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15Y1 -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15Y1
KR200437215Y1 KR20070002381U KR20070002381U KR200437215Y1 KR 200437215 Y1 KR200437215 Y1 KR 200437215Y1 KR 20070002381 U KR20070002381 U KR 20070002381U KR 20070002381 U KR20070002381 U KR 20070002381U KR 200437215 Y1 KR200437215 Y1 KR 200437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smetic container
contents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2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홍준
원순재
고윤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070002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4Piston pumps comprising a movable cylinder and a stationary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굴 피부의 탄력과 미백을 위해 두 가지 용도의 화장품을 구분하여 바를 수 있도록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용기를 두개로 구성하고 두 화장품용기에 각기 다른 용도의 화장품을 수장한 후 작동버튼을 회전시켜 배출하고자 하는 화장품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는,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단에는 누름버튼(23)이 설치되며 내부 단부에 피스톤(24)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에어리스 펌프(25)가 설치된 내용기(21)와 상기 에어리스 펌프(25)의 하단부에 토출관(26)이 결합되고 스프링(27)으로 탄지된 외용기(22)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구성하며, 상기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본체(10)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본체(10) 상단에 본체마개(40)를 매개로 돌기(32)가 형성되고 스프링(34)으로 탄지되는 작동버튼(30)을 설치하며, 상기 본체(10) 아래쪽으로는 상기 토출관(26)이 끼워지도록 노즐부재(50)를 결합하여서 구성하여, 각각 분리 형성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에 각기 다른 화장품 내용물을 수장한 후 작동버튼(30)을 회전시켜 배출하고자 하는 화장품 내용물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선택, 배출, 에어리스펌프, 토출관, 내용기, 외용기, 누름버튼, 작동버튼

Description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Cosmetics container capable of using selectively two content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기 중 제1화장품용기를 작동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작동버튼을 누르는 힘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작동버튼을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기 중 제2화장품용기를 작동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작동버튼을 누르는 힘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제1화장품용기
20a : 제2화장품용기 21 : 내용기
22 : 외용기 23 : 누름버튼
24 : 피스톤 25 : 에어리스펌프
30 : 작동버튼 32 : 돌기
40 : 본체마개 50 : 노즐부재
본 고안은 얼굴 피부의 탄력과 미백을 위해 두 가지 용도의 화장품을 구분하여 바를 수 있도록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용기를 두개로 구성하고 두 화장품용기에 각기 다른 용도의 화장품을 수장한 후 작동버튼을 회전시켜 배출하고자 하는 화장품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얼굴에 잔주름이 많이 생기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눈 주변에 잔주름이 가장 많이 생긴다. 그래서 근래에는 눈 주변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를 탄력 있게 가꾸어 눈 주변의 잔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잔주름을 없애 주는 효능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은 잔주름 예방과 함께 하얗고 맑은 피부를 갖기를 소원하는데 피부미백을 위해서는 미백화장품을 사용해야 하는데 미백화장품은 햇빛이 있는 낮에 바르면 오히려 부작용이 일어나므로 햇빛이 없는 밤에 바르게 된다.
그런데 상기 두 주름예방을 위한 화장품과 미백을 위한 화장품은 서로 혼합해놓으면 화학반응을 일으켜 효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기 다른 화장품용기에 보관하여두었다가 필요시에 각각 배출하여 사용하게 되며, 더욱이 주름예방을 위한 화장품은 낮과 밤에 상관없이 사용하는 것이지만 피부미백을 위한 화장품은 햇빛을 피해 주로 밤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상기 두 화장품은 각기 다른 화장품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주름예방 화장품이나 미백화장품은 공기와 접촉하면 쉽게 산화되어 변질되거나 효능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에어리스타입의 화장품용기 또는 알루미네이티드된 튜브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화장품은 종래 그릇형태의 화장품용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종래 그릇형태의 화장품용기는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손가락으로 찍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뚜껑을 열고 사용할 때 공기가 내용물에 닿아서 내용물이 산화되며 또한 손가락으로 찍어서 사용할 때 손가락으로부터 오염물질이 내용물에 혼입되어 내용물이 변질되는 부작용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화장품용기를 각각 구분하여 구성하여 각 화장품용기에 각기 다른 용도의 화장품을 수장한 후 작동버튼을 회전시켜 배출하고자 하는 화장품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다른 목적으로는 화장품용기 내의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내용물을 손가락으로 찍어서 사용함으로서 손가락으로부터 오염물질이 내용물에 혼입되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때 오염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기능성화장품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는,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단에는 누름버튼(23)이 설치되며 내부 단부에 피스톤(24)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에어리스 펌프(25)가 설치된 내용기(21)와 상기 에어리스 펌프(25)의 하단부에 토출관(26)이 결합되고 스프링(27)으로 탄지된 외용기(22)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구성하며, 상기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본체(10)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본체(10) 상단에 본체마개(40)를 매개로 돌기(32)가 형성되고 스프링(34)으로 탄지되는 작동버튼(30)을 설치하며, 상기 본체(10) 아래쪽으로는 상기 토출관(26)이 끼워지도록 노즐부재(50)를 결합하여서 구성하여, 각각 분리 형성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에 각기 다른 화장품 내용물을 수장한 후 작동버튼(30)을 회전시켜 배출하고자 하는 화장품 내용물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는,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을 수장하며 구성이 동일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와, 상기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위에 본체마개(40)를 매개로 결합되는 작동버튼(30)과, 상기 본체(10) 아래에 결합되고 화장품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는 내용기(21)의 한쪽 단부에 에어리스 펌프(25)를 설치하고 내부에는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며 상기 에어리스 펌프(25)가 설치된 반대쪽 단부 내측으로 피스톤(24)을 삽입하고 그 위쪽으로 걸림돌기(231)가 형성된 누름버튼(23)을 위치시키며 상기 내용기(21) 외측으로 외용기(22)를 씌우되 상기 에어리스 펌프(25)의 하단부에 토출관(26)을 결합하고 상기 토출관(26)에 스프링(27)을 끼워 상기 내용기(21)가 상기 외용기(22)에 대하여 탄력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화장품용기 삽입공간(12)을 형성하여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삽입한다.
상기 작동버튼(30)은 상기 본체(10) 위쪽에 본체마개(40)를 매개로 설치하며 내측 아래쪽으로 상기 누름버튼(23)을 압박하는 돌기(32)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스프링(34)으로 탄력 지지토록 한다.
상기 노즐부재(50)는 상기 본체(10) 아래쪽에 압입하여 설치하며 양 측면 경사면(51) 중앙에는 배출구(52)를 형성하여 상기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의 토출관(26)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로부터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버튼(30)을 오른쪽으로 돌려 상기 작동버튼(30)의 돌기(32)가 제1화장품용기(20)의 누름버튼(23)의 걸림돌기(231)에 닿도록 한 후 상기 작동버튼(30)을 누르면 상기 작동버튼(30)의 돌기(32)가 제1화장품용기(20)의 누름버튼(23) 윗면을 누르게 되어 이에 연동하여 스프링(27)이 압박되면서 내용기(21)가 눌려진다.
상기 내용기(21)가 눌려지면 에어리스 펌프(25)가 작동하는데 상기 에어리스 펌프(25)의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용기(21)가 눌려지면 스냅캡(257)과 하우징(251)이 함께 아래로 이동되며, 이때 피스톤(254)은 피스톤(254) 외주와 하우징(251) 내주와의 마찰로 인하여 하우징(251)과 함께 아래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로드(253)의 내용물 유출구(25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버튼(30)을 더욱 더 누르면 스냅캡(257)과 하우징(251)은 스프링(27)이 최대로 압축될 수 있는 범위까지 아래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254)은 토출관(26) 상면에 맞닿게 되어 더 이상 밑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스냅캡(257)과 하우징(251)만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251)은 아래로 이동하고 피스톤(254)은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251)내의 내부 체적이 줄어드는 효과가 생겨서 상기 하우징(251)내의 화장품 내용물이 압력을 받아 토출관(26)을 통하여 배출구(52)로 배출된다. 그 후 작동버튼(3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27)의 탄발력에 의해 스냅캡(257)과 하우징(251)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254)은 피스톤(254) 외주와 하우징(251) 내주와의 마찰력에 의해 하우징(251)을 따라서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 피스톤(254)이 위로 올라가게 됨에 따라 피스톤(254)은 피스톤 로드(253)의 외주와 맞닿게 되며 이로 인해 피스톤 로드(253)의 내용물 유출구(252)가 막히게 되는 것이다. 피스톤 로드(253)의 내용물 유출구(252)가 막힌 후에도 스프링(27)의 탄발력에 의하여 스냅캡(257)과 하우징(251)은 더 위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하우징(251)은 위로 올라가고 피스톤(254)은 피스톤 로드(253)에 걸려서 제자리에 있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251)내의 체적이 커지는 효과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251)내의 체적이 커짐에 따라 하우징(251)내에는 진공이 형성되어 내용기(21)에 있는 화장품 내용물을 개구부(258)를 통해 빨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스프링(255)은 개구부(258)를 통해 화장품 내용물이 빨려 들어오는 동안 샤프트(256)에 의해 약간 아래로 밀려 내려왔다가 화장품 내용물이 하우징(251)내로 들어간 후에는 하우징(251)내에 발생했던 진공이 해소되어 다시 스프링(255)과 샤프트(256)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내용기(21)내의 화장품 내용물은 하우징(251)내로 유입되면 내용 기(21) 내부는 진공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내용기(21) 내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24)이 진공압력이 발생한 만큼 아래로 빨려 내려와 진공압력을 해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화장품 내용물은 토출관(26)을 통해 노즐부재(50)의 배출구(52)로 배출된다.
그 다음 제2화장품용기(20a)로부터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30)을 왼쪽으로 돌려 작동버튼(30)의 돌기(32)가 제2화장품용기(20a)의 걸림돌기(231)에 닿도록 한다.
그 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30)을 누르면 상기 작동버튼(30)의 돌기(32)가 제2화장품용기(20a)의 누름버튼(23) 윗면을 누르게 되어 이에 연동하여 스프링(27)이 압박되면서 내용기(21)가 눌려지며, 그 후 작동버튼(3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27)의 탄발력에 의해 내용기(21) 밀려올라오게 된다.
상기 제2화장품용기(20a)의 내용기(21)가 눌려졌다가 올라가게 되면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화장품용기(20)의 작동과 동일하게 제2화장품용기(20a)도 작동하여 화장품 내용물은 토출관(26)을 통해 노즐부재(50)의 배출구(52)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품용기를 각각 구분하여 구성하여 각 화장품용기에 각기 다른 화장품을 수장한 후 작동버튼을 회전시켜 배출하고자 하는 화장품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두 가지 화장품을 혼합하지 않고 구분하여 보관하였다가 선택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화장품용기 내의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고, 화장품 내용물에 오염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 매우 효과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에어리스펌프를 이용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고 에어리스 펌프(25)가 설치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각각 분리 형성하고 돌기(32)가 형성된 작동버튼(30)을 회전시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 중 사용하고자 하는 화장품용기를 선택하여 작동버튼(30)을 눌러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용기는,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단에는 누름버튼(23)이 설치되며 내부 단부에 피스톤(24)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에어리스 펌프(25)가 설치된 내용기(21)와 상기 에어리스 펌프(25)의 하단부에 토출관(26)이 결합되고 스프링(27)으로 탄지된 외용기(22)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를 본체(10)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본체(10) 상단에 본체마개(40)를 매개로 돌기(32)가 형성되고 스프링(34)으로 탄지되는 작동버튼(30)을 설치하며, 상기 본 체(10) 아래쪽으로는 상기 토출관(26)이 끼워지도록 노즐부재(50)를 결합하여서 구성하여, 각각 분리 형성된 제1화장품용기(20)와 제2화장품용기(20a)에 각기 다른 화장품 내용물을 수장한 후 작동버튼(30)을 회전시켜 배출하고자 하는 화장품 내용물을 선택하여 배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070002381U 2007-02-09 2007-02-09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0437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381U KR200437215Y1 (ko) 2007-02-09 2007-02-09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381U KR200437215Y1 (ko) 2007-02-09 2007-02-09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15Y1 true KR200437215Y1 (ko) 2007-11-13

Family

ID=4160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2381U KR200437215Y1 (ko) 2007-02-09 2007-02-09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15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28B1 (ko) 2008-06-23 2008-10-16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비율조정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WO2009074908A3 (en) * 2007-12-12 2009-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 use multi-phase care system
KR200450863Y1 (ko) 2008-08-25 2010-11-05 (주)민진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200459837Y1 (ko) * 2009-12-15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200460321Y1 (ko) 2009-08-12 2012-05-21 (주)톨리코리아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
KR200469033Y1 (ko) * 2011-12-20 2013-09-12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KR20140032667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휴대용 얼룩 제거기
KR101800432B1 (ko) * 2015-11-02 2017-11-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간편한 리필형 소스용기
KR101889971B1 (ko) 2018-04-19 2018-09-20 주식회사 엘유케이 펜슬형 화장품 용기
WO2021235597A1 (ko) * 2020-05-21 2021-11-25 이기연 피부미용 화장품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9000B2 (en) 2007-12-12 2014-05-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 use multi-phase care system
WO2009074908A3 (en) * 2007-12-12 2009-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 use multi-phase care system
KR100864028B1 (ko) 2008-06-23 2008-10-16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비율조정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50863Y1 (ko) 2008-08-25 2010-11-05 (주)민진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200460321Y1 (ko) 2009-08-12 2012-05-21 (주)톨리코리아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
KR200459837Y1 (ko) * 2009-12-15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200469033Y1 (ko) * 2011-12-20 2013-09-12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KR20140032667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휴대용 얼룩 제거기
KR101870453B1 (ko) * 2012-09-07 2018-06-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휴대용 얼룩 제거기
KR101800432B1 (ko) * 2015-11-02 2017-11-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간편한 리필형 소스용기
KR101889971B1 (ko) 2018-04-19 2018-09-20 주식회사 엘유케이 펜슬형 화장품 용기
WO2021235597A1 (ko) * 2020-05-21 2021-11-25 이기연 피부미용 화장품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4057A (ko) * 2020-05-21 2021-11-30 이기연 피부미용 화장품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355602B1 (ko) * 2020-05-21 2022-01-26 이기연 피부미용 화장품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215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AU2007235035B2 (en) Container with sealable lid
KR200425584Y1 (ko)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101928807B1 (ko)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600550B1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US20230302474A1 (en) Content container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KR100819764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07110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4918Y1 (ko) 화장품 용기
KR100814317B1 (ko) 토출유닛 출몰식 디스펜서
KR20100007307U (ko)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KR20190042049A (ko)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KR200393324Y1 (ko) 화장품 용기
US8371480B2 (en) Container having a compressible function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KR20210000216U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CN217497126U (zh) 一种密封储存罐
CN216970589U (zh) 一种防止误打开的安全盒
KR101918475B1 (ko)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267488Y1 (ko) 화장품 샘플 용기
KR200292173Y1 (ko) 보온병용 마개
KR20120031873A (ko) 일회용 컵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