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182Y1 - 빗물 처리용 우산 - Google Patents

빗물 처리용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182Y1
KR200450182Y1 KR2020100006292U KR20100006292U KR200450182Y1 KR 200450182 Y1 KR200450182 Y1 KR 200450182Y1 KR 2020100006292 U KR2020100006292 U KR 2020100006292U KR 20100006292 U KR20100006292 U KR 20100006292U KR 200450182 Y1 KR200450182 Y1 KR 200450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oof
cover
cover roof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림
Original Assignee
최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림 filed Critical 최준림
Priority to KR2020100006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1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45B2025/186Umbrellas with two or more cover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우산을 사용한 후 우산을 접고 실내로 들어갈 때, 빗물이 우산지붕을 타고 흘러 내려서 실내를 물로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와; 지지대의 꼭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구비되는 복수 개의 우산살과; 우산살을 덮고, 우산살의 각 홈을 개방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우산 지붕과; 지지대의 꼭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우산살 바깥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덮개 지붕살과; 우산 지붕보다 작은 형태로 덮개 지붕살을 덮는 덮개 지붕과; 우산살과 덮개 지붕살 사이에서 일단은 우산살과 연결되고 타단은 덮개 지붕살에 구비되고, 우산 지붕을 접거나 펼칠 때 덮개 지붕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가로대; 및 지지대의 꼭지에 구비되고, 우산 지붕 및 덮개 지붕 사이의 빗물이 모이는 빗물받이 통;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우산을 접을 때 빗물이 우산 지붕과 방수용 지붕 사이로 흘러내리게 하여, 빗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빗물 처리용 우산{UMBRELLA FOR HANDLING RAIN}
본 고안은 비에 젖은 우산의 빗물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우산을 접고 주택이나 관공서 등의 건물이나 차 내로 들어갈 때, 그 우산에 흘러내리는 빗물이 그대로 공간 내로 쏟아지거나 흘러내리는 바, 이와 같은 빗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빗물 처리 방법에 대하여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거나, 이에 대한 별다른 고안을 창안해 내지 못하였으나, 최근에 이르러서 관공서나 각종 사무실의 현관 입구에 빗물 처리 장비를 설치하여, 비에 젖은 우산을 기계 상단 입구에 집어넣어, 앞으로 꺼내면 우산이 나일론 봉지 내로 삽입됨으로써, 빗물이 일시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그러나, 우산의 하단 꼭지 부분이 나일론 봉지 하단부를 뚫거나, 취급 부주의로 봉지의 중간 부분이 파손되어 빗물이 밖으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고, 사용한 나일론 봉지를 폐기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빗물이 튀어 나오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함을 피할 수 없다.
더욱이, 이러한 제품은 1회성 소모품이어서 경제적으로도 낭비가 아닐 수 없고, 그 외 빗물받이 또는 우산 탈수기 등도 실용성이 없어 상용화되지 않고 있는데 비하여, 본 고안은 우산 자체의 수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내구성이 있고, 그 사용도 간단, 용이하여, 사용자가 아무런 불편을 겪지 않고, 효율적으로 빗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이야말로 참으로 실용성이 충분하다 할 것이다.
현재까지의 우산은 단순히 비를 맞지 않고 이를 피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나,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산을 사용한 후, 특정 공간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어떻게 유효하고 적절하게 처리하느냐는 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기존 우산의 지주 상단에 반경 14㎝ 크기의 지붕살을 연결한 방수용 덮개 지붕을 설치하여, 기존 우산의 지붕막 위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꼭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구비되는 복수 개의 우산살과; 상기 우산살을 덮고, 상기 우산살의 각 홈을 개방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우산 지붕과; 상기 지지대의 꼭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우산살 바깥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덮개 지붕살과; 상기 우산 지붕보다 작은 형태로 상기 덮개 지붕살을 덮는 덮개 지붕과; 상기 우산살과 덮개 지붕살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우산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 지붕살에 구비되고, 상기 우산 지붕을 접거나 펼칠 때 상기 덮개 지붕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가로대; 및 상기 지지대의 꼭지에 구비되고, 상기 우산 지붕 및 덮개 지붕 사이의 빗물이 모이는 빗물받이 통;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의 상기 덮개지붕은, 끝단 폭 일부, 예컨대 끝단 1/3 정도가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의 상기 각 우산살은 바깥쪽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상기 덮개 지붕살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가로대의 일단이 상기 우산살의 홈 내부를 이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빗물 처리용 우산의 상기 각 우산살은 바깥쪽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일단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대의 타단은 상기 덮개 지붕살에 고정되어 상기 가로대의 일단이 상기 우산살의 홈 내부를 이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비에 젖은 우산을 접거나 세워두는 경우, 빗물이 우산 지붕과 덮개 지붕 사이로 모여서 빗물받이 통에 모이게 되므로, 빗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우산의 자연 건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접는 중과 접고 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 사용 시, 빗물받이 통에 빗물을 모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접는 중과 접고 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접는 중과 접고 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4면체 또는 원형 상태의 우산 지붕살 중 지지대 상단 결합체에서 16㎝ 거리를 두고, 그로부터 2㎝ 안쪽의 잔여 지붕살 자체 또는 그보다 약 0.5㎝ 높게 가공된 지붕살 내부에 홈을 내어 그 내부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반경 14㎝ 크기의 덮개 지붕의 지붕살 중 중심부에서 7㎝ 지점 안쪽에 길이 5㎝ 크기의 가로대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을 우산 지붕살 홈 내에 있는 스프링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우산 조절 장치를 작동하여 우산 지붕을 개폐하면, 방수용 덮개지붕도 개폐된다. 여기서, 조절장치 작동 시, 우산 지붕은 그 순간 개폐되나, 방수용 덮개 지붕은 가로대의 길이와 그 이동거리 및 스프링의 저항 때문에, 우산 지붕보다 약 1-2분 정도 뒤늦게 닫힌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산을 거꾸로 세우면, 우산 지붕 위로 흘러내리는 빗물은 거의 90% 이상 우산 지붕막과 덮개 지붕 사이로 흘러내리게 된다.
빗물은 지붕살 결합체의 하단부 기둥에 연결된 가로 2.5㎝, 세로 2.5㎝, 높이 5㎝ 크기의 FRP 재질의 빗물받이 통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므로, 빗물이 인체나 실내, 차내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 빗물받이 통이나 그 상단부에 모이거나 증발된다. 그 이전에 우산을 다시 사용할 때에도 남아있던 빗물은 덮개 지붕을 타고 밖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아무런 불편 없이 우산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접는 중과 접고 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 사용 시, 빗물받이 통에 빗물을 모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100)은 지지대(10), 우산살(20), 우산 지붕(30), 덮개 지붕살(40), 덮개 지붕(50), 가로대(60), 및 빗물받이 통(7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빗물 처리용 우산(100)은 복수 개의 우산살(20)에 의해 펼쳐지는 우산 지붕(30) 및 덮개 지붕살(40)에 의해 펼쳐지는 덮개 지붕(50)으로 구성되고, 우산 지붕 및 덮개 지붕(30, 50)은 다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우산 및 덮개 지붕(30, 50)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천 연결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천 연결구에 우산살 및 덮개 지붕살(20, 40)의 끝단을 끼워, 우산살 및 덮개 지붕살(20, 40)이 펼쳐지는 동안 우산 지붕 및 덮개 지붕(30, 50)이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지지대(10)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100)의 중심에 위치하여, 우산(100)의 지지수단이 된다.
우산살(2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덮개 지붕살(40)과 함께 지지대(10)의 꼭지부에 집중적으로 결합된다. 우산살(20)은 지지대(10)의 꼭지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바깥쪽에 홈(21)이 형성된다. 홈(21) 내부에는 스프링(25)이 내재된다. 스프링(25)의 일단은 우산살(20)의 홈(21) 끝단 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로대(60)의 일단에 연결된다.
우산 지붕(30)은 우산살(20)을 덮는다. 여기서, 우산 지붕(30)은 우산살(20)의 각 홈(21)을 개방시키는 개구부(31)를 둔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산 지붕(30)에서 홈(21) 부분만을 개방시키는 개구부(31)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우산 지붕(30) 중 덮개 지붕(50)이 덮이는 전 부분을 개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덮개 지붕살(4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지지대(10)의 꼭지부에 집중적으로 결합된다. 덮개 지붕살(40)은 우산살(20) 바깥쪽에 형성된다. 덮개 지붕살(40)의 개수와 우산살(20)의 개수는 동일하게 구비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덮개 지붕(50)은 덮개 지붕살(40)을 덮는다. 덮개 지붕(50)은 우산 지붕(30)보다 약 1/3 정도 크기의 작은 형태로, 지지대(10)의 꼭지 부분을 중심해서 위치하는데, 덮개 지붕(50) 막 중에서 1/3 끝단은 탄성수지로 제작하게 된다. 덮개 지붕(50)은 전술한 구성들로 인해, 우산 지붕(30)이 펼쳐진 경우,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밀착되어 우산 지붕(30)과의 사이의 공간은 없어지게 된다.
덮개 지붕(50)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살(20), 하기되는 가로대(60), 및 스프링(25)의 작동에 의해, 우산 지붕(30) 보다 1-2분 시차를 두고 접히게 된다. 그동안 덮개 지붕(50)과 우산 지붕(30) 사이로 흘러내리는 빗물은 빗물받이 통(70)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가로대(60)는 우산살(20)과 덮개 지붕살(40) 사이에 설치된다. 즉, 가로대(60)의 일단은 우산살(20)과 연결되고, 타단은 덮개 지붕살(40)과 연결된다. 여기서, 가로대(60)의 타단은 덮개 지붕살(40)에 고정되고, 가로대(60)의 일단은 우산살(20)의 홈(21)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5)과 연결되어, 우산살(20)의 홈(21)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가로대(60)는 우산 지붕(30)을 접거나 펼칠 때, 덮개 지붕(50)이 함께 접히거나 펼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우산(100)을 펼치는 경우,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살(20)과 스프링(25)의 작동으로 인해 가로대(60)가 홈(21) 내부를 이동하면서 덮개 지붕(40)과 우산 지붕(30)이 함께 펼쳐진다. 우산(100)을 접는 경우,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60)가 홈(21) 내부를 이동하면서 덮개 지붕(40)과 우산 지붕(30)이 1~2분 시차를 두고 접히고, 그 다음 탄성을 가진 덮개 지붕(40) 끝단의 장력에 의해서 덮개 지붕(40)의 외부가 수축 된다.
빗물받이 통(70)은 지지대(10)의 꼭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지팡이 하단부의 기능도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안과 유사하지만, 가로대의 하부에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접는 중과 접고 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5, 도 6a와 도 6b, 및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200)은 지지대(210), 우산살(220), 우산 지붕(230), 덮개 지붕살(240), 덮개 지붕(250), 가로대(260), 및 빗물받이 통(270)으로 구성된다.
지지대(210)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200)의 중심에 위치하여, 우산(200)의 지지수단이 된다.
우산살(22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덮개 지붕살(240)과 함께 지지대(210)의 꼭지부에 집중적으로 결합된다. 우산살(220)은 지지대(210)의 꼭지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바깥쪽에 홈(221)이 형성된다.
우산 지붕(230)은 우산살(220)을 덮는다. 여기서, 우산 지붕(230)에는 우산살(220)의 각 홈(221)을 개방시키는 개구부를 둔다.
덮개 지붕살(24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지지대(210)의 꼭지부에 집중적으로 결합된다. 덮개 지붕살(240)은 우산살(220) 바깥쪽에 형성된다.
덮개 지붕(250)은 덮개 지붕살(240)을 덮는다. 덮개 지붕(250) 막 중에서 1/3 끝단은 탄성수지로 제작하게 된다.
가로대(260)는 우산살(220)과 덮개 지붕살(240) 사이에 설치된다. 가로대(260)의 일단은 우산살(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덮개 지붕살(240)과 연결된다. 가로대(260)의 일단에는 스프링(265)을 연결시킨다. 가로대(260)의 스프링 연결부는 덮개 지붕살(240)에 고정되고, 가로대(260)의 일단은 우산살(20)의 홈(21)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가로대(260)는 우산 지붕(230)을 펼치거나 접을 때, 덮개 지붕(250)은 함께 펼치거나, 1~2분 후 접히게 된다. 즉, 우산(200)을 펼치는 경우,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살(220)과 스프링(265)의 작동으로 인해 가로대(260)가 홈(221) 내부를 이동하면서 덮개 지붕(240)과 우산 지붕(230)이 함께 펼쳐진다. 우산(200)을 접는 경우,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260)가 홈(221) 내부를 이동하면서 스프링(265)의 탄성과 가로대(260)의 길이에 의해서 덮개 지붕(240)이 1~2분 후에 우산 지붕(230) 위로 접히고 이 때, 탄성을 가진 덮개 지붕(240)이 서서히 접히게 된다.
빗물받이 통(270)은 지지대(210)의 꼭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지팡이 하단부의 기능도 있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안과 유사하지만, 가로대의 상부에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9a와 도 9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고, 도 10a와 도 10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을 접는 중과 접고 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8,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300)은 지지대(310), 우산살(320), 우산 지붕(330), 덮개 지붕살(340), 덮개 지붕(350), 가로대(360), 및 빗물받이 통(370)으로 구성된다.
지지대(310)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300)의 중심에 위치하여, 우산(300)의 지지수단이 된다.
우산살(32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덮개 지붕살(340)과 함께 지지대(310)의 꼭지부에 집중적으로 결합된다.
우산 지붕(330)은 우산살(320)을 덮는다.
덮개 지붕살(34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지지대(310)의 꼭지부에 집중적으로 결합된다. 덮개 지붕살(340)은 우산살(320) 바깥쪽에 형성된다. 덮개 지붕살(340)은 지지대(310)의 꼭지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안쪽에 홈(341)이 형성된다.
덮개 지붕(350)은 덮개 지붕살(340)을 덮는다. 덮개 지붕(350) 막 중에서 1/3 끝단은 탄성수지로 제작하게 된다.
가로대(360)는 우산살(320)과 덮개 지붕살(340) 사이에 구비된다. 즉, 가로대(360)의 일단은 우산살(320)과 연결되고, 타단은 덮개 지붕살(340)과 연결된다. 가로대(360)는 타단에 구비되는 스프링(365)을 더 포함한다. 가로대(360)의 일단은 우산살(360)에 고정되고, 가로대(360)의 타단은 덮개 지붕살(340)의 홈(341)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가로대(360)는 우산 지붕(330)을 접거나 펼칠 때, 덮개 지붕(350)이 함께 접히거나 펼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우산(300)을 펼치는 경우,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살(320)과 스프링(365)의 작동으로 인해 가로대(360)가 홈(341) 내부를 이동하면서 덮개 지붕(340)과 우산 지붕(330)이 함께 펼쳐진다. 우산(300)을 접는 경우,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60)가 홈(341) 내부를 이동하면서 덮개 지붕(340)과 우산 지붕(330)이 접히는데, 스프링(365)과 덮개 지붕(340)의 탄성으로 서서히 접히게 된다.
빗물받이 통(370)은 지지대(310)의 꼭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지팡이 하단부의 기능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처리용 우산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빗물 처리용 우산
10, 210, 310; 지지대
20, 220, 320; 우산살
21, 221, 341; 홈
25, 265, 365; 스프링
30, 230, 330; 우산 지붕
31; 개구부
40, 240, 340; 덮개 지붕살
50, 250, 350; 덮개 지붕
60, 260, 360; 가로대
70, 270, 370; 빗물받이 통

Claims (5)

  1.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꼭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구비되는 복수 개의 우산살과;
    상기 우산살을 덮고, 상기 우산살의 각 홈을 개방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우산 지붕과;
    상기 지지대의 꼭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우산살 바깥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덮개 지붕살과;
    상기 우산 지붕보다 작은 형태로 상기 덮개 지붕살을 덮는 덮개 지붕과;
    상기 우산살과 덮개 지붕살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우산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 지붕살에 구비되고, 상기 우산 지붕을 접거나 펼칠 때 상기 덮개 지붕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가로대; 및
    상기 지지대의 꼭지에 구비되고, 상기 우산 지붕 및 덮개 지붕 사이의 빗물이 모이는 빗물받이 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용 우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지붕은,
    끝단 폭 일부가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용 우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우산살은 바깥쪽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의 타단이 상기 덮개 지붕살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대의 일단이 상기 우산살의 홈 내부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용 우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우산살은 바깥쪽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일단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대의 타단은 상기 덮개 지붕살에 고정되어 상기 가로대의 일단이 상기 우산살의 홈 내부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용 우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지붕살은 안쪽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타단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대의 일단은 상기 우산살에 고정되어 상기 가로대의 타단이 상기 덮개 지붕살의 홈 내부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용 우산.
KR2020100006292U 2009-09-02 2010-06-15 빗물 처리용 우산 KR200450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292U KR200450182Y1 (ko) 2009-09-02 2010-06-15 빗물 처리용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37 2009-09-02
KR2020100006292U KR200450182Y1 (ko) 2009-09-02 2010-06-15 빗물 처리용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182Y1 true KR200450182Y1 (ko) 2010-09-08

Family

ID=4447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292U KR200450182Y1 (ko) 2009-09-02 2010-06-15 빗물 처리용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1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3945A (zh) * 2018-10-27 2019-01-04 李明 一种张合式防滴漏雨伞
KR102000223B1 (ko) 2018-08-27 2019-07-15 정진우 우산용 빗물 받이 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984A (en) * 1995-09-12 1997-06-24 Dubunsky; Emanuel Special fold-up umbrella having rib and frame design for easier opening and closing of umbrella, and two canopies designed to stabilize the ribs and vent the air
KR20090009588U (ko) * 2009-09-02 2009-09-23 최준림 빗물 처리용 우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984A (en) * 1995-09-12 1997-06-24 Dubunsky; Emanuel Special fold-up umbrella having rib and frame design for easier opening and closing of umbrella, and two canopies designed to stabilize the ribs and vent the air
KR20090009588U (ko) * 2009-09-02 2009-09-23 최준림 빗물 처리용 우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223B1 (ko) 2018-08-27 2019-07-15 정진우 우산용 빗물 받이 캡
CN109123945A (zh) * 2018-10-27 2019-01-04 李明 一种张合式防滴漏雨伞
CN109123945B (zh) * 2018-10-27 2020-11-03 东阳市晴之缘制伞有限公司 一种张合式防滴漏雨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11451A1 (en) Inverse umbrella
JP4628368B2 (ja)
KR200393832Y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0450182Y1 (ko) 빗물 처리용 우산
EP2107877A1 (en) A portable and compact umbrella
KR20090009588U (ko) 빗물 처리용 우산
KR101332639B1 (ko) 우산
KR101255844B1 (ko) 우산
KR200403063Y1 (ko) 우산
JP3039090U (ja) 排水構造を有する雨傘用防水筒
KR200465782Y1 (ko) 우산덮개
CN210445945U (zh) 一种适用于多场合的避雨装置
KR200271189Y1 (ko) 케이스 수납용 우산
KR100913419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KR20140016027A (ko) 빗물 흐름 방지 우산
KR101012868B1 (ko) 이중 살대로 이루어진 통풍우산의 살대 고정구 및 살대고정방법
CN205813808U (zh) 一种双层反向伞
KR101911064B1 (ko) 물기제거우산
KR101246927B1 (ko)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KR20190127131A (ko) 역방향으로 접히는 살없는 내장형 우산
KR102251480B1 (ko) 빗물받이 기능을 갖는 우산받침대
KR200275642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CN215907154U (zh) 一种张拉式智能开合屋盖
KR100898421B1 (ko) 빗물받이 케이스가 내장되는 우산
EP0049226A2 (en) Improvements in and/or related to umbrellas and large umbrell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