28 2011-01-25 도쿠리쓰교세이호징 가가쿠 기주쓰 신코 기코 미생물 연료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17B1 (ko) 2001-11-10 2004-06-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저영양성 전기화학 활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연료전지형생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를 이용한 생화학적 저농도산소요구량 측정방법
JP4849943B2 (ja) * 2006-04-19 2012-01-11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生物燃料電池用隔膜及び生物燃料電池
JP2010516017A (ja) * 2007-01-05 2010-05-13 アケルミ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イオアノード及びバイオカソードのスタックアセンブリ
KR20080066460A (ko) 2007-01-12 2008-07-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연료 전지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
US8597513B2 (en) * 2009-02-06 2013-12-03 Ut-Battelle, Llc Microbial fuel cell treatment of fuel process wastewater
KR101195093B1 (ko) 2009-06-23 2012-10-29 주식회사 이비테크넷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 연료전지 및 그를 이용한 온실효과 저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0438B2 (ja) 1995-05-30 2006-08-16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金属イオンの回収方法
KR20110008015A (ko) * 2008-03-28 2011-01-25 도쿠리쓰교세이호징 가가쿠 기주쓰 신코 기코 미생물 연료 전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STI글로벌동향브리핑(GTB),2007 *
PROCESS BIOCHEMISTRY,200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15B1 (ko) * 2014-07-30 2017-06-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폐수로부터 전력 생산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 및 연료전지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738A1 (ko) 2012-11-08
US20140083933A1 (en) 2014-03-27
KR20120124529A (ko) 2012-11-14
CN103153883A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660B1 (ko)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또는 귀금속 회수 방법
Bian et al. Electrochemical removal of amoxicillin using a Cu doped PbO2 electrode: electrode characterization, operational parameters optimization and degradation mechanism
Mathuriya et al. Microbial fuel cells to recover heavy metals
Li et al. Bio‐electro‐Fenton systems for sustainable wastewater treatment: mechanisms, novel configurations, recent advances, LCA and challenges. An updated review
CN108529714B (zh) 光电化学反应池及其处理硫化氢废气和废水的方法
CN102092820A (zh) 一种双池双效可见光响应光电芬顿去除水中有机物的方法及装置
CN108083388B (zh) 一种去除水中有机污染物的方法
Huang et al. Cobalt recovery from the stripping solution of spent lithium-ion battery by a three-dimensional microbial fuel cell
Liu et al. Enhancing copper recovery and electricity generation from wastewater using low-cost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with a carbonized clay cup as cathode
US20210198122A1 (en) Device for decomplexation and enhanced removal of copper based on self-induced fenton-like reaction constructed by electrochemistry coupled with membrane separation, and use thereof
CN101514040A (zh) 一种三维电极反应器及其在难降解有机废水处理中的应用
CN106630429B (zh) 一种基于生物电化学及光催化的污水原位处理系统及应用
CN108928892A (zh) 一种基于电芬顿耦合电絮凝处理垃圾渗滤液的方法
CN102923826A (zh) 复合催化氧化处理有机废水的装置及催化阳极的制备方法
CN102211830B (zh) 电催化氧化处理切削液废水的方法
CN105236628B (zh) 光电协同催化降解污水装置
CN102701338A (zh) 一种焦化废水深度处理工艺
CN101781001A (zh) 一种两段式电解法处理废水的方法及其装置
CN109694119A (zh) 一种利用改性活性炭粒子电极处理脱硫废水的方法
CN100366545C (zh) 一种利用感应电芬顿反应去除水中有机物的方法及装置
Zhang et al. Photocatalytic removal organic matter and bacteria simultaneously from real WWTP effluent with power generation concomitantly: Using an ErAlZnO photo-anode
Wang et al. Bioelectrochemical systems-based metal removal and recovery from wastewater and polluted soil: Key factors, development, and perspective
CN104701561A (zh) 一种光电-微生物复合阳极微生物燃料电池及处理生活污水的方法
CN205653218U (zh) 多维电解污水处理设备
CN111333235A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系统和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