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352Y1 - 자동우산 - Google Patents

자동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352Y1
KR960005352Y1 KR2019940029954U KR19940029954U KR960005352Y1 KR 960005352 Y1 KR960005352 Y1 KR 960005352Y1 KR 2019940029954 U KR2019940029954 U KR 2019940029954U KR 19940029954 U KR19940029954 U KR 19940029954U KR 960005352 Y1 KR960005352 Y1 KR 960005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mbrella
inner tube
spring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144U (ko
Inventor
조상용
Original Assignee
조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용 filed Critical 조상용
Priority to KR2019940029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352Y1/ko
Publication of KR960016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3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우산
제1도는 종래 고안의 단면표시 측면도로서,
a도는 우산이 접혔을때의 단면도.
b도는 우산의 자동펼쳐짐 동작초기 상태 단면도, c도는 우산이 펼쳐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우산이 접혀진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우산을 펼치기 위한 초기 상태 단면도.
제4a, b도는 본 고안의 우산을 펼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우산을 처음상태로 접은 상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상태도로서,
a도는 우산이 접혀진 상태의 단면도.
b도는 우산을 펼치기 위한 초기 상태 단면도.
c도는 우산을 펼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외부관 7, 7a : 잠금부재
20, 20a, 20b, 20c : 작동공 21 : 스프링압착로드
22 : 작동발판 H : 연장부
본 고안은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도록한 자동우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의 예비동작을 그쳐 자동으로 펼쳐지게 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우산은 대부분 손잡이 부분의 버튼을 눌름으로 해서 펼쳐지는 것만 될 뿐 접혀지는 것은 직접 손으로 우산축을 잡아 당겨 접어야 하므로 엄밀히 말해서 반자동 우산인 것이다.
이러한 반자동 우산을 개선하여 펼쳐주거나 절첩하는 자체를 완전 자동으로 개선하여 선출원 공고된 실용신안공보 제90-1035호(공고일자 1990.2.15)로 공개되어 있다.
이것에 있어서는 제1도와 같이 중앙관(30)과 하부내관(31)에 각각 형성한 개방부(32)(33)를 통하여 잠금작용을 하는 잠금부재(34)를 푸시레버(35)와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36)측에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중앙관(30)에 홈을 형성시킨 개방부(32)가 잠금부재(34)에 접근되고, 결국 개방부(32)가 잠금부재(34)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며, 잠금부재(34)가 개방부(32)에 끼워지게 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잠금상태가 될때까지만 우산에 힘을 가해 주고 이어 사용자는 땅바닥등에 접속된 우산의 머리부분(37)이 땅바닥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이렇게 우산의 머리부분(37)이 땅바닥에서 떨어지는 순간부터 우산의 자동펼쳐짐의 동작이 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에 있어 문제점으로, 특히 좁은 장소에서 우산을 펼때는 우산을 하늘을 향해야 하는데, 땅바닥에 머리부분을 누른 후, 땅바닥에서 우산의 머리부분이 떨어지는 순간 우산이 펼쳐져 우산을 위로 향하기 전에 펼쳐진 상태로 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좁은 장소에서 곧바로 뒤집을 수 없어 다시 손으로 우산축을 조금 당겨 접은 후 우산을 위로 향한 후 손으로 잡고 있던 우산축을 놓아주어 펼쳐지게 사용하여야 한다.
또 이러한 우산을 펼쳐주기 위해 어린이나, 여성, 노인등 노약자가 사용할 경우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눌르는 힘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도 많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미비점을 개선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외부관의 하선단부를 연장하여 절첩시 중앙관 하선단과 동일선상에 놓여지게 하였으며, 작동공을 통해 잠금부재로 고정토록하여 우산의 상단부를 땅바닥에 대고 누른후 땅에서 떼어도 곧바로 펼쳐지지 않고 예비 준비동작을 거친 후 우산을 펼치고 싶은 장소에서 버튼을 눌러주므로서 펼쳐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어린이나 노약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게 작동발판을 설치하여 발로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 중앙관(3) 및 외부관(4)으로 다단계로 삽입되는 축(A)을 구성한다.
중앙관(3)은 외부관(4)내로 또는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은 중앙관(3)에서 슬라이드 작동되게 설치하였다.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 사이에는 제1스프링(5)을 삽입하고 하부내관(2)의 하단부에는 눌름버튼(6)에 의해 동작되는 잠금부재(7)를 고정한 손잡이(8)를 일체로 고정하였다.
또 상부내관(1)과 중앙관(3) 외부관(4) 각각의 상부선단측에는 노치(10)(11)(12)를 형성하여 상부내관(1)측 노치(10)에는 주살대(13)와 고정하고 중앙관(3) 외부관(4)의 노치(11)(12)에는 축(A)을 중심으로 부착되는 펼침살(14)(15)이 우산천을 지지하도록 우산틀(B)을 형성한다.
중앙관(3) 외주연 상단에는 제2스프링(9)을 설치하되 상,하의 노치(11)(12) 사이에 위치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공지의 구조로된 외부관(4)의 하선단부를 절첩시 중앙관(3)의 하선단과 일치되는 길이의 연장부(H)로 형성하고 그 하단에 잠금부재(7)가 걸려지는 작동공(20)을 형성하였다.
또 제1스프링(5)이 안치되는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 사이에는 상부내관(1) 상단일측으로 작동발판(22)을 돌출시킨 스프링 압착로드(2)를 하부내관(2) 상단에 일체로 고정하여 된 것이다.
이렇게 된 외부관(4) 중앙관(3) 하부내관(2) 하측선단에 형성된 작동공(20)(23)(24)이 일치되게 잠금부재(7)로 고정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우산이 제2도와 같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우산을 펼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우산의 손잡이(8)를 잡고 우산의 상부내관(1) 상단을 땅바닥면이나 고정물체등에 접촉시켜 1차로, 상부내관(1) 측으로 밀어준다.
이렇게 밀어주는 과정에서 제3도와 같이 손잡이(8)와 결합된 하부내관(2)이 압착되며 상부내관(1)과의 사이에 안치된 제1스프링(5)이 압축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손잡이(8)의 잠금부재(7)는 중앙관(3)과 외부관(4)의 연장부(H) 선단의 작동공(23)(20)에 삽입 고정되어 준비단계에 들어간다.
여기서 우산이 펼쳐지지 않는 것은 외부관(4)의 연장부(H)에 형성한 작동공(20)이 잠금부재(7)에 의해 걸려지므로 제1스프링(5)이 압축된 상태에서 작동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중앙관(3)과 외부관(4)의 노치(11)(12) 사이에 안치된 제2스프링(9)은 팽창되어 있는 상태로 있다.
상기와 같이 우산을 펼치는 예비동작으로 손잡이(8)를 눌러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 사이의 제1스프링(5)을 압착시킬 때 제1스프링(5)의 탄성에 의해 어린이나 노인과 같은 노약자들이 눌르는데 힘이 들때 상부내관(1) 일측으로 돌출시킨 작동발판(22)을 발로 밟아 준다.
이렇게 작동발판(22)을 밟아 주면 스프링 압착로드(21)가 손잡이(8)와 결합된 하부내관(2)을 아래로 당겨줌과 동시에 제1스프링(5)을 압축시켜 하부내관(2)의 잠금부재(7)가 중앙관(3)과 외부관(4)의 작동공(23)(20)에 걸려짐과 동시에 준비 예비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우산이 펼쳐지지 않으므로 통상적으로 휴대가 가능하다.
이러한 우산을 펼치고자 할때는 우산의 상부내관(1)이 위를 향하게 들어서 손잡이(8)이 눌름버튼(6)을 1단계로 눌러준다.
눌름버튼(6)을 1단계로 눌러주면 제4b도 처럼 잠금부재(7)가 하부내관(2) 쪽으로 밀려나 외부관(4) 연장부(H)의 작동공(20)을 벗어난 상태로 정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눌름버튼(6)에서 힘을 제거하면 중앙관(3) 사이의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에서 압착되어 있던 제1스프링(5)이 팽창되면서 상부내관(1)에 고정된 노치(10)를 순간적으로 밀어준다.
이와 더불어 펼침살(14)(15)을 당겨주어 외부관(4)이 위로 이동하여 주살대(13)가 펼쳐져 미도시된 우산천이 펼쳐진다.
이때 주살대(13)가 펼쳐지면서 외부관(4)이 이동함과 아울러 중앙관(3)과 외부관(4)의 노치(11)(12) 사이에 위치한 제2스프링(9)은 압축되어 진다.
이러한 상태로 우산을 사용하다 펼쳐진 우산을 접고자 할때는 사용자가 손잡이(8)측의 눌름버튼(6)을 눌러 하부내관(2)에 고정된 잠금부재(7)를 내측으로 밀어준다.
이렇게 밀어주어 잠금부재(7)가 중앙관(3) 하단의 작동공(23)에서 하부내관(2)내로 밀려남과 아울러 눌름버튼(6)에서 힘을 제거한다.
눌름버튼(6)에서 힘을 제거하면 중앙관(3)과 외부관(4)의 노치(11)(12)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제2스프링(9)이 팽창하면서 중앙관(3) 측 노치(11)를 밀어줌으로서 중앙관(3)이 상부내관(1)의 노치(10)측으로 밀려나고 펼침살(14)(15)과 주살대(13)가 이완되어 접혀진다.
이 동작은 상기 중앙관(3)의 노치(11)가 상부내관(1)에 접속될 때까지 계속되며, 중앙관(3)의 노치(11)가 상부내관(1)의 노치(10)에 접속되면 제2스프링(9)은 완전이완상태에서 우산이 접혀진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6도처럼 공지의 외부관(4) 길이의 하선단에 작동공(20a)을 형성시키며, 중앙관(3)과 하부관(4)에도 외부관(4)의 작동공(20a)과 동일 위치에 작동공(20b)(20c)를 만들어 복수개로 형성시킨 잠금부재(7a)를 손잡이(8)의 눌름버튼(6)을 누름으로 작동되게 한 것이다.
이렇게 된 고안에 있어 우산을 펼쳐주기 위해 손잡이(8)를 눌러주게 되면 하부내관(2)이 상부내관(1) 측으로 밀려나며 중앙관(3)과 외부관(4)의 작동공(20b)(20a)에 잠금부재(7a)가 삽입되어 준비상태가 된다.
이때 중앙관(3)의 상축작동공(20b)은 하부관(4) 하단의 작동공(20a)과 일치되어 잠금부재(7a)의 상단에 걸려지고 하측 작동공(23)은 잠금부재(7a)의 하단에 걸려 정지된다.
이후 모든 동작준비 상태는 전자의 설명과 같다.
이 상태에서 눌름버튼(6)을 눌러주면 외부관(7)측의 잠금부재(7a)의 상단 부분이 작동공(20a)에서 이탈되면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 사이의 제1스프링(5)이 팽창되며 우산이 펼쳐진다.
이때 중앙관(3)은 복수개의 잠금부재(7a) 상,하단에 작동공(20b)(23)이 걸려 정지 상태로 있다.
여기서 우산을 접고자 할때는 다시 한번 눌름버튼(6)을 눌러주면 다시 잠금부재(7a)가 중앙관(3) 하단의 작동공(20b)(23)에서 이탈되어 중앙관(3)과 외부관(4)의 노치(11)(12) 사이에 압착된 제2스프링(9)이 팽창되며 중앙관(3)을 위로 올려 주어 우산이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우산을 펼치기 위해 상부내관을 땅바닥에 눌러줘도 곧바로 펼쳐지지 않아 일단 준비 상태에서 우산을 보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우산이 필요한 곳에서는 눌름버튼을 눌러주므로서 우산을 펼칠 수 있도록 외부관의 하선단에 일정 길이로 연장부를 만들었고, 손잡이를 눌렀을때 잠금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곧바로 펼쳐지지 않게 되어 우산을 펼치기 위한 좁은 공간이나 넓은 공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토록 하였다.
또 어린이나 노약자가 쉽게 사용하기 위해 상부내관에 작동발판을 가진 스프링 압착로드를 일체로 하여 하부 내관에 고정하므로서 작동발판을 발로 눌르거나 손잡이를 눌러도 동일작동토록 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 사이에 제1스프링(5)을 탄설하고, 중앙관(3)과 외부관(4) 사이에 제2스프링(9)을 삽입 다단계로 작동되는 축(A)을 구성한 공지의 자동우산에 있어서, 외부관(4)의 하선단부를 중앙관(3)의 하선단과 일치되는 길이의 연장부(H)로 형성하고 그 하단의 작동공(20)에 잠금부재(7)가 걸려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내관(1)과 하부내관(2) 사이에는 상부내관(1) 상단 일측으로 작동발판(22)을 돌출시킨 스프링압착로드(21) 하단부를 하부내관(2) 상단에 일체로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관(4)에 연장부(H)가 없는 상태의 외부관(4) 선단과 중앙관(3) 및 하부내관(2)의 동일위치에 작동공(20a)(20b)(20c)를 형성시켜 복수개의 잠금부재(7a)에 의해 걸려질 수 있게 특징으로 한 자동우산.
KR2019940029954U 1994-11-11 1994-11-11 자동우산 KR960005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954U KR960005352Y1 (ko) 1994-11-11 1994-11-11 자동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954U KR960005352Y1 (ko) 1994-11-11 1994-11-11 자동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144U KR960016144U (ko) 1996-06-17
KR960005352Y1 true KR960005352Y1 (ko) 1996-06-28

Family

ID=1939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954U KR960005352Y1 (ko) 1994-11-11 1994-11-11 자동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3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144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498B2 (en) Umbrella with mechanism for automatic opening or closing
EP2476336A2 (en) Umbrella rib assembly and foldable umbrella
US4941494A (en) Lightly-operating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KR101106270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930011708B1 (ko) 전자동 우산
US5253666A (en) Umbrella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thout use of spring latches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US5036872A (en) Self-opening and self-closing umbrella
KR960005352Y1 (ko) 자동우산
GB2281034A (en) Folding collapsible frame assembly for an automatic folding umbrella
US6199571B1 (en) Lightening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with control module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US5318067A (en) Simplified fully automatic umbrella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20090132764A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200275643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KR19990034901U (ko) 자동우산
CN108244787A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KR200153575Y1 (ko) 자동우산
KR20180012490A (ko) 우산
KR900001036Y1 (ko) 자동 우산
KR970005967Y1 (ko) 자동 개폐식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