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959B1 - 원심분리기를 인라인화한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분리기를 인라인화한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959B1
KR970004959B1 KR1019930011888A KR930011888A KR970004959B1 KR 970004959 B1 KR970004959 B1 KR 970004959B1 KR 1019930011888 A KR1019930011888 A KR 1019930011888A KR 930011888 A KR930011888 A KR 930011888A KR 970004959 B1 KR970004959 B1 KR 97000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olution
water washing
heat exchang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모토하시
마사히로 고지마
후지오 미카미
기요타다 야스하라
가게키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쇼와 알루미늄 가부시키가이샤
안자이 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알루미늄 가부시키가이샤, 안자이 이치로 filed Critical 쇼와 알루미늄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B65G49/0409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 B65G49/043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 B65G49/04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 B65G49/04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B65G49/0409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 B65G49/043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 B65G49/04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 B65G49/04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 B65G49/045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by means of containers -or workpieces-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심분리기를 인라인화한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열교환기의 부분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길이방향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용 바스켓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 바스켓의 길이방향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공정의 한 실시예의 플로우 다이아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12, 13 : 컨베이어 15 : 행어
16 : 클램프 20, 80 : 바스켓
21, 22 : 용액조 25 : 실린더
30 : 원심분리기 60 : 수집용기
61 : 호스 62 : 회전판
64 : 회전구동기구 65 : 맞물림축
66 : 세트핀 67 : 구동축
68 : 벨트폴리기구 69 : 구동모터
70 : 리프트 기구 73 : 랙
74 : 피니언 75 : 어댑터
76 : 기어모터 83 : 바닥판
84 : 실린더부재 85 : 케이싱
87 : 유연한 그물 90 : 유연한 고정밴드
W : 열교환기 Wa : 핀
본 발명은 열교환기가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적인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해 작동되고 이동되는 동안 공기 조화기용 증발기와 같은 조립된 열교환기의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적인 컨베이어 라인내 설치된 액체 배수 또는 제거를 위한 원심 분리기를 인라인화한 연속적 표면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 1-314158호 (열교환기,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및 열교환기의 표면처리제) 및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평 3-26831호 (알루미늄 열교환기 및 알루미늄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표면처리가 수행될때에 친수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친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항미생물제 또는 물에 가용성인 중합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기(W)내에서 두 개의 인접한 핀(Wa)들 사이의 간격은 작고 액체 배수성이 나쁘다.
그 결과, 상기 공정에서 화학 변환 코팅(크로메이팅)액을 친수성 코팅액조내에 혼합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친수성 코팅액의 농도가 고르지 않게된다.
따라서, 막 두께는 고정되지 않고 품질은 안정적이지 못하다.
또한 화학 변환 코팅액을 친수성 코팅액으로 혼합시키는 것이 없을때에도, 친수성 코딩 막의 액체 배수성은 나쁘고 막 두께는 고르지 않다. 예를들어, 물에 가용성인 친수성 코팅 또는 친수성 코팅으로서, 구체적으로
(a) 10-1000의 중압도를 가진 폴리비닐 피롤리돈 0.3-6중량 % ;
(b) 80% 이상의 비누화도 및 100-1000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비닐 알콜 1-10중량 % ,
상기 (a) 대 성분 (b)의 중량비는으로 0.1-0.9의 범위내이고 ;
(c) 100% 조성물이 이루어지도록 나머지의 물
로 구성된 조성물이 사용된다.
표면처리 라인내에서 처리된 볼트, 너트 등의 액체 배수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원심분리기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 59-76557 (원심분리기) 및 소 60-7950 (원심분리용기 및 원심분리방법)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원심분리기로서, 처리되는 대상물을 담기위한 바스켓 등을 모터 등에 의해 회전시켜야 한다. 상기 공정에서 처리액체가 부착된 대상물이 바스켓에 놓여진 후, 처리액체를 원심분리시키기 위해 바스켓을 회전시키고 액체가 제거된 대상물이 다음 처리공정으로 보내어지기 위해 꺼내어진다.
대상물로부터 원심 분리된 처리용액을 바스켓의 루프구멍으로부터 배수시키고 상기 용액은 바스켓을 둘러 싸도록 고정된 용액 수집 용기에 의해 수집된다.
처리되어질 대상물을 원심분리기안에 집어넣거나 원심분리기로부터 꺼내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처리되어질 작은 대상물이 많은 경우에, 이러한 교환작업은 엄청난 양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원심분리 공정뿐만 아니라 전체 처리라인까지도 작업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반면에, 다양한 처리라인에서 처리될 대상물의 운반수단으로써,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러한 연속식 컨베이어에서 체인 등은 생산공장의 천장에서 움직이고, 처리될 대상물은 이동체인에 매달린 행어에 의해 직접적으로 운반된다. 즉 대상물을 수용하는 용기가 행어에 의해 운반되어서 대상물을 이송하게 된다.
연속적인 트롤리 컨베이어 시스템과 같은 것을 갖는 처리라인에서 상기 액체 배수 및 제거를 수행하기 위하여, 과도한 처리용액이 대상물로부터 자연적으로 빠져나오게 되거나, 공기 송풍에 의해서 또는 고온 공기송풍에 의해 강제적으로 액체 제거가 실행된다. 그러나, 효율은 극도로 나쁘고 완전한 용액배수는 수행될 수 없다. 또한 공기송풍등에 의해서도, 균일한 용액제거는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앞선 공정에서 다음 공정으로 처리 용액을 운반하지 않고, 처리용액의 혼합을 막고, 고정된 값으로 공정에서 처리용액의 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써 열교환기 등의 표면처리라인에서 처리용액이 흘러가버리는 것을 막고, 대상물의 품질 안정성을 획득하도록, 공정간에 처리될 대상물의 액체배수 및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연속적인 표면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 제1의 목적의 표면처리장치에서 실현하기 위한 연속적인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상기 제2의 목적의 표면처리장치에서 대상물의 액체배수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원심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상기 제3의 목적의 원심분리장치에서 그것의 회전을 위해 원심분리기에 장착될 열교환기를 포함하기 위한 바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명세서에서, 액체 배수 또는 제거 용어는 과잉의 친수성 코팅용개이 코팅된 열교환기의 표면으로부터 흘러내리도록 되어있고 친수성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양을 유지시키는 동안 배수되거나 제거되는 공정을 나타낸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에 따르면, 산용해, 물세척 및 화학 변환처리와 같은 공정에서 오버헤드 형식의 행어에 매달린 조립된 열교환기의 연속적인 표면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물세척 및 친수성 코팅처리는 연속식 컨베이어를 사용한다. 연속식 컨베이어는 주컨베이어 및 부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이다. 연속적인 표면처리방법은 열교환기가 회전되는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액체 제거를 수행하는 것과, 주컨베이어로부터 부컨베이어로 이동된 후에 열교환기를 매다는 행어를 멈추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다음에 행어는 행어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부컨베이어로부터 주컨베이어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연속적인 표면처리방법에서, 예를들면 대상물(열교환기)은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고, 물세척 공정이 끝난후에, 대상물은 주컨베이어로부터 부컨베이어로 움직이고 원심분리 시스템에 의해 대상물의 액체제거를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다음에, 대상물은 다음의 화학변환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부컨베이어로부터 주컨베이어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물세척 공정에서 대상물에 부착된 과잉의 처리용액은 다음의 화학변환 처리용액조로 보내질 수 없다. 유사하게 선행의 공정에서 대상물에 부착된 과잉의 처리용액은 친수성 코팅 처리용액조로 이동될 수 없고, 용액조에서 처리용액의 농도는 일정하게된다. 그러므로 대상물의 막두께는 균일해지고, 대상물의 품질은 안정화된다.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에 따르면, 주컨베이어 및 부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컨베이어와 ; 부컨베이어를 따라서 열교환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행어 장탈착 컨베이어와 ; 소정의 위치에서 열교환기를 멈추게 하기위한 위치조정용 멈춤수단과 ; 열교환기가 회전되는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열교환기의 액체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원심분리기구를 포함하고, 연속식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산용해, 물세척, 화학변환처리 및 친수성 코팅처리의 공정에서 오버헤드 형식의 행어에 매달린 조립된 열교환기의 표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속적 표면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연속식 표면처리장치에서, 전술한 연속식 표면처리방법은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고, 앞선 공정에서 다음 공정으로 대상물에 부착된 과잉의 처리용액을 보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제3의 관점에 따르면, 바스켓의 상단부에 장착된 회전조인트를 경유하여 연속적인 컨베이어에 매달리고, 대상물을 수용하는 바스켓과 ; 바스켓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바스켓 반대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바스켓은 바스켓의 중앙 축 방향으로 뻗어있는 오목한 그루브를 포함하고, 원심분리 처리장치에는 회전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어 및 바스켓의 오목한 그루브에 맞물려지기 위한 회전축을 갖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원심분리를 수행하기 위한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와 ; 원심분리에 의해서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용액을 수집하기 위한 바스켓을 둘러싸는 용액수집수단과 ; 회전구동수단 및 용액수집수단을 함께 상승 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을 포함하고,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컨베이어의 이동경로에서 처리될 대상물의 원심분리를 수행하기 위한 원심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원심분리장치에서, 전술한 원심분리처리는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고, 다음 공정으로 대상물에 부착된 과잉의 처리용액을 보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원심분리장치는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로부터 분리된 바스켓을 포함하고 오직 바스켓은 대상물과 함게 회전된다. 그러므로 회전 부분의 무게는 비교적 적고, 구동수단은 작고 가벼운 무게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처리라인내에 용이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관점에 따르면, 최소한 한개의 대상물을 포함하고, 측벽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바닥부와 다공성 재질의 구성된 원통형 축벽부를 갖는 케이싱과 ; 케이싱의 바닥부의 중앙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통형 오목한 그루브부와 ;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의 측벽부의 내부표면에 장착된 유연한 그물을 포함하고, 원심분리처리에서 사용을 위해 처리될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회전가능한 바스켓이 제공된다.
이러한 바스켓에서, 첫째, 대상물은 유연한 그물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바스켓내에 수용된다. 대상물은 유연한 그물에 의해 바스켓내에서 안정하게 지지되고 원심력에 의해 바스켓내의 대상물이 뒤집혀지는 것은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스켓안에 대상물을 집어넣는 작동은 빠르고 쉽게 수행된다. 왜냐하면 수용된 시간에서 대상물의 안정성은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물의 뒤집힘 및 손상, 바스켓등의 균형이 맞지않는 회전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기본구조는 다양한 통상의 처리라인에서 채용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바스켓은 회전조인트를 경유하여 행어등과 같은 이동체에 매달린다.
바스켓은 하나 또는 다수의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리고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동시에, 바스켓은 원심분리처리를 위해 용기로써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바스켓은 원심분리에 의해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특히, 강철벽으로 된 바스켓과 유사하게 벽에 다수의 구멍 또는 간격이 있고, 또는 바스켓의 벽 표면은 경사져 있어서 분리된 용액은 벽표면을 따라 흐르게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은 원심분리장치에 부가하여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가동중인 연속적인 컨베이어를 따른 다른 처리 공정에서, 바스켓이 대상물을 수용하는 동안, 다양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회전 조인트에 관해서, 회전 조인트는 바스켓이 연속식 컨베이어의 행어에 매달려 있는 동안 바스켓을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허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통상의 기계적인 장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회전가능한 조인트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원심분리 처리기 뭄체는 연속적인 컨베이어의 이동경로하에서 적절한 위치에 장치되어서 연속적인 컨베이어에 매달리는 행어 및 바스켓은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에 대하여 부딪치지 않게된다.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는 회전구동수단 및 용액수집 수단을 포함하고 이러한 두 개의 수단은 수단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위로 아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회전구동수단 및 용액수집수단은 그들의 아래 위치에서 가동중인 바스켓으로부터 떨어져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그들의 위쪽 위치에서, 용액수집수단은 바스켓을 둘러싸고 회전구동수단은 바스켓을 구동하고 회전시킬 수 있다.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의 회전구동수단에는 바스켓의 한부분을 맞물고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받는것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바스켓을 회전하기 위한 맞물린 구동기구 및 모터와 같은 구동원이 제공된다. 맞물림 구동기구로서, 예를들면, 바스켓의 바닥 중앙에 형성된 중앙 맞물림 구멍내로 삽입될 회전축으로써 중앙 맞물림축 및 바스켓의 바닥의 원상에 형성된 세트핀 수용구멍내로 삽입될 세트핀은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해 회전판위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바스켁의 회전구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기로는 바스켓이 필수구조로 형성된다. 바스켓의 부드러운 수평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지롤러 또는 안내롤러는 바람직스럽게 공급될 것이다.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의 용액수집수단은 주위에 분리된 용액을 분산시키는 일없이 원심력에 의해 바스켓 및 회전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용액을 수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한, 특정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용액수집수단은 그렇게 형성되어서, 즉 최소한 상부가 열려있고 하부로 가깝게 움직일 수 있고 바스켓의 외면을 둘러싼다. 용액수집수단의 특정한 구조에 관해서, 예를들면, 원통형의 또는 다각형의 실린더 형태의 용기가 사용된다. 용액수집수단의 하부에 경사를 만드는 것과 바닥의 더 낮은 대부분의 위치에 유출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수집된 용액은 유출구로 부드럽게 흐를 수 있어서 상기 용액은 수집될 수 있고 원래공정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의 상승수단으로써, 랙 및 피니언등을 사용하는 테이블 리프터와 같은 통상의 기계적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상승 기구 또는 장치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장치는 라인의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적인 켄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한 표면처리라인 및 코팅 또는 페인팅 라인과 같은 기술분야에서 원심분리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적용된다. 사용될 대상물의 형상 및 재료와 처리용액의 종류는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적용 및 목적을 만족시키는것, 형상, 구조 및 원심분리장치의 회전속도는 본 발명내에서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더우기, 원심분리장치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일없이 바스켓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켄베이어는 공지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터에 의한 구동에 의해 고정된 속도에서 가동중인 주컨베이어와 주컨베이어를 따라서 배열된 형태의 자유레일의 부컨베이어로 구성되어있다. 매달린 클램프는 중간 위치로부터 분리시키므로써, 처리될 대상물은 주컨베이어로부터 부컨베이어로 이동될 수 있고 부컨베이어를 따라 자유속도로 가동된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장치에서, 행어 장탈착 컨베이어가 더 제공된다. 이러한 장탈착 컨베이어는 부컨베이어상에 대상물을 전진시킬 수 있고 원심분리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로 대상물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행어 장탈착 컨베이어는 대상물을 부컨베이어로부터 주컨베이어로 되돌려 보낸다. 대상물을 부컨베이어로부터 주컨베이어로 되돌려 보내는 것은 다시 일시적으로 분리되고 매달린 클램프를 재결합하는것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가동된다. 먼저, 바스켓이 선행의 공정에서 처리용액이 발라진 대상물을 함유하는 동안, 회전 조인트를 경유하여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적인 컨베이어에 매달린 바스켓이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 위쪽으로 위치될 때, 움직이는 연속식 컨베이어는 바스켓의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의 상승수단을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용액수집수단 및 회전구동수단이 함께 상승된다. 용액수집수단은 바스켓의 외면을 둘러싸고 회전구동수단은 바스켓 부분과 맞물려서 바스켓에 회전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회전력이 회전구동수단으로부터 바스켓에 전달될 때, 바스켓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왜냐하면 바스켓이 연속식 컨베이어에 매달려 있는 동안 회전 조인트를 경유하여 연속식 컨베이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바스켓은 수평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바스켓의 수평회전에 의해 대상물에 발라진 처리용액은 분리되고, 그 처리용액은 바스켓을 둘러싼 용액수집수단에 수집된다.
원심분리 처리가 완료되면, 리프팅 수단이 가동되어 용액수집수단 및 회전구동수단을 떨어뜨리게된다. 용액수집수단이 그들로부터 떨어져 바스켓을 아래로 떨어뜨린 후에, 연속적인 컨베이어는 이동하기 위해 다시 구동되고 대상물을 함유하는 바스켓은 다음공정으로 보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같은 참조부호는 도면에서 같거나 상응하는 부품을 가리키므로 간략하게 하기위하여 반복된 기재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장치의 한 실시예를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되었으며, 이것은 열교환기의 표면처리라인의 한 부분으로 설치된 것이다. 물론 표면처리장치와 유사한 구조체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부분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처리될 대상물인 열교환기(W)는 오버헤드 형태의 행어(15)에 의해 동력 및 무동력의 형태의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10)에 매달린 바스켓(20)에 포함된다.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W)는 산용해, 물세척, 화학변환처리, 물세척 및 친수성 코팅처리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처리한다.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적인 트롤리 컨베이어(10)는 원심분리를 수행하기 위한, 모터에 의해 고정된 속도에서 가동되는 주컨베이어(11) 및 주컨베이어와 평행으로 가동되는 부컨베이어(12)로 구성된다.
특히, 각 바스켓(20)내에 수용된 열교환기(W)는 각 바스켓(20)이 클램프(16) 및 행어(15)를 경유하는 주컨베이어(11)에 매달리는 동안 제1의 처리용액조, 물세척 처리용액조안으로 잠기게 되고 그곳을 통과하게 된다. 클램프가 D지점에 도착할 때, 행어 장탈착 컨베이어(13)은 클램프(16)의 제1부재(16A)로부터 제2부재(16B)를 분리하도록 가동딘다. 제1부재(16A)가 주컨베이어(11)에 고정되므로 제1부재(16A)는 실제로는 주컨베이어(11)와 함께 움직인다. 반면에, 제2부재(16B)가 제1부재(16A)로부터 분리된 후에 주컨베이어(11) 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된 부컨베이어(12)상에 이동되고, 부컨베이어(12)는 주컨베이어(11)보다 더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 센서(17)의 기능에 의해 제2부재(16B)는 행어 장탈착 컨베이어로 이동하고, 소정의 원심분리위치에서 멈춘다. 그리고나서, 행어(15)의 양측면상에 배열된 두 개의 실린더(25)의 피스톤은 행어(15)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뻗어있어서 행어(15)가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굴러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원심분리기(30)의 기어모터(76)는 원심분리기몸체(28)를 들어올리도록 가동된다. 원심분리기몸체(28)의 중앙에 고정된 회전축으로서 중앙 맞물림축(65)은 제4도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바스켓(20)의 중앙측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된 중앙의 오목한 그루브 및 구멍(52)에 맞물려진다. 중앙 맞물림 축(65)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69)가 구동될 때, 열교환기(W)를 포함하는 바스켓(20)은 회전되어서 앞서 공정에서 열교환기(W)에 발라진 처리용액은 원심력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적하된 처리용액은 원심분리기몸체(28)의 수집용기(60)내로 수집되고, 수집된 용액은 방출되어 수집용기(60)의 바닥에 부착된 구멍(61)을 통하여 수집용기(60)의 바닥으로부터 앞선 공정의 처리용액조(21)로 되돌아간다.
용액제거가 소정의 시간동안 바스켓의 회전에 의해 완료될 때, 구동모터(69)는 멈춰지고, 바스켓(2)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그리고 나서, 기어모터(76)는 원래 위치로 원심분리기몸체(28)를 떨어뜨리도록 가동되고, 두 개의 실린더(25)는 또한 원래위치로 행어(15)의 측면에 접촉된 피스톤을 재처리하기 위해 가동된다. 행어 장탈착 컨베이어(13)는 제2부재(16B)를 앞으로 움직이도록 가동되고, 제2부재(16B)가 E지점에 도달할 때, 제2부재(16B)는 제1부재(16A)에 다시 결합된다. 따라서, 열교환기(W)를 수용하는 바스켓(20)은 주컨베이어(11)에 의해 제2의 처리용액조(22)로 이동된다.
제4도는 원심분리기(30)의 전체구조를 도시한다. 오버헤드 형태의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10)는 생산공장의 천장에 설치된다. 다수의 행어(15)는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적인 트롤리 컨베이어에 부착되고, 각 바스켓(20)은 각 행어(15)에 장착된 C-형상목행어(41)의 더 낮은 끝단에 매달리게된다.
바스켓(2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측벽은 다공판등에 의해 형성된다. 원통형 연결부재(48)는 바스켓(2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며, 이 원통형 연결부재(48)의 상단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확장된 원추형 구멍(51)이 형성되어있다. 단부 방향으로 펼쳐지는 원추형 수용부재(42)가 C-형상 목 행어(41)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 C-형상 목 행어(41)의 원추형 수용부재(42)는 원통형 연결부재(48)의 원추형 구멍(51)과 맞물린다. 따라서, 바스켓(20)은 수평면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C-형상 목 행어(41)의 원추형 수용부재(42)에 매달려 있다. 바스켓(20)이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될 때 바스켓(20)의 지지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쌍의 보강용 아암(43)이 원통형 연결부재(48)의 상단부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뻗어진다.
중앙의 실린더부제(50)는 바닥판(83)의 중앙으로부터 윗쪽으로 뻗어지도록 바스켓(20)의 바닥에 설치되며 세트핀(66)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구멍(53)이 바닥판(83)에 원형으로 형성되어있다. 열교환기(W)는 바스켓(20)안에 설치되어서 원통형 측벽(81)에 기대어지며 유연한 그물(87)에 의해 덮여져서 정위치로 지지된다. 따라서,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10)이 운전될 때에도 바스켓(20)에 설치된 열교환기(W)는 안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W)가 바스켓(20)에 수용되어 있는 동안, 열교환기(W)는 여러 가지 처리 액체속에 잠길수 있게 되며 이 처리액체는 열교환기(W)위로 뿌려질 수 있다.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54)에는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54)를 그 하부에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트 데이블(71)이 제공되어있다. 몸체 프레임(56)이 리프트 테이블(71)위에 놓여지며 떨어진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용기(60)가 몸체 프레임(56)에 설치된다. 회전구동기구(64)는 몸체 프레임(56)과 수집용기(60)내에 설치되며, 이 수집용기(60)는 바스켓(20)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며 그 상단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확장된다. 실제로, 수집용기(60)의 바닥은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으로 아래쪽을 향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된 액체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가 바닥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호스(61)와 연결되어있다.
회전구동기구(64)의 회전판(62)이 수집용기(60)의 내부중심에 설치되며, 중앙 맞물림 축(65)이 회전판(62)의 중심을 통하여 윗쪽으로 돌출된다. 중앙 맞물림 축(65)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다수의 세트핀(66)이 중앙 맞물림 축(65)의 둘레에서 위쪽으로 돌출된다. 이 중앙 맞물림 축(65)을 바스켓(20)의 중앙 실린더 부재(50)안에 중앙구멍(52)안으로 끼워지며, 세트핀(66)은 바스켓(20)의 수요구멍(53)안으로 끼워진다. 회전판(62)은 수집용기(60)의 바닥을 관통하여 몸체 프레임(56)안에서 수직으로 뻗어진 구동축(67)과 연결된다. 이 구동축(67)은 벨트폴리기구(68)에 의하여 몸체 프레임(56)에 설치된 구동모터(69)와 연결된다. 그 결과, 구동모터(69)를 구동하므로써, 세트핀(66)과 함께 중앙 맞물림 축(65)과 회전판(62)이 구동되어 회전된다.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54)를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트 기구(70)가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54)의 근처에 설치된다. 리프트 테이블(71)의 한쪽끝은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뻗어지는 안내기둥(72)을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지는 미끄럼부(71A)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미끄럼 로울러(78)가 미끄럼부(71A)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랙(73)이 미끄럼부(71A)의 외측에 고정되어서 피니언(74)과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이 피니언(74)은 어댑터(75)를 경유하여 기어모터(76)와 연결된다. 그 결과, 기어모터(76)를 구동하므로써, 피니언(74)이 회전되어 랙(73)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리프트 테이블(71)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되므로, 원심분리기 몸체(28)는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원심분리기(30)의 작동이 기술된다. 열교환기(W)가 비스켓(20)내에 수용되어 있는동안, 바스켓(20)은 동력 및 무동력의 형태의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10)에 설치된 행어(15)에 연결된 C-형상 목 행어(41)에 매달려 있다. 바스켓(20)이 예를들어 처리용액조에 잠김으로써 처리용액에 의해 처리된 후에, 이 바스켓(20)이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54)의 바로위에 위치될 때,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10)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때, 리프트 기구(70)가 작동되어 몸체 프레임(56)을 상승시키게 되며, 제4도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용기(60)가 바스켓(20)을 둘러싸게된다. 이 바스켓(20)은 회전원판(62)위에 놓여지며. 회전구동기구(64)의 중앙 맞물린 축(65)은 바스켓(20)의 중심에 위치한 중앙구멍(52)안으로 끼워넣어진다. 동시에, 회전판(62)위의 세트핀(66)이 바스켓(20)의 수용구멍(53)안으로 끼워넣어진다.
회전판(62)이 바스켓(20)과 함께 회전판(62)의 접촉 위치로부터 약간 더 상승될때, 바스켓(20)은 회전판(62)에 의해 약간 상승되며 C-형상 목 행어(41)의 원추형 수용부재(42)가 원통형 연결부재(48)의 원추형 구멍(51)과 맞물리는 것이 완전히 해제된다. 따라서, 바스켓(20)이 다음 단계에서 회전될 때, 원추형 연결부재(48)의 원추형 구멍(51)과 원추형 수용부재(42)사이의 맞물림 큰 마찰저항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어떠한 회전력도 원통형 연결부재(48)에 매달린 C-형상 목 행어(41)로 전달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이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C-형상 목 행어(41)의 중간부분에 베어링을 설치하므로써, 원추형 수용부재(42)와 원통형 연결부재(48) 사이의 맞물림 사이에 마찰저항이 발생하더라도, C-형상 목 행어(41) 또는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컨베이어(10)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스켓(20)이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후, 구동모터(69)가 구동된다. 세트핀(66)과 함께 중앙 맞물림 축(65)이 회전될때, 그 사이에 맞물린 바스켓(20)도 회전된다. 이경우에, 바스켓(20)이 C-형상 목 행어(41)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바스켓(20)이 회전될때도, C-형상 목 행어(41)로 인한 어떠한 결함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바스켓(20)의 중앙구멍(52)과 중앙 맞물림 축(65) 사이의 맞물림만 존재한다면, 이들 2개의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또한 세트핀(66)이 바스켓(20)의 수용구멍(53)과 맞물리게되며, 중앙 맞물림 축(65)과 비스켓(20) 사이의 맞물림에 있어서 어떠한 미끄럼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바스켓(20)이 미끄럼 없이 정확히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20)을 회전시킴으로써, 바스켓(20)내의 열교환기(W)에 부착된 과도한 처리용액이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되며 흩어진 처리 용액이 수집용기(60)의 바닥과 내부벽을 따라 흘러서 방출된 처리용액을 호스(61)를 통하여 수집하게 된다. 원심분리가 완료될 때, 리프트 기구(70)가 작동되어 리프트 테이블(71)을 하강시키게 되며, 회전구동기구(64)의 세트핀(66)과 중앙 맞물림 축(65)이 바스켓(20)의 수용구멍(53)과 중앙구멍(52)으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된다. 수집용기(60)는 또한 바스켓(20)으로부터 떨어져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며 바스켓(20)은 다시 C-형상 목 행어(41)에 매달리게 된다. 열교환기(W)을 수용하고 있는 바스켓(20)은 다시 이동이 시작되어 연속식 트롤리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어 다음 공정까지 이동된다.
제5도 및 제6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에 적용될 바스켓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회전용 바스켓(80)에는 액체 투과성을 가지는 다공성 재질로 구성된 원통형 축벽(81)을 포함하는 케이싱(85)과, 측벽(81)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상부덮개(82)와, 측벽(8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바닥판(83)이 제공되어있다. 중앙 실린더 부재(84)는 케이싱(85)의 바닥판(83)의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뻗어지며, 회전 시프트로서의 중앙 맞물림 축(65)을 수용하기 위한 중앙의 오목한 그루브 또는 구멍(86)이 중앙 실린더 부재(84)내에 형성된다. 교차하는 한쌍의 보강 리브(88)가 바닥판(83)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80)이 사용될 때, 상부덮개(82)가 제거되고 열교환기(W)의 적절한 부재가 케이싱(85) 안으로 놓여져서 열교환기(W)가 지지되어 유연성 고정밴드(90)를 사용하므로써 그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이 유연성 고정밴드는 열교환기(W)와 접촉되도록 바닥판(83)의 중앙부로부터 측벽(81)의 상단부까지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바스켓(80)이 컨베이어를 구동하므로써 이송될때에도, 바스켓(20)에 수용된 열교환기(W)는 떨어져서 손상 혹은 파손이 되거나 또는 이동 및 원심분리기에 상호 충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7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에 적용되는 인라인 구조체의 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경우에, 대상물을 처리하기 위한 연속공정 가운데,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에 의한 5개의 용액제거공정이 삽입되었다. 공정의 숫자는 처리되어질 대상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변화되므로 용액제거공정의 숫자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그 범위가 정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를 변경 또는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방법의 효과를 보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이 종래기술의 방법과 비교하여 수행되었다.
비교예
친수성의 코팅 용액조를 위하여, 수용성의 친수성 코팅 SURFALCOAT 860(닛뽄 페인트 주식회사에 의해 생산된 제품의 상품명)은 용액조내의 비휘발성 성분이 5.5%가 되도록 준비되었다. 이 용액조를 사용하므로써, 산용해, 물세척, 크로메이팅, 물세척, 친수성 코팅처리 및 소성 공정에서, 라미네이트 형식의 증발기가 처리되어서 종래의 방식으로 친수성 코팅된 막을 형성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소성은 약 10분동안 180℃에서 실행되었다.
얻어진 막에 있어서, 소성 단계에서의 열교환기의 핀의 하부층은 두꺼우며, 하부에서 막은 핀부분 사이에 브리지를 형성하였다. 또한, 특히 내부핀에 대한 열교환기의 상부층에서는 얇은 막만이 형성되었으며, 친수성으로 코팅된 막은 처리되어질 대상물로서의 열교환기의 핀 표면의 부분에 따라 매우 불균일한 상태로 제조 되었다.
실시예 1
원심분리(최대회전속도 : 5초 동안 약 320r.p.m., 전체 작동시간 : 15초)에 의한 용액 제거가 물세척 공정에서부터 친수성 코팅처리공정까지의 공정중에 수행되었으며, 다른 공정들은 비교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어서 친수성 코팅막을 형성하게 되었다. 원심분리에서, 약 70cm의 직경을 가진 원통형 바스켓이 구비된 행어가 사용되었다. 물 세척 공정후에, 행어는 주컨베이어에서 부컨베이어로 고속으로 이동되었으며, 행어가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된 후에 원심분리가 수행되었다. 그 다음에, 행어가 부컨베이어에서 주컨베이어로 고속으로 이동되었으며 행어가 주컨베이어의 최초의 행어위치로 되돌려졌다.
얻어진 막은 대체로 두꺼웠으며, 소성 단계에서 열교환기의 핀의 하층부는 특히 두꺼웠으며, 하부에서 막은 핀 부분 사이에 브리지를 형성하였다. 친수성으로 코팅된 막은 열교환기의 핀부분에 따라 불균일한 상태로 형성되었다.
실시예 2
원심분리에 의한 용액 제거가 친수성 코팅처리공정과 소성공정 사이에서 수행되었으며, 다른 공정들은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어서 친수성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막은 대체로 얇았으며, 열교환기의 내부의 막은 특히 얇았다. 또한, 이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이 처리를 수행하므로써, 친수성 코팅 용액조의 용액표면이 상승되었으며, 친수성 코팅용액조내의 비휘발성 성분이 감소되었다. 그 결과, 친수성 코팅제의 농도가 5.5%까지 유지될 수 없었다.
실시예 3
원심분리에 의한 용액제거가 실시예 1에서의 물세척 공정에서 친수성 코팅처리공정까지의 공정사이 뿐만 아니라 실시예 2에서의 친수성 코팅처리공정에서 소성공정까지의 공정사이에도 수행되었다.
얻어진 막을 두께가 균일하였으며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와 내부 및 외부 사이의 막두께 차이가 거의 탐지되지 않았다. 또한, 이 상태에서 이 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므로써, 친수성 용액조의 용액 표면이 낮아졌으나, 친수성 코팅제의 공급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용액조내의 친수성 코팅제의 농도는 5.5%로 유지될 수 있다.

Claims (17)

  1. 산용해, 물세척, 화학변환처리, 다른 물세척 및 친수성 코팅처리공정에서 주컨베이어와 부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동력 및 무동력 형태로 이루어진 역속식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써 오버헤드 형식이 행어에 매달린 조립된 열교환기를 연속적으로 포면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매다는 행어가 주컨베이어에서 부컨베이어로 이동된 후에 상기 열교환기를 매다는 행어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 상기 열교환기가 회전되는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용액제거를 수행하는 단계와 ; 상기 행어를 이동시키므로써 행어를 부컨베이어에서 주컨베이어로 되돌리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제거단계가 처리되어질 대상물의 산 용해를 수행하는 공정과 ; 산용해의 처리용액이 부착된 대상물의 물세척을 수행하는 공정과 ; 원심분리에 의해 물이 부착된 대상물의 용액제거를 수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제거단계가 처리되어질 대상물의 산 용해를 수행하는 공정과 ; 산용해의 처리용액이 부착된 대상물의 물세척을 수행하는 공정과 ; 대상물의 화학변환처리를 수행하는 공정과 ; 화학 변환처리의 처리용액이 부착된 대상물의 물세척을 수행하는 공정과 ; 원심분리에 의해 물이 부착된 대상물의 용액제거를 수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제거단계가 산용해, 물세척, 화학면환처리 및 물세척 순서의 공정에서 처리 되어질 대상물을 처리하는 공정과 ; 친수성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상물을 친수성 코팅처리를 수행하는 공정과 ; 친수성 코팅처리용액이 부착된 대상물의 용액제거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산용해후에 물세척 공정에서 처리되어질 대상물에 부착된 물의 제거와 친수성 코팅처리공정에서의 대상물에 부착된 친수성 코팅처리용액의 제거가 원심분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6. 산용해, 물세척, 화학변환처리, 다른 물세척 및 친수성 코팅처리공정에서 오버헤드형식의 행어에 매달린 조립된 열교환기의 표면처리를 연속식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써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속식 표면처리 장치에 있어서, 주컨베이어와 부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컨베이어와 ; 상기 부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열교환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행어 장탈착 컨베이어와 ; 상기 열교환기를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멈춤수단과 ; 상기 열교환기가 회전되는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열교환기의 용액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원심분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대상물의 신용해공정에서 처리용액이 부착된 대상물의 물세척 공정 다음에 원심분리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대상물의 화학변환 처리공정에서 처리용액이 부착된 대상물의 물세척 공정다음에 원심분리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친수성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상물을 친수성 코팅처리하는 공정 다음에 원심분리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대상물의 산용해 공정, 화학변환공정 및 물세척 공정 다음에 원심분리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표면처리장치.
  11. 동력 및 무동력 형태의 연속식 컨베어어의 이동 경로에서 처리되어질 대상물의 원심분리를 수행하기 위한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 바스켓의 상단부에 설치된 회전 조인트에 의하여 연속식 컨베이어에 매달린,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바스켓과 ; 상기 바스켓과 떠어낼 수 있게 연결되도록 바스켓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로 배치된, 원심분리를 수행하기 위한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바스켓이 바스켓의 중앙 축 방향으로 뻥더지는 오목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분리 처리기 몸체가 바스켓의 오목한 그루브부와 맞물리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가지는 회전구동수단과 ; 상기 원심분리에 의해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용액을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바스켓을 둘러싸는 용액수집수단과 ; 상기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용액수집수단을 함께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대상물의 산용해 공정에서 처리용액이 부착된 대상물의 물세척 공정 다음에 원심분리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대상물의 화학변화 처리공정에서 처리용액이 부착된 대상물의 물세척 공정 다음에 원심분리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친수성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상물을 친수성 코팅 처리하는 공정 다음에 원심분리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대상물의 산용해 공정, 화학변환 처리공정 및 물세척 공정 다음에 원심분리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16. 원심분리처리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처리되어질 대상물을 수용하는 회전가능한 바스켓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을 수용하며, 다공성 재질로된 원통형 측벽부와 이 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된 바닥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 상기 케이싱의 바닥부의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뻗어지는 원통형의 오목한 그루브부와 ;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측벽부의 안쪽면에 설치된 유연한 그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용기
  17. 원심분리처리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처리되어질 대상물을 수용하는 회전 가능한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을 수용하며, 다공성 재질로된 원통형 측벽부와, 이 측벽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상부덮개와, 이 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된 바닥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 상기 케이싱의 바닥부의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뻗어지는 원통형의 오목한 그루브부와 ; 대상물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바닥부에서 상기 케이싱의 측벽부의 상단부까지 뻗어지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용기.
KR1019930011888A 1992-06-26 1993-06-26 원심분리기를 인라인화한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970004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91321 1992-06-26
JP4191321A JP2711617B2 (ja) 1992-06-26 1992-06-26 遠心分離機をインライン化した連続式表面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959B1 true KR970004959B1 (ko) 1997-04-10

Family

ID=1627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888A KR970004959B1 (ko) 1992-06-26 1993-06-26 원심분리기를 인라인화한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58917A (ko)
EP (1) EP0578064B1 (ko)
JP (1) JP2711617B2 (ko)
KR (1) KR970004959B1 (ko)
CN (1) CN1105673C (ko)
AT (1) ATE143062T1 (ko)
AU (1) AU663594B2 (ko)
CA (1) CA2098873A1 (ko)
DE (1) DE69304820T2 (ko)
ES (1) ES2093886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78B1 (ko) * 2012-12-28 2014-01-03 주식회사 영산테크노 코팅 및 탈액용 바스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1514B2 (en) 2001-01-15 2003-07-15 Sanovo Engineering A/S Centrifuge for draining washed egg trays
EP1225407A1 (en) * 2001-01-15 2002-07-24 Sanovo Engineering A/S Centrifuge for draining washed egg trays
DE10209908C1 (de) * 2002-03-07 2003-08-14 Reinhardt Gmbh Ernst 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schichtung von Kleinteilen
KR100486692B1 (ko) * 2002-03-29 2005-05-0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연속처리가 가능한 열교환기 표면처리장치
CN100413602C (zh) * 2002-08-19 2008-08-2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热交换器的表面处理装置和其方法及制品
US8573148B2 (en) * 2009-09-04 2013-11-05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ystem for coating a stent
JP5939679B2 (ja) * 2012-07-05 2016-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熱交換器の表面処理方法
CN102849402B (zh) * 2012-08-30 2014-12-10 永济新时速电机电器有限责任公司 用于定子线圈成型的流水线生产系统
CN105173730B (zh) * 2015-08-15 2018-03-09 安庆帝伯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气门座圈及气门导管全自动浸油甩干机
US9790001B2 (en) 2015-12-11 2017-10-17 Amazon Technologies, Inc. Storage totes
US9558472B1 (en) * 2015-12-11 2017-01-31 Amazon Technologies, Inc. Inventory facility
CN107826962B (zh) * 2017-11-24 2024-04-02 浙江盛达铁塔有限公司 镀件浸镀吊具及其使用方法
DE102018111331A1 (de) * 2018-05-11 2019-11-14 Ejot Gmbh & Co. Kg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Teilen in einem Tauch-Schleuderverfahren
CN113501257A (zh) * 2021-07-14 2021-10-15 苏州丹卡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链循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78A (en) * 1902-10-07 1903-07-14 Godfrey Engel Driving mechanism for centrifugal machines.
US1327273A (en) * 1917-12-12 1920-01-06 Eskilson Sven August Apparatus for flinging off superfluous coating when tinning, painting, or the like
US1525255A (en) * 1924-05-10 1925-02-03 Starks Mfg Company Staining and drying machine
US2387300A (en) * 1944-01-10 1945-10-23 Fernando M Ronei Means for mounting work in casings for dipping and centrifuging
US2979181A (en) * 1959-01-22 1961-04-11 Harold G Abbey Electrical power connectors and braking devices for free-wheeled carriers in conveyor systems
US3257732A (en) * 1962-08-01 1966-06-28 Gen Motors Corp Drying of honeycomb metal structures
US3382844A (en) * 1964-07-01 1968-05-14 Lasalco Inc Work treating apparatus
BE694618A (ko) * 1967-02-24 1967-07-31
FR1575735A (ko) * 1968-04-17 1969-07-25
JPS5010463U (ko) * 1973-05-30 1975-02-03
JPS5620053Y2 (ko) * 1975-06-26 1981-05-13
JPS6028907B2 (ja) * 1979-06-19 1985-07-08 日本エンバイロ工業株式会社 クロメ−ト処理方法
JPS582596A (ja) * 1981-06-30 1983-01-08 Nippon Parkerizing Co Ltd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表面処理法
JPS6028551B2 (ja) * 1982-10-25 1985-07-05 日本エンバイロ工業株式会社 遠心分離装置
DE3319544A1 (de) * 1983-05-30 1984-12-06 Werner Ing.(grad.) 2430 Neustadt Kohler Tauchbeschichtungsanlage
JPS607950A (ja) * 1983-06-27 1985-01-16 Nippon Enbairo Kogyo Kk 遠心分離容器および遠心分離方法
JPS62149900A (ja) * 1985-12-23 1987-07-03 Yoshida Kogyo Kk <Ykk> アルミニウム表面処理の横吊りラインに於ける被処理材の移送方法
JPS62292324A (ja) * 1986-06-11 1987-12-19 Nitsukuu Kogyo Kk 連続式真空含浸装置
US4888213A (en) * 1988-04-19 1989-12-19 Brunswic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coatings on articles
JPH01314158A (ja) * 1988-11-08 1989-12-19 Calsonic Corp 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表面処理剤
JP2507060B2 (ja) * 1989-06-23 1996-06-12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78B1 (ko) * 2012-12-28 2014-01-03 주식회사 영산테크노 코팅 및 탈액용 바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4820T2 (de) 1997-02-27
US5458917A (en) 1995-10-17
CA2098873A1 (en) 1993-12-27
CN1083746A (zh) 1994-03-16
ES2093886T3 (es) 1997-01-01
AU663594B2 (en) 1995-10-12
CN1105673C (zh) 2003-04-16
EP0578064B1 (en) 1996-09-18
ATE143062T1 (de) 1996-10-15
EP0578064A1 (en) 1994-01-12
AU4147493A (en) 1994-01-06
DE69304820D1 (de) 1996-10-24
JPH0610150A (ja) 1994-01-18
JP2711617B2 (ja) 1998-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959B1 (ko) 원심분리기를 인라인화한 연속식 표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
RU21162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кузовов автомобилей
US7270134B2 (en) System for treating mass-production parts
US4388140A (en) Apparatus for wet treatment of wafer materials
JP2635806B2 (ja) 乗物構成部品のコーティング製造方法及び設備
CN111481124A (zh) 玻璃幕墙自动清洁机器人系统
JP2607982B2 (ja) 電着塗装装置
US5985365A (en) Method and automated apparatus for galvanizing threaded rods
JP2911406B2 (ja) 表面処理装置
US7323059B2 (en) Plant for the treatment, in particular the cataphoretic dip coating of objects, in particular of vehicle chassis
CN115772673B (zh) 一种酸洗池循环酸洗装置及方法
IT201900002173A1 (it) Macchina per la movimentazione di contenitori porta-oggetti
CN108672204B (zh) 一种具有自动上料功能的达克罗涂覆离心装置
JPH06269717A (ja) 浸漬塗装方法および装置
KR950012430B1 (ko) 전착 도장방법
JPS5810999B2 (ja) 表面処理装置
JP2002004090A (ja) 被表面処理物の搬送装置及びその搬送装置を用いた表面処理方法
CN214991880U (zh) 一种钢结构生产用酸洗设备
JP3544822B2 (ja) 棒状ワークの無電解ニッケルめっき方法および装置
US47240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reels
JPS5874155A (ja) 浸漬処理物に付着の余剰処理液の除去装置
JPS627620Y2 (ko)
JPH05230696A (ja) 電着塗装用装置
SU1585980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мойки деталей
SU10117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деталей в жидкой сред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