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898B1 - 자동이륜차의 캐리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이륜차의 캐리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898B1
KR970010898B1 KR1019930024322A KR930024322A KR970010898B1 KR 970010898 B1 KR970010898 B1 KR 970010898B1 KR 1019930024322 A KR1019930024322 A KR 1019930024322A KR 930024322 A KR930024322 A KR 930024322A KR 970010898 B1 KR970010898 B1 KR 97001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rrier
grip
motorcyc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281A (ko
Inventor
노부유키 콘도
Original Assignee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와모토 노부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와모토 노부히코 filed Critical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이륜차의 캐리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륜차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시이트 후방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시이트 후방의 평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캐리어의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캐리어 좌측부분의 평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커버의 측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커버 좌측부분의 평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8-8선 단면도,
제 9 도는 제 6 도의 9-9선 단면도,
제 10 도는 제 7 도의 10-10선 단면도,
제 11 도는 제 6 도의 11-11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시이트 22 : 캐리어
27 : 그립 31 : 커버
33 : 팽출커버부
본 발명은 자동이륜차의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이륜차 중에는 시이트의 후방에 캐리어를 배설하여 짐을 얹을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캐리어는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캐리어가 거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자동이륜차의 외관성이 악화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캐리어 상부를 합성수지로 만든 커버로 덮어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일이 진행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실안공보 소화63-4705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자동이륜차는 스탠드를 세울때 차체측을 잡기위한 그립이 배설되어 있으며, 이 그립 또한 시이트 후방에 배설되어 상기 캐리어와 같은 이유로 커버로 덮어서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일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이륜차의 구조는 시이트 후방에 2개의 커버가 존재하므로, 시이트 후방이 번잡해져서 외관성이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커버를 2개 배설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고, 제조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이트 후방에 캐리어를 배설하고, 상기 캐리어의 전반부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한 그립을 배설한 자동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2)의 상부를 합성수지제의 커버(31)로 덮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31)로 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팽출커버부(33)가 상방으로 개구하는 U자형 금속스테이로 헝성된 그립(27)의 상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U자형 금속스테이와 상기 팽출커버부(33)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리어의 상부를 합성수지로 만든 커버로 덮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를 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그립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하나의 커버로 캐리어와 그립 양쪽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자동이륜차(스쿠터)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면중(1)은 차체프레임, (2)는 전류, (3)은후륜, (4)는 핸들, (5)는 플로어, (6)은 시이트, (7)은 파워유닛, (8)은 스탠드이다.
상기 차체프레임(1)은 헤드튜브(10)로 부터 하부방향으로 신장되는 다운프레임(11)과, 상기 다운프레임(11) 하부에 전단부가 장착되고, 후방으로 신장되는 좌우의 로어프레임(12)(12)으로 구성되며, 로어프레임(12)의 후부는 상부방향으로 기립됨과 동시에 다시 후방으로 신장된 후부프레임(13)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이트(6)의 하부방향은 보디커버(15)로 덮고, 이 보디커버(15)내에는 헬멧 등을 수납하는 수납박스(16)를 설치한다. 또, 보디커버(15)의 후면에는 개구부(15a)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5a)에 테일램프유닛(17)을 장착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시이트 후방부분의 측면도, 제 3 도는 동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후부프레임(13)(13) 사이에는 브래킷(18)을 배설하고, 이 브래킷(18)에는 후방으로 신장하는 지지스테이(18a)를 배설한다.
상기 브래킷(l8)의 전반부에는 볼트(Bl)를 통해 지지플레이트(19)를 고정하고, 이 지지플레이트(l9)의 상부에 볼트(B2)를 통해 상기 수납박스(16) 후반부에 배설된 리브(16a)를 고정한다. 또, 도면중(20)은 브래킷(18)의 전반부 하부방향으로 볼트(B3)를 통해 고정되며 시이트(6)의 후반부를 고정하는 후크부재이다.
상기 브래킷(18)의 상부에는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캐리어(22)를 배설하고, 상기 캐리어(22)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폭이 넓은 평면으로 봐서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캐리어(22)는 전반부를 플레이트(23)로 연결한 메인프레임(24)과, 상기 메인프레임(24)의 좌우부(24a)(24a)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5)과, 이 연결프레임(25)보다 앞쪽에서 좌우부(24a)(24a)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26)와, 이 연결플레이트(26)보다도 앞쪽에서 좌우부(24a)(24a)를 연결하는 U자형 단면의 그립(27)과, 좌우부(24a)(24a)의 하부에 장착된 짐걸이용 프레임(28)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27)은 좌우부(24a)(24a)로 부터 상부방향으로 기립하는 기립부(27a)(27a)와, 중앙의 손잡이부(27b)에 의해 대략 도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23)에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구멍(23a)(23a)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그립(27)의 손잡이부(27b)에도 좌우의 장착구멍(27d)(27d)을, 또 연결플레이트(%)의 중앙에도 장착구멍(26a)을 각각형 성 한다. 그리고 메인플레 임(24)의 후반부(24c)에 고정 설치 된 플레 이 트(29)에도 장착구멍(29a)을 형 성한다.
상기 캐리어(22)의 상부에는 상기 캐리어(22)를 덮는 커버(31)가 배설되어 있다. 제 6 도는 제 1 도의 커버(31)의 측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커버(31) 좌측부분의 명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8-8선 단면도, 제 9 도는 제 6 도의 9-9선 단면도, 제 10 도는 제 7 도의 10-10선 단면도, 제 11 도는 제 6 도의 11-11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1)의 본체는 전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 커버(31)의 전반부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팽출커버부(33)를 형성하고, 이 팽출커버부(33)는 상기 그립(27)을 덮는다.
즉, 그립(27)의 그립부(27a)(27a)의 외측 및 손잡이부(27b)의 상부를 덮는다. 따라서, 상기 그립(27)의 단면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U자형의 금속스테이로 형성되어 상기 팽출커버부(33)는 상기 스테이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한다. 또, 이 팽출커버부(33)의 전반부, 후반부에는 각각 개구부(33a)(33b)를 형성하여, 운전자가 스탠드걸이 등으로 손잡이부(27b)를 잡을 때에는 개구부(33b)측에서 손가락을 넣음과 동시에 개구(33a)측으로부터 손가락을 빠져 나오게 함으로서 용이하게 손잡이부(27b)를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31)의 후반부 좌우에는 오목부(32)(32)를 형성하고, 대략 중앙에는 제 6 도,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돌출하는 오목부(35)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35)의 저부에는 보스부(36)를 형성한다. 또, 팽출커버부(33)에는 제 2 도, 제 6 도,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스부(37)(37)를 형성하고, 또 후반부로 부터 하부면의 중앙에는 제 2 도, 제 7 도,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38)를 형성한다.
또,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l)의 측부 내부면측에는 리브(39)를 형성하고, 리브(39)의 선단에는 결합부(40)를 형성하며, 이 결합부(40)를 캐리어(22)의 좌우부(24a)에 결합시킨다.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39)가 없는 부분에는 커버(31)와 좌우부(24a)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22) 및 커버(31)를 차체에 장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커버(3l)를 미리 캐리어(22)에 부착해 둔다. 이 부착은 커버(31)의 보스부(37)와, 캐리어(22)의 손잡이부(27b)에 형성한 장착구멍(27d)을 나사(B4)로 조임과 동시에 커버(31)의 보수부(38)와 캐리어(22)의 플레이트(29)에 형성한 장착구멍(29a)을 나사(B5)로 조임으로서 행해진다.
다음에, 일체로 된 캐리어(22)와 커버(31)를 차체측에 장착하나, 이 장착은 캐리어(22)의 플레이트(23)에 형성한 장착구멍(23a)을 볼트(B6)를 통해 브래킷(18)에 조임과 동시에, 지지스테이(18a)의 보스부(18c)에 형성한 장착구멍(18d)과, 캐리어(22)의 연결플레이트(26)에 형성한 장착구멍(26a)과, 커버(31)의 보스부(36)에 형성한 장착구멍(36a)을 볼트(B7)로 함께 조임으로서 행해진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31)로 캐리어(22)를 피복함과 동시에 커버(31)의 팽출커버부(33)로 그립(27)을 피복하도록 하였으므로, 하나의 커버(31)로 캐리어(22)와 그립(27) 양쪽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캐리어와 그립을 별도의 커버로 피복하는 데 비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의 상부를 합성수지제의 커버로 덮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를 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그립의 상부를 피복하도록 하였으므로, 하나의 커버로 캐리어와 그립 양쪽을 피복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이트 후방은 커버가 하나이므로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시이트 후방에 캐리어를 배설하고, 상기 캐리어의 전방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한 그립을 배설한 자동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2)의 상부를 합성수지제의 커버(3l)로 덮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3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팽출커버부(33)가 상방으로 개구하는 U자형 금속스테이로 형성된 그립(27)의 상부를 덮도록하여 상기 U자형 금속스테이와 상기 팽출커버부(33)가 폐단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캐리어장치.
KR1019930024322A 1992-11-17 1993-11-16 자동이륜차의 캐리어장치 KR970010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31045 1992-11-17
JP33104592A JP3311400B2 (ja) 1992-11-17 1992-11-17 自動二輪車のキャリ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281A KR940011281A (ko) 1994-06-20
KR970010898B1 true KR970010898B1 (ko) 1997-07-02

Family

ID=1823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322A KR970010898B1 (ko) 1992-11-17 1993-11-16 자동이륜차의 캐리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311400B2 (ko)
KR (1) KR970010898B1 (ko)
CN (1) CN1030827C (ko)
FR (1) FR2698065B1 (ko)
IT (1) IT12611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161A (ja) * 2000-12-22 2002-07-10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リヤキャリア
JP5271224B2 (ja) 2009-09-25 2013-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部構造
JP6426577B2 (ja) * 2015-09-30 2018-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及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2483A1 (de) * 1982-06-15 1983-12-15 Krauser Kraftfahrzeugzubehör Vertriebs-GmbH, 8905 Mering Zwischenteil
JP3007666B2 (ja) * 1990-09-17 2000-02-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キャリア
IT1254776B (it) * 1992-02-11 1995-10-11 Piaggio Veicoli Europ Portapacchi posteriore per scooter e metodo di bloccaggio di un elemento contenitore al medesim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27C (zh) 1996-01-31
JPH06156342A (ja) 1994-06-03
FR2698065B1 (fr) 1995-03-10
KR940011281A (ko) 1994-06-20
IT1261117B (it) 1996-05-09
FR2698065A1 (fr) 1994-05-20
JP3311400B2 (ja) 2002-08-05
ITTO930862A0 (it) 1993-11-16
ITTO930862A1 (it) 1995-05-16
CN1086774A (zh) 1994-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434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物品収納装置
EP2128007B1 (en) Motorcycle
KR970010898B1 (ko) 자동이륜차의 캐리어장치
US7243750B2 (en) Two-wheel vehicle with side covers
JP4248616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ロントカバー装置
KR100727723B1 (ko) 자동 2륜차의 그랩 레일
JP3814066B2 (ja) 自動2輪車のシートロック装置
JP3516403B2 (ja) 自動二輪車のランプ配置構造
JP3397973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構造
JP2754139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前部車体カバー
JP3838015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EP3628577B1 (en) Saddled vehicle
JP3367760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3743442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03095167A (ja) 車両の車体構造
JPH11115871A (ja) 電動自転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ロック構造
JP7018417B2 (ja) 鞍乗型車両
JP6982041B2 (ja) 鞍乗型車両
JPH0632269A (ja) 自動2・3輪車のサイドカバー取付構造
JP5041439B2 (ja) 自動二輪車
EP1470995B1 (en) Load-carrying frame structure for a vehicle
JP3403831B2 (ja) スクーター型車両の荷物収納装置
JPS6294493A (ja) 自動二輪車等の車両におけるフレ−ム構造
JPS6253394B2 (ko)
JP2005112315A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