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295B1 -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 Google Patents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295B1
KR100938295B1 KR1020090031404A KR20090031404A KR100938295B1 KR 100938295 B1 KR100938295 B1 KR 100938295B1 KR 1020090031404 A KR1020090031404 A KR 1020090031404A KR 20090031404 A KR20090031404 A KR 20090031404A KR 100938295 B1 KR100938295 B1 KR 10093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ap
rain
rainwat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진
Original Assignee
김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진 filed Critical 김문진
Priority to KR102009003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의 꼭지에 간단히 결합하여 우산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하고,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산꼭지부분에 결합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받이용 캡에 있어서, 상기 우산꼭지(1)가 일측 개구부를 통해 인입되고, 인입된 우산꼭지(1)를 고정하도록 상측 내주연에 탄성고정체(15)가 형성된 중공형 제1몸체(10)와; 상기 제1몸체(10)의 타측 개구부에 일측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10)의 내부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산꼭지(1)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우산꼭지(1)에 대향되는 하측 외주면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통공(21)이 형성된 제2몸체(20)와; 상기 제1몸체(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물받이통(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몸체, 제2몸체, 물받이통, 수위측정띠, 탄성고정체

Description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THE CAP FOR RECEIVING THE RAINWATER WHICH IS COMBINED IN TOP CAP OF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의 꼭지에 간단히 결합하여 우산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하고,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금속제 살이나 대오리 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를 발라 비가 올때 손에 펴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물건의 통칭으로서, 헝겊으로 만든 것을 헝겊 우산, 유지로 만든 것을 지우산이라 하며, 국내에서는 전통적으로 대오리나 갈대로 촘촘하게 엮어 머리에 쓰는 널찍하고 움푹한 삿갓을 비가 올 때 외출용으로 이용하여 왔다.
특히 헝겊 우산은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초기에는 쇠살에 비단을 두르고 한가운데에 금속이나 대나무 등의 자루를 박아서 사용했으며, 그 후 목면천을 방수 처리한 방수포를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에 방수 처리한 여 러가지 빚깔의 천이 사용되고 있다.
또, 우산살도 무겁고 녹이 쉽게 스는 불편한 쇠살에서 벗어나 스테인리스스틸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구조도 개폐가 간편한 자동식 우산 및 자루를 2단이나 3단으로 접어 길이를 짧게 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비가 오는 날 바깥출입을 할 때에는 우산을 사용하게 되면 은행, 백화점 등 각종 건물에 출입하거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는 우산을 접게 되는데 가장 문제점은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에 고여있거나 묻어있다가 떨어지는 빗물이 건물 바닥에 흘러내리면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은행이나 백화점 등에서는 여전히 우산을 담을 수 있는 비닐포장지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닐포장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쓰레기 발생량을 늘리게 되고, 아울러 쓰레기처리에 대한 어려움 및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 환경오염의 큰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비닐봉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쓰레기 발생량을 늘리게 되고, 아울러 쓰레기처리에 대한 어려움 및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 환경오염의 큰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산의 꼭지에 간단히 결합된 상태로 우산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으며, 물받이통을 투명재질로 제조하고 내주연에 수위측정띠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의 채워짐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우산꼭지부분에 결합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받이용 캡에 있어서, 상기 우산꼭지(1)가 일측 개구부를 통해 인입되고, 인입된 우산꼭지(1)를 고정하도록 상측 내주연에 탄성고정체(15)가 형성된 중공형 제1몸체(10)와; 상기 제1몸체(10)의 타측 개구부에 일측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10)의 내부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산꼭지(1)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우산꼭지(1)에 대향되는 하측 외주면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통공(21)이 형성된 제2몸체(20)와; 상기 제1몸체(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물받이통(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산의 꼭지에 간단히 결합되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고, 내주연에 수위측정띠가 형성된 투명재질의 물받이통으로 인해 빗물의 채워짐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함은 물론 물받이통에 채워지는 빗물을 적절한 시기에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용 캡이 우산꼭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받이용 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은 우산꼭지부분에 결합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받이용 캡에 있어서, 상기 우산꼭지가 인입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2몸체와, 물받이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0)는 중공형으로 우산꼭지(1)가 일측 개구부를 통해 인입되고, 인입된 상기 우산꼭지(1)를 고정하도록 상측 내주연에 다수개의 탄성고정체(15)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꼭지(1)가 상기 제1몸체(10)의 일 측 개구부를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제1몸체(10)의 상측 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탄성고정체(15)가 상기 우산꼭지(1)의 외주연을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10)의 하측 외주연에는 후술되는 물받이통(30)의 결합을 위해 끼움돌기(17)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0)는 상기 제1몸체(10)의 타측 개구부에 일측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10)의 내부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산꼭지(1)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우산꼭지(1)에 대향되는 하측 외주면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통공(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몸체(20)는 일측단이 상기 제1몸체(10)의 타측 개구부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몸체(10)의 내부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우산꼭지(1)의 일부분을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20)의 상측 내부에는 후술되는 물받이통(30)에 채워진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체(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산꼭지(1)이 끝부분이 상기 탄성체(25)의 상측면에 간섭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21)이 형성된 부위에 상기 제2몸체(20)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23)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25)는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몸체(20)의 하측 외주면에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21)은 우산에서 상기 제1몸체(10)의 내측으로 흘러들어온 빗물이 후술되는 물받이통(30)으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받이통(30)은 일측이 개구된 통체로 상기 제1몸체(10)의 하측 에 결합되어 빗물을 집수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30)의 상측 내주연에는 상기 제1몸체(10)의 하측 외주연에 형성된 끼움돌기(17)가 끼워지도록 끼움홈(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통(30)은 상기 제1몸체(10)의 하측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30)은 내부에 빗물이 채워질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물받이통(30)의 내주연에는 수위측정띠(3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위측정띠(35)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색상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우산을 접어 실내로 들어갈 경우 사용자는 우산꼭지(1)를 제1몸체(10)의 내측으로 인입시켜 우산꼭지(1)의 일정부분이 상기 제1몸체(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몸체(20)의 내측에 삽입되게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몸체(10)의 내주연에 형성된 탄성고정체(15)가 상기 우산꼭지(1)의 외주연을 압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우산꼭지(1)의 끝부분이 상기 제2몸체(20)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탄성체(25)에 걸림되어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 후, 우산의 표면에 묻어 있던 빗물은 상기 제1몸체(10)의 내측으로 흘러들어 가게 되고, 흘러들어간 빗물은 상기 제1몸체(1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몸체(20)의 하측 외주면에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21)을 통해 상기 제2몸체(20)의 내측을 거쳐 상기 제1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된 물받이통(30)으로 집수된다.
그 후, 상기 물받이통(30)의 내측에 빗물이 채워져 수위측정띠(35)의 위치까지 채워지면 상기 물받이통(30)을 상기 제1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빗물을 버리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산의 꼭지에 간단히 결합된 상태로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고, 물받이통에 형성된 빗물은 편리하게 배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받이통이 투명재질로 되어 있고, 물받이통의 내주연에 수위측정띠가 형성되어 있어 빗물의 채워짐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고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용 캡이 우산꼭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받이용 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우산꼭지 10: 제1몸체
15: 탄성고정체 17: 끼움돌기
20: 제2몸체 21: 통공
23: 돌출턱 25: 탄성체
30: 물받이통 35: 수위측정띠
37: 끼움홈

Claims (3)

  1. 우산꼭지부분에 결합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받이용 캡에 있어서,
    상기 우산꼭지(1)가 일측 개구부를 통해 인입되고, 인입된 우산꼭지(1)를 고정하도록 상측 내주연에 탄성고정체(15)가 형성된 중공형 제1몸체(10)와;
    상기 제1몸체(10)의 타측 개구부에 일측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10)의 내부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산꼭지(1)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우산꼭지(1)에 대향되는 하측 외주면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통공(21)이 형성된 제2몸체(20)와;
    상기 제1몸체(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물받이통(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20)의 상측 내부에는 외부로 빗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체(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30)은 내부에 채워지는 빗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조되고, 내주연에는 수위측정띠(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꼭 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KR1020090031404A 2009-04-10 2009-04-10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KR10093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404A KR100938295B1 (ko) 2009-04-10 2009-04-10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404A KR100938295B1 (ko) 2009-04-10 2009-04-10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295B1 true KR100938295B1 (ko) 2010-01-22

Family

ID=4181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404A KR100938295B1 (ko) 2009-04-10 2009-04-10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2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96Y1 (ko) 2011-04-20 2012-12-18 김용세 우산용 빗물캡
KR101614219B1 (ko) * 2014-11-20 2016-04-21 이명구 빗물 흘림 방지 캡 및 이를 가지는 우산
KR102029866B1 (ko) * 2018-07-24 2019-11-29 박경범 우산 장착용 빗물받이
KR20190141810A (ko) * 2018-06-14 2019-12-26 김인해 우산빗물받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01Y1 (ko) * 1982-04-21 1983-09-27 조봉성 우산용 빗물받이통
KR0117468Y1 (ko) * 1996-04-01 1998-05-15 주유보 우산의 빗물 받이 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01Y1 (ko) * 1982-04-21 1983-09-27 조봉성 우산용 빗물받이통
KR0117468Y1 (ko) * 1996-04-01 1998-05-15 주유보 우산의 빗물 받이 캡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96Y1 (ko) 2011-04-20 2012-12-18 김용세 우산용 빗물캡
KR101614219B1 (ko) * 2014-11-20 2016-04-21 이명구 빗물 흘림 방지 캡 및 이를 가지는 우산
KR20190141810A (ko) * 2018-06-14 2019-12-26 김인해 우산빗물받이
KR102066606B1 (ko) * 2018-06-14 2020-01-16 김인해 우산빗물받이
KR102029866B1 (ko) * 2018-07-24 2019-11-29 박경범 우산 장착용 빗물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295B1 (ko) 우산꼭지에 장착되는 빗물받이용 캡
KR101428652B1 (ko) 휴대용 우산 보관함
KR100647075B1 (ko)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KR101138305B1 (ko)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커버를 갖춘 안전 우산
CN205913029U (zh) 一种具直饮净水功能的折叠登山杖
CN201640774U (zh) 一种雨伞防滴水装置
EP2736371B1 (en) Containing structure for umbrella
KR200449655Y1 (ko) 보조손잡이캡이 부설된 밀폐형 접이식 우산
CN208243074U (zh) 一种防水雨伞
CN209436443U (zh) 具有收纳功能的雨伞
CN207492249U (zh) 一种自带可拆卸伞套的雨伞
JP3122967U (ja) 雨傘カバー及び雨傘カバー付き雨傘
KR200493795Y1 (ko) 엉킴방지와 수밀 기능을 갖는 우산
CN202698034U (zh) 伞套雨伞
CN201640747U (zh) 一种带有伞套的折叠伞
KR102111646B1 (ko) 자바라형 커버가 장착된 빗물받이 캡 장치
CN207519757U (zh) 一种防止收伞后滴水的雨伞
KR20140016027A (ko) 빗물 흐름 방지 우산
CN201718640U (zh) 一种折叠雨伞
KR200239197Y1 (ko) 우산커버가 일체화 된 우산
CN208855533U (zh) 一种车内雨伞放置桶
JP3142371U (ja) 折り畳み傘の傘ケース
KR200311890Y1 (ko) 빗물받이용 우산캡
CN209573524U (zh) 一种胶囊折叠伞
CN104305665A (zh) 一种用于雨伞的防滴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