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951B1 -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 Google Patents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951B1
KR102028951B1 KR1020180159433A KR20180159433A KR102028951B1 KR 102028951 B1 KR102028951 B1 KR 102028951B1 KR 1020180159433 A KR1020180159433 A KR 1020180159433A KR 20180159433 A KR20180159433 A KR 20180159433A KR 102028951 B1 KR102028951 B1 KR 10202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cap
cap body
ca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홍석
Original Assignee
손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홍석 filed Critical 손홍석
Priority to KR102018015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제품에 관한 구조물(기구물), 부재 또는 부품(부속물)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는 우산의 꼭지가 관통하도록 우산을 끼워 우산캐노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의 꼭지가 관통하도록 우산을 끼워 우산캐노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빗물을 집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적당한 처리시설에 버릴 수 있도록 개선하여 빗물로 인해 어질러진 실내 혹은 실외 환경을 보다 최적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Umbrella tap Cap Device for collecting rainwater}
본 발명은 우산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의 꼭지가 관통하도록 우산을 끼워 우산캐노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우산이나 양산은 우천 시 또는 일조량이 많은 한낮 시간대에 빗물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우산 또는 양산(20)은, 손잡이(11), 중봉(12), 우산살(13), 우산포(14), 우산 띠(15), 돗드(16), 캡(17), 및 팁(18)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우산(양산)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우산 또는 양산(20)이 구비하는 구성들에 대한 기능 및 역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손잡이(11)는 핸들이라고도 하며, 우산(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재질은 주로 합성수지와 아크릴, 나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중봉(12)은 흔히 우산대라고 하는 부분으로서, 단수에 따라서 우산(20)이 분류된다.
장우산은 중봉(12)이 1단으로 되어 있는 우산(20)을 말하고, 단수가 2개면 2단 우산, 단수가 3개면 3단 우산이 된다. 단수가 많을수록 우산(20)을 접었을 때의 길이가 짧아져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중봉(12)의 재료는 스틸, 나무, 알루미늄, 카본,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우산살(13)은 우산(20)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이다. 우산살(13)은 우산(20)의 형태에 따라 우산 살(13) 중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윗 살과, 윗 살을 받치고 있는 받침 살과, 받침 살과 런너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보조 받침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런너는 우산(20)을 접을 때 손에 잡히는 부분으로 중봉(12)을 따라 위 아래로 움직이며 우산(20)이 개폐되도록 한다. 우산포(14)는 우산 살(13) 위에 씌우는 천으로 방수와 발수 코팅처리를 하여 비를 막아준다. 우산 띠(15)는 우산(10)을 접어 고정시킬 때 묶어주는 끈을 의미한다. 돗드(16)는 우산 띠(15)를 고정시키는 부속이다. 캡(17)은 우산 꼭지라고 일컫는 부분으로 중봉(12)의 끝 부분을 마감한다. 팁(18)은 우산 살(13) 중 윗 살 끝에 꽂아서 우산포(14)와 살대를 이어주고 마감하는 구성이다.
이 외에도, 우산 또는 양산(20)에는 자동 우산에서 개폐를 위한 버튼과, 우산 보관 시 걸어두기 위해 손잡이(11)에 형성되는 손잡이 끈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금속제 살이나 대오리 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를 발라 비가 올때 손에 펴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물건의 통칭으로서, 헝겊으로 만든 것을 헝겊 우산, 유지로 만든 것을 지우산이라 하며, 국내에서는 전통적으로 대오리나 갈대로 촘촘하게 엮어 머리에 쓰는 널찍하고 움푹한 삿갓을 비가 올 때 외출용으로 이용하여 왔다.
특히, 헝겊 우산은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초기에는 쇠살에 비단을 두르고 한가운데에 금속이나 대나무 등의 자루를 박아서 사용했으며, 그 후 목면천을 방수 처리한 방수포를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에 방수 처리한 여러가지 빚깔의 천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우산살도 무겁고 녹이 쉽게 스는 불편한 쇠살에서 벗어나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구조도 개폐가 간편한 자동식 우산 및 자루를 2단이나 3단으로 접어 길이를 짧게 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비가 오는 날 바깥출입을 할 때에는 우산을 사용하게 되면 은행, 백화
점 등 각종 건물에 출입하거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는 우산을 접게 되는데 가장 문제점은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에 고여있거나 묻어있다가 떨어지는 빗물이 건물 바닥에 흘러내리면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은행이나 백화점 등에서는 여전히 우산을 담을 수 있는 비닐포장지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비닐포장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쓰레기 발생량을 늘리게 되고, 아울러 쓰레기처리에 대한 어려움 및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 환경오염의 큰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빗물받이용 캡은 모두 우산꼭지에 장착될 때 우산꼭지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우산꼭지가 바닥이나 벽에 닿도록 짚고 다닐 때 빗물받이용 캡에 직접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 및 파손되어 우산 외관미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빗물받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등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빗물받이용 캡은 2가지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을 작용할 뿐만 아니라 우산꼭지에 장착 또는 빗물 배출 시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특허 출원번호 : 10-2014-0162780 한국특허 출원번호 : 10-2011-0132927 한국실용 출원번호 : 20-2014-0000303 한국실용 출원번호 : 20-1999-0009557
본 발명의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는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우산꼭지가 바닥이나 벽에 닿도록 짚고 다닐 때 캡 장치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손상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 수명을 높여줄 수 있음과 동시에 우산 외관미를 높여줄 수 있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우산의 꼭지가 관통하도록 우산을 끼워 우산캐노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빗물을 집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적당한 처리시설에 버릴 수 있도록 개선하여 빗물로 인해 어질러진 실내 혹은 실외 환경을 보다 최적하게 개선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하여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제조 원가를 낮추고, 캡 장치를 우산꼭지에 장착 또는 빗물 배출 시 조작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기 위함이다.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는, 우산캐노피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는 장치로, 우산꼭지의 외주 상단에 끼워지면서 상기 우산꼭지의 첨단영역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우산꼭지의 첨단영역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할 시, 상기 체결부의 하단 외주와 연결되어 집수 탱크 안에 들어온 상기 빗물을 밀폐시켜 집수하는 캡 바디부; 및 상기 캡 바디부의 상단 개구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하향된 위치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입구가 좁아지도록 내림 경사면을 상기 캡 바디부의 내주면 둘레에 생성시켜 상기 빗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문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는 다기능에 의해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면서도 제조 원가는 낮출 수 있고, 바닥(지면)과 미접촉되므로 손상 및 파손으로 인한 수명 단축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산의 외관미를 높여줄 수 있는 제 1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우산의 꼭지가 관통하도록 우산을 끼워 우산캐노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빗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빗물을 집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적당한 처리시설에 버릴 수 있도록 개선하여 빗물로 인해 어질러진 실내 혹은 실외 환경을 보다 최적하게 개선시키는 제 2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우산꼭지가 바닥이나 벽에 닿도록 짚고 다닐 때 캡 장치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손상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 수명을 높여줄 수 있음과 어울러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하여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제조 원가를 낮추고, 캡 장치를 우산꼭지에 장착 또는 빗물 배출 시 조작의 편리성을 부여해 주는 제 3 효과를 준다.
도 1은 종래 우산(양산)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가 장착된 우산을 도시한 전체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가 장착된 우산을 도시한 전체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100)는 우산꼭지(10)의 외주에 장착되어 접힌 우산캐노피(30)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는 장치로, 체결부(120), 캡 바디부(140) 및 문턱부(180)를 포함한다.
우산꼭지 캡 장치(100)는 우산꼭지(10)의 외주 상단에 끼워지면서 우산꼭지(10)의 첨단영역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중앙에 관통홀(120a)이 형성된 체결부(120)와, 우산꼭지(10)의 첨단영역이 관통홀(120a)을 관통할 시, 체결부(120)가 내부 하측 중앙에 수용되도록 체결부(120)의 하단 외주와 연결되어 집수 탱크(140a)을 형성하는 캡 바디부(140) 및, 캡 바디부(140)의 상단 개구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하향된 위치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입구가 좁아지도록 내림 경사면을 캡 바디부(140)의 내주면 둘레에 생성시켜 빗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문턱부(180)로 구성된다.
먼저, 체결부(120)와 캡 바디부(140)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및 페놀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한 후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다.
체결부(120)는 우산꼭지(10)의 외주면과 밀착 시 틈새로 빗물이 누수되지 않게 하면서 고정력을 높여주도록 밀착 면적을 넓힐 수 있는 일정 높이를 가진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체결부(120)의 높이는 우산꼭지(10)의 높이보다 2-3배 정도 작게 형성함으로써 우산꼭지(10)가 바닥이나 벽에 닿도록 짚고 다닐 때 우산꼭지 캡 장치(100)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 바디부(140)는 우산꼭지(10)가 바닥에 닿도록 위치될 때 유(U)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단 개구는 우산을 접힌 상태일 때 우산꼭지(10) 부분측 우산캐노피(30)의 표면이 닿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바디부(140)는 하부 외측면에 대하여 체결부(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좌우 한 쌍의 손잡이부(160)를 구비한다.
이들 좌우 한 쌍의 손잡이부(160)는 우산꼭지 캡 장치(100)를 우산꼭지(10)에 장착하기 위하여 잡아 당길 때 체결부(120)의 관통홀(120a)을 확장하거나 또는 우산꼭지 캡 장치(100)가 우산꼭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잡아 당길 때 체결부(120)와 우산꼭지(10)의 밀착 틈새가 확장되어 캡 바디부(140)의 집수 탱크(14a)에 집수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60)는 좌우 한쌍이라 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복수개 이상 캡 바디부(140)에 형성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손잡이부(160) 중 어느 하나가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시프트될 시, 다수의 개방구(미도시)는 슬라이딩 또는 시프트 동작에 의해 생성된 외력에 의해 폐쇄상태에서 열림상태로 변환된다.
복수의 손잡이부(160)는 관통홀(120a)을 관통해 나온 우산꼭지(10)의 첨단영역 끝단이 지면에 닿을 시, 우산꼭지(10)의 첨단영역 끝단을 일측면에서 각각 지지해 준다.
문턱부(180)는 캡 바디부(140)는 내주면에 대하여 상단 개구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하향된 위치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입구가 좁아지도록 내림 경사면을 캡 바디부(140)의 내주면 둘레에 생성시켜 빗물의 유속을 조절한다.
이들 문턱부(180)는 우산꼭지 캡 장치(100)가 우산꼭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을 세워서 바닥 및 벽을 짚고 다니거나 눕힐 때 캡 바디부(140)의 집수 탱크(140a)에 집수된 빗물이 외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문턱부(180)의 상면에 기구비된 다수의 요철 부재는 빗물과 맞닿을 시 생성되는 마찰을 줄여 빗물에 의해 마모되는 문턱부(180)의 수율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집수 탱크(140a)로 모아질 빗물의 유속을 조절함을 통해 개방구(미도시)의 개방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빗물의 양을 제어한다.
여기서, 문턱부(180)는 캡 바디부(140)의 내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됨에 유의한다.
캡 바디부(140)의 하단에 다수개 개방구가 마련되며, 우산꼭지(10)의 첨단영역이 관통홀(120a)을 관통한 상태이거나 관통한 상태 이전, 이후이더라도 슬라이딩 또는 시프트 동작에 의해 생성된 외력에 의해 다수의 개방구(미도시)가 오픈됨에 따라 집수 탱크(140a)에 모아진 빗물의 배출 수위를 조율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100)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꼭지 캡 장치(100)은 캡 바디부(140)의 하부 안쪽에 위치한 체결부(120)가 우산꼭지(10)의 외주면 상단에 끼워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우산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즉, 우산꼭지 캡 장치(100)을 우산꼭지(10)에 끼울 때 캡 바디부(140)의 하부에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손잡이부(160)를 붙잡고 잡아 당기면 우산꼭지 캡 장치(100)의 탄성에 의해 캡 바디부(140)가 외측으로 늘어나면서 그 내부에 형성된 체결부(120)의 관통홀(120a)이 커지도록 확장시켜 주게 된다.
이때, 확장된 관통홀(120a)을 우산꼭지(10)의 끝부분을 통해 끼우면, 큰 마찰 저항없이 부드럽게 우산꼭지(10)의 상단까지 끼울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위치 선정이 끝난 후에는 잡고있던 좌우 한 쌍의 손잡이부(160)를 놓게 되면, 우산꼭지 캡 장치(100)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관통홀(120a)의 내경이 좁아짐과 동시에 우산꼭지(10)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우산꼭지 캡 장치(100)이 우산꼭지(10)의 상부 외주에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우산꼭지(10)에 우산꼭지 캡 장치(100)의 장착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꼭지 캡 장치(100)은 우산꼭지(10)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산을 접은 상태로 보행하다가 지면 바닥이나 벽에 우산꼭지(10)의 끝부분이 닿도록 짚고 다니더라도 우산꼭지 캡 장치(100)에는 직접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우산꼭지 캡 장치(100)의 손상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우산꼭지 캡 장치(100)의 수명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산의 외관미를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캡 바디부(140)는 내주면 상측 둘레에는 문턱부(18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우산을 세워서 바닥 및 벽을 짚고 다니거나 눕힐 때 캡 바디부(140)의 집수 탱크(140a)에 집수된 빗물이 외부로 튀거나 흐르지 않게 된다.
즉, 문턱부(180)는 캡 바디부(140)의 집수 탱크(140a)에 집수된 빗물이 우산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출렁거릴 때 캡 바디부(140)의 상단 개구쪽으로 튀어 오르거나 역류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켜 주게 되므로 우산꼭지 캡 장치(100)에 집수된 빗물로 인한 주변 환경이 지저분해 지는 것을 최소화시켜 주게 된다.
또한, 우산꼭지(10)에 장착된 우산꼭지 캡 장치(100)은 캡 바디부(140)의 집수 탱크(140a)에 집수된 빗물을 배출할 때에는 캡 바디부(140)의 하부측 좌우 한 쌍의 손잡이부(16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주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캡 바디부(140)의 집수 탱크(14a)에 집수된 빗물이 체결부(120)의 관통홀(120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좌우 한 쌍의 손잡이부(160)를 잡아 당기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우산꼭지 캡 장치(100)의 탄성에 의해 체결부(120)의 관통홀(120a)이 넓게 확장되면서 관통홀(120a)과 우산꼭지(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캡 바디부(140)의 집수 탱크(140a)에 집수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꼭지 캡 장치(100)는 우산꼭지(10)에 장착될 때 우산꼭지(10)의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바닥을 짚을 수 있도록 체결부(120)를 가진 하나의 캡 바디부(140)로 이루어져 있다.
캡 바디부(140)의 외부 일측면에 빗물 배출 및 장착기능을 하는 좌우 한 쌍의 손잡이부(16)와 내부 일측면에 빗물 튀김 및 역류되는 것을 억제하는 문턱부(180)를 일체로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다기능에 의해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면서도 제조 원가는 낮출 수 있는 장점과, 우산꼭지 캡 장치(100)가 바닥(지면)과 미접촉되므로 손상 및 파손으로 인한 수명 단축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산의 외관미를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우산꼭지 30 : 우산캐노피
100 : 우산꼭지 캡 장치 120 : 체결부
120a : 관통홀 140 : 캡 바디부
140a : 집수 탱크 160 : 손잡이부
180 : 문턱부

Claims (6)

  1. 우산캐노피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로,
    우산꼭지의 외주 상단에 끼워지면서 상기 우산꼭지의 첨단영역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우산꼭지의 첨단영역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할 시, 상기 체결부의 하단 외주와 연결되어 집수 탱크 안에 들어온 상기 빗물을 밀폐시켜 집수하는 캡 바디부; 및
    상기 캡 바디부의 상단 개구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하향된 위치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입구가 좁아지도록 내림 경사면을 상기 캡 바디부의 내주면 둘레에 생성시켜 상기 빗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문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턱부는 상기 캡 바디부의 내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되며,상기 문턱부의 상면에는 다수의 요철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캡 바디부의 하부 외측면에는 손잡이부가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손잡이부는 상기 캡 바디부의 하부 외측면에 대하여 상기 체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 중 어느 하나가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시프트될 시, 상기 다수의 개방구는 상기 슬라이딩 또는 시프트 동작에 의해 생성된 외력에 의해 폐쇄상태에서 열림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해 나온 상기 우산꼭지의 첨단영역 끝단이 지면에 닿을 시, 상기 우산꼭지의 첨단영역 끝단을 일측면에서 각각 지지해 주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부의 상면에 기구비된 다수의 요철 부재는, 상기 빗물과 맞닿을 시 생성되는 마찰을 줄여 상기 빗물에 의해 마모되는 상기 문턱부의 수율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집수 탱크로 모아질 빗물의 유속을 조절함을 통해 다수의 개방구의 개방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상기 빗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상기 캡 바디부의 하단에 다수개 마련되며, 상기 우산꼭지의 첨단영역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이거나 상기 관통한 상태 이전, 이후이더라도 외력에 의해 오픈됨에 따라 상기 집수 탱크에 모아진 빗물의 배출 수위를 조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및 캡 바디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및 페놀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한 후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KR1020180159433A 2018-12-11 2018-12-11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KR10202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33A KR102028951B1 (ko) 2018-12-11 2018-12-11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33A KR102028951B1 (ko) 2018-12-11 2018-12-11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951B1 true KR102028951B1 (ko) 2019-11-08

Family

ID=6854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433A KR102028951B1 (ko) 2018-12-11 2018-12-11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95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3880A (en) * 1954-03-22 1956-07-10 Garcia Zeid Umbrella drip attachment
US2808066A (en) * 1955-08-24 1957-10-01 Vito A Pugliese Drip catcher
JPS52171452U (ko) * 1976-06-16 1977-12-27
JPS5483972U (ko) * 1977-11-19 1979-06-14
JPH05176808A (ja) * 1991-11-02 1993-07-20 Kimito Horie 雨滴落下防止装置付傘
KR19990009557U (ko) 1997-08-22 1999-03-15 신영주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110132927A (ko) 2010-06-03 2011-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전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07456U (ko) * 2011-04-20 2012-10-30 김용세 우산용 빗물캡
KR20140000303U (ko) 2012-07-05 2014-01-15 김여일 서류용 클립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3880A (en) * 1954-03-22 1956-07-10 Garcia Zeid Umbrella drip attachment
US2808066A (en) * 1955-08-24 1957-10-01 Vito A Pugliese Drip catcher
JPS52171452U (ko) * 1976-06-16 1977-12-27
JPS5483972U (ko) * 1977-11-19 1979-06-14
JPH05176808A (ja) * 1991-11-02 1993-07-20 Kimito Horie 雨滴落下防止装置付傘
KR19990009557U (ko) 1997-08-22 1999-03-15 신영주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110132927A (ko) 2010-06-03 2011-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전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07456U (ko) * 2011-04-20 2012-10-30 김용세 우산용 빗물캡
KR20140000303U (ko) 2012-07-05 2014-01-15 김여일 서류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11451A1 (en) Inverse umbrella
US7484518B2 (en) Reversible umbrella
US8387640B2 (en) Umbrella device for automobile
JP3206478U (ja)
KR102028951B1 (ko)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KR20130052945A (ko) 역 접힘 우산
KR200448498Y1 (ko) 우산
WO2006138600A2 (en) No-drip umbrella sheath
KR100655402B1 (ko) 빗물받이 우산집
KR102111646B1 (ko) 자바라형 커버가 장착된 빗물받이 캡 장치
KR20220062396A (ko) 우산 케이스
CN210783197U (zh) 一种随身伞
JP2009234554A (ja) 自動車乗り降り時の雨濡れを防止する拡縮式雨除け傘
JP3122967U (ja) 雨傘カバー及び雨傘カバー付き雨傘
KR102251480B1 (ko) 빗물받이 기능을 갖는 우산받침대
KR102029866B1 (ko) 우산 장착용 빗물받이
KR100745702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CN215014158U (zh) 一种外翻折叠雨伞
KR20140016027A (ko) 빗물 흐름 방지 우산
JP3093948U (ja) ペット用傘
JP4993398B2 (ja) 雨音低減効果を有する雨傘
KR102113516B1 (ko) 가방용 우산걸이
EP1030570B1 (en) Device for protecting umbrellas with a ferruled tip
KR200460575Y1 (ko) 우산용 빗물받이장치
KR20110007559A (ko) 가변 변위 케이스를 갖는 방수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