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759B1 - 음료용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759B1
KR100905759B1 KR1020020067663A KR20020067663A KR100905759B1 KR 100905759 B1 KR100905759 B1 KR 100905759B1 KR 1020020067663 A KR1020020067663 A KR 1020020067663A KR 20020067663 A KR20020067663 A KR 20020067663A KR 100905759 B1 KR100905759 B1 KR 10090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lid
inlet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555A (ko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2006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759B1/ko
Priority to PCT/KR2002/002047 priority patent/WO2003039986A1/en
Priority to CNA028034899A priority patent/CN1484601A/zh
Publication of KR2004003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본체를 음료용기로부터 분리시켰다가 다기 결합시킨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손을 이용하여 음료의 배출구를 승강시키게 되므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가 오염되어 위생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씌워진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뚜껑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뚜껑이 역회전되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와 용기의 입구 사이에 위치되어 둘 사이를 밀폐시키는 도넛 형상의 실링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뚜껑을 회전시키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부재가 승강되면서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게 되므로 본체를 분리시킨 후 다시 결합시키는 수고가 필요없고 용기의 입구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에 유리한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 개폐장치, 승강부재, 실링부재, 위생, 가이드, 구획판

Description

음료용기 개폐장치{Closer of beverage vessel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음료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 개폐장치에서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개방된 뚜껑을 본체에 결합시킨 형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1 : 하측원통부
112 : 상측원통부 113 : 구획판
120 : 뚜껑 121 : 상측부
122 : 하측부 123 : 돌기
130 : 승강부재 131 : 상측단
132 : 하측단 133 : 밀폐부
134 : 가이드 140 : 실링부재
본 발명은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개폐하여 필요에 따라 수시로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음료용기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음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개폐장치와,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가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개방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본체 결합형 개폐장치로 구별되는데, 야외에서 수시로 음료를 섭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는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그 편리성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된 본체(1)와, 상기 음료용기(100)의 입구에 씌워진 실링부재(4)와, 상기 본체(1)의 상측부 외측에 상하로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2)와, 상기 본체(1)의 상측부에 씌워진 뚜껑(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뚜껑을 연 상태에서 승강부재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음료용기의 입구를 개폐시켜 음료용기 내 부의 음료를 마시거나 밀폐시켜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음료용기(100) 내부의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1)를 음료용기(100)로부터 분리시켜 실링부재(4)를 제거하게 된다. 실링부재(4)가 제거되면 상기 본체(1)를 다시 음료용기(100)에 결합시킨 후, 뚜껑(3)을 열고 승강부재(2)를 손으로 잡아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음료용기(100)의 입구가 개방되어 음료용기(100) 내부의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2)를 상측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본체(1)의 헤드부(1')로부터 승강부재(2)의 상측면(2')이 이격되어 음료용기(100)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음료용기(100)를 기울여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음료를 마실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재(2)를 손으로 압박하여 승강부재(2)의 상측면(2')이 상기 본체(1)의 헤드부(1')에 밀착되도록 하면, 음료용기(100)의 입구가 폐쇄되어 내부의 음료가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이후, 뚜껑(3)을 닫아 승강부재(2) 및 본체(1)의 상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본체를 음료용기로부터 분리시킨 후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다시 본체를 음료용기에 결합시키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승강부재를 손으로 잡아당겨야 하고 마시고 난 다음에 다시 손으로 승강부재를 밀어 넣어야 하므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가 오염되어 위생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얇은 원판상의 실링부재에 의해서만 음료용기의 입구가 밀폐되어 밀폐 효과가 취약하므로 음료용기 내부에서 압력이 발생되는 탄산음 료 등이 저장된 음료용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를 손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음료용기의 입구를 수시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음료용기의 입구를 견실하게 밀폐하여 압력이 발생되는 탄산음료 등이 저장된 음료용기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부품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씌워진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뚜껑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뚜껑이 역회전되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와 용기의 입구 사이에 위치되어 둘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씌워진 뚜껑(120)과,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뚜껑(12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뚜껑(120)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100)의 입구를 개방하고 뚜껑(120)이 역회전되면 용기(100)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130)와, 상기 승강부재(130)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110)와 용기(100)의 입구 사이에 위치되어 둘 사이를 밀폐시키는 도넛 형상의 실링부재(1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되는 하측원통부(111)와, 상기 하측원통부(111)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상기 뚜껑(120)의 하부와 결합되는 나사부(112')가 형성된 상측원통부(112)와, 상기 하측원통부(111)의 상측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측원통부(112)의 하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100)의 입구 상측에 위치되는 구획판(11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140)는 상기 구획판(113)의 저면에 부착된다. 또, 상기 하측원통부(111) 외측에는 상기 뚜껑(1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부(114)가 형성된다.
또, 상기 뚜껑(120)은 내주면에 상기 승강부재(130)와 결합되는 제1나사부(121')가 형성된 상측부(121)와, 상기 상측부(121)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부(121)와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상측원통부(112)의 나사부(112')와 결합되는 제2나사부(122')가 형성된 하측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하 측부(122)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110)의 걸림부(114)에 끼워지는 돌기(123)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하측부(122)의 아래쪽으로는 뚜껑(120)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띠(124)가 설치된다.
또, 상기 승강부재(130)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상측단(131)과, 상기 상측단(131)의 하부를 구성하고 외주면에 상기 상측원통부(112)와 함께 승강부재(12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34)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132')이 복수개 형성된 하측단(132)과, 상기 하측단(132)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링부재(140)에 형성된 구멍을 밀폐시키는 원판 형상의 밀폐부(1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134)는 상기 상측원통부(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미 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관통공(132')은 그 하단이 상기 밀폐부(133)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실링부재(140)의 두께 이상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조립된다.
본체(110)에 형성된 구획판(113) 저면에 실링부재(140)를 부착한 다음, 본체(110)의 하측부로부터 상기 승강부재(130)를 밀어 넣으면, 승강부재(130)의 상측단(131)이 상기 실링부재(140)의 구멍을 통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30)의 하측단(132) 외주에 형성된 가이드(134)가 상기 본체(110)의 상측원통부(112) 내주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부재(130)의 밀폐부(133)가 상기 실링부재(140)에 접촉되어 실링부재(140)의 구멍을 폐쇄하게 된다. 또, 상기 승강부재(130)의 상측단(131)은 상기 본체(110)의 상측원통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뚜껑(120)에 결합된다. 상기 뚜껑(120)은 하측부(122)가 상기 본체(110)의 상측원통부(112) 외주에 나사결합 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130)의 상측단(131)에 나사결합 된다. 이후, 상기 본체(110)의 하측원통부(111)가 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되면서 상기 실링부재(140)가 용기(100)의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함으로써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조립된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본체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뚜껑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어 용기의 입구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의 상태에서 뚜껑(120)을 손으로 잡고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120)이 봉인띠(124)로부터 이탈되면서 뚜껑(120)이 회전된다. 상기 뚜껑(120)이 정회전되면 뚜껑(120)과 나사결합된 승강부재(130)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30)는 하측단(132)의 가이드(134)가 상측원통부(112)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승강부재(130)는 회전되지 않고 수직하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130)가 하강되면 승강부재(130)의 밀폐부(133)가 실링부재(140)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승강부재(130)의 하측단(132)에 형성된 관통공(132')이 용기(100)의 내부로 노출되므로, 용기(100)의 입구가 개방된다.
이후, 상기 뚜껑(120)을 본체(110)의 상측원통부(112)로부터 이탈시키고 용기(100)를 기울이면 용기(100)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용기(100)의 음료가 승강부재(130)의 하측단(132)에 형성된 관통공(132')을 통해 승 강부재(130)의 안쪽으로 흐르게 되므로, 외부로 노출된 승강부재(130)의 상측단(131)을 통해 음료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130)의 상측단(131)을 통해 음료가 배출될 때, 상기 승강부재(130)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110)의 상측원통부(112) 내주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음료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20)에 형성된 돌기(123)를 본체(110)에 형성된 걸림부(114)에 끼움으로써 상기 뚜껑(12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뚜껑(120)의 돌기(123)를 본체(110)의 걸림부(114)에 끼울 때에는 정방향으로 끼울 수도 있고, 역방향으로 끼울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한 다음 용기(100)의 입구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10)로부터 분리된 뚜껑(120)을 상측원통부(112)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후, 뚜껑(120)을 역회전시키게 되면 승강부재(130)의 상측단(131)이 상기 뚜껑(120)의 상측부(121) 내면과 나사결합 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130)의 밀폐부(133)가 상기 실링부재(140)에 밀착되면서 용기(100)의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뚜껑을 회전시키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부재가 승강되면서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게 되므로 본체를 분리시킨 후 다시 결합시키는 수고가 필요없고 용기의 입구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실링부재가 용기의 입구와 본체의 구획판 사이에 위치되어 압력에 대항 저항력이 크게 되어 탄산음료의 용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씌워진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뚜껑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뚜껑이 역회전되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와 용기의 입구 사이에 위치되어 둘 사이를 밀폐시키는 도넛 형상의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내주면에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는 제1나사부가 형성된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부와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상측원통부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하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하측원통부와, 상기 하측원통부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상기 뚜껑의 하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상측원통부와, 상기 하측원통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측원통부의 하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 상측에 위치되는 구획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구획판의 저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상측단과, 상기 상측단의 하부를 구성하고 외주면에 상기 상측원통부와 함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복수개 형성된 하측단과, 상기 하측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링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밀폐시키는 원판 형상의 밀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상측원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그 하단이 상기 밀폐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실링부재의 두께 이상 떨어진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원통부 외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걸림부에 끼워지는 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개폐장치.
KR1020020067663A 2001-11-07 2002-11-02 음료용기 개폐장치 KR10090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663A KR100905759B1 (ko) 2002-11-02 2002-11-02 음료용기 개폐장치
PCT/KR2002/002047 WO2003039986A1 (en) 2001-11-07 2002-11-04 Closer of beverage vessel
CNA028034899A CN1484601A (zh) 2001-11-07 2002-11-04 饮料容器端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663A KR100905759B1 (ko) 2002-11-02 2002-11-02 음료용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555A KR20040039555A (ko) 2004-05-12
KR100905759B1 true KR100905759B1 (ko) 2009-07-02

Family

ID=37337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663A KR100905759B1 (ko) 2001-11-07 2002-11-02 음료용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660A (ko) * 2015-01-26 2016-08-03 김우찬 양초자동소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0974A1 (en) * 2004-06-12 2005-12-22 Hee Kwon Rho Closure of vessel
KR102370526B1 (ko) * 2021-07-28 2022-03-07 신정우 음료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0000828A1 (en) * 1978-10-25 1980-05-01 Otamar Embalagens Tecn Ltd Non-removable valved spout for bottles
JPS6062058U (ja) * 1983-09-30 1985-04-30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液体容器のキヤツプ装置
KR19990014578U (ko) * 1997-10-07 1999-05-06 이진경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WO2002034637A1 (en) * 2000-10-27 2002-05-02 Hee Kwon Rho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everage vessel
KR20020032831A (ko) * 2000-10-27 2002-05-04 노희권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0000828A1 (en) * 1978-10-25 1980-05-01 Otamar Embalagens Tecn Ltd Non-removable valved spout for bottles
JPS6062058U (ja) * 1983-09-30 1985-04-30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液体容器のキヤツプ装置
KR19990014578U (ko) * 1997-10-07 1999-05-06 이진경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WO2002034637A1 (en) * 2000-10-27 2002-05-02 Hee Kwon Rho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everage vessel
KR20020032831A (ko) * 2000-10-27 2002-05-04 노희권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660A (ko) * 2015-01-26 2016-08-03 김우찬 양초자동소등장치
KR101686869B1 (ko) 2015-01-26 2016-12-19 김우찬 양초자동소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555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6662978B2 (en) Stopper with interchangeable plug
KR101133979B1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WO2021050367A1 (en) Straw lid assembly
KR100905759B1 (ko) 음료용기 개폐장치
JPH08117119A (ja) 液体容器の栓体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US20210163206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KR100802404B1 (ko) 진공밸브 작동식 밀폐용기
KR100613226B1 (ko) 소다수용기의 마개
KR100860834B1 (ko) 음료용기 개폐장치
KR200145564Y1 (ko)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CN210493620U (zh) 一种杯盖以及应用有该杯盖的杯子
KR101468331B1 (ko) 가압주출식 액체 용기
KR200432805Y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KR100844160B1 (ko) 음료용기의 개폐장치
CN220571944U (zh) 一种杯盖
CN217827448U (zh) 一体式硅胶全包水杯
CN218173207U (zh) 一种具备回流功能的五组合拉环盖
WO2003039986A1 (en) Closer of beverage vessel
CN218978548U (zh) 一种便于开盖和锁盖的杯子
KR200305470Y1 (ko) 유아용 음료용기 뚜껑
KR200235780Y1 (ko) 밀봉 성이 뛰어난 음료용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