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173Y1 - 보온병용 마개 - Google Patents

보온병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173Y1
KR200292173Y1 KR2020020020117U KR20020020117U KR200292173Y1 KR 200292173 Y1 KR200292173 Y1 KR 200292173Y1 KR 2020020020117 U KR2020020020117 U KR 2020020020117U KR 20020020117 U KR20020020117 U KR 20020020117U KR 200292173 Y1 KR200292173 Y1 KR 200292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thermos
button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신
Priority to KR2020020020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17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병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온병 마개의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청결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 보온병용 마개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보온병(2)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측에 패킹(4)이 결합되고 상부 내측으로 경사면(3a)이 형성된 마개본체(3)의 내측에는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6)에 형성된 안내홈(6a)을 따라 승강하도록 승강구(7)와 버튼(8)이 결합된 하우징(9)을 결합하고, 승강구(7)에는 차단판(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강봉(11)을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8)을 눌림에 따라 차단판(10)이 승하강되도록 한 보온병용 마개(1)에 있어서, 하우징(9)의 하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한 개소 이상의 배출홈(9a)을 형성하고, 승강구(7)에는 마개본체(3) 하측에서 결합되는 차단판(10)에 형성된 승강봉(11)을 나사 결합하여 각 구성부재가 용이하게 분해 조립되도록 하고, 차단판(10)의 외주연에는 패킹(12)을 결합하여 버튼(8) 조작에 의해 승강구(7) 및 차단판(10)이 승강하면서 마개본체(3)의 저면과 밀착 또는 이완되도록 함으로써, 차단판(10)과 배출홈(9a)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온병용 마개{Cork for vacuum bottle}
본 고안은 보온병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온병 마개의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청결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 보온병용 마개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온병용 마개(21)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병(22)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측에 패킹(24)이 결합되고 상부 내측으로 경사면(23a)이 형성된 마개본체(23)의 내측에는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26)에 형성된 안내홈(26a)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구(27)와 버튼(28)이 결합되며 하부 내측으로는 보온병(22)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29a)가 형성된 하우징(29)을 결합하고 마개본체(23)와 하우징(29)의 면접부에는 패킹(30)을 개재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며, 하우징(29) 하측으로는 승강구(27)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승강봉(31)이 형성된 차단판(32)을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28)을 눌림에 따라 차단판(32)이 하우징(24)의 하측에 밀착 또는 이완되면서 배출구(29a)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보온병용 마개(21)의 경우 분해조립이 어렵고, 또 하우징(29) 하부 내측으로 배출구(29a)가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배출구(29a)의 세척이 불가능하여 청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보온병용 마개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온병 마개가 갖는 문제점을 일소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용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홈을 하우징 하단 외주연에 형성하고, 차단판을 마개본체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구와 차단판의 결합이 나사에 의해 분해 조립될 수 있도록 개량함으로서 배출홈 및 차단판의 세척이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청결성이 보장되는 보온병용 마개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온병용 마개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하우징 저면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보온병용) 마개 2:보온병
3:마개본체 3a:경사면
4:패킹 5:스프링
6:가이드 6a:안내홈
7:승강구 8:버튼
9:하우징 9a:배출홈
10:차단판 11:승강봉
12:패킹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보온병(2)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측에 패킹(4)이 결합되고 상부 내측으로 경사면(3a)이 형성된 마개본체(3)의 내측에는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6)에 형성된 안내홈(6a)을 따라 승강하도록 승강구(7)와 버튼(8)이 결합된 하우징(9)을 결합하고, 승강구(7)에는 차단판(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강봉(11)을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8)을 눌림에 따라 차단판(10)이 승하강되도록 한 보온병용 마개(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의 하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한 개소 이상의 배출홈(9a)을 형성하고, 승강구(7)에는 마개본체(3) 하측에서 결합되는 차단판(10)에 형성된 승강봉(11)을 나사 결합하여 각 구성부재가 용이하게 분해 조립되도록 하고, 차단판(10)의 외주연에는 패킹(12)을 결합한다.
상기 차단판(10)은 버튼(8) 조작에 의해 승강구(7)가 승하강할 시 마개본체(3)의 저면과 밀착 또는 이완되면서 보온병(2) 내부와 배출홈(9a)을 연통되게 하여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보온병(2) 내부와 배출홈(9a)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인출을 차단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차단판(10)의 승강수단으로 하우징(9)에 결합되고 가이드(6)의 안내홈(6a)을 따라서 스프링(5)의 탄성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구(7)와 버튼(8)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차단판(10)의 상측으로 형성된 승강봉(11)과 하우징(9)간에 스프링을 장진하여 차단판(10)이 하우징(9)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승강봉(11) 상측으로는 하우징(9) 등에 축설치되어 회동하는 레버를 배치하여 레버의 회동시 레버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차단판(10)이 하향 이동되게 하고, 레버를 복원할 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차단판(10)이 상승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보온병용 마개(1)는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6)에 형성된 안내홈(6a)을 따라 승강하도록 승강구(7)와 버튼(8)이 결합된 하우징(9)을 마개본체(3)에 결합한 다음 마개본체(3) 하측 방향에서 차단판(10)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봉(11)을 하우징(9) 내측으로 끼워 승강구(7)에 나사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서, 버튼(8)의 누름 작동에 따라 스프링(5)의 탄력에 의해 승강구(7)가 승강하는 작동원리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은 버튼(8)을 1회 누를 때 차단판(10)과 마개본체(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완되어 하우징(9)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홈(9a)을 따라서 보온병(2)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되며, 버튼(8)을 재차 누를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차단판(10)이 마개본체(3) 측으로 상승하여 마개본체(3) 저면과 밀착되므로 보온병(2)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보온병용 마개(21)와 같이 보온병(2) 내부의 내용물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서도 세척 등을 할 시에는 마개본체(3) 하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차단판(10)을 분리하고 마개본체(3)에서 하우징(9)을 분리하여 차단판(10)과 하우징(9)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홈(9a)을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청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온병용 마개(1)는 하우징(9)의 하측 외주연에 배출홈(9a)을 형성하고, 마개본체(3)의 저면과 면접되도록차단판(10)을 결합토록 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분해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배출홈(9a)이 노출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차단판(10)과 배출홈(9a)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청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보온병(2)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측에 패킹(4)이 결합되고 상부 내측으로 경사면(3a)이 형성된 마개본체(3)의 내측에는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6)에 형성된 안내홈(6a)을 따라 승강하도록 승강구(7)와 버튼(8)이 결합된 하우징(9)을 결합하고, 승강구(7)에는 차단판(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강봉(11)을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8)을 눌림에 따라 차단판(10)이 승하강되도록 한 보온병용 마개(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의 하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한 개소 이상의 배출홈(9a)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구(7)에는 마개본체(3) 하측에서 결합되는 차단판(10)에 형성된 승강봉(11)을 나사결합하여 각 구성부재가 용이하게 분해조립되도록 하고, 차단판(10)의 외주연에는 패킹(12)을 결합하여 버튼(8) 조작에 의해 승강구(7) 및 차단판(10)이 승강하면서 마개본체(3)의 저면과 밀착 또는 이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용 마개.
KR2020020020117U 2002-07-04 2002-07-04 보온병용 마개 KR200292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117U KR200292173Y1 (ko) 2002-07-04 2002-07-04 보온병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117U KR200292173Y1 (ko) 2002-07-04 2002-07-04 보온병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173Y1 true KR200292173Y1 (ko) 2002-10-18

Family

ID=7307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117U KR200292173Y1 (ko) 2002-07-04 2002-07-04 보온병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1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659A (ko) * 2021-08-12 2023-02-21 김병수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659A (ko) * 2021-08-12 2023-02-21 김병수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KR102594347B1 (ko) * 2021-08-12 2023-10-25 김병수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215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970002558Y1 (ko) 휴대용 보온병 마개의 개폐장치
GB2533746A (en) Milk powder box and milk powder brewing device
KR200292173Y1 (ko) 보온병용 마개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CN214691083U (zh) 一种便捷式密封盒的盒盖及密封盒
KR200259215Y1 (ko) 밀폐용기용 잠금장치
KR20030036325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102416533B1 (ko) 원터치 개폐 장치
KR20040081086A (ko) 음식물 보관용기
KR100905759B1 (ko) 음료용기 개폐장치
KR970005838Y1 (ko) 액체 보관용기 마개
KR200173355Y1 (ko) 진공 보온병용 뚜껑
KR200259214Y1 (ko) 밀폐용기용 잠금장치
KR200162750Y1 (ko)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KR200429385Y1 (ko) 개폐가 용이한 물병용 뚜껑
KR200235855Y1 (ko) 버튼식 용기마개
KR200322034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257234Y1 (ko) 보온병용 마개구조
KR970005839Y1 (ko) 액체 보관용기 마개
KR970005837Y1 (ko) 액체 보관용기 마개
KR200267488Y1 (ko) 화장품 샘플 용기
JPH0423813Y2 (ko)
KR19990033290U (ko) 디스펜서
KR870001818Y1 (ko)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