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464A -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464A
KR20080087464A KR1020070029725A KR20070029725A KR20080087464A KR 20080087464 A KR20080087464 A KR 20080087464A KR 1020070029725 A KR1020070029725 A KR 1020070029725A KR 20070029725 A KR20070029725 A KR 20070029725A KR 20080087464 A KR20080087464 A KR 20080087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variable chamber
supply uni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빈
Original Assignee
임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빈 filed Critical 임효빈
Priority to KR102007002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7464A/ko
Publication of KR2008008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화장시의 사용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공급유닛은,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은 그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제1 및 제2 개폐공이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체적이 가변되는 가변챔버; 상기 가변챔버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누름체; 및 상기 측면누름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화장품, 공급, 가변, 챔버, 누름체, 개폐수단

Description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UNIT FOR SUPPLING A COSMETIC MATERIAL AND MAKE-UP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 및 화장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측면누름체의 누름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 및 화장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 및 화장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화장품 공급유닛 및 화장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 및 화장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측면누름체의 누름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화장도구 11 : 용기부
15 : 충전공간 20 : 화장품 공급유닛
30 : 도포유닛
본 발명은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화장시의 사용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이라 함은 인체에 화장품을 바르고 매만져 곱게 꾸미는 행위로서, 이러한 화장에 이용되는 화장품은 피부에 사용되는 기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눈ㆍ눈썹ㆍ입술 등에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다.
특히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粉)과 파운데이션ㆍ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ㆍ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이섀도ㆍ마스카라ㆍ인조속눈썹ㆍ눈썹먹ㆍ아이라인ㆍ립스틱 등으로 그 인상으로 돋보이게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별도의 화장품 수용도구가 필요없도록 그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어 직접적으로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외적미관을 향상시킨 펜타입 화장도구가 널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펜타입 화장도구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수용부,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도포유닛, 이 도포유닛측으로 화장품을 공급하는 공급유닛 등을 포함한다.
도포유닛의 단부에는 브러시, 스폰지, 실리콘, 구체 또는 반구체 등으로 이루어진 도포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유닛은 일반적으로 푸시버튼(push button)에 의해 화장품 수용부의 화장품을 도포유닛으로 밀어 내는 피스톤기구로 이루어지고, 푸시버튼은 도포유닛의 길이방향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펜타입 화장도구는 그 푸시버튼이 단부에 구비되어 푸시버튼을 눌러 화장품을 피부에 묻힌 후에 다시 화장도구의 파지 위치를 변경하여 그 화장품을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거나, 또는 토출되는 화장품을 손바닥 또는 손가락 등에 임시로 묻힌 후에 다시 손바닥 또는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그 사용상의 불편함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의 화장도구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품이 점점 고급화 또는 기능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화장품의 오염이 최소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최근의 화장도구는 그 크기가 점점 컴팩트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화장품의 충전양에 한계가 있어 그 사용수명이 짧고, 이에 따라 그 화장품이 충전된 용기부의 교체 또는 리필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장품을 도포구측으로 공급하는 작동과 이 화장도구에 의해 화장작업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그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도구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부의 교체 또는 리필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품 공급유닛은,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은 그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제1 및 제2 개폐공이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체적이 가변되는 가변챔버;
상기 가변챔버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누름체; 및
상기 측면누름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챔버는 그 내벽면 및 외벽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변챔버의 일단에 배치된 제1개폐공의 하류에는 탄성적으로 복원가능한 개폐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리브는 화장품의 역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수단은 일단이 제2개폐공을 개폐하고, 타측이 제1개폐공의 내경면에서 이동가능한 개폐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는 그 일단부에 제2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소정길이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폐리브가 압력차에 의해 밀착 내지 벌림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개폐구는 그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펼침가능하게 구부러진 다수의 탄성리브들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리브 사이에는 수용공간 내에서 화장품의 이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절취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리브의 일측에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는 가변챔버의 주름부의 어느 일측 홈에 끼워진다.
이와 달리,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개폐구의 일측에서 원추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리브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리브의 단부는 상기 가변챔버의 주름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1개폐공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 및 상기 제2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폐리브가 밀착 내지 벌림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개폐구는 제2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리브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개폐리브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변챔버는 리지드(rigid)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변챔버는 그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펼침가능하게 구부러진 다수의 탄성리브들이 구비된다.
상기 가변챔버와 지지체 사이에는 복원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도구는,
화장품이 충전된 충전공간, 및 상기 충전공간 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를 구비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소통가능하게 구비된 화장품 공급유닛;
상기 화장품 공급유닛에 연결된 도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공급유닛은,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은 그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제1 및 제2 개폐공이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체적이 가변되는 가변챔버;
상기 가변챔버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누름체; 및
상기 측면누름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도포유닛에는 제1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제1캡의 단부에는 거울이 구비된다.
상기 용기부의 타단에는 제2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캡의 내부에는 보조 화장부재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0) 및 화장품 공급유닛(2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도구(10)는 내부에 화장품이 충전되는 충전공간(15)을 구비한 용기부(11), 용기부(11)의 일단에 구비된 화장품 공급유닛(20), 및 화장품 공급유닛(20)측에 연결된 도포유닛(30)을 포함한다.
용기부(11)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관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중공부에는 분말, 크림 또는 리퀴드 형태의 화장품이 충전되는 충전공간(15)이 구비되며, 이 충전공간(15)에는 피스톤(16)이 구비된다.
용기부(11)의 일단에는 개구(12)가 형성되며, 이 개구(12)측에 화장품 공급유닛(20)이 소통가능하게 연결된다. 화장품 공급유닛(20)은 도포유닛(30)측으로 화장품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20)은 용기부(11)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된 가변챔버(21), 이 가변챔버(21)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누름체(22), 측면누름체(22)에 의해 가변챔버(21)를 용기부(11) 및 도포유닛(30)에 선택적으로 소통시키는 개폐구(23)를 포함한다.
가변챔버(21)는 그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주름부(21f)를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용기부(11)의 화장품이 일시 수용되는 수용공간(21e)을 가진다. 이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주름부(21f)를 통해 그 수용공간(21e)의 체적이 축소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주름부(21f)의 탄성력에 의해 그 수용공간(21e)의 체적이 원래대로 복귀됨으로써, 수용공간(21e)은 그 내부 체적이 가변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용공간(21e)은 그 길이방향의 단부에 상호 마주보는 제1 및 제2 개폐공(21b, 31b)이 배치되고, 제1개폐공(21b)은 가변챔버(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2개폐공(31b)은 가변챔버(21)의 타단 또는 후술하는 도포유닛(30)의 지지체(31)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챔버(21)의 일단에는 용기부(11)의 개구(12)에 끼움결합되는 장착부(21a)를 가지며, 이 장착부(21a)에 제1개폐공(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개폐공(21b)은 가변챔버(21)의 내부공간(21e)과 소통가능하며, 제1개폐공(21b)의 하류에는 탄성적으로 복원가능한 개폐리브(21c)가 형성된다. 이 개폐리브(21c)는 도포유닛(30)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개폐리브(21c)는 용기부(11)의 충전공간(15)과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개폐구(23)의 타단부(23b) 외주면에 기밀하게 밀착 내지 벌어짐으로써, 용기부(11)로부터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 내로 화장품이 흐름만을 허용하고, 가변챔버(21)에서 용기부(11)로 화장품이 역류됨을 방지한다.
측면누름체(22)는 그 일단이 용기부(11)측에 회동 또는 이동의 기준이 되고, 그 타단은 상기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 또는 이동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측면누름체(22)의 일단에는 돌기부(22a)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22a)는 용기부(11)의 일단 및 용기부(11)의 나사부(11a)에 체결되는 체결링(13) 사이에 회동 또는 이동(도 7 및 도 8 참조)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돌기부(22a)를 기준으로 측면누름체(22)가 회동 또는 이동한다. 그리고, 측면누름체(22)의 타단에는 도포유닛(30)의 지지체(31)의 가장자리에 걸려지는 걸림부(22b)가 형성되며, 측면누름체(22)의 내측면에는 가변챔버(21)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리브(2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누름체(22)의 걸림부(22b)에 인접한 타단부에는 그 회동 또는 이동의 기준이 되는 일단부 보다 높게 설정된 누름자리(22d)가 형성됨으로써, 측면누름체(22)의 회동 또는 이동 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면누름체(22)는 걸림부(22b)에 인접한 타단부에 걸림홈(22e)을 더 구비하고, 이 걸림홈(22e)에 제1캡(40)의 끼움부(41)가 삽입되면 측면누름체(22)는 임의적인 회동 또는 이동이 방지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측면누름체(22)가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누름체(22)가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외에도 본 발명의 측면누름체(22)는 다양한 갯수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누름체(22) 및 가변챔버(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측면누름체(22)의 가압리브(22c)가 가변챔버(21)의 측면에 일체로 사출형성됨으로써 측면누름체(22)가 가변챔버(21)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누름 및 해제작동에 의한 가변챔버(21)의 축소 및 복귀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구(23)는 그 일단에 제2개폐공(31b)을 개폐하는 개폐부(23a)를 구비하고, 이 개폐부(23a)는 개폐구(23)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길이(A)로 돌출된 구조로 이 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개폐부(23a)는 상기 제2개폐공(31b)과 접촉하는 부분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부(23a1) 및 이 테이퍼부(23a1)에서 연장된 돌기부(23a2)를 가진다.
이와 같은 소정 길이(A)를 가진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개폐부(23a)는 측면누름체(22)의 누름작동에 의해 개폐구(23)가 이동함에 따라 제2개폐공(31b)이 개방되는 경우, 개폐구(23)의 이동과 동시에 제2개폐공(31b)이 개방됨을 방지하고, 제2개폐공(31b)이 일정한 시간차이를 가지고 서서히 개방되게 함으로써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으로 외부의 에어가 쉽게 유입됨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화장품의 오염 또는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폐구(23)의 타단부(23b)는 제1개폐공(21b)의 내경면에서 이동가능하고, 이 제2개폐부(23b)에는 통공(23g) 및 홈(23h)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타단부(23b)의 외주면에는 가변챔버(21)의 개폐리브(21c)가 용기부(11) 및 가변챔버(21)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밀착 내지 벌어짐으로써 가변챔버(21)의 제1개폐공(21b)을 개폐한다.
개폐구(23)는 그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펼침가능하게 구부러진 다수의 탄성리브(23c)들이 구비되고, 이 탄성리브(23a) 사이에는 수용공간(21e) 내에서 화장품의 이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절취홈(23e)이 형성되며, 이 탄성리브(23c)의 일단부(23d)는 도포유닛(30)의 지지체(31)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탄성리브(23c)의 일측에는 끼움부(23f)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23f)는 가변챔버(21)의 내벽면에 형성된 주름부(21f)의 어느 일측 홈에 끼워져 개폐구(23)의 안정적인 이동작동을 보 장한다.
도포유닛(30)은 화장품 공급유닛(20)에 의해 충전공간(15)으로부터 공급된 화장품을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도포한다.
도포유닛(30)은 화장품 공급유닛(20)의 가변챔버(21)에 밀봉적으로 설치된 지지체(31) 및 지지체(31)에 설치된 도포부재(32)를 포함한다.
지지체(31)는 가변챔버(21)의 일측에 각종 밀봉재 등에 의해 밀봉적으로 결합되고,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과 인접하는 부분에 테이퍼진 제2개폐공(31b)을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개폐공(31b)이 도포유닛(30)의 지지체(31b)에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변챔버(2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체(31)는 제1개폐공(31b)과 소통하는 노즐(31a)을 가지고, 이 노즐(31a)은 지지체(31)측에 조립식 또는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포부재(32)는 브러시, 배출공을 구비한 실리콘 또는 스폰지, 구체 또는 반구체 등과 같이 신체와의 접촉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포유닛(30)의 지지체(31)에는 제1캡(40)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도 있다. 제1캡(40)은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끼움부(4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누름체(22)의 회동방지 홈(22e)에 삽입되어 측면누름체(22)의 임의적인 회동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일면에 거울(44)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11)의 타단부에는 제2캡(17)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 제2캡(17)과 용기부(11)의 타단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에 퍼프 등과 같은 별도의 도포부재(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20) 및 화장도구(10)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캡(40)을 도포유닛(2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측면누름체(22)를 누르면, 측면누름체(22)의 가압리브(22c)들이 가변챔버(21)의 측면을 가압하고, 이에 의해 가변챔버(21)는 그 수용공간(21e)의 내부체적이 감소되고, 이에 연동하여 개폐구(23)의 탄성리브(23c)가 그 일단부(23d)를 기준으로 펼쳐져 도 2와 같은 개폐구(23)의 이동을 유도함으로써 개폐구(23)의 개폐부(23a)가 제2개폐공(31b)을 개방하며, 이에 의해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에 수용된 화장품은 제2개폐공(31b)을 통해 도포유닛(30)의 도포부재(32)로 공급된다. 여기서, 개폐구(23)의 이동거리(B)는 개폐부(23a)의 길이(A)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 내의 압력이 용기부(11)의 충전공간(15) 내의 압력 보다 크므로, 가변챔버(21)의 개폐리브(21)는 개폐구(2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가변챔버(21)의 개폐공(21b)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측면누름체(22)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가변챔버(21)는 다수의 주름부(21f)에 의해 도 1의 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연동하여 개폐구(23)도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제2개폐공(31b)을 폐쇄한다.
이 때,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은 화장품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토출된 상태이고, 이에 의해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 내의 압력은 용기부(11)의 충전공간(15) 내의 압력보다 낮으므로, 용기부(11)의 충전공간(15) 내의 피스톤(16)이 하강하고, 이 피스톤(16)의 하강에 의해 개폐리브(21c)는 화장품의 압력을 받아 개폐구(23)의 타단부(23b) 외주면으로부터 벌어져 용기부(11)의 화장품이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내로 유입되어 수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0) 및 화장품 공급유닛(2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20)은 개폐구(23)의 일측에서 탄성리브(23j)가 원추형으로 연장되고, 이 탄성리브(23j)에 다수의 통공(23k)이 형성되며, 탄성리브(23j)의 단부는 가변챔버(21)의 어느 일측 주름부(21f)에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0) 및 화장품 공급유닛(2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20)은 제1개폐공(21b)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24) 및 제2개폐공(31b)을 개폐하는 개폐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24)의 외주면에는 가변챔버(21)의 개폐리브(21c)가 선행하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밀착 내지 벌림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개폐리브(21c)는 도포유닛(30)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개폐리 브(21c)는 용기부(11)의 충전공간(15)과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지지체(24)의 외주면에 기밀하게 밀착 내지 벌어짐으로써, 화장품이 용기부(11)에서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 내로 흐르는 것은 허용하고, 가변챔버(21)에서 용기부(11)로 화장품이 역류됨을 방지한다.
개폐구(25)는 제2개폐공(31b)에 그 압력차이에 의해 개폐하는 개폐리브(25a, 25b) 및 화장품이 통과하는 통공(25c)을 구비하고, 이 개폐리브(25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개폐리브(25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개폐구(25)는 측면누름체(22)의 누름작동에 의해 가변챔버(21)가 가압되면, 그 압력에 의해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에 수용된 화장품이 각 개폐리브(25a, 25b)를 가압함으로써 제2개폐공(31b)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화장품이 도포유닛(30)의 노즐(31a) 및 도포부재(32)로 공급된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제1 내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20) 및 화장도구(1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공급유닛(20)은 하나 이상의 측면누름체(22), 측면누름체(22)의 누름 및 해제작동에 의해 복귀가능하게 직선이동하는 가변챔버(21), 상기 가변챔버(21)의 개폐공(21b)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지지체(24) 및 제2개폐공(31b)을 개폐하는 개폐구(25)를 포함한다.
본 제4실시예의 측면누름체(22)는 그 일단에 구비된 돌기부(22a)가 용기 부(11)의 일단에 형성된 스토퍼(11b) 및 체결링(13)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이 돌기부(22a)는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제4실시예의 가변챔버(21)는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달리 리지드(rigid)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펼침가능하게 구부러진 다수의 탄성리브(21g)들이 구비되며, 이 탄성리브(21g)의 일단부(21h)는 도포유닛(30)의 지지체(31)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지지체(24)는 제1개폐공(21b)에 인접하여 조립식 또는 일체형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개폐구(25)는 제2개폐공(31b)을 개폐하는 개폐리브(25b) 및 화장품이 통과하는 통공(25c)을 구비한다. 이 개폐리브(25b)는 도 5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측면누름체(22)를 누르면, 그 가압리브(22c)가 가변챔버(21)의 탄성리브(21g)를 가압함으로써 탄성리브(21g)는 도포유닛(30)의 지지체(31)에 고정된 일단부(21h)를 기준으로 펼쳐지고, 이에 의해 가변챔버(21)는 도포유닛(30)측으로 이동하여 그 수용공간(21e)의 내부체적이 축소됨과 더불어, 가변챔버(21)의 수용공간(21e)에 수용된 화장품이 제2개폐구(25)의 개폐리브(25b)를 가압함으로써 도포유닛(30)의 노즐(31a)을 통해 토출된다.
그런 다음, 측면누름체(22)의 누른 상태를 해제하면, 그 탄성리브(21g)가 그 탄성력에 의해 원형태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가변챔버(21)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가변챔버(21)와 지지체(31) 사이에는 복원스프링(26)이 개재될 수 있고, 이 복원스프링(26)에 의해 가변챔버(21)는 그 복귀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변챔버(21)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치형 또는 스플라인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체(미도시)를 가지고, 이 회전체(미도시)를 회전시키는 구동체(미도시)가 측면누름체(22)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체(미도시)의 내경면 및 가변챔버(21)의 외경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가변챔버(21)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와 가변챔버(21)의 상대적인 나사운동을 하고, 이에 의해 가변챔버(21)가 직선이동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를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장품을 도포구측으로 공급하는 작동과 이 화장도구에 의해 화장작업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그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도구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w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부의 교체 또는 리필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은 그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제1 및 제2 개폐공이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체적이 가변되는 가변챔버;
    상기 가변챔버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누름체; 및
    상기 측면누름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챔버는 그 내벽면 및 외벽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주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챔버의 일단에 배치된 제1개폐공의 하류에는 탄성적으로 복원가능한 개폐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리브는 화장품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일단이 제2개폐공을 개폐하고, 타측이 제1개폐공의 내경면 에서 이동가능한 개폐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는 그 일단부에 제2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소정길이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폐리브가 압력차에 의해 밀착 내지 벌림가능하게 배치된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그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펼침가능하게 구부러진 다수의 탄성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리브 사이에는 수용공간 내에서 화장품의 이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절취홈이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리브의 일측에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가변챔버의 주름부의 어느 일측 홈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그 외주 일측에서 원추형으로 연장된 탄성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리브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리브의 단부는 상기 가변챔버의 주름부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1개폐공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 및 상기 제2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폐리브가 밀착 내지 벌림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개폐구는 제2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리브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리브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챔버는 리지드(rigid)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챔버는 그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펼침가능하게 구부러진 다수의 탄성리브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챔버와 지지체 사이에는 복원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공급유닛.
  14. 화장품이 충전된 충전공간, 및 상기 충전공간 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를 구비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소통가능하게 구비된 화장품 공급유닛; 및
    상기 화장품 공급유닛에 연결된 도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공급유닛은,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은 그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제1 및 제2 개폐공이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체적이 가변되는 가변챔버;
    상기 가변챔버의 측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누름체; 및
    상기 측면누름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에는 제1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제1캡의 단부에는 거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타단에는 제2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캡의 내부에는 보조 화장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KR1020070029725A 2007-03-27 2007-03-27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20080087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725A KR20080087464A (ko) 2007-03-27 2007-03-27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725A KR20080087464A (ko) 2007-03-27 2007-03-27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464A true KR20080087464A (ko) 2008-10-01

Family

ID=4015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725A KR20080087464A (ko) 2007-03-27 2007-03-27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74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33Y1 (ko) * 2008-11-28 2011-02-10 여명권 파우더 배출형 화장용 브러쉬
KR200475028Y1 (ko) * 2014-05-19 2014-10-31 윤일표 화장용 립
WO2017146373A1 (ko) * 2016-02-23 2017-08-31 (주)연우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WO2024021812A1 (zh) * 2022-07-26 2024-02-01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侧面操作式化妆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33Y1 (ko) * 2008-11-28 2011-02-10 여명권 파우더 배출형 화장용 브러쉬
KR200475028Y1 (ko) * 2014-05-19 2014-10-31 윤일표 화장용 립
WO2017146373A1 (ko) * 2016-02-23 2017-08-31 (주)연우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WO2024021812A1 (zh) * 2022-07-26 2024-02-01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侧面操作式化妆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JP3732112B2 (ja) 収容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100670800B1 (ko) 화장용 액상용기
KR200474794Y1 (ko) 내용물 리필이 용이한 콤팩트 용기
US4655627A (en) Brush with self-sealing reservoir having a convertible actuator
EP3429423A2 (en) Airless cosmetics dispenser
KR100735931B1 (ko)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0477739Y1 (ko) 리필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80087464A (ko)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JP2017506971A (ja) 内容器と内容器蓋間の密閉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KR200457811Y1 (ko) 액상 내용물을 분말상의 화장료를 향해 분무시키는 화장품 용기
KR100818368B1 (ko) 화장품 도포장치
EP3047753A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200480195Y1 (ko) 액상화장품과 고형화장품이 분리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
US20200376509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push button blocked from being pushed within regulation angle
US6991396B2 (en) Appl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KR100843642B1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889971B1 (ko) 펜슬형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51997Y1 (ko) 메니큐어액 용기
KR101151002B1 (ko) 화장품 용기
WO2013075601A1 (zh) 振动式涂敷器
EP3632260A1 (en) Fluid applicatio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