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606B1 - 우산빗물받이 - Google Patents

우산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606B1
KR102066606B1 KR1020180067990A KR20180067990A KR102066606B1 KR 102066606 B1 KR102066606 B1 KR 102066606B1 KR 1020180067990 A KR1020180067990 A KR 1020180067990A KR 20180067990 A KR20180067990 A KR 20180067990A KR 102066606 B1 KR102066606 B1 KR 10206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ousing
rain
inlet
rain g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810A (ko
Inventor
김인해
Original Assignee
김인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해 filed Critical 김인해
Priority to KR102018006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60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분리 결합 가능하고 우산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빗물받이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있는 제1 우산 투입구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산 투입구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는 제1 방사 돌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있는 제2 우산 투입구의 테투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우산 투입구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는 제2 방사 돌기부를 포함하는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빗물받이 {RAIN RECEVING DEVICE FOR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용이하게 고정하고 낙하되는 빗물을 수용하여 우천시 젖은 우산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우천 시 우산을 사용하고 난 후 실내, 지하철 및 건물 내의 오염과 빗물 고임을 방지하기 위해 우산 보관 및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나 학생들의 등하교 시 버스, 택시 및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에 차량 내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산빗물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우산빗물 관리를 위해 1회용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왔다. 그런나, 최근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1회용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대체할 수 있는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다.
1회용 비닐봉지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크게 우산빗물 제거기나 우산빗물받이가 있다. 우산빗물 제거기의 경우 지하철이나 건물 내 진입 시에만 사용할 수 있고 완전하게 빗물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우산빗물받이의 경우, 우산빗물 제거기에 비해 저렴한 비용과 휴대가 용이한 장점으로 다양한 방법의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우산빗물받이는 공정 및 사용법이 복잡하거나, 빗물받이의 빗물 고임을 쉽게 확인할 수 없거나, 우산빗물받이 내부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우산빗물받이의 단점을 구조적으로 개선하여 우산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빗물고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는 항균제 및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빗물로 인한 습한 환경에서 항균 및 곰팡이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우산에도 번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나 학생들의 등하교 시 버스, 택시 및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에 차량 내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01-0074131호는 우천시 실내 등에서 젖은 우산에서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산용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우천시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갈 때 우산에서 빗물이 낙하되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 선단에 나사부(31)가 형성된 우산 본체(30)와, 상기 나사부(31)에 결합되는 빗물받이 수단(40)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받이 수단(40)은 우산 본체(30)의 외측에 덮어씌우거나 벗길 수 있는 방수 커버(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용 빗물받이가 제공된다. 따라서, 우산의 꼭지에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빗물받이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할 때 별도의 비닐 봉지를 씌우지 않고 간편하게 방수 커버를 씌우면 되므로 빗물의 낙하 등에 의한 실내 바닥 등의 오염이 방지되고, 야간 보행시 빗물받이 수단의 상단에 형성된 발광부에 의해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며, 외관이 미려하여 구매 의욕이 상승되고, 기존의 우산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844544호는 게시된 내용은 비내리는 날에 우산을 수용시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한 물받이가 구비된 휴대용 우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받이가 구비된 휴대용 우산 홀더는 투입되는 우산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빗물이 집수되는 물받이가 구비되는 휴대용 우산 홀더에 적용되고, 상기 우산을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홀더; 상기 상부 홀더에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려 집수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와 상부 홀더를 이음연결하고, 상기 우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우산 홀더의 크기를 가변조정할 수 있도록 신축조정되는 쟈바라 형태의 중간 홀더; 상기 우산의 꼭지를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홀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우산 홀더를 눕히거나 거꾸로 들 경우 상기 하부 홀더에 집수된 물이 상기 상부 홀더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구비된 휴대용 우산 홀더를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01-0074131호 (2001.08.04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 10-1844544호 (2018.03.27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우천시 차량 및 건물 내의 오염 및 물고임을 방지할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1회용 비닐봉지를 대체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방사 돌기부를 포함하여 우산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명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물받이부를 포함하여 빗물고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우천시 젖은 우산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항균제 및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빗물로 인한 습한 환경에서 항균 및 곰팡이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이한 공정과 편리한 사용법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빗물 누수 방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우산빗물받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분리 결합 가능하고 우산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빗물받이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있는 제1 우산 투입구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산 투입구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는 제1 방사 돌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있는 제2 우산 투입구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우산 투입구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는 제2 방사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중앙을 향해 굴곡지게 파지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사 돌기부 각각은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 각각은 상기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다가 바깥을 향하여 꺾여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플렉서블한 폴리염화비닐(PVC)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의 벽면을 둘러싸는 수분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흡수부재는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빗물받이부는 상기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투명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는 우천시 차량 및 건물 내의 오염 및 물고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는 1회용 비닐봉지를 대체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는 복수의 방사 돌기부를 포함하여 우산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는 투명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물받이부를 포함하여 빗물고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는 우천시 젖은 우산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는 항균제 및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빗물로 인한 습한 환경에서 항균 및 곰팡이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는 용이한 공정과 편리한 사용법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빗물 누수 방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100)의 전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100)의 상단 및 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100) 상단 및 하단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면과 달리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 구조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받이(100)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산빗물받이(100)는 하우징(110)과 빗물받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에 폴리프로필렌(PP)를 혼합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ABS 수지는 폴리스티렌(PS)의 뛰어나 투과성, 가공성,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강도, 내열, 내후성 등을 개선한 열가소성 수지이다. ABS 수지는 어떤 색으로도 착색할 수 있고 광택이 있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BS 수지는 수지의 조성 및 다른 수지와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어 용도에 따라 적합한 특성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P)는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우수한 성형 가공성 및 내약품성을 갖고 있으며,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열적 성질이 우수하며 경제적으로 장점을 지니고 있어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ABS 수지와 폴리프로필렌(PP) 모두는 환경호르몬이 없는 인해 및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플라스틱으로써 ABS와 폴리프로필렌(PP)로 제조된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우산빗물받이(100)는 친환경 제품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19 ~ 31 중량부의 Acrylonitrile, 32 ~ 41 중량부의 Butadiene 및 63 ~ 72 중량부의 Styrene으로 구성된 ABS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폴리스티렌(PS) 수지, ABS 수지, SBS 블럭수지, EVA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중의 어느 하나의 수지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는 ABS 수지에 항균제 및 곰팡이 방지제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10)은 항균제 및 곰팡이 방지제로 코팅되어 제조될 수 있다. 우산빗물받이는 빗물로 인하여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므로 이를 위한 해결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100)는 항균제 및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하우징(110)을 포함하여 항균 및 곰팡이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우산에도 번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다양한 우산 크기에 따라 외경 및 길이를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재질의 자바라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우산 크기에 따라 외경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바라는 플렉서블한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바라는 우산에 따라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용이하게 우산을 보관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중앙을 향해 굴곡지게 파지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중앙을 향해 굴곡진 형상으로 손으로 잡기 용이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의 그림, 문자 및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의 벽면을 둘러싸는 수분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수분흡수부재를 포함하여 빗물을 흡수할 수 있고, 빗물 고임을 덜어줄 수 있으며, 빗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분흡수부재는 고흡수성 폴리머(SAP, Super Absorbent 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흡수부재는 물흡수 스폰지 및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SAP)는 자체 무게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주로 유아용 기저귀 등의 위생재 용도로 사용되며, 보냉 및 보온용 팩 용 등으로 적용 분야를 확대하고 있는 고분자 물질이다.
우산빗물받이(100)는 우산의 빗물이 낙하되어 빗물받이부(120)에 저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우징(110) 내 수분흡수부재를 통해 낙하되지 않는 부분의 빗물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100)는 효과적으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빗물받이부(120)는 하우징(110)과 동일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빗물받이부(120)는 하우징(110)의 하단에서 분리 결합 가능하고 우산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10) 하단의 빗물받이부(120)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는 누수방지 고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무링은 하우징(110)과 빗물받이부(120) 사이의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고, 빗물받이부(120)에 저장된 빗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빗물받이부(120)는 사용자가 개폐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을 포함하여 하우징(110)의 하단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빗물받이부(120)는 빗물받이부(120)를 잡고 돌려서 여는 방법, 빗물받이부(120)를 눌러서 여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빗물받이부(120)는 하우징(110)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빗물받이부(120)는 여닫이 마개를 포함하여 마개를 열고 빗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여닫이 마개는 밀어서 개폐하는 방법, 회전하여 개폐하는 방법, 원터치로 개폐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의 여닫이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빗물받이부(120)는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투명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인디케이터는 빗물받이부(120)의 빗물 고임을 눈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빗물을 버릴 수 있다. 투명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빗물받이부(120)는 빗물이 넘치거나 빗물 고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빗물받이부(120)는 외부에 뚜껑 또는 마개(도면 미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또는 마개는 젖은 우산으로 인해 빗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상부에 덮을 수 있다.
우산빗물받이(100)는 하우징(110) 외부 면에 다양한 형상의 걸이용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용 고리는 우산빗물받이(100)를 우산이나 자동차 및 실내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100)의 상단 및 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 상단의 제1 우산 투입구(130)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1 우산 투입구(130)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는 제1 방사 돌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 하단에 있는 제2 우산 투입구(140)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2 우산 투입구(140)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는 제2 방사 돌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산 투입구 및 제2 우산 투입구(130, 140)는 우산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할 수 있다. 제1 우산 투입구 및 제2 우산 투입구(130, 140)는 삽입된 우산을 빼내고자 할 시 제1 우산 투입구 및 제2 우산 투입구(130, 140)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사 돌기부(150, 160) 각각은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부재들은 각 하부면에 수분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된 수분흡수부재를 통해 빗물이 역류되어 제1 우산 투입구(130)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분흡수부재는 빗물받이부(120)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빗물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빗물받이부(120)의 수분흡수부재는 탈착 가능하여 흡수된 빗물을 짜낸 후 다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우산빗물받이(100) 외주면에 존재하는 빗물을 닦아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100)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고 쾌적하게 우산을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우산빗물받이(100)는 출퇴근 또는 등하교 시 가방에 넣어 보관할 수 있는 간편한 우산빗물받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사 돌기부(150, 160) 각각은 우산의 상단과 하단을 함께 고정하여 우산이 하우징(110)으로부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 빗물을 낙하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사 돌기부(150, 160)는 복수의 돌기 부재들을 포함하여 우산이 하우징(110)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 각각은 도면과 달리 상기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다가 바깥을 향하여 꺾여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 각각은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다가 바깥을 향하여 꺾여 형성됨으로써 우산을 빼낼 시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에 의해 우산이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플렉서블한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우산을 투입 및 분리 시 내경이 달라지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용이하게 우산을 넣었다 빼낼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PVC)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종류로 단단하거나 유연하고 잘 마모되지 않는다. 폴리염화비닐(PVC)은 일반적으로 비닐이라는 명칭으로 오래 전부터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으로 부드러운 것에서부터 단단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플렉서블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폴리우레탄은 신축성이 좋은 플라스틱으로 고무의 대체물질로 사용되어 탄성체 및 페인트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연질에서 경질까지 넓은 선택범위로 제조될 수 있어 다양한 제품설계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100) 상단 및 하단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하우징(110)의 상단은 제1 우산 투입구(130)와 제1 방사 돌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산 투입구(130)는 우산을 우산빗물받이(100)에 투입할 시 첫번째로 삽입되는 입구이다. 제1 방사 돌기부(150)는 제1 우산 투입구(130)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1 우산 투입구(130)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어 포함될 수 있다. 제1 방사 돌기부(150)는 방사형으로 제조되어 하우징(110) 내 우산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방사 돌기부(150)는 십자형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단은 제2 우산 투입구(140)와 제2 방사 돌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우산 투입구(140)는 우산을 우산빗물받이(100)에 투입할 시 두번째로 삽입되는 입구이다. 제2 방사 돌기부(160)는 제2 우산 투입구(140)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2 우산 투입구(140)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어 포함될 수 있다. 제2 방사 돌기부(160)는 제1 방사 돌기부(150)와 함께 방사형으로 제조되어 하우징(110) 내 우산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방사 돌기부(160)는 십자형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1 방사 돌기부(150)와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사 돌기부(150, 160) 각각은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 부재들은 외주면에 브러싱 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산이 투입될 시 복수의 돌기 부재들에 부착된 브러싱 모를 통해 빗물이 빗겨 내려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 각각은 상기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다가 바깥을 향하여 꺾여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 각각은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다가 바깥을 향하여 꺾여 형성됨으로써 우산을 빼낼 시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에 의해 우산이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산빗물받이(100)는 복수의 방사 돌기부들(150, 160)을 포함하여 우산을 하우징(11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빗물받이부(120)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다. 투명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빗물받이부(120)는 빗물의 고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즉시 빗물을 버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이한 공정과 편리한 사용법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산빗물받이(100)는 1회용 비닐봉지 사용을 제한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우산빗물받이 110: 하우징
120: 빗물받이부 130: 제1 우산 투입구
140: 제2 우산 투입구 150: 제1 방사 돌기부
160: 제2 방사 돌기부

Claims (8)

  1. 중앙을 향해 굴곡지게 파지홈을 형성하고, 내부의 벽면을 둘러싸는 수분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분리 결합 가능하고 우산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투명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빗물받이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있는 제1 우산 투입구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산 투입구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는 제1 방사 돌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있는 제2 우산 투입구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우산 투입구의 투입 방향을 향하여 방사되는 제2 방사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사 돌기부 각각은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기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 각각은 상기 해당 우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다가 바깥을 향하여 꺾여서 형성되고, 플렉서블한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필름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에 브러싱 모를 더 포함하여 우산이 투입될 시 부착된 상기 브러싱 모를 통해 빗물이 빗겨 내려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고,
    상기 수분흡수부재는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에 폴리프로필렌(PP)를 혼합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ABS 수지에 항균제 및 곰팡이 방지제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며, 플라스틱 재질의 자바라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우산 크기에 따라 외경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빗물받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67990A 2018-06-14 2018-06-14 우산빗물받이 KR10206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90A KR102066606B1 (ko) 2018-06-14 2018-06-14 우산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90A KR102066606B1 (ko) 2018-06-14 2018-06-14 우산빗물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810A KR20190141810A (ko) 2019-12-26
KR102066606B1 true KR102066606B1 (ko) 2020-01-16

Family

ID=6910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90A KR102066606B1 (ko) 2018-06-14 2018-06-14 우산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6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95B1 (ko) * 2009-04-10 2010-01-22 김문진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KR101002625B1 (ko) 2010-05-12 2010-12-21 김용세 우산용 빗물받이 캡
KR101845536B1 (ko) 2017-09-20 2018-04-04 아이피랩 주식회사 휴대용 우산꽂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4405A (ja) * 1986-01-10 1987-07-21 李 錦▲つあん▼ 傘における水溜め
JPH0333518U (ko) * 1989-08-12 1991-04-02
JPH05176808A (ja) * 1991-11-02 1993-07-20 Kimito Horie 雨滴落下防止装置付傘
KR20010074131A (ko) 2001-03-30 2001-08-04 이승일 우산용 빗물받이
KR101844544B1 (ko) 2016-11-29 2018-04-02 김형진 물받이가 구비된 휴대용 우산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95B1 (ko) * 2009-04-10 2010-01-22 김문진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KR101002625B1 (ko) 2010-05-12 2010-12-21 김용세 우산용 빗물받이 캡
KR101845536B1 (ko) 2017-09-20 2018-04-04 아이피랩 주식회사 휴대용 우산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810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168B2 (en) Two-piece, easy access container
US6073788A (en) Tactile baby bottle
US8061305B2 (en) Leash handle with an integrated compartment
KR102066606B1 (ko) 우산빗물받이
DE60223175D1 (de) Waschbürste mit eingebautem flüssigkeitsreservoir
KR200483846Y1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CN105212501A (zh) 具有柄的指/趾甲贴
GB2238719A (en) Towel or cloth container
KR200464196Y1 (ko) 우산용 빗물캡
KR200266363Y1 (ko) 빗물받이용 우산커버 장치
KR101854745B1 (ko) 휴대용 비닐롤 수납장치
AU2005315460A1 (en) Portable faeces container
US20110085844A1 (en) Hand-held soap dispenser and washing device with flexible head
KR102028951B1 (ko)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KR200333365Y1 (ko) 자동차용 우산보관함
CN219396516U (zh) 一种可拆卸内胆的化妆包
CN210557022U (zh) 一种平口式垃圾袋
KR101116626B1 (ko) 자동차용 레인커버
JPH1057129A (ja) 傘カバー
KR200416562Y1 (ko) 치약뚜껑
KR200304792Y1 (ko) 방수케이스 일체형 우산
JPH037307Y2 (ko)
JP2004360270A (ja) 水漏れ部からの集水治具
US20200165830A1 (en) Patching compound dispenser-applicator
JP2007289608A (ja) 雨水を受け止める入れ物付き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