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971B1 - 펜슬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펜슬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971B1
KR101889971B1 KR1020180045503A KR20180045503A KR101889971B1 KR 101889971 B1 KR101889971 B1 KR 101889971B1 KR 1020180045503 A KR1020180045503 A KR 1020180045503A KR 20180045503 A KR20180045503 A KR 20180045503A KR 101889971 B1 KR101889971 B1 KR 10188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ower portion
locking protrusion
cosmetic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유케이
Priority to KR102018004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슬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가 분할된 복수의 공간부에 각각 다른 종류의 화장료가 저장되고, 원터치 방식으로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품 용기로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슬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펜슬형 화장품 용기{Pencil type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펜슬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가 분할된 복수의 공간부에 각각 다른 종류의 화장료가 저장되고, 원터치 방식으로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화장품 용기로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슬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얼굴이 화사하면서 아름답게 보이도록 화장액 등을 이용하여 화장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액은 그 기능에 따라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용 화장품, 프레그런스(fragrance), 약용 화장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화장액은 그 상태에 따라 크림, 분말, 액상의 상태로 구분되어 각 상태에 알맞은 용기에 보관된다.
이와 같은 화장액들 중 분상의 화장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중 화장액이 비산되고, 얼굴에 도포시 밀착감이 떨어지는 단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화장액을 수분이 함유된 액상으로 개량하여 얼굴화장의 용이성은 물론 화장에 따른 피부에 뭉침이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이 있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퀴드형 화장액은 별도의 용기에 담아 사용하는 바,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공보 제10-0856698호(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가 있으며,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각종 성상의 내용물을 차단하고 있는 밸브기구의 절결부를 분사기구의 버튼 조작에 따라 승강 조작되는 피스톤 로드의 피스톤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상기 피스톤로드에 구비된 개방단부에 의해 상기 밸브기구의 절결부가 개방조작되고, 동시에 상기 개방 상태의 절결부를 통해 저장용기 내의 내용물이 공기 압축력에 의해 토출기구로 직접 정량씩 신속하게 분사 공급되도록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용구는 하나의 화장액을 하나의 용기에 담아 사용하므로, 여러 종류의 화장용구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기초화장부터 마무리화장까지 여러가지 단계가 있고, 화장방법에 따라 알맞은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 용기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등록공보 제10-0856698호 -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획벽에 의해 복수의 단위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다른 종류의 화장료가 저장된 저장부를 형성하여,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료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슬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가압부재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펜슬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저장부 또는 저장부에 연동된 각각의 브러시를 하강시키는 동작과, 하강된 상태에서 화장료를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가압부재를 2단계로 구분하여 작동이 가능하여, 화장료의 배출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배출이 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저장부에 수용되 화장료가 하우징 내부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슬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화장품 용기는 내측에 수직한 벽체 형태로 형성된 구획벽(11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복수의 개방홈(120)이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100);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하단부에 통공(210)이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200); 상기 상부 하우징의 복수의 공간부에 일측이 삽입되며, 내부에는 화장료(C)가 수용되는 저장부(300);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부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핑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상기 펌핑부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화장료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공(311)이 구비되는 배출부재(310); 및 상기 배출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배출된 화장료를 함침하기 위한 브러시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방홈에 안착되며, 상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걸림돌기(4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걸림돌기의 하부에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하부걸림돌기(412)가 형성되는 가압부재(410);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와 연동되어 결합되는 제1샤프트(4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가압부재를 통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부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승,하강되는 가압판(422)이 구비되는 피스톤부재(420); 및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측에 결합되어 피스톤부재의 승,하강 운동에 대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431)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를 단속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된 단속판(432)이 형성되는 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하부걸림돌기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걸림돌기(4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하단부에 상기 제1샤프트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재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핀(414); 및 상기 가압핀의 승,하강을 도모하기 위한 제1탄성체(415);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제1샤프트가 중공이 구비된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샤프트의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40); 상기 제1샤프트의 중공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플랜지부재(451)가 구비되는 제2샤프트(450); 및 상기 플랜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샤프트가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한 제2탄성체(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통공의 내측에 이종재질의 화장료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획벽에 의해 복수의 단위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다른 종류의 화장료가 저장된 저장부를 형성하여,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료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가압부재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저장부 또는 저장부에 연동된 각각의 브러시를 하강시키는 동작과, 하강된 상태에서 화장료를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가압부재를 2단계로 구분하여 작동이 가능하여, 화장료의 배출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배출이 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저장부에 수용되 화장료가 하우징 내부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품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펜슬형 화장품 용기의 저장부 및 브러시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펌핑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품 용기의 하부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품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펜슬형 화장품 용기의 저장부 및 브러시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펌핑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품 용기의 하부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화장품 용기는 크게 상부 하우징(100), 하부 하우징(200), 저장부(300), 펌핑부(400)로 구성된다.
이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은 내측에 수직한 벽체 형태로 형성된 구획벽(11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복수의 개방홈(1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획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부가 2 내지 4분할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홈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구획벽에 의해 분할되는 공간부의 갯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하단부에 통공(21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통공은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저장부 또는 브러시부의 하단부가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00)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복수의 공간부에 일측이 삽입되며, 내부에는 화장료(C)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화장료는 동종 또는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로 점성을 갖는 액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핑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부 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는 상기 펌핑부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화장료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공(311)이 구비되는 배출부재(310); 및 상기 배출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배출된 화장료를 함침하기 위한 브러시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함침한다는 의미는 화장료를 사용자가 바를 수 있는 만큼 브러시부에 머금어진다는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은 바람직하게는 평상시에 저장부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미세하게 타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료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점성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펌핑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방홈에 안착되며, 상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걸림돌기(4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걸림돌기의 하부에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하부걸림돌기(412)가 형성되는 가압부재(410);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와 연동되어 결합되는 제1샤프트(4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가압부재를 통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부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승,하강되는 가압판(422)이 구비되는 피스톤부재(420); 및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측에 결합되어 피스톤부재의 승,하강 운동에 대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431)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를 단속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된 단속판(432)이 형성되는 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색볼펜의 형태와 유사한 것으로, 예컨대 상기 복수의 가압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압부재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선택된 가압부재의 상부걸림돌기가 나머지 다른 가압부재의 하부걸림돌기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걸림돌기 및 하부걸림돌기는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바, 상기 설정된 간격은 상술한 저장부 또는 브러시부의 하단부가 하부 하우징의 통공을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말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재는 저장부 내부의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압판의 외측에는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패킹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사용자가 다른 화장료의 사용을 원하거나 또는 사용을 모두 마친경우에, 상기 가압부재를 최초형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코일스프링이 가압부재와 단속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복원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하부걸림돌기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걸림돌기(4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보조걸림돌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재를 2단계로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선택된 가압부재의 상부걸림돌기가 다른 나머지 가압부재의 하부걸림돌기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화장료를 소량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보조걸림돌기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화장료를 대량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가압부재는 하단부에 상기 제1샤프트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재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핀(414); 및 상기 가압핀의 승,하강을 도모하기 위한 제1탄성체(415);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제1샤프트가 중공이 구비된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샤프트의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40); 상기 제1샤프트의 중공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플랜지부재(451)가 구비되는 제2샤프트(450); 및 상기 플랜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샤프트가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한 제2탄성체(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코일스프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 및 피스톤부재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7은 펌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실제로 작동되는 형태의 도면은 아니며,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편의상 좌측과 우측을 동시에 표현한 도면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가압부재는 상부걸림부재가 전방(미도시)과 후방의 가압부재의 하부걸림돌기에 고정된 상태로서, 제1샤프트 및 저장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저장부 또는 브러시부가 하부 하우징의 통공을 통해 노출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는 최초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저장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저장부의 내측에 마련된 가압판이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에 의해 최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저장부 또는 브러시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전에는 화장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가압부재는 상부걸림부재가 전방(미도시)과 후방의 가압부재의 보조걸림부재에 고정된 상태로서, 가압핀 및 제2샤프트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저장부 내부의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이다.
즉, 이러한 펌핑부는 상술한 저장부 또는 브러시부가 하부 하우징의 통공을 통해 노출되기 전에는 화장료를 배출하지 않고, 노출된 후에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하부 하우징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장료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통공의 내측에 이종재질의 화장료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는 상단부가 하부 하우징의 내주면 일측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의 저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부재는 하부 하우징의 통공을 통해 인출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료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획벽에 의해 복수의 단위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다른 종류의 화장료가 저장된 저장부를 형성하여,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료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가압부재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저장부 또는 저장부에 연동된 각각의 브러시를 하강시키는 동작과, 하강된 상태에서 화장료를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가압부재를 2단계로 구분하여 작동이 가능하여, 화장료의 배출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배출이 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저장부에 수용되 화장료가 하우징 내부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상부 하우징 110 ... 공간부
111 ... 구획벽 120 ... 개방홈
200 ... 하우 하우징 210 ... 통공
220 ... 차단부재
300 ... 저장부 310 ... 배출부재
311 ... 배출공 320 ... 브러시부
400 ... 펌핑부 410 ... 가압부재
411 ... 상부걸림돌기 412 ... 하부걸림돌기
413 ... 보조걸림돌기 420 ... 피스톤부재
421 ... 제1샤프트 422 ... 가압판
430 ... 탄성부재 431 ... 코일스프링
432 ... 단속판 440 ... 가이드홈
450 ... 제2샤프트 451 ... 플랜지부재
460 ... 보조스프링

Claims (6)

  1. 내측에 수직한 벽체 형태로 형성된 구획벽(11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복수의 개방홈(120)이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100);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하단부에 통공(210)이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200);
    상기 상부 하우징의 복수의 공간부에 일측이 삽입되며, 내부에는 화장료(C)가 수용되는 저장부(300);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부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핑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펌핑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방홈에 안착되며, 상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걸림돌기(4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걸림돌기의 하부에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하부걸림돌기(412)가 형성되는 가압부재(410);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와 연동되어 결합되는 제1샤프트(4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가압부재를 통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부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승,하강되는 가압판(422)이 구비되는 피스톤부재(420); 및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측에 결합되어 피스톤부재의 승,하강 운동에 대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431)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를 단속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된 단속판(432)이 형성되는 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하부걸림돌기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걸림돌기(4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하단부에 상기 제1샤프트의 중공에 삽입되어 플랜지부재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핀(414); 및
    상기 가압핀의 승,하강을 도모하기 위한 제1탄성체(415);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제1샤프트가 중공이 구비된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샤프트의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40);
    상기 제1샤프트의 중공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플랜지부재(451)가 구비되는 제2샤프트(450); 및
    상기 플랜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샤프트가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한 제2탄성체(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펌핑부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화장료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공(311)이 구비되는 배출부재(310); 및
    상기 배출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배출된 화장료를 함침하기 위한 브러시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화장품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통공의 내측에 이종재질의 화장료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화장품 용기.
KR1020180045503A 2018-04-19 2018-04-19 펜슬형 화장품 용기 KR10188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03A KR101889971B1 (ko) 2018-04-19 2018-04-19 펜슬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03A KR101889971B1 (ko) 2018-04-19 2018-04-19 펜슬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971B1 true KR101889971B1 (ko) 2018-09-20

Family

ID=6371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503A KR101889971B1 (ko) 2018-04-19 2018-04-19 펜슬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706A (zh) * 2018-09-27 2018-12-14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多色按压化妆笔
KR102126569B1 (ko) * 2019-02-12 2020-06-25 이현주 화장용 멀티 브러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215Y1 (ko) 2007-02-09 2007-11-13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JP2009113427A (ja) 2007-11-08 2009-05-28 Tombow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
JP2015112775A (ja) 2013-12-11 2015-06-22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出没式筆記具
KR101831873B1 (ko) * 2017-03-02 2018-02-26 주식회사 리치코스 3색 화장용 펜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215Y1 (ko) 2007-02-09 2007-11-13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JP2009113427A (ja) 2007-11-08 2009-05-28 Tombow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
JP2015112775A (ja) 2013-12-11 2015-06-22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出没式筆記具
KR101831873B1 (ko) * 2017-03-02 2018-02-26 주식회사 리치코스 3색 화장용 펜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706A (zh) * 2018-09-27 2018-12-14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多色按压化妆笔
KR102126569B1 (ko) * 2019-02-12 2020-06-25 이현주 화장용 멀티 브러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939Y1 (ko)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JP3732112B2 (ja) 収容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US5964226A (en) Hair product application system
JP2003205961A (ja) 製品を包装および適用するための容器アセンブリ
KR101436568B1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KR101889971B1 (ko) 펜슬형 화장품 용기
JPH02104306A (ja) 化粧品塗布器具セット
JPH038169Y2 (ko)
JP2020078569A (ja) 塗布具
KR970002538B1 (ko) 바르는 제품용 분배용기
JP2755934B2 (ja) 粘性化粧品用アプリケーター
JP2018034859A (ja) 塗布栓
KR101048412B1 (ko) 화장품 용기
JP3837403B2 (ja) 少なくとも1つの製品、特に化粧製品を収容するための装置
EP1295543B1 (en) Liquid applicator
KR100818368B1 (ko) 화장품 도포장치
KR101729277B1 (ko)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JP7026579B2 (ja) 塗布容器
US8905666B2 (en) Liquid applicator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USRE38016E1 (en) Application unit for a lipstick-type product
KR20080087464A (ko)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JP7478407B2 (ja) 塗布体付き容器
KR102018557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1893787B1 (ko) 펜타입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