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945A - 역 접힘 우산 - Google Patents

역 접힘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945A
KR20130052945A KR1020110118307A KR20110118307A KR20130052945A KR 20130052945 A KR20130052945 A KR 20130052945A KR 1020110118307 A KR1020110118307 A KR 1020110118307A KR 20110118307 A KR20110118307 A KR 20110118307A KR 20130052945 A KR20130052945 A KR 20130052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umbrella
rod
reverse folding
folding umbr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일모
Original Assignee
안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일모 filed Critical 안일모
Priority to KR102011011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2945A/ko
Publication of KR2013005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2Devices for holding umbrellas closed, e.g. magne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8Umbrellas having upward pointing rib ends when closed, i.e. the lower dry side of the cover facing the outside when closed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역 접힘 우산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은 하단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된 지지봉; 지지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지지봉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되고, 우산이 펴지는 과정에서 지지봉의 상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허브; 일 단이 허브에 힌지 결합된 제 1 살대; 위에서 볼 때 제 1 살대를 커버하도록 제 1 살대에 결합되는 방수천; 및 제 1 살대의 상측에 배치되고, 일 단이 제 1 살대에 힌지 결합되고, 타 단이 지지봉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 접힘 우산{Reverse folding umbrella}
본 발명은 역 접힘 우산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올 때 우산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우산을 사용하는 경우 비에 젖은 우산을 접으면 물기가 있는 면이 외측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에 젖은 우산을 접은 상태로 좁은 공간 또는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들고 있을 경우 우산에 묻은 물기가 주변 사물 및 사람들에게 묻게 되어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에 젖은 우산을 접어서 보관할 때 우산에 묻은 물기가 외부에 묻지 않도록 구성된 역 접힘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단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된 지지봉; 지지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지지봉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되고, 우산이 펴지는 과정에서 지지봉의 상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허브; 일 단이 허브에 힌지 결합된 제 1 살대; 위에서 볼 때 제 1 살대를 커버하도록 제 1 살대에 결합되는 방수천; 및 제 1 살대의 상측에 배치되고, 일 단이 제 1 살대에 힌지 결합되고, 타 단이 지지봉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살대를 포함하는 역 접힘 우산이 제공된다.
이 역 접힘 우산은 버튼을 누르면 우산이 자동으로 펴지는 자동 우산일 수 있다.
이 역 접힘 우산은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제 1 살대, 방수천 및 지지봉을 상호 밀착시켜 우산이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착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밀착 유도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살대에 결합되고, 제 1 살대, 방수천 및 지지봉을 감싸도록 변형 가능한 몸체; 및 제 1 살대, 방수천 및 지지봉을 감싸는 몸체의 일측 및 타측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밀착 유도부는 제 1 살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역 접힘 우산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된 슬라이드부; 및 제 1 살대의 방수천을 지지하는 면의 반대면에 제 1 살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는 'ㅗ'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가이드부는 슬라이드부의 단면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위의 역 접힘 우산은 슬라이드부가 가이드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부의 측부에는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우산을 접을 때 비에 젖는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보관 시 우산에 묻은 물기가 주변 사물 및 사람들에게 묻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접힘 우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각 우산이 접힌 상태 및 우산이 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역 접힘 우산에 포함된 밀착 유도부를 슬라이딩시키는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역 접힘 우산에 포함된 밀착 유도부를 슬라이딩시키는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접힘 우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각 우산이 접힌 상태 및 우산이 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역 접힘 우산(1)은 지지봉(10)과, 허브(20)와, 제 1 살대(30)와, 제 2 살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역 접힘 우산(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튼을 누르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펴지는 자동 우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자동 우산이 아닌 일반적인 형태의 우산일 수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버튼을 누르면 우산이 자동으로 펴지는 메커니즘은 통상적인 자동 우산의 메커니즘을 따른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허브(20) 및 허브(20) 하측에 위치하는 보조 허브(21) 사이에 스프링(23)이 압축되어 배치된다. 이때, 보조 허브(21)는 손잡이부(11)에 돌출된 버튼(13)과 연결되고 지지봉(10)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부(15)에 걸려 위치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3)을 누르면 걸림부(15)가 지지봉(10)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보조 허브(21)의 걸림부(15)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허브(20)가 지지봉(10)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펴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역 접힘 우산(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봉(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봉(10)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1)가 마련된다.
지지봉(10)에는 허브(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허브(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지지봉(10)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되고, 우산이 펴지는 과정에서 지지봉(10)의 상단부 측으로 이동한다.
허브(20)에는 제 1 살대(30)가 힌지 결합된다. 제 1 살대(30)의 일 단은 제 1 살대(30)에 힌지 결합되고, 제 1 살대(30)의 타 단은 자유단으로 유지된다. 제 1 살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일 단이 타 단에 비해 손잡이부(11)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제 1 살대(30)는 복수이고, 복수의 제 1 살대(30)는 허브(20)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살대(30)는 보조 살대에 의해 보조 허브(21)와 연결될 수 있고, 보조 살대는 제 1 살대(30)를 보조 허브(21)에 대해 지지한다.
제 1 살대(30)에는 방수천(40)이 결합된다. 방수천(40)은 통상적인 우산에서 사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천(40)은 바느질 방법으로 제 1 살대(3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방수천(40)은 위에서 볼 때 제 1 살대(30)를 커버한다. 예를 들어, 우산이 펴진 상태에서 방수천(40)은 제 1 살대(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방에서 볼 때 제 1 살대(30)가 노출되지 않는다.
제 1 살대(30)의 상측에는 제 2 살대(50)가 배치된다. 제 2 살대(50)의 일 단은 제 1 살대(30)에 힌지 결합되고, 제 2 살대(50)의 타 단은 지지봉(10)에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제 2 살대(50)는 우산이 펴지고 접힐 때 제 1 살대(30)를 지지봉(10)의 상단부에 대해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역 접힘 우산(1)은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제 1 살대(30), 방수천(40) 및 지지봉(10)을 상호 밀착시켜 우산이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착 유도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 유도부(60)는 몸체(61)와, 체결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61)는 일단이 제 1 살대(30)에 결합되고, 제 1 살대(30), 방수천(40) 및 지지봉(10)을 감싸도록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몸체(61)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체결부(63)는 몸체(61)가 지지봉(10)을 감싼 상태에서 몸체(61)의 일 측 및 타 측을 상호 체결한다. 체결부(63)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61)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결합 가능한 스냅(sna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밀착 유도부(60)는 제 1 살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밀착 유도부(60)에 의해 우산의 접힌 상태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우산이 상하 반전된 상태에서 밀착 유도부(6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제 1 살대(30)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방수천(40)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역 접힘 우산에 포함된 밀착 유도부를 슬라이딩시키는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역 접힘 우산에 포함된 밀착 유도부를 슬라이딩시키는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역 접힘 우산(1)은 밀착 유도부(60)를 제 1 살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슬라이드부(70)와, 가이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70)는 밀착 유도부(60)의 몸체(61)의 일단에 결합된다. 슬라이드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ㅗ'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후술하는 가이드부(8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드부(70)는 가이드부(80)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가이드부(80)는 슬라이드부(70)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며 슬라이드부(7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80)는 제 1 살대(30)의 방수천(40)을 지지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이드부(80)는 제 1 살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살대(30)에 부분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 1 살대(30)에 전체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역 접힘 우산(1)은 슬라이드부(70)가 가이드부(7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부(80)의 측부에는 장공(81)이 형성될 수 있다. 장공(81)은 가이드부(8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90)는 장공(81)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부(7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90)는 나사 또는 리벳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 이탈방지부(90)의 머리부는 장공(8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에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는 밀착 유도부(60)의 몸체(61)와 결합된 슬라이드부(70)가 제 1 살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8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밀착 유도부(60)를 제 1 살대(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비가 온 후 사용자가 밀착 유도부(60)를 잡고 제 1 살대(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방수천(40)에 묻은 물기를 짜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지지봉 20 : 허브
30 : 제 1 살대 40 : 방수천
50 : 제 2 살대 60 : 밀착 유도부
70 : 슬라이드부 80 : 가이드부

Claims (8)

  1. 하단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되고, 우산이 펴지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허브;
    일 단이 상기 허브에 힌지 결합된 제 1 살대;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1 살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 1 살대에 결합되는 방수천; 및
    상기 제 1 살대의 상측에 배치되고, 일 단이 상기 제 1 살대에 힌지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지지봉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살대를 포함하는 역 접힘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접힘 우산은 버튼을 누르면 우산이 자동으로 펴지는 자동 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접힘 우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살대, 상기 방수천 및 상기 지지봉을 상호 밀착시켜 우산이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착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접힘 우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유도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살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살대, 상기 방수천 및 상기 지지봉을 감싸도록 변형 가능한 몸체; 및
    상기 제 1 살대, 상기 방수천 및 상기 지지봉을 감싸는 몸체의 일측 및 타측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접힘 우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유도부는 상기 제 1 살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접힘 우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된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 1 살대의 상기 방수천을 지지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 1 살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접힘 우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ㅗ'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면과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접힘 우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접힘 우산.
KR1020110118307A 2011-11-14 2011-11-14 역 접힘 우산 KR20130052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307A KR20130052945A (ko) 2011-11-14 2011-11-14 역 접힘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307A KR20130052945A (ko) 2011-11-14 2011-11-14 역 접힘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945A true KR20130052945A (ko) 2013-05-23

Family

ID=4866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307A KR20130052945A (ko) 2011-11-14 2011-11-14 역 접힘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294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957A (zh) * 2013-12-16 2014-04-09 吴江华诚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雨伞
CN104188297A (zh) * 2014-08-26 2014-12-10 浙江大学 一种防滴水雨伞
WO2017015853A1 (zh) * 2015-07-28 2017-02-02 刘皓铭 反折伞具
CN106579689A (zh) * 2015-10-20 2017-04-26 刘皓铭 反折自动伞具
KR101862846B1 (ko) * 2017-09-07 2018-05-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흐름을 방지하는 우산
KR20190127131A (ko) 2018-05-03 2019-11-13 손한인 역방향으로 접히는 살없는 내장형 우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957A (zh) * 2013-12-16 2014-04-09 吴江华诚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雨伞
CN104188297A (zh) * 2014-08-26 2014-12-10 浙江大学 一种防滴水雨伞
WO2017015853A1 (zh) * 2015-07-28 2017-02-02 刘皓铭 反折伞具
CN106579689A (zh) * 2015-10-20 2017-04-26 刘皓铭 反折自动伞具
KR101862846B1 (ko) * 2017-09-07 2018-05-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흐름을 방지하는 우산
KR20190127131A (ko) 2018-05-03 2019-11-13 손한인 역방향으로 접히는 살없는 내장형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2945A (ko) 역 접힘 우산
US20170340075A1 (en) Unique umbrella, having arthritic-aiding pin-centering pin-guiding system, arthritic-aiding canopy-tension-adjusting system, anti-cable-fraying tri-pulley system, and auditorily-snap-locking tower-locking system
TWM491361U (zh) umbrella
KR100784765B1 (ko) 자동개폐용 우산
KR200448498Y1 (ko) 우산
RU2466668C1 (ru) Полу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зонт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бираемым центральным стержнем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US6257257B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collapsible umbrella
KR20170115280A (ko) 거꾸로 접히는 타입의 자동 접힘 우산
KR100869629B1 (ko) 휴대용 우산커버
KR100793474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KR101229082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200271189Y1 (ko) 케이스 수납용 우산
CN201139152Y (zh) 新型多用途晴雨伞
KR102358947B1 (ko) 접이식 우산
CN110840032A (zh) 一种手开三折自动收反向伞
KR102490129B1 (ko) 대걸레
KR102502066B1 (ko) 빗물받이 커버를 갖춘 우산
KR200278644Y1 (ko) 거꾸로 접히는 자동우산
KR102028951B1 (ko) 빗물을 집수하는 우산꼭지 캡 장치
KR200470952Y1 (ko) 우산의 개폐장치
JPH064728Y2 (ja)
JPH0884616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