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764A -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 Google Patents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764A
KR20090132764A KR1020080058906A KR20080058906A KR20090132764A KR 20090132764 A KR20090132764 A KR 20090132764A KR 1020080058906 A KR1020080058906 A KR 1020080058906A KR 20080058906 A KR20080058906 A KR 20080058906A KR 20090132764 A KR20090132764 A KR 20090132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pring
clasp
fixed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349B1 (ko
Inventor
이은우
Original Assignee
이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우 filed Critical 이은우
Priority to KR102008005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349B1/ko
Priority to CN2009901001983U priority patent/CN201846970U/zh
Priority to PCT/CN2009/072369 priority patent/WO2009155843A1/zh
Publication of KR2009013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025/146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with a crank connected to a ro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캡, 상기 상부캡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외곽살, 상기 각 외곽살의 내측 단부에 힌지결합된 다수의 뻗침살, 상단이 상기 상부캡에 고정된 상봉 및 일단이 상기 상봉의 하단 개구를 통하여 내외부로 인출입되며 타단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된 하봉을 포함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상기 하봉의 내외부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심봉과; 중앙으로 상기 상봉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외주연을 따라 상기 각 뻗침살의 단부가 힌지결합된 하걸쇠와;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걸쇠 사이에 상기 상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각 뻗침살과 연결된 하부지지살이 결합된 중걸쇠와; 상기 상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걸쇠 및 중걸쇠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게 마련된 스프링수용부와; 양단이 상기 중걸쇠 및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지지된 접힘스프링과; 양단이 상기 하걸쇠 및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지지된 펼침스프링과; 상기 접힘스프링의 압축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펼침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수용부가 상기 상부캡으로 이동하면 상기 압축상태가 해제되는 임시고정부와; 상기 하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움직도르래와 일단이 상기 중걸쇠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수용부 및 상기 상부캡을 경유하여 상기 상봉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심봉에 마련된 제1관통공을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여 상기 하봉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중걸쇠에 고정되며, 상기 움직도르래를 경유하여 상기 상봉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하봉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걸쇠가 걸림 및 해제되는 펼침버튼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봉 및 심봉이 걸림 및 해제되는 접힘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우산을 펼치는 동작 및 접히는 동작이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모두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접힘과정에서 우산살이 접혀질 뿐만 아니라 우산대가 동시에 상호 인입되어 단축되므로 하나의 동작으로 모든 접힘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Description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FOLDABLE AUTOMATIC UMBRELLA}
본 발명은 자동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펼침스프링과 접힘스프링의 탄성력과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는 자동우산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비가 내릴 때 신체가 비에 젖지 않도록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래 우산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잡이의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는 자동우산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도 우산을 펴는 동작만이 자동으로 수행될 뿐, 우산을 접을 때에는 반드시 손으로 직접 우산을 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우산피복재에 묻어 있는 빗물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나 의복이 젖게 되거나, 한 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는 우산을 접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힘 및 펼침을 위한 2개의 스프링과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우산을 펼치고 접는 2가지 동작이 모두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자동우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캡(10), 상부캡(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외곽살(50), 각 외곽살(50)의 내측 단부에 힌지결합된 다수의 뻗침살(60), 상단이 상부캡(10)에 고정된 상봉(20) 및 일단이 상봉(20)의 하단 개구를 통하여 내외부로 인출입되며 타단에는 손잡이부(35)가 마련된 하봉(30)을 포함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하봉(30)의 내외부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심봉(40)과 중앙으로 상봉(20)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외주연을 따라 상기 각 뻗침살(60)의 단부가 힌지결합된 하걸쇠(100)와 상부캡(10)과 하걸쇠(100) 사이에 상봉(2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외주연에는 각 뻗침살(60)과 연결된 하부지지살(70)이 결합된 중걸쇠(90)와 상봉(2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하걸쇠(100) 및 중걸쇠(90)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게 마련된 스프링수용부(110)와 양단이 중걸쇠(90) 및 스프링수용부(110)에 지지된 접힘스프링(120)과 양단이 하걸쇠(100) 및 스프링수용부(110)에 지지된 펼침스프링(130)과 접힘스프링(120)의 압축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펼침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 링수용부(110)가 상부캡(10)으로 이동하면 압축상태가 해제되는 임시고정부(140)와 하봉(3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움직도르래(150)와 일단이 중걸쇠(90)에 고정되며, 스프링수용부(110) 및 상부캡(10)을 경유하여 상봉(20) 내부로 연장된 후, 심봉(40)에 마련된 제1관통공(41)을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여 하봉(30)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160)와, 일단이 중걸쇠(90)에 고정되며, 움직도르래(150)를 경유하여 상봉(20) 내부로 연장된 후 하봉(30)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170)와 손잡이부(35)에 마련되어, 하걸쇠(100)가 걸림 및 해제되는 펼침버튼부(180)와 손잡이부(35)에 마련되어, 하봉(30) 및 심봉(40)이 걸림 및 해제되는 접힘버튼부(190)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제2연결부재(170)는, 제2연결부재(170)가 고정되는 하봉(30)의 양측에는 제2관통공(31)이 형성되며, 제2관통공(31)에 대응하는 심봉(40)의 일측에는 심봉(40)과 하봉(30)의 상대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개부(43)가 형성되어, 제2연결부재(170)의 타단이 제2관통공(31) 및 절개부(43)를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연장된 후 움직도르래(150)를 경유하여 중걸쇠(90)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캡(10), 상부캡(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외곽살(50), 각 외곽살(50)의 내측 단부에 힌지결합된 다수의 뻗침살(60), 상단이 상부캡(10)에 고정된 상봉(20) 및 일단이 상봉(20)의 하단 개구를 통하여 내외부로 인출입되며 제2관통공(31)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손잡이부(35)가 마련된 하봉(30)을 포함하는 자동우산(1)에 있어서, 하봉(30)의 내외부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마련되되, 제2관통공(31)에 대응하는 절개부(43)가 형성된 심봉(40)과 중앙으로 상봉(20) 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외주연을 따라 각 뻗침살(60)의 단부가 힌지결합된 하걸쇠(100)와 상부캡(10)과 하걸쇠(100) 사이에 상봉(2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외주연에는 각 뻗침살(60)과 연결된 하부지지살(70)이 결합된 중걸쇠(90)와 상봉(2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하걸쇠(100) 및 중걸쇠(90)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게 마련된 스프링수용부(110)와 양단이 중걸쇠(90) 및 스프링수용부(110)에 지지된 접힘스프링(120)과 양단이 하걸쇠(100) 및 스프링수용부(110)에 지지된 펼침스프링(130)과 접힘스프링(120)의 압축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펼침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수용부(110)가 상부캡(10)으로 이동하면 압축상태가 해제되는 임시고정부(140)와 하봉(30)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움직도르래(150)와 일단이 하걸쇠(100)에 고정되며, 상부캡(10)을 경유하여 상봉(20) 내부로 연장된 후, 심봉(40)에 마련된 제1관통공(41)을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여 하봉(30)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160)와 일단이 하걸쇠(100)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2관통공(31) 및 절개부(43)를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연장된 후 움직도르래(150)를 경유하여 하걸쇠(100)에 함께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170)와 손잡이부(35)에 마련되어, 하걸쇠(100)가 걸림 및 해제되는 펼침버튼부(180)와 손잡이부(35)에 마련되어, 하봉(30) 및 심봉(40)이 걸림 및 해제되는 접힘버튼부(190)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임시고정부(140)는 중걸쇠(90)의 연부를 따라 마련된 걸림돌기(141)와 스프링수용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접힘스프링(120)의 압축시 걸림돌기(141)에 걸림유지되는 걸림부(143)와 상부캡(10)의 연부를 따라 돌출되어 스프링 수용부(110)가 접근할 때 걸림부(143)를 해제시키는 해제돌기(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도르래(150)는 펼침버튼부(180) 및 접힘버튼부(190)가 걸림유지된 상태에서 상봉(20)의 하단부와 소정거리로 이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펼침버튼부(180) 및 접힘버튼부(190)가 모두 해제된 상태에서 상봉(20)을 하봉(30)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펼침방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펼침방지부(200)는 일단이 심봉(4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심봉(40) 및 하봉(30)을 관통하여 상봉(20)에 형성된 제3관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10)가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마련되되, 돌출부(210)는 상봉(20) 및 하봉(30)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우산을 펼치는 동작 및 접히는 동작이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모두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접힘과정에서 우산살이 접혀질 뿐만 아니라 우산대가 동시에 상호 인입되어 단축되므로 하나의 동작으로 모든 접힘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의 압축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의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은 중걸쇠(90), 하걸쇠(100), 스프링수용부(110), 임시고정부(140), 움직도르래(150), 제1연결부재(160), 제2연결부재(170), 펼침버튼부(180) 및 접힘버튼부(190)를 포함한다.
우산살은 외곽살(50), 뻗침살(60), 상부지지살(80) 및 하부지지살(7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외곽살(50)은 상부캡(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며 우산피복재(미도시)의 저면부를 지지고정한다.
뻗침살(60)은 일단이 외곽살(50)의 내측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하걸쇠(100)의 외주연에 힌지결합된다.
상부지지살(80)은 상부캡(10)과 뻗침살(60) 사이에 양단이 힌지결합된다.
하부지지살(70)은 뻗침살(6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중걸쇠(90)에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전술한 상기 힌지결합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봉(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상부캡(10)이 고정되고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마련된 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상봉(20)은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 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봉(30)은 상봉(20)의 하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외부로 인출입되며 타단에는 손잡이부(35)가 마련된다.
하봉(30)은 상봉(20)의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봉(20)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봉(3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35)가 장착된다.
한편, 손잡이부(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가능한 바, 예를 들어, 원통형, " J "형 등 공지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손잡이부(3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걸쇠(100)가 걸림 및 해제되는 펼침버튼부(180)와 하봉(30) 및 심봉(40)이 걸림 및 해제되는 접힘버튼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펼침버튼부(180)는 예를 들어, 일측에 펼침버튼(180a)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하걸쇠(100)에 마련된 펼침고정공(101)이 걸림 및 해제되는 펼침돌기(180b)와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접힘버튼부(190)는 예를 들어, 펼침버튼부(180)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되, 접힘버튼(190a), 심봉(40)에 마련된 접힘고정공(45)이 걸림 및 해제되는 접힘돌기(190b)와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펼침버튼부(180) 및 접힘버튼부(190)의 걸림 및 해제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힘스프링(120) 및 펼침스프링(130)을 압축하기 위하여 하봉(30)을 상봉(20) 쪽으로 가압하는 경우, 하봉(30)이 상봉(20) 및 심봉(40)에 대하여 상대이동 하여 접힘고정공(45) 및 펼침고정공(101)이 각각 펼침돌기(180b)와 접힘돌기(190b)에 일치하게 되며, 각각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걸리게 된다.
다음, 자동우산(1)을 펼치기 위해 펼침버튼(180a)을 누르면, 펼침돌기(180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펼침고정공(101)에서 걸림이 해제된다. 이후, 하걸쇠(100)는 펼침스프링(130)에 의해 상봉(20)을 타고 상부캡(10)으로 이동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자동우산(1)을 접기 휘해 접힘버튼(190a)을 누르면, 접힘돌기(190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접힘고정공(45)에서 걸림이 해제되며, 심봉(40)은 접힘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 하봉(30)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펼침버튼부(180) 및 접힘버튼부(190)는 상기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펼침버튼부(180) 및 접힘버튼부(190)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5)에 마련될 수도 있고, 하봉(30)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심봉(40)은 하봉(30)의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하봉(30)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상봉(20), 하봉(30) 및 심봉(4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가능한 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하걸쇠(100)는 중앙으로 상봉(20)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외주연을 따라 각 뻗침살(60)의 단부가 힌지결합된다.
하걸쇠(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가능한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걸쇠(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돌기(180b)에 고정 및 해제 가능한 펼침고정공(101)이 형성된다.
중걸쇠(90)는 상부캡(10)과 하걸쇠(100) 사이에 상봉(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중걸쇠(90)는 일측 외주연을 따라 각 뻗침살(60)과 연결된 하부지지살(70)이 결합된다.
스프링수용부(110)는 상봉(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하걸쇠(100) 및 중걸쇠(90)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마련된다.
스프링수용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부에는 펼침스프링(130)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접힘스프링(120)이 마련된다.
또한, 스프링수용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스프링(190)의 하단부가 지지고정되는 제1단차(117)와 펼침스프링(180)의 하단부가 지지고정되는 제2단차(119)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하걸쇠(100), 중걸쇠(90) 및 스프링수용부(11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가능한 바,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접힘스프링(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중걸쇠(90)의 하부면과 타단은 제1단차(117)에 지지고정된다.
펼침스프링(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하걸쇠(100)의 걸림 턱(103)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단차(119)에 지지고정된다.
접힘스프링(120) 및 펼침스프링(130)은 탄성력을 가진 다양한 탄성부재로 마련가능한 바,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접힘스프링(120) 및 펼침스프링(130)은 복원되는 탄성력에 의해 중걸쇠(90), 하걸쇠(100) 및 스프링수용부(110)를 상봉(20)에서 이동시킨다.
여기서, 구체적인 동작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임시고정부(140)는 접힘스프링(120)의 압축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펼침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수용부(110)가 상부캡(10)으로 이동하면 압축상태가 해제가능하게 마련된다.
임시고정부(140)에서 접힘스프링(120)을 임시 고정하는 이유는, 접힘스프링(120)이 임시고정부(140)에 고정되지 않으면 자동우산(1)을 펼칠 때 펼침스프링(130)의 복원력과 접힘스프링(120)의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므로 펼침동작이 제대로 수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임시고정부(140)는 자동우산(1)이 완전히 펼쳐지고 난 후에는 접힘스프링(120)의 압축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게 되는 데, 이렇게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힘스프링(120)의 압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동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임시고정부(140)가 마련함으로써,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추가적인 동작없이 버튼의 누름만으로 접힘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임시고정부(14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중걸 쇠(90)의 연부를 따라 마련된 걸림돌기(141)와, 스프링수용부(1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접힘스프링(120)의 압축시 걸림돌기(141)가 걸림유지되는 걸림부(143)와, 상부캡(10)의 연부를 따라 돌출되어 스프링수용부(110)가 접근할 때 걸림부(143)를 해제시키는 해제돌기(145)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1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된 하부지지살(70)에 이웃하여 마련된다.
걸림돌기(141)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가능한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단차가 형성되고 하부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걸림돌기(141)가 걸림부(143)에 걸림되는 것이 용이하고, 가압된 접힘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걸림돌기(141)는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 또는 3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141)가 마련되는 수는 접힘스프링(120)의 탄성력에 비례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접힘스프링(120)의 탄성력이 큰 경우에는 상기 탄성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141)의 수를 늘릴 수 있고, 상기 탄성력이 적은 경우에는 걸림돌기(141)의 수를 적게 마련할 수 있다.
걸림부(143)는 걸림돌기(141)에 대응하여 스프링수용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된다.
걸림부(143)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가능한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41)에 대응하는 연장날개(115)로 마련될 수 있다.
연장날개(115)는 걸림부(143)에 걸림돌기(141)가 결합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걸쇠(90)의 상단부로 소정거리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해제돌기(14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10)의 연부를 따라 돌출되어 마련된다.
해제돌기(14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가 형성되고 손잡이부(35)를 향하여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해제돌기(145)의 돌출높이는 걸림부(143)가 미끄러져 벌어질 때, 걸림부(143)에서 걸림돌기(141)가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의 경우, 걸림돌기(141)가 걸림부(143)에 결합되어 상부캡(10)을 향하여 이동되었을 때, 중걸쇠(90)의 상단부로 소정거리 돌출된 걸림부(143)가 해제돌기(145)에 미끄러져 걸림돌기(141)가 쉽게 이탈되는 장점이 있다.
해제돌기(145)는 걸림돌기(141) 및 걸림부(143)가 마련되는 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임시고정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이 펼쳐지면, 상부캡(10)의 하단부에 마련된 해제돌기(145)에 의해 연장날개(115)가 미끄럼되어 벌어져 걸림돌기(141)가 걸림부(143)에서 해제된다.
여기서, 접힘스프링(120)은 임시고정부(140)가 해제되어도 후술할 제1연결부재(160) 및 제2연결부재(170)가 서로 일대일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전술한 중걸쇠(90), 하걸쇠(100), 스프링수용부(110), 펼침스프링(130) 및 접힘스프링(12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봉(20)의 일측 단부는 상부캡(10)이 고정되고, 상봉(20)의 타측에서 중걸쇠(90)가 끼움 된다.
펼침스프링(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수용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하단부에 지지된다.
또한, 접힘스프링(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수용부(110)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단에 지지된다.
여기서, 스프링수용부(110)는 중걸쇠(90)를 향하여 상봉(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한다.
따라서, 접힘스프링(120)은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걸쇠(90) 및 스프링수용부(110)에 지지되어 위치한다.
한편, 스프링수용부(110)의 외주연에는 2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걸쇠(90)가 가압되어 걸림돌기(141)가 걸림부(143)에 걸림되는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가이드홈(113)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스프링수용부(110)에 하걸쇠(1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된다.
여기서, 하걸쇠(100)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3)에 끼움되는 걸림턱(103)을 마련할 수 있다.
걸림턱(103)은 스프링수용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펼침스프링(130)의 상단부를 지지한다.
걸림턱(103)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하걸쇠(100)의 일측면에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홈에 대응하는 고정나사 및 고정막대를 끼워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나사 및 고정막대를 사용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스프링(130)의 상단부를 고정하되, 상봉(20)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제1연결부재(160)는 도 1을 참조하면, 일단이 중걸쇠(90)에 고정되며, 스프링수용부(110)에 마련된 제1고정도르래(21) 및 제2고정도르래(111)를 경유하여 상봉(2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심봉(40)에 마련된 제1관통공(41)을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여 하봉(30)에 마련된 체결공(33)에 결합된다.
제1연결부재(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연결부재(160)로 마련될 수 있고, 반대측으로 다른 하나의 제1연결부재(16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부재(160)가 스프링수용부(110) 및 상부캡(10)을 경유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철사를 사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고 고정도르래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도르래를 사용하는 경우, 제1연결부재(160)가 도르래에 걸림되어 움직일 때 마찰이 적고 쉽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체결공(33)은 하봉(30)의 상단부를 "L"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의 경우, 제1연결부재(160)의 타단을 매듭지어 하봉(30)의 길이방향으로 끼운 후에 수평으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제1연결부재(160)가 체결공(3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연결부재(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중걸쇠(90)에 고정되어 타단은 움직도르래(150)를 경유하여 상봉(20)의 내측으로 연장된 후 하봉(30)에 마련된 제2관통공(31) 및 심봉(40)에 마련된 절개부(43)를 관통하여 반대편으로 움직도르래(150)를 경유하여 중걸쇠(90)에 고정된다.
제2연결부재(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봉(20)의 내측으로 연장된 후 하봉(30)에 마련된 제2관통공(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심봉(40)에 마련되는 절개부(43)는 생략될 수 있다.
이에, 제2연결부재(170)는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의 펼침동작에서 제2연결부재(170)의 두 축이 동일한 힘으로 균형을 이루며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불균형으로 인한 저항이 발생하여 오작동 되는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0)는 제1연결부재(160)가 중걸쇠(90)에 고정되는 위치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부재(160) 및 제2연결부재(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중걸쇠(90)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걸쇠(100)에 함께 고정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재(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하걸쇠(100)의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고정도르래(21)을 경유하여 상봉(2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심봉(40)에 마련된 제1관통공(41)에 고정된다.
상기의 경우, 스프링수용부(110)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2고정도르래(111)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연결부재(160)가 고정된 하걸쇠(100)에 함께 고정되고, 타단이 움직도르래(150)를 경유하여 상봉(20)의 내부로 연장된 후 제2관통공(31) 및 절개부(43)를 관통하여 반대편으로 중걸쇠(90)에 함께 고정된다.
여기서, 제1연결부재(160) 및 제2연결부재(170)가 하걸쇠(100)에 동시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고정되는 위치만 다를 뿐, 자동우산(1)을 펼치고 접히는 동작에 있어서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제1연결부재(160) 및 제2연결부재(170)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쉽게 끊어지지 않고 늘어나지 않는 낚시줄을 사용할 수 있다.
움직도르래(150)는 하봉(30)에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되, 상봉(20)의 타측 하단부에 걸림된다.
움직도르래(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가능한 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봉(30)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움직도르래(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 한 쌍의 도르래가 마련된다.
따라서, 펼침스프링(130) 및 접힘스프링(120)을 압축할 때 소요되는 힘이 2개의 움직도르개(150)에 분산되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큰 탄성계수를 갖는 각 스프링(120, 130)을 압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움직도르개(150)는 고정도르래에 비하여 소요되는 힘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움직도르래(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버튼부(180) 및 접힘버튼부(190)가 걸림유지된 상태에서 상봉(20)의 하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을 가압하는 경우, 제1연결부재(160)와 제2연결부재(170)는 일대일 평형을 유지하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움직도르래(150)가 상봉(20)의 하단부에 밀착된 경우 펼침버튼부(180)를 해제하여도 움직도르래(150)가 상봉(20)의 단부에 밀착되어 있어 힘의 균형이 해제되지 않아 펼침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을 가압한 경우, 움직도르래(150)가 상봉(20)의 하단부에 완전밀착되지 않도록 제2연결부재(170)를 제1연결부재(160)에 비하여 소정길이 길게 마련할 수 있다.
펼침방지부(200) 펼침버튼부(180) 및 접힘버튼부(190)가 모두 해제된 상태에서 상봉(20)을 하봉(30)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펼침방지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심봉(40)의 내부에 고 정되고, 타단은 심봉(40) 및 하봉(30)을 관통하여 상봉(20)에 형성된 제3관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마련된다.
돌출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봉(20) 및 하봉(30)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의 상봉(20)을 하봉(30)에 대해서 억지로 밀어서 펼치려고 하는 경우,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가 상봉(20)에 마련된 제3관통공(23)에 걸림되어 펼쳐지지 않게 된다.
반면에,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봉(30)에 마련된 제4관통공(39)이 펼침방지부(200)의 완만한 경사면을 누르게 되고, 돌출부(210)가 제3관통공(23)에서 이탈되면서 심봉(4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펼침방지부(200)는 사용법을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가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을 압축하지 않고 상봉(20)을 하봉(30)에서 억지로 잡아당김으로써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1)이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우산이 펼쳐지고 접혀지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우산(1)의 압축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펼침스프링(130)과 접힘스프링(120)을 압축하기 위하여 하봉(30)을 상봉(20) 및 심봉(40)에 대하여 가압한다.
하봉(30)이 상승하면서 제2관통공(31)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17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봉(20)과 하봉(30) 사이로 끌려 들어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움직도르개(150)가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스프링수용부(110)를 밀어올린다.
한편, 중걸쇠(90)와 하걸쇠(100)는 뻗침살(60)과 하부지지살(7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중걸쇠(90)와 하걸쇠(10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수용부(110)가 접근하면서 펼침스프링(130) 및 접힘스프링(120)이 가압 압축된다.
스프링수용부(110)가 소정 거리 이동되어 압축이 완료되면, 임시고정부(140)에 마련된 걸림돌기(141)가 걸림부(143)에 결합되면서 접힘스프링(120)은 압축상태가 임시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손잡이부(35)에 있는 펼침고정공(101)이 펼침버튼부(180)에 걸림 고정되며, 접힘고정공(45)이 접힘버튼부(190)에 걸림 고정되어 압축단계가 완료된다.
여기서, 하봉(30)이 가압되며 움직이는 이동거리는 하걸쇠(100)가 스프링수용부(110)에서 이격되는 거리 및 제2연결부재(170)가 심봉(40)에서 이동되는 절개부(43)의 길이와 일치된다.
따라서, 압축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스프링(120)은 임시고정부(140)에 의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고, 펼침스프링(130)은 펼침고정공(101)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연결부재(160)와 제2연결부재(170)는 팽팽히 인장되어 상호 일대 일 평형유지한 압축상태가 된다.
다음, 자동우산(1)을 펼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펼침버튼부(180)를 가압하여 펼침고정공(101)을 해제하면, 펼침스프링(130)의 복원력을 제한하고 있는 하걸쇠(100)가 하봉(30) 또는 손잡이부(35))로부터 해제되므로 펼침스프링(130)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펼침스프링(130)은 하걸쇠(100)을 위로 밀어내게 되며, 이에 따라 뻗침살(60)이 하부지지살(70)을 밀어올리는 동시에 사이 간격이 좁혀지면서 우산살 전체가 펼쳐지게 된다.
한편, 움직도르래(150)는 상봉(20)과의 단차에 의해 상봉(20) 단부에 고정되어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 고정도르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중걸쇠(90)는 하걸쇠(100)에 밀려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제2연결부재(170)가 움직도르래(150)를 축으로 하여 상봉(20) 내부로부터 외부로 끌려나오면서 상대적으로 하봉(30)을 상봉(20)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중걸쇠(90) 및 스프링수용부(110)가 상부캡(10)을 향하여 상승하고 있는 동안에는 접힘스프링(120)은 아직 임시고정부(140)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펼침스프링(130)의 복원이 완료되어 중걸쇠(90)가 상부캡(10)을 향하여 상승이 완료되는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43)가 해제돌기(145)에 의해 미끄럼되어 걸림돌기(141)가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때, 하봉(30)에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는 움직도르래(150)는 상봉(20)의 하단부에 밀착 고정되고 제1연결부재(160) 및 제2연결부재(170)가 일대일 평형을 유지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스프링(120)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며 우산이 펼쳐진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자동우산(1)을 접기 위해서는 심봉(40)에 마련된 접힘고정공(45)을 접힘버튼부(190)에서 해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160) 및 제2연결부재(170)는 접힘스프링(120)에 의해서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접힘버튼부(180)를 가압하여 심봉(40)을 하봉(30)으로부터 해제하는 경우, 심봉(40)이 제1연결부재(160)의 인장력에 의해 하봉(30)으로부터 상승하게 되면, 제1연결부재(160)의 유효길이가 순간적으로 늘어나 제1연결부재(160)와 제2연결부재(170)의 균형상태가 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접힘스프링(120)이 복원되면서 스프링수용부(110) 및 하걸쇠(100)를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밀어내기 시작하며, 뻗침살(60)과 하부지지살(70)의 연결구조에 의해 중걸쇠(90)가 함께 상봉(20)의 하부로 밀려 내려오게 된다.
이후, 중걸쇠(90)의 하강에 따라 제1연결부재(160)가 상봉(20)의 외부로 끌려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심봉(40) 및 하봉(30)이 상봉(2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힘 및 펼침 가능한 자동우산의 압축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힘 및 펼침 가능한 자동우산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힘 및 펼침 가능한 자동우산의 압축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힘 및 펼침 가능한 자동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펼침방지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힘 및 펼침 가능한 자동우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힘 및 펼침 가능한 자동우산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힘 및 펼침 가능한 자동우산
10: 상부캡, 20: 상봉,
21: 제1고정도르래, 23: 제3관통공,
30: 하봉, 31: 제2관통공,
33: 체결공, 35: 손잡이부,
40: 심봉, 41: 제1관통공,
43: 절개부, 45: 접힘고정공,
50: 외곽살, 60: 뻗침살,
70: 하부지지살, 80: 상부지지살,
90: 중걸쇠, 100: 하걸쇠,
101: 펼침고정공, 103: 걸림턱,
110: 스프링수용부, 111: 제2고정도르래,
113: 가이드홈, 115: 연장날개,
120: 접힘스프링, 130: 펼침스프링,
140: 임시고정부, 141: 걸림돌기,
143: 걸림부, 145: 해제돌기,
150: 움직도르래, 160: 제1연결부재,
170: 제2연결부재, 180: 펼침버튼부,
180a: 펼침버튼, 180b: 펼침돌기,
190: 접힘버튼부, 190a: 접힘버튼,
190b: 접힘버튼, 200: 펼침방지부,
210: 돌출부.

Claims (7)

  1. 상부캡, 상기 상부캡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외곽살, 상기 각 외곽살의 내측 단부에 힌지결합된 다수의 뻗침살, 상단이 상기 상부캡에 고정된 상봉 및 일단이 상봉의 하단 개구를 통하여 내외부로 인출입되며 타단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된 하봉을 포함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상기 하봉의 내외부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심봉과;
    중앙으로 상기 상봉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외주연을 따라 상기 각 뻗침살의 단부가 힌지결합된 하걸쇠와;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걸쇠 사이에 상기 상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각 뻗침살과 연결된 하부지지살이 결합된 중걸쇠와;
    상기 상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걸쇠 및 중걸쇠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게 마련된 스프링수용부와;
    양단이 상기 중걸쇠 및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지지된 접힘스플링과;
    양단이 상기 하걸쇠 및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지지된 펼침스프링과;
    상기 접힘스프링의 압축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펼침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수용부가 상기 상부캡으로 이동하면 상기 압축상태가 해제되는 임시고정부와;
    상기 하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움직도르래와;
    일단이 상기 중걸쇠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수용부 및 상기 상부캡을 경유하여 상기 상봉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심봉에 마련된 제1관통공을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여 상기 하봉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중걸쇠에 고정되며, 상기 움직도르래를 경유하여 상기 상봉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하봉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걸쇠가 걸림 및 해제되는 펼침버튼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봉 및 심봉이 걸림 및 해제되는 접힘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자동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가 고정되는 하봉의 양측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하는 상기 심봉의 일측에는 상기 심봉과 하봉의 상대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의 타단이 상기 제2관통공 및 절개부를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연장된 후 상기 움직도르래를 경유하여 상기 중걸쇠에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자동우산.
  3. 상부캡, 상기 상부캡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외곽살, 상기 각 외곽살의 내측 단부에 힌지결합된 다수의 뻗침살, 상단이 상기 상부캡에 고정된 상봉 및 일단이 상봉의 하단 개구를 통하여 내외부로 인출입되며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타 단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된 하봉을 포함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상기 하봉의 내외부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심봉과;
    중앙으로 상기 상봉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외주연을 따라 상기 각 뻗침살의 단부가 힌지결합된 하걸쇠와;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걸쇠 사이에 상기 상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각 뻗침살과 연결된 하부지지살이 결합된 중걸쇠와;
    상기 상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걸쇠 및 중걸쇠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게 마련된 스프링수용부와;
    양단이 상기 중걸쇠 및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지지된 접힘스플링과;
    양단이 상기 하걸쇠 및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지지된 펼침스프링과;
    상기 접힘스프링의 압축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펼침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수용부가 상기 상부캡으로 이동하면 상기 압축상태가 해제되는 임시고정부와;
    상기 하봉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움직도르래와;
    일단이 상기 하걸쇠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캡을 경유하여 상기 상봉 내부로 연장된 후, 상기 심봉에 마련된 제1관통공을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여 상기 하봉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하걸쇠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2관통공 및 절개부를 통과하 여 반대편으로 연장된 후 상기 움직도르래를 경유하여 상기 하걸쇠에 함께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걸쇠가 걸림 및 해제되는 펼침버튼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봉 및 심봉이 걸림 및 해제되는 접힘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자동우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걸쇠의 연부를 따라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스프링수용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힘스프링의 압축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유지되는 걸림부와;
    상기 상부캡의 연부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수용부가 접근할 때 상기 걸림부를 해제시키는 해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자동우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도르래는 상기 펼침버튼부 및 상기 접힘버튼부가 걸림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봉의 하단부와 소정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자동우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버튼부 및 상기 접힘버튼부가 모두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봉을 상기 하봉에 대하여 상대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펼침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자동우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방지부는 일단이 상기 심봉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심봉 및 하봉을 관통하여 상기 상봉에 형성된 제3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마련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봉 및 하봉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자동우산.
KR1020080058906A 2008-06-23 2008-06-23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101012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906A KR101012349B1 (ko) 2008-06-23 2008-06-23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CN2009901001983U CN201846970U (zh) 2008-06-23 2009-06-22 可展开及折叠的自动雨伞
PCT/CN2009/072369 WO2009155843A1 (zh) 2008-06-23 2009-06-22 可展开及折叠的自动雨伞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906A KR101012349B1 (ko) 2008-06-23 2008-06-23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764A true KR20090132764A (ko) 2009-12-31
KR101012349B1 KR101012349B1 (ko) 2011-02-09

Family

ID=4144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906A KR101012349B1 (ko) 2008-06-23 2008-06-23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12349B1 (ko)
CN (1) CN201846970U (ko)
WO (1) WO20091558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128B1 (ko) * 2010-03-08 2014-04-07 장수민 자동개폐식 우산의 연결부재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1163B (zh) 2010-10-08 2015-02-25 盛靖科技(深圳)有限公司 全自动开收伞
CN101961164B (zh) 2010-10-09 2016-02-10 盛靖科技(深圳)有限公司 新型手开自动收合多折伞
CN107307533B (zh) * 2017-07-10 2022-10-04 深圳罗丰新材料科技有限公司 开关伞推钮滑动控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836U (zh) * 1988-08-12 1989-09-06 戴胜通 单钮控制式全自动伞
CN2085615U (zh) * 1991-02-12 1991-10-02 刘民强 开合全自动伞
CN2123207U (zh) * 1992-06-27 1992-12-02 欧阳才峰 全自动晴雨伞
CN2204113Y (zh) * 1994-04-25 1995-08-02 福太洋伞工厂股份有限公司 三巢互动型长程储能自动开收伞
US5483985A (en) * 1994-11-15 1996-01-16 Yu; Shu-Chun Fully automatic and simplified control structure
KR19990034901U (ko) * 1999-05-14 1999-09-06 조상용 자동우산
DE19929358A1 (de) * 1999-06-25 2000-12-28 Sgl 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remsscheiben aus Keramikteilen mit Metallnaben
KR200172863Y1 (ko) 1999-10-01 2000-03-15 김우성 자동으로 펴고 접는 우산
CN1483369A (zh) * 2002-09-18 2004-03-24 政泰洋伞有限公司 自动开启、折收的折合伞
CN1485000A (zh) * 2002-09-27 2004-03-31 刘民强 自开自收全自动伞
CN2576066Y (zh) * 2002-09-27 2003-10-01 刘民强 自开自收全自动伞
CN2579216Y (zh) * 2002-10-18 2003-10-15 吴隆慧 一种自动开合伞
CN2593614Y (zh) * 2002-12-16 2003-12-24 陈秀惠 自动开收伞
US20070017561A1 (en) 2005-07-19 2007-01-25 Shih-Shin Kuo Automatic collapsible umbrella
GB2433028A (en) * 2005-12-06 2007-06-13 Shih-Shin Kuo Spring actuated collapsible umbrell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128B1 (ko) * 2010-03-08 2014-04-07 장수민 자동개폐식 우산의 연결부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349B1 (ko) 2011-02-09
WO2009155843A1 (zh) 2009-12-30
CN201846970U (zh)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8659A1 (zh) 一种中心锁及帐篷
KR101069825B1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7735498B2 (en) Umbrella with mechanism for automatic opening or closing
WO2006136066A1 (fr) Dispositif de fixation supérieure destiné à une charpente de tente semi-circulaire pliable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US20140069476A1 (en) Foldable tent
KR101106270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100982792B1 (ko) 우산
KR100784765B1 (ko) 자동개폐용 우산
US8522805B2 (en)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US5036872A (en) Self-opening and self-closing umbrella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KR20110025312A (ko) 안전형 자동우산
KR101255473B1 (ko)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KR100909975B1 (ko) 자동우산
KR101349308B1 (ko) 우산
KR200491009Y1 (ko) 원터치 자동 텐트
KR200454463Y1 (ko) 우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200275642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KR200266430Y1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