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876B1 - 전자동식 우산 - Google Patents

전자동식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876B1
KR970009876B1 KR1019930015807A KR930015807A KR970009876B1 KR 970009876 B1 KR970009876 B1 KR 970009876B1 KR 1019930015807 A KR1019930015807 A KR 1019930015807A KR 930015807 A KR930015807 A KR 930015807A KR 970009876 B1 KR970009876 B1 KR 97000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pring
inner tube
detent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238A (ko
Inventor
셍-퉁 데이
Original Assignee
데이 셍-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 셍-통 filed Critical 데이 셍-통
Priority to KR101993001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876B1/ko
Publication of KR95000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동식 우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식 우산의 접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식 우산을 펼치기 위한 예비준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식 우산이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우산대 2 : 우산 펼침 스프링
3 : 실린더 4 : 우산 접음 스프링
5 : 작동 기구 6 : 캐노피 구조체
11 : 내부관 12 : 외부관
533 : 액츄에이터 536 : 걸쇠
537 : 갈고리부 538 : 걸림부
본 발명은 간편한 전자동식 우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식 우산의 작동 기구를 개선시킨 전자동식 우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가 한국특허청에 출원하였던 발명의 명칭이 전자동 우산인 특허 출원 제92-22316호를 참고문헌으로 인용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종래의 우산을 사용할 때, 작동 기구 및 우산의 작동은 부작용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더욱 간편화될 수 있고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기구를 개선시킨 간편한 전자동식 우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로에 대해서 활주식으로 구동 가능한 내부관 및 외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관은 상기 내부관의 상부에 중간링과 연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부 잠금 구멍, 중간부 잠금 구멍 및 하부 잠금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외부관은 상부 멈춤쇠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량을 상부단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홈부와 하부 잠금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우산대; 상기 내부관의 상기 연장부내에 신축자재식으로 수용된 우산 펼침 스프링; 상기 연장부에 대해서 활주식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 둘레에 설치되고 하부 단부에 상부링이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중간링과 상기 외부관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 둘레에 신축자재식으로 장착된 우산접음 스프링; 누름 버튼과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상부 삽입부와 하부 멈춤쇠 즉, 상호 작동관계에 있는 액츄에이터와 걸쇠를 포함하는 하부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상부 삽입부 및 하부 삽입부 사이에서 상호 연결된 강선으로 구성되는 작동기구; 종래의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으로 상기 상부링, 중간부링 및 하부링과 연결되어 있는 캐노피 구조체; 그리고, 우산대의 상기 외부관의 하부단부에 설치된 손잡이는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우산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 그리고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명백해진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우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제1도를 참조하면 자동식 우산은 우산대(1)와, 우산펼침스프링(2)과 실린더(3)와 우산 접음 스프링(4)으로 구성되고, 상기 우산대(1)와 상기 우산 펼침스프링(2)과 상기 실린더(3)와 상기 우산접음 스프링(4)은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977,560호에 기재된 것과 비슷하며, 여기에서 상기 특허출원을 참고문헌으로 인용한다. 상기 캐노피구조체(6)와 상기 손잡이(7) 역시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보호받과 하는 특징은 상기 작동기구에 있다.
상기 우산대(1)는 서로에 대해서 활주식으로 구동 가능한 내부관(11)과 외부관(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관(11)은 상부에 중간량(13)과 중간링(13)이상으로 연장하고 있는 연장부(14)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부구멍(111), 중간부구멍(112) 및 하부구멍(113)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 구멍의 마주하는 위치에 잠금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관(12)은 상기 외부관(12)에 대해서 활주 가능한 하부링(15)을 상단부에 구비허고 상부홈(121)과 하부틈새(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링(15)상에는 상부 멈춤쇠(16)가 제공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가는 스프링에 의해서 내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우산 펼침스프링(2)은 상기 내부관(11)의 상기 연장부(14) 내에서 신축 자재식으로 수용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14)는 상기 우산 펼침 스프링(2)의 신축 자재식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연장부(14)에 대해서 활주 가능한 상기 실린더(3) 내에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3)는 하부단부에 상부링(31)이 제공되어 있다.
우산접음스프링(4)은 상기 중간링(13)과 상기 외부관(12)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11)의 주위를 신축자재식으로 구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부관(12)은 상기 우산접음 스프링(4)의 신축자재식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관(11)에 대해서 활주된다.
작동기구(5)는 누름버튼(51)과 상부 삽입부(52) 그리고 하부 삽입부(53)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삽입부(52)와 상기 하부 삽입부(53) 사이에 상호 연결된 강선(54)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 버튼(51)은 말단부(512)에서 상기 외부관(12)의 내부면에 부착된 탄성누름부재(511)와 내부면에서 연결된다. 상기 상부 삽입부(52)에 압축 스프링(521)이 수용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521)의 돌출된 상단부는 횡단정지핀(522)에 의해서 억제된다. 하부삽입부(53)는 상호작동관계에 있는 액츄에이터(533) 및 걸쇠(536)와 하부 멈춤쇠(17)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멈춤쇠(17)는 팽창스프링(531)의 수단에 의해서 외부방향으로 경사져있고 자유단부(532)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액츄에이터(533)는 내부면에 도시된 것처럼 즉 도면에서 좌측면에 도시된 것처럼 2가지 상태의 단계 즉, 제1단 혹은 상단과 제2단 혹은 하단으로 형성되고 마주하는 면 즉 외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533)의 말리부는 복귀스프링(535)과 결합되는 반면에 선단부는 상기 하부 멈춤쇠(17)의 상기 자유단부(532)의 구역으로 들어간다. 하단부에 설치된 걸쇠(536)는 상기 하부 삽입부(53)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단부는 포오크형으로 되어서 갈고리부 및 걸림부(537 및 538)를 형성시킨다.
상기 갈고리부(537)는 또한 상기 자유단부(532)에 대해서 상기 액츄에이터(533)의 상기 선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부 멈춤쇠(17)의 상기 자유단부(532)의 구역으로 유입된다. 상기 걸림부(538)는 이후에 언급되는 것처럼 우산의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533)의 상기 제1단 또는 제2단과 결합된다. 하부 삽입부(53)는 누름버튼(51)이 접촉되도록 눌러질 때 쉽게 구동되도록 경사진 버튼면(539)을 갖는다. 상기 강선(54)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 삽입부(52)의 하단과 상기 하부삽입부(53)의 상부면 사이에 강성적으로 상호 연결되어서 상기 상부삽입부(52)와 상기 하부삽입부(53) 사이에 상호 작용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캐노피 구조체(6)는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없이 종래의 캐노피 구조체와 동일하다. 어찌되었든, 각각의 구조형 리브는 한쪽 단부에서 상기 상부링(31), 중간링(13) 및 하부링(15)에 선회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된다.
손잡이(7)는 우산대(1)의 외부관(12)의 바닥에 장착된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우산의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우산접음 스프링(4)은 완화되지만, 상기 상부멈춤쇠(16)는 상기 외부관(12)의 상기 상부홈(121)을 통해서 상기 내부관(11)의 상기 중간부 구멍(112)으로 결합되며, 그래서 상기 우산펼침스프링(2)은 압축되고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로 유지된다.
우산을 펼치고자 준비할 때, 사용자는 한손으로는 손잡이(7)를 잡고 실린더(3)의 말단부를 지표면, 벽 또는 다른 손에 대해서 놓는다. 약간의 힘이 손잡이를 잡고 있는 손에 의해서 가해지면 상기 외부관(12)은 상기 내부관(11)에 대해서 활주 가능하게 구동되어서, 상기 우산접음 스프링(4)이 상기 외부관(12)의 상단부의 수단에 의해서 압축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관(12)의 하부틈새(122)가 상기 내부관(11)의 하부구멍(113)과 정렬될 때까지 상기 외부관(12)은 상기 내부관(11)에 대해서 상부방향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팽창스프링(531)의 작동하에서 외부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하부구멍(113)으로부터 상기 하부틈새(122)로 결합되어서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우산접음 스프링(4)을 압축상태에 유지시킨다.
우산을 펼치기 위하여, 손잡이(7)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은 단지 누름버튼(51)을 누르기만 하면된다. 하부 삽입부에 경사진 바닥면(5)에 대해서 인접하고 있는 탄성압력부재(511)의 작동하에서, 상기 하부 삽입부(531)는 약간 올려지고, 상부 삽입부(52)는 역으로 상기 내부관(11)의 중간부 구멍(112)으로부터 상부 멈춤쇠(16)가 이격되도록 강선(54)의 수단에 의해서 상부방향으로 구동된다. 우산펼침스프링(2)이 완화하고 상기 스프링의 축적된 에너지의 수단에 의해서 우산이 펼쳐지도록 중간링(13)이 내부관(11)을 따라서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하고 하부링(15)이 캐노피구조체(4)를 펼치기 위하여 상기 외부관(12)에 대해서 상부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상기 하부 삽입부(53)가 상부방향으로 구동될 때, 액추에이터(533)는 복귀스프링(535)을 압축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돌출부(534)가 잠금구멍(114)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액츄에이터(533)의 선단부는 상기 하부 멈춤쇠(17)의 자유단부(532)의 구역으로 계속 들어간다.
상기 누름버튼(51)에 가해진 힘이 완화되자마자, 상기 상부 삽입부(52)에 의해서 압축된 스프링(521)이 처음 위치로 상기 상부 삽입부(2)를 재위치시키기 위하여 팽창된다. 역으로, 하부 삽입부(53)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으로부터 제2단으로 상기 액츄에이터(533)에 대해서 걸림부(538)가 재처리되도록 갈고리부(537)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강선(54)의 수단에 의해서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이 때, 상부 멈춤쇠(16)는 상기 캐노피 구조체(6)가 바람에 대해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관(11)의 상부구멍(11)과 결합된다.
펼쳐진 우산이 접혀질 때, 사용자는 하부 삽입부(53)의 액츄에이터(533)를 계속 올리기 위하여 경사진 표면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누름버튼(51)을 누르고만 있으면 된다. 그래서, 하부멈춤쇠(17)는 상기 액츄에이터(533)의 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하부멈춤쇠의 자유 단부에서 눌려지게 되고 상기 외부관(12)의 하부틈새(122)로부터 충분히 재처리되는 방법으로 선회된다. 우산접음스프링(14)은 이에 의해서 완화되고 상기 스프링의 축적된 에너지의 수단에 의해서, 팽창되며, 따라서 캐노피 구조체(6)를 접기위하여 내부관(11)에 대해서 상기 외부관(12)이 아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동시에 우산펼침스프링(2)은 상기 우산접음 스프링(4)의 팽창력에 의해서 압축되어서 제1도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하부멈춤쇠(17)의 자유단부(532)가 눌려질 때, 걸쇠(536)의 갈고리부(537)는 상기 자유 단부(532)에 의해서 동시에 밀어 제쳐지고 상기 액츄에이터(533)의 제2단상태로부터 분리된다. 그래서 액츄에이터(533)는 상기 걸림부(538)가 제2단상태로부터 제1단상태로 상기 액츄에이터(533)에 대해서 구동되도록 복귀스프링(535)의 작동하에 아래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우산의 작동기구(5)는 부작용의 가능성을 상당히 감소시킨 개량된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기재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6)

  1. 서로에 대해서 활주식으로 구동 가능한 내부관 및 외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관은 상부에 중간링과 상기 중간링 이상으로 연장하고 있는 연장부가 제공되고 상기 내부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부 구멍, 중간부 구멍 및 하부 구멍뿐만 아니라 잠금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외부관은 상부 멈춤쇠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링을 상단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홈부와 하부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우산대와, 상기 내부관의 상기 연장부내에 신축자재식으로 수용된 우산펼침스프링과 상기 연장부에 대해서 활주식으로 구동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 둘레에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부링이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와, 상기 중간링과 상기 외부관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 둘레에 신축 자재식으로 장착된 우산접음 스프링과, 작동기구와, 구조형 리브의 한 단부를 각각 경유해서 상기 상부링, 중간링 및 하부링과 연결되어 있는 캐노피 구조체와 그리고 상기 외부관의 바닥부에 설치된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기구는 내부면에서 탄성, 압력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누름 버튼과 상기 우산 펼침 스프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간부 구멍과 결합된 상기 상부 멈춤쇠를 밀어 제칠 수 있는 상부삽입부와 자유단부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하부 멈춤쇠 즉, 내부면에 제1단과 제2단이 형성되어 있는 액츄에이터와 갈고리부 및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는 걸쇠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갈고리부뿐만 아니라, 상기 액츄에이터의 선단부는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하부 멈춤쇠의 상기 자유단부 구역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상기 턱부(538)에 상기 우산이 접혀있거나 펼쳐져 있는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533)의 상기 제1단 또는 제2단으로 결합되는 하부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상부 삽입부와 상기 하부 삽입부 사이있거나 상호 작용하는 강선으로 구성되는 전자동식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멈춤쇠는 상기 우산 펼침스프링을 압축상태에 유지시키거나 펼쳐진 캐노피 구조체의 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부관의 상기 상부홈부를 통해서 상기 내부관의 상기 상부구멍으로 경사져 있는 전자동식 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멈춤쇠는 상기 우산 접음 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관의 상기 하부 틈새를 통해서 팽창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하부구멍으로 경사져 있는 전자동식 우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는 상기 삽입부가 상부방향으로 구동될 때, 상기 우산 펼침스프링을 압축된 상태에서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간부 구멍을 밀어 제치는 전자동식 우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멈춤쇠는 압축된 상태에 있는 상기 우산 접음 스프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멈춤쇠의 자유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밀어 제쳐지고 상기 외부관의 상기 하부 틈새로부터 재처리되자 마자 상기 팽창 스프링에 대해서 선화되는 전자동식 우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삽입부는 상기 누름 버튼의 수단에 의해서 상부방향으로 쉽게 구동되기 위하여 바닥부에서 경사지는 전자동식 우산.
KR1019930015807A 1993-08-16 1993-08-16 전자동식 우산 KR97000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807A KR970009876B1 (ko) 1993-08-16 1993-08-16 전자동식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807A KR970009876B1 (ko) 1993-08-16 1993-08-16 전자동식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238A KR950005238A (ko) 1995-03-20
KR970009876B1 true KR970009876B1 (ko) 1997-06-19

Family

ID=1936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807A KR970009876B1 (ko) 1993-08-16 1993-08-16 전자동식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897B1 (ko) * 2015-02-25 2016-03-07 김낙진 자동 우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05B1 (ko) * 2011-02-28 2011-06-20 주식회사 티비엠 가동 정밀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고 과충전 방지 회로가 구비되는 댐퍼용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897B1 (ko) * 2015-02-25 2016-03-07 김낙진 자동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238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4374A (en) Fully automatic single push button type umbrella
EP0291589A1 (en) Fully automatic single push button type umbrella
US5267583A (en)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controlled by single push button
US4941494A (en) Lightly-operating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US4989625A (en) Stably-retained automatic umbrella
KR930011708B1 (ko) 전자동 우산
KR970009876B1 (ko) 전자동식 우산
US5060684A (en) Automatic umbrella foldably retained by tip cap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US5787912A (en) Quickly foldable rib means of automatic umbrella
US5318067A (en) Simplified fully automatic umbrella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KR200148800Y1 (ko) 자동개폐식 우산
KR200275643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JPH0763414B2 (ja) 完全自動傘
KR20180012490A (ko) 우산
KR200210347Y1 (ko) 우산 살대고정구에 부착되는 피부 보호 안전장치
KR20180001731U (ko) 반대로 펴는 우산의 우산 접기 구조
KR200288255Y1 (ko) 우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JP2587891B2 (ja) 操作性の良い自動開閉式洋傘
JP2509626Y2 (ja) 折り畳み傘
KR950002324B1 (ko) 전자동 절첩식 우산
KR970005967Y1 (ko) 자동 개폐식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