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027A - 빗물 흐름 방지 우산 - Google Patents

빗물 흐름 방지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027A
KR20140016027A KR1020120083001A KR20120083001A KR20140016027A KR 20140016027 A KR20140016027 A KR 20140016027A KR 1020120083001 A KR1020120083001 A KR 1020120083001A KR 20120083001 A KR20120083001 A KR 20120083001A KR 20140016027 A KR20140016027 A KR 2014001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ver
rainwater
rod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예슬
Original Assignee
박예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슬 filed Critical 박예슬
Priority to KR102012008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6027A/ko
Publication of KR2014001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45B2025/186Umbrellas with two or more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용 비닐 사용 대신 친환경적인 빗물 흐름 방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편적으로 공공장소에서 사용되는 우산용 비닐의 특성상 쉽게 찢어져 고여 있던 빗물이 새는 것과 일회용 비닐의 낭비라는 두 가지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비닐과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이중 커버와 빗물을 흡수하는 스펀지를 내장하여 우산 사용 후 비닐 커버를 돌려 넣음으로써 우산에 맺힌 빗방울이 봉 입구에 있는 스펀지에 의해 제거되어 실내에서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스펀지와 연결된 손잡이를 당기면 봉의 측면 하단에 위치한 배수구를 통해 스펀지에 고여 있는 빗물이 제거돼 실내에서 우산의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비닐 커버의 반대 면에는 우산 정리용 커버가 내장되어있어 비닐 커버를 사용 후 일정 방향으로 계속 돌리면 비닐 커버가 말려 들어가고 정리용 커버가 나와 똑딱이 단추를 이용해 손쉽게 우산 정리까지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기술들이 내장된 우산용 봉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분별한 우산의 일회용 비닐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덜어내며 비닐이 찢어져서 고여 있던 빗물이 새어나와 바닥이 미끄러워져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빗물 흐름 방지 우산 {A umbrella drinks water}
본 발명은 비 오는 날 일회용 우산 비닐 대신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의 우산의 빗물 흐름 방지에 관한 작품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에 이중으로 된 천과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를 내장하여 우산 사용 후 커버를 돌려 넣음으로써 우산에 맺힌 빗방울이 봉 입구에 있는 스펀지에 의해 제거되어 실내에서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스펀지에 손잡이가 부착되어있어 손잡이를 아래로 당기면 봉의 측면 하단에 위치한 배수구를 통해 젖은 스펀지에 고여 있는 빗물을 제거하여 실내에서 우산의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우산은 비 오는 날 신체 또는 신체와 함께 소지품이 비에 젖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며 비닐우산, 방수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우산이 보편적이며 우산 손잡이와 이에 결합 되는 우산의 중봉, 우산의 중봉에 결합 되는 우산 살, 우산살에 부착된 원단과 우산을 접고 펴는 데에 사용되는 런너, 손잡이 그리고 우산의 캡으로 크게 구성된다.
일반적인 우산은 방수의 기능을 가져 우산 안으로 빗물이 새어들어 오지 않고 우산의 외부에 빗물이 흘러내리며 젖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우산 사용 후 실내에 들어가기 위해 우산을 접게 되면 우산 외부에 고여 있던 빗물이 흘러내려 실내 바닥이 빗물에 의해 흥건해지거나 옷이 젖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공공장소에서는 우산을 담을 수 있는 일회용 비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회용 비닐은 비닐의 특성상 쉽게 찢어져서 고여 있던 빗물이 그대로 바닥으로 흘러내리거나, 비닐을 사용한 후 비닐의 뒤처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본 작품은 보편적으로 공공장소에서 사용되는 우산용 비닐의 특성상 쉽게 찢어져 고여 있던 빗물이 새는 것과 일회용 비닐의 낭비라는 두 가지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작품은 일회용 비닐 대신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며 더불어 우산의 정리를 할 수 있도록 구비한 이중 커버와 스펀지가 내장되어 있으며 스펀지에 고인 물을 제거하도록 배수구가 포함된 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작품은 무분별한 우산의 일회용 비닐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덜어내며 실내에서 비닐이 찢어져서 고여 있던 빗물이 새어나와 바닥이 미끄러워져 발생하는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작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우산용 커버가 내장된 봉 입구에 장착되어있는 빗물 흡수용 스펀지를 발췌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빗물 흡수용 스펀지에 고인 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봉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압축판과 판에 연결된 막대, 배수구와 물길을 발췌한 사시도
도안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펀지를 교체하기 위해 열린 봉을 발췌한 사시도
도안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우산용 이중 커버와 스펀지가 내장된 봉의 발췌단면도
도안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물 흐름 방지 커버가 내장된 봉이 부착되어 커버를 사용하기 전에 우산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안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우산용 이중 커버를 사용하여 우산을 접어 정리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우산용 커버가 내장된 봉 입구에 장착되어있는 빗물 흡수용 스펀지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빗물 흡수용 스펀지에 고인 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봉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압축판과 판에 연결된 막대, 배수구와 물길을 발췌한 사시도, 도안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펀지를 교체하기 위해 열린 봉을 발췌한 사시도, 도안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우산용 이중 커버와 스펀지가 내장된 봉의 발췌단면도, 도안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물 흐름 방지 커버가 내장된 봉이 부착되어 커버를 사용하기 전에 우산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안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우산용 이중 커버를 사용하여 우산을 접어 정리한 상태의 사시도로써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빗물 흡수용 스펀지(101)는 봉(100)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압축판(103)과 빗물 흡수용 스펀지(101)와 압축판(103)을 연결해 부착할 수 있는 찍찍이(102), 스펀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무막대(104)와 스펀지에 고인 빗물 제거 시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손잡이(105)로 구성한다. 빗물 흡수용 스펀지(101)는 봉(100)의 입구인 측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빗물 제거 시 압축판(103)에 의해 빗물 흡수용 스펀지(101)가 압축되어 빗물이 새어나오도록 봉(100)의 측면 하단의 배수구(106), 빗물 제거시 플라스틱 손잡이(105)로 물이 흐르지 않도록 빗물이 흘러내리는 방향을 옆으로 전환 시켜주는 물길(107)로 봉(100)의 측면을 구성한다.
우산용 이중 커버(108)는 한쪽 면은 비닐 재질의 커버(109), 그 반대 면은 우산 원단과 같은 재질의 커버(110)로 이중 구성한다. 우산을 사용할 때 외부에 노출되는 면은 방수처리가 되면서 스펀지(101)의 빗물 흡수의 용이함을 위해 비닐 재질의 커버(109)를 사용했다. 이때 사용한 비닐은 쉽게 찢어지지 않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재질로 한 비닐이다.
비닐 재질의 커버(109)의 반대면 즉, 우산을 정리할 때 쓰는 커버의 원단은 우산 원단(111)인 방수 처리된 폴리에스테르를 원단으로 구성한다. 이는 우산을 접고 우산을 정리했을 때 외관상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며 구겨짐이 적도록 하기 위함이다. 우산용 이중 커버(108)의 윗면과 아랫면의 길이를 다르게 해 펼쳤을 때 우산 사이즈와 맞도록 상단의 총 길이가 하단의 총 길이보다 짧게 구성한다. 우산용 이중 커버(108)가 봉(100) 속으로 손쉬운 작동으로도 말려 들어갈 수 있도록 봉(100)의 상단의 우산용 이중 커버(108)와 겹치는 곳에 자동 릴(112)을 구성한다. 우산이 접혀 있을 때와 펼쳐졌을 때의 모양이 바뀌는 것을 감안하여 유연성이 있는 고무를 이용한 봉(100)을 구성한다. 따라서 접혀있는 우산을 펴더라도 봉(100)이 자연스레 휘어 불편함이 없다. 특히 고무가 비교적 얇고 우산용 이중 커버(108)의 재질 또한 가벼운 것을 이용해 우산에 부착하더라도 우산 무게에 큰 지장을 주지 않고 본래 무게와 비슷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이 봉(100)은 박음질(113)로 우산에 부착되어 있고 봉(100) 입구의 반대편에는 고무자석(114)이 위치하고 있어 우산용 이중 커버(108)의 사용을 위해 우산용 이중 커버(108)의 하단에 위치한 고리형 손잡이(119)를 한 바퀴 돌렸을 경우 이중 커버(108) 고정을 쉽게 하도록 구성한다. 고무자석(113)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는 닳은 스펀지(101) 교체를 위해서 고무자석(122)으로 닫혀있는 봉의 뚜껑(115)으로 구성한다. 봉의 뚜껑(115) 측면에 약간 파인 홈(120)에 살짝 힘을 주어 뚜껑(115)을 열게 되면 스펀지(101)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봉(100)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막혀있도록 구성한다. 봉(100)은 지름이 크지 않으므로 우산에 부착했을 때에도 적은 면적을 요한다.
물 흐름 방지 커버(108)를 사용하더라도 우산의 상단 부분과 봉(100) 사이의 경계선에는 틈이 생겨 빗물이 새어 들어갈 수 있다. 빗물이 새어 들어가면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말아 넣은 뒤에도 기존의 우산 원단에 물기가 있기 때문에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는 본 작품의 의미가 사라지므로 틈으로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해 물받이 캡(116)을 이용한다. 물받이 캡(116)은 경사져 있어서 우산 사용 중에 고이는 빗물이 경사로를 통해 자연스레 우산의 이중 커버(108) 위로 흘러 내려오게 된다. 우산의 손잡이(117) 부분 즉 우산을 펼쳐 사용할 때의 우산 하단부분에는 똑딱이 단추(118)를 달아 우산의 정리를 용이하도록 한다.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사용하고 말려 들어갈 수 있도록 작동한 후 계속 같은 방향으로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돌리면 이와 같은 면(109)이 나오게 된다.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이용해 우산을 정리한 경우에는 기존의 우산에 부착된 우산 띠를 사용한 것과 같이 깔끔하게 정리하도록 구성한다.
100 우산용 이중 커버와 스펀지가 내장되어 있는 봉
101 빗물 흡수용 스펀지
102 빗물 흡수용 스펀지와 압축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찍찍이
103 압축판
104 고무 막대
105 플라스틱 손잡이
106 빗물이 빠져나가는 배수구
107 배수구를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의 방향을 바꿔주는 물길
108 우산용 이중 커버
109 폴리에틸렌수지 재질의 비닐 커버
110 우산 원단과 같은 재질의 커버
111 우산의 원단
112 자동 릴
113 박음질
114 우산용 이중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무 자석
115 스펀지 교체시 사용되는 봉의 뚜껑
116 우산용 이중 커버의 상단과 우산 원단 사이에 생기는 틈에 빗물이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받이 캡
117 우산의 손잡이
118 똑딱이 단추
119 우산용 이중 커버를 빼고 넣을 때 사용하는 고리형 손잡이
120 스펀지 교체시 봉의 뚜껑을 열기 위한 홈
121 우산의 꼭지
122 봉의 뚜껑을 고정하는 고무 자석

Claims (7)

  1. 봉(100)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압축판(103)과 빗물 흡수용 스펀지(101)를 부착하는 찍찍이(102)와 스펀지를 고정시키며 압축판 중앙에 연결된 고무막대(104)와 고무막대에 연결된 플라스틱 손잡이(105)와;

    우산용 이중 커버(108)와 겹치는 곳에 자동 릴(112)을 구비하고 우산용 이중 커버(108)와 자동 릴(112)을 연결한 우산용 이중 커버(108)의 반자동 고정 장치와;

    빗물 흡수용 스펀지(101)가 위치한 봉(100)의 측면에 위치한 배수구(106)와 배수구 하단에 물길(107)을 구비하고;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고정하는 고무자석(114)을 구비하며 같은 방향의 측면에 약간 홈(120)을 판 봉의 뚜껑(1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100)과;

    우산의 캡(121)에 고정되어 있는 물받이 캡(116)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흐름 방지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빗물 흡수용 스펀지(101)는 움직임 없이 고정하기 위해 고무막대(104)의 사이즈와 같은 크기의 홈이 파진 형태로 스펀지(101) 교체시 스펀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스펀지(101) 상단에는 고무막대(104)와 연결된 플라스틱 손잡이(105)를 잡아당길 시 내려오는 압축판(103)과 스펀지(101)가 연결되기 위해 찍찍이(10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흐름 방지 우산.
  3. 제 1 항에 있어서;

    우산용 이중 커버(108)의 한 면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재질로 한 비닐 재질 커버(109)와 다른 한 면은 우산을 정리할 때 쓰는 커버로 우산 원단(111)인 폴리에스테르를 원단으로 하며;
    우산 정리 시 쉽게 커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커버(110) 하단에 똑딱이 단추(11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흐름 방지 우산.
  4.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 릴(112)에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연결하여 우산용 이중 커버(108)의 하단에 부착된 고리형 손잡이(119)로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좌우로 손쉽게 돌릴 수 있으며;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사용한 뒤 말아 넣는 데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반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는 자동 릴(112)을 봉(100)의 상단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흐름 방지 우산.
  5. 제 1 항에 있어서;

    빗물 흡수용 스펀지(101)에 고인 빗물을 짜내기 위해 플라스틱 손잡이(105)를 당겼을 경우 빗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봉(100)의 측면 하단에 배수구(106)를 위치하며;
    배수구(106)를 통해 나온 빗물에 의해 손잡이(105)를 당기는 손이 젖지 않도록 배수구 하단에 빗물의 흐름을 옆으로 옮겨주는 물길(107)이 설치되어 손잡이(105)와 떨어진 곳에서 짜낸 빗물이 흘러 내려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흐름 방지 우산.
  6. 제 1 항에 있어서;

    우산용 이중 커버(108) 사용 시 커버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무자석(114)을 봉(100)의 입구 반대편에 구비하여 우산용 이중 커버(108)를 한 바퀴 돌린 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고무자석(114)이 위치한 방향의 봉(100) 하단에 약간의 홈(120)을 파서 봉의 뚜껑(115)을 구비해 수차례 사용 후 닳아버린 스펀지(101)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흐름 방지 우산.
  7. 제 1 항에 있어서;

    물 흐름 방지 커버(108)를 사용하더라도 우산의 상단 부분과 봉(100) 사이의 경계선에는 틈이 생겨 빗물이 새어 들어갈 수 있음을 고려해 우산의 꼭지(121) 부분에 경사져 있어 우산 사용 중 고이는 빗물이 경사로를 통해 자연스레 우산의 이중 커버(108) 위로 흘러 내려오게 되는 물받이 캡(116)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흐름 방지 우산.
KR1020120083001A 2012-07-30 2012-07-30 빗물 흐름 방지 우산 KR20140016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01A KR20140016027A (ko) 2012-07-30 2012-07-30 빗물 흐름 방지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01A KR20140016027A (ko) 2012-07-30 2012-07-30 빗물 흐름 방지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27A true KR20140016027A (ko) 2014-02-07

Family

ID=5026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001A KR20140016027A (ko) 2012-07-30 2012-07-30 빗물 흐름 방지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60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4206A1 (zh) * 2015-09-30 2017-04-06 尚平 一种伞盒
CN114180089A (zh) * 2021-12-11 2022-03-15 浙江极客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停机坪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4206A1 (zh) * 2015-09-30 2017-04-06 尚平 一种伞盒
CN114180089A (zh) * 2021-12-11 2022-03-15 浙江极客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停机坪系统
CN114180089B (zh) * 2021-12-11 2024-02-02 浙江极客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停机坪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832Y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1428652B1 (ko) 휴대용 우산 보관함
KR20140016027A (ko) 빗물 흐름 방지 우산
KR100655402B1 (ko) 빗물받이 우산집
KR102488577B1 (ko) 우산 빗물제거 장치
KR101332639B1 (ko) 우산
CN109700145A (zh) 一种可压缩的雨伞沥水套
KR200450182Y1 (ko) 빗물 처리용 우산
CN104632051A (zh) 一种带清洁刷的玻璃外框
JP2021037242A (ja) 貯水と排水機能を特徴とする石突き
KR200266363Y1 (ko) 빗물받이용 우산커버 장치
KR101440764B1 (ko) 우산
KR102151115B1 (ko)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KR20120095551A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200460575Y1 (ko) 우산용 빗물받이장치
KR102251480B1 (ko) 빗물받이 기능을 갖는 우산받침대
CN203970314U (zh) 拖布清洗吹干装置
KR102111646B1 (ko) 자바라형 커버가 장착된 빗물받이 캡 장치
JP3122967U (ja) 雨傘カバー及び雨傘カバー付き雨傘
KR20090009588U (ko) 빗물 처리용 우산
KR200286539Y1 (ko)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KR100449280B1 (ko)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KR200282829Y1 (ko) 물 받이 우산꼭지
KR200277495Y1 (ko) 그물망 내장된 세숫대야
KR102029866B1 (ko) 우산 장착용 빗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