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947B1 - 접이식 우산 - Google Patents

접이식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947B1
KR102358947B1 KR1020200106547A KR20200106547A KR102358947B1 KR 102358947 B1 KR102358947 B1 KR 102358947B1 KR 1020200106547 A KR1020200106547 A KR 1020200106547A KR 20200106547 A KR20200106547 A KR 20200106547A KR 102358947 B1 KR102358947 B1 KR 10235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rage space
space
outsid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영
이정무
Original Assignee
정민영
이정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영, 이정무 filed Critical 정민영
Priority to KR102020010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025/003Accessories not covered by groups A45B25/24 - A45B25/3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54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containers for storing objects, e.g. box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우산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수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손잡이부와, 수납공간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중첩 위치되는 다수의 지주부와, 지주부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이 하나 이상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우산천이 결합되는 다수의 프레임부와, 지주부를 따라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부와 연결빔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지주부는 하강시 수납공간에 중첩된 상태로 수납되어 길이가 축소되고, 상승시 수납공간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가 신장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우산{FOLDING-UMBRELLA}
본 발명은 접이식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시 인체나 옷 등이 빗물에 젖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햇빛이 강할 때 빛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 후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 2단 또는 3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우산은 일정 길이를 갖는 폴대와, 폴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작동부와, 폴대의 상단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산살과, 우산상과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폴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부와, 우산살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산천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우산은 사용 후 절첩시 빗물에 젖어 있는 상태로 휴대 및 보관되므로,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우산을 털거나 별도의 비닐 커버를 씌우는 등의 뒷처리가 필요하고, 빗물에 젖은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빗물이 떨어지므로 빗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우산의 외부에 별도의 비닐 커버를 씌우는 경우, 빗물이 담겨진 상태로 비닐 커버가 버려지므로 비닐 커버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비닐 커버는 한 번 사용하고 버려지므로 자원 낭비 및 환경 오염의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75519호(2000년 01월 0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절첩식 우산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은 내부의 수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중첩 위치되는 다수의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이 하나 이상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우산천이 결합되는 다수의 프레임부와, 상기 지주부를 따라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빔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는 하강시 상기 수납공간에 중첩된 상태로 수납되어 길이가 축소되고, 상승시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부는 상기 수납공간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외부를 감싸고, 하강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상승시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외부를 감싸고, 하강시 슬라이드 하강되면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상승시 슬라이드 상승되면서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3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지지대의 측부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도록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조작부는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3지지대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하강 위치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시 후퇴되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을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3지지대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하강 위치시 상기 제3지지대의 하단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 해지시 상기 제3지지대의 상단을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상승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부가 더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마개부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휴대시 의복 등이 빗물에 젖지 않으며, 빗물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마개부를 이용해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연결끈을 이용해 가방 등에 장착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마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2지지대와 제3지지대가 상승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걸림돌기가 걸림 위치로 복귀되고 제2지지대와 제3지지대가 상승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제2지지대와 제3지지대가 상승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작동부가 상승 위치되고, 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제1지지대가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마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2지지대와 제3지지대가 상승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걸림돌기가 걸림 위치로 복귀되고 제2지지대와 제3지지대가 상승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제2지지대와 제3지지대가 상승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작동부가 상승 위치되고, 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제1지지대가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손잡이부(100)와, 지주부(200)와, 프레임부(300) 및, 작동부(40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 형태 등을 가질 수 있고,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고무, 스폰지 등, 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10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0)은 손잡이부(110)의 상부로 개방된다. 수납공간(11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다.
또한, 손잡이부(100)의 하부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부(12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마개부(120)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손잡이부(100)의 하부에 결합 및 분리되어 수납공간(110)의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공간(110)의 측면에는 제1나사산(111)이 형성되고, 마개부(12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111)과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2나사산(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120)의 하단에는 수납공간(110)의 하부에 결합시 손잡이부(120)의 하부에 걸림 위치되도록 머리부(122)가 형성될 수 있고, 머리부(122)와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에는 연결끈(130)의 양단을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0)의 하단에 마개부(120)를 적용함으로써, 수납공간(11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우산으로 사용시에는 손잡이부(100)의 하부에 마개부(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지주부(200)는 수납공간(110)의 내부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중첩 위치되는 것으로, 지주부(200)는 하강시 수납공간(110)에 중첩된 상태로 수납되어 길이가 축소되고, 상승시 수납공간(110)의 상부로 길이가 신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00)는 수납공간(110)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지지대(210)과, 제1지지대(210)의 외부를 감싸고, 하강시 슬라이드 하강되면서 수납공간(110)에 수납되며, 상승시 슬라이드 상승되면서 수납공간(110)의 상부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2지지대(220) 및, 제2지지대(220)의 외부를 감싸고, 하강시 수납공간(110)에 수납되며, 상승시 수납공간(110)의 상부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3지지대(2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지지대(21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하단이 수납공간(110)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지지대(210)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대(210)는 내부에 제1공간부(21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공간부(211)의 내부에는 후술 될 제2지지대(220)을 걸림 위치시키거나 걸림을 해지시키기 위한 제1걸림구(21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걸림구(212)는 일단이 제1공간부(211)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제1지지대(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1지지대(210)의 측부에는 제1걸림구(212)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대(210)의 하단은 도 8에서처럼 수납공간(110)의 바닥면과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공간(110)의 바닥면과 제1지지대(210)의 하단에는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213) 또는 체결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112)과 체결돌기(213)의 외주에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대(210)를 수납공간(110)의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110)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제2지지대(210)는 제1지지대(210)의 외부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지대(220)의 내부에는 제1지지대(210)이 삽입되도록 제2공간부(22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공간부(221)의 내부에는 후술 될 제3지지대(230)을 걸림 위치시키거나 걸림을 해지시키기 위한 제2걸림구(22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걸림구(222)는 일단이 제2공간부(221)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제2지지대(2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지지대(220)의 측부에는 제2걸림구(222)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2관통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3지지대(230)는 제2지지대(220)의 외부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지지대(230)의 내부에는 제2지지대(220)이 삽입되도록 제3공간부(231)가 형성될 수 있고, 제3지지대(230)의 측면에는 후술 될 작동부(400)를 일정 높이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거치부재(2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재(232)는 일단이 제3지지대(230)의 내부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거치단이 제3지지대(230)의 측부로 출몰 가능하게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거치단의 하부에는 측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부(400)를 상승 위치시키는 경우, 거치단의 하단과 작동부(400)의 상단이 밀착되므로 거치단이 작동부(400)의 내주면으로 간섭 없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대(220)과 제3지지대(230)을 하강 위치시키는 경우, 도 1 내지 4에서처럼 제2지지대(220)이 제1지지대(210)의 외부에 중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제3지지대(230)가 제2지지대(220)의 외부에 중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제1걸림구(212)의 일단이 제2공간부(221)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제1관통홀의 내부에 위치되고, 제2걸림구(222)의 일단이 제3공간부(231)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제2관통홀의 내부에 위치된다.
반면, 제2지지대(220)과 제3지지대(230)을 상승 위치시키는 경우, 도 6과 도 7에서처럼 제1걸림구(212)의 일단이 제1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제2지지대(22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고, 제2걸림구(222)의 일단이 제2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제3지지대(23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지지대(220)가 제3지지대(230)가 제1걸림구(212)와 제2걸림구(222)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3지지대(230)의 측부에는 걸림홈(232)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고, 수납공간(110)에는 걸림홈(232)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도록 조작부(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500)는 수평 회전축(C)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몸체(510)와, 몸체(510)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520)과, 몸체(510)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제3지지대(230)을 수납공간(110)으로 하강 위치시 걸림홈(232)에 삽입되며, 버튼(520)의 누름 동작시 후퇴되어 걸림홈(232)으로부터 분리되는 걸림돌기(530) 및, 걸림돌기(530)의 후단을 걸림홈(232)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54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510)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버튼(520)은 누름 동작시 제1탄성부재(5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530)의 상단에는 걸림홈(232)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경사면(5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지지대(230)을 수납공간(110)으로 하강시키는 경우, 제3지지대(230)의 하단이 걸림돌기(530)의 경사면(531)과 밀착되면서 하강되고, 경사면(531)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걸림돌기(530)가 측방으로 후퇴되어 걸림홈(232)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탄성부재(540)는 일단이 걸림돌기(530)의 후단을 수평하게 지지하고, 반대되는 타단이 수납공간(110)의 일측 벽면을 수평하게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1탄성부재(54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판 스프링 등)를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부(300)는 제3지지대(230)의 상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이 하나 이상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다. 프레임부(300)는 제3지지대(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가 방사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프레임부(300)의 상부에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우산천(310)이 체결부재(끈 등, 미도시)에 의해 절접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프레임부(300)는 수평힌 힌지축을 기준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고, 우산천(310)은 프레임부(300)와 함께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부(400)는 제3지지대(230)의 외부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부(400)의 가장자리는 연결빔(410)에 의해 다수의 프레임부(30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빔(410)은 작동부(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가 방사상에 배열될 수 있는데, 연결빔(410)의 일단이 작동부(400)의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단이 프레임부(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동부(400)를 상승 위치시키는 경우, 도 7에서처럼 거치부재(232)의 거치단이 작동부(400)의 내주면과 밀착되면서 제3지지대(23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3지지대(2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작동부(40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된다. 반면 작동부(400)를 하강 위치시키는 경우, 작동부(400)의 거치단을 눌러 제3지지대(230)의 내부에 삽입시킨 후, 걸림이 해지된 작동부(4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수납공간(110)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600)는 상단이 제3지지대(230)의 하단을 수직하게 지지하고, 반대되는 하단이 수납공간(110)의 바닥면을 수직하게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2탄성부재(6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판 스프링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탄성부재(600)는 제3지지대(230)를 수납공간(110)으로 하강 위치시 제3지지대(230)의 하단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반면, 버튼(520)의 누름 동작 해지시 제3지지대(230)의 상단을 수납공간(110)의 상부로 상승 위치시킨다.
이때, 제3지지대(230)의 상단이 손잡이부(100)의 상부로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제3지지대(230)의 상단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3지지대(230)를 손잡이부(100)의 상부로 빼낼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작동부(400)를 상승시켜 거치부재(233)의 거치단에 걸림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절첩된 연결빔(410)의 상단이 측방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프레임부(300)와 우산천(310)이 측방으로 펼쳐진다.
이하, 도 1 내지 7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우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버튼(520)을 눌러 우산을 사용하는 경우, 걸림돌기(530)가 제3지지대(230)의 걸림홈(23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지지대(220)와 제3지지대(230)가 제2탄성부재(60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 위치된다.
이후, 사용자는 손잡이부(100)의 상부로 돌출된 제3지지대(230)의 상단을 손으로 파지한 후 상부로 인출시킨다. 제2지지대(220)가 상승 위치되는 경우, 제1걸림구(212)가 제1지지대(210)의 측부로 돌출되어 제2지지대(22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고, 제3지지대(230)가 상승 위치되는 경우, 제2걸림구(222)가 제2지지대(220)의 측부로 돌출되어 제3지지대(23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작동부(400)를 상승시키고, 거치부재(233)의 거치단이 작동부(400)의 내주면과 밀착되면서 삽입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3지지대(230)의 측부로 돌출되어 작동부(40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며, 프레임부(300)와 우산천(310)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반면, 우산을 절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거치부재(233)의 거치단을 눌러 걸림 상태를 해지시킨 후 작동부(400)를 하강시킨다. 이때 연결빔(410)과 프레임부(300)가 제3지지대(230)의 측면으로 절첩된다.
이후, 제2지지대(220)와 제3지지대(230)를 수납공간(110)으로 하강시키는 경우, 제3지지대(230)의 하단이 걸림돌기(530)의 경사면(531)과 밀착되면서 하강되고, 걸림돌기(530)는 걸림 해지 방향으로 후퇴된 후 제1탄성부재(5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232)에 삽입된다.
이때, 제2탄성부재(600)가 제3지지대(230)의 하강에 의해 하방으로 압축되고, 제3지지대(230)의 걸림홈(232)은 걸림돌기(53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므로, 제2지지대(220)와 제3지지대(230)가 수납공간(110) 내에 수납된 상태로 길이가 축소된다.
이와 함께, 프레임부(300)와 우산천(310)이 절첩된 상태로 수납공간(110)에 수납되고, 우산천(310)에 부착된 빗물이 수납공간(110)으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시 외부로 인출하여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비 사용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손잡이부(100)에 수납시 빗물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한 마개부(120)를 이용해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가방 등에 장착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손잡이부 110: 수납공간
111: 제1나사산 112: 체결돌기
120: 마개부 121: 제2나사산
122: 머리부 130: 연결끈
200: 지주부 210: 제1지지대
211: 제1공간부 212: 제1걸림구
213: 체결홈 220: 제2지지대
221: 제2공간부 222: 제2걸림구
230: 제3지지대 231: 제3공간부
232: 걸림홈 233: 거치부재
300: 프레임부 310: 우산천
400: 작동부 410: 연결빔
500: 조작부 510: 몸체
520: 버튼 530: 걸림돌기
531: 경사면 540: 제1탄성부재
600: 제2탄성부재 C: 회전축

Claims (5)

  1. 내부의 수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손잡이부;
    상기 수납공간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중첩 위치되는 다수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이 하나 이상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우산천이 결합되는 다수의 프레임부;
    상기 지주부를 따라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빔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는 하강시 상기 수납공간에 중첩된 상태로 수납되어 길이가 축소되고, 상승시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수납공간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외부를 감싸며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강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상승시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외부를 감싸고, 하강시 슬라이드 하강되면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상승시 슬라이드 상승되면서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길이가 신장되는 제3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제1 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 단이 상기 제1 공간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 단이 상기 제1 지지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대를 걸림위치키기거나 걸림을 해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1 걸림구의 타 단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대의 측부에서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내부에는 상기 제1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공간부;
    상기 제2 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 단이 상기 제2 공간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 단이 상기 제2 지지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3 지지대를 걸림위치시키거나 걸림을 해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제2 걸림구; 및
    상기 제2 걸림구의 타 단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2 지지대의 측부에서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3 지지대를 상승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제1 걸림구의 일 단이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제2 걸림구의 일 단이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3 지지대의 하단에 걸림위치되어, 상기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3 지지대가 상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대의 측부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도록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3지지대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하강 위치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시 후퇴되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을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3지지대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하강 위치시 상기 제3지지대의 하단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 해지시 상기 제3지지대의 상단을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로 상승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부가 더 결합되고,
    상기 마개부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KR1020200106547A 2020-08-24 2020-08-24 접이식 우산 KR10235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547A KR102358947B1 (ko) 2020-08-24 2020-08-24 접이식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547A KR102358947B1 (ko) 2020-08-24 2020-08-24 접이식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947B1 true KR10235894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547A KR102358947B1 (ko) 2020-08-24 2020-08-24 접이식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9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195Y1 (ko) * 2005-03-28 2005-06-07 김영선 자동우산의 승강 로킹 장치
KR20070005066A (ko) * 2005-07-05 2007-01-10 강병남 회전식으로 접혀서 손잡이 속에 내장되는 우산
US20120167932A1 (en) * 2011-01-01 2012-07-05 Ashoke Banerjee Multi-fold umbrella combined with writing implement or cosmetic case
KR20150083541A (ko) * 2014-01-10 2015-07-20 유광석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195Y1 (ko) * 2005-03-28 2005-06-07 김영선 자동우산의 승강 로킹 장치
KR20070005066A (ko) * 2005-07-05 2007-01-10 강병남 회전식으로 접혀서 손잡이 속에 내장되는 우산
US20120167932A1 (en) * 2011-01-01 2012-07-05 Ashoke Banerjee Multi-fold umbrella combined with writing implement or cosmetic case
KR20150083541A (ko) * 2014-01-10 2015-07-20 유광석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587Y1 (ko) 접이식 자동 우산
RU2503386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открывающийся и закрывающийся зонт
WO2006101288A1 (en) The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US5020558A (en) Automatic umbrella having stable extending and folding structure
TWI380786B (zh) 可攜及緊密的雨傘
KR20110026833A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100784765B1 (ko) 자동개폐용 우산
KR102358947B1 (ko) 접이식 우산
KR20130052945A (ko) 역 접힘 우산
US3677274A (en) Umbrellas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200432921Y1 (ko) 자동 접이식 우산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KR20170115280A (ko) 거꾸로 접히는 타입의 자동 접힘 우산
WO2009155843A1 (zh) 可展开及折叠的自动雨伞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JP4768959B2 (ja) 自立可能なステッキ
KR100793474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KR200271189Y1 (ko) 케이스 수납용 우산
CN209574061U (zh) 一种儿童游戏床床体护栏折叠机构
KR101643381B1 (ko) 접이가 용이한 이중 우산
CN213487350U (zh) 可隐藏拉把的自动多折伞的下巢结构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KR101791814B1 (ko)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