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695A - 소다수 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소다수 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695A
KR20060006695A KR1020040056616A KR20040056616A KR20060006695A KR 20060006695 A KR20060006695 A KR 20060006695A KR 1020040056616 A KR1020040056616 A KR 1020040056616A KR 20040056616 A KR20040056616 A KR 20040056616A KR 20060006695 A KR20060006695 A KR 2006000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opper
soda
valve memb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226B1 (ko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조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국 filed Critical 조영국
Priority to KR102004005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226B1/ko
Priority to CNB2005100858028A priority patent/CN100503382C/zh
Publication of KR2006000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다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다 용기에 보관되는 내용물이 기존의 스포츠 캡에 상용되도록 발명된 밀폐 구조로서, 고정수단 일측에 고정되어 중심의 축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부에 밸브부재가 슬라이딩 작동하는 고정부를 구성함에 있어, 상단의 스토퍼 벽에 형성된 관통구의 중심부 하면부는 박막형 압축 외벽막으로 외벽 개방부와 압축 외벽 지지대가 형성되며, 밸브 부재는 관통구에 상하로 슬라이딩 작용하는 구조이며 상부는 걸림턱을 갖는 구조로 개방되고 하단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외면에 스토퍼 돌기가 구조된 소다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여 소다수에서 발생하는 탄산 가스등의 압력에 의해 박막형 압축 외벽막이 밸브부 유입구를 수밀 차단하여 일상적인 상태의 소다수 보관을 유지하며, 소다수에 스포츠 캡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박막형 압축 외벽막, 압축 외벽 지지대, 공기 유입구, 스토퍼 돌기, 밸브부 유입구, 압축 외벽 개방구.

Description

소다수 용기의 마개{Soda ca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 : 공기 유입구 113 : 결합돌기
115 : 스토퍼 돌기 129 : 단부 플레이트
215 : 스토퍼 304 : 밸브부 유입구
313 : 결합홈 333 : 음용부
704 : 압축 외벽 개방구 714 : 박막형 압축 외벽막
본 발명은 소다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소다용기의 특성인 가스압력을 이겨내는 스포츠 캡의 장착을 위한 구조로서, 종래의 스포츠 캡 을 이용한 용기는 음료수나 쥬스 등 탄산가스의 압력이 대두되지 않는 분야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스포츠 캡의 사용이 범용화 되고 있는 마켓에서 소다수는 특유의 탄산가스 압력으로 인해 사용이 원활치 못한 점이 있었다. 또한 스포츠 캡에 개폐구조를 장착하는 데에는 기존 고정부재는 적절한 관통 구조를 상용하는 데에는 탄산가스 압력 등의 요인으로 인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적인 고정 부재에 소다수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이겨내는 배출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기존의 소다수의 탄산가스 압력의 분출에 불편함 없이 사용하는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소다용기의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 면에 나사가 형성된 주입구를 갖는 용기에 고정되는 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 및 유출을 막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용부턱을 갖는 밸브부재와 밸브부재의 상하 이동시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주입구를 차단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단부 플레이트와, 단부 플레이트의 외주 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갖춘 외부 캡이, 외부 캡과 이격된 위치의 단부 플레이트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구의 내부로 압입됨과 동시에 작동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내부 캡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단부 플레이트에서 내부로 압입된 부분의 하단부에 박막형 압축 외벽막과 외벽막 지지대 그리고 압축 외벽 개방구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일괄 사출을 통하여 제작 가능하며, 일괄 사출을 통한 제작이 어려울 시 박막형 압축 외벽막과 외벽막 지지대를 따로 고정부재에 부착 가능하다.
상기 박막형 압축 외벽막 상부에 구성된 외벽 개방구는 동서남북 네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재는, 고정부재의 내부 중심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관통부와 이 관통부를 당기기 위한, 관통부 턱이 구성되고 관통부 상단에는 음료를 마시기 위한 음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 옆면에는 밸브부재의 완전 탈착을 막고 고정부재의 스토퍼와 맞물려 작동부재의 축 방향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가 구성되어 있고, 관통부 하단에는 공기유입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는 주사기의 피스톤과 같은 고정부재 하단면인 박막형 압축 외벽막 내부에 있는 공기가 빨려져서 올라옴으로써 주사기의 흡입과 같은 부드러운 상승을 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재 장착 시에도 부드러운 하강을 유도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밸브부재 하단에 형성된 밸브부 유입구 및 고정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압축외벽 개방구와 맞물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부재는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와 관통부의 외측에 형성된 밸브 나사선과 맞물려 회전이 가능토록 맞물린 작동 나사홈이 구성되고, 관통부 상단에는 배출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는 외측 하면에 링형의 결합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는 실시예 1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실시예 1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소다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고정부재(100)와 밸브부재(300)로 나눌 수 있으며 고정부재(100)는 외측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112)이 일반용기(13)의 나사선(12)과 연결되어 내용물(W1)의 방출을 막고 유통 가능하게 해주며, 단부 플레이트(129)의 축 방향으로 내부에 밸브부재(300)의 상부 또는 하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15)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본 발명의 특징인 박막형 압축 외벽막(714)이 및 압축 외벽 개방구(704)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형 압축 외벽막(714)은 얇고 신축성이 있는 PE나 PVC 등의 박막 상태의 사출로 압력 등에 빨려 들어가 밀착, 밀폐 등 착 달라붙는 작업을 하는 PE나 PVC 재질의 일회용 고무장갑 같은 약간의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용기의 저장 유통 시 용기내의 탄산 가스등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200)에 형성된 밸브부 유입구(304) 를 확실히 막아 내용물의 방출을 막는데 사용되며, 박막형 압축 외벽막(714) 외주면에는 복수 이상의 외벽 지지대(715)가 축방향으로 설정되어 외벽 하면부와 일체로 구조되어 있는데, 이는 박막형 압축 외벽막(714)이 용기(13) 내의 탄산 가스등의 강한 힘에 의하여 파손되어 내용물의 유출 등의 문제점들을 방지하고, 모양의 변형 등의 손상을 막기 위함이다.
상기 스토퍼(215)는 밸브부재(300)의 외측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115)와 맞물려 밸브부재(300)의 완전 탈착을 막으며 또한 밸브부재(300)의 상승의 한도를 주어 상기 압축 외벽 개방구(704)와 밸브부 유입구(304)가 일치하도록 하여 내용물의 정확한 유출을 가능케 한다.
상기 밸브부재(300)는 견고한 원통형으로 구조되어 있어 하단면에 복수 이상의 밸브부 유입구(304)가 원 주변에 구성되고, 축 방향 최 하단에는 공기 유입구(10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개의 개폐시 상승되는 밸브부재(300)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100) 사이의 진공상태로 인한 문제점을 막고 또한 마개의 개폐시 용기(13)내의 내용물을 빨아들임으로써 보다 쉬운 내용물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지닌다.
고정부재(100)의 단부 플레이트(129)의 상단에는 고정나사선(333A)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의 저장 시 마개를 음용부(333)를 밀폐시키기 위한 상부 캡(390)을 밀착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사용 시는 고정부재(100) 상단에 구비된 상부캡(390)을 회전시켜 벗겨 낸 후 밸브부재(300) 상단에 형성된 음용부턱(334)을 잡고 밸브부재(300)를 상승시킴으로서 밸브부재(300)에 형성된 밸브부 유입구(304)가 상승하고 밸브부재(300)의 상승 중 고정부재(100)에 형성된 스토퍼(215)에 의해 걸림으로써 상승되던 밸브부 유입구(304)와 고정되어 있던 압축 외벽 개방구(704)가 열려 내용물을 사용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2 )
도 4에 도시된 바는 실시예 2의 저장 유통 시 단면도이며, 도 5는 실시예 2의 용기 개봉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슷한 구조를 지닌 실시예 2는 밸브부재(300)에서 실시예 1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밸브부재(300)의 상단 외부에는 밸브 나사선(259)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 나사선(259A)은 파지부(301) 내측에 형성된 작동 나사홈(359A)와 맞물려 있어 파지부(301)의 회전시 밸브부재(300)의 상승을 유도 시킨다.
상기 파지부(301)는 외측 하단에 결합돌기(113)가 구비되어 있고, 고정부재(100)에 형성된 단부 플레이트(129) 에 형성된 결합홈(313)과 맞물려 있어 파지부(301)의 회전 시 동력을 밸브부재(300)에만 전달하여 밸브부재(300)를 상승시키고 파지부(301)는 고정부재(100)와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개폐수단은 용기(13)내의 내용물(W1)을 사용하기 위하여 파지부(301)를 회전 이동시키면 파지부(301)에 형성된 작동나사홈(359A)이 맞물려 있는 밸브 나사선(259A)를 상승시키고 밸브 나사선(259A)와 함께 상승한 밸브부재(300)로 인하여 밸브부 유입구(304) 및 압축 외벽 개방구(704)가 열려 내용물(W1)을 음용수 배출구(334)를 통하여 사용 가능하게 해준다.
이때 상승되는 밸브부재(300)는 상승도중 밸브부재(300) 외부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115)가 파지부(301)의 내부 중앙 하단에 걸림으로써 상승이 중지되고 밸브부 유입구(304)와 압축 외벽 개방구(704)가 일치 하여 열리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이상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시 예들 사이의 호환 가능한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며, 단순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치환에 의한 것도 포함되어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막형 압축 외벽막을 이용하여 밸브부 유입구를 소다용기 내부의 가스압력으로 밸브부 유입구를 차단하여 용기를 밀폐시키는 구조로, 공기 유입구의 역할 등으로 밸브부 상하 축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Claims (4)

  1. 고정수단 일측에 고정되어 중심에 축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에 밸브부재가 슬라이딩 작동하는 밸브 고정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스토퍼벽이 형성된 관통구의 중심부 하면부는 박막형 압축 외벽막으로, 외벽 개방구와 압축 외벽 지지대가 형성되며, 밸브부재는 관통구에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구조이며, 상부는 걸림턱을 갖는 구조로 개방되고, 하단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외면에 스토퍼 돌기가 구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다용기의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질의 박막형 압축 외벽막의 외주면을 복수 이상의 외벽 지지대가 축 방향으로 설정되어 외벽 하면부와 일체로 구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다용기의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부재는 견고한 원통형으로 구조되어 하단면에 복수 이상의 밸브부 유입구가 원주면에 구성되고, 하단면 중심부에 공기 조절구가 형성되고, 상변의 음용수 배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다용기의 마개.
  4.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 고정부 단부 플레이트 상면에 회전구조의 고정홈에 직입하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밸브부재 전입용 관통구가 구조되고, 고정부 상면에 작동나사 홈이 구조되고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 구조된 파지부를 갖는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소다용기의 마개.
KR1020040056616A 2004-07-16 2004-07-16 소다수용기의 마개 KR10061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616A KR100613226B1 (ko) 2004-07-16 2004-07-16 소다수용기의 마개
CNB2005100858028A CN100503382C (zh) 2004-07-16 2005-07-16 一种碳酸饮料容器的瓶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616A KR100613226B1 (ko) 2004-07-16 2004-07-16 소다수용기의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95A true KR20060006695A (ko) 2006-01-19
KR100613226B1 KR100613226B1 (ko) 2006-08-21

Family

ID=3591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616A KR100613226B1 (ko) 2004-07-16 2004-07-16 소다수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3226B1 (ko)
CN (1) CN10050338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526B1 (ko) * 2021-07-28 2022-03-07 신정우 음료 용기
WO2023043206A1 (ko) * 2021-09-16 2023-03-23 이명용 마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8225B1 (fr) * 2011-07-19 2014-05-16 Sartorius Stedim Biotech Sa Valve a fonctionnement selectif pour un recipient a usage biopharmaceutique.
KR101867963B1 (ko) * 2016-01-26 2018-07-17 장동환 유체 용기 및 그 밸브
KR101773397B1 (ko) * 2017-05-08 2017-08-31 최성규 용기 내 가스 누출 방지 장치
KR101830172B1 (ko) * 2017-06-21 2018-02-20 김성윤 액체 쏟음 방지용 액체 용기 내부마개
CN112607213B (zh) * 2020-12-19 2022-08-02 烟台海普制盖有限公司 容器及其瓶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6294Y2 (ko) 1974-07-30 1980-06-24
JPS5198249U (ko) 1975-01-31 1976-08-06
JPS5630276Y2 (ko) 1977-12-15 1981-07-18
KR20040039228A (ko) * 2004-04-02 2004-05-10 이정민 배출대를 갖는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526B1 (ko) * 2021-07-28 2022-03-07 신정우 음료 용기
WO2023043206A1 (ko) * 2021-09-16 2023-03-23 이명용 마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1284A (zh) 2006-01-18
KR100613226B1 (ko) 2006-08-21
CN100503382C (zh)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724B2 (en) Beverage container
EP3083430B1 (en)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US9555938B2 (en) Liquid container
US20220033148A1 (en) Handle operated hydration sipper lid
EP3060090A1 (en) Lid with check valve
CN101657360A (zh) 用于防溢出饮料容器的盖子
WO2008030767A2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CN103224086B (zh) 饮料用容器的栓体
KR100613226B1 (ko) 소다수용기의 마개
EP1514802B1 (en) Vacuum pump for bottles
JP6268377B1 (ja) 蓋体及び液体収容容器
KR20040007284A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101565236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CN204161794U (zh) 按钮内藏式防误开容器盖
CN211845615U (zh) 真空保鲜杯
CN102687971A (zh) 一种盖子
JP2001294252A (ja)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CN216569436U (zh) 一种吸管可拆卸的水杯
KR200422328Y1 (ko)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음료용기
CN113277215A (zh) 通气装置、盖体以及包括该盖体的容器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CN217348983U (zh) 一种容器盖
JP2002128116A (ja)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CN220024711U (zh) 一种按压式的盖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