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290U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290U
KR19990033290U KR2019990005463U KR19990005463U KR19990033290U KR 19990033290 U KR19990033290 U KR 19990033290U KR 2019990005463 U KR2019990005463 U KR 2019990005463U KR 19990005463 U KR19990005463 U KR 19990005463U KR 19990033290 U KR19990033290 U KR 19990033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inner cylinder
valve member
coupled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1015Y1 (ko
Inventor
기중현
Original Assignee
기중현
주식회사 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중현, 주식회사 연우 filed Critical 기중현
Priority to KR2019990005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01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을 잔류량없이 효과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를 대폭적으로 줄인 새로운 구조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본체(1)의 상단 개구부(2)에 결합되어 작동에 따라 용기본체(1) 내부에 담긴 내용물(3)을 토출하는 펌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프(20)는 그 하단이 상기 개구부(2)에 기밀하게 연통결합되는 흡입관(24)이 상향연장된 캡(22)과, 상기 흡입관(24)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에 토출공(51)이 형성된 탄성밸브부재(50)와, 내부에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외측에 결합되는 내통체(14)가 구비되며 일측에 노즐(12)이 형성된 버튼(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입관(24)의 상측에는 밸브시트(26)가 샹향연장되며,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토출공(51)에는 상기 밸브시트(26)에 밀착되는 제1밸브편(52)이 내향돌출되고, 이 탄성밸브부재(50)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버튼(10)의 내통체(14)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의 제2밸브편(56)이 상향연장되며, 상기 내통체(14)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의 이송홈(15)이 형성되며, 이 내통체(14)의 하단에는 이송홈(15)과 연결된 슬롯(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고안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잔류량없이 효과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를 대폭적으로 줄인 새로운 구조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작동에 따라 용기에 담긴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내용물을 필요한 양만큼 토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디스펜서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작동에 따라 용기본체(1) 내부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펌프(20)와, 일측에는 노즐(12)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20)에 결합된 버튼(10)과, 상기 용기본체(1)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20)는 용기본체(1)의 개구부(2)에 결합된캡(22)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펌프(20)의 내부에는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토출되는 내용물(3)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첵밸브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10)을 눌러 펌프(20)를 작동시키면, 상기 피스톤(30)이 대기압에 의해 상승되어, 용기본체(1) 내부의 내용물(3)이 상기 펌프(20)에 의해 버튼(10)의 노즐(12)로 토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디스펜서는 용기본체(1)의 개구부(2)에 결합된 펌프(20)의 하단이 용기본체(1)의 내부로 하향 돌출된다. 따라서,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30)의 상승이 제한되므로, 용기본체(1) 내부에 담긴 내용물(3)을 완전히 토출할 수 없으며, 내용물(3)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펌프(20)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서 제작이 불편하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펌프(20) 내부에 설치되는 첵밸브는 금속제의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므로, 이 볼과 스프링이 내용물에 의해 부식되어, 내용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스톤의 구조를 보완하여 잔류량없이 내용물을 모두 토출시킬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인 새로운 구조의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4,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본체 10. 버튼
20. 펌프 22. 캡
24. 흡입관 26. 밸브시트
30. 실린더 50. 탄성밸브부재
52. 제1밸브편 56. 제2밸브편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본체(1)의 상단 개구부(2)에 결합되어 작동에 따라 용기본체(1) 내부에 담긴 내용물(3)을 토출하는 펌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프(20)는 그 하단이 상기 개구부(2)에 기밀하게 연통결합되는 흡입관(24)이 상향연장된 캡(22)과, 상기 흡입관(24)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에 토출공(51)이 형성된 탄성밸브부재(50)와, 내부에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외측에 결합되는 내통체(14)가 구비되며 일측에 노즐(12)이 형성된 버튼(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입관(24)의 상측에는 밸브시트(26)가 샹향연장되며,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토출공(51)에는 상기 밸브시트(26)에 밀착되는 제1밸브편(52)이 내향돌출되고, 이 탄성밸브부재(50)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버튼(10)의 내통체(14)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의 제2밸브편(56)이 상향연장되며, 상기 내통체(14)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의 이송홈(15)이 형성되며, 이 내통체(14)의 하단에는 이송홈(15)과 연결된 슬롯(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기본체(1)에는 피스톤(3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피스톤(30)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부(2)에 삽입되는 돌출부(32)가 형성되어, 개구부(2) 내부의 내용물(3)을 밀어내어 모두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도시한 것으로, 용기본체(1)의 상단 개구부(2)에는 펌프(20)가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1)의 내부에는 피스톤(3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펌프(20)는 그 하단이 상기 개구부(2)에 기밀하게 연통결합되는 흡입관(24)이 상향연장된 캡(22)과, 상기 흡입관(24)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에 토출공(51)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탄성밸브부재(50)와, 내부에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외측에 결합되는 내통체(14)가 구비되며 일측에 노즐(12)이 형성된 버튼(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24)은 그 상단에는 밸브시트(26)가 샹향연장된다.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토출공(51)에는 상기 밸브시트(26)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밸브편(52)이 내향돌출되며, 그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버튼(10)의 내통체(14)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의 제2밸브편(56)이 상향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체(14)의 내주면에는 이송홈(15)이 수직형성되며, 이 내통체(14)의 하단에는 이송홈(15)과 연결된 슬롯(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밸브부재(50)와 버튼(10) 사이에는 저장챔버(19)가 형성된다. 이 저장챔버(19)는 상기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저장용기(10)의 내부에서 토출된 내용물(3)이 일차로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30)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부(2)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10)을 누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토출공(51)이 형성된 제1밸브편(52)이 상기 흡입관(24)에 형성된 밸브시트(26)에 밀착되어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신축부(58)가 신장되면서 저장챔버(19)의 공간이 줄어든다. 따라서, 저장챔버(19)에 있던 내용물(3)이 상기 버튼(10)의 이송홈(15)과 슬롯(16)을 통해,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제2밸브편(56)을 밀치고 노즐(12)로 토출된다.
반대로, 상기 버튼(10)을 놓으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신축부(58)가 축소됨에 따라, 버튼(10)이 상승되어 상기 저장챔버(19)의 공간이 늘어난다. 따라서,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제2밸브편(56))이 탄성복귀되어 상기 버튼(10)의 내통부(14) 외주면에 밀착,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상단 제1밸브편(52)이 들어올려져 토출공(51)이 개방되므로, 용기본체(1) 내부의 내용물(3)이 상기 흡입관(24)으로 흡입되어 상기 저장쳄버(19)에 저장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 내부의 내용물(3)이 펌프(20)의 작동에 의해 배출됨에 따라, 용기본체(1)의 내부에 결합된 피스톤(30)이 상승된다. 그리고, 피스톤(30)이 완전히 상승되면, 피스톤(3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32)가 용기본체의 개구부(2)에 삽입되어 개구부 내부의 내용물(3)을 밀어내어 모두 배출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디스펜서는 상기 펌프(20)가 흡입관이 상향연장된 캡과, 이 흡입관에 결합된 탄성밸브부재와 이 탄성밸브부재에 결합된 버튼으로 구성되어, 용기의 내부로 하향돌출되는 구조가 없을 뿐 아니라,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내부의 내용물(3)을 모두 토출할 수 있으므로, 용기본체의 내부에 내용물(3)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이 간편하고,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밸브부재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내용물(3)에 의해 부식될 염려가 없으므로, 첵밸브의 볼과 스프링이 부식되는 종래의 디스펜서와는 달리, 내용물(3)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없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연결된 흡입관에 신축가능한 탄성밸브부재를 결합하고, 이 탄성밸브부재에 캡을 결합하여 구성되므로, 피스톤의 구조를 보완하여 잔류량없이 내용물을 모두 토출시킬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인 새로운 구조의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용기본체(1)의 상단 개구부(2)에 결합되어 작동에 따라 용기본체(1) 내부에 담긴 내용물(3)을 토출하는 펌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프(20)는 그 하단이 상기 개구부(2)에 기밀하게 연통결합되는 흡입관(24)이 상향연장된 캡(22)과, 상기 흡입관(24)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에 토출공(51)이 형성된 탄성밸브부재(50)와, 내부에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외측에 결합되는 내통체(14)가 구비되며 일측에 노즐(12)이 형성된 버튼(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입관(24)의 상측에는 밸브시트(26)가 샹향연장되며, 상기 탄성밸브부재(50)의 토출공(51)에는 상기 밸브시트(26)에 밀착되는 제1밸브편(52)이 내향돌출되고, 이 탄성밸브부재(50)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버튼(10)의 내통체(14)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의 제2밸브편(56)이 상향연장되며, 상기 내통체(14)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의 이송홈(15)이 형성되며, 이 내통체(14)의 하단에는 이송홈(15)과 연결된 슬롯(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에는 피스톤(3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피스톤(30)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부(2)에 삽입되는 돌출부(32)가 형성되어, 개구부(2) 내부의 내용물(3)을 밀어내어 모두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2019990005463U 1999-04-03 1999-04-03 디스펜서 KR200261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463U KR200261015Y1 (ko) 1999-04-03 1999-04-03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463U KR200261015Y1 (ko) 1999-04-03 1999-04-03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290U true KR19990033290U (ko) 1999-08-05
KR200261015Y1 KR200261015Y1 (ko) 2002-01-19

Family

ID=5475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463U KR200261015Y1 (ko) 1999-04-03 1999-04-03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0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060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US8622254B2 (en) * 2009-01-14 2014-01-07 Sungil Kang Dispensing pump with resilient biasing member
KR101474858B1 (ko) 2013-04-26 2014-12-19 리드메디 (주) 무방부제 약제를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갖는 비강 스프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015Y1 (ko)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5120B2 (en) Waterproof emulsion pump with external spring
KR100212442B1 (ko) 펌프 분배기
US5447258A (en) Spout for liquid pump
KR101038320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CN113562324B (zh) 弹性部件及包括其的泵组件
US20030075567A1 (en) Bellows pump for delivery of liquids
KR101448829B1 (ko) 내용물 배출펌프
US11084054B2 (en) Lotion pump
CN114341015A (zh) 泵容器
KR100456814B1 (ko) 디스펜서 펌프
KR200261015Y1 (ko) 디스펜서
KR200311503Y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20028152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JP3765293B2 (ja)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
KR200290778Y1 (ko) 디스펜서
KR200235848Y1 (ko) 디스펜서 용기
KR100485039B1 (ko) 화장품용기의 스프레이 펌프
KR200235847Y1 (ko) 디스펜서 용기의 피스톤
KR200282747Y1 (ko)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KR200425282Y1 (ko) 액상 내용물 배출펌프
KR200203043Y1 (ko) 병 뚜껑
KR200235849Y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281927Y1 (ko) 화장품용기의 스프레이 펌프
KR200312905Y1 (ko) 화장품용기용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