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672B1 -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 Google Patents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672B1
KR970006672B1 KR1019890000928A KR890000928A KR970006672B1 KR 970006672 B1 KR970006672 B1 KR 970006672B1 KR 1019890000928 A KR1019890000928 A KR 1019890000928A KR 890000928 A KR890000928 A KR 890000928A KR 970006672 B1 KR970006672 B1 KR 970006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epoxy
epoxy resin
group
triglycid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949A (ko
Inventor
히사시 타다
아끼라 아가타
마사히로 사루타
타까시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레이욘 가부시끼가이샤
나가이 야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레이욘 가부시끼가이샤, 나가이 야타로 filed Critical 미쯔비시레이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6Amines together with other c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32Epoxy compounds contain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 C08G59/38Epoxy compounds contain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together with 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62Alcohols or phenols
    • C08G59/621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11Of epoxy e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본 발명은 탁월한 저장 안정성, 고온 습성 및 충격 후에 증진된 압축강도를 부여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prepreg)에 사용하기 위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생성된 복합 재료는 항공기 부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 및 다른 산업용도에서 유용하다.
에폭시 수지는 접착성과 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복합 재료용 매트릭스 수지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특히, 주로 N,N,N',N'-테트라글리시딜 디아미노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고성능 복합재료용 매트릭스 수지로서 1972년 이래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수지 조성물의 신장율이 너무 적어 그로부터 제조된 프리프레그를 열 경화시켜 생성된 복합재료는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또는 파단시에 신장율이 1.5% 또는 그 이상인, 최근에 개발된 고신장율의 보강섬유와 같이 연신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즉, 이들 복합재료의 인장 신장율은 보강섬유보다 낮다. 그들이 수분 흡수후에 약 82℃에서 만족할만한 압축강도를 나타낸다 하더라도 충격후에 그들의 압축강도는 너무 낮아서 1차 구조 재료로서 사용할 수 없다.
충격후에 압축강도가 높은 재료가 문헌[참조 : 5th SAMPE European Chapter(1984) Paper 15(T. Tattersall)]에 기술되어 있지만, 수분 흡수 후에는 압축 강도는 만족시럽지 못하여, 인터리이프(interleaf) 또는 중간층의 삽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섬유의 융적 분획이 증가될 수 없으므로 실제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가는 수분흡수(≥110kg/mm2)후 및 충격(≥27kg/mm2)후에 약 82℃에서 모두 압축 강도 특성이 매우 우수한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연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노력을 기초로하여 달성되었다.
한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 (B)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 (C)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페놀성 화합물,
[일반식 1]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X1,X2,X3,X4,X5,X6,X7,X8,X9,X10,X11,X12,R1,R2,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을 나타낸다); 및 (D) 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 또는 3,3'-디아미노디페닐 설폰을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는 1/4.0 내지 1/0.1이고, 성분(C)는 조건 1/0.9≤(A+B)/C≤1/0.1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되며, 성분(D)는 조건 1/1.3≤(A+B-C)/D≤1/0.8(여기에서, A는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B는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며, C는 성분(C)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D는 성분(D)중의 NH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프리프레그는 상기에서 기술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합성된 보강 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성분(A) 전부 또는 일부 및 성분(B) 전부는 성분(C)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80% 이상이 성분(A) 및 (B)중의 에폭시 그룹과 반응하는 조건하에서 성분(C)와 예비-반응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A)의 예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이의 브롬화 생성물, 및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와 같은 비스페놀 에폭시형 수지를 들 수 있다. 예를들면, 비스페놀 에폭시형 수지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된다.
[일반식 2]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Figure kpo00003
또는
Figure kpo00004
이고; n은 0 내지 3이다.
증진된 인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또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B)의 예로는 N,N,O-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m-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4-아미노-m-크레졸, N,N,O-트리글리시딜-5-아미노-o-크레졸, 및 1,1,1-(트리글리시딜-옥시페닐)메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증진된 내용매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N,N,O-트리글리시딜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B)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는 A/B로 나타내는 경우, 1/4.0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1/3.8 내지 1/0.3의 범위내이다. A/B가 1/.01 이상인 경우, 고온 습성 뿐만 아니라 내용매성도 저하된다. A/B가 1/4.0미만인 경우, 인성은 보강재료(섬유)의 병진의 감소 또는 충격후에 압축강도를 유지시키기에 부족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C)의 페놀성 화합물의 예로는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페놀,, 4,4'-(p-페닐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크레졸), 및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6-크실레놀)을 들 수 있다. 이들중에서, 우수한 고온 습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6-크실레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에 사용할 수 있는 보강 섬유의 예로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붕소섬유, 및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탄소 섬유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성분(C)의 페놀성 화합물은 조건 1/0.9≤(A+B)/C≤1/0.1(여기에서, A는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B는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며, C는 성분(C)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비율이 1/0.1 이상인 경우, 만족스러운 고온 습성 특성 또는 인성을 얻을 수 없다. 이 비율이 1/0.9 미만인 경우, 내열성 또는 내용매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한 범위는 1/0.8 내지 1/0.2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D)의 화합물은 조건 1/1.3≤(A+B-C)/D≤1/0.8(여기에서, D는 성분(D)중의 NH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A,B 및 C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조건의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는 만족스러운 내용매성 또는 내열성을 유지시키기에 부족하다. 이 조건의 하한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내수성 및 내용매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성분(A)(B)(C) 및 (D)를 동시에 혼합하거나, 성분(A)(B) 및 (C)의 예비 반응생성물, 반응되지 않은 성분(A) 및 (D)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후자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성분(A) 전부 또는 일부 및 성분(B) 전부를 성분(C)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성분(A) 및 (B)중의 에폭시 그룹과 반응하는 조건하에서 성분(C)와 바람직하게 예비 반응시킨다.
최종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의 만족스러운 내충격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예비 반응에 의한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전환율을 80% 이상으로 바람직하게 조정한다.
예비반응식, 성분(B)의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 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의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 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는 A'/B로 나타내는 경우, 1/4.0 내지 1/0.5, 바람직하게는 1/3.7 내지 1/0.7의 범위이다. A'/B가 1/0.5이상일 경우, 만족스러운 고온습성 또는 내용매성을 수득할 수 없다. A'/B가 1/4.0 미만인 경우, 원치않는 겔화가 예비반응시에 일어날 것이다.
성분(A)와 성분(B)와의 예비 반응시 성분(C)는 조건 1/1.1≤(A'+B)/C≤1/0.2(여기에서, A'는 예비 반응 중에서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B 및 C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된다.
이 조건의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고온습성 또는 충격후의 압축강도에 대한 만족스러운 내성을 얻을 수 없다. 이 조건의 하한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혼합물은 예비 반응조건하에서 너무 점성이어서 효율적으로 다룰 수 없다.
예비 반응시, 성분(C)는 조건 1/1.0≤(A'+B)/C≤1/0.3(여기에서, A',B 및 C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성분(A),(B),(C) 및 (D)이외에, 임의의 성분, 이를테면 실리카 분말, 산화 규소 미세분말 및 마이크로벌룬(microbaloon)과 같은 무기 충전제; 삼산화 안티몬과 같은 난연제; 및 페놀-말단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비닐 부티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이미드와 같은 유동 조절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보강섬유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강섬유는 축용 섬유, 절단섬유 조방, 단일방향으로 시준한 시이트, 직물 또는 부직포, 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잇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실시예에서, 모든 부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제조된 복합재료의 특성은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되며 그 결과는 섬유의 용적 분획 60%로 표준하되었다.
고온습성(Hot Wet property)
[0o]16적층 복합물을 71℃에서 14일 동안 고온수중에서 함침시킨 다음 ASTM D-695에 따라 82℃에서 0o의 방향으로 압축 시험한다.
내충격성 :
NASA RP 1092에 따라, 판넬(4×6×0.18인치)을 홀(3×5인치)이 있는 테이블에 장착시키고; 1/2인치의 반경 노오즈(nose)가 있는 4.9kg의 중량을 판넬의 중심에 떨어뜨려 판넬 두께의 인치당 1,500lbs의 충격을 준 다음, 판넬을 압축 시험 한다.
수지의 취급 특성 :
수지 조성물의 취급 특성을 실온에서 직접 손가락으로 만져보아 점착성으로 평가한다.
○, 연질 : ×, 경질
MEK에 대한 내성;
경화된 수지 샘플을 메틸 에틸 케논(MEK)중에서 7일 동안 실온에서 액침시키고 외관의 변화를 평가한다 :
○, 변화없음 : ×, 괄목할만한 변화가 있음
[실시예 1]
에피코트 807(Epikote 807;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에 대한 상품명; 에폭시 당량, 170; 제조원; Yuka-Shell Epoxy Co., Ltd.) 100부, N,N,O-트리글리시딜-4-아미노-m-크레졸(에폭시 당량, 97) 142부,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6-크실레놀) 206부 및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 63.8부를 혼합한다. 이 혼합물에, 산화 규소 미세분말(Japan Aerosil Inc.Aerosil 380) 1.25부를 가하고 이 성분을 60℃에서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I)을 제조한다. 이 조성물을 유리 시이트사이에 샌드위치시켜 총두께 2mm가 되게한 다음 180℃에서 2시간 동안 경화시켜 수지 시이트를 제조한다. 각각의 단계에서, 수지 조성물(I)을 고온 용융법에 의해 단일방향으로 시준된 탄소섬유(Pyrofil M-1, Mitsubishi Rayon Co., Ltd.의 상품명) 중에 함침시켜 섬유 면중량이 145g/m2이고 수지 함량이 35중량%인 단일 방향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다. 이 프리프레그의 사이트를 단일 방향의 적층물[0o]16및 준(guasi)-등방성 적층물[+45o/0o/-45o/+90o]4S에 놓고 180℃에서 2시간 동안 경화시켜 복합재료를 제조한다. 수지 시이트 및 복합물 상에서 수행한 시험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실시예 1 내지 6]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한 샘플상에서 시험을 행하되, 각 성분 비율을 표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달리한다. 결과를 또한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내지 9]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샘플로 시험을 행하되, 표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성분을 달리한다. 결과를 또한 표1에 나타내었다. 이들 실시예에서, Yuka-Shell Epoxy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한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타입 에폭시이며 에폭시 당량이 188인, Epikote 828을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A)로서 사용한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방법을 사용하되 Epikote 807을 이등분하여, 그 중의 하나를 하기의 방법에서 성분(B) 및 (C)로 예비 반응시킨다 : 에폭시 807 68부를 135℃에서 4시간 동안 N,N,O-트리글리시딜-4-아미노-m-크레졸 142부 및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6-크실레놀) 206부와 반응시킨 다음 혼합물을 60℃로 냉각시킨다. 이 냉각 혼합물에, Epikote 807 32부(나머지 분), 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 63.8부, 및 산화규소 미세분말(Aerosil 380) 1.25부를 가하고 성분을 혼합기(60℃에서)중에서 혼합하여 조성물(Ⅱ)을 제조한다. 수지 시이트 및 복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되 수지 조성물(I)대신에 제조된 수지 조성물(Ⅱ)을 사용한다. 샘플로 행한 시험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내지 16 및 비교실시예 7 내지 12]
실시예 10에서와 같이 제조된 샘플 상에서 시험을 행하되, 각 성분 비율 또는 예비 반응 정도(실시예 16)를 표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달리한다. 결과를 또한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표1 및 표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샘플은 우수한 취급성 및 MEK 내성을 지니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샘플은 비교용 샘플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압축 강도를 지닌다. 비교실시예 8 및 10에 관해서는, 예비반응시에 높은 반응도(비교실시예 8) 및 겔화(비교실시예 10)를 나타내기 때문에 샘플을 제조할 수 없다.
[비교실시예 13]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샘플상에서 시험을 행하되, 수지 조성물(I) 대신에 N,N,N',N'-테트라글리시딜 디아미노디페닐메탄 100부 및 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 52부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샘플은 우수한 취급성 및 MEK 내성을 지니나 압축 강도는 불안정하여 수분 흡수후 82℃에서는 130kg/mm 이고 충격 후엔 15kg/mm 이다.
본 발명의 그의 특정 양태를 언급하면서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성격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가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본 분야의 숙련가에겐 명백하다.

Claims (22)

  1. (A)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 (B)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 (C)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페놀성 화합물; 및 (D) 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 또는 3,3'-디아미노디페닐 설폰[여기에서,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는 1/4.0 내지 1/0.1의 범위내이며, 성분(C)는 조건 1/0.9≤(A+B)/C≤1/0.1(여기에서 A는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B는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며, C는 성분(C)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되며, 성분(D)는 조건 1/1.3≤(A+B-C)/D≤1/0.8(여기에서, A,B,C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D는 성분(D)중의 NH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된다]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Figure kpo00007
    여기에서, X1,X2,X3,X4,X5,X6,X7,X8,X9,X10,X11,X12,R1,R2,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A)가 비스페놀 A형 또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B)가 N,N,O-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m-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4-아미노-m-크레졸, N,N,O-트리글리시딜-5-아미노-o-크레졸, 및 1,1,1-(트리글리시딜-옥시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페놀성 화합물(C)가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6-크실레놀)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가 1/3.8 내지 1/0.3의 범위내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
  6. (A)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 (B) 상작용성 에폭시 수지; (C)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페놀성 화합물; 및 (D) 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 또는 3,3'-디아미노디페닐 설폰[여기에서, 성분(A)의 모두 또는 일부와 성분(B) 모두를 성분(C) 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 80% 이상을 성분(A) 및 (B)중의 에폭시 그룹과 반응시키는 조건하에서 성분(C)와 예비반응시키며, 예비반응시에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는 1/4.0 내지 1/0.5의 범위내이며, 성분(C)는 조건 1/1.1≤(A'+B)/C≤1/0.2, 및 조건 1/0.9≤(A+B)/C≤1/0.1(여기에서 A'는 예비반응시킨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A는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총 몰수를 나타내고, B는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C는 성분(C)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되며, 성분(D)는 조건 1/1.3≤(A+B-C)/D≤1/0.8(여기에서, A,B 및 C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D는 성분(D)중의 NH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된다]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Figure kpo00008
    여기에서, X1,X2,X3,X4,X5,X6,X7,X8,X9,X10,X11,X12,R1,R2,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을 나타낸다.
  7. 제6항에 있어서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A)가 비스페놀 A형 또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인 에폭시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B)가 N,N,O-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m-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4-아미노-m-크레졸, N,N,O-트리글리시딜-5-아미노-o-크레졸, 및 1,1,1-(트리글리시딜-옥시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페놀성 화합물(C)가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6-크실레놀)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가 1/3.8 내지 1/0.3의 범위내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
  11. (A)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 (B)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 (C)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페놀성 화합물; 및 (D) 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 또는 3,3'-디아미노디페닐 설폰[여기에서,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는 1/4.0 내지 1/0.1의 범위내이며, 성분(C)는 조건 1/0.9≤(A+B)/C≤1/0.1(여기에서 A는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B는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며, C는 성분(C)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되며, 성분(D)는 조건 1/1.3≤(A+B-C)/D≤1/0.8(여기에서, A,B, C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D는 성분(D)중의 NH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된다]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Figure kpo00009
    여기에서, X1,X2,X3,X4,X5,X6,X7,X8,X9,X10,X11,X12,R1,R2,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을 나타낸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A)가 비스페놀 A형 또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인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13. 제11항에 있어서, 심작용성 에폭시 수지(B)가 N,N,O-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m-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4-아미노-m-크레졸, N,N,O-트리글리시딜-5-아미노-o-크레졸, 및 1,1,1-(트리글리시딜-옥시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14. 제11항에 있어서, 페놀성 화합물(C)가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6-크실레놀)인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15. 제11항에 있어서, 성분(B)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가 1/3.8 내지 1/0.3의 범위내인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16. 제11항에 있어서, 보강섬유가 탄소섬유인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17. (A)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 (B)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 (C)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페놀성 화합물; 및 (D) 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 또는 3,3'-디아미노디페닐 설폰[여기에서, 성분(A)의 모두 또는 일부 및 성분(B) 모두를 성분(C) 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 80% 이상을 성분(A) 및 (B)중의 에폭시 그룹과 반응시키는 조건하에서 성분(C)와 예비반응시키며, 예비반응시에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는 1/4.0 내지 1/0.5의 범위내이며, 성분(C)는 조건 1/1.1≤≤(A'+B)/C≤1/0.2, 및 1/0.9≤(A+B)/C≤1/0.1(여기에서, A'는 예비반응시킨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A는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총 몰수를 나타내고, B는 성분(B)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수를 나타내고, C는 성분(C)중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되며, 성분(D)는 조건 1/1.3≤(A+B-C)/D≤1/0.8(여기에서 A,B 및 C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D는 성분(D)중의 NH 그룹의 몰수를 나타낸다)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사용된다]을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함침된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Figure kpo00010
    여기에서, X1,X2,X3,X4,X5,X6,X7,X8,X9,X10,X11,X12,R1,R2,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을 나타낸다.
  18. 제17항에 있어서, 이작용성 에폭시 수지(A)가 비스페놀 A형 또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인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19. 제17항에 있어서, 삼작용성 에폭시 수지(B)가 N,N,O-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m-아미노페놀, N,N,O-트리글리시딜-4-아미노-m-크레졸, N,N,O-트리글리시딜-5-아미노-o-크레졸, 및 1,1,1-(트리글리시딜-옥시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20. 제17항에 있어서, 페놀성 화합물(C)가 4,4'-(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2,6-크실레놀)인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21. 제17항에 있어서, 성분(B)의 에폭시 그룹에 대한 성분(A)중의 에폭시 그룹의 몰비가 1/3.8 내지 1/0.3의 범위내인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22. 제17항에 있어서, 보강섬유가 탄소섬유인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KR1019890000928A 1988-01-29 1989-01-28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KR970006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8779 1988-01-29
JP1877988 198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949A KR890011949A (ko) 1989-08-23
KR970006672B1 true KR970006672B1 (ko) 1997-04-29

Family

ID=1198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928A KR970006672B1 (ko) 1988-01-29 1989-01-28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59438A (ko)
EP (1) EP0326177B1 (ko)
JP (1) JPH0655808B2 (ko)
KR (1) KR970006672B1 (ko)
DE (1) DE689205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169B1 (ko) * 1988-11-30 1994-02-16 미쓰비시레이욘 가부시끼가이샤 에폭시 수지 조성물
EP0392348A3 (en) * 1989-04-14 1991-12-27 Cytec Technology Corp. Toughened thermosetting structural materials
JPH04103620A (ja) * 1990-08-24 1992-04-06 Dow Chem Nippon Kk 硬化性樹脂組成物
JPH10511426A (ja) * 1995-12-27 1998-11-04 ヘクセル・コーポレーション 硬化剤と強化剤とを含むエポキシ樹脂
WO2000039188A1 (fr) 1998-12-25 2000-07-06 Mitsubishi Rayon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epoxyde, preimpregne, et rouleau a base de resine renforcee avec des fibres de renforcement
JP4821163B2 (ja) * 2005-04-13 2011-11-24 横浜ゴム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GB0619401D0 (en) 2006-10-02 2006-11-08 Hexcel Composites Ltd Composite materials with improved performance
ES2477217T3 (es) * 2009-04-24 2014-07-16 Huntsman Advanced Materials (Switzerland) Gmbh Método para preparar moldes y herramientas químicamente resistentes y composición química para el método
JP5468819B2 (ja) * 2009-05-30 2014-04-09 東邦テナックス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マトリックス樹脂とするプリプレグ
EP2907847B1 (en) * 2012-10-11 2017-10-04 Sekisui Chemical Co., Ltd. Thermal expansion resin composition
WO2016080974A1 (en) 2014-11-19 2016-05-2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rosslinking resin for sand consolidation ope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81068A (ko) * 1968-07-15 1969-09-12
JPS515400A (ja) * 1974-07-04 1976-01-17 Toray Industries Tansosenipuripureguyo ehokishijushisoseibutsu
EP0199606B1 (en) * 1985-04-25 1993-09-0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Epoxy resin composition
EP0217657B1 (en) * 1985-09-27 1994-04-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ow-viscosity epoxy resi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and fibre-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cured product of the composition
EP0249263A3 (en) * 1986-06-09 1990-07-11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thermosetting processing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55808B2 (ja) 1994-07-27
KR890011949A (ko) 1989-08-23
DE68920596D1 (de) 1995-03-02
DE68920596T2 (de) 1995-06-22
EP0326177A3 (en) 1990-09-05
JPH0222323A (ja) 1990-01-25
US4959438A (en) 1990-09-25
EP0326177B1 (en) 1995-01-18
EP0326177A2 (en) 198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66730B2 (en) Low moisture absorption epoxy resin systems
KR970006672B1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복합재료용 프리프레그
JP2829369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5017794B2 (ja) 繊維強化複合材料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06291094A (ja) 繊維強化複合材料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3026372B2 (ja) 複合材料中間体
KR940001169B1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
US5179139A (en) Dihydroxybiphenyl-advanced epoxy resin blends
JPH07228716A (ja) プリプレグ
JP2676390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2124919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2120314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751615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75710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3301221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244772B2 (ko)
JPS63305126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244771B2 (ko)
JPS63305125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2127420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244770B2 (ko)
JPH02127419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3305123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310618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2120313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