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526B1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526B1
KR102370526B1 KR1020210099409A KR20210099409A KR102370526B1 KR 102370526 B1 KR102370526 B1 KR 102370526B1 KR 1020210099409 A KR1020210099409 A KR 1020210099409A KR 20210099409 A KR20210099409 A KR 20210099409A KR 102370526 B1 KR102370526 B1 KR 10237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inlet
valve line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우
Original Assignee
신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우 filed Critical 신정우
Priority to KR102021009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removable spouts which can be plugged in a discharging and in a clo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tub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2547/063Details of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음료의 토출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고, 내측 둘레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된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하면이 차폐된 형태의 소정 길이의 관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의 일정 높이에 하나 이상의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의 상측과 하측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부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선형홈이 형성되는 밸브라인; 및 상기 밸브라인과 연결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 외부로 돌출되어 음료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BEVERAGE BOTTLE}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 과일쥬스, 탄산음료, 녹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음료수는 용기와 캡으로 포장된 합성수지 재질의 음료수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유통 및 판매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음료수 용기의 경우 캡(뚜껑이나 마개)을 개봉하면 일반적으로 캡이 용기에서 분리되는데, 음료수의 일부를 마시다가 다시 캡을 닫아 놓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럴 경우 개봉되어 분리된 캡이 분실되지 않도록 잘 보관하여야 한다.
그러나 분리된 캡을 분실하거나 보관 과정에서 오염된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음료수 용기의 캡을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캡의 분실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6819호(2004.07.09.)
본 발명은 음료를 개봉하여 일부 마신 후에, 남은 음료수를 나중에 마시기 위해 남겨두는 경우에는 음료 입구를 차폐하였다가, 음료수를 다시 마실 때 개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개폐가 용이한 음료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음료의 토출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고, 내측 둘레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된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하면이 차폐된 형태의 소정 길이의 관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의 일정 높이에 하나 이상의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의 상측과 하측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부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선형홈이 형성되는 밸브라인; 및 상기 밸브라인과 연결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 외부로 돌출되어 음료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통구가 상기 입구부에 위치되는 경우, 음료의 토출이 차폐되고, 상기 밸브라인이 상기 수용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나선형홈이 상기 내부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연통구가 상기 입구부 하측의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음료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토출라인으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구의 높이는, 상기 입구부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연통구가 상기 입구부의 높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나선형홈이 상기 내부나사산과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밸브라인과 상기 토출라인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입구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파지하여 상기 나선형홈이 상기 내부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음료의 토출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음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에 위치되되, 하면은 차폐되며, 측면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개방부가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하면은 차폐된 형태의 소정 길이의 관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개폐부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는 밸브라인; 및 상기 밸브라인과 연결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 외부로 돌출되어 음료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밸브라인이 상기 입구부와 상기 개폐부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연통구가 상기 개방부와 연통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 내부의 음료가 상기 토출라인으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라인의 외측 둘레면에는 나선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입구부에 끼워지도록 오링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와 연결되되, 상기 토출라인의 높이보다 긴 높이로 스프링 형태로 복수회 층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은 차폐된 형태의 스프링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료를 개봉하여 일부 마신 후에, 남은 음료수를 나중에 마시기 위해 남겨두는 경우에는 음료 입구를 차폐하였다가, 음료수를 다시 마실 때 개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개폐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마개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음료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3a와 도 4에 따른 음료 용기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음료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마개와 커넥팅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음료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따른 빨대부가 마개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마개(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음료 용기(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a와 도 4에 따른 음료 용기(1)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는 본체(10) 및 마개(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는 수용부(11) 및 입구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는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부(11)는 소정 높이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부(12)는 수용부(11)의 상부에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입구부(12)는 마개(20)나 뚜껑이 체결될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되, 수용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부(12)는 내측 둘레면에는 내부나사산(121)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외부나사산(122)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나사산(121)에는 후술할 마개(2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외부나사산(122)에는 뚜껑과 같은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1)에 사용되는 캡이 체결될 수 있다.
마개(20)는 본체(10)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음료의 토출을 개폐할 수 있다.
마개(20)는 밸브라인(21), 토출라인(22) 및 플레이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라인(21)은 하면이 차폐된 형태의 소정 길이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라인(21)은 연통구(211), 나선형홈(212) 및 차단막(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구(211)는 밸브라인(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통구(211)는 하부의 일정 높이에서 하나 이상의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통구(21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통구(211)는 밸브라인(21)의 일정 높이에서 밸브라인(2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구(211)의 높이 길이는 입구부(12)의 높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홈(212)은 연통구(211)의 상측과 하측의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내부나사산(121)과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구(211)의 높이가 입구부(12)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연통구(211)가 입구부(12)의 높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나선형홈(212)이 내부나사산(121)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개(20)가 본체(10)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차단막(213)은 밸브라인(21)의 하면으로써, 밸브라인(21)의 하면을 통해 밸브라인(21) 내부로 수용부(11)의 음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수용부(11) 내부의 음료는 연통구(211)를 통해서만 밸브라인(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라인(22)은 밸브라인(21)과 연결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입구부(12) 외부로 돌출되어 음료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단에 토출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라인(22)은 밸브라인(21)과 수평하게 연결되어 일직선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나, 토출라인(22)은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용이하도록 밸브라인(21)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23)는 밸브라인(21)과 토출라인(22) 사이에 위치되되, 밸브라인(21)과 토출라인(22)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3)는 밸브라인(21)과 토출라인(22) 외측에서, 밸브라인(21)의 상단에서 입구부(12)와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레이트(23)를 파지하여 나선형홈(212)이 내부나사산(121)을 따라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a는 연통구(211)가 입구부(1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연통구(211) 하측에 형성된 나선형홈(212)이 내부나사산(121)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3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처럼, 도 3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구(211)가 입구부(12)의 상측 또는 상부에 위치된 경우에는, 수용부(11) 내부의 음료가 외부로 토출될 수 없다. 밸브라인(21)의 나선형홈(212)이 입구부(12)의 내부나사산(121)과 체결되고, 밸브라인(21)의 차단막(213)이 입구부(12)의 상면(313)을 차폐함으로써, 입구부(12)를 완전히 차폐하여 음료가 외부로 토출될 수 없다.
이때, 플레이트(23)를 파지하여 마개(20)를 회전시키는 경우, 나선형홈(212)이 내부나사산(121)과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밸브라인(21)이 수용부(11)로 삽입되도록 나선형홈(212)이 내부나사산(121)과 맞물려 회전하는 경우, 도 3b와 같이, 연통구(211)가 입구부(12)에 위치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연통구(211)가 입구부(12)에 위치되는 경우, 음료의 토출이 차폐될 수 있다. 연통구(211)가 입구부(12)에 의해 수용부(11)와 차폐됨으로써 음료가 토출될 수 없다.
이후, 도 4 및 도 5b와 같이, 나선형홈(212)이 내부나사산(121)과 맞물려 회전하여, 밸브라인(21)이 수용부(11)로 인입되어 연통구(211)가 입구부(12) 하측의 수용부(11)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음료가 연통구(211)를 통해 토출라인(22)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마개(20)를 회전시켜서, 밸브라인(21)의 연통구(211)를 입구부(12) 하측의 수용부(11) 내부로 삽입시켜 수용부(11)와 밸브라인(21) 내부를 연통시킴에 따라 음료를 토출라인(22)의 토출구(221)로 토출시킬 수 있다. 연통구(211)가 입구부(12) 내에 위치되거나 입구부(12) 상측에 위치되어 수용부(11)와 밸브라인(21)이 연통되지 않는 경우에는 토출라인(22)으로의 음료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처럼,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경우에는 연통구(211)가 입구부(12) 내에 위치되도록 마개(20)를 회전시킴으로써, 실수로 음료 용기(1)를 쓰러트리더라도 음료를 쏟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벌레나 이물질이 수용부(11) 내부의 음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음료 용기(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음료 용기(1)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면 후술하도록 하며,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음료 용기(1)의 본체(10)는 개폐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3)는 입구부(12)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수용부(11)에 위치될 수 있다. 개폐부(13)는 하면이 차폐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부(13)의 측면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개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31)는 연통구(211)와 유사한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3)의 내부공간의 직경과 입구부(12)의 내부공간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라인(21)이 입구부(12)를 통과하여 개폐부(13)까지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2)의 내측 둘레에는 내부나사산(121)이 형성되고, 밸브라인(21)의 외측 둘레에는 나선형홈(212)이 형성되어, 내부나사산(121)과 나선형홈(212)이 맞물려 회전될 수 있으며, 입구부(12)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는 내부나사산(121)이 개폐부(13)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부(12)의 내측 둘레와 밸브라인(21)의 외측 둘레에는 내부나사산(121)과 나선형홈(212)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개폐부(13)의 내측 둘레에는 내부나사산(121)이 형성되지 않고, 입구부(12)에만 내부나사산(121)이 형성되고 밸브라인(21)에 나선형홈(212)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도 7a와 같이, 밸브라인(21)이 입구부(12)와 개폐부(13) 내에서 회전하여, 밸브라인(21)의 연통구(211)가 개폐부(13)의 개방부(131)와 연통되는 경우 수용부(11)와 밸브라인(21) 내부가 연통되어, 수용부(11) 내부의 음료가 토출라인(22)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밸브라인(21)의 연통구(211)가 개폐부(13)의 개방부(131)와 엇갈리는 경우, 밸브라인(21)의 연통구(211)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의해 개방부(131)가 차폐되어, 수용부(11)와 밸브라인(21)의 내부가 분리되어, 수용부(11) 내부의 음료가 토출라인(22)으로 토출될 수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마개(20)와 커넥팅부(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음료 용기(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음료 용기(1)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면 후술하도록 하며,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음료 용기(1)는 커넥팅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부(30)는 입구부(12)에 체결된 상태에서, 마개(20)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개(20)는 본체(10)와 분리하여 다른 용기와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음료 용기(1)의 입구부(12)의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마개(20)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커넥팅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라인(21)의 크기(즉, 직경)와 용기의 입구부(12)의 크기가 맞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밸브라인(21)을 입구부(12)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밸브라인(21)의 크기보다 용기의 입구부(12)의 크기가 더 큰 경우에는, 커넥팅부(30)를 입구부(12)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커넥팅부(30)는 체결부(31), 삽입부(32) 및 나선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는 입구부(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311), 외관(312) 및 상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관(311)과 외관(312)은 입구부(12)의 둘레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면(313)이 내관(311)과 외관(312)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외관(312)의 내측면에는 입구부(12)의 외부나사산(122)과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2)는 내관(311)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1)가 입구부(12)와 체결되는 경우, 삽입부(32)는 입구부(12)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부(11)의 상부 내측까지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32)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21)는 삽입부(32)의 소정 높이에서 연통구(211)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부(33)는 내관(311)의 내측면과 삽입부(32)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밸브라인(21)의 나선형홈(212)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넥팅부(30)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커넥팅부(30)가 입구부(12)에 체결되어, 삽입부(32)가 입구부(12) 하측의 수용부(11)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구(211)가 배출구(321)와 연통되는 경우, 배출라인의 내부가 수용부(11)와 연통되어, 수용부(11) 내부의 음료가 토출라인(2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구(211)가 배출구(321)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배출구(321)가 배출라인의 다른 측면에 의해 차폐되는 경우, 수용부(11) 내부의 음료가 토출라인(22)으로 토출될 수 없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는 커버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40)는 토출구(2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40)는 끼움부(41) 및 스프링차폐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41)는 입구부(12)에 끼워지도록 오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41)는 탄성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41)의 구멍에 입구부(12)를 끼워, 커버부(40)를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스프링차폐부(42)는 끼움부(41)와 연결되되, 토출라인(22)의 높이보다 긴 높이로 스프링 형태로 복수회 층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313)은 차폐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차폐부(42)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최상단은 면으로 차폐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차폐부(42)가 이루는 층은 토출라인(2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a와 같이, 스프링차폐부(42)가 토출라인(22) 전체 높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음료를 마사지 않을 때는 토출라인(22)을 감싸 보호하여, 이물질이 토출라인(22)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음료를 마실 때는, 도 11b와 같이, 토출라인(22)의 상부를 감싸고 있는 스프링차폐부(42)의 복수의 층만 토출라인(22)에서 분리하여, 토출라인(22)의 토출구(221)와, 토출라인(22) 상부의 일정 높이를 개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는, 도 11a와 같이, 스프링차폐부(42)로 토출라인(22)을 감싸 보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는 결합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마개(20)에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50)는 마개(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입구부(12)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개(20)는 본체(10)와 분리하여 다른 용기와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음료 용기(1)의 입구부(12)의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마개(20)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결합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라인(21)의 크기(즉, 직경)와 용기의 입구부(12)의 크기가 맞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밸브라인(21)을 입구부(12)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밸브라인(21)의 크기보다 용기의 입구부(12)의 크기가 더 큰 경우에는, 결합부(50)를 밸브라인(21)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50)는 제1 결합관(51), 제2 결합관(512), 폭조절부재(53) 및 유출구(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관(51)과 제2 결합관(512)은 하면이 차폐된 관 형태로 형성되며, 밸브라인(21)의 높이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관(51)은 밸브라인(21)의 나선형홈(212)과 나사체결 될 수 있도록 제1 결합관(51)의 내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관(512)은 제1 결합관(51)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관(51)과 제2 결합관(512)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형성되어, 외압에 따라 소정 폭이 압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는 폭조절부재(5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관(51) 외측에 폭조절부재(53)가 고정되고, 폭조절부재(53) 외측에 제2 결합관(512)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관(512)의 외측 둘레에는 입구부(12)의 내부나사산(121)과 나사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54)는 밸브라인(21)의 연통구(2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제1 결합관(51), 제2 결합관(512), 폭조절부재(5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a와 같이, 밸브라인(21)과 결합부(5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12b와 같이 결합부(50)의 제1 결합관(51) 내측으로 밸브라인(21)이 삽입되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결합관(512)이 입구부(12)의 내부나사산(121)과 체결됨에 따라, 결합부(50)가 마개(20)를 입구부(12)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통구(211)와 유출구(54)가 연통되어, 밸브라인(21)의 내부로 음료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부(6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빨대부(60)가 마개(20)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음료 용기(1)는 빨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빨대부(60)는 토출라인(22)에 연결되어, 유아가 음료를 마실 때 사용할 수 있다.
빨대부(60)는 하부관(61), 상부관(62) 및 연결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관(61)은 토출라인(22)과 밸브라인(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하부관(61)의 상부에는 자바라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관(61)은 자바라부(611)에 의해 도 13a와 도 13b와 같이 토출라인(22)과 밸브라인(21)의 형상에 따라 상부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3c와 같이 수평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관(62)은 하부과의 상단에 연결되어, 토출라인(22) 외부로 돌출되어 음료를 흡입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63)는 상부관(62)과 하부관(61) 사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관(61)이 토출라인(22)과 밸브라인(21)에 삽입될 때, 토출라인(22)의 상단에 안착되어, 토출라인(22)의 토출구(221)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관(61)과 상부관(62)을 통해서 음료를 흡입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부(60)는 마개(20)에 설치될 수 있다. 자바라부(611)를 통해 토출라인(22)과 밸브라인(21)의 각도에 맞춰 하부관(61)이 토출라인(22)과 밸브라인(21)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관(62)은 토출라인(22) 상측으로 돌출되며, 연결부(63)가 토출라인(2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유아의 경우, 한번에 많은 음료가 넘어오게 되면 사레들리게 될 수 있는데, 본원발명은 밸브라인(21)의 내부로 유입된 음료를 빨대부(60)를 통해 소량씩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음료 용기
10: 본체 11: 수용부
12: 입구부 121: 내부나사산
122: 외부나사산 13: 개폐부
131: 개방부 20: 마개
21: 밸브라인 211: 연통구
212: 나선형홈 213: 차단막
22: 토출라인 221: 토출구
23: 플레이트 30: 커넥팅부
31: 체결부 311: 내관
312: 외관 313: 상면
32: 삽입부 321: 배출구
33: 나선형부 40: 커버부
41: 끼움부 42: 스프링차폐부
50: 결합부 51: 제1 결합관
52: 제2 결합관 53: 폭조절부재
54: 유출구 60: 빨대부
61: 하부관 611: 자바라부
62: 상부관 63: 연결부

Claims (8)

  1.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음료의 토출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음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에 위치되되, 하면은 차폐되며, 측면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개방부가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하면은 차폐된 형태의 소정 길이의 관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개폐부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는 밸브라인; 및
    상기 밸브라인과 연결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 외부로 돌출되어 음료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라인이 상기 입구부와 상기 개폐부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연통구가 상기 개방부와 연통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 내부의 음료가 상기 토출라인으로 토출될 수 있고,
    상기 밸브라인이 상기 입구부와 상기 개폐부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연통구가 상기 개방부와 엇갈리는 경우, 상기 밸브라인의 연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의해 상기 개방부가 차폐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의 음료가 상기 토출라인으로 토출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가 상기 입구부에 위치되는 경우, 음료의 토출이 차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라인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내부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선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의 높이는, 상기 입구부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연통구가 상기 입구부의 높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나선형홈이 상기 내부나사산과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라인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내부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선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밸브라인과 상기 토출라인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입구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파지하여 상기 나선형홈이 상기 내부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내측 둘레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라인의 외측 둘레면에는 나선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라인의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입구부에 끼워지도록 오링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와 연결되되, 상기 토출라인의 높이보다 긴 높이로 스프링 형태로 복수회 층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은 차폐된 형태의 스프링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1020210099409A 2021-07-28 2021-07-28 음료 용기 KR10237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409A KR102370526B1 (ko) 2021-07-28 2021-07-28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409A KR102370526B1 (ko) 2021-07-28 2021-07-28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526B1 true KR102370526B1 (ko) 2022-03-07

Family

ID=8081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409A KR102370526B1 (ko) 2021-07-28 2021-07-28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5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943U (ja) * 1984-03-21 1985-10-07 出島 正男 石油供給器具
KR200308960Y1 (ko) * 2002-12-06 2003-03-31 이길호 음료용기 내부의 진공방지를 위한 마개구조
KR20040039555A (ko) * 2002-11-02 2004-05-12 노희권 음료용기 개폐장치
KR200356819Y1 (ko) 2004-04-13 2004-07-19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캐릭터 완구가 일체로 결합된 음료수의 용기 캡
KR20060006695A (ko) * 2004-07-16 2006-01-19 조영국 소다수 용기의 마개
KR101830172B1 (ko) * 2017-06-21 2018-02-20 김성윤 액체 쏟음 방지용 액체 용기 내부마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943U (ja) * 1984-03-21 1985-10-07 出島 正男 石油供給器具
KR20040039555A (ko) * 2002-11-02 2004-05-12 노희권 음료용기 개폐장치
KR200308960Y1 (ko) * 2002-12-06 2003-03-31 이길호 음료용기 내부의 진공방지를 위한 마개구조
KR200356819Y1 (ko) 2004-04-13 2004-07-19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캐릭터 완구가 일체로 결합된 음료수의 용기 캡
KR20060006695A (ko) * 2004-07-16 2006-01-19 조영국 소다수 용기의 마개
KR101830172B1 (ko) * 2017-06-21 2018-02-20 김성윤 액체 쏟음 방지용 액체 용기 내부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959B2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a robust and easily cleanable seal mechanism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6378742B1 (en) Fluid dispensing closure
JP4454851B2 (ja) プラスチックで成形されたドラムとドラムインサートとクロージャとの組み合わせ体
US20070262041A1 (en) Bottle Assembly and a Vent Device Therefor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US11089893B2 (en) Drinking container with barrier system
US20130032566A1 (en) Compound sports water bottle
US20120223100A1 (en) Bottle cap for dispersing powdered supplement in situ
US10479671B2 (en) Plastic liquid container and dispensing system
JP643043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キャップ
US20190200800A1 (en) Portable solvent infuser assembly
KR102370526B1 (ko) 음료 용기
US10947019B2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JP2005512914A (ja) 改良型封鎖システム
KR20190091840A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101873833B1 (ko) 분리 가능한 물병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KR20180026436A (ko) 쉐이크 기능을 갖는 용기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KR101956915B1 (ko) 다용도 페트병
CN216003701U (zh) 瓶盖及具有其的饮料瓶
KR102280945B1 (ko) 호환식 결합용기
KR102484359B1 (ko)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