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538B1 - 바르는 제품용 분배용기 - Google Patents

바르는 제품용 분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38B1
KR970002538B1 KR1019900001454A KR900001454A KR970002538B1 KR 970002538 B1 KR970002538 B1 KR 970002538B1 KR 1019900001454 A KR1019900001454 A KR 1019900001454A KR 900001454 A KR900001454 A KR 900001454A KR 970002538 B1 KR970002538 B1 KR 97000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piston
dispensing
dispensing contain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567A (ko
Inventor
장 루이 제레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90001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바르는 제품용 분배용기
제1도는 부분 단면으로 절단된, 본 발명에 따른 분배용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저장기가 지지체 안의 충전위치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제1도의 분배용기의 저장기 및 피스톤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분배용기의 관형 연결 부분의 단면도.
제4도는 제품으로 채워져 있지 않은 제1도의 분배용기용 저장기를 부분단면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분배용기에서 너트를 제6도의 선 V-V에 따라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분배용기에서 너트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장기 2 : 구동기구
3 : 덮개 4 : 분배구멍
5 : 피스톤 6 : 스크루
7 : 너트 8 : (공기투과성)재료층
9 : 재료 10 : 판
15 : 원추형 단부 16 : 중심펀치
17 : 원판 21 : 나사산
22, 23 : 경사면 24 : 지지부
25 : 누름버튼 26 : 어깨부
27 : 나사산 28 : 지지체
본 발명은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과 같은 분말 또는 고형(solid)제품용 분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기, 및 저장기로부터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 수동제어 구동기구에 의해 저장기내에서 천천히 앞으로 평형이동될 수 있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형태의 분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배용기는 립스틱과 같이 형태를 이루는 제품, 메이크 업 베이스와 같이 압출된 제품 또는 아이새도우와 같이 빽빽히 다져져 있는 제품 등을 분배하는데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분배용기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사용되어져 왔다. 제품을 평형이동 방향으로 방출되게 밀어주는 피스톤은 대체로, 분배용기에 일체식으로 부착된 너트와 협력하는 나사산 로드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 로드는,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되는 누름 버튼을 통해서 일정량 만큼씩 회전되도록 차례로 구동된다(예를 들어서,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555 471호 및 1988년 4월 15일 출원된 프랑스공화국 특허 출원 제88-05026호 참조).
이러한 분배용기를 채울때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분배용기의 부품은 일반적으로 저장기 부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어 있다. 이것은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부분이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분배용기가 재사용될 수 없어서 판매하지 못하게 되는 것과, 제품을 채울 때 부적절한 취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기 안에서 제품을 성형하는 것은 별 어려움이 없는데, 이것은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이 갖추어져서 제품이 공급되어 저장기를 밀폐시키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용기안에서 제품을 압출시키거나 빽빽히 다져넣는 것은, 종종 실행성의 문제를 야기한다.
제품을 용기의 내벽에 충분히 채워서, 바닥을 갖는 용기안에 제품을 압출시키려 할 경우에, 제품이 용기안에 놓여질 때 용기 바닥과 제품 사이의 공기가 그 안으로 갇혀서, 제품이 용기 바닥쪽으로의 진행을 멈추는 경향이 있다. 제품과 용기의 벽 사이의 틈을 통해서 존재하는 공기에 대한 여러 가지 배출 통로들에도 불구하고(이러한 틈은 채움작업중에 생기며 저장기 안으로 압출되는 제품의 외관을 일그러지게 한다.), 용기 바닥과 제품 사이에는 공기층이 여전히 존재한다. 용기 바닥이 제품에 마주하는 피스톤면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품에 대한 피스톤 작동은 필히 약화되며, 누름 버튼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수동작동에 대한 응답이 대체로 바뀐다. 저장기의 분배구멍 반대쪽의 저장기부분을 통해서 제품이 압축되는 경우, 즉 저장기가 채워진 후에 피스톤이 저장기 안에서 적절히 밀려지는 경우, 및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저장기 벽을 따라서 저장기를 채우는 요소와 분배 구멍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기 층은 제품이 분배구멍까지 저장기를 채우는 것을 방해할 것이다. 가변 칫수의 빈 공간이 분배구멍의 높이에 있으며, 그리고 사용자는 분배용기를 사용할 수 있기전에, 제품이 저장기 내에서 올라오도록 필히 누름 버튼을 여러번 작동시켜야만 한다. 이것은, 이 구동기구가 느리게 공급하는 가구이기 때문에, 분배용기의 판매에 있어서 다소 결점이 된다.
제품이 저장기 안에 빽빽히 다져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동일한 문제들이 부딪친다. 용기의 바닥에다 피스톤으로 제품을 압축함으로써 제품이 빽빽히 다져지는 경우에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어떤 수단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용기의 벽과 압축기 피스톤의 주위 벽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허용되면, 제품은 그 가장자리 즉, 제품이 압축되지 않는 표면에서는 잘 다져지지가 않는다. 반대로, 피스톤이 정확하게 칫수가 정해진 경우에는, 1988년 2월 29일자 출원된 프랑스공화국 특허 출원 제88-02457호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 쿠션이 존재하여서 쿠션 부근에 있는 분말을 적절히 다지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공기의 배출 통로는 용기 바닥에 제공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분배구멍 반대쪽 단부 부근에서 채워지는 저장기를 구비하는 분배용기를 제안한다. 분배 구멍의 가장자리에는 공기 투과성 재료가 제공되며, 그 가장자리는 지지체에 있는 보어 안으로 끼워지고, 지지체의 바닥이 저장기 벽을 따라서 용기를 형성한다. 제품이 분배 구멍 반대쪽의 저장기 단부를 통해서 이 용기 안으로 압출되거나 빽빽히 다져질 때, 제품 또는 용기의 바닥에 있는 압축 피스톤에 의해서 밀려난 공기는, 저장기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공기 투과성 재료층을 통해서 채움과정 동안에 배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층은, 통기구멍의 역할을 하며, 동일한 장치와 더불어 제품을 성형시키는 것 또는 제품을 빽빽히 다지거나 압출하는 것을 모두 가능하게 해주는데, 모든 이들 동일한 장치는 지지체에 끼워진 저장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분배 구멍의 높이로 제품을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에 더하여, 상기한 공기투과성 재료의 단일 층은 여러 가지 다른 잇점들을 가진다. 특히, 제품의 가장자리들이 용기벽으로부터 당겨져서 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종종 화장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수축을 방지해 준다. 또한, 이러한 층은 제품을 바르는 도포 패드의 역할도 하며 제품이 저장기 바깥쪽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끝으로, 피부에 바르는 제품의 경우에는, 이런 층이 피부와 분배용기 사이의 부드러운 접촉을 제공하는 잇점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은, 저장기 안에 포함되어져서,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제어되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게 제조된 바르는 고체 혹은 분말제품용의 분배용기로서, 상기 저장기는 원통형 내벽과 임의의 단면을 가지는 튜우브이며, 이 튜우브가 분배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이 분배구멍과 이동가능한 저속공급 피스톤과의 사이에 있는 튜우브 내에 제품이 배치된, 그러한 분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의 이동은 구동기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구동기구는 피스톤이 부착된 단부에서 로드를 포함하며, 분배 구멍의 가장자리는 제품을 바르는 역할을 하는 층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어 있고 공기 투과성 재료로 제조되며, 층은 가장자리들에 걸쳐서 놓여진다. 이러한 재료는, 다공질의 스폰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바르는 층은 깃털, 또는 개방되거나 밀폐된 구멍들을 가진 합성 발포체가 될 수 있다. 층이 깃털이며, 분배 구멍의 가장자리들에 아교접합되거나 정전기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피스톤은 제품 부근의 면에서부터 구동기구의 부품과 마주하는 면까지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의해서 관통된다. 이러한 도관은 로드의 축선상 연장부에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 및 로드는 별도의 부품이며, 로드의 머리부는 피스톤의 면을 밀어 주는데, 이때 피스톤을 평형이동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도관은 피스톤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로드 머리부의 단부는 대략 원추형 단부로된 중심펀치를 가지며, 이와 협력하는 피스톤의 면은 중심펀치의 단부의 원추형에 상응하는 원추형상을 갖는다. 대략 원추형인 피스톤의 면은 안내보어를 통해서 연장된다. 로드가 부착된 단부 근처에서, 중심펀치는 로드의 축에 수직한 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피스톤의 주위벽에는 저장기의 내벽과 약간 압착되면서 접촉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가장자리가 있다. 피스톤은 그 각각의 단부면을 향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배 구멍의 가장자리는 저장기의 축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저장기는 그 관련된 관형 연결 부분 안쪽에 끼워지고, 저장기의 외벽과 관형 연결 부분에는 각각 나선형 경사면이 있으며, 이 경사면들은 서로 협력하여서 저장기를 연결 부분에 대한 소정 각도상 위치에 유지시킨다. 저장기는 구동기구에 대해 분리가능하며, 로드는 저장기가 구동기구에 부착될 순간에 구동기구에서 분리될 수 있다. 로드는, 구동기구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구동되어 연결부분에 고정된 너트와 협력하는데, 너트는 모선(generatrix)을 따르는 기다란 홈(slit)이고, 저장기의 분배구멍 반대쪽의 저장기의 단부는 원추형 자리받침에 의해서 너트의 외벽에 끼워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분배용기는 이것의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부분(2) 및 이 부분(2)에서 설치된 저장기(1)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분배용기의 상기한 두 부분(1,2)들은 함께 끼워져 있고 상기 두 부분(1,2)은 분배 용기의 본체를 이루는 덮개를 형성하는 튜우브형 연결 부분(3)안에 고정된다. 이 덮개(3)는 나사조임 또는 연동방식에 의해서, 구동기구에 단단히 부착된 어깨부(26)에 고정된다.
저장기(1)는, 튜우브의 형태이며, 고체 혹은 빽빽히 채워진 분말로 구성된 제품(P)을 포함하도록 그 튜우브의 내부가 원형 단면인 직선 원통형이다. 저장기의 단부들중 일단부에는 분배 구멍(4)이 있다. 피스톤(5)은 제품(P)과 접촉하고 스크루(6)의 끝과 협력하도록 저장기의 다른 단부 쪽으로 나사결합된다. 이 스크루(6)의 나사산은, 저장기(1)의 축을 따라서 이동방향으로 피스톤(5)을 밀어주도록, 구동기구(2)의 너트(7)의 나사산과 협력한다. 저장기(1)의 분배 구멍(4)은 저장기의 축에 대해 경사져 있고 저장기의 축에 수직한 면에 대해서 60°의 경사도를 갖는다. 저장기(1)의 외벽면은 약간 절두원추형이다. 이러한 외벽은 관형연결 부분 혹은 덮개(3)의 내벽과 함께 결합하며, 저장기(1) 일부가 덮개(3)로부터 분배 구멍(4)쪽으로 나와 있다. 상기 분배구멍(4) 부근에 있는 덮개(3)의 단부(9)도, 저장기(1)의 축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상기 분배구멍(4)이 위치한 면에 평행하다. 덮개(3)의 벽은, 단부(9)에서부터 저장기(1)의 거의 중간 부분까지 갈수록 두께가 증가한다.
분배 구멍(4)의 가장자리는 깃털 층(8)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깃털 층(8)은 구멍(4)의 가장자리에 걸쳐져 있으며, 저장기(1)안쪽의 깃털(8)의 면적이 저장기(1) 바깥쪽 깃털의 면적보다 작다. 이러한 깃털 층(8)의 두께는 분배구멍(4)의 가장자리의 두께의 30% 이하이다. 저장기(1)의 외면에 있는, 구멍(4)에서 가장 멀리 있는 깃털(8)의 끝은 저장기(1)의 종축에 수직인 면에 있는 원 위치에 놓여진다. 제품이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저장기가 가득 채워지기 전에 저장기의 벽에 정전기로 혹은 아교로 섬유를 부착시킴으로써 깃털이 제공된다. 저장기(1)의 안쪽에 정확히 깃털을 제공하기 위해서, 안쪽에 나사선이 있고 그리고 저장기 내벽에 실질적으로 맞추어지는 심(mandrel)(도시안됨)이 사용될 수도 있다. 구멍(4)근처에서 이러한 심의 끝부분은, 깃털(8)이 저장기(1)의 내벽에 붙어 있을 수 있도록, 그리고 부착될 표면이 심의 높이에 따라서 완전히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서, 구멍(4)의 가장자리에서 저장기(1)안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다. 이와는 달리, 깃털은 예를 들어서 제자리에서 팽창하는 합성 발포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피스톤(5)은 회전 부재이다. 피의 면들중 한 면은 제품(P)에 접촉한 판(10)이다. 이 판(10)은, 피스톤(5) 몸체에 만들어진 원추형 홈(12)까지 판(10)을 통해서 피스톤내에서 연장하며 축선상으로 중심이 맞추어져 있는 도관(110)에 의해서 관통된다. 원추형 홈(2)은 계속해서 보어(14)까지 축선상으로 연장되며, 보어(14)는 피스톤(5)의 반대면에서 끝난다. 피스톤(5)의 끝면들은 각각, 저장기(1)의 내벽과 약간 압착되면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 둘레가 환형 가장자리(13)로 둘러싸여 있다. 스크루(6)의 헤드는 중심펀치(6)를 갖추며, 이 중심 펀치의 원추 단부(15)는 피스톤(5)의 원추형홈(12)과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중심 펀치(16)는 원통형 몸체이며, 그 직경은 보어(14)의 직경보다 약간 작아서 보어(14)의 내면에서 활주됨에 의해 적합하게 끼워진다. 중심 펀치(16)의 원추 단부(15)의 반대쪽 단부에는 로드(6)상에 놓이는 원판(17)이 있으며, 이 원판(17)은 로드(6) 및 중심 펀치(16)의 원통형 몸체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너트(7)는, 이것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분포된 3개의 부분(18)을 구비하는 슬릿 너트이다. 이들 3개의 부분(18)은, 그 주위벽으로 연장한 원통형 가장자리(20)에 의해서 단부들중 하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가장자리(20)의 반대쪽 끝은 내부에 배치되어 스크루(6)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보어(19)에 의해서 축선상으로 관통되어 있는 너트의 절두 원추형 헤드를 형성한다. 이 보어(19)는 가장자리(20)에 대향되는 단부가 나사식으로 되어 있다. 이것의 나사산(21)은 스크루(6)의 나사산과 협력하기 위한 것이다. 분배 구멍(4) 반대쪽 끝에는, 너트(7)의 헤드에 적합한 절두원축형 베어링(24)이 저장기(1)의 내벽에 제공되어 있다. 분배 용기의 덮개(3) 및 저장기(1)에는, 분배 구멍(4) 반대쪽의 저장기(1)의 끝을 향한 나선형 경사면(22,23)이 각각 있으며, 경사면(22)은 저장기(1)의 외벽에 배치되어 있고, 경사면(23)은 덮개(3)의 내벽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두 경사면(22 및 23)은 각각, 경사면들이 배치된 벽으로부터 계단형 부분(setback)을 구비한다. 그 결과, 저장기(1)의 벽은 분배구멍(4)쪽의 면이 경사면(22)쪽의 다른 면 보다 경사면(22)의 높이만큼 더 얇다. 덮개(3)의 벽은, 개방단(9)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높이가 경사면(23)쪽의 다른면 보다 경사면(23)의 높이만큼 더 두껍다. 이러한 2개의 경사면(22 및 23)은, 서로 협력하게 되어 있으며, 경사면들의 구멍(4 및 9)이 평행하도록 저장기(1) 및 덮개(3)의 각도상 위치선정을 하도록 한다. 조립된 위치에서, 저장기(1)는 부분(18)위에 있는 그 절두원추형 지지부(24)가 너트(7)의 헤드를 포함한 채로 놓여지며, 그 경사면(22)은 덮개의 경사면(23)위에 놓인다. 이에 따라, 덮개(3)를 어깨부(26)에 고정시켜서 저장기(1)를 고정되게 유지하고 그리고 부분(18)을 스크루(6) 둘레로 밀착시키기 위하여 너트(7)상에서의 저장기의 작동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저장기(1), 덮개(3), 피스톤(3) 및 너트(7)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부품들이다. 이들 여러 부품들이 제조된 후, 제1단계로 저장기(1)의 충전이 완성되고, 별도로 구동기구를 포함한 부분(2)의 부품들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구동 기구는 프랑스공화국 특허 출원 제88. 05026호에 개시된 유형으로 될 수 있으며, 특히 구동기구가 스프링(R)과, 저장기(1)로부터 멀리 있는 어깨부(26)의 끝에 설치된 누름버튼(25)을 구비하여서, 누름버튼(25)을 누르면 피스톤(5)의 평형이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스프링(R)은 누름버튼을 복귀시킨다. 제2단계중에는, 조립체를 덮개(3)안에 고정함으로써, 저장기(1)가 구동기구를 구비한 부분(2)에 설치된다. 너트(7)반대편쪽의 구동장치의 끝은 어깨부(26)에 단단히 부착되어 덮개(3)의 끝이 어깨부(26)에 고정된다. 이 어깨부(26)는 덮개(3)의 대응 단부가 제공된 내부 나사산(27)에 나사연결된다. 한 가능한 변경에서는, 걸쇠장치에 의해서 고정이 된다.
제품을 성형하거나 압출하거나 또는 빽빽히 다질 목적으로, 저장기(1)를 채우기 위해서 제2도의 장치가 사용된다. 저장기는 지지체(28)안에 만들어진 보어내에서 수직으로 보유되며, 분배구멍(4)이 이 보어안에 넣어지고 원추형 지지부(24)가 윗쪽으로 개방된다. 지지체(28)의 보어의 바닥은 분배 구멍(4)의 가장자리가 놓이는 경사면이다. 지지체의 측벽은, 깃털(8)에 마주하여 조립되며, 분배 구멍(4)의 가장자리에 반하여 깃털을 압착시킨다. 그리하여 저장기(1)와 지지체(28)는, 바닥을 가지며 액체나 고체 물질을 보유할 수 있는 용기를 함께 형성하며, 용기내에서는 립스틱과 같은 제품이 성형된다. 제품을 압출하거나 다지려면, 분배구멍(4) 반대쪽의 저장기(1)의 단부를 통하여 제품(P)이 유입되고 그리고 제품을 다지기 위해서는 저장기의 안쪽으로 압축기 피스톤을 끼워넣음으로서 제품이 압축된다.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용기의 바닥쪽으로 밀려난 공기는, 공기투과성인 깃털(8)의 작용에 의해서 제2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빠져나간다. 그러므로, 구멍(4)에서 어떠한 결함도 없이 제품이 채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분배 구멍(4) 반대쪽 단부에서는 피스톤(5)의 판(10)이 제품(P)과 직접 마주하면서 피스톤(5)이 끼워진다. 피스톤(5)은, 제품(P)이 저장기(1)안에 채워지는 높이에 관계없이 피스톤 판(10)이 제품(P)과 접촉할때까지 저장기(1)의 내부 실린더 안으로 미끄러지며, 판(10)과 제품(P) 사이에 있는 공기는 도관(11)을 통해서 빠져나간다. 다음으로 스크루(6)는, 중심 펀치(16)의 원추형 단부(15)가 원통형 보어(14)안으로 안내된 후에 피스톤(5)의 원추형 홈(12)안으로 끼워지도록 놓여진다. 끝으로, 어깨부(26) 및, 구동기구를 구비한 분배용기부분(2)에 의해서 형성된 조립체는, 너트(7)의 원추형 머리부를 형성하는 부분(18)이 저장기(1)의 절두원추형 지지부(24)에 놓일때까지 스크루(6)를 보어(19)안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보어(19)의 나사산(21)이 스크루(6)의 나사산에 근접하게 체결된다. 일단 제자리에 조립되고 나면, 조립체는 저장기(1) 및 부분(2을 덮개(3)안으로 끼우고 덮개(3)가 어깨부(26)위에 고정되도록 유지된다.
이제 조립이 끝나고 사용될 준비가 된다. 사용자의 누름 버튼(25)을 작동함으로써, 사용자는 저장기(1)로부터 제품(P)의 미세 층을 해제한다. 제품이 화장용 패드의 역할을 하며 제품(P)이 저장기(1)의 가장자리를 얼룩지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깃털층(8) 위에 퍼지게 함으로써 의도한 지역으로 제품이 발라지도록 한다. 더욱이 제품(P)이 피부에 바르도록 된 화장품인 경우에, 깃털 층(8)은 피부와 분배용기 사이의 접촉을 보다 부드럽게 해준다는 장점도 있다. 일단 퍼지고 나면, 제품(P)은 대체로 분배구멍(4) 가장자리에 있는 깃털층(8)의 둥근 단부 바로 아래에 그리고 저장기(1)의 벽의 단부위에 놓여진다. 제품(P)이 마르거나 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기(도시안됨)가 분배 구멍(4)에 첨가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덮개가 어깨부(26)에 나사결합된 경우에는, 저장기(1)내의 제품(P)을 완전히 다 사용하여 교체할 때, 어깨부(26)가 나사결합에서 풀어질 수 있으며 구동기구를 포함한 부분(2)이 덮개(3)이 분리될 수 있다. 너트(7)의 부분(18)은 저장기(1)의 베어링(24)과 접촉하여 있지 않으며 보어(19)의 나사산(21)은 스크루(6)의 나사산과 협력하게 되어 있지 않아서, 스크루(6)의 머리의 판(17)이 이동 한계를 가진다 할지라도 스크루는 보어(19)내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지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체로 다 사용한 저장기(1)를 다른 저장기(1)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그런 장치는, 구동기구의 역할을 하는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다수의 저장기(1)를 재충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Claims (18)

  1. 바르는 제품(P)을 수용하는 저장기(1), 및 상기 저장기(1)로부터 상기 제품(P)을 분배하기 위한 구동수단(2)을 포함하고 있는 분배용기로서, 상기 저장기(1)가 원통형 내부 및 상기 원통형 내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분배구멍(4)을 갖추고 있는 튜우브와, 그리고 상기 튜우브의 상기 원통형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되어 피스톤(5)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2)이 그 작동시 상기 피스톤(5)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스톤(5)과 결합되는 일단부를 포함하고 있는 분배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멍(4)이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표면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품(P)을 바르는데 사용되는 공기 투과성 재료층(8)이 상기 분배구멍(4)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투과성 재료층(8)이 상기 분배구멍(4)의 가장자리를 덮어주는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상기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8)이 다공질의 스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8)이 다수의 기공을 갖추고 있는 깃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8)이 다수의 기공을 갖추고 있는 합성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8)이 상기 분배구멍(4)의 가장자리에 아교에 의해 접착되는 깃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이 상기 분배구멍의 가장 자리에 정전기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이 상기 제품(P)에 가장 인접한 면(10)으로 상기 구동수단 부품들과 마주하는 면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도관(11)에 의해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6)의 축선상 연장부에 도관(1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및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6)의 머리부(15)가 상기 피스톤(5)을 평형 이동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피스톤(5)의 면(12)에 압착되어 있는 2개의 서로 다른 부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6)의 머리부의 단부에는 자유단부가 원추형인 중심 펀치(16)를 갖추며, 상기 중심펀치(16)와 협력하는 상기 피스톤(5)의 표면(12)은 상기 중심 펀치(16)의 단부에 상응하는 원추형상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원추형인 상기 피스톤(5)의 표면(12)이 안내 보어(14)를 갖추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6)에 부착된 그 일단부에 인접한 상기 중심 펀치가 상기 로드(6)의 축에 수직한 판(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의 주위벽에는, 상기 저장기(1)의 내벽과 접촉하여 약간 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가장자리(13)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이 그것의 각 단부들을 향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가장자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구멍(4)의 가장자리가 상기 저장기(1)의 축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1)가 그와 관련된 튜우브형 연결 부분(3) 안쪽에 끼워지며, 상기 연결 부분의 외벽 및 내벽에는 각각 나선형 경사면(22,23)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나선형 경사면들(22,23)은 상기 저장기(1)를 상기 연결부분(3)에 대한 소정의 각도상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1)가 상기 구동수단에 대해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기가 상기 구동수단에 부착될 순간에 상기 로드(6)가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6)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며 상기 연결부분(3)에 대해 고정된 너트(7)와 함께 협력하는 스크루이며, 상기 너트(7)는 모선을 따라 형성된 가는 홈이며, 상기 저장기(1)의 상기 분배구멍(4)반대쪽의 상기 저장기(1)의 단부(24)가 원추형 자리받침에 의해서 상기 너트(7)의 외벽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KR1019900001454A 1989-02-07 1990-02-07 바르는 제품용 분배용기 KR970002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01544 1989-02-07
FR8901544A FR2642675B1 (fr) 1989-02-07 1989-02-07 Distributeur pour produit pateux ou solide comportant un revetement de son orifice de distribu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567A KR900012567A (ko) 1990-09-01
KR970002538B1 true KR970002538B1 (ko) 1997-03-06

Family

ID=937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454A KR970002538B1 (ko) 1989-02-07 1990-02-07 바르는 제품용 분배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31773A (ko)
EP (1) EP0382591B1 (ko)
JP (1) JP2909754B2 (ko)
KR (1) KR970002538B1 (ko)
CA (1) CA2009213C (ko)
DE (1) DE69001304T2 (ko)
ES (1) ES2040064T3 (ko)
FR (1) FR2642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7560C1 (de) * 1992-08-20 1993-11-25 Schwan Stabilo Schwanhaeusser Auftragsgerät mit einer Mine aus einer streichfähigen Masse
US5851079A (en) * 1996-10-25 1998-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mplified undirectional twist-up dispensing device with incremental dosing
US5827235A (en) * 1996-12-23 1998-10-27 Beaver; George M. Method and apparatus used to apply topical medication
JP3724769B2 (ja) * 1997-12-09 2005-12-07 株式会社壽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の中ねじ部材
DE29805800U1 (de) * 1998-03-31 1998-07-16 H & M Gutberlet Gmbh Kosmetikstift
FR2780622B1 (fr) 1998-07-03 2001-07-20 Oreal Applicateur pour produit delitescen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pplicateur et procede
DE19855210C2 (de) * 1998-11-30 2000-11-23 Schwan Stabilo Cosmetic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iftes
FR2810858B1 (fr) * 2000-06-28 2003-01-10 Oreal Embout de distribution comportant deux parties assemblees et un revetement de flocage
FR2810859B1 (fr) 2000-06-28 2002-09-06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ayant une surface d'application alimentee de maniere privilegiee en produit
FR2820622B1 (fr) 2001-02-13 2003-10-31 Oreal Ensemble applicateur, notamment d'un produit de maquillage, et kit d'application
FR2833245B1 (fr) 2001-12-11 2004-03-19 Oreal Ensemble applicateur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DE10246379B4 (de) * 2002-10-04 2005-12-22 Jenner, Gün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flockten Kosmetik-Applikatorkopfes
DE202004020158U1 (de) * 2004-12-03 2006-01-26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Auftraggerät mit Rückstellsicherung
FR2882506B1 (fr) 2005-02-25 2007-05-18 Oreal Procede de maquillage au moyen d'un applicateur vibrant
FR2897245B1 (fr) 2006-02-15 2008-04-25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US8215861B2 (en) * 2006-02-15 2012-07-10 L'ore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US7874464B2 (en) * 2006-09-07 2011-01-25 L'oreal Venting system for a product dispensing device
JP5592306B2 (ja) * 2011-05-11 2014-09-17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
US9474348B2 (en) * 2013-07-29 2016-10-25 Tokiwa Corporatio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JP7279915B2 (ja) 2017-08-23 2023-05-23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繰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0369A (en) * 1928-10-23 1929-07-09 Mccue Chrystal Christopher Fountain pen
FR782500A (fr) * 1934-03-01 1935-06-05 Nouveau blaireau pour la barbe
CH262675A (de) * 1948-04-18 1949-07-15 Rudolf Dr Vierthaler Gerät zum Auftragen von streichbaren Massen, insbesondere von Lippenschminken.
FR1045189A (fr) * 1951-11-16 1953-11-24 Ile D Etudes Pour La Fabricati Distributeur de fard en bâton pour lèvres
LU35084A1 (ko) * 1957-04-11 1958-04-11
US3256980A (en) * 1962-01-08 1966-06-21 Bau Robert Gordon Cosmetic make-up device with replaceable cosmetic quill having lubricated side walls
US3358699A (en) * 1962-10-03 1967-12-19 Bau Robert Gordon Cosmetic storing and dispensing device
FR1458448A (fr) * 1965-09-13 1966-03-04 Oreal Nouveau procédé pour effectuer le remplissage d'étuis ou de récipients contenantdes bâtons de substance solidifiée, et nouveaux produits pour mettre en oeuvre ce procédé
US3825021A (en) * 1973-05-07 1974-07-23 Applicator Brush Co Inc Cosmetic applicator
US4374796A (en) * 1980-02-18 1983-02-22 Shiseido Company, Ltd. Method for loading cosmetic material into hollow space
DE3327771C2 (de) * 1983-08-02 1986-06-05 Schwan-Stabilo Schwanhäußer GmbH & Co, 8500 Nürnbe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Kosmetikstifts
US4624594A (en) * 1983-11-28 1986-11-25 Pentel Kabushiki Kaisha Fluid dispenser
DE3430582A1 (de) * 1984-08-20 1986-02-27 geb. Verges Karin 3052 Bad Nenndorf Dahm Vorrichtung zur applikation stiftfoermiger kosmetika
US4664547A (en) * 1985-07-01 1987-05-12 W. Braun Company Product storage container and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42675A1 (fr) 1990-08-10
EP0382591A1 (fr) 1990-08-16
EP0382591B1 (fr) 1993-04-14
FR2642675B1 (fr) 1991-05-03
ES2040064T3 (es) 1993-10-01
DE69001304T2 (de) 1993-11-25
DE69001304D1 (de) 1993-05-19
KR900012567A (ko) 1990-09-01
JPH02245233A (ja) 1990-10-01
JP2909754B2 (ja) 1999-06-23
CA2009213A1 (fr) 1990-08-07
US5131773A (en) 1992-07-21
CA2009213C (fr) 1997-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538B1 (ko) 바르는 제품용 분배용기
US5009534A (en) Piston dispenser for paste or solid products
JP2649420B2 (ja) パウダー状又はペースト状の製品の塗布器具セット
US4954000A (en) Refillable dispenser including a translatable plunger
JP3431938B2 (ja) 化粧具
US3807881A (en) Cosmetic applicator
US5332325A (en) Applicator tube for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EP1094732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porous carrier
JP3749849B2 (ja) 塗布装置を具備した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US6186686B1 (en) Applicator for liquid material
JP3452579B2 (ja) 塗布物、特に接着剤を塗布する為の可再補充コンテナ
US4838722A (en) Device for dispensing flowable substances
US2728494A (en) Containers for pasty and similar substances
US4050612A (en) Dispensing container
JP3641262B2 (ja) スティックのリフィル・カートリッジを有してなるシステム
KR101744391B1 (ko) 스틱형 화운데이션 용기
GB2066059A (en) Comb or brush
EP0100204B1 (en) Applicator for creams and viscous liquids
EP1056658B1 (en) Dispenser with reciprocating action
KR101889971B1 (ko) 펜슬형 화장품 용기
EP0855155A1 (en) Dispenser for cosmetic products
US2599379A (en) Screw actuated dispensing mechanism and refill unit therefor
EP3539410A1 (en) Cosmetic packaging
US20010047155A1 (en) One-way receptacle for dental filling material
JPS63500569A (ja) 流動状の物質を放出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