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47Y1 -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47Y1
KR200282747Y1 KR20020003931U KR20020003931U KR200282747Y1 KR 200282747 Y1 KR200282747 Y1 KR 200282747Y1 KR 20020003931 U KR20020003931 U KR 20020003931U KR 20020003931 U KR20020003931 U KR 20020003931U KR 200282747 Y1 KR200282747 Y1 KR 200282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button
nozzle cap
fluid passage
contain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03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국
이재신
Original Assignee
임준국
이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2-00000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443911B1/ko
Application filed by 임준국, 이재신 filed Critical 임준국
Priority to KR20020003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화장품이 보관되는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누름작동에 의한 펌핑작동으로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키도록 하는 화장품용기의 펌프에 있어서, 용기의 주입구에 체결되는 노즐캡과 누름작동에 의해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버튼의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성은 물론 승강작동에 따른 작동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작동버튼을 복귀시키도록 하는 리턴스프링을 내용물이 통과되는 유체통로의 외부에 설치토록 구성함으로써 금속재질의 리턴스프링과 접촉에 의한 내용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토록 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용기의 주입구상에 체결되고 중심부에 상,하부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가지는 작동공(23)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면의 외주연상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안내관(22)을 가지는 노즐캡(20)과; 상기 노즐캡(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주연 일측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노즐(33)이 형성됨과 동시에 저면의 중심부에는 노즐캡(20)의 작동공(23)에 삽입체결되는 유체통로관(3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유체통로관(31)의 내경에는 다수개의 간격유지돌기(34)와 외주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고정리브(35)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외향 돌출되는 걸림턱(32)이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버튼(30)과; 상기 작동버튼(30)의 유체통로관(31) 외부와 노즐캡(20)의 상부리브 사이에 체결되어 누름작동되는 작동버튼(30)을 상승복귀시키도록 하는 리턴스프링(40);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Description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Apparaus for upwardly downwardly operating pump for cosmetics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화장품이 보관되는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누름작동에 의한 펌핑작동으로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키도록 하는 화장품용기의 펌프에 있어서, 용기의 주입구에 체결되는 노즐캡과 누름작동에 의해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버튼의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성은 물론 승강작동에 따른 작동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작동버튼을 복귀시키도록 하는 리턴스프링을 내용물이 통과되는 유체통로의 외부에 설치토록 구성함으로써 금속재질의 리턴스프링과 접촉에 의한 내용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겔상태의 각종 화장품을 보관토록 하는 화장품용기는 사용시 내용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시키도록 하는 가압식 펌핑수단이 용기의 주입구측에 장착된다.
가압식 펌핑수단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대체적인 원리는 손가락으로 작동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용기내부의 내용물이 펌핑되어 노즐을 통해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종래 제안된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용신안 등록 제187929호를 들수 있다.
용기(1)의 주입구측에 노즐캡(2)이 장착됨과 동시에 노즐캡(2)에는 노즐(3)을 가지는 작동버튼(4)이 설치되어 누름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고, 작동버튼(4)과 연결되는 유체통로관(5)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리턴스프링(6)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오리피스(7)를 통해 내용물을 노즐(3)측으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플런저(8)가 형성되며, 플런저(8)의 외경에는 실린더(9)의 내경에 긴밀히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는 밸브(10)가 장착되고, 실린더(9)의 흡입구(9a)에는 이를 개폐토록 하는 볼밸브(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밸브(11)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리턴스프링(6)의 하부에 플랜지(12)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플랜지(12)는 또 다른 스프링(13)에 의해 볼밸브(11)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버튼(4)의 누름작동에 따라 유체통로관(5)에 의해 연결된 플런저(8)가 리턴스프링(6)을 압축하면서 하강작동되고, 이의 가압력에 의해 실린더(9)내의 내용물이 밸브(10)와 플런저(8) 사이의 오리피스(7)를 통해 노즐(3)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볼밸브(11)는 실린더(9)내의 압력과 스프링(13)에 의해 흡입구(9a)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이와는 반대로 작동버튼(4)을 놓게 되면 리턴스프링(6)의 복귀력에 의해 플런저(8) 및 유체통로관(5), 작동버튼(4) 등이 상승되어 원위치되고, 이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9)내에 진공압력이 생기면서 볼밸브(11)가 흡입구(9a)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용기(1)내의 내용물이 실린더(9)내의 빈공간으로 유입되어 토출을 대기하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먼저, 노즐캡(2)과 작동버튼(4)은 작동버튼(4)의 하부 중심부에 별도의 부품으로 체결되는 유체통로관(5)에 의해 조립되는 구성임으로써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동버튼(4)과 유체통로관(5)은 단순히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뿐만 아니라 작동버튼(4)은 유체통로관(5)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구성임으로써 승강작동시 안정된 지지력을 얻지 못하여 흔들림이 발생되는 등 원활한 승강작동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작동버튼(4)을 누르는 힘이 항상 정확한 수직을 유지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유체통로관(5)과의 연결부위에 어긋한 힘의 전달이 가해져 고정력을 약화시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작동버튼(4)에 의한 힘의 전달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펌핑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는 작동버튼(4)을 복귀시키도록 하는 리턴스프링(6)이 내용물이 통과되는 실린더(9)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임으로써 이 리턴스프링(6)의 금속재질에의해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더욱이 내용물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는 리턴스프링(6)의 탄력이 저하되어 오작동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리턴스프링(6)이 실린더(9)에 설치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을뿐만 아니라 복귀력이 플런저(7), 유체통로관(5) 등을 통하여 작동버튼(4)에 전달됨으로써 복귀력이 약하여 작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노즐캡에 장착되는 작동버튼의 조립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리턴스프링을 실린더의 외부인 작동버튼의 직하부에 설치토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오염 및 변질은 물론이고 리턴스프링의 성능을 증대시켜 전체적으로 펌핑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는 작동버튼의 하부에 유체통로관을 일체로 형성하여 유체가 통과되는 기능과 더불어 승강작동에 따른 가이드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구성하고, 이 유체통로관의 하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노즐캡상에 간단히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상,하 승강작동을 원활히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2는 도1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화장품용기의 펌프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4는 도3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5는 도3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도5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 노즐캡과 작동버튼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8은 도7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작동버튼의 구성을 보인 단면구성도
도 10은 도9의 A-A선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노즐캡 21:나사 22:안내관
23:작동공 30:작동버튼 31:유체통로관
32:걸림턱 33:노즐 34:간격유지돌기
35:고정리브 40:리턴스프링 50:실린더
51:흡입구 52:압축실 53:작동실
54:걸림돌기 60:축밸브 61:공간
62:걸림턱 63:로드 70:피스톤
71:돌기 72:씰링홈 72a:테이퍼면
73:안내관 74:간격유지돌기 80:피스톤밸브
81:홈 82:중심공 83:작동홈
84:씰링돌기 90:볼밸브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3 내지 도 6 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펌핑수단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노즐캡(20)이 갖추어 구성되고, 이 노즐캡(2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작동시키도록 하는 작동버튼(30)이 리턴스프링(40)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노즐캡(20)은 통상에서와 같이 내용물이 수납되는 화장품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것으로, 하부의 내경에는 나사(2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향 돌출되는 안내관(22)이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에는 상.하 관통되는 작동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관(22)은 노즐캡(20)의 상부에 일체로 상향돌출되게 형성되어 작동버튼(30)의 승강작동시 이의 외주연을 원활하게 안내토록 구성된다.
또, 상기 작동공(23)은 노즐캡(20)의 중심부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하부로 돌출형성되는 리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작동버튼(30)의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캡(20)의 상부에는 작동버튼(30)이 장착된다.
상기 작동버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는 유체통로관(31)이 일체로 형성되어 노즐캡(20)의 작동공(23)에 삽입체결되어 이에 안내되면서 승강작동되고 외주연의 일측에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노즐(33)이 형성된다.
상기 유체통로관(31)은 그 끝단부에 외향돌출되는 걸림턱(32)이 일체로 형성되어 노즐캡(20)의 작동공(23) 하단부에 걸려져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단부인 작동버튼(30)의 저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고정리브(35)가 돌출형성된다.
즉, 작동버튼(30)의 유체통로관(31)이 노즐캡(20)의 작동공(23)내에서 승강작동시 유체통로관(31)의 걸림턱(32)이 작동공(23)의 하단부에 걸려져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면서도 승강에 따른 행정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또, 고정리브(35)는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체통로관(31)의 외주연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작동버튼(30)의 전체적인 강도보강과 더불어 후술할 리턴스프링의 상부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체결되는 고정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유체통로관(31)은 노즐(33)과 연통되어 내용물을 노즐(33)측으로 통과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면서도 이의 내경에는 내향돌출되는 간격유지돌기(34)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한 피스톤이 끼워맞춤식으로 장착된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체통로관(31)의 내부에 원통형의 피스톤이 끼워맞춤될 경우 삼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간격유지돌기(34)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고정되는 것이고, 이때 간격유지돌기(34)들의 사이에는 내용물이 원활하게 통과되는 유체통로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 상기 작동버튼(30)과 노즐캡(20)의 사이에는 리턴스프링(40)이 장착되며, 이는 코일형 스프링으로서 자체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작동버튼(30)을 항상 상향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리턴스프링(40)은 작동버튼(30)과 노즐캡(20) 사이에서 유체통로관(31)의 외주연상에 체결되는 것으로, 그 상부측은 작동버튼(30)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정리브(35)에 의해 견고히 결착됨과 동시에 하부측은 노즐캡(20)의 리브에 의해 결착됨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리턴스프링(40)은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통로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내용물과 접촉이 배제되면서도 원활할 작동을 기대할 수가 있다.
상기 노즐캡(20)과 작동버튼(30)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것으로, 이들을 조립시에는 노즐캡(20)의 작동공(23)내에 작동버튼(30)의 유체통로관(31)을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게되면, 재질이 가지는 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간편히 조립되고, 조립후에는 유체통로관(31)의 걸림턱(32)에 의해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캡(20)의 하부에는 용기와 연통되는 실린더(50)가 체결된다.
실린더(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는 용기와 연결되는 흡입구(51)가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그 내경이 서로 다른 압축실(52)과 후술할 축밸브가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는 작동실(53)이 형성된다.
작동실(53)은 압축실(52)에 비해 좁은 내경을 가지면서 흡입구(51)의 직상부에 위치되고 이 작동실(53)의 상부 내경에는 걸림돌기(54)가 형성되어 축밸브의 승강작동에 따른 행정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축밸브(60)는 작동실(52)내에서 승강작동되어 흡입구(51)를 개폐토록 하는 것으로, 컵을 꺼꾸로 엎어놓은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61)이 형성되고, 외주연상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걸림턱(6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봉체형의 로드(63)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축밸브(60)는 하향 개구되는 컵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흡입구(51)를 차단할 시 상부를 감싸는 식으로 차단함으로써 차단효율을 향상시키게 되고, 외주연상의 걸림턱(62)은 작동실(52)내의 걸림돌기(54)에 걸려짐으로써 축밸브(60)의 작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또 상부의 로드(63)는 봉체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한 피스톤(70)의 내경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피스톤(70)에 의해 축밸브(60)를 승강작동시키게 되고, 내부의 공간(61)에는 흡입구(51)를 이중으로 개폐토록 하는 볼밸브(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70)은 실린더(50)내에서 승강작동되는 것으로, 외주연상에는 방사상으로 실린더(50)의 내경에 밀착지지되는 다수의 돌기(7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후술할 피스톤밸브와 결합되는 씰링홈(72)이 형성되며, 상부중심부에는 안내관(73)이 일체로 길게 형성됨과동시에 안내관(73)의 외주연 하부에는 간격유지돌기(74)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71)는 외주연상에 다수개가 돌출형성됨에 따라 실린더(50)의 내경에 밀착체결시 이들 사이로 유체가 통과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상기 안내관(73)에는 축밸브(60)의 로드(63)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피스톤(70)이 승강작동시 마찰력에 의해 축밸브(60)를 승강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70)에 체결되는 피스톤밸브(80)는 유연성과 복원력이 뛰어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성형되고, 실린더(50)의 내경에 밀착되어 승강작동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면서 뛰어난 탄성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밸브(80)의 피스톤(70)의 안내관(73)에 삽입체결되며, 이때 안내관(73)의 외경에 형성된 간격유지돌기(74)에 의해 이들 사이로 유체가 통과되는 공간이 제공된다.
또 상부면에는 내향 오목한 작동홈(81)이 형성되어 작동버튼(30)이 하강작동시 유체통로관(3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하부면에는 하향 돌출되는 씰링돌기(82)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피스톤(70)의 씰링홈(72)과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유체통로를 개폐하게 된다.
즉, 피스톤(70)의 승강작동에 따라 피스톤밸브(80)의 씰링돌기(82)와 피스톤(70)의 씰링홈(72)이 분리 및 결합됨으로써 이들 사이로 유체가 통과되는 것을 허용 및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조립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노즐캡(20)을 각종 화장품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도면의 도 3에서는 화장품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는 리턴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버튼(30)은 상향으로 완전히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70), 피스톤밸브(80) 등이 상승됨과 동시에 용기와 연결되는 실린더(50)의 흡입구(51)는 축밸브(60) 및 볼밸브(90)가 하강하여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면의 도 5에서는 화장품용기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작동버튼(30)을 완전히 가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작동버튼(30)의 가압력에의해 피스톤(70) 및 피스톤밸브(80)가 하강하여 압축실(52)내의 내용물을 압축함으로써 내용물이 노즐(3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 및 도4은 작동 대기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버튼(30)을 누르게 되면, 작동버튼(30)은 리턴스프링(40)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작동버튼(30)에 의해 유체통로관(31) 및 피스톤(70)도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70)은 하강작동에 의해 피스톤밸브(80)의 하부와 벌어지게 됨으로써 이들 사이로 유체가 통과되는 통로를 개방하게 되고, 또한 유체통로관(31)은 그 하단부가 피스톤밸브(80)의 상면 작동홈(81)에 맞닿는 순간부터 피스톤밸브(80)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70)이 하강함에 따라 이의 안내관(73)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축밸브(60)도 그 마찰력에 의해 하강하게 됨으로써 실린더(50)내의 흡입구(51)를 차단하게 됨과 동시에 볼밸브(90)도 하강하여 흡입구(51)를 이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계속 하강하는 피스톤밸브(80)는 실린더(50)내를 따라 하강되어 압축실(52)을 압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실(52)내에 충진된 내용물은 피스톤(70)과 피스톤밸브(80) 사이로 개방된 유체통로를 통해 피스톤밸브(80)의 중심공으로 유입된 후, 유체통로관(31)의 내경과 피스톤(70)의 안내관(73) 사이의 통로를 거쳐 작동버튼(30)측으로 상승되어 노즐(3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누르고 있던 작동버튼(30)을 놓게 되면 작동버튼(30)은 압축된 리턴스프링(40)의 복귀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작동되면서 유체통로관(31) 및 피스톤(70)도 동일한 행정거리로 상승작동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70)은 먼저 피스톤밸브(80)의 하부와 결합됨으로써 개방하였던 이들 사이의 통로를 폐쇄함과 아울러 계속 상승되는 작동에 의해 피스톤밸브(80)를 상승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밸브(80)가 상승작동됨에 따라 압축실(52)내에는 진공압력이 발생되고, 이의 진공압력에 의해 축밸브(60)와 볼밸브(90)가 상승작동되면서 흡입구(51)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용기내의 내용물이 흡입구(51)를 통해 압축실(52)내로 유입된다.
이때, 축밸브(60)는 외주연의 걸림턱(62)이 작동실(53)내의 걸림돌기(54)에 걸려지는 간격만큼 상승되어 흡입구(51)를 개방하게 되며, 계속해서 상승작동되는 피스톤(70)은 축밸브(60)의 로드(63)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슬립작동에 의해 이러한 작동을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버튼(30)은 유체통로관(31)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작동공(23)의 하단부에 걸려져 정지되는 위치까지 상승작동되어 다음 작동을 대기하는 상태로 원위치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품용기의 펌핑수단에 있어서,용기에 장착되는 노즐캡과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버튼의 조립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하면서도 끼워맞춤식으로 간편히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작동버튼은 중심부의 유체통로관이 노즐캡의 작동공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그 외주연이 노즐캡의 안내관에 의해 이중으로 지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동버튼의 원활한 승강작동을 기대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고, 유체통로관의 끝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승강에 따른 행정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승강작동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버튼을 복귀시키도록 하는 리턴스프링을 작동버튼과 노즐캡 사이에 설치함과 동시에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통로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리턴스프링의 복귀력이 작동버튼에 곧바로 전달되어져 승강작동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는 내용물의 펌핑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특히, 펌핑되는 내용물은 금속재질의 리턴스프링과 전혀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오염 및 변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화장품 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체결되는 노즐캡에 설치되어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용기의 펌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상에 체결되고 중심부에 상,하부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가지는 작동공(23)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면의 외주연상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안내관(22)을 가지는 노즐캡(20)과;
    상기 노즐캡(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주연 일측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노즐(33)이 형성됨과 동시에 저면의 중심부에는 노즐캡(20)의 작동공(23)에 삽입체결되는 유체통로관(3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유체통로관(31)의 내경에는 다수개의 간격유지돌기(34)와 외주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고정리브(35)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외향 돌출되는 걸림턱(32)이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버튼(30)과;
    상기 작동버튼(30)의 유체통로관(31) 외부와 노즐캡(20)의 상부리브 사이에 체결되어 누름작동되는 작동버튼(30)을 상승복귀시키도록 하는 리턴스프링(40);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KR20020003931U 2002-01-02 2002-02-07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KR200282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03931U KR200282747Y1 (ko) 2002-01-02 2002-02-07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087A KR100443911B1 (ko) 2001-07-26 2002-01-02 메모리 디바이스용 회로
KR20020003931U KR200282747Y1 (ko) 2002-01-02 2002-02-07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00087U Division KR200281525Y1 (ko) 2002-01-03 2002-01-03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747Y1 true KR200282747Y1 (ko) 2002-07-23

Family

ID=4171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03931U KR200282747Y1 (ko) 2002-01-02 2002-02-07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73A3 (ko) * 2008-01-14 2009-10-22 (주) 종우실업 수동식 분사펌프
KR20210094429A (ko) * 2020-01-21 2021-07-29 임종수 수지재 스프링 조립체를 탑재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73A3 (ko) * 2008-01-14 2009-10-22 (주) 종우실업 수동식 분사펌프
US8672191B2 (en) 2008-01-14 2014-03-18 Chong Woo Co., Ltd. Manual spray pump
KR20210094429A (ko) * 2020-01-21 2021-07-29 임종수 수지재 스프링 조립체를 탑재한 화장품 용기
KR102304211B1 (ko) 2020-01-21 2021-09-23 임종수 수지재 스프링 조립체를 탑재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417B2 (en) Airless type cosmetic container with quantified contents discharging, contents leakage preventing and contents deterioration preventing functions
EP0755305B1 (en) Manually operated reciprocating liquid pump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038320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EP1872859B1 (en) Simplified pump for dispensing fluid substances withdrawn from a container
DK150367B (da) Fingerbetjent beholderpumpe
US3414169A (en) Liquid dispenser
US7735693B2 (en) Reduced-height precompression pump
US6168050B1 (en) Hand-operated pump with a trigger, for dispensing liquids
KR102044128B1 (ko) 펌프 용기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JPH05192613A (ja) 液体ポンプ分与器
KR100456814B1 (ko) 디스펜서 펌프
KR200282747Y1 (ko) 화장품용기용 펌프의 승강작동장치
KR20028152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KR200161316Y1 (ko) 화장용 크림의 배출장치
KR102535161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0312903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10230669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0401893Y1 (ko)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JPH03182688A (ja) 手動ポンプ
KR102062002B1 (ko) 펌프 용기
JP3765293B2 (ja)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
CN111655067B (zh) 流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