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166B1 - 자기 기록ㆍ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ㆍ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166B1
KR970008166B1 KR1019930019636A KR930019636A KR970008166B1 KR 970008166 B1 KR970008166 B1 KR 970008166B1 KR 1019930019636 A KR1019930019636 A KR 1019930019636A KR 930019636 A KR930019636 A KR 930019636A KR 970008166 B1 KR970008166 B1 KR 97000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intermediate member
lower drum
magnetic tape
reproduc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779A (ko
Inventor
히사오 긴조
히로미찌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보조 다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보조 다꾸로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1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involving recording in different depths of the magnetic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47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 G11B5/008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using cyclically driven heads providing segmented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7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transducing different track configurations or formats on the same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11B5/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n rotating support
    • G11B5/531Disposition of more than one recording or reproducing head on support rotating cyclically around an axis
    • G11B5/534Disposition of more than one recording or reproducing head on support rotating cyclically around an axi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e.g. for helicoid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자기 기록·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하부 드럼 아래에 설치된 드럼 모터를 보여주는 주부분(main portion)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드럼 쌍(drum pair)의 평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구조 원리 및 작동 원리를 도시하는 드럼쌍의 측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5a도 및 제5h도는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드럼 쌍의 분해 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7a도 내지 제7i도는 경사 조정용 캠부재와 상부 드럼의 경사 상태와의 관계 도면.
제8a도 내지 제8c도는 경사 조정용 캠부재의 다른 구조의 도면.
제9a도 및 제9b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11a도 및 제11f도는 제4실시예에서 경사 조정용 캠부재와 상부 드럼의 경사 상태와의 관계 도면.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메인 부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13a도 내지 제13h도는 제12a도 및 제12b도에 도시한 드럼 쌍의 분해 사시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경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15a도 및 제15b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쌍의 단면도.
제16a도 및 제16b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변경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메인 부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17a도 내지 제17g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18도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상부 드럼 위에서 배치된 드럼 모터를 보여주는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다른 구조의 사시도.
제19a도 및 제19b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쌍의 단면도.
제20a도 내지 제20h도는 제19a도 및 제19b도에 도시한 드럼 쌍의 분해 사시도.
제21a도 및 제21b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22a도 및 제2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구조 원리 및 작동 원리를 도시하는 드럼 쌍의 측면도.
제23a도 및 제22b도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다른 단면도.
제25도는 제23a도 및 제23b도는 또는 제24a도 및 제24b도에 도시한 드럼 상의 분해 사시도.
제26도는 제25도에 도시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의 후면의 사시도.
제27a도 및 제27b도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23도 또는 제24도에 도시한 제10실시예의 측단면도.
제28a도 및 제28b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30도는 제28a도 및 제28b도에 또는 29도시한 드럼 쌍의 분해 사시도.
제31a도 및 제31b도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28도 또는 29도에 도시한 제11실시예의 측단면도.
제32도는 제28도 및 제28b도 또는 29도에 도시한 다른 드럼 쌍의 분해 사시도.
제33a도 및 제33b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34도는 제33도 및 제33b도에 도시한 다른 드럼 상의 분해 사시도.
제35a도 및 제35b도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33도에 도시한 제12실시예의 측단면도.
제36도는 제33a도 및 제33b도에 도시한 다른 드럼 쌍의 분해 사시도.
제37a도 및 제37b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38도는 제37a도 및 제37b도에 도시한 드럼 쌍의 분해 사시도.
제38a도 및 제39b도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37a도 및 제37b도에 도시한 제13실시예의 측단면도.
제40a도 및 제40b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41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다른 단면도.
제42a도 및 제42b도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40도 또는 41도에 도시한 제14실시예의 측단면도.
제43a도 및 제43b도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상부 드럼 위에 배치 드럼 모터를 보여주는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다른 구조의 사시도.
제44a도 내지 제44f도는 제43a도 및 제43b도에 도시한 구조의 부분 측단면도.
제45도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상부 드럼 위에 배치된 드럼 모터를 도시하며 주부분인 드럼 쌍의 또 다른 구조의 사시도.
제46a도 내지 제46f도는 제45도에 도시한 구조의 부분 측단면도.
제47a도 및 제47b도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인 드럼 쌍의 단면도.
제48a도 및 제48b도는 제47a도 및 제47b도에 도시한 구조의 측단면도.
제49a도 및 제49b도는 자기 테이프의 주행을 설명하기 위한 드럼 쌍의 측면도.
제50a도 및 제50b도는 자기 테이프의 주행을 설명하기 위한 드럼 쌍의 측면도.
제51도는 드럼 쌍의 부근의 일반적인 자기 테이프 이송 시스템의 도면.
제52a도 및 제52b도는 FM 재생 신호의 파형 도면.
제53도는 테이프 패턴의 도면
제54a도 및 제54b도는 다른 테이프 패턴의 도면.
제55a도 및 제55b도는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변경예의 주요부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u : 상부드럼 Dd : 하부드럼
SA : 중간 부재DB : 드럼 베이스
CA : 환형 캠부재1 : 회전 샤프트
5,6 : 베어링19 : 감속기어
20 : 출력축22 : 섹터형상 기어
28,29 : 엣지 부분30,31 : 피봇 포인트 부재
34 : 환형 부분35 : 연결 부분
35,37 : 캠 종동 부재38-41 : 스프링
48-49 : 구멍55-57 : 관통 부재
발명의 범위
본 발명은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럼의 외주면의 일부분과 미끄럼 접촉상태로서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의 주행속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 자기 헤드의 회전 궤적면과 자기 테이프와의 공간적 위치 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 회전 자기 헤드가 자기 테이프 상의 기록된 트랙을 확실하게 추적할 수 있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상부 드럼과 하부 드럼으로 구성되고 회전 자기 헤드(이하 '자기 헤드'라 함)를 구비한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서 그 외주면의 일부분과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소정 속도로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를 나선형으로 스캐닝함으로써 기록·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전형적인 실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함)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런 방식의 VTR에는, 기록 동작시의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서 자기 테이를 주행시키면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상 재생의 기능에 추가하여, 기록 동작시의 테이프 주행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기록시의 자기 테아프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정지'를 포함하여)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수행하는 소위 변속 재생(이하 '트릭 플레이(trick play)'라고 함)의 기능이 제공된다.
게다가, VTR은 시간 지연(간헐적) 기록 또는 프레임-바이-프레임(frame-by-frame) 기록 동작과 같이 간헐적으로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면서 장시간 동안 사건을 기록하고 이렇게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공업적 표준 테이프 속도로 재생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VTR의 드럼 부근에 있는 일반적인 자기 테이프 주행 시스템의 실예가 제5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1도에서, 공급 리일(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공급된 자기 테이프(T)는 공지된 테이프 이송 시스템을 따라 이송되는 한편, 상부 드럼(Du) 및 하부 드럼(Dd)으로 구성된 경사진 드럼(DA)에 소정 각도에 걸쳐 감기고, 공급측 기아드 롤러(SGR), 공급측 경사 포올(26), 테이크업 측 경사 포올(27) 및 테이크업측 가이드 롤러(TGR)를 거쳐서 드럼(DA)에 관하여 경사지도록 만들어져 있다. 테이크업측 가이드 롤러(TGR)를 통과한 후, 자기 테이프는 공지된 테이프 운반 시스템을 통해 이송되어서 테이크업 리일(도시되지 않음)에 감기게 된다.
이러한 이송중에, 제5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된 트랙 패턴(이하 '테이프 패턴' 또는 '트랙 패턴'이라함)은 드럼(DA)에 장착된 회전 자기 헤드(Ha, Hb)에 의해 자기 테이프(T)상에 형성된다.
제53도에서, 자기 테이프(T)의 하부 엣지에 '출발 ' 지점을 점(+1)과 연결시키는 직선과 이 직선에 팽행한 다수의 직선은 각각의 트랙의 중심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랙 패턴을 갖는 자기 테이프(T)가 기록 속도와 동일한 속도에서 기록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재생될때, 회전 자기 헤드(Ha, Hb)는 각각의 트랙을 추적하며 정상 재생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재생 동작중에 자기 테이프 주행 방향 및 속도, 혹은 그중 하나가 기록 동작시의 방향 및 속도와 다를때, 자기 헤드에 대한 자기 테이프(T)의 상대 선형 속도가 변하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T)의 자기 헤드(Ha, Hb)의 궤적의 제53도에서 FF, STILL 또는 FB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제53도에서, 출발점을 각각의 +2, +3…+7과 연결하는 직선은, 자기 테이프가 전진 방향 즉, 기록 자기 테이프 속도 보다 각각 2배, 3배,…3배 빠른 속도(이하 'FF 재생'이라 함)로서 기록 동작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할때의 자기 테이프(T)에서의 자기 헤드(Ha, Hb)의 궤적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출발점으로 각각의 점 -2, -3,…-7과 연결하는 직선은, 자기 테이프가 기록 동작과 역방향으로(-기호로 도시) 기록 자기 테이프 속도보다 각각 배, 3배…7배 빠른 속도(이하 'FB 재생'이라 함)로서 주행할때의 자기 테이프(T)에서의 자기 헤드(Ha, Hb)의 궤적이다.
첨언하면, 출발점을 자기 테이프(T)의 상부 엣지에 있는 점 0과 연결하는 직선은 자기 테이프(T)가 정지해 있는 동안 재생 동작이 수행될 때(이하 '스틸(still) 재생' 이라 함)의 자기 테이프(T)에서 자기 헤드(Ha, Hb)의 궤적이다.
VTR 시스템의 전형적인 실예인 VHS(등록 상표) 시스템의 VTR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자기 테이프(T)는 62mm의 직경을 갖는 회전 드럼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약 180도의 각 범위에서 1800rpm으로 회전하며 주행한다. 표준 모드의 기록시에(이하 'SP 모드'라고 함), 자기테이프는 33.35mm/초의 속도로서 운반되고, 자기 테이프(T)에서 58㎛의 트랙을 갖는 회전 자기 헤드의 궤적은 제5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에 관하여 5°58' 9.9"의 비디오 트랙각을 형성한다. SP 모드에 덧붙여서, VHS 시스템은 VTR은 자기 테이프(T)가 11.22mm/초의 속도로서 이송되어 19㎛의 트랙 폭을 갖는 회전 자기 헤드에 의해 기록되는 트리플렉스(triplex) 모드(이하 "EP 모드"라고 함)를 갖는다. 자기 테이프 주행 속도 및 트랙폭이 SP 모드에서의 것보다 1/3이 되는 EP 모드에서, 기록 시간은 SP 모드에서 보다 3배가 빠르다. 그러나, 자기 헤드에 기록된 트랙폭이 더 좋기 때문에 트릭 플레이로 회전 자기 헤드(Ha, Hb)로서 각각의 트랙을 정확하게 추적하는 것은 SP 모드의 경우에서 보다 더욱 어렵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자기 테이프(T)가 정주되어 있는 경우에, 자기 테이프(T)상의 회전 자기 헤드의 궤적은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에 관한여 5°56', 7.4"의 각을 이룬다. 또한 이 경우에, 제53도에 도시한 SP 모드에서 출발점을 자기 테이프(T)의 상부 엣지에 있는 점 +7과 연결하는 직선은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에 관하여 6°10' 54"의 각을 이루고, SP 모드에서 출발점을 점 -7과 연결하는 직선은 기준 엣지 Te에 관하여 5°42' 25.7"의 각을 이룬다.
제53도에 도시한 트랙 패턴에서 명백히 나타나듯이, SP 모드에서 자기 테이프(T)상에 기록된 트랙 패턴은 트릭 플레이에서 자기 테이프(T)에서 회전 자기 헤드(Ha, Hb)의 궤적과 교차한다. 그러므로, 트릭 플레이로 재생된 FM 신호의 신호 레벨은 회전 자기 헤드가 기록된 트랙과 교차할 때마다 크게 변하고, 그 결과 커다란 편차를 포함하여 제5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직 스캔 주기에서 FM 신호의 엔빈로우프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사실때문에, 트랙 플레이에서 재생된 화상은 노이즈가 있고, 질이 낮아지게 된다.
최근에, 고화질 TV(이하 'HDTV'라고 함)의 화상 정보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신형 VTR가 제안되어 있는데, 여기서 자기 테이프(T)는 제54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폭 19㎛의 3 트랙이 동시에 평행하게 기록된다. 이러한 VTR에서, 3 트랙중 인접한 2트랙은 방위각(azimuth anglle)이 서로 반대인 2개의 회전 자기 헤드에 의하여 비디오 화상 신호를 기록·재생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트랙은 다른 회전 자기 헤드로 음성 신호를 기록·재생하는데 사용된다.
신형 VTR가 기록한 자기 테이프(T)는 기록 속도 보다 고속도로 테이프를 공급 또는 되감기하면서 재생되는 경우에, 자기 테이프(T)상의 회전 자기 헤드의 궤적은 제54a도에 있는 "출발점"을 +7 또는 -7로 표시된 테이프 상부 엣지상의 점과 연결시키는 직선이 되며, 따라서 회전 자기 헤드는 자기 테이프(T)상에 기록된 3 트랙을 교차하면서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재생된 화상을 많은 노이즈 바아(noise bar)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 제안된 가정용 디지탈 VTR이 많이 있는데, 여기서 화상 신호는 고효율 부호화 시스템(High Efficiency Coding System)을 이용하여 데이터량을 압축시킴으로써 기록된다. 이러한 디지탈 VTR에서, 회전 자기 헤드가 자기 테이프의 기록된 트랙을 교차하는 FF 재생 또는 FB 재생과 같은 재생을 수행할때, 모자이크로서 배열된 데이타 블록의 방향에 따른 화상 재생이 거의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회전 자기 헤드의 궤적을 자기 테이프(T)의 기록된 궤적과 일치시키면 충분하다. 이것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아래의 방법이 제안되었다.
(1) 작동기로써의 전자 기계 변환기에 회전 자기 헤드를 장착하고, 자기 헤드가 기록된 궤적을 부적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 루프 제어 회로에 의하여 전자기 변환기를 제어함으로써 테이프의 기록된 트랙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자기 헤드를 변위시킨다.
(2) 예를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보 소 63-34126호 또는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 61-15863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전 자기 헤드가 자기 테이프(T)의 기록된 트랙을 따르도록, 자기 헤드가 장착된 회전 드럼을 하부 드럼과 함깨 경사지게 기울인다.
(3) 예를들어, 일본 특허 공보 소61-2237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드럼의 입구측과 출구측에서 폭방향으로 테이프 높이를 제한하는 자기 테이프 가이드를 설치하여 회전 자기 헤드가 자기 테이프의 기록된 트랙을 따라가도록 높이는 변화시킨다.
그러나, 상기 방법(1)을 이용하는 VTR에서, 전자 기계 변환기는 회전 드럼내의 작은 공간 안에 설치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전자 기계 변화기의 치수도 작아야 하고, 형상도 컴팩트해야 한다. 그렇게 작은 전자 기계 변환기로서 회전 자기 드럼을 충분히 변위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게다가, 회전 헤드가 전자 기계 변환기에 의해 충분히 변위될 수 있을지라도 자기 테이프에 관하여 회전 자기 헤드의 헤드 접촉 상태를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허용 가능한 동작 특성을 갖는 작은 작동기를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허용 가능한 헤드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아울러, 그러한 작동기에서는 제한된 주파수 진폭 응답때문에, 노이즈 없는 탐색 능력이 실제로 SP 모드에서 ±3배속까지 제한되고, 따라서 ±5배속 또는 ±7배속의 노이즈 없는 탐색이 실현될 수가 없다.
특히 일본 실용신안 공보 소 63-34126호에 공지된 상기 방법(2)을 이용하는 VTR에서,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를 안내하는 원호형 테이프 리드는 실제로 기준 엣지(Te)와 점 접촉을 한다. 그러므로, 테이프 리드(tape lead)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엣지(Te)의 부분은 반드시 매우 불안정하게 된다.
자기 테이프(T)가 비교적 낮은 기록 밀도로 기록될때 즉, 기록된 트랙의 폭이 비교적 큰 경우, 정상 재생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FF 또는 FB 재생에서 노이즈 바아를 충분히 제거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는, 자기 테이프(T)가 VHS 시스템의 VTR의 EP 모드 동작과 같은 비교적 고밀도로 기록될때, 즉, 기록되는 트랙폭이 비교적 작은 경우 더욱 심각하게 된다.
일본 공개 실용신안 소 61-158633호에 기재된 상기 방법(2)를 사용하는 VTR에서, 소정 거리에 걸쳐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하부 드럼에서 별개로 배열된 VTR의 고정부에 설치되어, 일본 실용신안 공보 소 63-314126호에 공지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기준 엣지(Te)의 위치 이탈을 적어도 정상 재생 작동중에는 제거할 수가 있다. 그러나, FF 재생 동작이나 또는 FB 재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기 헤드가 장착된 회전 드럼을 하부 드럼과 함께 경사지게 하면, 상부 및 하부 드럼의 표면과 미끄럼 접촉 상태로서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T)도 경사지게 되고, 그 결과 기준 엣지(Te)가 안내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재생 화상에서 노이즈 바아가 생기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방법이 VHS 시스템의 VTR에 적용될때, FF 또는 FB 재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회전 드럼 및 하부 드럼을 함께 경사지게 할지라도 자기 테이프(T)의 트랙폭이 SP 모드에서와 같이 58㎛이기 때문에 SP 모드에서는 재생 화상에서 노이즈 바아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즉, 그러한 트팩폭에서 안내 부재로부터 기준 엣지(Te)의 일부가 이탈하는 효과는 매우 작다. 그러나, EP 모드의 동작에서는, 기록된 트팩폭이 SP 모드의 것보다 1/3에 해당하는 19㎛이다.
그러므로 트랙에서 그 정도의 이탈에 대한 효과는 더 커져서 노이즈 바아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제5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각각 19㎛인 3개의 평행한 기록 트랙을 포함하는 기록 트랙 패턴이 자기 테이프(T)에 형성되는 상술한 HDTV에서도 발생한다.
발명의 요약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자기 테이프가 기록 속도와는 다른 속도에서 재생될때 또는 자기 테이프가 기록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면서 재생될때 노이즈 바아가 생기지 않는 개량된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별한 목적은, 하부 드럼의 리드각이 자기 테이프의 기준 엣지(Te)에 관하여 5°58'9." 로 만들어져 있는 그러한 드럼으로 기록되며, 따라서, 텔레비젼 신호의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에서 프레임-바이-프레임 화소의 기록이 수행되고, 프레임-바이-프레임 기록 패턴이 VHS 공업 표준을 만족시키며, 그러한 기록이 정상 속도 재생에서 계속적으로 후진 동작될때 컴퓨터 그래픽 화소와 같은 이동 화소가 얻어지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특별한 목적은, 자기 테이프의 기준 엣지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부와 경사진 상태에서 드럼 쌍의 주위면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와 미끄럼 접촉하게 된 미끄럼 접촉면을 가짐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상의 경사진 트랙에서 신호를 기록하는 상부 및 하부 드럼으로 구성된 드럼 쌍을 포함하며, 또, 상기 드럼 쌍의 주위면에 설치된 회전 자기 헤드로서 상기 신호를 재생하고, 자기 기록·재생 장치는 자기 헤드의 궤적면이나 또는 그 부근에서 한 부드럼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일직선에 설치된 피봇 포인트와, 회전 자기 헤드의 궤적면을 소정 각도로서 일직선 라인을 중심으로 경사시키는 궤적면 경사 장치를 구비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 양호한 실시예를 읽으면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우선, 제1도 및 제18도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제1형태의 주부분과 제2형태의 주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1도는, 드럼 모터(Md)가 하부 드럼(Dd) 아래에 설치되는 제1형태에 속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의 사시도이다.
제18도는 드럼 모터(Md)가 상부 드럼(Dd) 위에 설치되는 제2형태에 속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주부분의 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18도에서, 드럼 쌍(DA)은 드럼 베이스(DB)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하부 드럼(Dd)과 상부 드럼(Du)으로 구성된다. 상부 드럼(Du)은 회전 드럼이거나 혹은 정주 드럼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자기 헤드를 장착하는 중간 회전 드럼 혹은 헤드 바(head bar)와 같은 어떤 공지의 부재가 상부 드럼(Du)과 하부 드럼(Dd)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후 자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드럼(Du)은 위에 자기 헤드(Ha)가 장착되는 회전 드럼이다.
제1도 및 제18도에 있어서, 자기 헤드(Ha)는 표준(테이프 속도) 플에이(SP) 모드용의 자기 헤드(이하 "SP 헤드"라 칭함)와 SP 헤드에 인접 배치된 확장 플레이(extended plan : EP) 모드용 자기 헤드(이하, "EP 헤드"라 칭함)를 포함한다. 상부 회전 드럼(Du) 위에는 자기 헤드(Ha)와 180°각도로 대칭으로 회전 자기 헤드(Hb)(제4도 참조)가 장착된다. 상부 드럼(Du)상에는 일반적으로 자기 헤드(Ha, Hb)와는 다른 자기 헤드가 장착된다.
전술된 바와같이,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고정부의 일부분으로서 기능하는 드럼 베이스(DB)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하부 드럼(Dd)은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의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가이드 부분(G)을 갖는다(제53도 참조).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재생 모드에 관계없이 드럼 쌍의 외주면의 일부분상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T)는 기준 엣지(Te)가 가이드 부분(G)을 따라 안내되면서 드럼 쌍(DA)의 외주면상에서 신뢰성 있게 정지 혹은 이송된다.
제2도는 일부분 상에 자기 테이프가 감기는 외주면을 가지는 드럼 쌍(DA)의 평면도이다. 제2도에서, 도면 부호(26) 및 (27)은 자기 테이프(T)를 드럼 쌍(DA)의 외주면에 로딩(loading)하는 기구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경사 포올(slanted pole)이다. 자기 테이프는 드럼의 중심각 180°보다 약간 더 큰 각도에 상당하는 드럼 쌍(DA)의 표면 영역 위에 비스듬하게, 혹은 부분적 나선형으로 감긴다.
그 도면에서, 0은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을 도시하며, 그 영역에 감긴 자기 테이프(T)의 중심은 90°로 도시된 위치에 상응한다. 직선(L1)이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을 드럼 쌍(DA)상에 감긴 자기 테이프 부분의 중심 위치에 연결하며, 직선(L2)은 직선(L1)에 수직으로 중심축(0)을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의 고정 부분의 일부분으로서 작용하는 드럼 베이스(Dd)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의 위치는 항상 제3도에서 직선 0-0로 도시된 일정 위치에 유지된다.
제1도에서, 자기 헤드(Ha, Hb)가 장착되는 상부 드럼(Du)은 드럼 모터(Md)의 회전 샤프트(1)상에 장착된 베어링(5,6)을 통해서 중간 부재(SA)(제4도 및 5도 참조)상에 장착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SA)는, 드럼 베이스(DB)와 하부 드럼(Dd) 사이에, 그리고, 실질적으로 하부 드럼(Dd)의 내측 공간(29a)내에 현가된(spspended) 상태로 설치되고 베어링(5,6)을 통해서 회전 샤프트(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중간 부재(SA)는 경사를 조정하는 환형 캠(CA)(이하, "환형 캠 부재"라 칭함)에 의해 발휘된 가압력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다(제4도 및 제5도 참조). 중간 부재(SA)가 경사지면, 상부 드럼(Du)의 중심축이,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점이 0c인 쇄선(FB 재생) 및 점선(FF 재생)으로 규정된 범위내에서 변화된다.
제18도에서, 위에 자기 헤드(Ha, Hb)가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상부 드럼(Du)이 드럼 모터(Md)의 회전자(92)(제19도)를 장착하고, 베어링(93,94)을 통해서 고정 샤프트(99)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중간 부재(SA)(제19도, 제20도)상에 장착된다. 제1도에서처럼, 중간 부재(SA)는 드럼 베이스(DB)와 하부 드럼(Dd) 사이에서, 그리고, 실질적으로 하부 드럼(Dd)의 내부 공간(29a)내에서 현가된 상태로 설치되어 베어링(5,6)을 통해서 회전 샤프트(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중간 부재(SA)는 환형 캠 부재(CA)(제19도 및 20도)에 의해 발휘된 가압력에 의하여 경사질 수 있다.
중간 부재(SA)는 자기 헤드(Ha, Hb)의 순환 궤적 근처에서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하부 드럼(Dd)의 내측 공간내에서 끼워 맞춰져, 하부 드럼의 중심축에 수직이고 직선(L1)에 평행한, 끼워 맞춤 부분 근처에 평면내에 포함되는 직선상에 구비된 2개의 피봇 포인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므로, 회전 샤프트가 회전 중심으로서 직선(L3)을 중심으로 중간 부재(SA)를 경사시킴에 의해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직선(L4)(직선(L2)에 평행함)을 포함하는 평면내에서 경사지는 경우, 상부 드럼(Du)상에 장착된 회전 자기 헤드(Ha, Hb)의 궤적면의 경사가 변화되므로, 자기 헤드(Ha, Hb)는 자기 테이프(T)상의 기록 트랙을 정확히 따라갈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제4a도는 제2되의 90°위치 및 270°위치를 통과하는 연직선을 따라 취해진, 제1도를 참고로 설명된 제1형태의 드럼 쌍의 단면도이고, 유사하게, 제4b도는 제2도의 0°위치 및 180°위치를 통과하는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분해된 드럼 쌍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5a도, 제5c도, 제5e도 및 제5g도는 각기 하부 드럼(Dd), 중간 부재(SA), 환형 캠 부재(CA) 및, 드럼 베이스(DB)를 각기 도시한다. 제5b도 및 제5d도는 각기 하부 드럼(Dd) 및 중간 부재(SA)의 배면도이고, 제5f도는 제5e도에 도시된 환형 캠 부재(CA)의 측면도이며, 제5(h)도는 피봇 포인트 부재(30,31)의 확대 사시도이다.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분(G)이 외주면상에 형성된 하부 드럼(Dd)은 복수의 나사(32)에 의해 드럼 베이스(DB)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공간의 내주면에 대하여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하부 드럼(Dd)의 내측 공간내에 설치된 중간 부재(SA)는 하부 드럼(Dd)의 외주면의 상부 엣지로부터 돌출된 엣지 부분(28)을 가진다. 즉,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28)의 직경은 하부 드럼(Dd)의 내측 공간(29a)의 내경보다 약간 더 작다.
엣지 부분을 제4b도의 점(0c)에 중심이 맞춰진 곡률로 라운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을 그렇게 라운딩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충분한 두께를 제공하면서 틈새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즉, 중간 부재(SA)가 점(0c)(직선 L3)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엣지 부분(28)의 상단부는 하부 드럼(Dd)의 내측 표면을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고, 중간 부재(SA)의 회전 중심은 점(0c)에 정확히 유지된다.
또한, 회전 자기 헤드(Ha, Hb) 궤적 근처에서 직선(L3)상의 2 지점에 구비된 피봇 포인트 부재(30, 31)때문에, 중간 부재(SA)는 하부 드럼(Dd)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직선(L3)상의 위치에서 중간 부재(SA)의 상단부(28a)에 삽입된 핀 형태의 피봇 포인트 부재들(30, 31)은 각기 하부 드럼(Dd)의 엣지 부분(29)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29b)에 수납되어 2개의 피봇 포인트를 형성한다. 각각의 피봇핀 부재(30, 31)는 하부 드럼(Dd)의 관통 구멍(29b)에 끼워질 소직경부(30a)와, 하부 드럼(Dd)와 중간 부재(SA) 사이에 예정된 공간을 유지하는 큰 직경의 스페이서 부분(30)과, 중간 부재(SA)에 삽입될 소지경부를 포함한다.
피봇 핀 부재(30,31)에 의해 형성된 2개의 피봇 포인트를 포함하는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 사이의 평면과,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28)과 하부 드럼(Dd)의 내측벽 사이의 접촉점을 포함하는 평면은 상호 매우 근접하다. 아울러,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간의 평면은 회전 헤드(Ha; Hb)의 중심을 포함한 평면에 근사하다.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의 경우, 회전 자기 헤드(Ha, Hb)의 궤적은, 심지어 2개의 피봇 포인트를 연결하는 직선(L3)을 중심으로 중간부재(SA)를 경사시킴에 의해 회전 샤프트(1)가 직선(L4) 및 하부 드럼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회전 자기 헤드(Ha, Hb)의 궤적이 변화되는 경우라도, 하부 드럼(Db)의 외주면을 포함하는 평면상의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기 테이프(T)와, 헤드(Ha, Hb)의 공극 부분들간의 접촉 조건이 저하되지 않으며, 항상 수용 가능한 재생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제, 중간 부재(SA) 경사 기구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제5e도는 드럼 베이스(DB)와 중간 부재(SA)사이에 설치된 환형 캠 부재(CA)의 일례를 보여준다.
드럼 베이스(DB)에는 환형 캠 부재(CA)의 환형 부분(34)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여 그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캠 부재(CA)의 환형 부분(34)에는 예정 형상을 지니는 캠 외면(34a ; camprofile)이 형성된다.
환형 부분(34)에는 또한 연결 부분(35)를 통해서 섹터 형상 기어가 구비되어 있다. 중간 부재(SA)와 캠 부재(B)는 스프링(38-41)에 의해 드럼 베이스(DB)에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스프링(40,41)은,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DB)에 형성된 구멍(48,49)과, 드럼 모터 장착 판(7)에 형성된 구멍(50,51)에 형성된 구멍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각기 설치된다.
모터(Mg)의 회전력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 기어(19), 출력 샤프트(20) 및 피니언(21)을 통해서 환형 캠 부재(CA)의 섹터 형상 기어(22)에 전달된다. 환형 캠 부재(CA)는 드럼 베이스(DB)의 가이드 홈(33)에 의해 안내되는 환형 부분(34)을 갖는 모터(Mg)의 정역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중간 부재(SA)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36, 37)는 각기 환형 부분(34)상에 형성된 캠 외면(34a, 34b)과 맞물려 환형 캠 부재(CA)를 피봇 포인트 부재(30,31)에 의해 형성된 2개의 피봇 포인트를 연결하는 직선(L3)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상부 드럼(Du)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드럼 모터(Md)의 회전 샤프트가 경사져서 자기 헤드(Ha, Hb)의 중심 평면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상부 드럼(Du)을 구동하는 드럼 모터(Md)의 출력 샤프트(1)는 중간 부재(SA)상에 설치된 베어링(5,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4도에 도시된 드럼 모터(Md)는 이른바 "외측 회전자(outer rotor)"형으로서, 나사(9,10)에 의해 샤프트 고정 부재(11)가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지지판(8)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환형 영구 자석(14)을 포함한다.
샤프트(1)는 샤프트 고정 부재(11)의 중심 구멍에 수납되어 멈춤 나사에 의해 그곳에 고정된다. 드럼 모터 장착판(7)과 중간 부재(SA)에서 나사(12,13)에 의해 코일(15,18)을 갖는 고정자(105)가 고정된다. 드럼 모터 장착판(7)은 또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42,43)에 의해 중간 부재(SA)에 고정된다.
한편, 중간 부재(SA)상에 구비된 베어링(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샤프트(1)는, 나사(3,4)에 의해 상부 드럼(Du)이 고정되는 상부 드럼 고정 부재(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부 드럼(Du)은 드럼 모터(Md)의 회전 샤프트(1)에 의해 회전된다. 상부 드럼(Du)측상의 회전 트랜스포머(23)와 중간 부재(SA)측상의 회전 트랜스포머(24) 사이의 간극은, 중간 부재(SA)의 회전에 의해 회전 샤프트(1)가 경사지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되며, 전달될 신호의 레벨 변동은 없다.
모터(Mg)는 중간 부재(SA)의 회전량, 즉, 회전 샤프트(1)의 경사량을 변경시키는 구동기구로 이용된다. 그 회전력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제어 회로의 제어하에, 감속 기어(19), 출력 샤프트(20), 피니언(21) 및 섹터 형상 기어(22)를 통해서 환형 캠 부재(CA)로 전달된다. 환형 캠 부재(CA)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광차단기와 같은 위치 검출 장치(25)가 드럼 베이스(DB)상에 장착된다(제1도). 위치 검출 장치(25)는 환형 캠 부재(CA)의 원형 기어(22)상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구멍(제5도)과 관련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위치 검출 장치(25)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는 전술된 구동 제어 회로로 전달된다. 위치 검출 장치(25)는 스프링에 의해 환형 캠 부재(CA)와 가압 접촉하는 볼을 가지며, 환형 캠 부재(CA)의 섹터 형상 기어(22)에 스프링 및 관통 구멍(55,57)[제5e도]이 형성되어 있다. 그 볼과 관통 구멍(55-57)이 스토퍼 기구를 형성한다. 즉, 환형 캠 부재(CA)의 회전 위치, 즉, 회전 샤프트(1)의 경사는 섹터 형상 기어(22)상의 특정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관통 구멍(55-57)중 선택된 하나와 볼과의 결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7a도 내지 제7i도는, 환형 캠 부재(CA)가 회전되는 경우, 환형 캠 부재(CA)의 환형 부분(34)의 외주 방향으로 형성된 캠 외면(34a, 34b)과 그 캠 부재와 접촉하는 중간부재(SA)의 캠 종동 부재(36,37) 사이의 관계 및, 회전 자기 헤드(Ha, Hb)의 회전 궤적 평면의 위치 변동을 보여준다. 제7a도, 제7b도, 제7g도는 선A-A(제2도의 0°및 180°위치)를 따라 취한, 제4b도에 도시된 종단면도와 유산한 단면도이다.
제7a도, 제7d도 및 제7g도는(제3도의 직선 Y-Y 방향과 유사한) 하부 드럼(Dd)의 중심축 방향을 표시한다.
제7a도는 정규 재생중의 드럼 쌍(DA)의 단면도로서, 회전 샤프트(1)는 하부 드럼(Dd)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제7b도는 같은 정규 재생중의 환형 캠 부재(CA)의 회전 조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직선(L1,L2)은 각기 제2도에 도시된 직선(L1,L2)와 상응한다. 제7c도는 정규 재생중의 환형 캠 부재(CA)의 측면도이다.
제7d도는, 회전 샤프트(1)가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FF 재생중의 드럼 쌍(DA)의 단면도이다. 제7e도는 환형 캠 부재(CA)의 회전 조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제7f도는 환형 캠 부재(CA)의 측면도로서, 이들 두 도면은 FF 재생 동작중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7g도는 회전축(1)이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에 대해 왼쪽으로 기울어진 FB 재생 동작중에서 드럼 쌍(DA)의 단면도이다. 제7h도는 환형 캠 부재(CA)의 회전 조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제7i도는 환형 캠 부재(CA)의 측면도로서, 둘다 FB 재생 동작중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재생모드의 설정은, 도시하지 않은 장치의 작동 부위로 동작 모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수행된다. 재생 모드가 정상 재생 모드, FF 재생 모드 또는 FB 재생 모드로 변화될때, 환형 캠 부재(CA)는 드럼 베이스(DB)상에 선택된 소정 위치까지 회전되어 그 위치에 고정되게 할 필요가 있다.
이하 여러 재생 모드들이 선택될때의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정상 재생 모드로 지정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가 장치를 제어하여, 모터(Mg)의 구동력이 감속 기어(19)와 출력축(20) 및 피니언(21)(제1도 참조)을 거쳐 환형 캠 부재(CA)상에 갖춰진 섹터 형상 기어(22)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환형 캠 부재(CA)가 회전함에 따라, 캠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캠 외면(34a, 34b)의 중간 부재(SA)에 형성된 캠 종동 부재(36,37)와 맞물려 이를, 회전 중심선과 같은 직선(L3)을 줌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베이링(5,6)을 매개로 중간 부재(SA)에 의해 지지된 회전축(1)이 하부 드럼(Dd)(제7a도 참조)의 중심축과 일차하면, 정상 재생 모드를 위해 환형 캠 부재(CA)의 섹터 형상 기어(22)에 갖춰진 관통 구멍(53)이,위치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검출기(25)에 도달한다. 위치 검출 신호가 발생하면, 구동 제어 회로는 모터(Mg)를 정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위치 검출기(25)에 구비된 스토퍼 기구의 스프링에 의해 봄이 환형 캠 부재(CA)에 갖춰진 스토퍼 관통 구멍(56)으로 압입되어, 정상 재생 동작에 대응해서 환형 캠 부재(CA)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 고정한다.
만일 FF 재생 모드로 지정되면, 제어기가 장치를 제어하여 모터(Mg)의 구동력을 감속 기어(19)와 출력축(20) 및 피니언(21)(제1도)을 거쳐 환형 캠 부재(CA)에 구비된 섹터 형상 기어(22)로 전달하여 이를 회전시킨다. 환형 캠 부재(CA)가 회전함에 따라, 캠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됨 캠 외면(34a, 34b)이 중간 부재(SA)에 형성된 캠 종동 부재(36,37)와 맞물려 이를, 회전 중심선과 같은 직선(L3)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베어링(5,6)을 매개로 중간 부재(SA)에 의해 지지된 회전축(1)이 하부 드럼(Dd)(제7d도 참조)의 중심축에 대해 오른쪽으로 기울여지면, FF 재생 모드를 위해 환형 캠 부재(CA)의 섹터 형상 기어(22)에 구비된 관통 구멍(54)이, 위치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검출기(25)에 도달한다. 이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 구동 제어 회로는 모터(Mg)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위치 검출기(25)에 갖춰진 스토퍼 기구의 스프링에 의해 볼이, 환형 캠 부재(CA)에 구비된 스토퍼 관통 구멍(57)으로 압입되어, FF 재생 동작에 대응해서 환형 캠 부재(CA)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 고정한다.
다음에는 FB 재생 모드가 선택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FB 재생 모드로 지정되면, 제어기가 장치를 제어하여 모터(Mg)의 구동력을 감속 기어(19)와 출력축(20) 및 피니언(21)(제1도)을 거쳐 환형 캠 부재(CA)에 갖춰진 섹터 형상 기어(22)로 전달하여 이르 회전시킨다. 환형 캠 부재(CA)가 회전함에 따라, 캠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캠 외면(34a, 34b)이 중간 부재(SA)이 형성된 캠 종동 부재(36,37)와 맞물려 이를, 회전 중심선과 같은 직선(L3)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베어링(5,6)을 매개로 중간 부재(SA)에 의해 지지된 회전축(1)이 하부 드럼(Dd)(제7g도 참조)의 중심축에 대해 왼쪽으로 기울여지면, FF 재생 모드를 위해 환형 캠 부재(CA)의 섹터 형상 기어(22)에 갖춰진 관통 구멍(52)이, 위치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검출기(25)에 도달한다.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 구동 제어 회로는 모터(Mg)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위치 검출기(25)에 갖춰진 스토퍼 기구의 스프링에 의해 볼이, 환형 캠 부재(CA)에 구비된 스토퍼 관통 구멍(55)으로 압입되어 FB 재생 동작에 대응해서 환형 캠 부재(CA)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 고정한다.
제8도는 환형 캠 부재(CA)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8a도는 환형 캠 부재(CA)의 일부 사시도이다. 여기서 점(0)는 캠 부재(CA)의 환형 부분의 중심점이다. 환형 부분(34)의 양쪽 측면상에는, 각각이 중심점(0)을 통과하는 직선들(Lf2,Lf1,Ln,Lb1,Lb2)상의 위치들에서 직선 90°-270°을 중심으로 또 다른 캠 외면 쌍(60-69)들이 형성된다.
제8b도는 환형 부분(34)의 측면도로서, 환형 부분의 한쪽 측면상에 형성된 캠 외면(61,63,65,67,69)들을 나타낸다. 0로 표기된 캠 외면(65)은 정상 재생용 캠 외면을 나타내고, -5와 -11로 표기된 캠 외면(67,69)들은 각각 정상 재생에서 보다 -5배 및 -11배속의 속도로 FB재생하기 위한 캠 외면들이며, +11과 +5로 표기된 캠 외면(61,63)은 각각 정상 재생에서 보다 11배 및 5배 속도로 FF 재생하기 위한 캠 외면들이다.
제8c도는 중간 부재(SA)가 2개의 피봇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직선(L3)을 중심으로 회전할때 회전 자기 헤드(Ha, Hb)들의 궤적면의 기울기 변화를 도시하는 바, 여기서 상기 피봇 포인트들은 중간 부재(SA)의 캠종동 부재(36,37)들은 캠 부재(CA)의 환형 부위(34)의 캠 외면(60-96)들의 가압 접촉시킴으로써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에 의해 제공된다.
제8도에 도시된 환형 캠 부재(CA)를 제5도 또는 제7도에 도시된 것에 대체하여 제4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직접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명확하다.
다음에는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 및 하부 드럼(Dd)에 대해 중간 부재(S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결합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따라서 이들 상이한 부분들만을 상세히 기술하고 기타 부분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6a도와 제6b도는 각각, 제2도의 90°-270°선에 대응하는 선 및 제2도의 0°-180°선에 대응하는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 및 드럼 베이스(DB)를 도시한다.
안내부(G)를 갖는 하부 드럼(Dd)은 다수의 나사(32)로써 드럼 베이스(DB)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부 드럼(Dd)의 상단부에는, 하부 드럼(Dd)의 내면에 수납된 중간 부재(SA)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의 작은 간극을 두고 안쪽으로 돌출한 엣지 부분(58)이 갖춰진다. 즉, 하부 드럼(Dd)의 엣지 부분(58)의 내경은 중간 부재(SA)의 외경 보다 약간 크다.
나아가서, 중간 부재(SA)는, 회전 자기 헤드(Ha, Hb)들의 궤적면 근처에서 직선(L3)상의 2점에 구비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에 의해 하부 드럼(Dd)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직선(L3)상의 위치들에서 하부 드럼(Dd)의 상단부에 삽입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은, 각각 중간 부재(SA)의 돌출부(70)에 구비된 2개의 관통 구멍들에 수납되어 2개 피봇 포인트들을 형성한다.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은 대체로 제5h도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2실시예들에 중간 부재(SA)의 돌출부(70)의 관통 구멍에는 소직경부(30a)가 삽입되고, 하부 드럼(Dd)의 상단부에는 소직경부(30c)가 삽입된다.
하부 드럼(Dd)과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에 의해 제공된 2개의 피봇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중간 부재(SA) 사이의 평면과, 하부 드럼(Dd)의 엣지 부분(58)과 중간 부재(SA)의 외주면 사이의 접촉점들을 포함하는 평면은 서로 근접되어 있다. 또,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 사이에 형성되면서 2개의 피봇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평면은, 회전 헤드(Ha, Hb)의 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중간 부재(SA)의 돌출부(70)의 외주면(70a)의 접선상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중간 부재(SA)와 환형 캠 부재(CA)는 스프링(38 내지 41)에 의해 드럼 베이스(DB)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드럼(Du)(도시 안됨)과 중간 부재(SA)의 상단부 사이에 제공된 공극 또는 상단부(70b)와 자기 헤드(Ha, Hb)의 궤적면 사이의 거리는, 중간 부재(SA)가 직선(L3)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드럼(Du)의 외주면과 돌출부(70)의 외주면(70a)은, 이들 표면들중의 하나가 다른쪽 표면의 연장부내에 포함되기 때문에, 헤드(Ha, Hb)의 자기 틈새 부위와 자기 테이프(T) 사이의 접촉 조건은, 중간 부재(SA)를 경사시킴에 따라 자기 헤드(Ha, Hb)의 궤적이 변화하더라도 변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허용 가능한 재생된 화상이 항상 얻어질 수 있다.
다음에는 제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신호 전송을 위해 중공 원통형 트랜스포머(73,74)들이 사용되고, 하부 드럼(Dd)에 대한 중간 부재(SA)의 회전 중심이 회전축(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중간 부재(SA)가 회전축(1)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부드럼(Dd)에 끼워지는 점에서, 제1도 또는 제2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이들 상이한 부분들만을 상세히 기술하고 기타 부분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9a도와 제9b도는 각각, 제2도의 90°-270°선에 대응하는 선 및 제2도의 0°-180°선에 대응하는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상부드럼(Du)과 제1형태의 드럼 쌍의 드럼 모터(Md)르 도시한다.
안내부(G)를 갖는 하부 드럼(Dd)은 다수의 나사(32)로써 드럼 베이스(DB)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부 드럼(Dd)의 상단부에는, 하부 드럼(Dd)은 내면에 수납된 중간 부재(SA)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의 작은 간극을 두고 안쪽으로 돌출한 엣지 부분(75)이 갖춰진다. 즉 하부 드럼(Dd)의 가장자리부(75)의 내경은 중간 부재(SA)의 외경 보다 약간 크다.
또 중간 부재(SA)는, 회기 자기 헤드(Ha, Hb)들의 궤적면 근처에서 직선(L3)상의 2점에 제공된 피복 포인트 부재(30,31)들에 의해 하부 드럼(Dd)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직선(L3)상의 위치들에서 하부 드럼(Dd)의 상단부에 끼워진 핀 형태로 된 피복 포인트 부재(30,31)들은, 각각 중간 부재(SA)의 연결부(76)에 구비된 2개의 관통 구멍들에 수납되어 2개의 피복 포인트들을 형성한다.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은 대체로 제5h도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2실시예에서 중간 부재(SA)의 연결부(76)의 관통 구멍에는 소직경부(30a)가, 하부 드럼(Dd)의 상단부에는 소직경부(30c)가 헐겁게 끼워진다.
한편, 중간 부재(SA)상에 제공된 베어링(5,6)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은, 상부 드럼 고정 부재(2)내에 끼워진다. 또 상부 드럼 고정 부재(2)에는 나사(3,4)로서 상부 드럼(Du)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드럼 모터(Md)가 회전축(1)을 매개하여 상부드럼(Du)을 회전시킨다.
상부 드럼측의 중공 원통형 트랜스포커(73)와 중간 부재측의 중공 원통형 트랜스포머(74)는 각각, 상부 드럼 고정 부재(2)와 연결 부재(76)상에 장착된다. 이들 트랜스포커(23,24)들이 함께 회전되기 때문에, 중간 부재(SA)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이 기울여지더라도 트랜스포머들(23,24)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전송된 신호의 레벨 변동이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중심을 자기 헤드(Ha, Hb)들의 궤적면과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고, 또 드럼 쌍(DA)의 입구측에서의 회전 자기 헤드(Ha, Hb)들과 자기 테이프(T)의 접촉 조건을 드럼 쌍(DA)의 출구측에서와 완전히 동일하게 만들 수가 있다.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는, 환형 캠 부재(CA)에 의해 중간 부재(SA)를 경사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에서 제3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이 상이한 부분만을 상세히 기술하고 기타 부분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0a도와 제10b도는 각각, 제2도의 90°-270°선에 대응하는 선 및 제2도의 0°-180°선에 대응하는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를 도시한다.
제10a도와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81,84,87,90)들은, 드럼 베이스(DB)의 구멍들의 위치에 대응되게 드럼 베이스(DB)에 형성된 구멍(80,83,86,89)들과 드럼 모터 장착판(7)에 형성된 구멍(82,85,88,91)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들내에 각각 제공된다. 이들 스프링들에 의해 중간 부재(SA)와 상부 드럼(Du)은, 하부 드럼과 중간 부재 사이에 구비된 2개의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을 매개로 하부 드럼(Dd)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직선(L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에들에서는, 드럼 베이스(DB)에 갖춰진 안내 홈(33)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캠 외면(34a, 34b 또는 60-69)들을 사용한 환형 캠 부재(CA)가 예컨대 제5e도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나, 본 제4실시예에서는 그 대신에 중공 원통형 부재(77)가 사용되고, 이 원통형 부재(77)의 평면도가 제11b, 11d, 11f도에 도시된다.
환형 캠 부재(CA)로서 중공 원통형 부재(77)는, 제1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환형 캠 부재(CA)의 경우에서와 같이 모터의 토오크가 섹터 형상 기어(22)로 전달되면, 그 외주면(77a)이 안내 홈(33)이 벽면(33a)에 끼워진 상태로 드럼 베이스(DB)에 형성된 안내 홈(33)을 따라 안내되면서 회전된다. 중공 원통형 부재(77b)은, 외주면(77a)에 대해 편심인 캠 외면을 형성하고,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 부재(SA)에 갖춰진 반구형상 캠 종동 부재(78,79)와 수평으로 결합한다.
제11a, 11c, 11e도는, 제10b도에 도시된 종단면도에서와 같이 제1도의 A-A선(제2도의 0°-180°선)을 따른 드럼 쌍(DA) 및 중간 부재(SA)의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에서 선 0-0은 드럼 베이스(DB)에 고정된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의 방향을 나타낸다(제3도에서 직석 0-0와 동일함).
제11a도는 정상 재생중인 드럼 쌍(DA)을 포함하는 부분의 단면도로서, 회전 축(1)이 하부드럼(Dd)의 중심 축과 일치하고 있다. 제11b도는 정상 재생중인 환형 캠 부재(CA)와, 중간 부재(SA)의 평면도로서, 캠 부재의 회전 조정과 중간 부재에 대한 관게를 도시한다.
제11c도는 FB 재생중인 드럼 쌍(DA)을 포함하는 부분의 단면도로서, 회전축(1)이 하부드럼(Dd)의 중심축에 대해 왼쪽으로 기울여져 있다. 제11d도는 FB 재생중인 환형 캠 부재(CA)와 중간 부재(SA)의 평면도로서, 캠 부재의 회전 조정과 중간 부재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다.
제11c도는 FF 재생중인 드럼 쌍(DA)을 포함하는 부분의 단면도로서, 회전축(1)이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에 대해 오른쪽으로 기울여져 있다. 제11f도는 FB 재생중인 환형 캠 부재(CA)와 중간 부재(SA)의 평면도로서, 캠 부재의 회전 조정과 중간 부재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다.
제12도와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후술하는 제6 및 제7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본 제5 실시예는, 회전축(1)을 지지하는 베어링들 중의 하나가 하부 드럼(Dd)에 구비된 점에서 제1 내지 제4실시예들과 다르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1 내지 제4실시예들에서는 베어링(5,6)들이 중간 부재(SA)에 갖춰지고, 중간 부재(SA)의 회전 중심(직선 L3 또는 점 0c)을 결정하기 위해 하부 드럼(Dd)와, 중간 부재(SA)들이 상호 끼움관계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에 의해 연결된다.
후술하는 제6 및 제7실시예 뿐만 아니라 제5실시예에서, 중간 부재(SA)의 회전 중심은, 하부 드럼(Dd)에 소위 "자기 정렬 베어링"등을 제공함으로써 결정되는 바, 이하 제5실시예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12a도는 제2도의 90°-270°선을 따른 것으로, 제1도를 참조하여 기히 설명된 제1형태의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제12b도의 0°-180°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된 여러 구성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13a, 13c, 13e도는 각각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 환형 캠 부재(CA) 및, 드럼 베이스(DB)를 도시한다. 제13b도와 제13d도는 각각, 제13a도와 제13c도에 도시된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의 배면도이고, 제13f도는 제13e도에 도시된 환형 캠 부재(CA)의 측면도, 제13h도는 제13c도에 도시된 회전 중간 부재(30,31)들의 확대 사시도이다.
안내부(G)를 갖는 하부 드럼(Dd)은 다수의 스큐류(32)로써 드럼 베이스(DB)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부 드럼(Dd)에 형성된 내부 공간부(29a)내에 갖춰진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28c)의 표면상에는, 회전 트랜스포머(24)와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의 위한 장착부(28b)이 제공된다. 이 장착부(28b)들은 하부 드럼(Dd)에 형성된 관통구멍(29c)들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 트랜스포머(24)를 그 상단에다 지지한다.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은,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28c)에 끼워진 소직경부(30c,31c)(제13f도 참조)와 또다른 소직경부(30a,30a)를 갖는다. 소직경부(30a,30a)들은 각각 하부 드럼(Dd)의 엣지 부분에 갖춰진 관통 구멍(29b)들내에 끼워지고 그로부터 돌출되어 2개의 피봇 포인트들을 형성한다.
중간 부재(SA)의 하부에는 베어링(6-1)이 제공되고, 2개의 피봇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직선(L3)의 근처인 하부 드럼(Dd)에는 베어링(5-1)이 제공된다. 회전축(1)은 이들 베어링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6-1)은 회전축(1)의 경사를 방지하는 깊은 홈 2중열 볼 베어링일 수도 있고, 베어링(5-1)은 회전축(1)의 경사를 소정 범위로 허용하는 깊은 홈 1열 볼 베어링일 수 있다. 중간 부재(SA)와 환형 캠 부재(CA)는 스프링(38-41)에 의해 드럼 베이스(DB)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본 제5실시예에서, 회전 자기 헤드(Ha, Hb)의 궤적면의 근처에서 하부 드럼(Dd)의 회전 중심을 결정하기 위하여, 2개의 피봇 포인트들을 연결하는 직선(L3)의 근처에 회전축(1)을 지지하도록 하부 드럼(Dd)에 베어링(5-1)이 제공되고 중간 부재(SA)에 베어링(6-1)이 제공되기 때문에,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 사이에서 상대적인 장착 관계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중간 부재(SA)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4도를 참조하여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제9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중공 원통형 회전 트랜스포머(73)를 사용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회전축(1)의 경사를 소정 범위로 허용하는 깊은 홈 1열 볼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이 하부 드럼(Dd)에 제공되고, 회전축(1)의 경사를 방지하는 깊은 홈 2열 볼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이 중간 부재(SA)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변형 예의 여러 부위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제9도와 제12도 등과 함께 제14도를 참조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4a도는 제2도의 90°-270°선을 따라 제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타임의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위의 단면도이고, 마찬가지로 제14b도는 제2도의 0°-180°선을 따른 그 단면도이다.
제1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제6실시예는, 회전축(1)의 경사를 소정 범위로 허용하는 깊은 홈 1열 볼 베어링들과 같은 2개의 베어링들이 중간 부재(SA)에 제공되어 있는 점에서 제5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6실시예의 이러한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15a도는 제2도의 90°-270°선을 따라 제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형태의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위의 단면도이고, 마찬가지로 제15b도는 제2도의 0°-180°선을 따른 그 단면도이다.
제5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축(1)의 경사를 소정 범위로 허용하는 깊은 홈 1열 볼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5-1)이 하부 드럼(Dd)에 갖춰지고 베어링(5-1)에 유사한 베어링(6-2,6-3)들이 중간 부재(SA)에 갖춰져서, 회전축(1)을 지지한다. 이와같은 구조로써, 간단한 구조를 갖는 깊은 홈 1열 볼 베어링들을 사용할 수 있어, 깊은 홈 2열 볼 베어링 또는 로울러 베어링 등에 비해 저렴하게 된다.
제16도를 참조하여 제6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제9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중공 원통형 회전 트랜스포머(73,74)들을 사용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회전축(1)의 경사를 소정 범위로 허용하는 깊은 홈 1열 볼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이 하부 드럼(Dd)에 제공되고, 2개의 깊은 홈 1열 볼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이 중간 부재(SA)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변형 예의 여러 부위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제9도와 제15도등과 함께 제16도를 참조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6a도는 제2도의 90°-270°선을 따라 제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형태의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위의 단면도이고, 마찬가지로 제16b도는 제2도의 0°-180°선을 따른 그 단면도이다.
제1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제7실시예는, 하부 드럼(Dd)을 중간 부재(SA)로 연결하는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의 구성에서 제6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7실시예의 이러한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17a도는 제2도의 90°-270°선을 따라 제1도를 상술한 제1형태의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위 단면도이고, 마찬가지로 제17b도는 제2도의 0°-180°선을 따른 그 단면도이다.
제17C도 내지 제17g도는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 사이에 갖춰진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7도에서, 핀(30a,31a)들은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28c)에 제공된 구멍들내에 각각 압입된다(제17d도 참조). 반원통형 위치 제한 부재(30b,31b)들에는, 각 핀(30a,31a)의 상단부들을 안내하기 위한 홈(30c,31c)들이 형성된다(제17e도 참조). 위치 제한 부재(30b,31b)들을 하부 드럼(Dd)의 구멍들내에 압입되어, 그 굴곡면들은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28c)내에 압입된 핀(30a,31a)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중간 부재(SA)의 가장자리부(28c)에 대향하게 된다. 핀(30a,31a)들은 각 위치 제한 부재(30b,31b)들의 홈(30c,31c)들과 맞물려서 도면의 평면도내에서 하부 드럼(Dd)에 대해 중간 부재(SA)의 이동을 제한한다(제17a도 참조).
한편, 중간 부재(SA)는 스프링(38,39)들에 의해 윗쪽으로 밀어부쳐서, 중간 부재(SA)가 선(L3)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그 가장자리부(28c)가 굴곡면들과 접촉하면서 위치 제한 부재(30b,31b)들을 따라 안내된다. 위치 제한 부재(30b,31b)의 굴곡면의 곡률중심은 중간 부재(SA)의 회전 중심이 되는 선(L3)상에 위치된다.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을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중간 부재(SA)의 회전 중심축인 선(L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들에서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 사이에 이들 부재들을 제공할 수가 있다. 즉, 하부 드럼과 이들에 관련된 다른 부위들의 구조적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된다. 본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의 구성은 제5실시예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역시 적용 가능함을 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제1 내지 제7실시예들에서, 자기 기록·재생 장치는, 제1도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드럼 모터(Md)가 하부 드럼(Dd)의 아래에 구비되고, 회전축(1)의 그 위에 장착된 상부 드럼(Du)을 구동하는 제1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8 및 제9실시예를 제18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기히 언급된 제2형태의 자기 기록·재생 장치들이다. 즉, 본 발명은 드럼 모터(Md)의 회전자가 상부 드럼(Du)상에 직접 장착되어 이를 회전시키고, 회전축(1)자체는 정지되어 있다. 드럼 모터(Md)의 장착을 제외한 다른 부위들은 기히 언급된 실시예들에서의 것들과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없이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도시만 된다.
제19도와 제20도를 참조하여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9a도는 제2도의 90°-270°선을 따라 제18도를 참조하여 기히 설명된 제2형태의 드럼 쌍(DA)을 포함하는 부위의 단면도이고, 마찬가지로 제19b도는 제2도의 0°-180°선을 따른 그 단면도이다.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된 여러 구성 요소들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20a, 20c, 20e 및 20g도는 각각,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 환형 캠 부재(CA) 및 드럼 베이스(DB)를 도시한다. 제20b도와 제20d도는 각각 제20a도와 제20c도에 도시된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의 사시도이고, 제20f도는 제20e도에 도시된 환형 캠 부재(CA)의 측면도이며, 제20h도는 제20C도에 도시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의 확대 사시도이다.
안내부(G)를 갖는 하부 드럼(Dd)은 다수의 나사(32)로써 드럼 베이스(DB)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하부 드럼(Dd)에 형성된 내부 공간부(29a)내에 제공된 중간 부재(SA)는, 그 외주면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엣지 부분(28)을 구비하고 있고, 엣지 부분(28)의 상단은 하부 드럼의 내주면에 대해 작은 간극을 두고 하부 드럼(Dd)내에 끼워진다. 즉, 중간 부재(SA)의 가장자리부(28)는 하부 드럼(Dd)의 내부 공간(29a)의 내경 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제4b도를 참조로 하여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28)의 상단을 둥글게 하고, 그 곡률중심이 제19b도의 점(0c)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럼 모터(Md)는 나사(103,104)에 의해 상부 드럼(Du)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 드럼(Du)은, 베어링(93,94)들을 매개로 중간 부재(SA)에 고정 결합된 고정축(99)에 고정되게 끼워진 장착 부재(106)에 나사(96,97)로써 고정 결합되고, 드럼 모터(Md)의 회전자(105)는 드럼 모터 장착판(95)에 일체로 장착된다.
또한 상부 드럼(Du)의 하단에는 회전 트랜스포머(23)가 고정 결합되고, 상부 드럼(Du)에 구비된 베어링(93,94)들은 중간 부재(SA)상에서 고정축(99)에 끼워진다. 상부 드럼(Du)과 중간 부재(SA)가 공통의 중심측으로서 고정축(99)을 갖기 때문에, 회전자(92)와 일체로 회전하는 상부 드럼(Du)의 측면상의 회전 트랜스포머(23)와 중간 부재(SA)의 측면상의 회전 트랜스포머(24) 사이의 간극은, 고정축(99)이 경사질 때라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 중간 부재(SA)상에서 고정축(99)에 의해 항상 동축적으로 지지된 중간 부재(SA)와 상부 드럼(Du)은, 회전 자기 헤드(Ha, Hb)의 궤적면의 근처에서 직선(L3)상의 2개 위치들에 구비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에 의해 하부 드럼(Dd)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직선(L3)상의 위치들에서 중간 부재(SA)의 상단부(28a)내에 끼워진 핀 형태로 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은, 하부 드럼(Dd)의 엣지 부분(29)에 구비된 2개의 관통 구멍들내에 각각 수납되어, 2개의 피봇 포인트들을 형서한다.
중간 부재(SA)와 환형 캠 부재(CA)들은 스프링(38,41)들에 의해 드럼 베이스(DB)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스프링(38,38)들은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SA)에 형성된 구멍(44,45)들내에 각각 삽입되고, 스프링(40,41)들은 중간 부재(SA)상에 장착된 규제 판(100)에 형성된 구멍(101,102)들내에 나사(107,108)로써 설치된다.
제2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실시예는, 중간 부재(SA)의 회전중심(직선(L3) 또는 점(0c))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5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이 사용되고, 하부 드럼(Dd)에 구비된 베어링부(98)에 의해 고정축(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는 점에서 제8실시예와 다른다. 따라서 이들 차이점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다른 점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1a도는 제2도의 90°-270°선을 따라 제18도를 참조하여 기히 설명한 제2형태의 드럼 쌍(DA)을 포함하는 부위의 단면도이고, 마찬가지로 제21b도는 제2도의 0°-180°선을 따른 그 단면도이다.
가이드(G)를 갖는 하부 드럼(Dd)은 다수의 나사(32)로써 드럼 베이스(DB)에 고정 결합된다.
하부 드럼(Dd)의 내부 공간내에 구비된 중간 부재에는 고정축(99)이 고정적으로 끼워진다.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모터(Md)의 회전자(92)는 나사(103,104)로써 상부 드럼(Du)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 드럼(Du)는 베어링(93,94)으로써 고정축(99)에 끼워지며, 하부 드럼(Dd)상에 제공된 베어링부의 상단(98a)은 베어링(94) 아래에서 고정축(9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드럼 모터 장착판(95)은 고정축(99)상에 끼워진 장착 부재(106)엔 나사(96,97)로써 고정 결함되고, 드럼 모터(Md)의 회전자(105)는 드럼 모터 장착판(95)상에 일체로 장착되며, 상부 드럼(Du)의 하단부에는 회전 트랜스포머(23)가 고정 결합된다. 상부 드럼(Du)상에 고정된 베어링(93,94)들은 고정축(99)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 드럼(Du)과 중간 부재(SA)가 공통 회전축으로서 고정축(99)을 갖기 때문에, 회전자(92)와 함께 회전하는 상부 드럼(Du)의 측면상의 회전 트랜스포머(23)와 중간 부재(SA)의 측면상의 회전 트랜스포머(24) 사이의 간극은, 고정축이 경사지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고정축(99)에 이해 공통적으로 지지된 중간 부재(SA)와 상부 드럼(Du)은, 자기 헤드(Ha, Hb)의 궤적면의 근처에서 직선(L3)상의 2개 지점에 구비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에 의해 하부 드럼(Dd)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직선(L3)상의 위치들에서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28c)상에 끼워진 핀 형태로 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은, 하부 드럼(Dd)의 선단부(29)에 제공된 2개의 관통 구멍(29b)들 내에 수납되어, 2개의 피봇 포인트들을 형성한다.
핀(429,430)들은 하부 드럼(Dd)상에 갖춰진 관통 구멍(434,435)내에 헐겁게 끼워지고, 핀(429,430)들의 상단들은 스페이서(436)와 접촉하여 이를 지지한다. 스페이서(436)는, 하부에서 베어링(93,94)들에 가해지는 프리스트레스를 수용할 뿐 아니라 상부 드럼(Du)상에 장착된 회전 프랜스포머(23)와 중간 부재(SA)상에 장착된 회전 트랜스포머(24)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중간 부재(SA)와 환형 캠 부재(CA)는 스프링(38,41)들에 의해 드럼 베이스(DB)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스프링(38,39)들은 제2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럼 베이스(DB)에 형성된 구멍(44,45)들과 중간 부재(SA)에 형성된 구멍(46,47)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들 내에 각각 제공되고, 스프링(40,41)들은, 제2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베이스(DB)에 형성된 구멍(48,49)들과 중간 부재(SA)상에 장착된 규제 판(100)에 형성된 구멍(101,102)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들내에 나사(107,108)에 의해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9실시예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를 안내하는 가이드(G)를 가지는 하부 드럼은 드럼 베이스(DB)상에 고정되며, 자기 헤드(Ha, Hb)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헤드(Ha, Hb)를 장착하는 상부 드럼(Du)의 고정 샤프트(99)나 회전 샤프트(1)를 드럼 베이스(DB)에 고정된 하부 드럼(Dd)에 관하여 예정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시킴으로써 자기 헤드(Ha, Hb)의 궤적 면을 경사시킴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에 대하여 소정 각도에서 자기 테이프를 스캔한다.
즉,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T)가 항상 그 기준 엣지(Te)가 하부 드럼(Dd)의 가이드 부분(T)의 일정 경로를 따라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가동하여야 하고, 자기 헤드(Ha, Hb)를 전술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자기 테이프(T)에 대하여 경사시킴에 의해 자기 헤드(Ha, Hb)의 궤적면을 수정함으로써(이러한 수정에 대해서는 이후 "트랙 수정"이라 칭함) 노이즈바(noise bar)를 갖지 않는 트릭 플레이(trick play)등이 실현되야하는 것이 필요조건이다. 이 필요조건은, 예컨대, VHS 시스템의 SP 모드 동작중에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된 트랙 폭이 비교적 넓은 경우에 만족된다.
그러나, 예컨대 트랙 폭이 19㎛ 정도로 작은 VHS 시스템 VTR의 EP 모드 동작중에는, 제1 내지 제9실시에에서 처럼 단순힌 트랙 수정만을 실행하는 것만으로는 트릭 플레이중에 노이즈 바를 제거하는 것이 곤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드럼 쌍(DA) 외주에서 주행하는 테이프를 관찰했는 바, FF 재생이나 FB 재생중의 상부 드럼(Du)의 회전때문에, 자기 테이프가 가이드 부분(G)으로부터 약간 부유하거나 혹은 가이드 부분(G)에 가압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현상을 대해서, 제49도 및 제50도를 참고로 설명키로 한다.
제49a도는 정상 재생중의 자기 테이프(T)의 주행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상부 드럼(Du)과 하부 드럼(Dd)의 중심축들은 일치되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의 가이드 부분(G)으로부터 부유하거나 혹은 그 가이드 부분(G)에 가입되지 않고 하부 드럼(Dd)의 가이드 부분(G)을 따라서 연속해서 주행한다.
한편, FF 재생중의 테이프 주행 상태에서, 상부 드럼(Du)의 회전 샤프트는, 제49b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드럼(Dd)의 중심축(Y-Y)에 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드럼 쌍(DA)의 입구측에서(공급측상의 가이드 롤러(SGR)측에서의), 자기 테이프(T)가 상부 드럼(Du)에 의해 당겨지며, 따라서, 자기 테이프의 기준 엣지(Te)의 하부 드럼(Dd)의 가이드부분(G)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경향이 잇다. 다른 한편으로, 드럼 쌍(Da)의 출구측에서(테이크업 측상의 가이드롤러(TGR)측에서), 자기 테이프(T)는 상부 드럼(Du)에 의해 가이드 부분(G)에 가압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자기 테이프(T)는 하부 드럼(Dd)의 가이드 부분(G)에 대하여 작은 각도(θ2)만큼 경사진다.
그러므로, 상부 드럼(Du)을 하부 드럼(Dd)에 대하여 예정된 속도의 FF 재생에 상응하는 각도(θ1)만큼 경사시킴에 의해 트랙 수정이 실행된다 하더라도 자기 헤드(Ha, Hb)의 궤적면이 정확히 테이프(T)상의 트랙 패턴을 따라갈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기 제49c도 및 제 49d도에 도시된 2가지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이후 "리드 수정"법이라 칭해지기도 한다. 즉, 제49c도에 도시된 방법에 있어서, 하부 드럼(Dd)의 가이드 부분(G)은 상부 드럼(Du)과 하부 드럼(Dd)의 상대 각도(θ1)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드럼 쌍(DA)을 각도(θ2)만큼 더욱 경사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와 정렬된다. 첨언하면, 이 방법은, 제14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하부 드럼(Dd)과는 별도로 가이드부분(G)을 설치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제49d도에 도시된 방법에 있어서, 테이프 공급측의 가이들 롤러(SGR)와 테이프 테이크업측의 가이드 롤러(TGR)는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다. FF 재생중에, 테이프 주행방향은 테이프가 하부 드럼(Dd)의 가이드 부분(G)을 따라가도록 가이드 롤러(TGR)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이드 롤러(SGR)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정된다. 제50도는 FB 재생에 대한 상기 문제들을 보여준다. 제50도로부터, 리드 수정에 관련된 부재의 작동 방향 및 자기 테이프 경사 방향만이 FF 재생시의 것과 반대라는 점은 분명하다.
제49c도 및 제50c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리드 수정과 트랙 수정간의 관계 및 그들의 원리에 대하여 제22도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22a도 및 제22b도는, 각기 FF 재생 및 FB 재생시의 트랙 수정 및 리드 수정을 보여주는, 제2도에서 90°방향으로부터 투시한 드럼 쌍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선 Y-Y는 제3도, 49도 및 50도 등의 선Y-Y와 대응하는 것으로서, 리드 수정이 없는 경우, 즉, 정류 재생시의 하부 드럼(Dd)의 중심축 방향을 나타낸다.
FF 재생에 있어서는, 제4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제1 내지 제9실시예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면도 참조)에 수직으로 점(0c)을 통과하는 직선(L3)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 드럼(Dd)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각도(θ1)만큼 상부 드럼(Du)을 경사시킴으로써 트랙이 수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 수직으로 점(0c')을 통과하는 직선(선(L3)에 평행한) 직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 드럼(Du)과 하부 드럼(Dd)을 각도(θ2))만큼 일체로 경사시킴에 의행 리드 수정이 이루어진다. 즉, 선 Y-Y에 대한 상부 드럼(Du)의 중심축의 최종경사각은 트랙 수정 및 리드 수정에 의해(θ1)+(θ2)가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자기 헤드(Ha, Hb)와, 자기 테이프간에 양호한 접촉을 유기하기 위하여 점(0c)을 헤드들의 중심 평면 근처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점(0c')에 대해서는 그러한 조건이 항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FB 재생 동작은 제49b도를 참고로 하면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트랙 수정 및 리드 수정을 채용하는 자기 재생 기록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제10 내지 제15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키로 한다.
우선, 제23도 내지 제27도를 참고로 제10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3a도는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분의 제2도의 90°-27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제23b도는 제2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해진 그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24도는 제23a도 및 제23b도의 것과는 다른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27도는 동작 설명을 목적으로 제2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상부 드럼(Du)은 나사(3,4)에 의해 드럼 모터(Md)의 회전 샤프트(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상부 드럼 고정 부재(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드럼 모터(Md)가 예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 드럼(Du)상에 장착된 자기 헤드(Ha, Hb)는 중간 부재(SA)상에 장착된 베어링(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샤프트(1)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부 드럼 고정 부재(2)와 중간 부재(SA)상에는 각기 회전 트랜스포머(23,24)가 장착된다.
드럼 모터(Md)의 고정자(105)는 나사(12,13)에 의해 중간 부재(SA)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영구 자석(14)을 포함하고 회전자(92)는 나사(9,10)에 의해 회전 샤프트(1)에 고정된 고정부재(11)상에 장착된다.
중간 부재(SA)는 그 상부가 하부 드럼(Dd)의 내측 공간 부분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제5도는 또는 제20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피봇 포인트 부재(30,31)가 드럼 쌍(DA)의 영역에서, 90°-270°선상의 위치에서 고정된 드럼(Dd)에 엣지 부분(29)과 중간 부재(SA)의 상단부(28a)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중간 부재(SA)는 외주면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엣지 부분(28)을 포함하는 바, 그 엣지 부분의 외측 단부는 작은 틈새를 가지고 하부 드럼(Dd)의 내주면과 마주한다. 즉, 중간 부재(SA)의 엣지 부분(28)은 하부 드럼(Dd)의 내측 공간 부분의 내경보다 약간 더 짧은 외경을 가진다.
아울러, 나사(32)에 의해 하부 드럼(Dd)의 하단부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상부 표면과 중간 부재(SA)의 하부 표면 사이에는 스피링(38,39)이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하부 표면과 중간 부재(SA)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드럼 모터 장착판(7) 사이에는 스프링(40,41)이 설치된다. 제26도는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후방 사시도이고 제25도는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후방 사시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BP)에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사(240,241)에 의해 판 스프링(242)(판 스프링(242)의 형상은 제25도에 도시됨)의 기초 단부가 고정되는바, 그 베이스 플레이트(BP)는 판 스프링(24)의 상단부를 드럼 베이스(DB)의 하부 표면에 접촉시키는 평면에 의해 드럼 베이스(BD)에 대하여 약간 연직방향으로 편이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BP)는 드럼 베이스(DB)상에서 드럼 쌍(DA)의 0°-180°방향으로로 설치된 위치 조정핀(243,244)을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드럼 베이스(DB)에 대하여 위치 조정된다[제26b도].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상부 표면과 중간 부재(SA)의 하부 표면 사이에는 회전 샤프트(1)의 경사를 조정하는 환형 캠 부재(CA)가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하부 표면과 드럼 베이스(DB)의 상부표면 사이에는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 조정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환형 캠 부재(CRA)가 구비되어 있다. 환형 캠 부재(CRA)는, 드럼 쌍(DA)내에서 90°-270°방향으로 드럼 베이스(DB)상에 설치된 위치 조정핀(245,246)이 환형 캠 부재(CRA)의 내측 엣지와 접촉함에 의해 드럼 베이스(DB)에 대하여 위치 조정된다(제23a도 및 제25도).
중간 부재(SA)상에 구비된 캠 종동 부재(36,37)는 환형 캠 부재(CA)의 상부 표면상에 형성된 캠 외면(258-263)과 접촉한다. 즉, 환형 캠 부재(CA)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주어진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모두 샤프트(1)를 통해서 지지되는 상부 드럼(Du), 중간 부재(SA) 및, 모터(Md)를 포함하는 부분이 제23b도의 도면에서 포인트(0c)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직선(L3)에 대하여 예정된 각도만큼 경사지는데, 그 직선은 피봇 포인트 부재들(30,31)을 연결함과 아울러 회전 중심 축이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하부 표면과 드럼 베이스(DB)의 상부 표면 사이에 설치된 환형 캠 부재(CRA)의 상부 표면상에 형성된 캠 외면(251-256)은 베이스 플레이트(BP)상에 형성된 캠 종동 부재(247)와 접촉하게 된다. 환형 캠 부재(CRA)는 그 위에 형성된 피봇 포인트 면 부분들(238,239)을 가진다. 그 피봇 포인트 면 부분들(238,239)은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후방 표면상에 구비된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50)와 접촉하게 된다. 즉, 환형 캠 부재(CRA)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주어진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드럼(Dd)은, 돌출부들(249,250)를 연결함과 아울러 회전 중심축인 직선(L5)에서 예정된 각도만큼, 제23b도의 도면에서 점(0c)을 중심으로 하여 드럼 베이스 DB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제25도는, 적층 순서는 변화되지 않은 분해된 상태로 드럼 베이스(DB), 환형 캠 부재(CRA), 베이스 플레이트(BP) 및 환형 캠 부재(CA)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환형 캠 부재(CRA)는 그 바닥 표면이 드럼 베이스(DB)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 베이스(DB)상에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후방 표면상에 형성된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50)와 접촉하는 피봇 포인트 면 부분들(238,239)과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후방 표면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247,248)와 접촉하는 캠 외면(251-256)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 포인트 면 부분(238,239)은 높이가 환형 캠 부재(CRA)가 장착되는 드럼 베이스(DB)의 조립된 상태의 조립된 상태의 표면과 동일하다.
환형 캠 부재(CRA)는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257)과 결합하여 그 홈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안내된다. 연결부분(164)의 상단부에는 섹터형상 기어(256)가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피니언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섹터 형상 기어를 구동함에 의해 환형 캠 부재(CA)가 가이드 홈(257)내에서 회전되는 경우, 중간 부재(SA)로부터 돌출하는 캠 종동 부재(36,37)는 환형 캠 부재(CA)상에 형성된 캠 외면(258-263)과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중간 부재(SA) 장착된 베어링(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샤프트(1)를 경사지게 할 수 있게 된다. 샤프트(1)가 그렇게 경사지면, 상부 드럼(Du), 중간 부재(SA) 및 드럼 모터(Md)는 함께 드럼상(DA)의 0-180°방향으로 (제23d도의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 예정된 각도만큼 경사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상부 표면내의 가이드 홈(257)에는 요홈 부분(257a) 및 관통 구멍(257b,257c)이 형성되는바, 환형 캠 부재(CRA)를 환형 캠 부재(CA)에 연결심키는 핀(266-268)이 그들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이들 핀(265-268)은 일단부들이 환형 캠 부재(CA)에 형성된 구멍(269-271)내에 개별적으로 가압 삽입된다. 이들 핀(265-268)의 타단부는 요홈 부분(257a) 및 관통 구멍(257b,257c)은 통과하여, 환형 캠 부재(CRA)내에 구부된 관통 구멍(272-274)에 개별적으로 가압 삽입된다. 제25도의 베이스 플레이트(BP)에 형성된 구멍(275,276)과 제26도의 베이스 플레이트(BP)에 형성된 구멍(277,278)은 제23a도 및 제23b도에 도시된 스프링(38-41)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6도에 도시된 섹터 부재(279-281)는 환형 캠 부재(CRA)의 내주면(282)의 위치를 제한하는 외주면(279a,280a,281a)를 가진다. 전술된 바와같이, 베이스 플레이트(BP)위에 설치되어 회전 샤프트(1)의 경사를 조정하는 환형 캠 부재(CA)와, 베이스 플레이트(BP) 아래에 설치되어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의 경사를 조정하는 환형 캠 부재(CRA)는 핀(266-268)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환형 캠 부재(CA)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섹터 형상 기어(285)를 구동함에 의해 가이드 홈(257)내에서 회전하는 경우, 환형 캠 부재(CRA)도 또한 회전됨과 아울러 드럼 베이스(DB)의 상부 표면상에 섹터 부재(279-281)의 외주면에 의해 안내된다. 환형 캠 부재(CA,CRA)가 단일 구동원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기구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개별적인 재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환형 캠 부재(CA,CR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정상 재생모드에 있어서, 중간 부재(SA)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36) 및 (37)는 각기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2) 및 (259)와 접촉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BP)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247) 및 (248)는 각기 환형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5) 및 (252)과 접촉한다.
환형 캠 부재(CRA)의 캠 외면들(259,260)이 높이가 동일하게 때문에,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5,252)의 높이는 피봇 포인트 면 부분들(238)의 그것과 같고, 상부 드럼(Du) 및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은 정상 재생모드에 있어서 같다. 그러므로, 자기 테이프(T)는 그것의 기준 엣지(Te)가 하부 드럼(Dd)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분(G)에 의해 정확히 안내되면서 예정된 속도로 안정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제52a도에 도시된바와 같은 탁월한 엔빌로우프(envelope)를 가지는 재생 신호를 발생시킨다.
FF 재상 모드에 있어서, 중간 부재(SA)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36,37)는 각기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1) 및 (258)과 접촉한다. 캠 외면(261)이 캠 외면(258)보다 더 높기 때문에, 상부 드럼(Du) 및 중간 부재(SA)의 중심축(회전 샤프트(1))는 제2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드럼(Dd)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져서 트랙 수정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하부 드럼(Dd)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BP)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247,248)는 각기 핀(266-268)에 의해 환형 캠 부재(CA)에 연결된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4,251)과 접촉한다.
캠 외면(254)이 캠 외면(251)보다 더 높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BP)상에 설치된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50)는 환형 캠 부재(CRA)의 개별적인 피봇 포인트 면 부분들(238,239)과 접촉하며,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고정된 하부 드럼(Dd)은, 회전 중심축과 같이, 캠 외면들(256,253) 사이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각도 만큼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50)을 연결하는 직선 (L5)을 중심으로 경사진다. 그러므로, 하부 드럼(Dd)의 중심축은 상부 드럼(Du) 및 중간 부재(SA)의 중심축의 경사방향을 향하여 예정된 작은 각도만큼 경사져서리드 수정을 실행하며, 자기 테이프(T)는 그 기준 엣지(Te)가 하부 드럼(Dd)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분(G)에 의해 정확히 안내되면서 예정된 속도로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제28도 내지 제32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17실시예를 설명키로 한다. 이 실시예는, 중간 부재(SA)를 하부 드럼(Dd)상에 중간 부재(SA)를 장착하는 방법 및,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를 경사시키는 환형 캠 부재의 형상에 있어서 제10실시예와 다르다. 다른 부분들은 제10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하기 때문에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28a도는 제 2 도의 90°-270°선을 따라 취해진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제28b도는 제 2 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제24도는 제29a도 및 제29b도의 것과는 다른 선을 따라 취한 드럼 쌍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30도는 분해된 상태의 요소들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제31도는 동작 설명을 위하여 제 2 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상부 드럼(Du)이 드럼 모터(Md)의 회전 샤프트에 고정설치되는 상부 고정부재(2)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 샤프트(1)가 베어링(5,6)등을 통해서 중간 부재(S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는 점은 제10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 부재(SA)는 링 형상의 판 스프링(300)에 의해 하부 드럼(Dd)상에 장착된다. 판 스프링(300)은,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내측 링 부분(300a), 내측 링 부분(300a)과 동축인 외측 링 부분(300b) 및, 직경선상의 2지점에 설치되어 그 지점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분(304a,304b)을 포함한다. 연결부분(304a,304b)에는 각기 구멍들(301a,301b) 및 구멍들(302a,302b)이 형성되며, 내외측 링부분들(300a,300b)에는 각기 위치 조정구멍(303a,303b)이 형성된다.
한편, 중간 부재(SA)의 상부 표면(305)에는 판 스프링(300)의 구멍들(302a,303b)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305a,305b)이 구비되어 있으며 위치 조정 구멍(303a)에 상응하는 상부 표면(305)의 위치에는 위치 조정판 (305c)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300)의 내측 링 부분(300a)의 내부에 끼워 맞춤되는 립(305d)의 중간 부재(SA)의 상부 표면(305)상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드럼(Dd)의 단부(306)에는 판 스프링(300)의 구멍들(301a,301b)에 각기 상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들(306a,306b)이 각기 구비되고, 단부(306)의 위치 조정 구멍(303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위치 조정핀(306c)이 삽입된다. 아울러, 하부 드럼(Dd)의 단부(306)상에는 판 스프링(300)의 외측 링 부분(300b)의 외주상에 끼워맞춤되는 벽면(307)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중간 부재(SA)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하부 드럼(Dd)상에 장착된다. 우선, 내측 링 부분(300a)을 판 스프링(300)의 위치 조정 구멍(303a)이 중간 부재(SA)의 위치 조정핀(305c)과 정렬되도록 판 스프링(300)의 립(305b)에 끼워 맞추고, 다음에, 판 스프링(300)을 나사(308a,308b)로 중간 부재(SA)에 고정설치한다. 그후, 판 스프링(300)의 위치 조정 구멍(303b)을 하부 드럼(Dd)의 위치 조정핀(306c)과 정렬시키면서 외측링 부분(300b)를 하부 드럼(Dd)의 벽면(307)내에 끼워 맞추며, 판 스프링 도시된 바와같이 직선 (L3)상에 설치되어 중간 부재(SA)의 하부 드럼(Dd)에 대한 피봇 포인트를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판 스프링(300)을 이용함으로써 중간 부재(SA)가 하부 드럼(Dd)상에 장착되며,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간에는 직접적인 접촉 결합관계(예컨대, 제1 및 제10실시예)가 없기 때문에, 중간 부재(SA) 회전중에 마찰에 기인한 부하 변동이 없고 원활한 구동이 가능해진다.
제1 및 제10실시예에서, 하부 드럼(Dd)에 대한 중간 부재(SA)의 피봇 포인트들은 피봇 포인트 부재(30,31)의 소직경 부분(30a,31a)을 하부 드럼(Dd)의 관통 구멍(29b)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그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소직경 부분들(30a,31a)과 각각의 관통 구멍(29b) 사이에 틈새는 필수적이며,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 사이에는 약간의 여유가 허용되어야 한다. 그러한 여유는 지터잡음(jitter noise)의 원인중 하나이다. 제11실시예에는 본질적으로 그러한 여유가 없다.
중간 부재(SA) 및 하부 드럼(Dd)를 직선(L3)(점0c) 및 직선(L5)(점0c')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시키는 환형 캠 부재에 대해 설명키로 한다.
환형 캠 부재(CA)는 그 외주면상에 형성된 기어(311)를 가지며, 경사진 캠 외면(312a,312c,313a,313c) 및 평탄한 캠 외면(312b,313b)이 그 표면상에 형성된다. 환형 캠 부재(CA)는 드럼 베이스(DB)의 표면상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314)상에 끼워맞춰져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다른 한편으로, 돌출부(314)의 표면에는 하부 드럼(Dd)에 형성된 구멍(316a,316b)에 일치하는 직선(L5)(제28a도)상에 위치 각각에 칼라부 핀(315a,314b)이 삽입되어 하부 드럼의 피봇 포인트를 형성한다. 하부 드럼(Dd)과 드럼 모터(Md)의 장착판(7)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319)이 설치되며, 제28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드럼(Dd)에 대해서는 시계 방향 모멘트를, 그리고, 중간 부재(SA)에 대해서는 반시계 방향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드럼의 저부 표면에는 판 스프링(242)이 설치되어 드럼 베이스(DB)에 대하여 하부 드럼(Dd)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313a,313b,313c)을 하부 드럼(Dd)의 저부 표면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와 접촉하며, 캠 외면(312b,312b,312c)은 중간 부재(SA)의 저부 표면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318)와 접촉한다.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318)와 하부 드럼(Dd)의 캠 종동 부재(317)는, 제2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캠 부재(CA)의 회전 방향으로 180°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그들은 각기 캠 외면(312a,312b,312c) 및 캠 외면(313a,313b,313c)과 접촉한다.
즉, 이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정상 재생 모드에 있는 경우,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318)는 평탄한 캠 외면(312b)과 접촉하며, 캠 종동 부재(317)는 평탄한 캠 외면(313b)과 접촉한다. 캠 외면(312b)의 높이가 캠 외면(313b)과 같기 때문에, 중간 부재(SA) 및 하부 드럼(Dd)은 드럼 베이스(DB)와 평행하게 지지된다.
본 장치가 FF 재상모드에 있는 경우, 캠 종동 부재(318)는 경사진 캠 외면(312b)과 접촉하며, 캠 종동 부재(317)는 경사진 캠 외면(313a)과 접촉한다.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318)는, 캠 외면(312b)보다 더 높은 표면을 제공하는 캠 외면(312a)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 (319) 및 판 스프링(242)에 의해 제3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랙 수정을 성취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드럼(Dd)의 캠 종동 부재(317)는, 캠 외면(313b)보다 낮은 표면을 구성하는 캠 외면(313a)과 접촉하므로, 제3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319) 및 판 스프링(24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FB 재생 모드에 있는 경우, 캠 종동 부재(318)는 경사진 캠 외면(312c)과 접촉하고, 캠 종동 부재(317)는 경사진 캠 외면(313c)과 접촉한다.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318)는, 캠 외면(313b)보다 더 낮은 표면을 제공하는 캠 외면(312c)에 의해 가압되므로, 제3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319) 및 판 스프링(24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랙 수정을 성취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드럼(Dd)의 캠 종동 부재(317)는, 캠 외면(313b) 보다 더 높은 표면을 구성하는 캠 외면(313c)과 접촉하여, 제3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319) 및 판 스프링(24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리드수정을 성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록 링 형성 판 스프링(300)을 사용하여 중간 부재(SA)를 하부 드럼상에 장착하지만, 그 판 스프링이 항상 링 형상인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 판 스프링(300)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판 스프링(321,322)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판 스프링(321,322)의 구멍들(321a,322a)은 나사에 의해 중간 부재(SA)의 나사 구멍(323a,326b)에 각기 고정되며, 판 스프링(321,322)의 구멍들(321a,322b)은 나사에 의해 하부 드럼(Dd)의 나사 구멍(323a,326b)에 각기 고정되는 한편,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은 지그등을 이용함으로써 동축으로 지지된다.
제33도 내지 제36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20실시예를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는, 드럼 모터(Md)의 로우터가 상부 드럼(Du)상에 직접 장착되어 그 드럼을 구동하는 한편 샤프트(1) 자체는 회전하지 않는 제8 혹은 제9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와 제 8 실시예에서 채용된 장착 방법의 조합이다.
제33a도는 제 2 도에서 90°-270°선을 따라 취한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제33b도는 제 2 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또한, 제34도는 요소들을 분해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제35도는 동작 설명을 위해 제 2 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 부재(SA)는 링 형상의 판 스프링(400)에 의해 고정 샤프트 근처에서 하부 드럼(Dd)상에 장착된다. 판 스프링(400)은 제30도를 참고로 설명된 판 스프링(300) 보다는 더 작으며 스프링(300)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이다. 그러므로, 그 대응하는 부분들은 400 단위의 대응하는 도면 부호로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부재(SA)의 상부 표면(405)에는 판 스프링(400)의 구멍들(402a,402b)에 각기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샤프트(99)가 가압 삽입되는 나사 구멍들(405a,405b)이 구비되며, 상부 표면(305)의 위치 조정 구멍(403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위치 조정 핀(405c)이 삽입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드럼(Dd)의 단부(406)에는 판 스프링(400)의 구멍들(401a,40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406a,406b)이 각기 구비되어 있고, 단부(406)의 위치 조정 구멍(403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위치 조정 핀(406c)이 삽입된다.
아울러, 하부 드럼(Dd)의 단부(406)이 삽입된다. 아울러, 하부 드럼(Dd)의 단부(406)상에는 판 스프링(400)의 외측 링 부분 (400b)의 외주상에 끼워 맞취지는 벽면(407)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중간 부재(SA)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하부 드럼(Dd)상에 장착된다. 우선, 내측 링부분(400b)이 벽면(407)내에 끼워 맞취지고, 판 스프링(400)은 그것의 위치 조정 구멍(403a)이 하부 드럼(Dd)의 위치 조정 핀(406c)과 정렬된 상태로 나사(409a,490b)에 의해 하부 드럼에 고정된다. 그후, 판 스프링(400)과, 가압 삽입되는 고정 샤프트(99)를 가지며 내측 링 부분(400a)에 끼워 맞춰지는 중간 부재(SA)가 하부 드럼(Dd) 아래에서 지지되며, 판 스프링(400)은 그 위치 조정 구멍(403b)이 하부 드럼(Dd)의 위치 조정핀(406c)과 정렬된 상태로 나사(408a,408b)에 의해 중간 부재(SA)에 고정 설치된다. 이 경우, 중간 부재(SA)상에 설치된 회전 트랜스포머 장착 부분(416a,416b)은 관통 구멍(410a,410b)을 통해서 하부 드럼(Dd)내로 돌출하며, 그 위에 회전 트랜스포머(24)가 장착된다.
내측 링 부분(400a)을 외측 링 부분(400b)에 연결시키는 연결 부분(404a,404b)은 제3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L3)상에 설치되어, 전술된 제17실시예에서처럼 하부 드럼(Dd)에 대한 중간 부재(SA)의 피봇 포인트를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하부 드럼(Dd)상에 중간 부재(SA)가 장착되며,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 관계가 없기 때문에(예컨대, 제1 및 제10실시예), 중간 부재(SA)의 회전중 마찰에 의한 부하 변동은 없으며, 원활한 구동이 가능해진다.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을 직선(L3)(점 0c) 및 직선(L5)(0c')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시키는 환형 캠 부재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환형 캠 부재(CA)는 내주면상에 형성된 기어(311)를 가지며, 경사 캠 외면(412a,412c,413a,413b) 및 평탄한 캠 외면(412b,413b)이 그 표면상에 형성된다. 환형 캠 부재(CA)는 드럼 베이스(DB)의 표면에 형성된 환형 요홈(419)에 장착되어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다른 한편으로, 드럼 베이스(DB)상에 구비된 돌출부(414)의 표면에는 각기 하부 드럼(Dd)에 형성된 구멍들(420a,420b)에 일치되는 직선(L5)상의 위치[제33a도]에 칼라부 핀(415a,415b)이 삽입되어 하부 드럼(Dd)의 피봇 포인트를 형성한다. 하부 드럼(Dd)과 드럼 베이스(DB)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21)이 구비되어, 제33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드럼(Dd)에 대해 반시계 방향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또한, 중간 부재(SA)의 저부 표면상에 구비된 규제 판(100)과 드럼 베이스(DB)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22)이 구비되어, 제33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간 부재(SA)에 반시계 방향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각기 중간 부재(SA)에 형성된 관통 구멍(481a,418b)을 통해서 하부 드럼(Dd)의 저부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포스트(417a,417b)상에 판 스프링(423a,423b)이 각기 구비되어 하부 드럼(Dd)을 드럼 베이스(D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413a,413b,413c)을 하부 드럼(Dd)의 저부 표면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424)와 접촉하며, 그 캠 외면(412a,412b,412c)은 중간 부재(SA)의 저부 표면상에 구비된 캠 종동 부재(425)와 접촉한다.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425)와 하부 드럼(Dd)의 캠 종동 부재(424)는 제3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캠 부재(CA)의 회전 방향으로 180°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그들은 각기 캠 외면(412a,412b,412c) 및 캠 외면(413a,413b,413c)과 접촉한다.
즉, 이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정상 재생 위치에 있는 경우,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425)는 평탄한 캠 외면(412b)과 접촉하고, 캠 종동 부재(424)는 평탄한 캠 외면(413b)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중간 부재(SA)와 하부 드럼(Dd)은 드럼 베이스(DB)에 평행하게 지지된다.
본 장치가 FF 재생 모드에 있는 경우, 캠 종동 부재(425)는 경사 캠 외면(412a)과 접촉하고, 캠 종동 부재(424)는 경사 캠 외면(413a)과 접촉한다.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425)는, 캠 외면(412b)보다 더 높은 표면을 제공하는 캠 외면(412a)에 의해 가압되어, 제3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422) 및 판 스프링(423a,423b)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트랙 수정을 성취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드럼(Dd)의 캠 종동 부재(424)는, 캠 외면(413b) 보다 더 낮은 표면을 구성하는 캠 외면(413a)과 접촉하여, 제3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421) 및 판 스프링(423a,423b)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리드 수정을 성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FB 재생 모드에 있는 경우, 캠 종동 부재(425)는 경사 캠 외면(412c)과 접촉하고, 캠 종동 부재(424)는 경사 캠 외면(413c)과 접촉한다.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425)는, 캠 외면(412b) 보다 더 낮은 표면을 제공하는 캠 외면(412c)에 의해 가압되어, 제3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422) 및 판 스프링(423a,423b)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트랙 수정을 성취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드럼(Dd)의 캠 종동 부재(424)는 캠 외면(413b) 보다 더 낮은 표면을 구성하는 캠 외면(413c)과 접촉하여, 제3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421) 및 판 스프링(423a,423b)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리드 수정을 성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록 링 형상 판 스프링(400)을 사용함으로써 중간 부재(SA)가 하부 드럼(Dd)상에 장착되기는 하지만, 판 스프링이 항상 링 형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7실시예에서의 것과 같은 한쌍의 판 스프링(426,427)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7도 내지 제39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설명키로 한다. 이 실시예는 제 9 실시예에에서는 하부 드럼(Dd)에 대한 중간 부재(SA)의 피봇 포인트가 고정 샤프트(99)에 근접한 내표면에 구비되므로 하부 드럼(Dd)를 경사시킴에 리드 수정이 실행된다는 점에서 제 9 실시예와 다르다. 환언하면, 이 실시예는 중간 부재(SA)를 하부 드럼(Dd)에 대해서 동축으로 현가하는 방법 및 드럼(Dd)에 대한 중간 부재(SA)의 피봇 포인트의 구조만에 있어서 제12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다른 부분의 상세한 설명없이 피봇 포인트의 현가 방법 및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37a도는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제 2 도의 90°-270°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제37b도는 제 2 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제38도는 드럼 쌍을 포함하는 주부분의 분해 상태 사시도이고, 제39도는 제 2 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해진 측단면도이다.
고정 샤프트(99)는 중간 부재(SA)에 가압 삽입되고 상부 드럼(Du)은 제12실시예에서와 같은 베어링(93,94)을 통해서 고정 샤프트(9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중간 부재(SA)의 상단 표면(405)에는 그 중심축 둘레에 한쌍의 피봇 포인트 부재(30,31)(제5h도 혹은 제20도)가 삽입되며, 이들 피봇 포인트 부재(30,31)를 연결하는 직선(L3)에 수직인 직선(L4)상에는 핀(429,430)이 삽입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드럼(Dd)의 베어링 부분(413) 주변에는 관통 구멍들(432-435)이 형성된다. 중간 부재(SA)에 삽입된 피봇 포인트 부재들(30,31)은, 관통 구멍(432,433)에 각기 느슨하게 끼워져 하부 드럼(Dd)에 대한 중간 부재(SA)의 피봇 포인트를 형성하면, 그 부재들의 단부는, 스페이서(436)에 맞대져서 피봇 포인트 부재(30,31)처럼 스페이서를 지지한다. 스페이서(436)는 상부 드럼(Du) 및 중간 부재(SA)상에 각기 장착된 회전 트랜스포머(23,24) 사이의 갭을 조정하고 베어링(93,94)에 가해진 압력을 수납한다.
하부 드럼(Dd)의 베어링 부분(431)의 내표면은 제37a도 및 제3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단면으로써, 적은 틈새를 가지고 고정 샤프트(99)를 수납하여 그 결과 실질적인 선 접촉을 형성하는 바, 따라서 중간 부재는 제37b도에서 점(0c)(선 L3)을 중심으로 하부 드럼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제37a도에 도시된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즉, 상부 드럼(Du)) 사이의 동축 관계가 유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보스(417a,417b)상에는 판 스프링(423a,423b,428a,428b)이 설치되어 하부 드럼(Dd)의 저부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중간 부재(SA)의 관통 구멍(418a,418b)을 통해 각기 돌출한다. 판 스프링(423a,423b)은 드럼(Dd)을 드럼 베이스(DB)로 편향시키고, 판 스프링(428a,428b)은 중간 부재(SA)를 하부 드럼(Dd)의 하부 표면으로 편향시켜 드럼 베이스(DB)에 관하여 하부 드럼(Dd) 및 중간 부재(SA)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드럼(Dd)이 정밀하고도 극히 용이하게 기계 가공될 수 있는 고정 샤프트(99)상에 설치되므로 바람직한 끼워 맞춤 조건을 확보하기 용이하고, 또한 중간 부재(SA)의 회전중 마찰에 의한 부하 변동이 매우 작기 때문에 원활한 회전이 실현된다. 또한, 끼워 맞춤 부분과 피봇 포인트가 내표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T)에 대한 미끄럼면을 구성하는 하부 드럼(Dd)의 벽 두께를 감소시키고, 나아가서, 회전 트랜스포머의 직경을 크게 하여 멀티 채널 시스템(multi-channel system)의 가능성을 확보한다.
이제, 제40도 내지 제42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를 설명키로 한다.
제10 내지 제1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드럼(Du)을 경사시킴으로써 트랙 수정이 실행되고 일체적으로 형성된 자기 테이프(T) 안내용 가이드 부분(G)을 가지는 하부 드럼(Dd)을 경사시킴으로써 리드 수정이 실행되는데 가이드 부분(G)은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와 일치한다.
그러나, 제14실시예에서는 트랙 수정이 상부 드럼(Du)과 하부 드럼(Dd)을 함께 경사시킴에 의해 실행되고, 리드 수정은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를 안내하도록 하부 드럼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부분(GA)을 경사시킴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므로, 다른 부분들의 상세한 설명없이 상기 수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40a도는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제 2 도의 90°-270°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제40b도는 제 2 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제41도는 드럼 쌍을 포함하는 주부분들의 분해 상태 사시도이고, 제42도는 제 2 도의 0°-180°선을 따라 취해진 측단면도이다.
드럼(Du)은 나사(3,4)에 의해 드럼 모터(Md)의 회전 샤프트(1)에 고정된 상부 고정 부재(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드럼 모터(Md)는 예정된 속도로 회전하며, 회전 자기 헤드(Ha,Hb)는 정주 드럼(Dd)상에 장착된 베어링(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 샤프트(1)와 함께 회전한다. 도면 부호(23,24)는 상부 고정부재(2) 및 하부 드럼(Dd)상에 각기 고정적으로 장착된 회전 트랜스포머를 도시한다. 드럼 모터(Md)의 고정자(105)는 나사(12,13)에 의해 하부 드럼(Dd)에 고정되며, 회전자(29)는 나사(9,10)에 의해 회전 샤프트(1)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샤프트 고정 부재(11)상에 장착된다. 드럼 모터(Md)의 고정자에는 코일(15)이 장착되고 회전자(92)에는 영구 자석(14)이 장착된다.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분(GA)은 상부 드럼(Du) 및 하부 드럼(Dd)으로 부터 분리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BP)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분(GA)은 하부 드럼(Dd)의 소직경 부분(288)상에 느슨하게 끼워 맞취지고 중심축의 경사 조정용으로 이용된 환형 캠 부재(CRA)를 통해서 드럼 베이스 (DB)상에 장착된다.
제40a도에 도시된 피봇 부재(30,31)는 드럼 쌍(DA)상에서 하부 드럼(Dd)의 소직경부(288)의 저부와 90°-270°선상의 위치에서 가이드 부분(GA)과 일체인 베이스 플레이트(BP)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회전 샤프트(1)의 경사 조정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상부 표면과 하부 드럼(Dd)의 소직경부(288)의 저부(283) 사이에는 환형 캠 부재(CA)가 설치된다.
즉, 환형 캠 부재(CA)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회전되는 경우, 피봇 포인트 부재(30,31)를 연결하는 선(L7)을 따라 공통 회전측을 가지는 하부 드럼(Dd) 및 드럼 모터(Md)는 가이드 부분(GA)의 중심축에 관하여 제40b도의 점(0c)을 중심으로 도면의 좌우측으로 예정된 각도만큼 함께 경사진다.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하부 표면에는 구멍들(284,285)[제40a도] 및 구멍들(277,278)[제40b]이 형성되며, 구멍들(284,285,277,278)과 하부 드럼(Dd)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드럼 모터(Md)의 장착판(7)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스프링(286,287,40,41)이 각기 설치된다.
제4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BP)에는 나사(240,241)에 의해 판 스프링(242)의 기초 단부(그 판 스프링(242)의 구조는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다)가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 부분(GA)가 일체인 베이스 플레이트(BP)는 드럼 베이스(DB)의 하부 표면에 대항한 판 스프링(242)의 자유 단부의 가압 접촉에 의해 드럼 베이스(DB)에 관하여 연직 방향으로 약간 변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BP)는, 드럼 쌍(DA)의 0°-180°선상에서 드럼 베이스(DB)상에 설치된 위치 조정 핀(243,244)을 베이스 플레이트(BP)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드럼 베이스(DB)에 대하여 위치 조정된다[제40b도 참조].
이 실시예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가이드 부분(GA)과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구멍들(284,285,287,288)이 형성된다는 점(제23도 내지 제26도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4개의 스프링 장착용 구멍중 2개의 구멍(275,276)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2개 구멍(277,278)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다)에서만 제23도 내지 제26도의 실시예와 다르며, 이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은 제23도 내지 제26도를 참고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의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용 경사 조정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환형 캠 부재(CA)는 가이드 부분(GA)과 일체적으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상부 표면과 하부 드럼(Dd)의 소직경부(288)의 하부 표면 사이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BP)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가이드 부분(GA)의 중심축의 경사 조정 수단으로 작용하는 환형 캠 부재(CRA)는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하부 표면과 드럼 베이스(DB)의 상부 표면 사이에 설치된다. 환형 캠 부재(CRA)는 드럼 쌍(DA)의 90°-270°선상에서 드럼 베이스(DB)상에 설치된 위치 조정 핀(245,246)(제40a도 및 제25도 참조)을 환형 캠 부재(CRA)의 내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드럼 베이스(DB)에 대하여 위치 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 샤프트(1)의 경사 조정용 환형 캠 부재(CA)와 가이드 부분(GA)의 중심축의 경사 조정용 환형 캠 부재(CRA)가 각기 제25도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드럼(Dd)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36,37)는 환형 캠 부재(CA)의 상부 표면상에 형성된 캠 외면(258-263)(제25도)에 접촉한다.
즉, 환형 캠 부재(CA)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회전 샤프트(1)를 통해서 서로 세트를 이루며, 피봇 포인트 부재(30,31)를 연결하는 선(L7)을 따라 공통 회전축을 가지는 상부 드럼(Du), 하부 드럼(Dd)및 드럼 모터(Md)는 제40b도의 점(0c)을 중심으로 가이드 부분(GA)의 중심축에 대하여 예정된 각도만큼 도면의 좌우측으로 함께 경사지게 되며, 이로써 트랙 수정을 실행한다.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하부 표면과 드럼 베이스(DB)의 상부 표면 사이에 설치된 환형 캠 부재(CRA)는 베이스 플레이트(BP)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248)와 접촉하는 상부 표면에 캠 외면(215-256)을 가진다(제25도 참조). 또한, 환형 캠 부재(CRA)에는 각기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후방 표면상에 구비된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50)와 접촉하는 피봇 포인트 평면 부분(238,239)가 형성되어 있다. 즉, 환형 캠 부재(CRA)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가이드 부분(GA)의 중심축은,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80)를 연결하는 선(L9)을 따른 회전 중심축과 함께, 제40b도의 점(0c')를 중심으로 하여 드럼 베이스(DB)의 중심축에 대해 예정된 각도만큼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리드 수정을 실행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 자기 헤드(Ha,Hb)의 궤적면의 피봇 포인트인 피봇 포인트 부재(30,31)를 그 궤적면 근처어 설치하는 것이 항상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는, 이 실시예의 경우, 상부 드럼(Du)과 하부 드럼(Dd)이 함께 회전하여 트랙 수정을 실행하고, 그러므로, 피봇 포인트의 위치에 관계없이 자기 테이프(T)의 회전 자기 헤드(Ha,Hb)의 갭들과의 접촉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히려 피봇 포인트 (249,250)가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후방 표면상에 구비된 피봇 포인트 부재(30,31)와 관련하여 상호 인접하도록 그들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개별적인 재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환형 캠 부재(CA,CRA)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정규 재생 모드에서, 하부 드럼(Dd)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36,37)는 각기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2,259)과 접촉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BP)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247,248)는 각기 환형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5,248)는 각기 환형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5,252)과 접촉한다.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59,262)은 높이가 같고, 환형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5,252)은 피봇 포이트 평면 부분(238,239)와 같은 높이이기 때문에, 상부 드럼(Du)과 하부 드럼(Dd)의 중심축과 가이드 부분(GA)의 중심축은,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정상 재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재생 모드에 적합한 예정 방향에서 상호 일치한다. 그러므로, 이 작동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T)는 가이드 부분(GA)의 전체 영역에 걸쳐 하부 드럼(Dd)으로부터 분리 설치된 가이드 부분(GA)과 정확히 접촉하는 기준 엣지(Te)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예정 속도로 주행하여, 제5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엔빌로우프를 가지는 재생 신호를 발생시킨다.
FF 재생 모드에서, 하부 드럼(Dd)상에 설치된 캠 종동 부재(36,37)는 각기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1,258)과 접촉한다. 캠 부재(CA)의 캠 외면(261)이 캠 외면(258)보다 높기 때문에, 상부 드럼(Du) 및 하부 드럼(Dd)의 중심축들은 제4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분(GA)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져서 트랙 수정을 실행한다.
이때에는 또한, 하부 드럼(Dd)으로부터 분리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BP)상에 구비된 캠 종동 부재(247,248)가, 핀(266-268)에 의해 환형 캠 부재(CA)에 연결되는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4,251)과 각기 접촉한다.
환형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4)이 캠 외면(251)보다 더 높고, 베이스 플레이트(BP)상에 설치된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50)가 각기 환형 캠 부재(CRA)의 피봇 포인트 평면 부분들(238,239)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BP)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분(GA)은, 회전 중심축으로서 피봇 포인트 평면 부분(249,250)을 직선(L9)과 함께, 캠 외면(254,251)간의 높이차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경사진다. 이때, 가이드 부분(GA)의 중심축은 상하 드럼의 중심축의 경사 방향을 향하여 예정된 작은 각도 만큼 경사져서 리드 수정을 실행하고, 자기 테이프(T)는 기준 엣지(Te)가 가이드 부분(GA)의 전체 영역에 걸쳐 하부 드럼(Dd)으로부터 분리 형성된 가이드 부분(GA)과 정확히 접촉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예정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FB 재생 모드에서, 하부 드럼(Dd)상에 구비된 캠 종동 부재(36,37)는 상기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3,260)과 접촉한다.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3)이 캠 외면(260) 보다 더 낮기 때문에, 상하 드럼들의 중심축은 제4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분(GA)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짐으로써 트랙 수정을 실행한다.
이 경우, 하부 드럼(Dd)으로부터 분리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BP)상에 구비된 캠 종동 부재(247,248)는 핀(266-268)에 의해 환형 캠 부재(CA)에 연결되는 환형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6,253)과 각기 접촉한다.
환형 캠 부재(CRA)의 캠 외면(256)이 캠 외면(253) 보다 낮고 베이스 플레이트(BP)에 제공되는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50)들이 환형 캠 부재(CRA)의 피봇 포인트 평탄부(238,239)와 각각 접촉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BP)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부분(GA)은 회전 중심축으로서 피봇 포인트 평면(249,250)을 연결하는 직선(L9)과 캠 외면(256,253) 사이의 높이 차이에 상응하는 각도 만큼 경사지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 부분(GA)의 중심축은 리드 보정을 수행하도록 예정된 속도로 각도만큼 상부 및 하부 드럼들의 중심선의 경사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되므로, 자기 테이프(T)는 예정된 속도로 주행하는 한편, 가이드 부분(GA)의 전체 영역 이상의 하부 드럼(Dd)으로부터 별개로 제공되는 가이드 부분(GA)과 접촉하는 이것의 기준 엣지(Te)와 함께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15실시예가 제 4 도 및 제43 내지 제48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어진다.
제10 내지 제14실시예의 각각은 제49c도 및 제50c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리드 수정을 채용한다. 즉, 트랙 수정은 상부 드럼(Du)의 회전 또는 상부 및 하부 드럼(Du,Dd)의 조합에 자기 헤드(Ha,Hb)의 궤접면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수행되고, 한편 리드 수정은 하부 드럼(Dd)으로부터 별개로 제공되는 가이드 부분(GA) 또는 하부 드럼(Dd)와 일체인 가이드 부분(G)을 경사시킴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는 제49d 및 제50d도를 참조하여 이미 기술된 리드 수정을 수행한다. 즉, 트랙 수정은 상부 드럼(Du) 또는 상부 드럼 및 하부 드럼(Dd)의 조합의 회전에 의하여 자기 헤드(Ha,Hb)들의 궤적면을 경사지게 함에 의하여 수행되는 한편, 리드 수정은 자기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드럼 쌍(DA)에 관하여 공급축 가이드 롤러(SGR) 및 테이크업측 가이드 롤러(TGR)를, 테이브의 기준 엣지(Te)가 하부 드럼(Dd)상에 형성된 가이드 부분(G) 혹은 하부 드럼(Dd)과 별개로 제공되는 가이드 부분(GA)과 일치하도록 변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제47a도는 드럼 쌍을 포함하는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제 2 도에서 90°~270°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제47b도는 제 2 도에서 0°~180°의 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제48도는 제 2 도에서 0°~180°의 선을 따라서 취한 측단면도이다.
제43a도 또는 제45도에서, 드럼 쌍(DA)은 예를들어 제4 또는 제47도에서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제 4 도에 도시된 드럼 쌍(DA)에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이기 때문에, 이것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한다. 그러나, 그것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43a도 또는 제45도와 관련하여 제47도에 도시된 드럼 쌍(DA)의 설명과 함께 이후에 설명키로 한다.
먼저, 제47도에 도시된 드럼 쌍과 이와 관련된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제47도에 도시된 드럼 쌍(DA)은, 제14실시예의 피봇 포인트 돌출부(249,250), 캡 종동 부재(247,248) 및 환형 캠 부재(CRA)들이 제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BP)가 드럼 베이스(DB)에 고정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40 및 제41도를 참고로 설명된 제14실시예의 구성과 상당히 다르다.
드럼 쌍(DA)의 이러한 차이는 제47도 및 제40도에 도시된 드럼 쌍(DA)들의 상응하는 부분이 각각 동일 부호로 도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25도에 도시된 환형 캠 부재(CA)가 제47도에 도시된 드럼 쌍(DA)의 회전 샤프트(1)용 경사 조정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하부 드럼(Dd)의 소직경 부분(288)의 바닥 부분(283)상에 제공되는 캠 종동 부재(36,37)들은, 섹터 형상 기어(265)가 도시되지 않은 피니언에 의해 구동되어 드럼 베이스(DB)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257)내에서 회전할때,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58~263)들과 접촉하게 된다.
제47도에 도시된 드럼 쌍(DA)을 사용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통상의 재생 모드로 작동할때, 하부 드럼(Dd)의 소직경 부분(288)의 바닥 부분(283)상에 제공되는 캠 종동 부재(36)는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2)과 접촉하고, 캠 종동 부재(37)는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59)과 접촉한다.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FF 재상 모드로 작동할때, 캠 종동 부재(36,37)들은 캠 외면(261,258)들과 각각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1)이 캠 외면(258) 보다 높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드럼(Du,Dd)의 중심축은 트랙 수정을 수행하도록 제4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을 연결하는 직선(L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장치가 FB 재생 모드로 작동할때, 캠 종동 부재(36,37)들은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3,260)들과 각각 접촉한다. 환형 캠 부재(CA)의 캠 외면(263)이 캠 외면(260) 보다 낮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드럼(Du,Dd)의 중심축은 트랙 수정을 수행하도록 제4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봇 포인트 부재(30,31)들을 연결하는 직선(L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장치 구성의 일부로서 제43a 또는 제45도에 도시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드럼 쌍(DA)이 제4 또는 제47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할지라도, 이것의 구성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중심축 경사각이 기록·재생 모드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제2 내지 9 실시예에서 언급된 드럼 쌍(DA) 또는 다른 드럼 쌍을 사용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제43a도에서, 피니언(21)은 기어 모터(Mg)의 출력 샤프트(20)에 고정 장착된다. 피니언(21)은 연결 부분(264)을 통하여 환형 캠 부재(CA)상에 제공되는 섹터 형상 기어(265)와 맞물린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 부분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Mg)의 구동력이 출력 샤프트(20) 피니언(21) 및 연결 부분(264)을 통하여 환형 캠 부재(CA)에 전달될 때, 환형 캠 부재(CA)는 상기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를 경사지도록 작동된다.
연결 핀(503)은 연결 부분(264)상에 삽입되고, 아크 형상의 액튜에이터 부재(FA)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구멍(504)을 관통한다.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는 2쌍의 작동기(505,506 및 507,508)를 양단부에 구비한다.
각각의 작동기(505 내지 508)들은 제4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캠 외면(509 내지 520)들과 함께 형성된다. 이러한 캠 외면(509 내지 520)들은 다음에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T)의 폭방향으로 변이할 수 있는 공급측 가이드 롤러(SGR) 및 테이크업축 가이드 롤러(TGR)의 하부 플랜지(535)들의 하부면을 포함하는 캠 종동 부재들과 접촉한다.
샤프트(534, 제44도 참조)를 에워싸는 원통형 부분(540)은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하부 플랜지(535)들 바로 아래에 각각 제공된다. 슬롯(521,522)들이 작동기(505,506)들 사이와 작동기(507,508)들 사이에 각각 제공되며, 원통형 부분(540)들이 슬롯들 내에 각각 수용된다. 아크 형상의 작동 부재(FA)는 긴 슬롯(523,524)들과 함께 형성되고, 드럼 베이스(DB)에 형성된 가이드 홈(527,528)에 삽입된 핀(525,526)들은 긴 슬롯안에 각각 수용된다.
즉, 로딩 메커니즘상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SGR,TGR)들이 기록·재생 작동중에 이것들의 수정 위치에 있을때, 작동기 부재(FA)는, 가이드 홈(527,528)을 따라 안내되며,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하부 플랜지(535)들 바로 아래 제공된 원통형 부분(540)들은,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의 작동기(505,506)들 사이 및 작동기(507,508)들 사이에 제공되는 각각의 슬롯(521,522)에 수용된다.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가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될 때, 작동기(505~508)들에 형성된 캠 외면(509,520)들은 캠 종동 부재로서 이용되는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각 하부 플랜지들의 하부면과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자기 테이프(T)의 폭 방향으로 변이할 수 있는 공급축 가이드 롤러(SGR) 및 데이크업축 가이드 롤러(TGR)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4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급축 가이드 롤러(SGR) 및 데이크업축 가이드 롤러(TGR)들은 로딩 메커니즘의 베이스 플레이트(529)에 장착되는 지지 부분(PS)에 관계하여 자기 테이프의 폭방향(제 7 도에서 상하 방향)으로 변이할 수 있다.
지지 부분(PS)은 2개의 지지 부재(530,538)들로 이루어지고, 로딩 메커니즘의 베이스 플레이트(529)가 지지 부재들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 부분(PS)은 테이프 로딩시 베이스 플레이트(529)에 관계하여 가동될 수 있다.
지지 부재(530)의 하부 부분에 중공 부분(531)이 제공되며, 지지 부재 외부벽에 슬릿(S)이 형성된다. 지지 부분(PS)의 지지 부재(530,538)들은 그 중심 부분에 샤프트(534)가 관통하는 구멍들이 형성된다. 핀(532)은 샤프트(534)의 단부 부분에 고정된다. 핀(34)의 양 단부 부분들이 슬릿(S)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샤프트(534)는 상하로 이동시 회전할 수 없다. 샤프트(534)를 하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스프링(533)이 핀(532)과 중공 부분(531)의 바닥 부분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가 회전할 때, 이것의 바닥면은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위한 지지 부분(PS)의 지지 부재(538)의 상부 부분에 제공된 소직경 부분(539)의 단부변과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덧붙여,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분(FA)은 가이드 홈(527,528)을 따라서 안내되며, 이때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플랜지(535)들 바로 아래 제공되는 원통형 부분(540)들이 작동기(505,506)들 사이와 작동기(507,508)들 사이에서 각각 형성되는 슬롯(521,522)들 안에 수용된다.
샤프트(534)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중공 부분(539a)은, 하부 플랜지(535) 바로 아래에서 수직으로 제공되는 원통형 부분(540)을 안내하도록 로딩 메커니즘에 베이스 플레이트(529) 바로 위에 제공되는 지지 부재(538)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 소직경 부분에 형성된다.
자기 테이프(T)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가지는 롤러(537)가 샤프트(534)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부 플랜지(536)는 샤프트(534)의 상부 단부에 고정 장착된다. 그러므로, 자기 테이프(T)는 하부 플랜지(535)의 상부면과 상부 플랜지(536)의 하부면 사이에 제공되는 롤러(534)의 외부 외주면을 따라서 구동하는 한편, 테이프 폭 방향에서의 이것의 위치는 하부 플랜지(535)의 상부면과 상부 플랜지(536)의 하부면에 의해 제한된다.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정상 재상 모드 작동, FF 재생 모드 작동 및 FB 재생 모드 작동중에 아크 형상의 작동기(FA)에 의해 한정되는 공급축 가이드 롤러(SGR) 및 테이크업축 가이드 롤러(TGR)의 높이(자기 테이프 구동 경로에서 위치)들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제44a,44b도에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정상 재생 모드로 작동할때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의 작동기(505,506)들에 형성된 캠 외면(510,513)들과 작동기(507,508)들에 형성된 캠 외면(516,519)들에 의해 높이(자기 테이프 구동 경로에서의 위치)가 제한되는 가이드 롤러(SGR,TGR)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정상 재생 모드에서, 제 4 도에 도시된 상부 드럼(Du), 또는 제47도에 도시된 상부 드럼(Du) 및 하부 드럼(Dd)이 정지하기 때문에, 공급축 가이드 롤러(SGR)로부터 데이크업축 가이드 롤러(TGR)의 상대 변이가 없다.
제44c,44d도에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FF 재상 모드로 작동할때,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의 작동기(505,506)상에 형성된 캠 외면(511,514)들과 작동기(507,508)상에 형성된 캠 외면(515,518)에 의해 높이(자기 테이프의 구동 경로에서의 위치)가 제한되는 가이드 롤러(SGR,TGR)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FF 재생 모드에서, 제 4 도에 도시된 상부 드럼(Du), 또는 제47도에 도시된 상부 드럼(Du) 및 하부 드럼(Dd)이 트랙 수정을 수행하도록 제4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기준 엣지(Te)가 θ2만큼 가이드 부분(G 또는 GA)을 향해 경사지려는 경향은 제49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공급축 가이드 롤러(SGR) 및 데이크업축 가이드 롤러(TGR)의 상하향 변이에 의해 방지되고, 그 결과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는 바람직한 재생 시호를 인정적으로 제공하는 전체 가이드 부분(G 또는 GA)을 따라서 안내된다.
제44e 및 44f도에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FB 재생 모드로 작동할때 아크 형상의 작동기(FA)의 작동기(505,506)들상에 형성된 캠 외면(509,512)들과 작동기(507,508)들상에 형성된 캠 외면(517,520)들에 의해 높이(자기 테이프 구동 경로에서의 위치)가 제한되는 가이드 롤러(SGR,TGR)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FB 재생 모드에서, 제 4 도에 도시된 상부 드럼(Du), 또는 제47도에 도시된 상부 드럼(Du) 및 하부 드럼(Dd)이 트랙 수정을 수행하도록 제5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T)의 기준 엣지(Te)가 각도μ2만큼 가이드 부분(G 또는 GA)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향은 제50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공급축 가이드 롤러(SGR)와 데이크업축 가이드 롤러(TGR)의 상하향 변이에 의해 방지되고, 그 결과 자기 테이프(T)의 전체 기준 엣지(Te)는 가이드 부분(G 또는 GA)을 따라 안내되어 바람직한 재생 신호를 안정적으로 실현한다.
제43a,b도 및 제44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작동기(505~508)들에는 다수의 특성 캠 외면(509 내지 520)들이 형성된다.
제45도 및 제46도는, 각각 균일한 경사의 형태로 캠 외면(549,550,551)들이형성되는 작동기(FAf1,FAf2),이들 작동기들은 전체적으로 "작동기(FAf)"로 칭할 것임)는 한쌍의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1,FA2)들이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는,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지지 부분(PS)의 지지 부재(538)의 상부 부분에 제공된 소직경 부분(539)의 단부면과, 가이드 롤러(SGR,TGR)의 하부 플랜지(535) 바로 아래 제공된 원통형 부분(540)들을 사이에 끼는 상부 단부 부분 부근에 있는 갭과 나란히 놓이는 2부분들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의 작동기(FAf)의 바닥면과 함께 회전한다.
균일한 경사 캠 외면(549~522)들과 함께 형성되는 작동기(FAf)들을 가지는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가 사용될때, 캠 부재(549~552)들이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의 작동기(FAf)의 바닥면과 함께 회전한다.
균일한 경사 캠 외면(549~552)들과 함께 형성되는 작동기(FAf)들을 가지는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가 사용될때, 캠 부재(549~552)들이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들의 회전으로 캠 종동 부재로서 작용하는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하부 플랜지(535)들의 하부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높이(테이프 구동 경로에서의 위치)는 단계가 없이 연속적으로 변환된다.
리드 수정이 가이드 롤러(SGR,TGR)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될때, 캠 외면들을 가지는 환형 캠 부재(C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것으로, 상부 드럼(Du) 및 중간 부재(SA, 제 4 도에 도시된 드럼 쌍(DA)의 경우에) 또는 상부 드럼(Du) 및 하부 드럼(dd), 제47도에 도시된 드럼 쌍(DA)의 경우에)의 공통의 중심축의 경사각이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제46도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구조는 제44도의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한 생략한다.
제43도에 도시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환형 캠 부재(CA) 및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들은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고, 이것들은 제4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공되는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43도에 도시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기어 모터(Mg,Mg1 및 Mg2)들이 제공된다. 피니언(21)은 모터(Mg)의 출력 샤프트(20)에 고정장착된다. 피니언(21)은 연결 부분(264)을 통하여 환형 캠 부재(CA)상에 제공된 섹터 형상 기어(265)와 맞물린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 부분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의 구동력이 출력 샤프트(20), 피니언(21) 및 연결 부분(264)을 통하여 환형 캠 부재(CA)에 전달될때, 환형 캠 부재(CA)는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트랙 수정을 수행하도록 회전 샤프트(1)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키도록 작동된다.
피니언(542)은 기어 모터(Mg1)의 출력 샤프트(541)에 고정 장착된다. 피니언(542)은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f1)에 제공되는 섹터 형상 기어(243)과 맞물린다. 덧붙여, 피니언(545)은 기어 모터(Mg1)의 출력 샤프트(544)에 고정 장착된다. 피니언(545)은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f2)에 제공되는 섹터 형상 기어(546)와 맞물린다. 기어 모터(Mg1,Mg2)들이 도시되지 않은 제어 부분에 의해 구동될때,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1, FA2)들은 드럼 베이스(DB)에 제공되는 아크 형상의 가이드 홈(547,548)안에서 각각 회전된다. 도면부호 555는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1)에 형성된 긴 슬롯이며, 도면부호 557은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2)에 형성된 긴 슬롯이고, 도면부호 556,558들은 베이스 플레이트(BP)에 삽입된 핀들이다.
그 사이에 있는 갭(553)과 나란히 놓인 두 부분들로 이루어지는 작동기(FAf1)와 그 사이에 있는 캡(554)과 나란히 놓인 두 부분들로 이루어지는 작동기(FAf2)들은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1,FA2)들의 한쪽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작동기(FAf1)는 연속적인 경사 캠 외면(549)이 형성되는 부분과, 갭(553)과 나란히 놓이며 연속적인 경사 캠 외면(55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작동기(FAf2)는 연속적인 경사 캠 외면(551)이 형성되는 부분과, 갭(554)과 나란히 놓이며 연속적인 경사 캠 외면(552)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1, FA2)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할때, 작동기(FAf1,FAf2)들의 바닥면들은 가이드 롤러(SGR,TGR)들을 위한 지지 부분(PS)의 지지 부재(538)의 상부 부분에 제공되는 소직경 부분(539)의 단부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덧붙여,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들은, 가이드 롤러(SGR,TGR)들의 하부 플랜지(535)들 바로 아래 제공되는 원통형 부분(540)들이 이것들의 양쪽 단부들 부근에 제공되는 갭들과 나란히 놓인 두 부분들 사이에 끼이는 것으로 회전된다.
각각의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1,FA2)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작동기(FAf1,FAf2)에 연속적인 캠 외면들 대신에 제44도와 같이 다수의 순차적인 캠 외면들을 형성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고, 덧붙여, 작동기 부재(FA1,FA2)들을 합병하여 하나의 기어 모터로 합체된 부재들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45도에 도시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와 같이, 공급축 가이드 롤러(SGR) 및 데이크업축 가이드 롤러(TGR)의 높이가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1,FA2)들의 한쪽 단부 부분들에 각각 제공되는 작동기(FAf1,FAf2)들에 의하여 별개로 변화될때,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 롤러(SGR,TGR)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53 또는 제55도에 도시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서, 재생모드의 변화에 일치하여 회전되어지는 환형 캠 부재(CA)의 회전량 및 아크 형상의 작동기 부재(FA,FA1,FA2등)들의 회전량은 각 회전부품에 제어센서를 제공하고 위치센서들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 부분에서 발생되는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각각의 구동원(모터)들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어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회로는 다양한 공지의 제어 회로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가 제1 내지 제15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들어, 하부 드럼(Dd)과 중간 부재(SA) 사이의 피봇 포인트 구조는 회전 중심축이 되는 직선(예를들어, 직선(L7))을 따라서 연장하는 핀으로 이것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현실화 될 수도 있다.
상기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형태의 캠 부재(CA ; CRA)들이 하부 드럼(Dd)에 관계하여 중간 부재(SA)를 회전시키도록, 또는 드럼 베이스(DB)와 함께 하부 드럼(Dd)을 회전시키도록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회전을 위한 방법이 환형 캠 부재(CA,CRA)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드럼(Dd)에 관계한 중간 부재(SA)의 경우에, 한쌍의 관통 나사구멍들이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36,37)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하부 드럼(Dd) 또는 드럼 베이스(DB)에 제공되며, 각각의 나사들 일단에 기어를 가지는 한쌍의 나사들이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각각의 나사들의 타단을 하나 또는 양쪽의 캠 종동 부재(36,37)들과 접촉하도록 만들어지는 구조 또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기계적인 배열과 함께, 한쌍의 나사들은 제어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들과 함께 상하로 가동되어서, 각각의 스크루들은 중간 부재(SA)의 캠 종동 부재(36,37)의 회전을 야기시키도록 이것들을 누른다.
각각의 실시예들의 FF 재생에 대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FB 재생등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 장치는 "본 발명의 목적"이 아이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소위 "시간 지연 기록(time lapse recording)"으로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즉, 재생동안 예상된 테이프 구동 속도를 고려하는 것에 의하여 정지된 자기 테이프에 대하여 예비 경사지게 되는 회전 자기 헤드들의 궤적면으로 시간 지연 기록을 수행하는 것이 충분하다.
덧붙여, 상기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회전 상부 드럼(Du)에 장착된 회전 자기 헤드(Ha,Hb)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부 드럼(Du)이 자기 헤드(Ha,Hb)를 지탱하는 회전 디스크와 같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실제로 제 1 실시예의 변경예인 제55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55a도는 드럼 쌍과 이것의 주 부분 단면을 도시하고, 이는 제 2 도의 90°및 270°를 통과하는 상하 평면을 따라서 취한 것이며, 제55b도는 제 2 도의 0°및 180°를 통과하는 상하 평면을 따라서 취한 단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부 드럼(Du)은 브라켓(601)에 의하여 드럼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드럼(Dd)에 공축선으로 고정되고, 회전 자기 헤드(Ha,Hb)를 운반하는 회전 디스크(602)는 플랜지(603)과 함께 회전 샤프트(1)에 고정되며, 상기 구조외의다른 구조는 제 4 도 및 다른 도면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트랙 수정은 드럼(Md), 중간 부재(SA), 회전 디스크(602)들이 일체형 유니트로서 선(L3, 지점 0c) 주위에서 회전됨으로써 수행된다. 상부 드럼(Du)은 자기 테이프(T)용 미끄럼 접촉면으로서 기능한다. 상부 및 하부 드럼(Du,Dd)들이 서로 고정되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T)와 드럼쌍의 접촉 관계는 중간 부재(SA)의 이동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설명이 제 1 실시예의 변경예로서 주어졌을지라도, 유사한 변경예가 앞에 기술된 다른 실시예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3)

  1. 외주부에 감긴 자기 테이스상의 경사 트랙상에 신호를 기록하고 그 트랙으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회전 헤드 수단이 구비된 드럼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수단은 예정된 각도 범위에 걸쳐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접촉 부분을 가지며, 그 접촉 부분은 상기 드럼 수단에 감긴 자기 테이프와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드럼 수단은 상부 드럼 및 하부 드럼을 가지며, 상기 하부 드럼은 상기 자기 테이프의 기준 엣지를 안내하는 리드 부분을 구비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드럼의 중심축과 직교 연장하는 직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정된 각도 범위를 양분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수단의 궤적면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피봇시키는 피봇 수단과, 상기 회전 레드 수단의 궤적면을 상기 직선 둘레로 예정 각도만큼 경사시키는 경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 수단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지탱하는 중간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상기 하부 드럼과 동축으로 현가하는 현가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하부 드럼과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상기 피봇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수단이, 상기 중간 부재의 외주 부분에 형성된 엣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엣지 부분은, 상기 하부 드럼의 상기 중심축에 직교하는 상기 피봇 수단을 포함한 평면 근체에서 상기 하부 드럼의 내측 부분과 근접 대면하고 있으며, 상기 현가 수단은, 상기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베이스 부분상에 상기 중간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포인트 수단이, 상기 하부 드럼상에 형성된 부가 엣지 부분과, 상기 하부 드럼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부가 엣지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중간 부재의 외주 부분의 일부분중 한 부분에 구비된 한쌍의 구멍과,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외주 부분의 상기 부분과 상기 부가 엣지 부분중 한 부분상에 설치되어 각기 상기 한쌍의 구멍과 결합하는 한쌍의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포인트 수단이, 상기 하부 드럼상에 형성된 부가 엣지 부분과, 상기 하부 드럼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부가 엣지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중간 부재의 외주 부분의 부분중 한 부분에 구비된 한쌍의 구멍과,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외주 부분의 상기 부분과 상기 부가 엣지 부분중 한 부분상에 설치되어 각기 상기 한쌍의 구멍과 결합하는 한쌍의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수단이, 상기 하부 드럼의 내주 부분에 형성된 엣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엣지 부분은, 상기 하부 드럼의 상기 하부 드럼의 상기 중심축에 직교하는 상기 피봇 수단을 포함한 평면 근처에서 상기 하부 드럼의 외주와 근접 대면하고 있으며, 상기 현가 수단은, 상기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베이스 부분상에서 상기 중간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포인트 수단이, 상기 중간 부재상에 형성된 부가 엣지 부분과, 상기 중간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부가 엣지 부분에 대향한 상기 하부 드럼의 일부분중 한 부분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과, 상기 부가 엣지 부분과, 상기 부가 엣지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하부 드럼의 상기 부분중 한 부분에 설치되어 각기 상기 한쌍의 구멍과 결합하는 한쌍의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포인트 수단이, 상기 중간 부재상에 형성된 부가 엣지 부분과, 상기 중간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부가 엣지 부분에 대향한 상기 하부 드럼의 일부분중 한 부분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과, 상기 부가 엣지 부분과, 상기 부가 엣지 분분에 대향하는 상기 하부 드럼의 상기 부분중 한 부분에 설치되어 각기 상기 한쌍의 구멍과 결합하는 한쌍의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부가 엣지 부분의 외경이 상기 하부 드럼상에 구비된 상기 접촉 부분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부가 엣지 부분의 외경이 상기 하부 드럼상에 구비된 상기 접촉 부분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1. 외주부에 감긴 자기 테이프상의 경사 트랙상에 신호를 기록하고 그 트랙으로부터 신호를 재상하는 회전 헤드 수단이 구비된 드럼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수단은 예정된 각도 범위에 걸쳐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접촉 부분을 가지며, 그 접촉 부분은 상기 드럼 수단에 감긴 자기 테이프와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드럼 수단은 상부 드럼 및 하부 드럼을 가지며, 상기 하부 드럼을 상기 자기 테이프의 기준 엣지를 안내하는 리드 부분을 구비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 수단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지탱하는 중간 부재와, 상기 하부 드럼의 중심축에 직교 연장하여 상기 예정된 각도 범위를 거의 양분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궤적 평면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부재를 상기 하부 드럼과 동축으로 연결하는 탄성 수단과, 상기 직선 둘레의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궤적면을 예정 각도만큼 경사시키는 경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부 드럼의 내경부에 끼워맞춤되는 대직경 링과, 상기 대직경 링과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간 부분의 외주상에 끼워맞춤되는 소직경 링 및, 상기 직선상의 2지점에서 상기 대직경 링과 상기 소직경 링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대직경 링은 상기 하부 드럼에 고정되고 상기 소직경 링은 상기 중간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 수단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지탱하는 중간 부재와, 상기 하부 드럼과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궤면적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하부 드럼과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상기 피봇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베어링 수단을 통해서 지지되어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지탱하는 상기 상부 드럼의 회전 중심이 되도록 되어 있는 고정 설치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 수단상에 설치된 중간 부재와, 상기 상부 드럼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회전자와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샤프트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고정자를 구비하는 드럼 모터와, 상기 중간 부재를 상기 하부 드럼과 동축으로 현가하는 현가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하부 드럼과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상기 피봇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수단이, 상기 하부 드럼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하부 드럼의 상기 중심축에 직교하는 상기 피봇 수단을 포함한 평면 근처에서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샤프트상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지고, 상기 현가 수단은, 상기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베이스 부분상에서 상기 중간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수단의 도입측에서 상기 자기 테이프의 주행 경로상에 설치되어 그곳을 통해 주행하는 상기 자기 테이프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 1 가이드 롤러와, 상기 드럼 수단의 출구측에서 상기 주행 경로내에 설치되어 그곳을 통해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 2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의 높이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 1 변위 수단과,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의 높이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 2 변위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수단의 도입측에서 상기 자기 테이프 주행 경로상에 설치되어 그곳을 통해 주행하는 상기 자기 테이프 높이를 제한하는 제 1 가이드 롤러와, 상기 드럼 수단의 출구측에서 상기 주행 경로내에 설치되어 그곳을 통해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 2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의 높이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 1 변위 수단과,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의 높이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 2 변위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8. 외주부에 감긴 자기 테이프상의 경사 트랙상에 신호를 기록하고 그 트랙으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회전 헤드 수단이 구비된 드럼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수단은 예정된 각도 범위에 걸쳐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접촉 부분을 가지며, 그 접촉 부분은 상기 드럼 수단에 감긴 자기 테이프와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드럼 수단은 상부 드럼 및 하부 드럼을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드럼의 중심축에 직교 연장하여 상기 예정된 각도 범위를 대략 양분하는 제 1 의 직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드럼을 피봇시키는 제 1 피봇 수단과, 상기 제 1 직선에 평행한 제 2 직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피봇시키는 제 2 피봇 수단과, 상기 하부 드럼을 상기 제 1 직선 둘레에서 제 1 의 예정 각도만큼 경사시키는 제 1 경사 수단과,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궤면적을 상기 제 2 직선 둘레에서 제 2 의 예정각도만큼 경사시키는 제 2 경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의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 수단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지탱하는 중간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상기 하부 드럼과 동축으로 현가하는 제 1 현가 수단과, 상기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상기 하부 드럼을 현가하는 제 2 현가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하부 드럼과 상기 중간 부재 사이의 상기 제 2 피봇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드럼과 상기 베이스 부분 사이에 상기 제 1 피봇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베어링 수단을 통해서 지지되어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지탱하는 상기 상부 드럼의 회전 헤드 수단을 지탱하는 상기 상부 드럼의 회전 중심이 되도록 되어 있는 고정 설치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 수단상에 설치된 중간 부재와, 상기 상부 드럼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회전자와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샤프트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고정자를 구비한 드럼 모터와, 상기 중간 부재를 상기 하부 드럼과 동축으로 현가하는 제 1 현가 수단과, 상기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상기 하부 드럼을 현가하는 제 2 현가 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상기 하부 드럼과 상기 베이스 부분 사이에 상기 제 1 피봇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현가 수단이, 상기 하부 드럼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하부 드럼의 상기 중심축을 직교하는 상기 피봇 수단을 포함한 평면 근처에서 중간 부재의 상기 샤프트상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지고, 상기 현가 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분 상에서 상기 중간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22. 외주부에 감긴 자기 테이프상의 경사 트랙상에 신호를 기록하고 그 트랙으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회전 헤드 수단이 구비된 드럼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수단은 예정된 각도 범위에 걸쳐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접촉 부분을 가지며, 그 접촉 부분은 상기 드럼 수단에 감긴 자기 테이프와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드럼 수단은 상부 드럼 및 하부 드럼을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드럼의 하부에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하부 드럼상에 구비된 상기 접촉 부분의 그것 보다 더 작은 계단 부분과, 상기 하부 드럼상에 구비된 상기 접촉 부분의 직경 보다 직경이 더 크고 상기 계단 부분상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지는 림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자기 테이프 기준 엣지 안내용 리드 부분과, 상기 하부 드럼의 중심축에 직교 연장하고 상기 예정된 각도 범위를 대략 양분하는 제 1 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드럼 수단과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예정된 각도만큼 함께 경사시키는 제 1 경사 수단과, 상기 제 1 직선에 평행한 제 2 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리드 부분을 예정된 각도만큼 경사시키는 제 2 경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
  23. 외주부에 감긴 자기 테이프상의 경사 트랙상에 신호를 기록하고 그 트랙으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회전 헤드 수단이 구비된 드럼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수단은 예정된 각도 범위에 걸쳐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접촉 부분을 가지며, 그 접촉 부분은 상기 드럼 수단에 감긴 자기 테이프와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드럼 수단은 상부 드럼 및 하부 드럼을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드럼의 하부에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하부 드럼상에 구비된 상기 접촉 부분의 그것 보다 더 작은 계단 부분과, 상기 하부 드럼상에 구비된 상기 접촉 부분의 직경 보다 직경이 더 크고 상기 계단 부분상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지는 림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고정되어 상기 자기 테이프의 기준 엣지를 안내하는 리드 부분과, 상기 하부 드럼의 중심축에 직교 연장하고 상기 예정된 각도 범위를 대략 양분하는 제 1 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드럼 수단과 상기 회전 헤드 수단을 예정된 각도만큼 함께 경사시키는 경사 수단과, 상기 드럼의 도입측에서 상기 자기 테이프의 주행 경로에 설치되어 그곳을 통하여 주행하는 상기 자기 테이프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 1 가이드 롤러와, 상기 드럼 수단의 출구측에서 상기 주행 경로에 설치되어 그곳을 통하여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 2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의 높이를 상기 자기 테이프 폭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 1변위 수단과, 상기 제 2가이드 롤러의 높이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 2 변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 헤드.
KR1019930019636A 1992-09-24 1993-09-24 자기 기록ㆍ재생 장치 KR970008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79577 1992-09-24
JP92-302852 1992-10-15
JP30454892 1992-10-16
JP92-338154 1992-11-25
JP7306793 1993-03-08
JP93-75252 1993-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779A KR940007779A (ko) 1994-04-28
KR970008166B1 true KR970008166B1 (ko) 1997-05-21

Family

ID=2641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636A KR970008166B1 (ko) 1992-09-24 1993-09-24 자기 기록ㆍ재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19544A (ko)
EP (1) EP0593307B1 (ko)
JP (1) JP2897611B2 (ko)
KR (1) KR970008166B1 (ko)
DE (1) DE69322589T2 (ko)
MY (1) MY1103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4856T2 (de) * 1994-08-09 2002-09-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Gerät zur aufnahme und/oder wiedergabe von videosignalen und audiosignalen auf/von schrägspuren auf magnetband und magnetband für solch ein gerät
US5903704A (en) * 1994-08-26 1999-05-11 Hitachi, Lt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cording and reproducing received analog and digital signals
MY112179A (en) * 1994-10-07 2001-04-30 Victor Company Of Japan Helical scan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SG34287A1 (en) * 1994-10-28 1996-12-06 Hitachi Ltd Input-output circuit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digital video signal
US6104862A (en) * 1994-12-19 2000-08-15 Hitachi, Ltd.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mpatible with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JP2776289B2 (ja) * 1995-03-14 1998-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ヘッド高さ測定装置及び方法
DE69623170T2 (de) 1995-04-27 2003-05-15 Hitachi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mpfang und/oder Wiedergabe von digitalen Signalen
JPH1011951A (ja) * 1996-06-27 1998-01-16 Sony Corp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11341419A (ja) * 1998-05-29 1999-12-10 Canon Inc 再生装置
JP2000048308A (ja) * 1998-08-03 2000-02-18 Sony Corp 信号記録再生方法および信号記録再生装置
US10381134B2 (en) * 2015-12-29 2019-08-13 Xerox Corporation Strain gauge polymer comprising photochromic colora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1288B (en) * 1981-11-20 1985-04-11 Sony Corp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rrangements
JPS59104703A (ja) * 1982-12-03 1984-06-16 Sharp Corp ビデオテ−プへの信号記録方式
US4719518A (en) * 1985-08-23 1988-01-1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recording by selectively using one of two kinds of recording systems
DE3869148D1 (de) * 1987-01-27 1992-04-23 Victor Company Of Japan Geraet zur magnetischen aufzeichnung und/oder wiedergabe.
US5051846A (en) * 1987-10-13 1991-09-2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agnetic video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359471A (en) * 1988-05-25 1994-10-2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ing rotary heads according to travelling speeds of a recording medium
JP2752373B2 (ja) * 1988-05-31 1998-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ヘッド型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H02276003A (ja) * 1989-04-18 1990-11-09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72793A (ja) * 1989-04-20 1991-03-27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201687A (ja) * 1989-09-19 1991-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117285A (ja) * 1989-09-29 1991-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JP2580797B2 (ja) * 1989-10-12 1997-02-1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77823B2 (ja) * 1990-11-01 1997-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Ntsc/pal方式両用磁気記録再生装置
JP3261719B2 (ja) * 1992-02-05 2002-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2589T2 (de) 1999-05-06
US5519544A (en) 1996-05-21
JP2897611B2 (ja) 1999-05-31
EP0593307A2 (en) 1994-04-20
DE69322589D1 (de) 1999-01-28
MY110371A (en) 1998-04-30
EP0593307A3 (en) 1995-08-16
KR940007779A (ko) 1994-04-28
JPH06318301A (ja) 1994-11-15
EP0593307B1 (en) 199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166B1 (ko) 자기 기록ㆍ재생 장치
US5504642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locus plane of rotary heads tiltable with respect to a lower drum
JPH0528600A (ja) 回転ヘツドドラム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磁気記録再生装置
EP0589726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314284A (en) Video head deflection apparatus for special motion reproduction by helical scan VTR
EP0822548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tilting head drum for dynamic tracking
EP0718836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a positioning mechanism for a tape guide drum
EP067172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303340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5982590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tilting head drum for dynamic tracking
EP073027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a positioning mechanism for a tape guide drum
JP255628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35138Y2 (ko)
JP286410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43555B2 (ja) 回転シリンダ装置
JPH09171613A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用ヘッドドラム組立体
JPH0616263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81165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014395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32034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014960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32610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16245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147413A (ja) 回転ヘッドドラム
JPH074033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