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463Y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463Y1
KR200454463Y1 KR2020090011254U KR20090011254U KR200454463Y1 KR 200454463 Y1 KR200454463 Y1 KR 200454463Y1 KR 2020090011254 U KR2020090011254 U KR 2020090011254U KR 20090011254 U KR20090011254 U KR 20090011254U KR 200454463 Y1 KR200454463 Y1 KR 200454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pipe
elevating
jaw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240U (ko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영 filed Critical 박진영
Priority to KR2020090011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46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4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에 형성된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펴고 접기가 용이한 우산에 있어서, 우산대의 지지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결착부재를 형성하여 승강관과 결착되어 우산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고, 승강 작동관의 누름턱에 의해 승강관에 형성된 압지부재의 돌출편이 우산대를 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우산의 접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우산대의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와, 우산대의 상단에 우산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우산살 결합홈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우산살 결합홈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우산천이 씌워진 우산살과,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승강관을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우산살과 힌지 결합되어 우산살의 받침수단이 되는 다수의 받침살과, 상기 받침살과 힌지 결합되는 받침살 결합부를 형성하여 우산대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 승강관의 상부 요입부로 요입되게 테이퍼지게 형성하되, 상기 승강관의 내경에 맞닿아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결착턱을 형성한 결착부재; 상기 결착부재가 요입되는 상부 요입부를 형성하고, 승강 작동관의 걸림턱이 걸려져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턱을 형성하고, 우산대와 일정 유격이 발생되게 구성하되, 하단에 돌출편이 형성된 압지부재를 구비한 승강관; 상기 승강관이 관통되게 형성하되, 상측에 승강관의 고정턱에 걸려지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에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하강 작동시 상기 승강관에 형성된 압지부재의 돌출편을 눌러주어 우산대를 압지할 수 있도록 하 는 누름턱을 형성한 승강 작동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우산, 승강관, 승강 작동관, 결착부재, 압지부재

Description

우산{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에 형성된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펴고 접기가 용이한 우산에 있어서, 우산대의 지지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결착부재를 형성하여 승강관과 결착되어 우산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고, 승강 작동관의 누름턱에 의해 승강관에 형성된 압지부재의 돌출편이 우산대를 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우산의 접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금속제 살이나 대오리 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를 덧발라서 비가 올 때 손에 펴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물건으로, 기본적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다수 개의 우산살과, 이들 우산살에 의해 펼쳐지는 다각형의 우산천과, 상기 우산살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히지 않도록 각 우산살을 받쳐주는 받침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상기 우산은 통상 자동우산과 수동우산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수동우산은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각 우산살이 최대한 휘어져 우산천이 펴지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작동관을 우산대를 따라 승강시켜서 걸림쇠 상단에 위치되게 하여 승강관에 힌 지 결합된 받침살이 우산살을 밀어 올림으로써 우산이 펴지게 하며, 작동관은 하강하지 않도록 걸림쇠가 지지하여 우산이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우산을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쇠를 눌러서 작동관에 대한 지지를 해제시키고, 작동관을 하강시킴으로써 받침살이 우산살을 당기게 하여 우산이 접히는 구조이다.
상기 수동우산은 사용자가 우산을 펼때에 작동관을 걸림쇠 상단까지 밀어주어야 하므로 걸림쇠의 탄발력 이상의 힘이 필요하고, 걸림쇠의 파손 등으로 걸림쇠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에는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우산을 접을 때에는 사용자가 걸림쇠의 탄발력 이상으로 힘을 가하여 걸림쇠를 누른 후, 작동관을 손잡이 부근까지 하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우산을 펼치거나 접을 때 반드시 걸림쇠를 손가락으로 눌러 걸림 작용을 해제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 신속하게 우산을 펴거나 접어야 할 경우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특히 우산이 오래되어 걸림쇠에 녹이 슬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때에는 걸림쇠를 눌러도 쉽게 들어가지 않아 손가락에 통증을 유발시키며,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우산을 사용하기가 더욱 원활하지 못함은 물론 날카롭고 돌출된 걸림쇠에 이마 등의 신체 일부가 부딪혀 상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용신안출원 제2000-25222호인 "펴고 접기에 용이한 우산"을 살펴보면, 우산천과 함께 지붕을 형성하는 날개살, 및 우산대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한 우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 여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날개살의 몸통과 상기 슬라이더에 각각 그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날개살을 밀어 올리고, 상기 슬라이더가 힘의 평형위치를 통과한 후에는 상기 날개살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지지부까지 밀어 올려 펼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펼침살, 및 상기 펼침살과 소정 거리로 이격 배열되고, 우산을 접을 경우,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축으로 하여 상기 날개살을 끌어 당기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출원된 고안은 우산살 상호간에 가해지는 힘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가 적은 힘을 가하여 용이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인데, 강한 바람을 동반한 비가 내릴때, 상기 우산을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우산이 강한 바람의 힘에 의해 접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상기 우산을 사용하지 않아 접은 경우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펼쳐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고정끈으로 우산을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우산이 펼쳐져 승강관이 우산대 상단의 지지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지지될 때,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결착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승강관 내부 공간에 끼움방식 또는 걸림방식으로 결착되게 구성하여 우산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고, 우산이 접혀져 승강 작동관에 의해 승강관이 하강할 때, 상기 승강 작동관의 누름턱이 승강관의 돌출편을 눌러주어 우산대를 압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우산의 접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산대의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와, 우산대의 상단에 우산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우산살 결합홈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우산살 결합홈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우산천이 씌워진 우산살과,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승강관을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우산살과 힌지 결합되어 우산살의 받침수단이 되는 다수의 받침살과, 상기 받침살과 힌지 결합되는 받침살 결합부를 형성하여 우산대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 승강관의 상부 요입부로 요입되게 테이퍼지게 형성하되, 상기 승강관의 내경에 맞닿아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결착턱을 형성한 결착부재; 상기 결착부재가 요입되는 상부 요입부를 형성하고, 승강 작동관의 걸림턱이 걸려져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턱을 형성하고, 우산대와 일정 유격이 발생되게 구성하되, 하단에 돌출편이 형성된 압지부재를 구비한 승강관; 상기 승강관이 관통되게 형성하되, 상측에 승강관의 고정턱에 걸려지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에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하강 작동시 상기 승강관에 형성된 압지부재의 돌출편을 눌러주어 우산대를 압지할 수 있도록 하는 누름턱을 형성한 승강 작동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우산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승강관의 상부 요입부에 걸림구를 형성하여 결착부재의 결착턱과 걸려지게 구성하되, 상기 결착턱과 우산대 사이에 일정 유격이 발생되게 구성한다.
본 고안은 우산대에서 승강 작동관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되면서 작동하는 승강관이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스토퍼의 하측에 형성된 결착부재와 결착되어 비 또는 바람 등의 외부의 환경에 의해서도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접혀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고, 우산이 접혀질 때에는 승강 작동관의 누름턱에 의해 승강관의 돌출편이 우산대를 압지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펼쳐지지 않도록 접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산 제품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일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펼친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 는 우산의 펼친상태의 일요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접힌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접힌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공지된 우산(1)의 기술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우산대(2)의 하부에는 손잡이(3)를 구비하고, 우산대(2)의 상단에는 우산살 결합홈(10a)이 형성된 지지부(10)를 형성하여 우산살(11) 일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각 우산살(11)의 외부에는 우산천(미도시됨)이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구성한다.
상기 우산대(2)는 승강관(30)이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우산(1)을 방사형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승강관(30)의 상측에 받침살 결합부(32)를 형성하여 각각의 우산살(11)과 힌지 결합되어 있는 받침살(12)이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받침살(12)이 펼쳐지게 되면, 이에 대응하게 힌지 결합된 각 우산살(11)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지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받침살(12)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우산살(11)과의 사이에 일정한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승강관(30)이 밀어 올려 우산살(11)과 받침살(12) 사이에 탄성력의 한계를 경과하게 되면, 각 받침살(12)이 해당 우산살(11)에 근접되어 우산살(11)이 펼쳐지면서 승강관(30)이 우산살 결합홈(10a)에 근접되어 고정되고, 인위적인 힘을 가하기 전에는 승강관(30)이 아래로 하강하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아래에서는 공지된 우산(1)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하는 기술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10)는 우산살(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우산살 결합홈(10a)을 형성하며, 전체적인 우산(1)의 지지수단이 되게 구성하고, 승강관(30)의 상승을 제어하는 스토퍼(20)와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스토퍼(20)는 지지부(10) 하측에 분리 형성할 수도 있지만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지지부(10)와 일체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토퍼(20)의 하측에는 결착부재(21)를 형성하되, 상기 결착부재(21)는 승강관(30)의 상부 요입부(33)로 용이하게 요입되게 테이퍼지게 형성하며, 상기 승강관(30)의 상부 요입부(33)의 내경에 맞닿아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결착턱(22)을 형성하여 스토퍼(20)에 의해 상승이 멈춤된 상태에서 승강관(30)과 스토퍼(20)의 결착부재(21)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비 또는 바람 등의 외부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우산(1)의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관(30)은 스토퍼(20)의 결착부재(21)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데, 결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승강관(30) 내부에 결착부재(21)의 결착턱(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구(31)를 형성하여 승강관(30)이 상승 멈춤된 상태에서 승강관(30)의 걸림구(31)에 스토퍼(20)에 형성된 결착부재(21)의 결착턱(22)이 걸려지게 구성하고, 이 때 사용자의 일정한 힘이 가해질 때, 걸림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결착부재(21)의 결착턱(22)과 우산대(2) 사이에 일정 유격이 발생되게 구성한다.
상기 승강관(30)은 승강 작동관(40)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데, 상기 승강 작동관(40)에 의해 승강관(30)이 상·하로 승강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 작동관(40) 내로 관통되게 구비된 승강관(30)과 승강 작동관(40)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발생되게 구성하되, 상기 승강 작동관(40)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41)이 승강관(30) 상부에 형성된 고정턱(34)에 걸려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승강관(30)의 하부에 압지부재(35)를 형성하되, 상기 압지부재(35)는 우산대(2)와 일정 유격이 발생되게 구성하고, 하단에 돌출편(36)을 형성하여 승강 작동관(40)에 형성된 누름턱(42)의 하강 작동에 의해 상기 돌출편(36)의 저면이 우산대(2)를 압지하면서 우산(1)의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 작동관(40)의 하단에 누름턱(42)을 형성하되, 상기 누름턱(42)은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승강 작동관(40)의 하강 작동시 압지부재(35)의 돌출편(36)에 걸려져 승강관(30)을 용이하게 하강시키도록 하고,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승강 작동관(40)을 아래로 하강시켜 누름턱(42)이 압지부재(35)의 돌출편(36)을 눌러주어 우산대(2)를 압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우산(1)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우산(1)을 펼칠 경우 승강 작동관(40)을 상승시켜 승강관(30)을 들어 올리게 되면, 우산대(2)를 따라 상승시킴에 따라 우산살(11)과 받침살 결합부(32)에 각각 그 양단이 힌지 결합된 받침살(12)이 우산살(11)을 밀어 올리게 되고, 사용자가 승강 작동관(40)을 계속 상승시켜서 승강관(30)이 평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우산살(11)이 받침살(12)에 힘을 가하기 시작하고, 반대로 받침살(12) 또 한 우산살(11)에 힘을 가하여 양자 상호간 힘의 평형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힘의 평형위치를 승강관(30)이 통과한 후에는 우산살(11)이 받침살(12)에 가하는 힘만 존재하게 되면서 더 이상 사용자가 승강 작동관(40)을 밀어올리지 않아도 승강관(30)이 스토퍼(20)와 접촉하여 고정되는 위치까지 우산살(11)이 받침살(12)에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승강관(30)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우산살(11)은 받침살(12)에 계속 힘을 가하게 되어 받침살(12)과 힌지 결합된 받침살 결합부(32)에 의해 승강관(30)이 스토퍼(2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우산(1)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승강관(30)의 상부 요입부(33)로 스토퍼(20)의 하측에 형성된 결착부재(21)가 끼워지는데, 상기 결착부재(21)의 결착턱(22)이 승강관(30)의 상부 요입부(33) 내경에 맞닿아 끼워지게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승강관(30) 내부에 걸림구(31)가 형성된 경우 상기 결착부재(21)의 결착턱(22)이 걸림구(31)에 걸려지는 구성으로 결착되어 우산(1)의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우산(1)을 접을 경우에는 승강 작동관(40)을 하강시켜 승강관(30)이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스토퍼(20)의 하측에 형성된 결착부재(21)에 끼워져 결착된 상태 또는 상기 결착부재(21)의 결착턱(22)과 승강관(30)의 걸림구(3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승강관(30)이 평형위치 이하로 끌어내림에 따라 우산살(11)이 받침살(12)에 가하는 힘에 의해 승강 작동관(40)이 하강하면서 우산(1)을 접히게 된다.
이 때, 상기 승강 작동관(40)의 누름턱(42)이 승강관(30)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편(36)에 걸려져 승강관(30)이 용이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승강관(30)의 하강 작동이 종료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승강 작동관(40)에 힘을 가하여 아래로 하강시켜 상기 승강 작동관(40)의 누름턱(42)이 승강관(30)의 돌출편(36)을 눌러주게 되어 우산대(2)를 강하게 압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산(1)의 접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우산(1)의 접힌 상태에서 펼치기 위해서는 승강 작동관(40)에 힘을 가하여 상승시켜 상기 승강 작동관(40)의 누름턱(42)에 의해 승강관(30)의 하단에 형성된 압지부재(35)의 돌출편(36)이 우산대(2)에 압지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후, 승강 작동관(40)을 상승시켜 승강관(3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일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펼친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펼친상태의 일요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접힌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의 접힌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사용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우산 2. 우산대
3. 손잡이 10. 지지부
10a. 우산살 결합홈 11. 우산살
12. 받침살 20. 스토퍼
21. 결착부재 22. 결착턱
30. 승강관 31. 걸림구
32. 받침살 결합부 33. 상부 요입부
34. 고정턱 35. 압지부재
36. 돌출편 40. 승강 작동관
41. 걸림턱 42. 누름턱

Claims (2)

  1. 우산대의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와, 우산대의 상단에 우산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우산살 결합홈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우산살 결합홈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우산천이 씌워진 우산살과,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승강관을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우산살과 힌지 결합되어 우산살의 받침수단이 되는 다수의 받침살과, 상기 받침살과 힌지 결합되는 받침살 결합부를 형성하여 우산대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 승강관의 상부 요입부로 요입되게 테이퍼지게 형성하되, 상기 승강관의 내경에 맞닿아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결착턱을 형성한 결착부재;
    상기 결착부재가 요입되는 상부 요입부를 형성하고, 승강 작동관의 걸림턱이 걸려져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턱을 형성하고, 우산대와 일정 유격이 발생되게 구성하되, 하단에 돌출편이 형성된 압지부재를 구비한 승강관;
    상기 승강관이 관통되게 형성하되, 상측에 승강관의 고정턱에 걸려지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에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하강 작동시 상기 승강관에 형성된 압지부재의 돌출편을 눌러주어 우산대를 압지할 수 있도록 하는 누름턱을 형성한 승강 작동관;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의 상부 요입부에 걸림구를 형성하여 결착부재의 결착턱과 걸려지게 구성하되, 상기 결착턱과 우산대 사이에 일정 유격이 발생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2020090011254U 2009-08-28 2009-08-28 우산 KR200454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54U KR200454463Y1 (ko) 2009-08-28 2009-08-28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54U KR200454463Y1 (ko) 2009-08-28 2009-08-28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40U KR20110002240U (ko) 2011-03-08
KR200454463Y1 true KR200454463Y1 (ko) 2011-07-05

Family

ID=4420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54U KR200454463Y1 (ko) 2009-08-28 2009-08-28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4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52Y1 (ko) 2012-09-10 2014-01-20 장세유 우산의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102B1 (ko) * 2022-01-24 2022-08-18 정우재 우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2848A (ja) * 2003-01-21 2004-08-12 Showa O
KR200376152Y1 (ko) * 2004-11-11 2005-03-11 루 사이 후앙 자동잠금식 우산대 승강통의 펴짐 위치 고정구조
KR100712479B1 (ko) * 2006-08-21 2007-04-27 박진영 회전 기능과 록킹 수단을 갖는 우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2848A (ja) * 2003-01-21 2004-08-12 Showa O
KR200376152Y1 (ko) * 2004-11-11 2005-03-11 루 사이 후앙 자동잠금식 우산대 승강통의 펴짐 위치 고정구조
KR100712479B1 (ko) * 2006-08-21 2007-04-27 박진영 회전 기능과 록킹 수단을 갖는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52Y1 (ko) 2012-09-10 2014-01-20 장세유 우산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40U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1528B1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KR101069825B1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200454463Y1 (ko) 우산
KR101022598B1 (ko) 자동으로 접을 수 있는 다단 우산 접이 구조
TW394677B (en) Tilting umbrella
CN101536825B (zh) 一种伞具的张收固定装置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200418377Y1 (ko) 우산의 개폐장치
KR20110102782A (ko) 양산
KR20120040606A (ko) 우산
CN210492968U (zh) 一种可调节伞布面积的雨伞
WO2016104929A1 (ko) 우산
CN202618593U (zh) 套筒式自动伞
JP3204928U (ja) 自動閉じ逆方向折り畳み傘
KR20110058209A (ko) 우산
CN205866237U (zh) 一种自动折伞的开合控制装置
CN201256677Y (zh) 一种快速开收的直骨伞
KR200411232Y1 (ko) 우산 절첩 전개장치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0445169Y1 (ko) 우산
CN202760386U (zh) 多折伞勾线固定结构
KR101366756B1 (ko) 우산
CN204273479U (zh) 便于收拢的折叠伞
CN206182541U (zh) 反折伞具的收伞结构
CN206791856U (zh) 一种多折伞自动收折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