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490A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490A
KR20180012490A KR1020160095384A KR20160095384A KR20180012490A KR 20180012490 A KR20180012490 A KR 20180012490A KR 1020160095384 A KR1020160095384 A KR 1020160095384A KR 20160095384 A KR20160095384 A KR 20160095384A KR 20180012490 A KR20180012490 A KR 2018001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pring
inner tube
hand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일
Original Assignee
이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일 filed Critical 이부일
Priority to KR102016009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490A/ko
Publication of KR2018001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06Automatic cl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雨水)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가 선 등록(10-0982792호 및 10-1255844호, 10-1366756호)한 우산의 구성을 개량하여 수동으로 우산을 펴고 접거나, 수동으로 우산을 펴고 자동으로 우산이 접히게 하거나, 자동으로 우산을 펴고 접을 수 있게 하고, 펴고 접는 작동이 적은 힘으로 불편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가능한 신규한 구성의 우산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상측의 외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과; 상기 외관의 외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과; 손잡이 상측의 내관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고정훅걸림구멍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된 내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 및 외관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작동손잡이와; 상기 스프링받침구의 상하측으로 각각 내관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과 내관의 하단에 마련된 하부스프링받침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 및 제2압축스프링과; 작동손잡이가 하강한 상태에서 작동손잡이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고, 작동손잡이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외관작동구멍을 통해 노출되는 내관 하측의 고정훅걸림구멍에 내입 걸림 되도록 손잡이에 설치한 고정훅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훅을 포함하는 우산이다.

Description

우산{Umbrella}
본 발명은 우수(雨水)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자가 선 등록(10-0982792호 및 10-1255844호, 10-1366756호)한 우산의 구성을 개량하여 수동으로 우산을 펴고 접거나, 수동으로 우산을 펴고 자동으로 우산이 접히게 하거나, 자동으로 우산을 펴고 접을 수 있게 하고, 펴고 접는 작동이 적은 힘으로 불편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가능한 신규한 구성의 우산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비가 내릴 때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우산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산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우산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는 수고로움만으로 우산살대가 펼쳐질 수 있게 한 구성으로 발전해 왔다.
상기한 우산은 사용한 후 우산을 접을 때 우산살대의 상단에 위치한 보조살고정부재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 쪽으로 당겨 내려야 한다.
이러한 작동은 우산 사용에 많은 불편을 주며, 특히 작동과정에서 우산살대의 바깥쪽에 결합되어 있는 우산포에 묻어 있는 빗물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나 의복이 젖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펴고 접기가 편한 우산을 개발하여 특허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0982792호(2010.09.20.)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 우산을 접을 경우에 내관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에 조작버튼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걸림구멍에 걸림돌기를 강제 내입하여야 함으로 반드시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255844호(2013.04.17.)의 우산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의 구성은 손잡이에 고정된 외관의 내측에 승강되도록 조립된 내관의 상측 걸림구멍보다 아래쪽에 상향 경사진 안내면을 가진 톱니형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우산을 접을 때 조작버튼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안내면을 가진 걸림돌기가 걸리게 함으로 해서 우산이 역으로 펴지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손잡이에 설치된 가압버튼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게 2개의 제1,2조작버튼을 설치하여 가압버튼으로 제1조작버튼을 가압할 때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우산이 펴지고, 가압버튼으로 제2조작버튼을 가압할 때 우산이 접어지면서 확대관의 상측 걸림구멍보다 아래쪽에 상향 경사진 안내면을 가진 톱니형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제1조작버튼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안내면을 가진 걸림돌기가 걸리게 함으로 해서 우산이 역으로 펴지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한 우산은, 우산을 펴고 접기가 편리하며, 특히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역으로 펴지려는 것을 방지하여 한 손으로 우산을 접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우산은,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반드시 메인살고정부재를 지면 등에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가압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366756호(2014.02.25.)의 우산을 제안한바 있다.
이의 구성은 상하측에 각각 보조살고정부재와 손잡이가 결합된 외관의 내측으로 내관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관의 상측으로 노출된 내관의 상단에는 메인살고정부재를 설치하고, 내관의 하측에는 외관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을 통해서 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작동손잡이를 조립하며, 상기 손잡이에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제공되는 회동식 레버를 설치하여 우산이 펴진 상태에서는 내관의 하단을 지지하고, 우산이 접어진 상태에서는 내관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구멍의 하단을 지지하여 우산이 펴진 상태 또는 접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처럼 메인살고정부재가 보조살고정부재에서 떨어져 보조우산살이 우산대와 거의 직각이 되는 짧은 거리에서 우산을 펴고,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하면 센 바람이 부는 경우 외에는 어려움이 없이 우산을 펼 수 있지만 센 바람이 불 때는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우산을 펴야하기 때문에 힘을 많이 들여도 우산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접을 때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는 강제수단이 아닌 자연현상에 의해 접히기 때문에 우산이 완전히 접히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KR 100982792 B1 2010.09.20. KR 101255844 B1 2013.04.17. KR 101366756 B1 2014.02.25.
상기한 우산들과 같이 작동손잡이와 내관을 핀으로 직접 결합하여 작동손잡이로 내관을 밀어 우산을 펴는 구성에서는 작동손잡이와 내관의 이동거리는 보조우산살이 우산대와 거의 직각이 되는 7㎝ 가량의 짧은 거리로 같다. 이와 같이 짧은 이동거리로 우산을 펴고 접기 때문에 외부 조건에 따라 우산을 펴고 접는데 힘이 많이 들어 불편한 경우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내관의 소정의 이동거리는 그대로 유지하고 작동손잡이의 이동거리를 내관의 소정의 이동거리보다 길게 하면 길게 할수록 장우산을 펴고 접는데 힘이 적게 들게 할 수 있다는 기본 개념으로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우산과 같이 내관과 작동손잡이를 직접 핀으로 결합하지 않고 내관의 내부에 제1,2압축스프링을 내장하고, 우산을 펼 때는 작동손잡이를 밀어 제1압축스프링을 압축하면 압축되어지는 제1압축스프링이 내관을 밀어 우산을 펴고, 우산을 접을 때는 작동손잡이를 잡아 당겨 제2압축스프링을 압축하면 압축되어지는 제2압축스프링이 내관을 밀어 우산이 접히게 구성하면 소정의 내관의 이동거리보다 제1,2압축스프링이 압축되어 줄어든 길이만큼 작동손잡이의 이동거리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작동손잡이의 이동거리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내관을 미는 힘의 작용거리가 길어져 우산을 펴고 접는 일을 하는데 힘이 적게 들게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첫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상측의 외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과; 상기 외관의 외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과; 손잡이 상측의 내관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고정훅걸림구멍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된 내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 및 외관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작동손잡이와; 상기 스프링받침구의 상하측으로 각각 내관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과 내관의 하단에 마련한 하부스프링받침에 지지되게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 및 제2압축스프링과; 작동손잡이가 하강한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고,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이 제공되며, 작동손잡이가 상승한 상태일 때 상기 외관의 걸림돌기내입구멍을 통해 노출되는 내관 하측의 고정훅걸림구멍에 내입 걸림되도록 손잡이에 설치된 고정훅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와 스프링받침구를 하강시켜 제2압축스프링을 압축되게 하여 우산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 상측의 외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과; 상기 외관의 외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과; 손잡이 상측의 내관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된 내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 및 외관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작동손잡이와; 상기 스프링받침구의 상하측으로 각각 내관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과 내관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스프링받침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 및 제2압축스프링과;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이 제공되며, 작동손잡이가 하강한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손잡이에 설치된 고정훅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훅과;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외관의 걸림돌기내입구멍을 통하여 가압버튼걸림구멍에 내입되도록 손잡이에 설치한 가압버튼걸림돌기가 형성된 가압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압버튼걸림돌기가 우산을 편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에 내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메인살고정부재가 상단에 결합된 상부재와, 상기 스프링받침링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하측으로 확관 형성된 하부재로 구성하며; 상기 손잡이 상측의 외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과; 상기 외관의 외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과; 손잡이 상측의 내관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고정훅걸림구멍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된 내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 및 외관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작동손잡이와; 외관의 중상단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받침링과; 내관의 하부재에 내장되며 스프링받침구의 상측과 상부재와 하부재의 경계에 형성된 스프링받침턱 사이에 설치한 제1압축스프링과; 내관의 하부재에 내장되며 스프링받침구의 하측과 내관의 하부재 하단에 마련한 하부스프링받침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과; 연결부재의 외부에 상기 스프링받침링의 상부와 내관을 구성하는 상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3압축스프랑과; 작동손잡이가 하강한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 되고,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이 제공되며, 작동손잡이가 상승한 상태일 때 상기 외관의 걸림돌기내입구멍을 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내관의 고정훅걸림돌기에 내입 걸림 되도록 손잡이에 설치한 고정훅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상측의 외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과; 상기 외관의 외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과; 손잡이 상측의 내관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과; 내관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와;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된 내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 및 외관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이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이 구비된 작동손잡이와; 상기 스프링받침구의 상하측으로 각각 내관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와 내관의 밀봉된 하단 사이에 설치한 제1압축스프링 및 제2압축스프링과;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가압버튼과; 상기 가압버튼의 하단에는 일체 형성되고,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우산대의 외관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며, 우산이 펴진 상태일 때 내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에 내입되어 우산이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하부걸림돌기가 구비된 하부걸림구와; 가압버튼의 상단에 이격상태로 설치되고,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우산대의 외관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며, 우산이 접어진 상태일 때 작동손잡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이 손잡이에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걸림편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에 걸림 되는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가 구비된 상부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다섯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 및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메인살고정부재가 상단에 결합된 상부재와, 상기 스프링받침링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하측으로 형성된 하부재로 구성하며; 상기 손잡이 상측의 외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과; 상기 외관의 외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과; 손잡이 상측의 내관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된 내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 및 외관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손잡이와; 외관의 중상단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받침링과;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와 하부재의 내부에 각각 연결부재와 하부재의 경계에 형성된 스프링받침턱과 스프링받침링 사이에 설치한 제2압축스프링 및 스프링받침턱과 스프링받침구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외관의 걸림돌기내입구멍을 통하여 내입되도록 손잡이에 설치한 가압버튼걸림돌기가 형성된 가압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압버튼걸림돌기가 우산을 편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에 내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및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메인살고정부재가 상단에 결합된 상부재와, 후술할 스프링받침링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하측으로 확대 형성된 하부재로 구성하며; 상기 손잡이 상측의 외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과; 상기 외관의 외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과; 외관의 중상단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받침링과; 손잡이 상측의 내관의 하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상,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과; 내관의 하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스프링받침구와; 내관의 하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와;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된 내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 및 외관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아래쪽으로 출몰되도록 조립되고, 내관의 하단부가 내입되는 내관내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관내입공간의 측면에 상기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이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이 구비된 스프링가압부재와; 상기 하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스프링받침구의 아래쪽과 스프링가압부재에 형성된 내관내입공간의 바닥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과, 연결부재와 하부재의 경계에 형성된 스프링받침턱과 스프링받침구 사이에 설치된 제3압축스프링과, 연결부재의 외부에 상기 스프링받침턱과 스프링받침링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과;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우산대의 외관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며, 상기 외관의 걸림돌기내입구멍을 통하여 내입되는 가압버튼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버튼걸림돌기가 우산을 편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에 내입되고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에 내입되는 손잡이에 설치된 가압버튼과; 가압버튼의 하단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우산대의 외관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며, 스프링가압부재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이 손잡이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에 삽입되면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에 걸림 되는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가압버튼의 하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와; 손잡이에 조립되며, 작동손잡이에 가압되면 가압버튼의 하단부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 사이의 이격된 틈을 메우고,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면 상기 틈에서 빠져 나오는 걸림구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일곱째 손잡이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으로 구성된 우산대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및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과 메인우산살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우산살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에 보조우산살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상측의 외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과; 상기 외관의 외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과; 손잡이 위쪽의 내관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과 관통되도록 마주보게 내관작동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관작동구멍의 아래쪽 손잡이 내측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상,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과; 상기 내관의 내부에 내관작동구멍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상부스프링받침구 및 내관작동구멍과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 사이에는 설치한 하부스프링받침링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된 내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 및 외관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확대된 하단부에 상부가압편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반대편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이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이 구비된 작동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아래쪽으로 출몰되도록 조립되고, 내관의 하단부가 내입되는 내관내입공간이 형성되고, 내관내입공간의 중심부에는 상단에 확대된 걸림부가 형성된 가이드봉이 하부스프링받침링를 관통하도록 일체로 길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이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을 갖는 스프링가압부재와; 하부스프링받침링의 아래쪽과 스프링가압부재에 형성된 내관내입공간의 바닥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과, 하부스프링받침링의 위쪽과 스프링받침구의 아래쪽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과, 스프링받침구의 위쪽과 상부스프링받침구의 아래쪽 사이에 설치된 제3압축스프링과;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며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우산이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에 내입되며, 우산이 펴진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에 내입되는 가압버튼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가압버튼과; 상기 가압버튼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도록 손잡이에 설치되며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하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돌기가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구 및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가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와; 손잡이에 조립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작동손잡이걸림구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에 돌출 형성된 상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구가압돌기와 하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가압돌기가 내입되는 요홈이 형성된 걸림구작동부재와; 상기 걸림구작동부재의 상하측에 위치하도록 작동손잡이에 슬라이드 상태로 결합되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가압편이 형성된 상부가압구 및 스프링가압부재에 슬라이드 상태로 결합되어 스프링가압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가압구받침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가압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손잡이걸림돌기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는 손잡이에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과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우산이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를 하향 이동시켜 제2압축스프링을 가압할 때 작동손잡이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이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에 내입되어 작동손잡이걸림돌기가 상기 작동손잡이걸림편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에 걸리게 하며, 우산이 접어진 상태에서 스프링가압부재를 상향 이동시켜 제1압축스프링을 가압할 때 스프링가압부재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이 손잡이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에 내입되어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가 상기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에 걸림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여덟째 상기 우산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메인살고정부재에 보조살고정부재가 내입되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우산이 접어진 상태일 때 보조살고정부재에 결합된 보조우산살의 결합부가 메인살고정부재에 결합된 메인우산살의 결합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짧은 거리로 우산을 펴고, 접을 수 있어 우산을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제1압축스프링을 압축하여 자동으로 우산을 펴고, 제2압축스프링을 압축하여 자동으로 우산을 접을 수 있다.
-우산을 접은 상태일 때 우산살어셈블리가 우산대에 가지런하게 밀착되므로 구태여 종래와 같이 벌어져 있는 우산포를 모아 고정하기 위한 결속밴드를 사용하여 우산을 묶을 필요가 없다.
-우산이 접어진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됨으로 우산을 접을 때 우산포에 잔존하는 빗물에 손이 젖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고정훅을 가압하여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의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고정훅을 가압하여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1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를 잡아 당겨 손잡이에 고정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에서의 손잡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의 가압버튼 조립상태를 보인 평단면도도
도 14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고정훅을 가압하여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하고, 제3압축스프링이 팽창하여 내관이 상향 이동하여 우산이 어느 정도 펴진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의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18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손잡이부분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
도 2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손잡이부분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가압버튼을 가압하여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한 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손잡이부분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22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손잡이부분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에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를 잡아 당겨 손잡이에 고정한 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5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5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5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28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5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에서 스프링가압부재를 밀어 제1압축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도,
도 3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펴진 상태도,
도 3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어느 정도 펴진 상태도,
도 3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밀어 올려 우산을 완전히 편 상태도,
도 3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스프링가압부재를 밀어 제1압축스프링을 압축하고,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한 상태도,
도 3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펴진 상태도,
도 3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제2압축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도,
도 3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실시례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례에서 제공하는 우산(1)의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구성으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우산대(2)를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내관(5)으로 구성한다.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는 각각 보조살고정부재(6)와 메인살고정부재(7)를 결합하고, 이들에는 각각 우산살어셈블리(8)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보조우산살(8b)과 메인우산살(8a)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메인우산살(8a)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8b)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에서 소정의 거리로 떨어지면서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접근하면서 접혀지게 구성한다. 이때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7a)은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6a)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된다. 이런 구성은 적은 힘으로 우산(1)을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7a)이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6a)보다 크면 클수록 우산(1)을 적은 힘으로 보다 쉽게 펴고 접을 수가 있다.
상기한 구성은 본 발명자가 특허 등록(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2792호, 10-1255844호, 10-1366756호)한 우산(1)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선 출원한 특허들을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우산(1)을 펼 때 내관(5)에 내장되어 있는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수동으로 펴고, 우산(1)을 접을 때는 내관(1)에 내장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수동으로 접거나 또는 우산(1)을 펼 때 또는 편 후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한 후 압축된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력으로 자동으로 우산(1)이 접혀지게 하고,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여 두었다가 제1압축스프링(10)의 팽창력으로 우산(1)이 자동으로 펴고, 우산(1)이 펴지면서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되어 우산(1)이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력으로 자동으로 접히게 하고, 또한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여 두었다가 우산(1)을 자동으로 펴지게 하고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하여 두었다가 우산(1)을 자동으로 접히게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우산(1)을 사용하게 구성한 것으로, 우산(1)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 하면서도 적은 힘으로 우산(1)을 수동으로 펴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접을 수 있게 하거나, 자동으로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례1)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고정훅을 가압하여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의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례1은 우산(1)을 적은 힘으로 펴거나 접는 수동식 구성을 제안한 것으로,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작동구멍(4a)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손잡이(3) 상측의 내관(5)에 상하 방향으로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내관작동구멍(5a)을 형성한다.
이때 외관작동구멍(4a)은 내관작동구멍(5a) 보다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 (5a)의 하단이 일치하게 하며, 내관작동구멍(5a)의 상하 길이보다 외관작동구멍(4a)의 상하 길이가 1.5배 이상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은 축직각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서로 관통되는 구성인바, 이들 관통되어 있는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으로 핀(9)을 관통시키며, 상기 핀(9)은 내관(5)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를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우산대(2)를 구성하고 있는 외관(4)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관(5)의 중상단에는 상부스프링받침구(5b)가 설치되며, 내관(5)의 하단은 밀폐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에는 내관(5)이 상승하여 우산(1)을 펴진 상태일 때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노출되는 고정훅걸림구멍(5e)을 형성한다.
상기 내관(5)의 내부에는 2개의 스프링 즉, 제1압축스프링(10)과 제2압축스프링(11)을 내장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들의 바람직한 설치 예로는 작동손잡이(13)와 핀(9)으로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스프링받침구(14)를 경계로 하며, 제1압축스프링(10)은 스프링받침구(14)의 상부와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스프링받침구(5b)사이에 설치하고, 제2압축스프링(11)은 스프링받침구(14)의 하부와 내관(5)의 밀폐된 하단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스프링받침구(14)와 결합된 작동손잡이(13)는 제1,2압축스프링(10) (11)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정지해 있다가 우산(1)을 펴고자 할 때는 작동손잡이(13)를 밀어 올려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펴고, 우산(1)을 접고자 할 때는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접으며, 제1압축스프링(10)은 제2압축스프링(11)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3)에는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우산대(2) 쪽으로 가압력이 제공되는 고정훅(19)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훅(19)에는 고정훅걸림돌기(19a)를 형성하여 작동손잡이(13)가 하강하여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상기 고정훅걸림돌기(19a)가 걸려 우산(1)이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여 우산(1)이 펴진 상태일 때는 상기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해 노출되는 내관(5) 하측의 고정훅걸림구멍(5e)에 고정훅걸림돌기(19a)가 내입 걸림 되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상태를 유지해 주는 기능성을 제공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우산(1)을 접고 펴는 작동 및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훅(19)을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훅(19)을 조작하게 되면 작동손잡이(13)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서 고정훅걸림돌기(19a)가 이탈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제2압축스프링(11)이 제1압축스프링(10)과 힘이 균등을 이루는 지점까지 팽창되면서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도 2와 같이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내관(5)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우산(1)을 좌우로 회전시켜 우산(1)이 조금 펴지게 한 후 작동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하고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훅걸림구멍(5e)에 고정훅걸림돌기(19a)가 걸릴 때까지 밀어 올려 우산(1)을 편다. 작동손잡이(13)를 밀면 내관(5)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과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을 관통하는 핀(9)으로 작동손잡이(13)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를 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와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1압축스프링(10)이 내관(5)의 상부스프링받침구(5b)을 밀어 내관(5)을 밀어 올려 우산(1)을 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지면서 내관(5)의 상부스프링받침구(5b)을 밀기 때문에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 줄어든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우산(1)을 펴는데 힘이 적게 든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길며, 이 이동거리는 외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즉 바람이 약한 경우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하면 우산(1)이 펴지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그에 대항하여 작동손잡이(13)로 제1압축스프링(10)을 더욱 더 압축하여 내관(5)을 강하게 밀어야 하므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길게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훅걸림구멍(5e)이 외관(4)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으로 노출되고, 동시에 고정훅걸림돌기(19a)가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고정훅걸림구멍(5e)에 내입되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3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과 같이 우산(1)을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에서 손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제1압축스프링(10)이 팽창되면서 제2압축스프링(11)과 힘이 균등해 지는 지점까지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이동시켜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우산(1)을 편 상태로 사용하다가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고정훅(19)을 조작하여 고정훅걸림구멍(5e)에서 고정훅걸림돌기(19a)를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훅걸림구멍(5e)에서 고정훅걸림돌기(19a)를 분리시킨 후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내리면 우산(1)이 접히게 되고, 고정훅걸림돌기(19a)가 작동손잡이(13)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리면 도 1과 같이 우산(1)이 완전히 접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내리면 작동손잡이(13)와 핀(9)으로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와 내관(5)의 하부스프링받침(5c)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12)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2압축스프링(11)이 내관(5)의 밀폐된 하단을 밀어 내관(5)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근접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되어 우산(1)이 접어진 도 1과 같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된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우산(1)을 적은 힘으로 접을 수 있고,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력이 내관(5)의 밀폐된 하단을 밀고 있어 우산(1)이 펴지려는 작동이 제어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례2)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고정훅을 가압하여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를 잡아 당겨 손잡이에 고정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에서의 손잡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의 가압버튼 조립상태를 보인 평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례2은 우산(1)을 적은 힘으로 수동식으로 펴고, 자동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안한 것으로,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작동구멍(4a)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손잡이(3) 상측의 내관(5)에 상하 방향으로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내관작동구멍(5a)을 형성한다.
이때 외관작동구멍(4a)과 내관작동구멍(5a)은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외관작동구멍(4a)의 중간 부분에 내관작동구멍(5a)의 상단이 위치되게 하고,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우산(1)이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외관작동구멍(4a)과 내관작동구멍(5a)의 하단은 일치하게 형성한다.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은 축직각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관통되는 구성인바, 이들 관통되어 있는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으로 핀(9)을 관통시키며, 상기 핀(9)은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를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13)의 상단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가 일체로 결합되어 우산대(2)를 구성하고 있는 외관(4)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관(5)의 중상단에는 상부스프링받침구(5b)가 형성되며, 내관(5)의 하단은 밀폐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에는 내관(5)이 상승하여 우산(1)을 펴진 상태일 때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노출되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을 형성한다.
상기 내관(5)의 내부에는 2개의 스프링 즉, 제1압축스프링(10)과 제2압축스프링(11)이 내장된다. 이들의 바람직한 설치는 작동손잡이(13)와 핀(9)으로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스프링받침구(14)를 경계로 하며, 제1압축스프링(10)은 스프링받침구(14)의 상부와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스프링받침구(5b)사이에 설치하고, 제2압축스프링(11)은 스프링받침구(14)의 하부와 내관(5)의 밀폐된 하단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스프링받침구(14)와 결합된 작동손잡이(13)는 제1,2압축스프링(10) (11)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정지해 있다가 우산(1)을 펴고자 할 때는 작동손잡이(13)를 밀어 올려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펴고 우산(1)을 접고자 할 때는 작동손잡이(13)을 잡아 당겨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하고, 이 압축된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력으로 우산(1)을 자동으로 접으며, 제1압축스프링(10)은 제2압축스프링(11)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손잡이(3)에는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우산대(2) 쪽으로 가압력이 제공되는 고정훅(19)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훅(19)에는 고정훅걸림돌기(19a)를 형성하여 작동손잡이(13)가 하강하여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13)의 하단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상기 고정훅걸림돌기(19a)가 걸려 우산(1)이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또한 손잡이(3)에는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손잡이(3)의 내측 외관(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상기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는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버튼(16)을 설치하여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입되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제2실시례는 초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산(1)을 수동으로 편 상태에서 스프링받침구(14)와 핀(9)으로 결합된 작동손잡이(13)를 손잡이(3) 쪽으로 잡아 당겨 손잡이(3)에 고정하여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한 후 그 탄성력을 이용하여 우산(1)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2실시례의 우산(1)을 접고 펴는 작동 및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훅(19)을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훅(19)을 조작하게 되면 작동손잡이(13)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서 고정훅걸림돌기(19a)가 이탈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제2압축스프링(11)이 제1압축스프링(10)과 힘이 균등을 이루는 지점까지 팽창되면서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14)과 작동손잡이(13)를 도 7과 같이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내관(5)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우산(1)을 좌우로 회전시켜 우산(1)이 조금 펴지게 한 후 작동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하고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걸릴 때까지 밀어 올려 우산(1)을 편다. 작동손잡이(13)를 밀면 내관(5)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과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 작동구멍(4a)을 관통하는 핀(9)으로 작동손잡이(13)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를 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와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1압축스프링(10)이 내관(5)의 상부스프링받침구(5b)를 밀어 내관(5)을 밀어 올려 우산(1)을 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지면서 내관(5)의 상부스프링받침구(5b)를 밀기 때문에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 줄어든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우산(1)을 펴는데 힘이 적게 든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길고, 이 이동거리는 외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즉 바람이 약한 경우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하면 우산(1)이 펴지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그에 대항하여 작동손잡이(13)로 제1압축스프링(10)을 더욱 더 압축하여 내관(5)을 강하게 밀어야 하므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길게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이 외관(4)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으로 노출되고, 동시에 가압버튼걸림돌기(16a) 가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8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과 같이 우산(1)을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에서 손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제1압축스프링(10)이 팽창되면서 제2압축스프링(11)과 힘이 균등해 지는 지점까지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이동시켜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9와 같이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를 파지한 후 아래로 당겨 내리면 도 10에서와 같이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되고, 작동손잡이(13)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고정훅걸림돌기(19a)가 걸려 고정되어 제2압축스프링(1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압축스프링(10)은 완전히 팽창된 상태이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제1압축스프링(10)의 상단은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만큼 떨어져 있어 우산(1)이 접힐 때 내관(5)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0과 같이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사용하다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3)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버튼(16)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우산(1)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즉,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가압버튼(16)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이탈되는데, 이때 스프링받침구(14)의 하부와 내관(5)의 밀폐된 하단 사이에 압축상태로 있던 제2압축스프링(11)이 팽창하면서 내관(5)의 밀폐된 하단을 밀어 내관(5)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근접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하게 접혀진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는 팽창 상태의 제2압축스프링(11)의 탄성력(팽창력)에 의해 우산(1)이 펴지려는 작동이 제어되어 우산(1)을 접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압축스프링(11)은 우산(1)을 펴서 우산(1)을 접기 전 언제라도 편리한 시각에 압축할 수 있어 편리하다.
(실시례 3)
도 14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고정훅을 가압하여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하고, 제3압축스프링이 팽창하여 우산이 어느 정도 펴진 상태도, 도 16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의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3실시례는 우산(1)을 수동으로 접을 때 제3압축스프링(12)을 압축하여 상기 제3압축스프링(12)의 팽창력으로 우산(1)을 펼 때 우산(1)이 어느 정도 펴지게 구성한 것으로,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작동구멍(4a)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외관(4)의 중상단 내부에는 스프링받침링(4c)이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게 한다.
그리고 내관(5)은 상부재(5g)와 연결부재(5h) 및 하부재(5i)로 구획 구성되며, 상부재(5g)는 외관(4)의 상측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상부재(5g)의 상단에는 메인살고정부재(7)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하단에는 연결부재(5h)가 결합되는 연결부재결합구(5j)가 내장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5h)와 하부재(5i)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하부재(5i)는 외관(4)의 하측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재(5i)에서 축소 형성된 연결부재(5h)는 상단을 상기 상부재(5g)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결합구(5j)에 결합한다. 이때 연결부재결합구(5j)와 연결부재(5h)의 바람직한 결합으로는 나사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그 밖의 다양한 방식이 있다. 또한 손잡이(3) 위쪽으로 상기 내관(5)의 하부재(5i)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마주보게 내관작동구멍(5a)을 형성하며, 상기 내관(5)의 작동구멍(5a)보다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고정훅걸림구멍(5e)을 형성한다.
이때 외관작동구멍(4a)은 내관작동구멍(5a) 보다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의 하단이 일치하게 하며, 내관작동구멍(5a)의 상하 길이보다 외관작동구멍(4a)의 상하길이가 1.5배 이상 길게 형성한다.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은 축직각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관통되는 구성인바, 이들 관통되어 있는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으로 핀(9)을 관통시키며, 상기 핀(9)은 내관(5)의 하부재(5i)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를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13)의 상단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가 일체로 결합되어 우산대(2)를 구성하고 있는 외관(4)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관(5)을 구성하고 있는 연결부재(5h)와 하부재(5i)의 경계부분에 단이진 부분을 스프링받침턱(5k)으로 사용토록 하고, 상기 하부재(5i) 내부에 스프링받침구(14)의 상측과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제1압축스프링(10)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재(5i)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받침구(14)의 하측과 하부재(5i)의 밀폐된 하단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11)을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h)의 외부에는 상기 외관(4)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받침링(4c)의 상측과 상부재(5g)의 하단 사이에 제3압축스프링(12)을 설치한다.
상기에서 스프링받침구(14)와 결합된 작동손잡이(13)는 제1,2압축스프링(10) (11)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정지해 있다가 우산(1)을 펴고자 할 때는 작동손잡이(13)를 밀어 올려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펴고 우산(1)을 접고자 할 때는 작동손잡이(13)을 잡아 당겨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하고, 압축스프링의 강도는 제1압축스프링(10)이 제일 강하고, 제3압축스프링(12)이 제일 약하게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3)에는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우산대(2) 쪽으로 가압력이 제공되는 고정훅(19)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훅(19)에는 고정훅걸림돌기(19a)를 형성하여 작동손잡이(13)가 하강하여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상기 고정훅걸림돌기(19a)가 걸려 우산(1)이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여 우산(1)이 펴진 상태일 때 외관(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해 노출되는 내관(5) 의 고정훅걸림구멍(5e)에 고정훅걸림돌기(19a)가 내입 걸림되어 우산(1)이 펴진 상태를 유지해 주는 기능성을 제공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3실시례의 우산(1)을 접고 펴는 작동 및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4과 같이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1)을 펴기 위해서는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훅(19)을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훅(19)을 조작하게 되면 작동손잡이(13)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서 고정훅걸림돌기(19a)가 이탈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제2,3압축스프링(11)(12)이 동시에 팽창한다. 제2압축스프링(11)은 제1압축스프링(10)과 힘이 균등을 이루는 지점까지 팽창되면서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내관(5)은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3압축스프링(12)은 팽창하여 상부재(5g)를 밀어 내관(5)을 이동시켜 우산(1)을 어느 정도 펴지게 한 도 1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하고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된 고정훅걸림구멍(5e)에 고정훅걸림돌기(19a)가 걸릴 때까지 밀어 올려 우산(1)을 편다. 작동손잡이(13)를 밀면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과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을 관통하는 핀(9)으로 작동손잡이(13)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를 밀게 되고 그로인해 상기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칩구(14)의 상측과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1압축스프링(10)이 내관(5)의 하부재(5i)의 스프링받턱(5k)을 밀어 내관(5)을 밀어 올려 우산(1)을 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지면서 내관(5)의 스프링받턱(5k)을 밀기 때문에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 줄어든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우산(1)을 펴는데 힘이 적게 든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길고, 이 이동거리는 외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즉 바람이 약한 경우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하면 우산(1)이 펴지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그에 대항하여 작동손잡이(13)로 제1압축스프링(10)을 더욱 더 압축하여 내관(5)을 강하게 밀어야 하므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길게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훅걸림구멍(5e)이 외관(4)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으로 노출되고, 동시에 고정훅걸림돌기(19a)가 고정훅걸림구멍(5e)에 내입되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16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6와 같이 우산(1)을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에서 손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제1압축스프링(10)이 팽창되면서 제2압축스프링(11)과 힘이 균등해 지는 지점까지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이동시켜 도 17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7와 같이 우산(1)을 편 상태로 사용하다가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고정훅(19)을 조작하여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훅걸림구멍(5e)에서 고정훅걸림돌기(19a)를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훅걸림구멍(5e)에서 고정훅걸림돌기(19a)를 분리시킨 후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내리면 우산(1)이 접혀지게 되고, 고정훅걸림돌기(19a)가 작동손잡이(13)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리면 도14과 같이 우산(1)이 완전히 접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내리면 작동손잡이(13)와 핀(9)으로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와 내관(5)의 밀폐된 하단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12)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2압축스프링(11)이 내관(5)의 밀폐된 하단을 밀어 내관(5)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접근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되어 우산(1)이 접어진 도 14과 같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2압축스프링(11)이 내관(5)을 밀어 우산(1)이 접힐 때 상부재(5g)의 하단과 외관(4)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받침(4c) 사이에 설치된 제3압축스프링(12)이 압축되어진다.
상기에서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된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제3압축스프링(12)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접어도 우산(1)을 적은 힘으로 접을 수 있고,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력이 내관(5)의 밀폐된 하단을 밀고 있어 우산(1)이 펴지려는 작동이 제어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례4)
도 1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손잡이부분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손잡이부분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가압버튼을 가압하여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한 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손잡이부분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22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손잡이부분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를 잡아 당겨 손잡이에 고정한 상태도, 도 24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4실시례에서 손잡이 부분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례 4는 상기 실시례 1,2,3에서 제공하는 우산(1)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작동손잡이(13)와 손잡이(3)에 설치되는 가압버튼(16)의 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즉, 본 발명 실시례 4에서는 실시례 1,2,3에 공용으로 적용되는 우산(1)의 손잡이(3)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에는 가압버튼(16)을 설치하되, 상기 가압버튼(16)의 하단에는 복원스프링(16d)의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우산대(2)의 외관(4)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는 하부걸림구(16e)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하부걸림구(16e)에는 하부걸림돌기(16f)를 형성하여 우산(1)이 펴진 상태일 때 외관(4)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를 통해서 하부걸림구(16e)에 형성된 하부걸림돌기(16f)가 내관(5)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리구멍(5l)에 내입되어 우산(1)이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가압버튼(16)의 상단에는 복원스프링(16d)의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우산대(2)의 외관(4)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는 상부걸림구(16g)를 이격 상태로 설치하고, 상부걸림구(16g)에는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를 형성하며, 작동손잡이(13)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을 형성하여 손잡이(3)에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한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3a)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이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걸림구(16g)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가 상기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려 우산(1)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가압버튼(16)은 하부걸림구(16e)가 형성된 부분을 중심점으로 일정한 회동각운동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고,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하면 가압버튼(16)의 하부는 가압버튼(16)의 상부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고 또한 적당하게 강한 복원스프링(16d)의 탄성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하고, 가압버튼(16)의 상부와 상부걸림구(16g)는 적당한 거리로 이격시켜 일정한 회동각운동을 하여도 상부걸림구(16g)를 가압하지 못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하여도 가압버튼(16)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걸림구(16e)의 하부걸림돌기(16f)가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이탈하지 않게 되고, 가압버튼(16)의 상부와 이격되어 있는 상부걸림구(16g)도 가압버튼(16)의 상부가 일정한 회동각운동을 하여도 가압버튼(16)의 상부가 상부걸림구(16g)에 닿지 않으므로 우산(1)을 접고자 할 때는 가압버튼(16)의 하단부를 가압해야 하고, 상부를 가압하면 아무런 작동도 하지 않는다. 우산(1)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가압버튼(16)의 하단부는 손잡이(3)의 내벽에 근접해 있고, 상부는 상부걸림구(16g)와 근접해 있어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하면 가압버튼(16)이 상부걸림구(16g)를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상부걸림구(16g)의 상부걸림돌기(16h)가 작동손잡이(13)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서 이탈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 제4실시례의 손잡이(3)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1,2,3실시례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제1실시례에 본 발명 제4실시례를 적용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19(도 1참조)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상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서 상부걸림구(16g)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가 이탈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제2압축스프링(11)이 제1압축스프링(10)과 힘이 균등을 이루는 지점까지 팽창되면서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도 20(도 2참조)와 같이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내관(5)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20(도 2참조)와 같은 상태에서 우산(1)을 좌우로 회전시켜 우산(1)이 조금 펴지게 한 후 작동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하고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하부걸림구(16e)의 하부걸림돌가(16f)가 걸릴 때까지 밀어 올려 우산(1)을 편다. 작동손잡이(13)를 밀면 내관(5)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과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을 관통하는 핀(9)으로 작동손잡이(13)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를 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의 상부와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1압축스프링(10)이 내관(5)의 상부스프링받침구(5b)을 밀어 내관(5)을 밀어 올려 우산(1)을 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지면서 내관(5)의 상부스프링받침구(5b)를 밀기 때문에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 줄어든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우산(1)을 펴는데 힘이 적게 든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길며, 이 이동거리는 외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즉 바람이 약한 경우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하면 우산(1)이 펴지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그에 대항하여 작동손잡이(13)로 제1압축스프링(10)을 더욱 더 압축하여 내관(5)을 강하게 밀어야 하므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길게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이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으로 노출되고, 동시에 가압버튼(1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걸림구(16e)에 형성된 하부걸림돌기(16f)가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21(도 3참조)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1(도 3참조)과 같이 우산(1)을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에서 손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제1압축스프링(10)이 팽창되면서 제2압축스프링(11)과 힘이 균등해 지는 지점까지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이동시켜 도 22(도 4참조)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2(도 4참조)와 같이 우산(1)을 편 상태로 사용하다가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가압버튼(16)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하부걸림구(16e)의 하부걸림돌기(16f)를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하부걸림돌기(16f)를 분리시킨 후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내리면 우산(1)이 접히게 되고, 이때 상부걸림구(16g)의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가 작동손잡이(13)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리면 도 19(도 1참조)와 같이 우산(1)이 완전히 접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내리면 작동손잡이(13)와 핀(9)으로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와 내관(5)의 밀폐된 하단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12)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2압축스프링(11)이 내관(5)의 밀폐된 하단을 밀어 내관(5)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근접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되어 우산(1)이 접어진 도 19(도 1참조)와 같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실시례에 본 발명 제4실시례를 적용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19(도 6참조)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상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서 상부걸림구(16g)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가 이탈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제2압축스프링(11)이 제1압축스프링(10)과 힘이 균등을 이루는 지점까지 팽창되면서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14)과 작동손잡이(13)를 도 20(도 7참조)과 같이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내관(5)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20(도 7참조)와 같은 상태에서 우산(1)을 좌우로 회전시켜 우산(1)이 조금 펴지게 한 후 작동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하고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하부걸림구(16e)의 하부걸림돌기(16f)가 걸릴 때까지 밀어 올려 우산(1)을 편다. 작동손잡이(13)를 밀면 내관(5)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과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을 관통하는 핀(9)으로 작동손잡이(13)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를 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의 상부와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1압축스프링(10)이 내관(5)의 상부스프링받침구(5b)를 밀어 내관(5)을 밀어 올려 우산(1)을 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지면서 내관(5)의 상부스프링받침구(5b)를 밀기 때문에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 줄어든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우산(1)을 펴는데 힘이 적게 든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길고, 이 이동거리는 외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즉 바람이 약한 경우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하면 우산(1)이 펴지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그에 대항하여 작동손잡이(13)로 제1압축스프링(10)을 더욱 더 압축하여 내관(5)을 강하게 밀어야 하므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길게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이 외관(4)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으로 노출되고, 동시에 가압버튼(1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걸림구(16e)에 형성된 하부걸림돌기(16f)가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21(도 8 참조)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1(도 8 참조)과 같이 우산(1)을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에서 손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제1압축스프링(10)이 팽창되면서 제2압축스프링(11)과 힘이 균등해 지는 지점까지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이동시켜 도 22(도 9 참조)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22(도 9 참조)와 같이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를 파지한 후 아래로 당겨 내리면 도 23(도 10참조)에서와 같이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되고,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상부걸림구(16g)의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가 걸려 고정되어 제2압축스프링(1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압축스프링(10)은 완전히 팽창된 상태이며, 도 23(도 10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5)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제1압축스프링(10)의 상단은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만큼 떨어져 있어 우산(1)이 접힐 때 내관(5)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23(도 10참조)과 같이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사용하다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3)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버튼(16)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우산(1)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즉, 가압버튼(16)의 하단부을 가압하면 가압버튼(16)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걸립구(16e)의 하부걸림돌기(16f)가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이탈되는데, 이때 스프링받침구(14)의 하부와 내관(5)의 밀폐된 하단 사이에 압축상태로 있던 제2압축스프링(11)이 팽창하면서 내관(5)의 밀폐된 하단을 밀어 내관(5)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근접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하게 접혀진 도 19(도 6참조)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제3실시례에 본 발명 제4실시례를 적용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19(도 14참조)과 같이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먼저 손잡이(3)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버튼(16)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서 상부걸림구(16g)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가 이탈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제2,3압축스프링(11)(12)이 동시에 팽창한다. 제2압축스프링(11)은 제1압축스프링(10)과 힘이 균등을 이루는 지점까지 팽창되면서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내관(5)은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3압축스프링(12)은 팽창하여 상부재(5g)를 밀어 내관(5)을 이동시켜 우산(1)을 어느 정도 펴진(도 15참조)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하고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하부걸림구(16e)의 하부걸림돌기(16f)가 걸릴 때까지 밀어 올려 우산(1)을 편다. 작동손잡이(13)를 밀면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과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을 관통하는 핀(9)으로 작동손잡이(13)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를 밀게 되고 그로인해 상기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칩구(14)의 상부와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1압축스프링(10)이 내관(5)의 하부재(5i)의 스프링받턱(5k)을 밀어 내관(5)을 밀어 올려 우산(1)을 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지면서 내관(5)의 스프링받턱(5k)을 밀기 때문에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 줄어든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우산(1)을 펴는데 힘이 적게 든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길고, 이 이동거리는 외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즉 바람이 약한 경우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하면 우산(1)이 펴지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그에 대항하여 작동손잡이(13)로 제1압축스프링(10)을 더욱 더 압축하여 내관(5)을 강하게 밀어야 하므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길게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이 외관(4)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으로 노출되고, 동시에 가압버튼(1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걸림구(16e)에 형성된 하부걸림돌기(16f)가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21(도16참조)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1(도 16참조)와 같이 우산(1)을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에서 손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제1압축스프링(10)이 팽창되면서 제2압축스프링(11)과 힘이 균등해 지는 지점까지 핀(9)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이동시켜 도 22(도 17참조)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2(도 17참조)와 같이 우산(1)을 편 상태로 사용하다가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가압버튼(16)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하부걸림구(16e)의 하부걸림돌기(16f)를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하부걸림구(16e)의 하부걸림돌기(16f)를 분리시킨 후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내리면 우산(1)이 접혀지게 되고, 상부걸림구(16g)의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가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리면 도19(도 14참조)과 같이 우산(1)이 완전히 접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겨 내리면 작동손잡이(13)와 핀(9)으로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와 내관(5)의 밀폐된 하단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12)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2압축스프링(11)이 내관(5)의 밀폐된 하단을 밀어 내관(5)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접근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되어 우산(1)이 접어진 도 19(도 14참조)과 같이 되는 것이다.
(실시례5)
도 2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5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5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펴기 위해 작동손잡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을 편 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5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가 하향 이동한 상태도, 도 28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5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5실시례는 우산(1)을 펼 때 내장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되고, 우산(1)을 접고자 할 때 압축된 제2압축스프링(11)이 팽창되어 우산(1)이 자동으로 접혀지게 하여 구성을 간소화 하면서도 적은 힘으로 우산(1)을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작동구멍(4a)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형성하고, 외관(4)의 중상단 내부에는 스프링받침링(4c)이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게 한다.
그리고 내관(5)은 상부재(5g)와 연결부재(5h) 및 하부재(5i)로 구획 구성되며, 상부재(5g)는 외관(4)의 상측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상부재(5g)의 상단에는 메인살고정부재(7)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하단에는 연결부재(5h)가 결합되는 연결부재결합구(5j)가 내장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5h)와 하부재(5i)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하부재(5i)는 외관(4)의 하측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재(5i)에서 축소 형성된 연결부재(5h)는 상단을 상기 상부재(5g)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결합구(5j)에 결합한다. 이때 연결부재결합구(5j)와 연결부재(5h)의 바람직한 결합으로는 나사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그 밖의 다양한 방식이 있다.
또한 손잡이(3) 위쪽으로 상기 내관(5)의 하부재(5i)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마주보게 내관작동구멍(5a)을 형성하며, 상기 내관(5)의 작동구멍(5a)보다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을 형성한다.
이때 외관작동구멍(4a)은 내관작동구멍(5a) 보다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의 하단이 일치하게 하며, 내관작동구멍(5a)의 상하 길이보다 외관작동구멍(4a)의 상하길이가 1.5배 이상 길게 형성한다.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은 축직각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관통되는 구성인바, 이들 관통되어 있는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으로 핀(9)을 관통시키며, 상기 핀(9)은 내관(5)의 하부재(5i)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를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가 일체로 결합되어 우산대(2)를 구성하고 있는 외관(4)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관(5)을 구성하고 있는 연결부재(5h)와 하부재(5i)의 경계부분에 단이진 부분을 스프링받침턱(5k)으로 사용토록 하고, 상기 하부재(5i)의 내부에 상기 하측 스프링받침턱(5k)과 스프링받침구(14) 사이에 제1압축스프링(10)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5h)의 외부에 상기 외관(4)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받침링(4c)과 상측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11)을 설치한다. 상기 제2압축스프링(11)은 우산(1)을 펼 때 압축되어 우산(1)을 접고자 할 때 팽창하여 우산(1)을 자동으로 접히게 하며, 제1압축스프링(10)은 제2압축스프링(11)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손잡이(3)에는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가압버튼(16)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버튼(16)에는 가압버튼걸림돌기(16a)를 형성하여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상기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손잡이(3)의 내측 외관(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내입구멍(4b)를 통하여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입 걸림 되어 우산(1)이 펴진 상태를 유지해 주는 기능성을 제공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5실시례의 우산(1)을 접고 펴는 작동 및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25와 같이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1)을 펴기 위해서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작동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하고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걸릴 때 까지 밀어 우산(1)을 편다.
상기와 같이 작동손잡이(13)를 밀면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과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을 관통하는 핀(9)으로 작동손잡이(13)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를 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 상부와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1압축스프링(10)이 하측 스프링받침턱(5k)을 밀어 내관(5)을 이동시키면 외관(4)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받침링(4c)과 상측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되면서 우산(1)이 펴지게 되고,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된 상태에서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를 통하여 내입되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26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지면서 내관(5)을 밀기 때문에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진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펴도 별 불편 없이 우산(1)을 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길고, 이 이동거리는 외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즉 바람이 약한 경우는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보다 조금 더 길게 하면 우산(1)이 펴지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그에 대항하여 작동손잡이(13)로 제1압축스프링(10)을 더욱 더 압축하여 내관(5)을 강하게 밀어야 하므로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는 길게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손잡이(13)를 밀어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입되어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된 채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를 손에서 놓으면 제1압축스프링(10)의 팽창력으로 작동손잡이(13)가 손잡이(3)쪽으로 밀려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의 하단에 작동손잡이(13)와 스프링받침구(14)를 결합한 핀(9)이 걸려 정지하게 된 도 27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7과 같이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우산(1)을 접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3)에 노출되어 있는 가압버튼(16)을 가압한다.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가압버튼(16)에 형성된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빠져 내관(5)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빠져 내관(5)의 지지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받침링(4c)과 상측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압축상태로 있는 제2압축스프링(11)이 팽창하여 상측 스프링받침턱(5k)을 밀어 내관(5)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근접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되어 우산(1)이 접어진 도 25와 같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이 접혀진 상태에서 가압버튼(16)에서 손을 떼면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손잡이(3)의 내측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내관(5)의 하부재(5i)에 접하게 된다. 이때 제1압축스프링(10)은 내관(5)의 하부재(5i)의 내부에서 스프링받침턱(5k)과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의 하단에 핀(9)이 걸려 정지해 있는 스프링받침구(14) 사이에서 확장된 상태로 내관(5)과 일체로 되어 이동하고, 내관작동구멍(5a)의 하단은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의 하단과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 만큼 떨어져 있어 우산(1)이 접힐 때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에 의하여 내관(5)이 이동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팽창 상태의 제2압축스프링(11)의 탄성력(팽창력)에 의해 우산(1)이 펴지려는 작동이 제어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례6)
도 2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에서 스프링가압부재를 밀어 제1압축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도, 3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펴진 상태도, 도 32는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어느 정도 펴진 상태도, 도 3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의 단면도로 작동손잡이를 밀어 올려 우산을 완전히 편 상태도, 도 3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6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6실시례는 제5실시례와 같이 우산(1)을 펼 때 내장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되고, 우산(1)을 접고자 할 때 압축된 제2압축스프링(11)이 팽창되어 우산(1)이 자동으로 접혀지게 하고, 제5실시례의 손잡이(3) 부분을 개량하여 접혀진 우산(1)에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한 후 압축된 제1압축스프링(10)의 팽창력으로 우산(1)이 펴지게 하여 구성을 간소화 하면서도 적은 힘으로 우산(1)을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작동구멍(4a)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형성하고, 외관(4)의 중상단 내부에는 스프링받침링(4c)이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내관(5)은 상부재(5g)와 연결부재(5h) 및 하부재(5i)로 구획 구성되며, 상부재(5g)는 외관(4)의 상측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상부재(5g)의 상단에는 메인살고정부재(7)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하단에는 연결부재(5h)가 결합되는 연결부재결합구(5j)가 내장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5h)와 하부재(5i)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하부재(5i)는 외관(4)의 하측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재(5i)에서 축소 형성된 연결부재(5h)는 상단을 상기 상부재(5g)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결합구(5j)에 결합한다. 이때 연결부재결합구(5j)와 연결부재(5h)의 바람직한 결합으로는 나사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그 밖의 다양한 방식이 있다.
또한 손잡이(3) 위쪽으로 상기 내관(5)의 하부재(5i)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마주보게 내관작동구멍(5a)을 형성하며, 상기 내관작동구멍(5a)보다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상,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m)(5l)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내관작동구멍(5a) 아래쪽에 하부스프링받침구(5c)가 결합된다.
이때 외관작동구멍(4a)은 내관작동구멍(5a) 보다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의 하단이 일치하게 하며, 외관작동구멍(4a)의 상하길이는 내관작동구멍(5a)의 상하 길이보다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만큼 더 길게 형성한다.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은 축직각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관통되는 구성인바, 이들 관통되어 있는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으로 핀(9)을 관통시키며, 상기 핀(9)은 내관(5)의 하부재(5i)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를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가 일체로 결합되어 우산대(2)를 구성하고 있는 외관(4)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3)에는 손잡이(3) 아래쪽으로 출몰되는 스프링가압부재(22)가 조립되며, 스프링가압부재(22)에는 상기 우산대(2)를 구성하는 내관(5)의 하단부가 내입되는 내관내입공간(22a)이 형성되고,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가압부재(22)에는 내관내입공간(22a)의 측면에 작동방향으로 작동공간(22f)를 형성하고, 내관(5)의 하단에는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5p)를 형성하여 스프링가압부재(22)가 하향 이동한 상태에서 손잡이(3)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관(5)을 구성하고 있는 연결부재(5h)와 하부재(5i)의 경계부분에 단이진 부분을 스프링받침턱(5k)으로 사용토록 하고, 상기 하부재(5i)의 내부에 상기 하부 스프링받침구(5c)와 스프링가압부재(22)에 형성된 내관내입공간(22a)의 바닥 사이에 제1압축스프링(10)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받침구(14)와 하측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제3압축스프링(12)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5h)의 외부에 외관(4)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받침링(4c)과 상측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11)을 설치한다. 상기 제1압축스프링(10)은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압축하였다가 우산(1)을 펼 때 사용하며, 제2압축스프링(11)은 우산(1)을 펼 때 압축되어 우산(1)을 접고자 할 때 팽창하여 우산(1)을 자동으로 접을 때 사용하며, 제3압축스프링(12)은 제1압축스프링(10)에 의해 우산이 펴진 후 재차 우산(1)을 펴야 할 때 작동손잡이(13)로 제3압축스프링(12)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펼 때 사용하며, 압축스프링의 강도는 제1압축스프링(10)이 제일 강하고, 제2압축스프링(11)이 제일 약하게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3)에는 복원스프링(16d)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우산대(2)의 외관(4)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는 가압버튼(16)을 설치하되, 상기 가압버튼(16)에는 상기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내입되는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우산(1)을 편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고,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는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 내입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가압버튼(16)의 하단부에는 복원스프링(16d)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우산대(2)의 외관(4)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는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를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에는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를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손잡이(3)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에 삽입될 때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 상기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걸림 되게 한다.
상기 가압버튼(16)은 가압버튼(16)의 상단부를 중심점으로 일정한 회동각운동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고, 손잡이(3)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탄성지지 되는 걸림구작동부재(26)를 조립하여 손잡이(3)의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게 구성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작동손잡이(13)가 하강하여 손잡이(3)의 상측으로 노출된 걸림구작동부재(26)를 밀면 걸림구작동부재(26)의 하단부가 가압버튼(16)의 하단부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 사이의 이격된 틈을 메워 가압버튼(16)의 하단부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의 접촉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손잡이(13)가 하강하여 우산(1)이 접혀진 상태에서 가압버튼(16)을 누르더라도 가압버튼(16)의 하단부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를 가압하지 않게 되고,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면 토션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구작동부재(26)가 상승하여 가압버튼(16)의 하단부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 사이의 이격된 틈에서 빠져 나가게 되고 이때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가압버튼(16)의 하단부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를 가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6실시례의 우산(1)을 접고 펴는 작동 및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29와 같이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관(5)의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 걸려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접혀 있고,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5p)가 스프링가압부재(22)의 작동공간(22f)의 상단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3)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스프링가압부재(22)의 하단을 손바닥으로 밀어 손잡이(3)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손바닥으로 스프링가압부재(22)의 하단을 밀어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손잡이(3)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으로 삽입하면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 상기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의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걸리게 되어 하부스프링받침구(5c)와 스프링가압부재(22)에 형성된 내관내입공간(22a)의 바닥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지고,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5p)가 스프링가압부재(22)의 작동공간(22f)의 하단에 인접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가압부재(22)는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접혀진 도 30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30과 같이 우산(1)이 접혀진 상태에서 우산을 펴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3)에 구비된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에 구비된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관(5)의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때 제1압축스프링(10)이 팽창하여 하부스프링받침구(5c)를 밀어 내관(5)의 하부재(5j)를 밀게 되고, 하부재(5j)의 상측 스프링받침턱(5k)과 스프링받침링(4c)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되어지면서 우산(1)이 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버튼(16)에서 손을 놓으면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된 상태에서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를 통하여 내입되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3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를 상호 결합하고 있는 핀(9)은 내관작동구멍(5a)의 하단에 접해 있으므로 작동손잡이(13)는 내관(5)과 같이 상승한다. 또한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5p)는 내관(5)과 같이 상승하여 스프링가압부재(22)의 작동공간(22f)의 상단에 걸려 있게 된다.
상기에서 가압버튼(16)을 가압하더라도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는 가압되지 않는다. 즉 작동손잡이(13)가 걸림구작동부재(26)의 상단부를 누르면 걸림구작동부재(26)의 하단부가 가압버튼(16)의 하단부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 사이의 이격된 틈을 메워서 가압버튼(16)의 하단부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의 접촉을 차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일정한 회동각운동하는 탄성력을 갖고 있는 가압버튼(16)의 상단부는 가압되어 이동하지만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는 가압되지 않고 또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여도 가압버튼(16)의 하단부가 걸림구작동부재(26)를 가압하고 있어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가 가압되는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우산(1)이 펴지는 정도는 외부 압력(바람)에 의하여 변한다.
즉 외압이 약할 때는 도 31과 같이 제1압축스프링(10)이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하여 우산(1)을 완전히 펼 수 있지만, 외압이 강할 때는 도 32 같이 우산(1)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도 32와 같이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우산(1)을 완전히 펴기 위해서 작동손잡이(13)를 손으로 파지하고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이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에 걸릴 때까지 밀어 올려 우산(1)을 편다.
상기와 같이 작동손잡이(13)를 밀면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과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을 관통하는 핀(9)으로 작동손잡이(13)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받침구(14)를 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스프링받침구(14)가 스프링받침구(14) 상부와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압축스프링(12)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어지는 제3압축스프링(12)이 하측 스프링받침턱(5k)을 밀어 내관(5)을 이동시키면 외관(4)의 중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받침링(4c)과 상측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되면서 우산(1)이 펴지게 되고,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된 상태에서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를 통하여 내입되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33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3압축스프링(12)이 압축되어지면서 내관(5)을 밀기 때문에 제3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진 길이만큼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우산(1)을 펴도 별 불편 없이 우산(1)을 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손잡이(13)를 밀어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입되어 제2압축스프링(11)이 압축된 채 우산(1)이 펴진 도 33과 같은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를 손에서 놓으면 제3압축스프링(12)의 팽창력으로 작동손잡이(13)가 손잡이(3)쪽으로 밀려 내관(5)의 하부재(5i)에 형성되어 있는 내관작동구멍(5a)의 하단에 작동손잡이(13)와 스프링받침구(14)를 결합한 핀(9)이 걸려 정지하게 된 도 31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1과 같이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여 토션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구작동부재(26)의 하단부가 가압버튼(16)의 하단부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 사이의 이격된 틈에서 빠져 나간 상태에서 우산(1)을 접고자 할 때에는 가압버튼(16)을 가압한다.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가압버튼(16)의 하단부는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를 가압하여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의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서 이탈되어 내관(5)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제거된다. 상기에서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서 이탈되더라도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5p)에 스프링가압부재(22)의 작동공간(22f)의 상단이 걸려 있으므로 스프링가압부재(22)는 내관(5)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내관(5)의 지지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받침링(4c)과 상측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압축상태로 있는 제2압축스프링(11)이 팽창하여 상측 스프링받침턱(5k)을 밀어 내관(5)이 손잡이(3)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근접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되어 우산(1)이 접어진 도 29와 같이 되는 것이다. 이때 제1,3압축스프링(10)(12)은 내관(5)의 하부재(5i)의 내부에서 팽창된 상태로 있고, 작동손잡이(13)와 스프링받침구(14)를 결합한 핀(9)은 내관작동구멍(5a)의 하단에 걸려있고, 내관작동구멍(5a)의 하단은 외관(4)에 형성되어 있는 외관작동구멍(4a)의 하단과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 만큼 떨어져 있어 우산(1)이 접힐 때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에 의하여 내관(5)이 이동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프링가압부재(22)는 내관(5)에 결합되어 내관(5)과 같이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가압버튼(16)에서 손을 때면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 상기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입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례 7)
도 3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우산을 자동으로 펴기 위한 제1압축스프링이 압축되고, 작동손잡이가 상향 이동한 상태도, 도 3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이 펴진 상태도, 도 3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의 단면도로 우산을 편 상태에서 우산을 자동으로 접기 위한 제2압축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도, 도 3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의 바람직한 제7실시례에서 중요 구성을 분해한 상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7실시례는 우산(1)을 자동으로 접고 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제1압축스프링(10)을 압축해 두었다가 우산(1)을 자동으로 펼 수 있도록 하고,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해 두었다가 우산(1)을 자동으로 접어지게 구성한 것으로, 손잡이(3)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보조살고정부재(6)가 결합된 외관(4)의 중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외관작동구멍(4a)을 마주보게 형성하며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관(5)은 외관(4)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는 메인살고정부재(7)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손잡이(3) 위쪽의 내관(5)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마주보게 내관작동구멍(5a)을 형성하며, 내관작동구멍(5a)보다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상,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m)(5l)을 형성하고, 상기 내관(5)의 내부에 내관작동구멍(5a) 보다 위쪽에 상부스프링받침구(5b)를 설치하고, 내관작동구멍(5a)과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 사이에는 하부스프링받침링(5n)을 설치한다.
이때 외관작동구멍(4a)은 내관작동구멍(5a) 보다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외관(4) 및 내관작동구멍(4a)(5a)의 하단이 일치하게 하며, 외관작동구멍(4a)의 상하길이는 내관작동구멍(5a)의 상하 길이에서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만큼 더 길게 형성한다.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은 축직각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관통되는 구성인바, 이들 관통되어 있는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으로 핀(9)을 관통시키며, 상기 핀(9)은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를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13)의 상단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스프링받침구(14)와 작동손잡이(13)가 일체로 결합되어 우산대(2)를 구성하는 외관(4)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3)에는 아래쪽으로 출몰되는 스프링가압부재(22)가 조립되며, 스프링가압부재(22)에는 상기 우산대(2)를 구성하는 내관(5)의 하단부가 내입되는 내관내입공간(22a)이 형성되고, 내관내입공간(22a)의 중심에는 상단이 확대된 걸림부(22c)가 형성된 가이드봉(22b)이 스프링가압부재(22)와 일체로 길게 형성되어 하부스프링받침링(5n)을 관통하도록 하고, 상측에는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가압부재(22)가 손잡이(3)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우산(1)이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되면 상기 하부스프링받침링(5n)의 상단이 가이드봉(22b)의 걸림부(22c)에 걸리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 제7실시례에서는 제1 내지 제3압축스프링(10)(11)(12)이 적용되어 있으며, 이들의 바람직한 설치는 하부스프링받침링(5n)의 아래쪽과 스프링가압부재(22)에 형성된 내관내입공간(22a)의 바닥 사이에 양단이 접하도록 제1압축스프링(10)을 설치하고, 하부스프링받침링(5n)의 위쪽과 스프링받침구(14)의 아래쪽에 양단이 접하도록 제2압축스프링(11)을 설치하고, 스프링받침구(14)의 위쪽과 상부스프링받침구(5b)의 아래쪽에 양단이 접하도록 제3압축스프링(12)을 설치한다.
상기 제1압축스프링(10)은 우산(1)이 접혀진 상태에서 압축하였다가 우산(1)을 자동으로 펼 때 사용하며, 제2압축스프링(11)은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압축하였다가 우산(1)을 자동으로 접을 때 사용하며, 제3압축스프링(12)은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에 의해 스프링받침구(14)와 핀(9)으로 결합된 작동손잡이(13)가 이동할 때 작동손잡이(13)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압축스프링의 강도는 제1압축스프링(10)이 제일 강하고, 제3압축스프링(12)이 제일 약하게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3)에는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가압버튼(16)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버튼(16)에는 가압버튼걸림돌기(16a)를 형성하여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상기 내관(5)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손잡이(3)의 내측 외관(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내입구멍(4b)를 통하여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입 걸림 되어 우산(1)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고,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입되어 우산(1)이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에는 가압버튼(16)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며 복원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하향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돌기(24a)가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구(24)와 상향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를 설치한다.
상기 작동손잡이걸림돌기(24a)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는 각각 손잡이(3)에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3a)과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를 하향 이동시켜 제2압축스프링(11)을 가압할 때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이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3a)에 내입되는데 이때 작동손잡이걸림돌기(24a)가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림 되며,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스프링가압부재(22)를 상향 이동시켜 제1압축스프링(10)을 가압할 때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손잡이(3)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에 내입되는데 이때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 걸림 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작동손잡이걸림구(24)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는 우산(1)이 접어진 상태와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교대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의 작동은 손잡이(3)에 조립된 걸림구작동부재(26)와, 작동손잡이(13)에 슬라이드 상태로 결합된 상부가압구(27)와, 스프링가압부재(22)에 슬라이드 상태로 결합된 하부가압구(28)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구작동부재(26)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작동손잡이걸림구(24)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에서 돌출 형성된 상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구가압돌기(24b)와 하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가압돌기(25b)가 내입되는 요홈(26a)을 형성하며, 작동손잡이(13)에 슬라이드 상태로 결합된 상부가압구(27)의 하측에는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부가압편삽입홈(13c)의 하측으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상부가압편(27a)을 돌출 형성하고, 스프링가압부재(22)에 결합된 하부가압구(28)는 스프링가압부재(22)의 하단에 설치된 토션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탄성 지지되는 하부가압구받침(29)에 지지되도록 구성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7실시례의 우산(1)을 접고 펴는 작동 및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35와 같이 가압버튼(16)에 형성된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상기 내관(5)에 형성된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 내입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향후 우산(1)을 자동으로 펼 수 있도록 손잡이(3)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스프링가압부재(22)의 하단을 손바닥으로 밀어 손잡이(3)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손바닥으로 스프링가압부재(22)의 하단을 밀면 스프링가압부재(22)의 하단에 노출되어 있는 하부가압구받침(29)이 하부가압구(28)를 밀어 하부가압구(28)의 상단부 일부가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동시에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손잡이(3)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으로 삽입되면서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되어 진다.
이때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노출된 하부가압구(28)가 상향 이동하면서 걸림구작동부재(26)를 밀어 올리면 걸림구작동부재(26)의 아래쪽에 형성된 요홈(26a)으로 복원스프링(23)에 의하여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의 하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가압돌기(25b)가 내입되고 동시에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스프링가압부재(22)의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 걸려 스프링가압부재(22)가 고정되어 제1압축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걸림구작동부재(26)의 위쪽에 형성된 요홈(26a)에서 작동손잡이걸림구(24)에 형성된 상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구가압돌기(24b)가 밀려 이탈되고 동시에 손잡이(3)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에 내입되어 있는 작동손잡이(13)에 일체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의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서 작동손잡이걸림구(24)의 하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돌기(24a)가 이탈되므로 작동손잡이(13)는 제2압축스프링(11)의 팽창으로 제2압축스프링(11)과 제3압축스프링(12)의 힘이 균등한 지점까지 상승한 상태로 우산(1)이 접어진 도 36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6과 같이 우산이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을 펴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3)에 구비된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에 구비된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서 이탈되는데, 이때 압축상태로 있는 제1압축스프링(10)이 팽창하면서 내관(5)에 고정된 하부스프링받침링(5n)이 가이드봉(22b) 상단에 구비된 걸림부(22c)에 걸려 정지할 때 까지 내관(5)을 상부로 밀어 올려 우산(1)은 도 37과 같이 펴지게 된다. 센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는 상기와 같이 우산(1)이 펴지지만 우산포에 외력(바람)이 강하게 작용하여 하부스프링받침링(5n)이 가이드봉(22b)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22c)에 도달하지 못하여 우산(1)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경우에는 작동손잡이(13)을 손으로 조금 밀어 올리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압축스프링(10)의 팽창력에 의해 우산이 펴질 때 제2,3압축스프링(11)(12)은 내관의 내부에서 내관(5)과 같이 상승하므로 제1압축스프링(10)의 팽창으로 우산이 펴질 때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우산을 편 후 가압버튼(16)에서 손을 때면 가압버튼(16)의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걸려 내관(5)은 손잡이(3)에 고정된다.
도 37과 같이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우산(1)을 자동으로 접기 위해서는 도 38과 같이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시켜야 한다.
제2압축스프링(11)의 압축은 작동손잡이(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상부가압구(27)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작동손잡이(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가압구(27)를 손잡이(3) 쪽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부가압편삽입홈(13c)의 하측으로 상부가압구(27)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가압편(27a)이 일부 노출된 상태에서 상부가압구(27)는 작동손잡이(13)와 일체로 이동하고 동시에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이 손잡이(3)에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3a)으로 내입되면서 제2압축스프링(12)이 압축되어 진다.
이때 상기 작동손잡이(13)의 하측에 일부 노출된 상부가압편(27a)이 내려오면서 걸림구작동부재(26)의 상단을 밀면 걸림구작동부재(26)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26a)으로 복원스프링(23)에 의하여 작동손잡이걸림구(24)의 상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구가압돌기(24b)가 내입되고 동시에 하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돌기(24a)가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려 작동손잡이(13)가 고정되어 제2압축스프링(1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걸림구작동부재(26)의 아래쪽에 형성된 요홈(26a)에서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가압돌기(25b)가 밀려 이탈되어 손잡이(3)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c)에 내입되어 있는 스프링가압부재(22)에 일체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의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서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의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서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이탈되더라도 내관(5)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가압버튼(16)에 형성된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내입되어 내관(5)이 손잡이(3)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봉(22b)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22c)가 하부스프링받침링(5n)의 상단에 걸려 있어 스프링가압부재(22)가 손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도 38과 같이 우산(1)이 펴진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제3압축스프링(12)은 완전히 팽창상태이며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제3압축스프링(12)의 상단은 소정의 내관(5)의 이동거리만큼 떨어져 있어 우산(1)이 접힐 때 내관(5)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8과 같이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사용하다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3)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버튼(16)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우산(1)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즉, 가압버튼(16)을 가압하면 가압버튼(16)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서 이탈되는데, 이때 스프링받침구(14)의 하부와 하부스프링받침링(5n)의 사이에서 압축상태로 있던 제2압축스프링(11)이 팽창하면서 내관(5)의 하부스프링받침링(5n)을 밀어 내관(5)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살고정부재(6)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있던 메인살고정부재(7)가 보조살고정부재(6) 쪽으로 근접하면서 우산살어셈블리(8)가 우산대(2)에 가지런하게 밀착하게 접혀지고, 가압버튼(16)에서 손을 때면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 걸려 우산(1)이 접혀진 도 35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7실시례를 구성함에 있어서, 우산살어셈블리(8)의 구성을 공통적으로 개량하고 있다.
즉,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살고정부재(6)가 내입되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보조살고정부재(6)에 결합된 보조우산살(8b)의 결합부가 메인살고정부재(7)에 결합된 메인우산살(8a)의 결합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7a)이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6a)보다 크기 때문에 우산(1)을 폈을 때 우산대(2)에서 메인우산살(8a)과 보조우산살(8b)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지점 사이의 길이가 길어지고 그에 따라 보조우산살(8b)의 길이도 길게 하기 위해서다.
또한 수동으로 우산(1)을 접을 경우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특히 우산(1)을 접을 때 우산포에 잔존하는 빗물에 손이 젖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손잡이(13)의 상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2압축스프링(2)의 팽창에 의하여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할 때 메인우산살(8a)에 걸리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우산 2:우산대
3:손잡이 3a: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
3b: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 4:외관
4a:외관작동구멍 4b:걸림돌기내입구멍
4c:스프링받침링 5:내관
5a:내관작동구멍 5b:상부스프링받침구
5c:하부스프링받침구 5e:고정훅걸림구멍
5g:상부재 5h:연결부재
5i:하부재 5j:연결부재결합구
5k:스프링받침턱 5l: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
5m: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 5n:하부스프링받침링
5p: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 6:보조살고정부재
6a,7a:직경 7:메인살고정부재
8:우산살어셈블리 8a:메인우산살
8b:보조우산살 9:핀
10:제1압축스프링 11:제2압축스프링
12:제3압축스프링 13:작동손잡이
13a:작동손잡이걸림턱 13b:작동손잡이걸림편
13c상부가압편삽입홈 14:스프링받침구
15:압축스프링 16:가압버튼
16a:가압버튼걸림돌기 16d:복원스프링
16e:하부걸림구 16f:하부걸림돌기
16g:상부걸림구 16h:상부걸림돌기
19:고정훅 19a:고정훅걸림돌기
22:스프링가압부재 22a:내관내입공간
22b:가이드봉 22c:걸림부
22d: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 22e: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
22f:작동공간 23:복원스프링
24:작동손잡이걸림구 24a:작동손잡이걸림돌기
24b:작동손잡이걸림구가압돌기 25: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
25a: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 25b: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가압돌기
26:걸림구작동부재 26a:요홈
27:상부가압구 27a:상부가압편
28:하부가압구 29:하부가압구받침

Claims (8)

  1.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각각 결합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우산살(8b)과 메인우산살(8a)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8a)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8b)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7a)을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6a)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8);를 포함하는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4a)과;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과;
    손잡이(3) 상측의 내관(5)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5a)과;
    상기 내관(5)의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고정훅걸림구멍(5e)과;
    내관(5)의 중상단 내측에 설치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을 관통하는 핀(9)으로 결합된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 및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13)와;
    상기 스프링받침구(14)의 상하측으로 각각 내관(5)의 중상단 내측에 설치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내관(5)의 밀봉된 하단 사이에 설치한 제1압축스프링(10) 및 제2압축스프링(11)과;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이 제공되며, 작동손잡이(13)가 하강한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림 되고,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한 상태일 때 상기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해 노출되는 내관(5) 하측의 상기 고정훅걸림구멍(5e)에 내입 걸림 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된 고정훅걸림돌기(19a)가 형성된 고정훅(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우산살(8b)과 메인우산살(8a)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8a)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8b)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7a)을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6a)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8);를 포함하는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와 핀(9)으로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를 하강시켜 제2압축스프링(11)을 압축되게 하여 우산(1)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4a)과;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과;
    손잡이(3) 상측의 내관(5)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5a)과;
    상기 내관(5)의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과;
    내관(5)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을 관통하는 핀(9)으로 결합된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 및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13)와;
    상기 스프링받침구(14)의 상하측으로 각각 내관(5)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내관(5)의 밀봉된 하단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 및 제2압축스프링(11)과;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이 제공되며, 작동손잡이(13)가 하강한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림 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된 고정훅걸림돌기(19a)가 형성된 고정훅(19)과;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내입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된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형성된 가압버튼(1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우산(1)을 편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우산살(8b)과 메인우산살(8a)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8a)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8b)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8);를 포함하는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내관(5)은 메인살고정부재(7)가 상단에 결합된 상부재(5g)와, 후술할 스프링받침링(4c)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부재(5h)와, 연결부재(5h)의 하측으로 확대 형성된 하부재(5i)로 구성하며;
    상기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4a)과;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과;
    외관(4)의 중상단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받침링(4c)과;
    손잡이(3) 상측의 내관(5)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5a)과;
    상기 내관(5)의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고정훅걸림구멍(5e)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을 관통하는 핀(9)으로 결합된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 및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에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13)와;
    내관(5)의 하부재(5i)에 내장되며 스프링받침구(14)의 상측과 상부재(5h)와 하부재(5i)의 경계에 형성된 스프링받침턱(5k)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과;
    내관(5)의 하부재(5i)에 내장되며 스프링받침구(14)의 하측과 내관(5)의 하부재(5i)의 밀봉된 하단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11)과;
    연결부재(5h)의 외부에 상기 스프링받침링(4c)의 상부와 내관(5)을 구성하는 상부재(5g) 사이에 설치된 제3압축스프링(12)과;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이 제공되며, 작동손잡이(13)가 하강한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13)의 하단부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림 되고,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한 상태일 때 상기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내관(5)의 고정훅걸림구멍(5e)에 내입 걸림 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한 고정훅걸림돌기(19a)가 형성된 고정훅(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4.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각각 결합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우산살(8b)과 메인우산살(8a)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8a)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8b)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7a)을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6a)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8);를 포함하는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4a)과;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과;
    손잡이(3) 상측의 내관(5)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5a)과;
    상기 내관(5)의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과;
    내관(5)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을 관통하는 핀(9)으로 결합된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 및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이 구비된 작동손잡이(13)와;
    상기 스프링받침구(14)의 상하측으로 각각 내관(5)의 중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스프링받침구(5b)와 내관(5)의 밀봉된 하단 사이에 설치한 제1압축스프링(10) 및 제2압축스프링(11)과;
    상기 손잡이(3)에 설치된 가압버튼(16)과;
    상기 가압버튼(16)의 하단에는 일체 형성되고, 복원스프링(16d)의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우산대(2)의 외관(4)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며, 우산(1)이 펴진 상태일 때 내관(5)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어 우산(1)이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하부걸림돌기(16f)가 구비된 하부걸림구(16e)와;
    가압버튼(16)의 상단에서 이격상태로 설치되고, 복원스프링(16d)의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우산대(2)의 외관(4)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며,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이 손잡이(3)에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3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림 되는 하향 경사진 상부걸림돌기(16h)가 구비된 상부걸림구(16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5.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우산살(8b)과 메인우산살(8a)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8a)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8b)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8);를 포함하는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내관(5)은 메인살고정부재(7)가 상단에 결합된 상부재(5g)와, 후술할 스프링받침링(4c)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부재(5h)와, 연결부재(5h)의 하측으로 확대 형성된 하부재(5i)로 구성하며;
    상기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4a)과;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과;
    외관(4)의 중상단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받침링(4c)과;
    손잡이(3) 상측의 내관(5)의 하부재(5i)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5a)과;
    상기 내관(5)의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을 관통하는 핀(9)으로 결합된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 및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손잡이(13)와;
    상기 하부재(5i)의 내부와 연결부재(5h)의 외부에 각각 연결부재(5h)와 하부재(5i)의 경계에 형성된 스프링받침턱(5k)과 상기 스프링받침구(14)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 및 상기 스프링받침턱(5k)과 스프링받침링(4c)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11)과;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내입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된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형성된 가압버튼(1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우산(1)을 편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6.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우산살(8b)과 메인우산살(8a)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8a)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8b)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8);를 포함하는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내관(5)은 메인살고정부재(7)가 상단에 결합된 상부재(5g)와, 후술할 스프링받침링(4c)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부재(5h)와, 연결부재(5h)의 하측으로 확대 형성된 하부재(5i)로 구성하며;
    상기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4a)과;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과;
    외관(4)의 중상단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받침링(4c)과;
    손잡이(3) 상측의 내관(5)의 하부재(5i)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내관작동구멍(5a)과;
    상기 내관(5)의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상,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m)(5l)과;
    내관(5)의 하부재(5i)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스프링받침구(5c)와;
    내관(5)의 하부재(5i)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5p)와;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을 관통하는 핀(9)으로 결합된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 및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손잡이(13)와;
    상기 손잡이(3)의 아래쪽으로 출몰되도록 조립되고, 내관(5)의 하단부가 내입되는 내관내입공간(22a)이 형성되고, 상기 내관내입공간(22a)의 측면에 상기 스프링가압부재분리방지돌기(5p)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공간(22f)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이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구비된 스프링가압부재(22)와;
    상기 하부재(5i)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스프링받침구(5c)의 아래쪽과 스프링가압부재(22)에 형성된 내관내입공간(22a)의 바닥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과, 연결부재(5h)와 하부재(5i)의 경계에 형성된 스프링받침턱(5k)과 스프링받침구(14) 사이에 설치된 제3압축스프링(12)과, 연결부재(5h)의 외부에 상기 스프링받침턱(5k)과 스프링받침링(4c)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11)과;
    복원스프링(16d)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우산대(2)의 외관(4)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며, 상기 외관(4)의 걸림돌기내입구멍(4b)을 통하여 내입되는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우산(1)을 편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고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 내입되는 손잡이(3)에 설치된 가압버튼(16)과;
    가압버튼(16)의 하단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복원스프링(16d)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우산대(2)의 외관(4)이 통과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며,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손잡이(3)에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에 삽입되면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 걸림 되는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형성되고, 가압버튼(16)의 하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와;
    손잡이(3)에 조립되며, 작동손잡이(13)에 가압되면 가압버튼(16)의 하단부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 사이의 이격된 틈을 메우고, 작동손잡이(13)가 상승하면 상기 이격된 틈에서 빠져 나오도록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이 제공되는 걸림구작동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7. 손잡이(3)가 하단에 결합된 외관(4)과, 외관(4)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관(5)으로 구성된 우산대(2)와; 상기 외관(4)과 내관(5)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 보조살고정부재(6) 및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우산살(8b)과 메인우산살(8a)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메인우산살(8a)의 중간 부분에 보조우산살(8b)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메인살고정부재(7)에 메인우산살(8a)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을 보조살고정부재(6)에 보조우산살(8b)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 우산살어셈블리(8);를 포함하는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 상측의 외관(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주보게 형성된 외관작동구멍(4a)과;
    상기 외관(4)의 외관작동구멍(4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내입구멍(4b)과;
    손잡이(3) 위쪽의 내관(5)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외관작동구멍(4a)과 관통되도록 마주보게 내관작동구멍(5a)과,
    상기 내관(5)의 내관작동구멍(5a)의 아래쪽 손잡이(3) 내측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상,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m)(5l)과;
    상기 내관(5)의 내부에 내관작동구멍(5a) 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상부스프링받침구(5b) 및 내관작동구멍(5a)과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 사이에는 설치한 하부스프링받침링(5n)과;
    상기 외관 및 내관작동구멍(4a)(5a)을 관통하는 핀(9)으로 결합된 내관(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스프링받침구(14) 및 외관(4)의 외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확대된 하단부에 상부가압편삽입홈(13c)을 형성하고, 그 반대편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이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이 구비된 작동손잡이(13)와;
    상기 손잡이(3)의 아래쪽으로 출몰되도록 조립되고, 내관(5)의 하단부가 내입되는 내관내입공간(22a)이 형성되고, 내관내입공간(22a)의 중심부에는 상단에 확대된 걸림부(22c)가 형성된 가이드봉(22b)이 하부스프링받침링(5n)를 관통하도록 일체로 길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이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구비된 스프링가압부재(22)와;
    하부스프링받침링(5n)의 아래쪽과 스프링가압부재(22)에 형성된 내관내입공간(22a)의 바닥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10)과, 하부스프링받침링(5n)의 위쪽과 스프링받침구(14)의 아래쪽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11)과, 스프링받침구(14)의 위쪽과 상부스프링받침구(5b)의 아래쪽 사이에 설치된 제3압축스프링(12)과;
    상기 손잡이(3)에 설치되며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가압버튼걸림구멍(5m)에 내입되며,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하부가압버튼걸림구멍(5l)에 내입되는 가압버튼걸림돌기(16a)가 구비되는 가압버튼(16)과;
    상기 가압버튼(16)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도록 손잡이(3)에 설치되며 복원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하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돌기(24a)가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구(24) 및 상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와;
    손잡이(3)에 조립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작동손잡이걸림구(24)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25)에 돌출 형성된 상향 경사진 작동손잡이걸림구가압돌기(24b)와 하향 경사진 스프링가압부재걸림구가압돌기(25b)가 내입되는 요홈(26a)이 형성된 걸림구작동부재(26)와;
    상기 걸림구작동부재(26)의 상하측에 위치하도록 작동손잡이(13)에 슬라이드 상태로 결합되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가압편(27a)이 형성된 상부가압구(27) 및 스프링가압부재(22)에 슬라이드 상태로 결합되어 스프링가압부재(22)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가압구받침(29)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가압구(28)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손잡이걸림돌기(24a)와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는 손잡이(3)에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3a)과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3)를 하향 이동시켜 제2압축스프링(11)을 가압할 때 작동손잡이(1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13b)이 손잡이(3)에 상향 개구되게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편삽입홈(3a)에 내입되어 작동손잡이걸림돌기(24a)가 상기 작동손잡이걸림편(13b)에 형성된 작동손잡이걸림턱(13a)에 걸리게 하며,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스프링가압부재(22)를 상향 이동시켜 제1압축스프링(10)을 가압할 때 스프링가압부재(2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이 손잡이(3)에 하향 개구되게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삽입홈(3b)에 내입되어 스프링가압부재걸림돌기(25a)가 상기 스프링가압부재걸림편(22d)에 형성된 스프링가압부재걸림턱(22e)에 걸림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어셈블리(8)를 구성하는 메인살고정부재(7)에 보조살고정부재(6)가 내입되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우산(1)이 접어진 상태일 때 보조살고정부재(6)에 결합된 보조우산살(8b)의 결합부가 메인살고정부재(7)에 결합된 메인우산살(8a)의 결합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20160095384A 2016-07-27 2016-07-27 우산 KR20180012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84A KR20180012490A (ko) 2016-07-27 2016-07-27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84A KR20180012490A (ko) 2016-07-27 2016-07-27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490A true KR20180012490A (ko) 2018-02-06

Family

ID=6122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384A KR20180012490A (ko) 2016-07-27 2016-07-27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4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592A1 (ko) * 2021-07-26 2023-02-02 정우재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592A1 (ko) * 2021-07-26 2023-02-02 정우재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825B1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5626160A (en) Umbrella hav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me automatically
KR101106270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20090293925A1 (en) Umbrella with mechanism for automatic opening or closing
JP5507560B2 (ja)
US4941494A (en) Lightly-operating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KR20180012490A (ko) 우산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101255844B1 (ko) 우산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KR200275643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CN210539376U (zh) 滑套式自动开收伞结构及伞柄
KR200432921Y1 (ko) 자동 접이식 우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KR20080098870A (ko) 자동 우산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101349308B1 (ko) 우산
KR20180001731U (ko) 반대로 펴는 우산의 우산 접기 구조
KR101366756B1 (ko) 우산
KR970009876B1 (ko) 전자동식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