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99677A1 -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 - Google Patents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99677A1
WO2011099677A1 PCT/KR2010/003063 KR2010003063W WO2011099677A1 WO 2011099677 A1 WO2011099677 A1 WO 2011099677A1 KR 2010003063 W KR2010003063 W KR 2010003063W WO 2011099677 A1 WO2011099677 A1 WO 20110996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rous carbon
carbon nanofibers
metal oxide
alkoxid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0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갑승
김보혜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3/578,268 priority Critical patent/US9546091B2/en
Priority to CN2010800636695A priority patent/CN102762784A/zh
Priority to EP10845848.0A priority patent/EP2535445B1/en
Publication of WO20110996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996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247Discontinuous hollow structure or microporous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20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 D01F9/21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9/2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acrylonitr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4Electrod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the materials making up or comprised in the electrodes, e.g. form, surface area or porosit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powders or particles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18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free carbon or carbide or therewith [not as stee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rbon nanofibers, and more particularly, porous metal containing metal oxides having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by changing the composition of a spinning solution used when producing carbon fibers through electrospinning capable of producing nano-scale fibers.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producing carbon nanofibers, porous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a metal oxide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and a carbon nanofiber application product comprising the same.
  • the existing activated carbon has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but since the por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rates.
  • micropores protrude to the outside, but because the diameter is micro size, application to an energy storage medium is difficult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volume and the reaction rate.
  • carbon nanofibers have a more uniform pore distribution than activated carbon, and have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can be manufactured in paper, felt, and non-woven fabric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ke high-performance electrode active materials.
  • carbon nanofibers having a nanographite structure have a relatively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 shallow depth of pores, and micropores having a size of 1-2 nm, thus exhibiting rapid adsorption and desorption rate, uniform structure, and pore size. Because of its narrow distribution, it shows fast selective adsorption and desorption even with low energy changes, and thus has excellent energy storage characteristics.
  • the chemical activation process requires a chemical activation process in which potassium hydroxide (KOH) or sodium hydroxide (NaOH) is mixed and heat treated at a high temperature after carbonization at a high temperature.
  • KOH potassium hydroxide
  • NaOH sodium hydroxide
  • the chemical activation method using such salts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process and mass production because the carbon nanofibers and salts are evenly mixed and heat tre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process of removing the mixed salts after activation is required.
  • PAN-based carbon nanofibers produce carbon nanofibers and activated carbon fibers through electrospinning, stabilization,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of PAN solutions, but due to the low specific surface area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PAN-based carbon fibers There is a limit to the performance expression of electrodes for supercapacitors.
  • the pitch-based carbon nanofibers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bers is very large due to low spinning.
  •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s a device using electric charges accumulated in an electric double layer generated between a solid electrode and an electrolyte, and attracts attention from various fields in terms of use and application.
  • capacitors have lower energy densities than batteries, but have excell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ower density that exerts momentary power, and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due to almost semi-permanent lifespan. Therefore, in the case of electrochemical capacitor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improve energy and power density simultaneously.
  • the performance of supercapacitors in energy storage depends greatly on the materials used and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it is very important to manufacture ultra-high capacity and high-output capacitors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 Electrolytes used i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water-soluble electrolytes, organic solvent electrolytes and solid electrolytes. Since the us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EDLC unit cel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lectrolyte, the selection of the electrolyte is very important. In general,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aqueous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s lower than 1.0 V and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amount of energy stored is also limited. When using an organic solvent electrolyte to compensate for this disadvantage, the capacitor can be used at high cell voltage can store a lot of energy.
  • a capacitor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can be obtained in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voltage used. I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available temperature range of -25 ⁇ 85 °C, and has the advantage of high pressure resistance and miniaturization.
  • activated carbon-based carbon material having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electrochemically stable and high conductivity is mainly used.
  • the oxidative property is mainly based on coal, petroleum pitch, phenol resin, wood-based and carbon precursor precursor polymers.
  • Non-surface oxidizing activated carbon or activated carbon fibers are used for quality by activating at a temperature below 1200 ° C. using gas or inorganic salts.
  • this graphitized carbon raw material is used for heat treatment with alkali (KOH, NaOH and K 2 CO 3 ) at a high temperature of 700 to 900 ° C., and the capacity per electrode volume is about 30 to 50 F / at 3.5 V. mL is obtained.
  • alkali KOH, NaOH and K 2 CO 3
  • activated carbon prepared by the alkali activation method has problems of heat treatment and corrosion of containers, deterioration of characteristics due to charge and discharge cycles, and high manufacturing cost.
  • the activated carbon fibers currently produced and sold are mainly manufactured by fiberizing precursors by expensive melt-spinning or melt-blown spinning apparatus, followed by oxidation stabilization, carbonization or activation.
  • this method has a limitation in effectively enhanc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to volume due to the complicated process and large fiber diameter.
  • the fiber when used as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fiber must be crushed to add a binder or a conductive material, and in the case of a woven fabric, the fiber diameter of the manufactured fiber is relatively large and the electrode density is low, so that fast charge and discharge or high output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It had a downsid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 carbon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s a result of trying to solve all the dis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carbon nanofiber having a high porosity including a metal oxide through a carbonization or activation process by including a metal alkoxide in the carbon fiber precursor solution,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t is to provide an improved product comprising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and the carbon nanofibers are improv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porous carbon nanofibers having an ultra-fine and high porous fibrous web only by heat treatment process without chemical activation process, porous carbon nanofibers that can shorten the time and cost of the carbon nanofibers and its application process It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carbon nanofibers produced by the method and an application product including the carbon nanofiber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a metal alkoxide into the carbon crystal to improve the energy density by increasing the dielectric constant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surface, as well as fast selective adsorption and desorption at low energy changes energy storage characteristics It is to provide a porous carbon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a metal oxide that can be very excellent to provide a high performance, the carbon nanofibers produced by the method and the application product comprising the carbon nanofibers.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capacity capacitor having excellent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charg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power and power density by applying carbon nanofibers having a porous fiber web manufactured through a carbonization process to an aqueous electrolyt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porous carbon nanofiber prepared to facilitate the access of the organic solvent electrolyte while remaining the metal oxide through a physical activation process using a gas containing water vapor to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capacitor
  • a porous carbon nanofiber prepared to facilitate the access of the organic solvent electrolyte while remaining the metal oxide through a physical activation process using a gas containing water vapor to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capacitor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carbon nanofiber precursor solution containing a metal alkoxide [M (OR) n ]; Electrospinning the precursor solution to obtain precursor spun fiber; Oxidatively stabilizing the precursor spun fiber to obtain a flame resistant fiber; And carbonizing the flame resistant fiber to obtain porous carbon nanofibers.
  • the oxidative stabilization is to supply the compressed air at a flow rate of 5 to 20 mL per minute using a hot air circulation ,, at least 30 minutes at 200 ⁇ 300 °C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 °C per minute Is carried out by holding.
  • the physical activation is carried out by raising the temperature to 700 ⁇ 850 °C at a rate of 5 °C per minute and then maintained for 30 minutes or more in an inert gas 150-250 mL / min and water vapor 5-15 vol% atmosphere.
  • one or mor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metal alkoxide,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the activation temperature, the time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diameter of the carbon nanofibers and the porosity of the surface.
  •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prepared by the method of claim 2 has a diameter of 100 to 250 nm, specific surface area of 1000 to 1700 m 2 / g, fine and mesopores having a size of 2 nm or more Ha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dsorbent comprising a porous carbon nanofiber containing the metal oxide of claim 9.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comprising the porous carbon nanofiber of claim 9.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pare carbon nanofibers having high porosity by using a metal alkoxide sol-gel method without chemical activation process by including the metal alkoxide in the carbon fiber precursor solution, the carbon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Nanofibers have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carbon nanofibers having a super-fine and highly porous fiber web through carbonization or physical activ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ctive / carbon nanofibers and their applic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size distribution in the state containing the metal oxide in the carbon nanofibers by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metal alkoxide concentration, heat treatment temperature, activation process to achieve the desired characteristics. Easy to adjust to have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energy density by increasing the dielectric constant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surface by introducing a metal alkoxide into the carbon crystal, but also shows rapid selective adsorption and desorption even at low energy changes, and thus has excellent energy storage characteristics. Can provide high performance.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organic solvent electrolyte porous carbon nanofibers prepared for easy access of the organic solvent electrolyte while remaining the metal oxide through a physical activation process using a gas containing water vapor, electrochemical properties, capacitor capacity
  • a gas containing water vapor, electrochemical properties, capacitor capacity 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capacity, power density and energy dens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ltracapacitor, an electrode material that can be finally applied to a power storage power source.
  • Figure 1 is a schematic flow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ous carbon nano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lication of a high capacity supercapacitor electrode using the same
  • Example 3 is a thermal analysis graph of the precursor spun fiber obtained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result of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0 °C / min precursor precursor fiber and chloride fiber obtained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5 is a hi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fibers 1 obtained at a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800 ° C.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6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2 obtained at a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900 °C in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7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3 obtained at a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1000 °C in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9 is a high magnific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1 obtained at a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800 ° C.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10 is a high magnific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porous carbon nanofibers 2 obtained at 900 ° C. in a carbonization temperature in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11 is a high magnific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porous carbon nanofibers 3 obtained at a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1000 ° C. in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yclic voltamogram (CV) graph of an electrolyte 6M KOH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a capacitor including porous carbon nanofibers 4 to 6 obtained in Examples 5 to 7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specific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in the voltage range 0-1V of the capacitor including porous carbon nanofibers 4 to 6 obtained in Examples 5 to 76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1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separating the peak of the carbon element (C) by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4 obtained in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 Example 1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parating oxygen peaks (O peaks) from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4 obtained in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 FIG. 1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parating peaks of nitrogen element (N) from porous carbon nanofibers 4 obtained in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 FIG. 18 is a graph showing specific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TEOS weight ratio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in the voltage range 0-2.7 V of the capacitor including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7 and 8 obtained in Examples 8 and 9 of the present invention.
  • Physically activating the flame resistant fiber has two manufacturing methods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porous carbon nanofibers.
  • PAN polyacrylonitrile
  • MA methylacrylate
  • the metal alkoxide contained in the carbon fiber precursor solution is preferably 1 to 30% by weight relative to the carbon fiber precursor material
  • the carbon fiber precursor solution is 70 to 99: 30 to 1% by weight of the carbon nanofiber precursor and the metal alkoxide constituting the solute. It is preferable to be prepared to include.
  • the water vapor used for physical activation further promotes the hydrolysis and condensation reaction of the metal alkoxide, so that water and alcohol which are additionally released during the production of metal oxides accelerate the sol-gel reaction rate due to the LeChatlie law. This is because it creates expanded pores as well as more micropores.
  • the prepared carbon nanofiber precursor solution was prepared using a non-woven web made of nanofibers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to obtain a precursor spun fiber.
  •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applies an applied voltage of 25 kV to the nozzle and the collector,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inneret and the collector is about 20 cm, but can be varied as necessary.
  • the flame resistant fiber obtained by oxidation stabilization was heated to 800 ° C. at an elevated temperature rate of 5 ° C. per minute in an inert atmosphere, and carbonized while maintaining for 50 minutes to prepare porous carbon nanofibers 1.
  • the flame resistant fiber obtained in Example 1 was heated to 800 ° C. at a rate of 5 ° C. per minute, and then maintained for 60 minutes in an atmosphere of 200 mL / min of inert gas and 10 vol% of water vapor to prepare porous carbon nanofibers 7.
  • porous carbon nanofibers 4 to 6 prepared in Examples 5 to 7 were cut to an appropriate size, placed on a nickel foam current collector, and a Celgard (polypropylene) separator was insert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n 6M.
  • Supercapacitors 1 to 3 were prepared by impregnating KOH aqueous electrolyte solution.
  • Comparative carbon nanofiber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only the PAN was included without the metal alkoxide as the solute.
  •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graph of FIG. 3 the main weight change is shown at 280 ⁇ 330 °C, the weight decreases slowly over 330 °C, it can be seen that shows the ceramic residual amount of 28% at 1000 °C .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0 ° C./min under the nitrogen stream of the precursor spun fiber and the flame resistant fiber obtained in Example 1, and the DSC graph is shown in FIG. 4.
  • the precursor spun fiber showed a very strong exothermic peak near 287 ° C, which is the effect of the cyclization reaction of nitrile group during oxidative stabilization process.
  • the cyclization or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nitrile group remaining in the precursor fiber is further progressed, and exothermic peaks are observed in a wide range of 320 to 350 ° C.
  • the flame resistant fiber shows a strong endothermic peak by evaporation of water or alcohol at around 100 ° C.
  • porous carbon nanofibers 1 to 3 obtained in Examples 2 to 4 wer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photographs observed are shown in FIGS. 5 to 7. 5 to 7 it can be observed that the carbon nanofibers are produced very well without the production of particles or beads when the carbon nanofibers are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ameter decreases as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re was.
  •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3 obtained in Example 4 were analyzed with an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EDX),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8.
  • EDX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 carbon nanofibers using tetraethyl orthosilicate (Si (OEt) 4 , TEOS) in metal alkoxides can identify elements of C, O and Si.
  •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average pore size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1 to 3 obtained in Examples 2 to 4 and the comparative carbon nanofibers obtained in the comparative example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average pore size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1 to 3 obtained in Examples 2 to 4 and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7 and 8 obtained in Examples 7 and 8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3. It was.
  • Cyclic voltamogram was measured in electrodes 1 to 3 of the supercapacitors prepared in Examples 5 to 7, that is, 6M KOH aqueous solution of porous carbon nanofibers 4 to 6, an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plotted. It is shown in 12.
  • the electrode was measured in the voltage range 0 ⁇ 1.0 V, scanning speed: 25 mV / s.
  •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decreased (1000 ⁇ 800 °C)
  • the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d, but the capacitance decreased.
  • the cyclic voltammogram shows that a quasi-rectangular shape appears at the end of 1 V, not a typical EDLC type rectangle.
  • the specific capacitance of the 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the supercapacitor electrodes 1 to 3, that is,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4 to 6 prepared in Example 7,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FIG. 13 shows that the specific capacity of the carbon nanofibers according to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shows a similar tendency to the CV measurement result shown in FIG. 12, which shows a high specific capacity of 161.39 F / g at a low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800 ° C.
  • FIG. This is because carbon nanofibers carbonized at a low temperature of 800 ° C contain a lot of hetero atoms such as silicon (Si), oxygen (O), and nitrogen (N).
  • the Ragon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output and power density of the carbon nanofiber capacitors according to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using the supercapacitor electrodes 4 to 6 obtained in Examples 5 to 7 is shown in FIG. 17. It can be seen from FIG. 17 that the KOH 6M aqueous solution electrolyte has a high energy density of 22 Wh / kg and a high power density of 100 kW / kg and a high power density.
  • a graph of Ragon is shown in FIG. 19. 19 shows high energy density of 90-35 Wh / kg and power density of 2-100 kW / kg in 1.5 M organic solvent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tetraethylammonium tetraflouoroborate was dissolved in actonitrile.
  • the metal alkoxide is introduced into the carbon crystal in the case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produced by carboniza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diameter in the range of 100 to 300 nm, and 700 to 1500 It has a specific surface area in the range of m 2 / g and shows that it has micropores having a size of 1 to 3 nm containing metal oxides, thereby increasing the dielectric constant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surface or inducing a Faraday reaction. It is thought that the energy density can be improved.
  • carbon nanofibers manufactured at low carbonization temperature exhibits rapid selective adsorption and desorption even at low potential changes, and thus have excellent energy storage characteristics, thus reducing carbonization process costs, and high conductivity, high specific surface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micropores of various sizes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produced by physical activation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ameter in the range of 100 ⁇ 250 nm, has a specific surface area of 1300 ⁇ 1700 m 2 / g, 2 It has been shown to have both micropores and mesopores having a size of more than nm, thereby accelerating the sol-gel reaction by water vapor in the physical activation process to develop more specific surface area containing metal oxides and micropores and mesopores. I can see that there is.
  • the water vapor used for physical activation further promotes the hydrolysis and condensation reaction of the metal alkoxide, so that water and alcohol which are additionally released during the production of metal oxides accelerate the sol-gel reaction rate due to the LeChatlie law. This is because it creates expanded pores as well as more micropores.
  •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produced through carbonization or physical ac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excellent in electrochemical properties, capacitor capacity, power density and energy density, but especially physical It can be seen that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prepared through activation enable the production of ultra-high capacity capacitors having a higher energy density than the porous carbon nanofibers produced by carbonization.
  • the porous carbon nano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ccess the pollutant because the pores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excellent in its application as a filter material, an electrode material for a supercapacitor using an electric double layer, an electrode material for a secondary battery, an electromagnetic wave It is also very useful as a shielding material and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노 단위의 섬유 제조가 가능한 전기 방사를 통해 탄소섬유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방사 용액의 조성을 변경시켜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노 단위의 섬유 제조가 가능한 전기 방사를 통해 탄소섬유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방사 용액의 조성을 변경시켜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각종 전자통신기기의 소형화 및 전기자동차의 실용화에는 막대한 양의 저공해, 고효율 에너지 저장소재의 개발이 필연적이다. 21세기형 첨단 극소형 이동용 전원 시스템의 보급에 의한 필수적 전원 공급으로 인해 이 시스템의 경량 단소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고기능성 탄소재료의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기능성 탄소재료 중 기존의 활성탄소의 경우 높은 비표면적을 지니고 있지만 기공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흡착 및 탈착 속도를 재현하기 힘들다. 또한 활성탄소섬유의 경우 미세기공은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만 그 직경이 마이크로 크기이기 때문에 용적량 및 반응속도의 한계성으로 인해 에너지 저장 매체로의 응용은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탄소나노섬유는 활성탄에 비해 세공분포가 균일하며, 높은 비표면적 특성과 종이상, 펠트상, 부직포상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보다 고성능의 전극 활물질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노흑연구조를 갖는 탄소나노 섬유는 비교적 비표면적이 크고, 그 기공의 깊이가 얕으며, 1-2 nm의 크기의 미세공을 가지므로 빠른 흡탈착 속도를 나타내며, 구조가 균일하며 기공의 크기 분포가 좁아 낮은 에너지 변화에도 빠른 선택적 흡탈착을 보이므로 에너지 저장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현재까지 알려진 탄소나노섬유제조방법에 의하면 다공성을 갖는 탄노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열처리 과정(산화 안정화 또는 탄화 과정) 후 화학적 활성화 공정을 통해야 했다. 일반적으로 화학적 활성화 공정에서는 고온에서 탄화 후 수산화칼륨 (KOH)이나 수산화나트륨(NaOH)을 혼합하여 다시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약품활성화 공정을 거쳐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염류를 이용한 약품활성화 방법은 탄소나노섬유와 염을 골고루 혼합한 후 열처리를 하기 때문에 연속공정 및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으며, 활성화 후 혼합한 염들을 제거해야하는 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전방사법에 의한 PAN 및 피치계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08227호와 10-2003-0002759에서 각각 개시되고 있다. 상기 특허들에서 PAN계 탄소나노섬유가 PAN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안정화, 탄화, 활성화를 통해 탄소나노섬유 및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고 있지만 PAN계 탄소섬유의 낮은 비표면적과 전기전도도로 인해 전기이중충 슈퍼캐퍼시터용 전극 성능발현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피치계 탄소나노섬유는 낮은 방사성으로 인해 섬유의 직경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고출력 및 고용량 특성이 요구되는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 장치로 개발하기 위해서 나노 탄소재료를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전극으로 이용하여 성능을 제고시키기 위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전기이중층 캐퍼시터는 고체전극과 전해질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이중층에 축적되는 전하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용도와 활용 면에서 여러 분야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캐퍼시터는 전지와 비교해 에너지밀도는 낮지만 순간적으로 힘을 걸어주는 동력밀도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거의 반영구적인 수명 등으로 인해 여러 분야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따라서 전기화학적 캐패시터(electrochemical capacitor)의 경우 에너지와 동력 밀도를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에너지 저장기중 슈퍼캐퍼시터는 사용소재와 제작 기술에 따라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되므로 신소재 개발을 병행한 초고용량, 고출력 캐퍼시터 제작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기이중층 캐피시터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LDC)에 사용되는 전해질은 크게 수용성전해질, 유기용매 전해질 및 고체 전해질로 분류된다. 전해질에 따라서 EDLC 단위셀의 사용 전위차가 결정되기 때문에 전해질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용액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작동전압은 1.0 V 이하로 낮으며 저장되는 에너지량도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기용매 전해질을 사용하면 캐패시터는 높은 셀 전압에서 사용 가능하여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유기용매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 내부저항이 커져서 충방전 특성이 수용액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보다 좋지 못한 단점이 있으나, 적용 가능한 전위차가 높아 사용 전압의 자승에 비례하여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는 캐패시터를 얻을 수 있고, 사용가능 온도범위가 -25~85 ℃로 넓은 범위에서 실용 가능하며 고내압화 및 소형화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EDLC용 전극 소재로는 비표면적이 크며,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면서 전도성이 큰 활성탄계 탄소재료가 사용되는데, 주로 석탄이나 석유계 피치, 페놀레진, 목질계 및 탄소재료 전구체 고분자를 출발물질로 하여 산화성 가스나 무기염류를 사용하여 1200 ℃ 미만의 온도에서 활성화하여 질로 비표면적산화성 가활성탄이나 활성탄소섬유가 이용되고 있다.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비대칭 전극 기술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10∼20 Wh/kg) 기술 및 알칼리 활성화에 의해 제조된 고용량 활성탄소를 이용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제조(20∼40 Wh/kg) 기술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17, 1079 (2004); Mat. Res. Soc. Proc., San Francisco, CA, 397 (1995); J. Electrochem. Soc., 148, A930 (2001); Electrochem., 69, 487 (2001); Carbon, 43, 2960 (2005))등을 들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이 흑연화 탄소원료를 이용하여 알칼리(KOH, NaOH 및 K2CO3)와 함께 700∼900 ℃의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것으로, 전극 부피 당 용량은 3.5 V에서 약 30∼50 F/mL을 얻고 있다. 그러나 알칼리 활성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활성탄소는 제조공정에서 의 열처리 및 용기의 부식, 충방전 싸이클에 따른 특성 저하 및 제조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한편, 현재 생산 판매되고 있는 활성탄소섬유는 주로 고가의 용융방사(melt-spinning)나 용융분사방사(melt-blown spinning) 장치에 의해 전구체를 섬유화한 다음 산화안정화, 탄소화 내지는 활성화하여 제조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섬유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체적대비 비표면적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극 활물질로 이용되는 경우, 섬유를 분쇄하여 바인더나 도전재를 첨가하는 공정을 거쳐야 되고, 직물상의 경우는 제조된 섬유의 섬유경이 상대적으로 커 전극의 밀도가 낮아 고속 충방전이나 고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이 해결된 탄소나노섬유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섬유전구체용액에 금속 알콕사이드를 포함시킴으로써 탄화 또는 활성화 과정을 통해 금속 옥사이드를 포함한 높은 다공성을 갖는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되어 비표면적이 넓고 전기 전도성이 향상되는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그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응용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학적 활성화 공정 없이 열처리 공정만으로 초극세 및 높은 다공성 섬유 웹을 갖는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함으로써, 탄소나노섬유 및 그 응용제품의 제조 공정의 시간 및 비용 단축이 가능한 다공성탄소나노섬유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및 그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응용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 알콕사이드의 농도, 열처리 온도, 활성화공정 중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해 금속 옥사이드를 포함한 상태에서 탄소나노섬유의 비표면적 및 기공의 크기 분포를 제어하여 원하는 특성대로 조절이 용이한 탄소나노섬유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및 그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응용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 알콕사이드를 탄소 결정에 도입함으로써 전해질과 전극표면 사이의 유전상수를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에너지 변화에도 빠른 선택적 흡탈착을 보여 에너지 저장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고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옥사이드를 함유한 다공성탄소나노섬유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및 그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응용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화공정을 통해 제조된 다공성 섬유 웹을 갖는 탄소나노섬유를 수용액계 전해질에 적용하여 전기화학적특성, 충방전특성, 출력 및 동력 밀도가 우수한 고용량 캐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증기를 함유한 기체를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 공정을 통해 금속옥사이드를 잔재시키면서 유기용매 전해질의 접근이 쉽도록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유기용매 전해질에 적용하여 전기화학적특성, 캐패시터의 용량(capacitance), 동력밀도 (power density) 및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가 현저하게 향상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력 저장용 전원에 응용이 가능한 전극재료인 초고용량 캐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속알콕사이드[M(OR)n]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 전구체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전구체방사섬유를 얻는 단계; 상기 전구체방사섬유를 산화안정화하여 내염화섬유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내염화섬유를 탄화하여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알콕사이드[M(OR)n]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 전구체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전구체방사섬유를 얻는 단계; 상기 전구체방사섬유를 산화안정화하여 내염화섬유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내염화섬유를 물리적 활성화하여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용액은 상기 탄소나노섬유전구체와 금속알콕사이드를 70~99 : 30~1 중량%로 포함하도록 준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알콕사이드는 Si-알콕사이드, Ti-알콕사이드, Al-알콕사이드, Zn-알콕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화안정화는 상기 전구체방사섬유를 열풍순환爐를 사용하여 압축공기를 분당 5~20 mL의 유속으로 공급하고, 분당 1 ℃의 승온 속도로 200~300 ℃에서 30분 이상 유지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화는 불활성 분위기 또는 진공상태에서 분당 5 ℃의 승온 속도로 700 ~ 1500 ℃까지 승온 한 후 30분 이상 유지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활성화는 분당 5 ℃의 승온 속도로 700 ~ 850 ℃까지 승온 한 후 불활성 기체 150-250 mL/min와 수증기 5-15 vol% 분위기에서 30분 이상 유지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알콕사이드의 농도, 상기 탄화온도, 상기 활성화 온도,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직경 및 표면의 다공성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는 직경이 100 ~ 300 nm이고, 비표면적은 700 ~ 1300 m2/g이며, 1 ~ 3 nm의 크기를 갖는 미세공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는 직경이 100 ~ 250 nm이고, 비표면적은 1000 ~ 1700 m2/g이며, 2 nm 이상의 크기를 갖는 미세공 및 중기공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0 항의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로 구성된 전극; 및 수용성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용량 수퍼캐패시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탄화를 통해 생성된 관능기들이 의사캐패시터 전극의 비축전용량에 참여하여 의사캐퍼시터의 용량이 첨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1 항의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로 구성된 전극; 및 유기용매 전해질;을 포함하는 초고용량 수퍼캐패시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표면의 기공들은 활성화를 통해 솔-젤 반응이 촉진되어 에너지 밀도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은 제 9항의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9 항의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은 탄소섬유전구체용액에 금속 알콕사이드를 포함시킴으로써 화학적 활성화 과정 없이 금속알콕사이드의 졸-겔 방법을 이용하여 높은 다공성을 갖는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는 비표면적이 넓고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탄화 또는 물리적 활성화를 통해 초극세 및 높은 다공성 섬유 웹을 갖는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함으로써, 활성/탄소나노섬유 및 그 응용제품의 제조 공정의 시간 및 비용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알콕사이드의 농도, 열처리 온도, 활성화 공정 중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해 탄소나노섬유에 금속옥사이드를 포함한 상태에서 비표면적 및 기공의 크기 분포를 제어하여 제조된 탄소나노섬유가 원하는 특성을 갖도록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알콕사이드를 탄소 결정에 도입함으로써 전해질과 전극표면 사이의 유전상수를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에너지 변화에도 빠른 선택적 흡탈착을 보여 에너지 저장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고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화공정을 통해 제조된 다공성 섬유 웹을 갖는 탄소나노섬유를 수용액계 전해질에 적용하여 전기화학적특성, 충방전특성, 출력 및 동력 밀도가 우수한 고용량 캐패시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증기를 함유한 기체를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 공정을 통해 금속옥사이드를 잔재시키면서 유기용매 전해질의 접근이 쉽도록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유기용매 전해질에 적용하여 전기화학적특성, 캐패시터의 용량(capacitance), 동력밀도 (power density) 및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가 현저하게 향상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력 저장용 전원에 응용이 가능한 전극재료인 초고용량 캐패시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용량 슈퍼캐퍼시터 전극 응용을 나타낸 개략흐름도
도 2는 금속알콕사이드의 졸-겔 반응 메카니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얻어진 전구체방사섬유의 열분석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얻어진 전구체방사섬유 및 내염화섬유를 질소 기류하에서 10 ℃/min의 승온속도를 유지하여 시차열 분석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한 결과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800 ℃ 탄화온도로 얻어진 탄소나노섬유1의 고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900 ℃ 탄화온도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2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1000 ℃ 탄화온도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3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1000 ℃에서 열처리되어 탄화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3의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기 (EDX)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800 ℃ 탄화온도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1의 고배율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900 ℃ 탄화온도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2의 고배율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1000 ℃ 탄화온도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3의 고배율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5 내지 7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4 내지 6을 포함하는 커패시터의 탄화온도에 따른 전해질 6M KOH 수용액에서의 순환 전압전류 (Cyclic voltamogram,CV)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5 내지76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4 내지 6을 포함하는 커패시터의 전압범위 0-1 V에서 상기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탄화온도에 따른 비축전용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4를 X선 광전자 분광법 (XPS)에 의해 탄소원소(C)의 피크를 분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4를 X선 광전자 분광법 (XPS)에 의해 산소원소(O의 피크를 분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4를 X선 광전자 분광법 (XPS)에 의해 질소원소(N)의 피크를 분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5 내지 7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4 내지 6을 포함하는 커패시터의 상기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탄화온도에 따른 출력과 동력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Ragon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 및 9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 7 및 8을 포함하는 커패시터의 전압범위 0-2.7 V에서 상기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TEOS 중량비에 따른 비축전용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 및 9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 7 및 8을 포함하는 커패시터의 상기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TEOS 중량비에 따른 출력과 동력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Ragon 그래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은 나노단위의 섬유제조가 가능한 전기방사를 통해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할 때 탄소섬유전구체 용액에 금속 알콕사이드를 일정중량비로 포함시킴으로써 금속알콕사이드의 졸-겔 방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제조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가 높은 다공성, 높은 비표면적,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에너지 저장특성 등을 갖고, 이와 같이 우수한 특성들로 인해 본 발명의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각종 응용제품들 즉 수퍼캐패시터, 연료전지, 2차전지용 전극, 전자파차폐재, 고전도성물질, 흡착재 등도 우수한 품질을 갖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성탄소나노섬유제조방법은 금속알콕사이드[M(OR)n]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 전구체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전구체방사섬유를 얻는 단계; 상기 전구체방사섬유를 산화안정화하여 내염화섬유를 얻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내염화섬유를 탄화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내염화섬유를 물리적 활성화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2가지 제조방법을 갖는다.
여기서, 탄소나노섬유전구체로는 공지된 물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섬유성형용 폴리아크릴나이트릴(PAN)이 바람직한데, PAN(분자량=160,000)을 100% 순중합체 (homopolymer)로 사용하거나 5-15%의 공중합체 (copolymer)를 함유한 개질된 아크릴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조성으로는 이타콘산 (itaconic acid)나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acrylate, MA)등을 공중합 물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알콕사이드[(M(OR)n]로는 공지된 물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M = Si, Ti, Al, Zr 인 즉 Si-알콕사이드, Ti-알콕사이드, Al-알콕사이드, Zn-알콕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탄소섬유전구체 용액에 포함되는 금속알콕사이드는 탄소섬유 전구체 물질 대비 1 ~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탄소섬유전구체용액은 용질을 이루는 탄소나노섬유전구체와 금속알콕사이드가 70~99 : 30~1 중량%로 포함하도록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탄소섬유전구체 용액에서 탄소섬유전구체와 금속알콕사이드가 용해되는 용매는 준비된 탄소섬유전구체와 금속알콕사이드를 모두 용해시킬 수 있기만 하면 제한되지는 않지만 dimethyformamide(DMF), DMSO, THF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탄소섬유전구체 용액의 농도는 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한데, 농도가 하한보다 작거나 상한보다 커지면 방사가 어렵고 파이버가 잘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산화안정화는 전구체방사섬유를 열풍순환爐를 사용하여 압축공기를 분당 5~20 mL의 유속으로 공급하고, 분당 1 ℃의 승온 속도로 200~300 ℃에서 30분 이상 유지하여 수행된다.
그 후, 내염화섬유를 탄화하게 되면, 탄화는 불활성 분위기 또는 진공상태에서 분당 5 ℃의 승온 속도로 700 ~ 1500 ℃까지 승온 한 후 30분 이상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알콕사이드가 졸-겔 반응에 의해 금속산화물 생성시 부가적으로 물과 알코올이 생성되는데 이 물질들은 고온의 탄화처리 단계에서 부분적으로 빠져나와 표면에 미세공을 가지는 탄소나노섬유가 제조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얻어진 본 발명의 다공성 탄소나노섬유의 직경은 100 ~ 300 nm 범위이고, 비표면적은 700 ~ 1300 m2/g을 갖게 되며, 1 ~ 3 nm의 크기를 갖는 미세공을 갖는데, 상술된 바와 같이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비표면적과 미세공의 크기는 금속알콕사이드의 함유량과 열처리 온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내염화섬유를 물리적 활성화하게 되면, 활성화는 분당 5 ℃의 승온 속도로 700 ~ 850 ℃까지 승온 한 후 불활성 기체 150-250 mL/min와 수증기 5-15 vol% 분위기에서 30분 이상 유지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기체 200 mL/min와 수증기 10 vol% 분위기에서 60분 이상 수행되는 것이다.
즉, 물리적 활성화에 사용되는 수증기가 금속알콕사이드의 가수분해와 축합반응을 더욱 촉진함으로써 금속산화물 생성시 부가적으로 빠져나오는 물과 알코올이 르샤틀리에 법칙으로 인해 졸-겔 반응속도를 가속화하여 표면에 더 많은 미세공 뿐 아니라 확장된 세공을 생성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물리적 활성화를 통해 얻어진 본 발명의 다공성활성탄소나노섬유의 직경은 100 ~ 250 nm 범위이고, 비표면적은 1300 ~ 1700 m2/g을 갖게 되며, 2 nm 이상의 크기를 갖는 미세공과 중기공을 동시에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사용시 유기용매 전해질 이온의 크기에 유효함으로써 유기용매 전해질에 적용하여 에너지 밀도가 큰 초고용량 캐패시터의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탄소섬유전구체용액에 포함되는 금속알콕사이드의 농도, 탄화온도, 활성화 온도 및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탄소나노섬유의 직경 및 표면의 다공성(비표면적, 미세공과 중기공의 크기 포함)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실시예 1
탄소나노섬유 전구체로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polyacrylonitrile : PAN) 순중합체와, 금속알콕사이드[(M(OR)n]로는 Si-알콕사이드 중 tetraethyl orthosilicate (Si(OEt)4, TEOS)를 준비하여, 용매로 준비된 DMF에 PAN과 TEOS를 용해시켜 탄소나노섬유전구체용액을 준비하였다.
이 때 탄소나노섬유전구체용액은 농도가 10%이고, PAN와 Si-알콕사이드는 80:20 중량%로 포함되도록 준비되었다.
그 후, 준비된 탄소나노섬유전구체용액을 정전방사 방법을 이용해서 나노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웹을 제조하여 전구체방사섬유를 얻었다. 이때의 정전방사 장치는 노즐과 콜렉터에 각각 25 kV의 인가전압을 가하고, 방사구금과 콜렉터간의 거리는 20 cm 정도로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 가변 시킬 수 있다.
전기방사하여 얻은 전구체방사섬유를 열풍순환爐를 사용하여 압축공기를 분당 20 mL의 유속으로 공급하고, 분당 1 ℃의 승온 속도로 280 ℃에서 50분 유지하여 안정화함으로써 산화안정화 공정을 수행하여 불용성의 내염화 섬유를 얻었다.
실시예 2
산화안정화하여 얻은 내염화섬유를 불활성 분위기에서 분당 5 ℃의 승온 속도로 800 ℃까지 승온한 후 50분 유지하면서 탄화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탄화온도를 900 ℃까지 승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탄화온도를 1000 ℃까지 승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탄소나노섬유전구체용액이 PAN과 Si-알콕사이드를 70:30 중량%로 포함되도록 준비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탄소나노섬유전구체용액이 PAN과 Si-알콕사이드를 70:30 중량%로 포함되도록 준비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5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탄소나노섬유전구체용액이 PAN과 Si-알콕사이드를 70:30 중량%로 포함되도록 준비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6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내염화섬유를 분당 5 ℃의 승온 속도로 800 ℃까지 승온 한 후 불활성 기체 200 mL/min와 수증기 10 vol% 분위기에서 60분 유지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7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탄소나노섬유전구체용액이 PAN과 Si-알콕사이드를 70:30 중량%로 포함되도록 준비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다공성탄소나노섬유8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5 내지 실시예7에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4 내지 6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니켈 폼(Ni foam) 집전체 위에 올려놓고 정극과 부극 사이에 Celgard (polypropylene) 분리막을 끼워 넣은 후, 6M KOH 수용성 전해질 용액을 함침하여 슈퍼캐퍼시터 1 내지 3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8 및 실시예 9에서 제조된 다공성 활성탄소나노섬유 7 및 8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니켈 폼(Ni foam) 집전체 위에 올려놓고 정극과 부극 사이에 Celgard (polypropylene) 분리막을 끼워 넣은 후, tetraethylammonium tetraflouoroborate을 acetonitrile에 녹인 1.5 M 유기용매 전해질 용액을 함침하여 슈퍼캐퍼시터 4 및 5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용질로서 금속알콕사이드를 포함하지 않고 PAN만을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비교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1에서 얻어진 전구체방사섬유를 열분석하여 도 3에 나타내었는데, 실험조건은 승온속도 -10 ℃/min, N2 이다.
도 3 중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그래프를 참조하면 주요 무게변화는 280 ~ 330 ℃에서 나타나고 330 ℃ 이상에서는 서서히 무게 감소가 일어나며, 1000 ℃에서 28%의 세라믹 잔류량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차주사 열량분석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그래프에서는 TGA와 같은 범위인 280 ~ 330 ℃에서 매우 큰 발열 반응 피크가 나타남을 통해 이 범위의 온도에서 섬유전구체의 열분해가 일어났음을 예상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1에서 얻어진 전구체방사섬유 및 내염화섬유를 질소 기류하에서 10 ℃/min의 승온속도를 유지하여 시차열분석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도 4에 DSC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전구체방사섬유는 287 ℃ 근처에서 매우 강한 발열피크를 보여주는데 이는 산화안정화 과정동안 나이트릴기의 고리화 반응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내염화섬유의 DSC 그래프에서는 프리커서 섬유에 남아있는 나이트릴기의 고리화 또는 가교반응이 더 진행되어 320 ~ 350 ℃의 넓은 영역에서 발열피크가 보여진다. 또한 내염화섬유는 전구체방사섬유와 달리 100 ℃ 근처에서 물이나 알코올의 증발에 의한 강한 흡열피크를 보여주는데, 이는 산화안정화 과정을 통해 안정화 섬유가 C=O, C=O, C-OH와 같은 관능기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험예 3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1 내지 3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관찰한 사진을 도5 내지 7에 나타내었다. 도5 내지 도7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탄소나노섬유 제조시 입자나 비드의 생성 없이 탄소나노섬유가 매우 잘 생성됨을 관찰 할 수 있으며, 탄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다공성탄소나노섬유1 내지 6을 포함하여 탄화온도를 달리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여 평균직경을 측정해본 결과 표1과 같이 평균직경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
탄화온도 (℃) 평균직경 (nm)
800 200-300
900 170-260
1000 150-175
실험예 4
실시예4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 3을 대상으로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기 (EDX)로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도8에 나타내었다.
도8로부터 금속알콕사이드 중 tetraethyl orthosilicate (Si(OEt)4, TEOS)를 이용한 탄소나노섬유에서는 C, O 및 Si의 원소를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1 내지 3의 표면을 고배율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관찰결과 사진을 도9 내지 도11에 나타내었다.
도9 내지 도11로부터 탄소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표면에 미세공의 크기가 큰 세공을 더 잘 관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1 내지 3과 비교예에서얻어진 비교탄소나노섬유의 BET 비표면적, 세공 부피, 평균 세공 크기를 측정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로부터, 탄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금속 알콕사이드를 이용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는 PAN만을 사용한 비교탄소나노섬유보다 BET 비표면적, 세공 부피, 평균 세공 크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금속알콕사이드를 이용한 탄소나노섬유는 표면의 미세공의 발달로 인해 EDLC의 높은 비축전용량과 안정한 사이클 수명을 예상할 수 있다.
표 2
탄화온도 BET surface area (m2/g) Pore volume(cm3/g) Average pore size (Å)
다공성탄소나노섬유1800℃ 탄화 732.20 0.287 15.7
다공성탄소나노섬유2900℃ 탄화 950.78 0.376 16.2
다공성탄소나노섬유31000℃ 탄화 1300.25 0.782 18.0
비교탄소나노섬유 1000 ℃ 탄화 336.75 0.136 15.2
실험예 7
실시예2 내지 4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1 내지 3과, 실시예7 및 실시예8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 7 및 8의 BET 비표면적, 세공 부피, 평균 세공 크기를 측정하여 표3에 나타내었다.
표 3
T-polt surface area (m2/g) Total pore volume (cm3/g) Mesopore volume fraction(%) Micropore volume fraction(%) Average pore size (Å)
다공성탄소나노섬유1 986.3 0.374 20 80 15.73
다공성탄소나노섬유2 1045.6 0.404 22 78 16.25
다공성탄소나노섬유3 1200.2 0.536 28 72 18.08
다공성탄소 나노섬유7 1386.9 0.571 35 65 19.65
다공성탄소 나노섬유8 1483.3 0.604 40 60 20.18
표 3으로부터, 물리적 활성화 공정을 통해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7 및 8의 BET 비표면적, 세공 부피, 평균 세공 크기가, 탄화공정을 통해 제조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1 내지 3보다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활성화공정의 수증기가 TEOS의 가수분해와 축합반응을 촉진하여 졸-겔 반응을 가속화함으로써 비표면적과 중기공의 비율이 높아짐을 보여준다. 또한 TEOS의 중량비가 증가할수록 졸-겔 반응을 할 수 있는 전구체의 많은 양으로 인해 표면적이 발달함을 예측할 수 있다.
실험예 8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수퍼캐패시터용 전극1 내지 3 즉 다공성탄소나노섬유4 내지 6의 전해질 6M KOH 수용액에서의 순환 전압전류 CV (cyclic voltamogram)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그래프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이때 전극은 전압범위 0~1.0 V, 주사속도: 25 mV/s에서 측정하였다. 탄화 온도가 감소 (1000 → 800 ℃) 할수록 비표면적은 증가하였으나, 캐패시턴스는 감소하였다. 또한 순환전압전류 그래프는 전형적인 EDLC형인 직사각형이 아니라 1 V의 끝부분에서 의사-직사각형 (quasi-rectangular) 모양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탄화온도에 따른 탄소나노섬유의 비축전용량을 실시예7에서 제조된 수퍼캐패시터용 전극1 내지 3 즉 다공성탄소나노섬유4 내지 6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그래프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은 탄화온도에 따른 탄소나노섬유의 비축전용량이 도 12에 도시된 CV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낮은 탄화온도인 800 ℃에서 높은 비축전용량 161.39 F/g을 보여준다. 이는 낮은 온도 800 ℃에서 탄화된 탄소나노섬유가 실리콘 (Si), 산소(O), 질소(N)와 같은 이종(異)원자 (hetero atom)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이들 원자들에 의해 전기이중층 캐패시턴스뿐만 아니라 의사용량에 의한 높은 비축전 용량, 고에너지·고동력 밀도의 전극을 발현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예 9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1 내지 6을 X선 광전자 분광법 (XPS)에 의해 정량분석하고, 각 원소들의 정량분석 평균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CTKR2010003063-appb-T000001
표 4로부터 탄화온도가 증가할수록 탄소(C)원자의 비율은 증가하나, 실리콘 (Si), 산소(O), 질소(N)와 같은 이(異)종원자 (hetero atom)의 비율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0
실시예4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4를 X선 광전자 분광법 (XPS)에 의해 탄소(C), 산소(O), 질소(N) 원소들의 피크를 분리한 결과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는 4개, 산소는 3개, 질소는 2개의 결합에너지를 갖는 피크들로 각각 분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4 내지 6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1 내지 6을 X선 광전자 분광법 (XPS)에 의해 탄소(C), 산소(O), 질소(N) 원소들의 피크를 분리하고. 이들 피크들의 관능기 정량비 즉 C1s의 XPS , O1s의 XPS, N1s의 XPS를 표 5 내지 7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들은 탄화온도가 감소할수록 결정성 흑연구조는 감소하여 결정성이 감소한 반면, 나노탄소섬유 표면의 관능기는 모두 증가함을 보여준다.
표 5
Figure PCTKR2010003063-appb-T000002
표 6
Figure PCTKR2010003063-appb-T000003
표 7
Figure PCTKR2010003063-appb-T000004
실험예 11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수퍼커패시터용 전극4 내지 6을 이용하여 탄화온도에 따른 탄소나노섬유 커패시터의 출력과 동력 밀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내는 Ragon 그래프를 도 17에 도시하였다. 도 17로부터 KOH 6M 수용액 전해질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 22 Wh/kg, 동력밀도 100 kW/kg의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동시에 높은 동력밀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2
실시예 8 및 9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 7 및 8을 포함하는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수퍼커패시터 4 및 5를 이용하여 전압범위 0-2.7 V에서 상기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TEOS 중량비에 따른 비축전용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8에 도시하였다.
도 18로부터, 커패시터의 비축전 용량이 각각 103.95와 120.93 F/g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어, 초고용량 캐패시터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3
실시예 8 및 9에서 얻어진 다공성탄소나노섬유 7 및 8을 포함하는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수퍼커패시터 4 및 5를 이용하여 TEOS 중량비에 따른 활성 탄소나노섬유 커패시터의 출력과 동력 밀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나타내는 Ragon 그래프를 도 19에 도시하였다. 도 19로부터 tetraethylammonium tetraflouoroborate를 actonitrile에 녹인 1.5 M 유기용매 전해질 용액에서 각각 높은 에너지 밀도 90-35Wh/kg와 동력밀도 2-100 kW/kg를 보인다.
이상의 실험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탄화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경우 금속 알콕사이드가 탄소 결정에 도입되는 것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00 ~ 300 nm 범위의 직경을 갖고, 700 ~ 1500 m2/g 범위의 비표면적은 갖게 되며,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1 ~ 3 nm의 크기를 갖는 미세공을 갖게 되는 것을 보여주므로, 전해질과 전극표면 사이의 유전상수를 증가시키거나 패러데이 반응을 유도시켜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낮은 탄화온도에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는 낮은 전위의 변화에도 빠른 선택적 흡탈착을 보여 에너지 저장 특성도 매우 우수하여 탄화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고, 탄화온도에 따라 조절되는 높은 전도성, 높은 비표면적, 다양한 크기의 미세공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실험결과들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물리적 활성화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경우는 직경은 100 ~ 250 nm 범위이고, 비표면적은 1300 ~ 1700 m2/g을 갖게 되며, 2 nm 이상의 크기를 갖는 미세공과 중기공을 동시에 갖게되는 것을 보여주므로, 물리적 활성화 공정에서 수증기에 의해 졸-겔 반응을 가속화하여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비표면적과 미세공 및 중기공을 더욱더 많이 발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물리적 활성화에 사용되는 수증기가 금속알콕사이드의 가수분해와 축합반응을 더욱 촉진함으로써 금속산화물 생성시 부가적으로 빠져나오는 물과 알코올이 르샤틀리에 법칙으로 인해 졸-겔 반응속도를 가속화하여 표면에 더 많은 미세공 뿐 아니라 확장된 세공을 생성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탄화 또는 물리적 활성화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는 모두 전기화학적특성, 캐패시터의 용량(capacitance), 동력밀도 (power density) 및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가 우수하지만, 특히 물리적 활성화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가 탄화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보다 에너지 밀도가 큰 초고용량 캐패시터의 제조를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실험에 의해 입증된 본 발명의 다공성탄소나노섬유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슈퍼캐패시터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지만 연료전지, 흡착재료 등 여러 산업분야에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는 기공이 외부에 돌출 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원의 접근이 용이하여 필터소재로서도 그 응용성이 뛰어나고, 전기이중층을 이용한 슈퍼캐퍼시터 (supercapacitor)용, 2차 전지용 전극재료, 전자파 차폐재 및 고전도성 재료 등으로도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금속알콕사이드[M(OR)n]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 전구체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전구체방사섬유를 얻는 단계;
    상기 전구체방사섬유를 산화안정화하여 내염화섬유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내염화섬유를 탄화하여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2. 금속알콕사이드[M(OR)n]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 전구체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전구체방사섬유를 얻는 단계;
    상기 전구체방사섬유를 산화안정화하여 내염화섬유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내염화섬유를 물리적 활성화하여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용액은 상기 탄소나노섬유전구체와 금속알콕사이드를 70~99 : 30~1 중량%로 포함하도록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알콕사이드는 Si-알콕사이드, Ti-알콕사이드, Al-알콕사이드, Zn-알콕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안정화는 상기 전구체방사섬유를 열풍순환爐를 사용하여 압축공기를 분당 5~20 mL의 유속으로 공급하고, 분당 1 ℃의 승온 속도로 200~300 ℃에서 30분 이상 유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는 불활성 분위기 또는 진공상태에서 분당 5 ℃의 승온 속도로 700 ~ 1500 ℃까지 승온 한 후 30분 이상 유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활성화는 분당 5 ℃의 승온 속도로 700 ~ 850 ℃까지 승온 한 후 불활성 기체 150-250 mL/min와 수증기 5-15 vol% 분위기에서 30분 이상 유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알콕사이드의 농도, 상기 탄화온도, 상기 활성화 온도,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직경 및 표면의 다공성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는 직경이 100 ~ 300 nm이고, 비표면적은 700 ~ 1300 m2/g이며, 1 ~ 3 nm의 크기를 갖는 미세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는 직경이 100 ~ 250 nm이고, 비표면적은 1000 ~ 1700 m2/g이며, 2 nm 이상의 크기를 갖는 미세공 및 중기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탄소나노섬유.
  12. 제 10 항의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로 구성된 전극; 및
    수용성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용량 수퍼캐패시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탄화를 통해 생성된 관능기들이 의사캐패시터 전극의 비축전용량에 참여하여 의사캐퍼시터의 용량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수퍼캐패시터.
  14. 제 11 항의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로 구성된 전극; 및
    유기용매 전해질;을 포함하는 초고용량 수퍼캐패시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표면의 기공들은 활성화를 통해 솔-젤 반응이 촉진되어 에너지 밀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용량 수퍼캐패시터.
  16. 제 9항의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재.
  17. 제 9 항의 다공성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차폐재.
PCT/KR2010/003063 2010-02-11 2010-05-14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 WO201109967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78,268 US9546091B2 (en) 2010-02-11 2010-05-14 Method for preparing porous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a metal oxide, porous carbon nanofibers prepared using the method, and carbon nanofiber products including same
CN2010800636695A CN102762784A (zh) 2010-02-11 2010-05-14 含金属氧化物的多孔碳纳米纤维的制备方法、使用该方法制备的多孔碳纳米纤维及包含它的碳纳米纤维产品
EP10845848.0A EP2535445B1 (en) 2010-02-11 2010-05-14 Method for preparing porous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a metal alkoxide or a silicon alkox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830A KR100995154B1 (ko) 2010-02-11 2010-02-11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
KR10-2010-0012830 2010-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9677A1 true WO2011099677A1 (ko) 2011-08-18

Family

ID=4340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063 WO2011099677A1 (ko) 2010-02-11 2010-05-14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46091B2 (ko)
EP (1) EP2535445B1 (ko)
KR (1) KR100995154B1 (ko)
CN (1) CN102762784A (ko)
WO (1) WO2011099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1936B2 (ja) 2009-06-30 2016-01-1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多孔性コーティング層を備える電極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って形成された電極、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化学素子
US9102570B2 (en) 2011-04-22 2015-08-11 Cornell University Process of making metal and ceramic nanofibers
JP6266519B2 (ja) * 2011-08-30 2018-01-24 コーネル・ユニバーシティーCornell University 金属およびセラミックのナノファイバー
KR101348202B1 (ko) 2011-11-30 2014-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산화물-탄소입자-탄소나노섬유복합체, 상기 복합체 제조방법,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탄소섬유응용제품
KR101418864B1 (ko) * 2012-09-11 2014-07-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크 단백질을 이용하여 만든 탄소나노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US9816206B2 (en) 2012-09-17 2017-11-14 Cornell University Carbonaceous metal/ceramic nanofibers
KR101544538B1 (ko) * 2012-10-23 2015-08-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단일 배향성 고밀도 탄소나노섬유펠트, 상기 탄소나노섬유펠트 제조방법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펠트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펠트 응용제품
KR101510311B1 (ko) * 2013-05-14 2015-04-10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조사에 의한 금속 나노입자가 함유된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금속 나노입자가 함유된 탄소소재
CN103628182B (zh) * 2013-11-29 2015-12-09 东南大学 一种碳基纳米纤维的制备方法
CN105734831B (zh) * 2014-12-10 2019-01-2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纳米碳纤维毡及其制备和在全钒液流电池中的应用
EP3254321A4 (en) * 2015-02-04 2018-07-18 Axium IP, LLC Silicon-carbon nanostructured composites
US20170050888A1 (en) * 2015-08-19 2017-02-23 Cal Poly Pomona Foundation Inc. Production of Ceramic Metal Oxide Membranes by Means of Reactive Electrospinning
CN106763335A (zh) * 2016-12-28 2017-05-31 山东正凯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化的改性碳纤维基刹车盘的制备方法
US11915871B2 (en) * 2017-03-30 2024-02-27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Separator-free energy storage devices and methods
US10584072B2 (en) 2017-05-17 2020-03-10 Eden Innovation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nanocarbon particle admixtures and concrete
CN108396408A (zh) * 2018-01-30 2018-08-14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氮掺杂的芳纶基增强多级孔洞碳纤维的制备方法
US11180870B2 (en) * 2018-08-17 2021-11-23 Cence Inc. Carbon nano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20081167A2 (en) * 2018-09-06 2020-04-23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Porous carbon fiber electrodes, methods of making thereof, and uses thereof
SG10202007819XA (en) 2019-08-15 2021-03-30 Agency Science Tech & Res Free-standing porous carbon fibrous mats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210077391A (ko) 2019-12-17 2021-06-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 나노 다공성 탄소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이것을 포함하는 흡착제
KR102264667B1 (ko) * 2020-02-10 2021-06-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산화물/탄소나노섬유 복합체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탄소섬유응용제품
CN113652648B (zh) * 2021-08-16 2023-03-28 武汉纺织大学 一种金属材料在碳化过程中与碳纤维网凝华复合的方法
CN113930866A (zh) * 2021-10-13 2022-01-14 广州航海学院 一种胶囊结构的超级电容器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420464A (zh) * 2021-12-04 2022-04-29 山东阳谷华泰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酶扩孔碳纳米纤维电极材料的新方法
CN114232215B (zh) * 2021-12-20 2022-11-29 西安工程大学 一种具有三维空腔结构的沥青基碳纳米纤维多级无纺布的制备方法及应用
CN114575157B (zh) * 2022-02-23 2022-11-15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强吸水多孔导电碳纤维棒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974933A (zh) * 2022-06-10 2022-08-30 广东石油化工学院 一种超级电容器用剑麻纤维碳纸的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27A (ko) 2002-01-03 2002-01-29 양갑승 정전 방사에 의한 카본나노파이버의 제조와 이의전기이중층 캐퍼시터용 전극 제조
KR20030002759A (ko)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605006B1 (ko) * 2005-01-18 2006-07-28 (주) 아모센스 전기방사법으로 제조한 나노섬유의 탄소화에 의한 나노세공 분포를 갖는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100675923B1 (ko) * 2005-12-01 2007-01-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산화물 복합 나노 활성탄소섬유와 이를 이용한전기이중층 슈퍼캐퍼시터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1627B1 (ko) * 2005-12-22 2007-03-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속산화물 함유 나노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수득되는 나노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슈퍼 캐패시터용전극
US20080207798A1 (en) * 2007-02-27 2008-08-28 Ppg Industries Ohio, Inc. Organic-inorganic electrospun fibers
KR20090051793A (ko) * 2007-11-20 2009-05-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금속산화물이 함유된 복합나노섬유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2887A1 (en) * 2002-09-30 2004-04-23 Teijin Limited Process and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fiber and mats
JPWO2005028719A1 (ja) 2003-09-19 2006-11-30 帝人株式会社 繊維状活性炭およびこれよりなる不織布
EA200800196A1 (ru) * 2005-07-01 2008-06-30 Синвеншен Аг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рист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8313723B2 (en) * 2005-08-25 2012-11-20 Nanocarbons Llc Activated carbon fibers,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and devices comprising activated carbon fibers
EP1937753A1 (en) * 2005-10-18 2008-07-02 Cinvention Ag Thermoset particles and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PT2241598E (pt) * 2007-12-19 2012-10-16 Toray Industries Dispersão contendo polímero resistente ao fogo, fibra resistente ao fogo e fibra de carbono
CN101250770B (zh) * 2008-03-11 2010-07-21 东华大学 一种碳纳米管增强的聚丙烯腈基碳纤维的制备方法
KR20090121143A (ko)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에이엠오 전기 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고용량 커패시터용 전극 및그의 제조방법
US7910082B2 (en) * 2008-08-13 2011-03-22 Corning Incorporated Synthesis of ordered mesoporous carbon-silicon nanocomposit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759A (ko)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20008227A (ko) 2002-01-03 2002-01-29 양갑승 정전 방사에 의한 카본나노파이버의 제조와 이의전기이중층 캐퍼시터용 전극 제조
KR100605006B1 (ko) * 2005-01-18 2006-07-28 (주) 아모센스 전기방사법으로 제조한 나노섬유의 탄소화에 의한 나노세공 분포를 갖는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100675923B1 (ko) * 2005-12-01 2007-01-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산화물 복합 나노 활성탄소섬유와 이를 이용한전기이중층 슈퍼캐퍼시터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1627B1 (ko) * 2005-12-22 2007-03-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속산화물 함유 나노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수득되는 나노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슈퍼 캐패시터용전극
US20080207798A1 (en) * 2007-02-27 2008-08-28 Ppg Industries Ohio, Inc. Organic-inorganic electrospun fibers
KR20090051793A (ko) * 2007-11-20 2009-05-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금속산화물이 함유된 복합나노섬유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BON, vol. 43, 2005, pages 2960
ELECTROCHEM., vol. 69, 2001, pages 487
J. ELECTROCHEM. SOC., vol. 148, 2001, pages A930
MAT. RES. SOC. PROC., 1995, pages 397
See also references of EP2535445A4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17, 2004, pages 107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5445A1 (en) 2012-12-19
US9546091B2 (en) 2017-01-17
CN102762784A (zh) 2012-10-31
EP2535445B1 (en) 2017-07-12
KR100995154B1 (ko) 2010-11-18
US20130027844A1 (en) 2013-01-31
EP2535445A4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9677A1 (ko)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
WO2010053291A2 (ko) 스킨-코어구조를 갖는 탄소나노섬유,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제품
Hsu et al. Preparation of interconnected carbon nanofibers as electrodes for supercapacitors
KR100805104B1 (ko) 높은 비표면적과 전도성을 갖는 탄소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hen et al. Facile fabrication of foldable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nanofibers for flexible lithium-ion batteries
KR101045001B1 (ko) 녹말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가 강화된 다공성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전기화학용 전극소재 용도
Chang et al. Fabrication of ultra-thin carbon nanofibers by centrifuged-electrospinning for application in high-rate supercapacitors
KR101126784B1 (ko) 망간산화물/탄소나노섬유복합재 제조방법 및 그 탄소나노섬유복합재를 포함하는 고용량 하이브리드 슈퍼의사캐패시터용 전극
KR20130060969A (ko) 금속산화물-탄소입자-탄소나노섬유복합체, 상기 복합체 제조방법,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탄소섬유응용제품
TWI815791B (zh) 碳纖維聚合體及其製造方法以及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合劑層以及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以及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5064867A1 (en)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magnesium battery
WO2019194613A1 (ko) 양극 활물질, 상기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7086609A1 (ko) 내재적 미세기공성 고분자를 이용한 다공성 탄소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Kim et al. Enhanced electrical capacitance of heteroatom-decorated nanoporous carbon nanofiber composites containing graphene
WO2023043007A1 (ko) 표면활성화된 탄소섬유 전극, 이의 제조방법, 플렉시블 섬유형 슈퍼커패시터 및 플렉시블 섬유형 슈퍼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im et al. Effects of thermal treatment on the structural and capacitive properties of polyphenylsilane-derived porous carbon nanofibers
KR20090055299A (ko) 다공성 탄소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1903B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극,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Dubal et al.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 carbon nanofiber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 a review
KR101147923B1 (ko) 금속옥사이드가 함유된 다공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응용제품
Niu et al. Polyacrylonitrile-based nitrogen-doped carbon materials with different micro-morphology prepared by electrostatic field for supercapacitors
KR20030089657A (ko) 정전방사에 의한 폴리이미드 섬유 제조와 나노활성탄소섬유로부터 슈퍼캐패시터 전극재의 제조 방법
WO2022119059A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극,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KR100733580B1 (ko) 활성탄-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함유한 전극활물질 및 이의제조방법
Mustafa et al. Supercapacitor nanofiber electrodes graphene-bas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63669.5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58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57826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458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45848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