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764B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764B1
KR101440764B1 KR1020140053561A KR20140053561A KR101440764B1 KR 101440764 B1 KR101440764 B1 KR 101440764B1 KR 1020140053561 A KR1020140053561 A KR 1020140053561A KR 20140053561 A KR20140053561 A KR 20140053561A KR 101440764 B1 KR101440764 B1 KR 10144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ixed
strut
cov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이준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엽 filed Critical 이준엽
Priority to KR102014005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66Tubular, rod-shaped articles, e.g. baton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천시 간단한 동작만으로 우산을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고, 사용 후 휴대시에도 우산천에 남아있는 빗물로 인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나 주위 사람들이 우산천에 남아 있는 빗물에 의해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커버; 상기 커버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손잡이; 상기 커버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고정 지지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체결되고, 상기 지주대의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회동 되도록 결합된 우산대; 중앙이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 체결 고정되고, 테두리는 상기 우산대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는 우산천; 및 상기 커버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주대의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버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AN UMBRELLA}
본 발명은 비가 올 때 머리 위를 받쳐 사용자가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간단한 동작만으로 우산을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고, 사용 후 휴대시에도 우산천에 남아있는 빗물로 인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나 주위 사람들이 우산천에 남아 있는 빗물에 의해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금속제 살이나 대오리 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를 덧발라서 비가 올 때 손에 펴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물건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우산은 서양에서 전해져 온 것이 대부분인데, 초기의 우산은 쇠살을 골조로 한 우산살대와, 비를 막기 위해 상기 우산살대에 발려지는 검정이나 감색 류 등 어두운 색의 우산외피와, 상기 우산외피와 우산살대의 한가운데에 장착되어 금속이나 대목제로 이루어진 우산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산대에 결착되어 사람이 우산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 우산손잡이를 함께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후, 상기 우산외피로 검정 목면천에 방수 처리한 방수포를 사용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어두운 색의 원단 이외에도 방수 처리한 여러 가지 빛깔의 천을 사용하게 되며, 우산살대 역시 무겁고 녹이 쉽게 스며들어 사용하기 불편한 쇠살에서 벗어나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우산은 자동우산과 수동우산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자동우산의 경우 우산살이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스프링이 내장되어 구성되는데, 접어진 우산의 걸림부분, 즉 승강관에 형성된 걸림구에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쇠를 해제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지는 원리로 이루어져 있고, 수동우산의 경우 접어진 우산의 걸림부분, 즉 승강관에 형성된 걸림구에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쇠를 수동으로 해제하여 우산을 펼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우산을 간편하게 휴대하기 위해 상기의 우산대를 3단 내지 4단 등 다단으로 구성하여 안테나식으로 신장할 수 있도록 하여 우산 전체의 길이를 축소시킨 소형우산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소형우산을 포함한 종래의 우산은 우산을 접을 때 빗물이 묻은 우산외피의 외측이 외부로 향하게 하여 접을 수밖에 없어 손에 빗물을 묻히면서 우산외피를 말아서 잠금장치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우산외피의 외측에 묻은 빗물 때문에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서 옆사람에게 불편을 끼치기도 하며, 실내에 들어갈 때에도 흐르는 물 때문에 바닥이 더러워지고 미끄러짐 등으로 안전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내에 들어갈 때에는 우산에 비닐을 씌우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는 없고 아울러 일회용 비닐을 사용함으로 인한 자원과 비용의 낭비만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우산은 우천 시 건물의 실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지하철과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는 우산을 접어 휴대하게 되는데, 빗물이 아래쪽으로 떨어져서 바닥을 오염시키고, 우산 천에 남아있는 빗물로 인해 의복이 젖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공개실용신안번호 1999-0041444호의 "우산 및 우산주머니"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우산은 별도의 우산 주머니를 이용하여 접은 우산을 보관하였으나, 우산주머니의 분실이 쉽고, 우산에 씌우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빗물에 젖은 우산천이 내부로 수용되어 바닥이 빗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산천에 젖은 빗물로 인해 의복 또는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이 형성된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우산을 접을 시 우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에 들어갈 때 1회용 비닐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여 우산을 씌우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하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커버; 상기 커버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손잡이; 상기 커버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고정 지지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체결되고, 상기 지주대의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회동 되도록 결합된 우산대; 중앙이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 체결 고정되고, 테두리는 상기 우산대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는 우산천; 및 상기 커버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주대의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버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신축성을 갖도록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방수피복; 및 상기 방수피복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방수피복이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되, 방수피복은, 상기 이동부재가 타단으로 이동 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대는, 상기 손잡이 상에 결합 고정되는 제1 지주대; 상기 제1 지주대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주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2 지주대; 상기 제1 지주대와 제2 지주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주대를 탄성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인장 스프링; 일측이 상기 제2 지주대와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캡과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 지주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3 지주대; 상기 제2 지주대와 상기 제3 지주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지주대를 탄성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인장 스프링; 및 상기 제3 지주대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우산대에 구비된 제2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며, 외주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산대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우산살;을 포함하되, 상기 우산살은, 상기 토션 스프링에 체결 고정되는 제1 우산살; 상기 제1 우산살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우산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우산살; 상기 제2 우산살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 우산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우산살; 일단이 상기 제3 우산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부를 통해 회전체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일단이 상기 제1 우산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 우산살과 고정되며, 상기 제2 우산살 및 제3 우산살을 탄성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지주대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움 고정되며, 상기 지주대를 고정 지지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일측과 상기 손잡이의 내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는, 상기 지주대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와 연결되어 제2 와이어가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 와이어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 와이어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제2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2 와이어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로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빗물에 젖은 우산천이 내부로 수용되어 바닥이 빗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산천에 젖은 빗물로 인해 의복 또는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주름이 형성된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우산을 접을 시 우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휴대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간단한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실내에 들어갈 때 1회용 비닐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커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이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지주대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우산살을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순잡이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이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지주대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우산살을 나타낸 확대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손잡이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10)은 커버(100), 손잡이(200), 지주대(300), 이동부재(400), 우산대(500) 및 캡(6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우산(10)의 전체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재질의 합성수지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100)는 방수피복(110), 코일 스프링(120) 및 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피복(110)은 손잡이(200)와 캡(600) 사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방수피복(110)은 신축성을 갖도록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고, 연질의 실리콘 또는 방수재질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고어텍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20)는 방수피복(110) 내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방수피복(110)이 인장되거나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130)는 방수피복(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이동부재(400)가 지주대(300)를 따라 이동시 커버(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200)는 커버(100)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커버(10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2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특히, I자형, U자형 또는 L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00)는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버튼부(210)와, 버튼부(210)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제1 지주대(310)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311)에 끼움 고정되며 하기에 설명될 제1 지주대(310)를 고정 지지하는 이동부(220) 및 이동부(220)의 일측과 손잡이(200)의 내벽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부(220)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버튼부(210)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삽입홈(311)에 끼움 고정된 이동부(220)의 일측이 이탈되면서 제1 지주대(310)가 손잡이(2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인장 스프링(340) 및 제2 인장 스프링(350)에 의해 제2 지주대(320) 및 제3 지주대(330)가 상기 커버(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버튼부(210)에 형성된 이동부(220)는 손잡이(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220)는 제1 지주대(3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측 일부가 제1 지주대(310)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이동부(220)의 일부가 몸체(44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지주대(310)의 외부로 노출된 이동부(220)의 일부가 몸체(440)를 고정 지지하고, 고정 지지하고 있던 몸체(440)를 버튼부(210)에 의해 해제시키면 몸체(440)가 지주대(300)를 따라 이동되면서 우산이 펼쳐질 수 있다.
지주대(300)는 손잡이(200)와 캡(600) 사이에 연결되고, 이동부재(400)가 이동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지주대(300)는 제1 지주대(310), 제2 지주대(320), 제1 인장 스프링(340), 제3 지주대(330), 제2 인장 스프링(350) 및 고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주대(310)는 일측이 손잡이(200)에 체결 고정되고, 타단은 제2 지주대(32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주대(310)는 제2 지주대(3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1 지주대(310)는 스톱퍼(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주대(320)는 내부 공간부에 상기 제1 인장 스프링(340)이 삽입되고, 제1 인장 스프링(340)에 의해 제1 지주대(310)가 최초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우산(10)을 작동시키면 상기 제2 지주대(3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압축된 제1 인장 스프링(340)이 압축해제되어 인장된 상태가 되고, 압축해제된 제1 인장 스프링(340)은 제2 지주대(320)를 방수피복(110)의 일측 방향으로 밀어주면서 이동시킨다.
제3 지주대(330)는 타측에는 제2 지주대(32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은 캡(600)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제3 지주대(330)는 내부 공간부에 제2 인장 스프링(350)이 삽입 고정되고, 제2 인장 스프링(350)에 의해 제2 지주대(320)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3 지주대(330) 내부로 제2 지주대(320)가 삽입되고, 제2 지주대(320) 내부로 제1 지주대(310)가 삽입된다. 이때, 제1 인장 스프링(340) 및 제2 인장 스프링(350)은 스톱퍼(311)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되고 또한, 버튼부(210)를 눌러 스톱퍼(311)를 해제시키면 압축된 제1 인장 스프링(340) 및 제2 인장 스프링(350)이 압축해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지주대(310)에서 제2 지주대(320)가 이탈되도록 이동되고, 제2 지주대(320)에서 제3 지주대(330)가 이탈되도록 이동된다.
한편, 제1 지주대(310), 제2 지주대(320) 및 제3 지주대(330)는 우산(10)의 크기에 따라 갯 수가 늘어날 수 있다.
참고로, 제1 지주대(310), 제2 지주대(320) 및 제3 지주대(330)의 작동은 사용자가 캡(600)을 열면 수축되어 있던 제1 인장 스프링(340) 및 제2 스프링(350)이 인장되어 각각의 지주대(300)가 이동될 수 있다.
고정부(360)는 제3 지주대(330)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36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60)는 회전체(410)에 형성된 암나사산(411)과 체결되고, 회전체(410)가 수나사산(361)을 따라 스크루(screw) 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재(400)는 우산대(500)를 외부로 노출시켜 펼쳐질 수 있도록 지주대(300)를 따라 이동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재(400)는 회전체(410), 권취부(420), 베어링(430) 몸체(440), 제2 와이어 권취부(450) 및 제2 와이어 가이드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41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411)이 형성되어 고정부(360)에 형성된 수나사산(361)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회전체(410)는 고정부(360)에 형성된 수나사산(361)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권취부(420)는 회전체(410)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우산대(500)에 구비된 제1 와이어(515)가 권취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권취부(420)는 외주면에 삽입홀(421)을 형성하여 삽입홀(421)을 통해 상기 제1 와이어(515)가 관통되어 회전체(410) 외주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는데, 회전체(410)는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권취부(420) 내부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410) 외주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와이어(515)가 고정될 수 있다.
권취부(420)는 회전체(4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와이어(515)가 감기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와이어(515)가 풀리도록 회전될 수 있다.
베어링(430)은 권취부(420)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권취부(420)의 회전 마찰을 줄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440)는 베어링(430)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회전체(410)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며, 외주면에 고정돌기(130)가 삽입되어 지지하는 가이드홈(441)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440)는 하기에 설명될 우산대(500)를 접을 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우산대(500)가 접히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홈(441)은 몸체(440)가 커버(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440)가 커버(100)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돌기(130)에 걸려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때, 몸체(44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가이드홈(441)에 직교되게 형성된 홈 부분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권취부(450)는 회전체(410)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회전체(410)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권취부(450)는 제2 와이어(516)를 권취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권취부(45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권취된 제2 와이어(516)가 풀리면서 제1 우산살(511), 제2 우산살(512) 및 제3 우산살(513)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제3 우산살(513) 일단에 체결고정된 우산천(700)이 펼쳐지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와이어(516)가 다시 권취되도록 감기면서 제3 우산살(513)은 제2 우산살(512) 내부로 제2 우산살(512)은 제1 우산살(511)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 와이어 권취부(450)는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거나, 회전체(410)가 고정부(360)에 형성된 수나사산(361)을 따라 손잡이(20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와이어 권취부(450)는 이동부재(400)에 체결 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하지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이어들은 제2 와이어 권취부(450)를 통해 감기지 않고, 제2 와이어 권취부(450)에 의해 당겨지면서 정리된다.
제2 와이어 가이드부(460)는 고정부(360) 일단에 체결 고정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가이드홈 측벽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을 통해 제2 와이어(516)가 관통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가이드부(460)는 고정부(360)의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우산대(500)는 이동부재(400)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이동부재(40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우산대(50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우산살(51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산살(510)은 일단에 고리형상의 링(530)으로 서로 연결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링(530)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우산살(510)은 제1 우산살(511), 제2 우산살(512), 제3 우산살(513), 탄성 스프링(514), 제1 와이어(515), 및 제2 와이어(5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산살(511)은 일측에 링(530)에 체결 고정되고, 링(530)을 따라 일정간격 이게 되게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우산살(511)은 일측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520)과 상기 이동부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우산살(511)은 타측에는 제2 우산살(512)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 우산살(511)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에는 탄성 스프링(514)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우산살(511)은 외주면에 제1 와이어(515)가 관통되어 이동되도록 구멍(5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우산살(511)은 내부에 삽입된 제2 우산살(512)이 스프링(540)에 의해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20)은 커버(100)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있는 우산대(500)를 커버(100)의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캡(600)과 마찰이 없도록 외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20)은 우산대(500)를 밀어주는 힘을 갖도록 압축 스프링의 일단 및 타단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을 사용될 수 있다.
제2 우산살(512)은 제1 우산살(511)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 우산살(512)은 제3 우산살(513)의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2 우산살(512)은 우산(10)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3 우산살(513)은 일측에 상기 제1 와이어(515)가 연결되고, 제1 우산살(511)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3 우산살(513) 탄성 스프링(514)에 의해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우산살(513)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다수개로 이루어진 제3 우산살(513)이 링(530)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방사형으로 체결 고정되며, 제3 우산살(513)의 타측에는 우산천(70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우산천(700)이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515)는 일단이 제3 우산살(513) 일단에 체결 고정되고, 타단은 제2 우산살(512)과 제 1 우산살(511)에 형성된 구멍(517)을 관통해 상기 이동정부재(400)에 구비된 회전체(410)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제1 와이어(515)는 상기 회전체(410)가 회전되면, 권취부(420)에 감기면서 제3 우산살(513)을 커버(10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3 우산살(513)에 의해 제2 우산살(512)도 같이 제1 우산살(511) 내부로 이동시킨다.
즉, 제1 와이어(515)에 의해 제1 우산살(511), 제2 우산살(512) 및 제3 우산살(513)이 접히도록 하고, 스프링(514) 의해 제1 우산살(511), 제2 우산살(512) 및 제3 우산살(513)이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시킨다.
제2 와이어(516)는 일단이 제2 와이어 가이드부(46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우산살(511), 제2 우산살(512) 및 제3 우산살(513)에 각각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제2 와이어(516)는 제2 와이어 가이드부(460)를 통해 제2 와이어 권취부(450)에 감기도록 권취될 수 있다.
즉, 제2 와이어 권취부(450)가 회전되면 제2 와이어(516)가에 체결 고정된 제1 우산살(511), 제2 우산살(512) 및 제3 우산살(513)을 각각 접히도록 이동시킨다. 또한, 제2 와이어 권취부(450)의 회전은 회전체(410)에 회전될 수 있고, 회전체(410)는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거나 캡(600)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지주대(300)가 이동되면서 지주대(300)에 체결 고정된 고정부(360)가 회전체(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캡(600)은 커버(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3 지주대(330)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며, 커버(10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캡(600)은 우천 시 우산천(700)에 묻은 빗물이 외부로 튀거나 주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6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우천 시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잡은 상태에서 버튼부(210)를 누르면 지주대(300)에 고정된 이동부(220)가 해제되어 제1 지주대(310), 제2 지주대(320) 및 제3 지주대(330)가 제1 인장스프링(340) 및 제2 인장스프링(350)에 의해 각각 이동되면서 커버(100)의 외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이동부재(400)가 지주대(300)에 구비된 이동부(220)를 따라 이동된다.
다음, 이동부재(400)가 커버(1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커버(100)에 구비된 고정돌기(130)에 걸려 멈추게 된다. 이동부재(400)가 멈추면 이동부재(400)에 체결 고정된 우산대(500)가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권취부(420)에 감겨있는 제1 와이어(515)가 풀리면서 제1 우산살(511), 제2 우산살(512) 및 제3 우산살(513)이 탄성 스프링(514)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길게 늘어난다.
이어서, 제3 우산살(513)에 체결 고정된 우산천(700)이 펼쳐지면서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빗물에 젖은 우산천이 내부로 수용되어 바닥이 빗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산천에 젖은 빗물로 인해 의복 또는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우산 100; 커버
110; 방수피복 120; 스프링
130; 고정돌기 200; 손잡이
210; 버튼부 220; 이동부
230; 코일 스프링 300; 지주대
310; 제1 지주대 311; 삽입홈
320; 제2 지주대 330; 제3 지주대
340; 제1 인장 스프링 350; 제2 인장 스프링
360; 고정부 361; 수나사산
400; 이동부재 410; 회전체
411; 암나사산 420; 권취부
421; 삽입홀 430; 베어링
440; 몸체 441; 가이드홈
450; 제2 와이어 권취부 460; 제2 와이어 가이드부
500; 우산대 510; 우산살
511; 제1 우산살 517; 구멍
512; 제2 우산살 513; 제3 우산살
514; 탄성 스프링 515; 제1 와이어
516; 제2 와이어 520; 토션 스프링
530; 링 600; 캡
610; 고무패킹 700; 우산천

Claims (7)

  1. 커버;
    상기 커버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손잡이;
    상기 커버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고정 지지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체결되고, 상기 지주대의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회동 되도록 결합된 우산대;
    중앙이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 체결 고정되고, 테두리는 상기 우산대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는 우산천; 및
    상기 커버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주대의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버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는,
    상기 손잡이 상에 결합 고정되는 제1 지주대;
    상기 제1 지주대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주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2 지주대;
    상기 제1 지주대와 제2 지주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주대를 탄성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인장 스프링;
    일측이 상기 제2 지주대와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캡과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 지주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3 지주대;
    상기 제2 지주대와 상기 제3 지주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지주대를 탄성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인장 스프링; 및
    상기 제3 지주대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신축성을 갖도록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방수피복; 및
    상기 방수피복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방수피복이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되,
    방수피복은,
    상기 이동부재가 타단으로 이동 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우산대에 구비된 제2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며,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우산살;을 포함하되,
    상기 우산살은,
    상기 토션 스프링에 체결 고정되는 제1 우산살;
    상기 제1 우산살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1 우산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우산살;
    상기 제2 우산살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 우산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우산살;
    일단이 상기 제3 우산살에 연결되고, 타단이 권취부를 통해 회전체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일단이 상기 제1 우산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 우산살과 고정되며, 상기 제2 우산살 및 제3 우산살을 탄성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6.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지주대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움 고정되며, 상기 지주대를 고정 지지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일측과 상기 손잡이의 내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7. 제 4항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상기 지주대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와 연결되어 제2 와이어가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 와이어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 와이어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제2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2 와이어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20140053561A 2014-05-02 2014-05-02 우산 KR10144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61A KR101440764B1 (ko) 2014-05-02 2014-05-02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61A KR101440764B1 (ko) 2014-05-02 2014-05-02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764B1 true KR101440764B1 (ko) 2014-09-15

Family

ID=5176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561A KR101440764B1 (ko) 2014-05-02 2014-05-02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668B1 (ko) 2016-01-22 2017-08-25 박정락 접철식 커버가 구비되는 우산
KR101997041B1 (ko) * 2018-02-08 2019-10-17 양시연 다단식 자동 펼침 우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458B1 (ko) * 1979-04-14 1983-07-30 해리 알.드폴로 자체 내장식 우산
JP2000037217A (ja) * 1998-07-21 2000-02-08 Akiyoshi Yamaji 反転する洋傘
KR20130030161A (ko) * 2011-09-16 2013-03-26 강다래 캡슐식 우산
KR200470587Y1 (ko) * 2013-10-07 2013-12-27 황준재 접이식 자동 우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458B1 (ko) * 1979-04-14 1983-07-30 해리 알.드폴로 자체 내장식 우산
JP2000037217A (ja) * 1998-07-21 2000-02-08 Akiyoshi Yamaji 反転する洋傘
KR20130030161A (ko) * 2011-09-16 2013-03-26 강다래 캡슐식 우산
KR200470587Y1 (ko) * 2013-10-07 2013-12-27 황준재 접이식 자동 우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668B1 (ko) 2016-01-22 2017-08-25 박정락 접철식 커버가 구비되는 우산
KR101997041B1 (ko) * 2018-02-08 2019-10-17 양시연 다단식 자동 펼침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6511A (es) Sombrilla plegable que tiene mecanismo de apertura y cierre operado electronicamente.
US4022233A (en) Venetian umbrella
KR101428652B1 (ko) 휴대용 우산 보관함
GB2377885A (en) Umbrella with telescopic cover attached to the ferrule when covering the umbrella and to handle when umbrella is in use
KR101440764B1 (ko) 우산
US4732285A (en) Collapsible structure
JP2017070484A (ja) 傘カバー装置及び傘
KR20160125841A (ko) 나선형 조임끈이 구비된 노터치 방식의 우산
WO2015184576A1 (zh) 一种用于折叠伞的伞套及使用该伞套的折叠伞
KR101332639B1 (ko) 우산
KR20130052945A (ko) 역 접힘 우산
US2725066A (en) Reversible umbrella
KR101287647B1 (ko) 빗물보호 우산
JP2003102527A (ja) 傘用保護カバー及び該保護カバーを取着してなる雨傘
US9585447B1 (en) Reversible umbrella
CN215014158U (zh) 一种外翻折叠雨伞
CN209862552U (zh) 一种两折电动伞
KR20100064537A (ko) 우산
KR200266363Y1 (ko) 빗물받이용 우산커버 장치
KR200470952Y1 (ko) 우산의 개폐장치
KR102111646B1 (ko) 자바라형 커버가 장착된 빗물받이 캡 장치
KR200465782Y1 (ko) 우산덮개
CN212014719U (zh) 一种具有新型结构的实用性雨伞
KR101743370B1 (ko) 핸즈프리 안전 우산
KR102532817B1 (ko) 우산용 우산 커버 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