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536B1 - 휴대용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휴대용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536B1
KR101845536B1 KR1020170121327A KR20170121327A KR101845536B1 KR 101845536 B1 KR101845536 B1 KR 101845536B1 KR 1020170121327 A KR1020170121327 A KR 1020170121327A KR 20170121327 A KR20170121327 A KR 20170121327A KR 101845536 B1 KR101845536 B1 KR 10184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older
hollow
fram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아이피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피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536B1/ko
Priority to DE102018202485.5A priority patent/DE102018202485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중량 및 크기를 가지는 우산들이 거치되도록 평면에 대한 흡착력이 개선되고, 휴대성이 증가된 휴대용 우산꽂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우산꽂이는 저면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흡착유닛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산의 일부가 상부에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유닛이 평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상기 우산이 삽입되면 상기 홀더는 상기 중공을 밀봉하여 상기 흡착유닛이 상기 평면에 흡착되고, 상기 우산을 상기 평면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평면과 탈착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우산꽂이{PORTABLE UMBRELLA STAND}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우산꽂이는 다양한 크기의 우산을 거치하기 용이하도록 부피가 크고 하부에 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우산에서 배출되는 물이 주변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최근에는 휴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피를 감소시켜 제작되는 제품들이 있지만 바닥의 흡착력이 낮아서 중량이 큰 우산은 지지하지 못하고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물의 배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4243호는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482호는 휴대용 주름형 우산꽂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부피가 큰 단점이 있고, 안정적으로 바닥에 고정되는 기술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다양한 중량 및 크기를 가지는 우산들이 거치되도록 바닥에 대한 흡착력이 개선되고, 휴대성이 증가된 휴대용 우산꽂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우산꽂이는 저면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흡착유닛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산의 일부가 상부에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유닛이 평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상기 우산이 삽입되면 상기 홀더는 상기 중공을 밀봉하여 상기 흡착유닛이 상기 평면에 흡착되고, 상기 우산을 상기 평면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평면과 탈착된다.
또한, 상기 홀더의 상부 중앙에 상기 홀더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 탄성 돌출되는 고분자 소재의 파지돌기들이 형성되는 제1 픽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면에서 내부 중앙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토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유닛은 상부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게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부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확장되는 흡착판 및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상기 흡착판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외측면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면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캡은 상기 중공을 밀봉 또는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끝단에 상기 스토퍼와 걸려져 지지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장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의 상부에서 버튼의 조작을 통해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우산을 향해 파지돌기들이 탄성 이동하여 상기 우산을 압박하거나 상기 우산과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픽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우산꽂이는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높고, 저면과 밀착되는 바닥 사이의 형성되는 흡착력을 통해 우산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우산꽂이는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고,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휴대용 우산꽂이는 우산을 일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편리한 구동만으로 휴대용 우산꽂이의 흡착력을 해제시킬 수 있고, 우산이 삽입되는 위치에 파지돌기들이 형성되어 우산의 손상을 방지하고, 물이 파지돌기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내부로 이동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의 사용상태도.
도 2 및 3들은 도 1의 휴대용 우산꽂이의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우산꽂이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5는 도 4의 휴대용 우산꽂이를 다른 각도에서 절단한 상태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픽싱유닛의 구동을 나타내는 저면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우산꽂이(100)는 베이스(200), 홀더(400) 및 제1 픽싱유닛(60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우산(10)은 꼭지(11), 꼭지(11)에서 연장되는 살대(12), 살대(12)를 커버하는 우산면(13), 꼭지(11)에 인접한 우산지붕(14), 꼭지(11)에서 연장되어 우산을 지지하는 지지대(15) 및 핸들(16)로 형성된다.
휴대용 우산꽂이(100)는 하부에 평면에 대한 흡착력이 증가하여 상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우산(10)이 일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우산(10)의 우산면(13)으로부터 꼭지(11)까지 흘러내리는 물을 임시로 저장 및 배출할 수 있다.
베이스(200)는 하부프레임(220) 및 흡착유닛(240)을 포함한다.
베이스(200)는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흡착유닛(240)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하부프레임(220)은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 일부는 홀더(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200)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흡착유닛(240)은 돔(Dome)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의 평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중량 이상에 해당하는 압력이 가해지면, 흡착유닛(240)과 상기 평면의 사이에 흡착력이 발생한다.
홀더(400)는 상부프레임(420)을 포함한다.
홀더(400)는 베이스(200)의 상부에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우산(10)의 꼭지(11)가 상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부프레임(420)은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단 일부의 측면은 중앙을 향해 함몰되어 상부프레임(420)의 상단과 단차를 형성한다.
홀더(400)가 베이스(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면, 상부프레임(420)의 하단 일부는 베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프레임(420) 상단의 가장자리 저면은 하부프레임(220)의 가장자리 상부면과 서로 밀착된다.
제1 픽싱유닛(600)은 삽입프레임(620), 물역류방지판(640) 및 파지돌기(660)를 포함한다.
제1 픽싱유닛(600)은 홀더(400)의 상부 중앙에 홀더(40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30)이 형성되고, 삽입홀(30)의 내측면에 실린더 형태로 서로를 향해 탄성 돌출되는 파지돌기(660)들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삽입프레임(620)은 상부프레임(4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홀더(400)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삽입홀(30)이 형성되도록 중앙 일부가 하부를 향해 함몰되며, 삽입홀(30)에 인접한 가장자리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하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태의 물역류방지판(640)이 형성된다.
물역류방지판(640)은 휴대용 우산꽂이(100)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경우에 내부의 물을 물역류방지판(640)과 삽입프레임(62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시켜 삽입홀(30)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물역류방지판(640)의 하단 일부는 하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우산(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의 배수기능은 유지함과 동시에 상부프레임(420) 내부의 물이 삽입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파지돌기(660)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물역류방지판(640)의 내측면과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평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삽입홀(30)의 중앙을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우산(10)의 꼭지(11)가 삽입홀(30)을 통해 상부프레임(4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 복수의 파지돌기(660)들 각각이 탄성 변형되며 꼭지(11)를 압박하여, 우산(10)이 홀더(400)에서 이탈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파지돌기(660)들 사이의 공간을 따라 우산(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부프레임(420)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우산(10)의 물이 효과적으로 저장공간을 향해 배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가 우산(10)을 들어올리면 변형된 복수의 파지돌기(660)들에 의해 홀더(400)가 상승하고, 홀더(400)의 상승으로 흡착유닛(240)의 흡착력이 해제되어 편리하게 휴대용 우산꽂이(100)를 평면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프레임(620)은 상부프레임(420)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우산(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효과적으로 삽입홀(30)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돌기(66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평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이 경우, 우산(10)의 일부분이 삽입홀(30)에 삽입되면 파지돌기(660)들 각각의 타단이 우산지붕(14)을 압박하여 우산(10)의 이탈을 효과적을 방지한다.
우산(10)과 함께 상승한 휴대용 우산꽂이(100)는 해당 사용자가 용이하게 우산(10)에서 탈착시킬 수 있고, 우산(10)과 분리된 휴대용 우산꽂이(1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상부프레임(420)의 측면에 형성된 드레인공(40)을 통해 편리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공(40)은 탄성 및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로 제작된 배출캡의 사용을 통해 상부프레임(420)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키거나 밀봉할 수 있고, 상부프레임(420)의 측면 또는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휴대용 우산꽂이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우산꽂이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휴대용 우산꽂이를 다른 각도에서 절단한 상태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2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0)는 스토퍼(260)를 더 포함하고, 흡착유닛(240)은 고정판(242) 및 흡착판(244)을 포함한다.
스토퍼(260)는 하부프레임(220)의 내부공간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된 제1 내지 제3 가이드 레일(262, 264, 266)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264)은 하부프레임(220)의 상부 끝단까지 연장된다.
제1 내지 제3 가이드 레일(262, 264, 266)들의 하단에는 하부프레임(220)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하부 끝단과 하부프레임(22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 레일(262, 264, 266)들의 저면은 하부프레임(220)의 내측면과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스토퍼(260)들은 하부프레임(220)의 내측면을 따라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각각이 하부프레임(220)의 내측면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흡착유닛(240)은 하부프레임(220)의 하부에서 돔(Dome) 형태의 가장자리 하부가 평면의 평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홀더(400)의 하강으로 변형되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 평면과 흡착되도록 형성된다.
고정판(242)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프레임(220)의 저면과 결합되고, 중앙에는 베이스(20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60)과 연결되는 홀이 형성되어 하부프레임(22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한다.
흡착판(244)의 일부는 고정판(242) 및 하부프레임(220)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판(242)과 함께 하부프레임(220)의 저면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환 형태로 하부에 위치한 평면을 향해 경사지게 확장하며 연장된다.
고정판(242)은 흡착판(244)의 중앙 일부를 하부프레임(220)의 저면에 밀착시키며 하부프레임(220)과 고정되어 홀더(400)에 우산(1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 고분자 재질의 흡착판(244)이 늘어나 특정 방향을 향해 홀더(400)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홀더(400)는 가이드(440), 캡(460) 및 결합유닛(48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440)는 상부프레임(420)의 하단 측면을 따라 상하부로 연장된 레일들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프레임(420)의 하단이 베이스(200)에 삽입되면 스토퍼(260)의 중앙에 위치한 제2 가이드 레일(264)이 가이드(440)의 레일들 사이로 삽입된다.
캡(460)의 저면은 상부프레임(420)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200) 및 홀더(400)가 서로 결합되어 베이스(200)가 평면에 밀착되면 캡(460)의 저면은 하부프레임(220) 내부의 중공(60)을 커버하여 하부프레임(220) 내부의 공기가 중공(60)을 통해 흡착유닛(240)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캡(460)이 중공(60)을 밀봉하면 평면과 밀착된 흡착판(244)이 홀더(400)의 중량 또는 우산(10)의 중량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펼쳐지면서 흡착유닛(240) 하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하고, 흡착유닛(240)과 평면 사이에는 진공 흡착력이 발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캡(460)이 중공(60)을 밀봉한 상태에서 스토퍼(200)들 사이의 베이스(200)의 저면 및 캡(4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하부프레임(220)의 측면 및 상부프레임(420)의 측면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와 연결된다.
그리고 결합유닛(480)이 하부프레임(220)의 저면과 밀착되고, 캡(460)이 중공(60)을 밀봉하는 상태에서 하부프레임(220)의 가장자리 상단은 상부프레임(420)의 가장자리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부프레임(220)의 측면 및 상부프레임(420)의 측면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와 외부공간을 연결한다.
베이스(200) 및 홀더(400) 사이의 공간이 외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홀더(400)는 캡(460)이 중공(60)을 밀봉한 상태에서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베이스(200) 및 홀더(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유닛(48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돌기의 상부면은 스토퍼(260)와 끼움 결합되고, 캡(460)이 소정의 거리만큼 흡착유닛(240)을 향해 이동하여 중공(60)을 밀봉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의 상부면은 스토퍼(260)의 저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우산(10)의 일부를 제1 픽싱유닛(600)을 통해 홀더(400)에 삽입하여 우산(10)을 안정적으로 휴대용 우산꽂이(100)에 거치시킬 수 있고, 우산(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상부프레임(420) 내부에 임시로 보관 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픽싱유닛(600)에 형성된 파지돌기(660)들이 우산(10)의 일부분을 압박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산(10)을 들어올리면 캡(460)이 상승하고 하부프레임(220)의 측면 및 상부프레임(420)의 측면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외부공간과 중공(60)이 서로 연결되어 흡착유닛(240)의 흡착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돌기(660)들의 압박으로 휴대용 우산꽂이(100)가 우산(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휴대용 우산꽂이(100)를 우산(10)을 통해 들어올린 상태에서 휴대용 우산꽂이(100)를 우산(10)에서 편리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픽싱유닛의 구동을 나타내는 저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120)는 제2 픽싱유닛(800)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휴대용 우산꽂이(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우산꽂이(120)는 제2 픽싱유닛(800)을 포함한다.
휴대용 우산꽂이(120)는 제2 픽싱유닛(800)의 조작을 통해 제2 픽싱유닛(800)에 삽입되는 우산(10)을 압박하여 우산(10)과 휴대용 우산꽂이(12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거나 우산(10)을 압박하는 압력을 회수하여 우산(10)과 제2 픽싱유닛(800)을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제2 픽싱유닛(800)은 삽입프레임(820), 돌출부(825), 회전판(830), 파지돌기(840), 하부커버(850), 버튼(860) 및 스프링(870)을 포함한다.
제2 픽싱유닛(800)은 제어를 통해 우산(10)이 제2 픽싱유닛(800)에 삽입되도록 중앙의 삽입홀(30)을 개방하고, 제2 픽싱유닛(800)에 대한 조작을 중단하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30)을 통해 삽입되는 우산(10)의 꼭지(11)를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삽입프레임(820)은 상부프레임(4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의 일부에 삽입홀(30)이 형성되어 우산(10)이 위치하는 상부와 저장공간(425)이 위치하는 하부를 연결한다.
삽입프레임(820)의 저면에는 저장공간(425)을 향해 복수의 돌출부(825)들이 삽입홀(30)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돌출부(825)들 각각은 플레이트 형태의 하부커버(850)와 결합된다.
회전판(830)은 삽입프레임(820)의 저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삽입홀(30)과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회전판(830) 및 삽입프레임(8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825)들 각각이 관통하는 가이드홀(80)들이 형성된다.
가이드홀(80)들 각각은 삽입홀(30)과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삽입홀(30)을 둘러싸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돌출부(825)들 각각은 가이드홀(80)들 각각의 일단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825)들 각각이 가이드홀(80)들 각각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판(830)이 정회전하면 가이드홀(80)들 각각의 타측이 돌출부(825)들 각각을 향해 이동하고, 가이드홀(80)들 각각의 타측이 상기 돌출부(825)들 각각과 밀착되면 회전판(830)의 정회전이 차단된다.
따라서, 회전판(830)은 상기 가이드홀(80)들을 통해 돌출부(825)들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프레임(820)과 결합된다.
파지돌기(840)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홀(80)들 각각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회전판(830)의 가장자리와 결합되고, 돌출부(825)들 각각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삽입홀(30)을 향해 연장되어 삽입홀(30)의 일부를 차단한다.
파지돌기(840)들 각각의 일측은 타측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돌기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825)들 각각이 가이드홀(80)의 일단을 관통하여 회전판(830) 및 파지돌기(840)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판(830)이 정회전하면, 파지돌기(840)들 각각의 일단은 회전판(830)과 함께 정회전하고, 파지돌기(840)들 각각의 타단은 삽입홀(30)을 벗어나 회전판(830)의 저면으로 이동하여 저장공간(425)과 외부공간을 연결한다.
반대로, 회전판(830)이 역회전을 하면, 파지돌기(840)들 각각의 일단은 회전판(830)과 함께 역회전하고, 파지돌기(840)들 각각의 타단은 삽입홀(30)을 향해 이동하여 삽입홀(30)을 차단한다.
하부커버(850)는 파지돌기(840)들 각각이 돌출부(825)들 각각과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825)들 각각의 끝단과 결합되어 회전판(830) 및 파지돌기(840)들을 삽입프레임(820)과 결합시킨다.
버튼(860)은 일단이 회전판(830)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부분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판(830)의 가장자리가 정회전하며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삽입프레임(820)의 외부에 돌출된다.
따라서, 버튼(860)의 타단을 눌러서 삽입프레임(820)을 향해 이동시키면, 회전판(830)은 정회전하고, 파지돌기(840)들 각각의 타단이 회전하여 삽입홀(30)을 개방한다.
스프링(870)의 일단은 버튼(860)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삽입프레임(82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판(830) 및 삽입프레임(820)의 저면 사이에서 돌출부(825)들을 둘러싸며 반원형태로 연장되고, 버튼(86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회전판(830)과 탄성 결합된다.
스프링(87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삽입프레임(820) 및 회전판(830)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판(830)이 정회전하면 스프링(870)의 타단이 스프링(870)의 일단을 향해 이동하고, 스프링(870)의 타단이 스프링(870)의 일단과 이격되려는 탄성력이 작용하여, 회전판(830)의 정회전에 저항한다.
따라서, 버튼(860)을 눌러 삽입프레임(820)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프링(870)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필요하고, 버튼(860)을 누른 상태에서 삽입홀(30)은 개방되어 우산(10)의 꼭지(11)를 저장공간(425)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꼭지(11)가 삽입홀(30)에 삽입되고, 해당 사용자가 버튼(860)을 누르는 힘을 회수하면, 파지돌기(840)들 각각의 타단 경사면의 돌기들이 꼭지(11)를 압박하여, 우산(10)이 휴대용 우산꽂이(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파지돌기(840)들을 통해 우산(10)은 휴대용 우산꽂이(120)와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저장공간(825)에 물이 저장되어 휴대용 우산꽂이(120)의 중량이 증가한 상황에서도 우산(10)을 통해 휴대용 우산꽂이(120)를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으며, 버튼(860)을 통해 휴대용 우산꽂이(120)를 우산(10)과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꽂이(140)는 픽싱유닛(610) 및 삽입프레임(625)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휴대용 우산꽂이(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우산꽂이(140)는 픽싱유닛(610)을 포함하고, 픽싱유닛(610)은 삽입프레임(625)을 포함한다.
우산(20)은 우산지붕(24)에 위치한 꼭지(21)가 도 1의 우산(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돌출되고, 꼭지(21) 가장자리를 살대(22) 및 우산면(23)이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휴대용 우산꽂이(10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삽입홀(30)을 필요로한다.
휴대용 우산꽂이(140)는 상대적으로 넓은 삽입홀(30)을 형성하기 위해 삽입프레임(625)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물역류방지판(640)과 상부프레임(420) 사이의 거리가 휴대용 우산꽂이(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파지돌기(660)들은 물역류방지판(640)의 내측면에서 상부프레임(420)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우산(20)의 꼭지(21) 및 우산지붕(24) 일부분이 삽입홀(30)에 삽입되면 우산(20)은 휴대용 우산꽂이(140)에 고정된다.
이 경우 우산(20)의 지지대(25)를 상부를 향해 연장한 상태에서 핸들(25)을 잡고 우산(20)의 일부분을 삽입홀(30)에 삽입하는 동작을 통해 편리하게 우산(20)을 휴대용 우산꽂이(140)에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우산꽂이(140)는 삽입프레임(625)의 구조변경을 통해 삽입홀(30)을 확장시켜 우산지붕(24)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우산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휴대용 우산꽂이 200: 베이스
400: 홀더 600, 800: 픽싱유닛

Claims (8)

  1. 저면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흡착유닛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산의 일부가 상부에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삽입홀에 인접한 가장자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물역류방지판 및 상기 물역류방지판의 내측면에 탄성 돌출되어 상기 우산의 일부를 압박하는 파지돌기들이 형성되는 제1 픽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유닛이 평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상기 우산이 삽입되면 상기 홀더는 상기 중공을 밀봉하여 상기 흡착유닛이 상기 평면에 흡착되고, 상기 우산을 상기 평면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홀더가 상승하며 상기 중공을 외부로 개방시켜 상기 흡착유닛을 상기 평면과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꽂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면에서 내부 중앙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토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꽂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닛은,
    상부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게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부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확장되는 흡착판; 및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상기 흡착판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꽂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외측면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면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캡은 상기 중공을 밀봉 또는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꽂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끝단에 상기 스토퍼와 걸려져 지지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꽂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저장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꽂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부에서 버튼의 조작을 통해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우산을 향해 파지돌기들이 탄성 이동하여 상기 우산을 압박하거나 상기 우산과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픽싱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꽂이.
KR1020170121327A 2017-09-20 2017-09-20 휴대용 우산꽂이 KR10184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27A KR101845536B1 (ko) 2017-09-20 2017-09-20 휴대용 우산꽂이
DE102018202485.5A DE102018202485A1 (de) 2017-09-20 2018-02-19 Tragbarer Schirmstä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27A KR101845536B1 (ko) 2017-09-20 2017-09-20 휴대용 우산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536B1 true KR101845536B1 (ko) 2018-04-04

Family

ID=6197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27A KR101845536B1 (ko) 2017-09-20 2017-09-20 휴대용 우산꽂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5536B1 (ko)
DE (1) DE1020182024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810A (ko) * 2018-06-14 2019-12-26 김인해 우산빗물받이
KR102583991B1 (ko) * 2022-06-16 2023-09-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우산스탠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5769A (ja) * 2007-05-31 2008-12-11 Makoto Hirakata 石突き固定具およびその石突き固定具を使用した石突きを有した用具
KR101002625B1 (ko) * 2010-05-12 2010-12-21 김용세 우산용 빗물받이 캡
KR101428652B1 (ko) * 2013-08-27 2014-08-13 유승재 휴대용 우산 보관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5769A (ja) * 2007-05-31 2008-12-11 Makoto Hirakata 石突き固定具およびその石突き固定具を使用した石突きを有した用具
KR101002625B1 (ko) * 2010-05-12 2010-12-21 김용세 우산용 빗물받이 캡
KR101428652B1 (ko) * 2013-08-27 2014-08-13 유승재 휴대용 우산 보관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810A (ko) * 2018-06-14 2019-12-26 김인해 우산빗물받이
KR102066606B1 (ko) 2018-06-14 2020-01-16 김인해 우산빗물받이
KR102583991B1 (ko) * 2022-06-16 2023-09-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우산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02485A1 (de)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570B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US7513481B2 (en) One way valve
US6604634B2 (en) Receiving bag with enhanced airtight effect
KR101571456B1 (ko) 액상 립스틱 용기
KR101845536B1 (ko) 휴대용 우산꽂이
JP2007502755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装置
JP5700475B2 (ja) 傘装置
KR200463638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150366B1 (ko)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20140299004A1 (en) Container cover device
KR20150003844U (ko) 용기
KR20210110603A (ko) 회전식 시퍼 및 가요성 핸들을 갖는 용기 뚜껑
KR100886414B1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US11267620B1 (en) Press type sealable container
CN110691537A (zh) 口红容器
KR101676949B1 (ko) 식품 저장용기
KR100613226B1 (ko) 소다수용기의 마개
KR20170065938A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KR101570132B1 (ko) 화장퍼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KR101763405B1 (ko)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
JP2007161337A (ja) 圧縮袋の排気バルブ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CN107654806B (zh) 一种基于单向阀门的支撑装置
KR20120012043A (ko) 액체용기용 캡
US20190270549A1 (en) Container Having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