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642Y1 -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 Google Patents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642Y1
KR200275642Y1 KR2020020004363U KR20020004363U KR200275642Y1 KR 200275642 Y1 KR200275642 Y1 KR 200275642Y1 KR 2020020004363 U KR2020020004363 U KR 2020020004363U KR 20020004363 U KR20020004363 U KR 20020004363U KR 200275642 Y1 KR200275642 Y1 KR 200275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haft
case
wir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대
Original Assignee
이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대 filed Critical 이상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642Y1/ko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에 케이스가 함께 구비되게 하되, 접힌 우산을 손의 접촉없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자동으로 수용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우산피에 손이 접촉되는 것에 의해 빗물이 손에 묻는 것과 일일이 수작업으로 비닐봉투 또는 케이스에 접힌 우산을 삽입 수용시킴에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우산피(100)를 포함하고 절첩가능한 다수의 우산살대(111)를 지지하는 결합뭉치(112) 및 커넥터(113)가 제1축(11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축(110)의 하부측으로 제2축(120)과, 하단부에 로크버튼(132)을 갖는 손잡이(131)를 갖는 제3축(130)이 각각 제1축(110)과 제2축(120)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성되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제1축(110)의 외부에 상방의 개구부를 가지면서 와이어(1)로 상기 커넥터(113)와 연결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가 제2축(120) 상에 걸림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케이스 로킹부(3)와; 상기 제2축(120) 내부로 제3축(130)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1)에 당김력이 작용되게 하여 우산살대(111) 및 결합뭉치(112), 커넥터(113)를 포함하는 제1축(110)이 케이스(2) 내부로 삽입 수용되게 하는 와이어 당김부(4)로 구성됨으로써 접힌 우산을 손의 접촉없이 케이스 내부에 자동으로 수용 보관될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기존 우산피에 손이 접촉되는 것에 의해 빗물이 손에 묻는 것과 일일이 수작업으로 비닐봉투 또는 케이스에 접힌 우산을 삽입 수용시킴에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Umbrella with case}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에 케이스가 함께 구비되게 하되, 접힌 우산을 손의 접촉없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자동으로 수용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우산피에 손이 접촉되는 것에 의해 빗물이 손에 묻는 것과 일일이 수작업으로 비닐봉투 또는 케이스에 접힌 우산을 삽입 수용시킴에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2단 또는 3단식의 절첩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통상 우산을 접을 때에는 우산피에 대한 손의 접촉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우천시 실내로 들어가기 위해 우산을 접을 때에는 손에 빗물이 묻을 수 밖에 없고, 사용자는 다시 그 빗물 묻은 손을 닦아야만 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우산을 접은 후에도 다시 비닐봉지를 찾아 그 비닐봉지에 접은 우산을 넣어 보관해야만 됨으로써 사용의 불편성 및 번거로움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또한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우산을 접은 후, 그 접은 우산의 우산피를 다시 가지런히 말아 케이스 안에 삽입 수용시켜야만 되는 바, 이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우산에 케이스가 함께 구비되게 하되, 접힌 우산을 손의 접촉없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자동으로 수용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우산피에 손이 접촉되는 것에 의해 빗물이 손에 묻는 것과 일일이 수작업으로 비닐봉투또는 케이스에 접힌 우산을 삽입 수용시킴에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접힌 우산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입구가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내부로 접힌 우산이 삽입 수용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우산이 접힘과 동시에 우산피의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우산피를 가지런히 정렬해야되는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산피를 포함하고 절첩가능한 다수의 우산살대를 지지하는 결합뭉치 및 커넥터가 제1축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축의 하부측으로 제2축과, 하단부에 로크버튼을 갖는 손잡이를 갖는 제3축이 각각 제1축과 제2축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성되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의 외부에 상방의 개구부를 가지면서 와이어로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가 제2축 상에 걸림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케이스 로킹부와; 상기 제2축 내부로 제3축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에 당김력이 작용되게 하여 우산살대 및 결합뭉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축이 케이스 내부로 삽입 수용되게 하는 와이어 당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 상부 개방형의 통체로 케이스 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의 하부에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에 의해 주름부가 펴지면서 입구가 확장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 상부 개방형의 통체로 케이스 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의 하부에 파지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방 개구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면서 이의 중간 일측방으로 수직의 슬릿이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의 양측으로 스프링 상부받침턱이 돌출 형성되는 식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중간가이드와, 상기 중간가이드의 가이드홈 및 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된 파지판과, 상기 파지판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선단에 스프링 하부받침턱이 돌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중간가이드의 스프링 상부받침턱 및 받침판의 스프링 하부받침턱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로킹부는 제2축의 하단부 외측에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하단부 중앙에는 하부삽입체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삽입체는 하부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그 공간부 양측에 걸림돌부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가이드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부측 중앙에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축관통공이 형성되면서 이의 양측으로 와이어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통과공을 통해 와이어가 상기 회동가이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당김부는 회동가이드에 와이어가 통과되는 상부측 개구부 및 하부측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통과된 와이어의 단부측에 상기 하부측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공이가 형성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고, 제3축의 상부측에는 중간 수직방향으로 와이어 슬릿을 갖는 공이 수용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상부측에 접촉돌부가 형성된 탄성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산피를 포함하는 일측 우산살대와 타측 우산살대 사이에 한 쌍의 우산정렬바아A,B가 절곡부에 의해 접힘이 가능하게 상호 연결 및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우산살대에 상호 접하게 구비되는 제1,2연결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2연결관 내부에는 일단은 제1연결관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우산살대에 각각 고정된 스프링이 장착되면서 상기 제2연결관과 우산살대의 연결부위 사이의 스프링 직경을 크게 하여 상기 스프링에 탄지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상태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b는 케이스가 제2축 상에 로킹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c는 와이어의 공이가 제3축의 탄성편에 걸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d는 제3축이 제2축 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편이 공이를 가지고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회동가이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탄성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분리사시도.
도 5b는 초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c는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우산정렬부의 구성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와이어
110:제1축
111,111a,111b:우산살대 112:결합뭉치
113:커넥터 114,115:스프링A,B
120:제2축
130:제3축
131:손잡이 131A:삽입홈
132:로크버튼
2:케이스
21:케이스 몸체 21A:주름부
22:파지부
220:누름판 221:중간가이드
221A:가이드홈 221B:슬릿
221C:스프링 상부받침턱 222:파지판
222A:가이드돌부 223:받침판
223A:스프링 하부받침턱 224:복귀스프링
225:연결대 225A:이탈방지턱
3:케이스 로킹부
30A:걸림돌부 30B:하부삽입체
31:공간부
32:회동가이드
320:회전축 321:상부돌부
322:하부돌부 323:걸림고정홈33:축관통공 34:통과공
4:와이어 당김부
41:상부측 개구부 42:하부측 개구부
43:롤러 44:공이
45:탄성편
451:공이 수용홈 452:슬릿
453:접촉돌부
5:우산정렬부
51,52:우산정렬바아A,B 53:절곡부
54,55:제1,2연결관 56:스프링
56A:탄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상태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우산의 펼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 우산은 통상에서와 같이 제1축(110) 하부로 제2축(120)이 상기 제1축(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축(120) 하부로 제3축(130)이 제2축(1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축(110)의 상부측에는 절첩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다수의 우산살대(111)를 지지하는 결합뭉치(112) 및 커넥터(113)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통상의 우산에 있어, 본 고안은 제1축(110)의 외부에 우산이 접힌 상태로 수용되는 케이스(2)가 제1축(110) 상에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2)와 커넥터(113)는 와이어(1)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가 제2축(120)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2축(120) 상에서 로킹되게 하는 수단으로서 케이스 로킹부(3)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로킹부(3)는 제2축(120)의 하단부 외측에 걸림돌부(3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삽입체(30B) 내부에는 한 쌍의 회동가이드(32)가 회전축(320)으로 회동가능하게 대향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삽입체(30B)의 내측 하부에는 공간부(3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2축(120) 및 제3축(13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축관통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공(33)의 양측에는 일단이 커넥터(113)에 고정된 와이어(1)가 통과되는 와이어 통과공(34)이 형성되어 있고, 그 통과된 와이어(1)는 회동가이드(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가이드(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돌부(321)와 하부돌부(322) 사이에 제2축(120)의 걸림돌부(30A)(도 1a 참조)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걸림고정홈(323)이 내측 함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부(321)에 회전축(320)이 축설되며, 상부돌부(321)의 상면과 하부돌부(322)의 단부측에는 각각 상.하부측 개구부(41)(42)가 각각 형성되어 상부측 개구부(4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와이어(1)가 하부측 개구부(42)를 통해 통과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통과된 와이어(1)의 단부측에는 상기 하부측 개구부(42)보다 큰 직경으로 공이(44)기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측 개구부(42)의 내측부에는 와이어(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43)가 장착된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축(130)의 상부측에는 상기 제3축(130)이 제2축(120) 내부로 삽입될 때 함께 그 내부로 삽입되는 탄성편(45)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편(4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이(44)가 수용되는 공이 수용홈(451)이 하부측에 상방 개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이 수용홈(451)의 중간에는 수직방향의 슬릿(452)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452)을 통해 공이(44)에 연결된 와이어(1)가 통과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이 수용홈(451)의 상부측에는 단부측이 라운딩된 접촉돌부(453)가 형성되어 제2축(12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제3축(130)이 제2축(120) 내부로 삽입될 때 회동가이드(32)의 회동에 의해 공이(44)가 탄성편(45)을 누름으로 해서 상기 탄성편(45)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여 제3축(130)이 제2축(120)의 내부 삽입되게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회동가이드(32)의 상.하부측 개구부(41)(42)와 공이(44), 그리고 탄성편(45)은 제3축(130)이 제2축(120) 내부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1)에 당김력이 작용되게 하는 수단인 와이어 당김부(4)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이다.
그리고 손잡이(131)에 형성된 로크버튼(132)은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구조 및 작동관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14, 115는 통상의 스프링A,B이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축(110) 상의 케이스(2)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120) 상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와이어(1)로 연결된 커넥터(113) 및 이의 상부측 결합뭉치(112)가 케이스(2)와 제1축(110) 상의 하부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우산피(100)를 포함하는 우산살대(111)가 접혀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축(130)을 제2축(120)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제3축(130)의 상부측에 구비된 탄성편(45)의 공이 수용홈(451)에 회동가이드(32)의 단부측에 위치된 공이(44)가 탄성편(45)을 누르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탄성편(45)의 접촉돌부(453)가 제2축(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이 해제됨으로써 탄성편(45)이 상기 제2축(120) 내부로 삽입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 공이(44)에 연결된 와이어(1)는 공이 수용홈(451)의 슬릿(452)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공이(44)가 탄성편(45)에 걸림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제3축(130)이 제2축(120) 내부로 계속해서 삽입되면, 상기 제3축(13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는 탄성편(45)에 의해 공이(44)가 따라서 함께 이동됨으로써 와이어(1)에 당김력이 작용되고, 그 당김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1)의 일단이 고정된 커넥터(113) 및 결합뭉치(112)와 제1축(110)이 제2축(120) 외부로 삽입되는 식으로 하향 이동되어 케이스(2) 내부로 수용됨으로써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힘 및 수용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3축(130)은 케이스(2)의 하부삽입체(30B) 외측으로 상기 제3축(130)의 하단부 손잡이(131)에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삽입홈(131A)이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131)에 형성된 통상의 로크버튼(132)이 작동되는 것에 의해 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우산을 접는 동작중의 축의 접힘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케이스(2)가 아래로 당겨져 회동가이드(32)의 단부가 제2축(120)의 걸림돌부(30A)에 닿으면, 회동가이드(32)가 회전하며 걸림고정홈(323)은 눌리어져 제2축(120)과 제3축(130)간의 지지력을 해제시키게 되고 제3축(130)은 제2축(120)의 안으로 삽입된다. 삽입된 제3축(130)은 와이어(1)로 연결된 커넥터(113)를 당기게 되고, 당겨지는 커넥터(113)의 하부가 제2축(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스토퍼(미도시됨)를 눌러 제1축(110)과 제2축(120)간의 지지력을 해제시키게 되어 커넥터(113) 및 우산살대(111)가 결합된 제1(110)축은 아래로 당겨져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2)에 뚜껑(미도시됨)이 씌워짐으로써 케이스(2) 내부에 우산이 접힌 상태로 수용되는 일련의 과정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뚜껑은 케이스(2)에 부착된다.
그리고 다시 우산을 펼치고자 할 때에는 통상의 우산과 같이 손잡이(131)의 로크버튼(132)을 누르는 것에 의해 케이스(2)에 대한 제3축(130)의 로킹이 해제되고, 제3축(130)은 통상의 우산과 같이 축 내부 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제2축(12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며, 상기 제3축(130)과 함께 공이(44)가 걸어진 탄성편(45)도 함께 하향 이동되어 와이어(1)에 대한 당김력이 해제됨으로써 축 내부 스프링에 의해 제1축(110)과 결합뭉치(112) 및 커넥터(113)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케이스(2)로부터 벗어나 펼쳐지게 되어 제1,2,3축(110)(120)(130)이 모두 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3축(130)의 완전한 인출에 의해 회동가이드(32)는 탄성편(45)에 의해 제2축(120)의 걸림돌부(30A)로부터 자동 이탈됨으로써 통상의 우산과 같이 스프링(115)에 의해 커넥터(113)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우산살대와 우산피는 펴지게 되며, 동시에 와이어(1)의 작용에 의해 케이스(2)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게 된다.
제1,2,3축(110)(120)(130)이 완전히 이탈하여 펴질때까지는 케이스(2)는 와이어(1)에 의해 로킹상태가 유지되어 제2축(120)과 같은 위치에 있게되며, 제1,2,3축(110)(120)(130)이 완전히 펴진후에는 커넥터(113)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커넥터(113)와 와이어(1)로 연결된 케이스는 최상부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펼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스(2)는 다수의 주름부(21A)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통체로 케이스 몸체(21)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 몸체(21)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누름판(220)으로 구성된 파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2)의 누름판(220)을 손으로 잡고 쥐게 되면 케이스 몸체(21)는 그 주름부(21A)가 펴지면서 상광하협 형태로 입구가 확장되고, 이 확장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 몸체(21) 내부로 접혀진 우산이 수용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스(2)는 다수의 주름부(21A)를 갖는상방 개구형의 통체로 케이스 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21)의 하단부에는 파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22)는 케이스 몸체(21)의 하단부를 따라 하방 내측으로 경사지게 다수 구비되는 중간가이드(221)에 결합된 파지판(222)이 그 경사진 중간가이드(221)의 안내를 받고 하향 이동되게는 것에 의해 다수의 주름부(21A)를 갖는 케이스 몸체(21)의 입구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간가이드(221)는 상방 개구형의 가이드홈(221A)이 형성되어 있고, 이의 중간 일측방으로 수직의 절개홈(221B)이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452)의 양측으로 스프링 상부받침턱(221C)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상부받침턱(221C)에 의해 후술되어질 복귀스프링(224)의 상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지판(222)은 내측에 가이드돌부(222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중간가이드(221)의 가이드홈(221A)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중간가이드(221)의 절개홈(221B)에 의해 파지판(222)의 가이드돌부(222A)가 중간가이드(221)의 가이드홈(221A)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것이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중간가이드(221)의 하부측에는 받침판(223)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223)에 의해 중간가이드(221) 하부측이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받침판(223)의 선단에는 스프링 하부받침턱(223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판(223)의 스프링 하부받침턱(223A)과 중간가이드(221)의 스프링 상부받침턱(221C) 사이에 복귀스프링(224)이 탄력 설치되고, 상기 복귀스프링(224)에 의해파지판(222)은 하향 이동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225는 케이스 몸체(21)에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단은 이탈방지턱(225A)에 의해 중간가이드(22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연결대이다. 또한 30B는, 하부삽입체로서, 이의 내부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파지부(2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판(222)을 손으로 쥐고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파지판(222)은 복귀스프링(22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향 이동되는데, 이때 파지판(222)의 가이드돌부(222A)가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중간가이드(221)의 가이드홈(221A)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주름부(21A)(도 5a 참조)를 갖는 케이스 몸체(21)의 입구가 확장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접혀진 우산이 상기 케이스 몸체(21)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그 당겨진 파지판(222)에서 손을 놓게 되면, 압축된 복귀스프링(224)이 자체 탄성력으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상기 파지판(222)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2)에 하부삽입체(30B)를 형성하여 손잡이(131)의 삽입홈(131A)에 삽입되게 하는 것은, 다단축에 있어 축이 펴진상태에서 나타나는 축간의 중첩되는 길이를, 축을 접었을 때(삽입) 손잡입(131) 내부로 일부 수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산을 완전히 접었을때 우산의 접힌 전체길이를 짧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도 6은 본 고안의 우산정렬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 우산정렬부(5)는 우산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피를 가지런히 정리하는 것을 사람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우산이 접힘과 동시에 그 정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우산피(100)를 포함하는 일측 우산살대(111A)와 타측 우산살대(111B) 사이에 한 쌍의 우산정렬바아A,B(51)(52)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우산정렬바아A,B(51)(52)의 각 일측단은 상기 우산살대(111A)(111B) 중간 절곡부(53)에서 상호 연결되고 타측단은 각각 일측 우산살대(111A) 및 타측 우산살대(111B)에 연결된다.
그 연결을 위해 한 쌍의 제1,2연결관(54)(55)이 서로 접하게 우산살대(111A)(111B)에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제1,2연결관(54)(55)은 스프링(56)이 내장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56)의 일단은 제1연결관(54)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우산살대(111A)(111B)에 고정되며, 제2연결관(55)과 각 우산살대(111A)(111B)의 연결부위(111C) 사이의 스프링(56) 직경은 상기 제2연결관(55)의 내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탄지부(56A)를 구성한다.
그리고 우선정렬바아A(51)의 타측단은 일측 우산살대(111A)의 제1연결관(54)에 연결 및 고정되고, 우산정렬바아B(52)의 타측단은 타측 우산살대(111B)의 제2연결관(55)에 연결 및 고정된다. 상기 우산정렬바아A,B(51)(52)는 말리는 탄력을 가진 얇은 재질을 사용한다. 이때, 스프링(56)의 힘과 우산피정렬바아의 말리는 탄력힘은 우산이 펴지는 것에 장애를 주지 않을 정도로 약해야 하며, 우산이 접혔을 때 얇은 재질의 우산피를 한쪽으로 접히게 할 수 있을 정도의 힘만 있으면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우선정렬부(5)는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연결관(54) 및 제2연결관(55)이 스프링(56)의 탄지부(56A)를 압축한 상태가 되고, 우산이 접히는 중에는 상기 스프링(56)에 대한 가압력의 해제로 압축된 스프링(56)의 탄지부(56A) 복원력이 제1연결관(54) 및 제2연결관(55)을 통해 우선정렬바아A(51) 및 우산정렬바아B(52)에 각각 작용됨으로써 상기 우선정렬바아A(51) 및 우산정렬바아B(52)는 절곡부(53)를 중심으로 서로 접히게 되고, 우산정렬바아 자체의 말리는 성질의 작용을 받아 우산살대(111A)(11B) 간의 우산피(100)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우산피정렬바아A,B(51)(52)의 끝부분에는 우산살대(11a)(11b)가 완전히 접혔을 때 제1,2연결관(54)(55)가 결합되는 최종살대의 상호간의 거리만큼의 간격을 가진 홈을 가지게 되며, 이 홈은 우산이 펴진 상태에서는 가운데 지점이 접혀 우산의 균형을 유지하고, 그리고 접혔을 때는 안쪽지점이 접혀 우산피(100)가 접힐 때 부재간에 서로 밀리는 힘이 발생하여 우산피(100)가 접히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힌 우산을 손의 접촉없이 케이스에 자동으로 수용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우산피에 손이 접촉되는 것에 의해 빗물이 손에 묻는 것과, 일일이 수작업으로 비닐봉투 또는 케이스에 접힌 우산을 삽입 수용시킴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힌 우산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입구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내부로 접힌 우산이 삽입 수용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산이 접힘과 동시에 우산피의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우산피를 가지런히 정렬해야되는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Claims (6)

  1. 우산피(100)를 포함하고 절첩가능한 다수의 우산살대(111)를 지지하는 결합뭉치(112) 및 커넥터(113)가 제1축(11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축(110)의 하부측으로 제2축(120)과, 하단부에 로크버튼(132)을 갖는 손잡이(131)를 갖는 제3축(130)이 각각 제1축(110)과 제2축(120)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구성되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제1축(110)의 외부에 상방의 개구부를 가지면서 와이어(1)로 상기 커넥터(113)와 연결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가 제2축(120) 상에 걸림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케이스 로킹부(3)와;
    상기 제2축(120) 내부로 제3축(130)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1)에 당김력이 작용되게 하여 우산살대(111) 및 결합뭉치(112), 커넥터(113)를 포함하는 제1축(110)이 케이스(2) 내부로 삽입 수용되게 하는 와이어 당김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는,
    다수의 주름부(21A)를 갖는 상부 개방형의 통체로 케이스 몸체(21)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21)의 하부에 파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22)에 의해 주름부(21A)가 펴지면서 입구가 확장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는,
    다수의 주름부(21A)를 갖는 상부 개방형의 통체로 케이스 몸체(21)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21)의 하부에 파지부(22)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파지부(22)는 상방 개구형의 가이드홈(221A)이 형성되면서 이의 중간 일측방으로 수직의 절개홈(221B)이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221B)의 양측으로 스프링 상부받침턱(221C)이 돌출 형성되는 식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중간가이드(221)와,
    상기 중간가이드(221)의 가이드홈(221A) 및 절개홈(221B)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부(222A)가 형성된 파지판(222)과,
    상기 파지판(222)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선단에 스프링 하부받침턱(223A)이 돌출 형성된 받침판(223)과,
    상기 중간가이드(221)의 스프링 상부받침턱(221C) 및 받침판(223)의 스프링 하부받침턱(223A)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복귀스프링(2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로킹부(3)는,
    제2축(120)의 하단부 외측에 걸림돌부(30A)가 형성되고, 케이스(2)의 하단부 중앙에는 하부삽입체(30B)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삽입체(30B)는 하부측에는 공간부(31)가 형성되어 그 공간부 양측에 걸림돌부(30A)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가이드(32)가 회전축(3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탄력 지지되고, 상기 공간부(31)의 상부측 중앙에 공간부(31)와 연이어 통하는 축관통공(33)이 형성되면서 이의 양측으로 와이어 통과공(34)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통과공(34)을 통해 와이어(1)가 상기 회동가이드(3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당김부(4)는,
    회동가이드(32)에 와이어(1)가 통과되는 상부측 개구부(41) 및 하부측 개구부(42)가 형성되고, 그 통과된 와이어(1)의 단부측에 상기 하부측 개구부(42)보다 직경이 큰 공이(44)가 형성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고, 제3축(130)의 상부측에는 중간 수직방향으로 와이어 슬릿(452)을 갖는 공이 수용홈(451)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상부측에 접촉돌부(453)가 형성된 탄성편(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피(100)를 포함하는 일측 우산살대(111A)와 타측 우산살대(111B) 사이에 한 쌍의 우산정렬바아A,B(51)(52)가 절곡부(53)에 의해 접힘이 가능하게 상호 연결 및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우산살대(111A)(111B)에 상호 접하게 구비되는 제1,2연결관(54)(55)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2연결관(54)(55) 내부에는 일단은 제1연결관(54)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우산살대(111A)(111B)에 각각 고정된 스프링(56)이 장착되면서 상기 제2연결관(55)과 우산살대(111A)(111B)의 연결부위 사이의 스프링(56) 직경을 크게 하여 상기 스프링(56)에 탄지부(56A)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KR2020020004363U 2001-11-16 2002-02-09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KR2002756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09 2001-11-16
KR20010035209 2001-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642Y1 true KR200275642Y1 (ko) 2002-06-28

Family

ID=73073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364U KR200275643Y1 (ko) 2001-11-16 2002-02-09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KR2020020004363U KR200275642Y1 (ko) 2001-11-16 2002-02-09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364U KR200275643Y1 (ko) 2001-11-16 2002-02-09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756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44B1 (ko) 2014-01-10 2015-08-05 유광석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82B1 (ko) 2009-12-02 2011-09-30 박성민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
KR101851288B1 (ko) 2016-03-28 2018-04-26 채유경 줄넘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44B1 (ko) 2014-01-10 2015-08-05 유광석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643Y1 (ko) 200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0898B2 (ja) 傘骨アセンブリー及び折り畳み式傘
US20120160283A1 (en) Umbrella rib assembly and foldable umbrella
JP5507560B2 (ja)
US8522805B2 (en)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KR100784765B1 (ko) 자동개폐용 우산
KR200275642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EP1120057B1 (en) Foldable umbrella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CN110881760A (zh) 伞杆装置及其伞杆传动组件以及电动伞
US20060201543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101255844B1 (ko) 우산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KR200451929Y1 (ko) 텐트 혹은 파라솔의 상단지지부 구조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20090132764A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0271189Y1 (ko) 케이스 수납용 우산
KR20180012490A (ko) 우산
KR101349308B1 (ko) 우산
KR101366756B1 (ko) 우산
CN218978722U (zh) 一种可折叠浴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