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02B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102B1
KR102433102B1 KR1020220009639A KR20220009639A KR102433102B1 KR 102433102 B1 KR102433102 B1 KR 102433102B1 KR 1020220009639 A KR1020220009639 A KR 1020220009639A KR 20220009639 A KR20220009639 A KR 20220009639A KR 102433102 B1 KR102433102 B1 KR 10243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opening
closing
moving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재
Original Assignee
정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재 filed Critical 정우재
Priority to KR102022000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2Devices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umbrellas to wi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 상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우산살 및 상기 우산살과 결합되는 우산천을 포함하는 우산 본체부 및 상기 우산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AN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간단하게 개폐가능할 뿐만 아니라, 우산천을 제외한 우산대 및 우산살이 단일 재질로 이루어져 재활용 및 분리수거에 용이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산대 상측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우산살을 우산대에 힌지결합하고, 우산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우산살을 지지하는 보조 우산살을 통해 우산살을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우산대 및 우산살은 통상적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빗물과 잦은 접촉으로 인해 우산대 및 우산살이 녹슬어 장기간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금속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비바람으로 인해 우산살이 상측으로 휘어지는 경우 영구적으로 변형되고, 이로 인해 변형된 우산은 재사용하기 매우 어려워 폐기하게 된다.
하지만, 우산을 폐기하는 과정에서 금속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고, 미세한 크기의 볼트 등을 통해 각 구성이 결합되기 때문에 이를 분리하여 폐기하기도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093호 "우산 천을 플라스틱 살대에 끼우는 우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대 및 우산살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단일 재질로 제작되어 재활용 및 분리수거에 좋고, 빗물 접촉 등으로 인한 변형 및 변성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우산살이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강풍으로 인해 우산살이 상측으로 꺾여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을 통해 각 구성이 결합고정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우산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 상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우산살 및 상기 우산살과 결합되는 우산천을 포함하는 우산 본체부; 및 상기 우산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우산대는, 상단에 다수개의 제1 말단인입홈이 형성되는 상단힌지부 및 하단에 다수개의 제2 말단인입홈이 형성된 하단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힌지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끼움 결합되되, 상기 우산살이 결합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상단과 체결되는 제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2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우산을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가 내삽되어, 상기 개폐부의 회전 방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우산의 개폐를 위한 개폐방향을 조정하는 회전방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내부에 상기 회전방향조절부가 내삽되어 돌출된 일부가 개방되도록 둘레를 따라 홀이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개폐부의 개폐 슬라이딩 방향의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산살은, 일단이 상기 제1 말단인입홈으로 내삽되어 회동되며 타단은 상기 우산천의 가장자리를 관통결합하는 상단우산살과, 상단이 상기 상단우산살 하면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하단은 상기 제2 말단인입홈으로 내삽되어 회동되는 지지우산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이 하강시 상기 지지우산살은 하단이 상기 제2 말단인입홈 내측에서 회동되어 상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상단우산살은 상기 우산대 외주면측으로 밀착되어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우산 개폐 시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우산대 및 우산살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단일 재질로 제작되어 재활용 및 분리수거에 좋고, 빗물 접촉 등으로 인한 변형 및 변성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우산살이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강풍으로 인해 우산살이 상측으로 꺾여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우산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우산의 이동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우산의 이동프레임을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펼침상태시 우산살과 우산대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도 1의 우산의 상단우산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우산의 지지우산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우산의 고정구간의 결합예씨를 부분확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우산의 연결우산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우산의 펼침상태시 우산살과 우산대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우산의 완전접힘상태시 우산살과 우산대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우산천(130)을 제외한 우산대(110) 및 우산살(120)이 단일 재질로 이루어져 재활용 및 분리수거에 용이한 우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우산(1)은 우산대(110), 우산살(120) 및 우산천(130)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우산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우산의 이동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우산의 이동프레임을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우산은 우산 본체부(100)와, 이동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이때 우산 본체부(100)는 우산대(110)와, 우산대(110) 상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우산살(120) 및 우산살(120)과 결합되는 우산천(130)을 포함한다.
더불어 우산대(1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최하단에는 사용자가 잡고 다닐 수 있는 손잡이(140)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다수개의 우산살(120)이 우산대(110)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우산살(120)은 상면에 우산천(130)이 구성되고, 우산천(130)의 가장자리는 우산살(120) 말단에 형성된 말단돌기(121)를 각각 관통하여 우산살(120)과 우산천(13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우산천(130)의 중앙에는 후술할 상단캡(131)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끼움바(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는 별도의 홀(도면의 미도시)이 형성되어 상단캡(131)이 우산대(110)의 상단으로 관통결합될 수 있다.
또한 우산살(120)은 상단우산살(122)과, 지지우산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우산살(122)은 일단이 제1 말단인입홈(111a)으로 내삽되어 회동되며 타단은 우산천(130)의 가장자리를 관통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우산살(123)은 상단이 상단우산살(122) 하면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하단은 제2 말단인입홈(112a)으로 내삽되어 회동될 수 있다.
더불어 이동프레임(200)이 하강 시 지지우산살(123)은 하단이 제2 말단인입홈(112a) 내측에서 회동되어 상측으로 회동되고, 상단우산살(122)은 우산대(110) 외주면측으로 밀착되어 접혀질 수 있다.
우산대(110)는 우산의 기둥역할을 수행하고, 상단에 우산살(120) 및 우산천(130)이 결합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우산대(110)는 상단힌지부(111) 및 하단힌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힌지부(111)는 상단에 다수개의 제1 말단인입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단힌지부(111)는 우산대(110) 상단 외주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단이 우산대(110)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단 내측에는 다수개의 우산살(120)의 제1 회동말단(122a)이 내삽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1 말단입입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말단인입홈(111a)은 상면이 개방되어 상단힌지부(111) 내측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단힌지부(11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측면이 일부 함몰되어 내측공간과 상단힌지부(111)의 측면 내측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캡(131)과 우산대(110)를 분리한 후 상단힌지부(11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우산살(120) 중 상단우산살(122)의 제1 회동말단(122a)을 제1 말단인입홈(111a) 내측으로 인입하고, 제1 회동말단(122a)과 연결된 상단우산살(122)은 상단힌지부(111) 측면에 형성되되, 상단힌지부(111)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말단인입홈(111a) 내측으로 끼움결합되어 상단힌지부(111)와 상단우산살(122)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단캡(131)을 우산대(110)의 최상단에 결합하면 제1 회동말단(122a)은 제1 말단인입홈(111a) 내측에서만 이동 및 회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산살(120)이 상단힌지부(111)를 중심으로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단힌지부(112)는 우산대(110) 하단에 다수개의 제2 말단인입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단힌지부(112)는 상술된 상단힌지부(111)와 같이 우산대(110)를 관통하고, 하부는 우산대(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측에 제2 말단인입홈(112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말단인입홈(112a)은 하단힌지부(112) 내측에 형성되어 하단힌지부(112) 내측면과 우산대(110) 외주면간의 틈새로 하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후술할 지지우산살(123)의 제2 회동말단(123a)이 인입될 수 있고, 제2 말단인입홈(112a)은 하단힌지부(112)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되, 하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측면이 함몰형성되어 제2 회동말단(123a)이 내삽된 지지우산살(123)이 하단힌지부(112) 측면에 형성된 제2 말단인입홈(112a)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말단인입홈(112a) 내측을 따라 지지우산살(123)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하단힌지부(112)는 이동프레임(200) 상단과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우산(1)을 펼침 또는 접힐 때 이동프레임(200)을 잡고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하단힌지부(112)는 이동프레임(200)과 함께 우산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지지우산살(123)을 회동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하단힌지부(112)는 이동프레임(200)과 끼움 결합되되, 우산살(120)이 결합되는 제1단부(112b)와, 제1단부(112b)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단부(112b)의 직경보자 작게 형성되어, 이동프레임(200) 상단과 체결되는 제2단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부(112c)는 이동프레임(200) 상단과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단부(112c)의 직경은 우산대(110)와 대응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200)은, 우산대(110)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이동프레임(200)은, 우산대(110)에 관통결합되고, 우산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이동프레임(200) 상단에는 하단힌지부(112)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이동프레임(200)은 개폐부(210)와, 회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210)는 제2단부(112c)와 체결되어 우산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210)는 상단부(213)와 중단부(214)로 나뉘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체일 수 있다.
이때 상단부(213)에는 나사선으로 형성되어 제2단부(112c)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선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단부(214)는 하단힌지부(112)의 둘레와 대응되기 위해 개폐부(210)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단부(214)는 제1단부(112b)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단부(112b)는 결합홈(214a)에 끼움결합되도록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10)는 이동프레임(200)이 손잡이(140) 방향에서 상단힌지부(111) 방향으로 승강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10)는 이동프레임(200)이 상단힌지부(111)에서 손잡이(140) 방향으로 하강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10)는 하단에 외측 둘레를 따라 세로로 갈기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갈기부(212)는 이동프레임(200)의 상하(승강 및 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갈기부(212)의 탄성은 갈기부(212) 뿐만 아니라 개폐부(210) 전체가 탄성을 지닐 수 있다.
또한 개폐부(210)는 회전부(220)에서 우산의 개폐를 위한 개폐방향을 조정하는 회전방향조절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방향조절부(211)는 돌출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220)는 개폐부(210)가 내삽되어, 개폐부(210)의 회전 방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220)는 내부에 회전방향조절부(211)가 내삽되어 돌출된 돌기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둘레를 따라 홀이 형성되는 개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부(221)는 개폐부(210)의 개폐 여부 방향의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220)는 외측 둘레를 따라 세로의 돌기가 수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220)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할 내용은 상기 기재된 설명을 뒷받침하여 이동프레임(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프레임(200)의 개폐부(210)는 회전부(220)에 내삽된다. 그리고 이때 회전부(220)의 상단은 개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221)는 회전방향조절부(211)의 돌출된 돌기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221)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우산을 펼치기 위해 이동프레임(200)을 상단힌지부(111) 방향으로 상승 시킬 때, 회전방향조절부(211)를 개방부(221)의 경사진 면으로 올릴 수 있다.
이때 경사진 면은 끝지점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방향조절부(211)를 끝지점으로 올릴 시, 우산대(110)에 감싸진 이동프레임(200)과, 우산대(11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은 회전방향조절부(211)를 끝지점으로 올릴 때, 회전부(220)가 경사면이 형성된 각도만큼 아래로 밀려나면서 회전부(220)로 인해 감싸진 갈기부(212)가 탄성에 의해 소정의 간격만큼 벌어지면서 우산대(110)를 감싸던 힘이 풀어질 수 있다.
이때 갈기부(212) 또한 경사면이 형성된 각도만큼 갈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우산을 사용하지 않을 때, 우산살(120) 및 우산천(130)을 접기 위해서 이동프레임(200)을 손잡이(140) 방향으로 하강 시킬 때, 회전방향조절부(211)를 개방부(221)의 경사진 면의 시작점으로 내릴 수 있다.
이는 우산을 펼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면의 시작점은 경사가 형성되지 않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펼쳐진 우산을 고정시킬 때는 이동프레임(200)을 원하는 우산대(110)의 위치에 멈춘 후, 회전방향조절부(211)를 시작점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시작점은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평평한 면일 수 있다.
회전방향조절부(211)를 시작점으로 위치시키면 경사면이 형성된 각도만큼 밀려난 회전부(220)가 다시 원위치로 올라오게 될 수 있다.
이때 원위치는 고정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고정된 상태는 갈기부(212)가 우산대(110)와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감싸고, 감싼 상태를 회전부(220)가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갈기부(212)는 형성된 갈기와 갈기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오므리고 피는 것에 구속되지 않기 위해서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펼침상태시 우산살(120)과 우산대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는 도 1의 우산의 상단우산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우산의 지지우산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의 우산의 고정구간의 결합예씨를 부분확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의 우산의 연결우산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우산살(120)은 우산대(110) 및 우산천(130)과 결합되는 상단우산살(122)과 상단우산살(122) 하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단은 상단우산살(122) 하면과 결합되고 하단은 이동프레임(200) 상단에 형성된 하단힌지부(112)와 결합되는 지지우산살(123)로 구성된다.
먼저, 상단우산살(122)은 우산(1)의 내측을 향하는 일측 말단에는 상단힌지부(111)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회동말단(122a)이 형성된다.
제1 회동말단(122a)은 상단우산살(122)의 말단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말단인입홈(111a)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회동말단(122a)이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회동말단(122a)이 맞닿는 상단우산살(122)의 말단 부분은 측면너비가 감소하여 상단힌지부(111) 측면에 형성된 제1 말단인입홈(111a)의 측면 부분 내측 너비와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 말단인입홈(111a) 내측을 따라 상단우산살(122)이 용이하게 이동 및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측면이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회동말단(122a)은 제1 말단인입홈(111a)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되지 않는다.
상단우산살(122)의 하면에는 지지우산살(123)의 상단과 결합되는 하단연결홈(122c)이 함몰형성된다.
하단연결홈(122c)은 상단우산살(122) 하면에서 상측방향으로 함몰형성하되, 하면은 지지우산살(123)의 상단 두께와 동일하게 함몰형성되고, 함몰된 내측은 지지우산살(123)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제2 회동말단(123a)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측면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하단연결홈(122c) 내측으로 인입된 지지우산살(123)의 제2 회동말단(123a)이 하단연결홈(122c) 내측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단우산살(122)은 후술된 연결우산살(124)이 상면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연결우산살(124)을 결합할 수 있는 상단연결홈(122b)이 상단우산살(122) 상면에 함몰형성된다.
상단연결홈(122b)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연결우산살(124)의 양측 말단과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상단연결홈(122b)은 상단우산살(122) 상면에 함몰형성되고, 연결우산살(124)의 양측 말단에 형성된 연결구(124a)가 내삽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단연결홈(122b)은 하단연결홈(122c)과 같이 개방된 상면측으로 갈수록 개방 및 함몰된 너비가 좁아져 연결구(124a)가 상단연결홈(122b)의 개방된 상면측으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한 쌍의 상단연결홈(122b)간의 이격된 상단우산살(122)의 상면은 다른 상단우산살(122)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상단우산살(122)의 두께가 상기 한 쌍의 상단연결홈(122b)간의 이격된 상단우산살(122)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상단연결홈(122b)간의 이격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면에는 제1 회동말단(122a)측으로 기울어져 함몰형성되는 경사홈(122b-1)이 형성된다.
경사홈(122b-1)은 함몰된 내측면이 점차 함몰될수록 제1 회동말단(122a)측으로 기울어져 내측 경사를 가지며 상단우산살(122) 하면에 함몰형성되는 것으로, 상단우산살(122)은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뒤틀릴 수 있는데 상단우산살(122)이 단순 각형 형상으로 가지는 경우 외력의 영향을 받아 뒤틀리는 과정에서 부러질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하며, 우산천(130)이 돔 형상을 가지며 하측방향으로 가장자리가 기울어지는 것이 아닌 지면과 평행하게 펼쳐질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단우산살(122)의 연장된 말단이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단우산살(122)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쉽게 변형되고, 이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형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경사홈(122b-1)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홈(122b-1)의 내측을 따라 상단우산살(122) 말단이 상측으로도 휘어질 수 있으며, 이후 다시 탄성복원력 및 연결우산살(124)을 통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서 비바람 등에도 상단우산살(12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을 분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우산살(120)이 단면이 동일한 각형 형상을 가지면 상술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파손될 수 있고, 두께가 두꺼워 우산살(120)의 하중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단우산살(122)의 양측면은 내측으로 각각 함몰되는 측면홈(122d)이 형성된다. 측면홈(122d)은 상단우산살(122)의 양측면에 각각 수직하여 함몰형성되되, 하단연결홈(122c), 상단연결홈(122b) 및 경사홈(122b-1)이 형성된 부분의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아 함몰형성된 상기 구성들로 인해 상단우산살(122)의 두께가 과도하게 얇아져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측면홈(122d)을 통해 상단우산살(122)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상단우산살(122)이 함몰된 부분을 통해 뒤틀리고 추후 탄성복원력을 통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 상단우산살(122)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우산살(120)의 외측 말단, 즉 상단우산살(122)의 타측 말단에 형성된 말단돌기(121)는 우산천(130)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데 우산천(130) 가장자리와 말단돌기(121)를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122e)가 형성된다.
먼저, 고정구(122e)는 내측에 말단돌기(121)를 끼울 수 있는 끼움고정돌기(122e-1)와, 상기 끼움고정돌기(122e-1) 상면에는 판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끼움고정돌기(122e-1) 상면에 결합고정되고,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우산대(110)측으로 수직돌출된다.
또한 우산천(130)의 가장자리와 결합된 말단돌기(121)는 끼움고정돌기(122e-1) 내측으로 삽입되어 끼움고정되고, 밀착부재(122e-2)는 하면이 우산천(130) 및 상단우산살(122) 상면측과 밀착하여 우산천(130)이 상단우산살(12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1의 우산의 펼침상태시 우산살과 우산대(110)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의 우산의 완전접힘상태시 우산살과 우산대(110)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단우산살(122)은 상단힌지부(111)와 결합된 제1 회동말단(122a)을 통해 상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질 수 있고, 펼쳐진 상단우산살(122)을 하측에 구비된 지지우산살(123)이 지지하게 되고, 이동프레임(200) 단에 결합고정된 하단힌지부(112)는 지지우산살(123)의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우산살(123)은 상단우산살(122)과 하단힌지부(112)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단우산살(12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프레임(200)을 우산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지지우산살(123)의 제2 회동말단(123a) 및 제3 회동말단(122b)이 회동되면서 지지우산살(123)도 이동프레임(200)과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단우산살(122)도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완전히 하강된 이동프레임(200)은 지지우산살(123)이 우산대(1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고, 이로 인해 상단우산살(122) 또한 우산대(110) 측면으로 밀착되어 우산(1)이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우산은 우산 개폐 시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우산대 및 우산살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단일 재질로 제작되어 재활용 및 분리수거에 좋고, 빗물 접촉 등으로 인한 변형 및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산살이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강풍으로 인해 우산살이 상측으로 꺾여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우산
100 : 우산 본체부
110 : 우산대
111 : 상단힌지부
111a : 제1 말단인입홈
112 : 하단힌지부
112a : 제2 말단인입홈
112b : 제1단부
112c : 제2단부
120 : 우산살
121 : 말단돌기
122 : 상단우산살
122a : 제1 회동말단
122b : 상단연결홈
122b-1 : 경사홈
122c : 하단연결홈
122d : 측면홈
122e : 고정구
122e-1 : 끼움고정돌기
122e-2 : 밀착부재
123 : 지지우산살
123a : 제2 회동말단
123b : 제3 회동말단
124 : 연결우산살
124a : 연결구
130 : 우산천
131 : 상단캡
140 : 손잡이
200 : 이동프레임
210 : 개폐부
211 : 회전방향조절부
212 : 갈기부
213 : 상단부
214 : 중단부
214a : 결합홈
220 : 회전부
221 : 개방부

Claims (6)

  1.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 상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우산살 및 상기 우산살과 결합되는 우산천을 포함하는 우산 본체부; 및
    상기 우산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우산대는,
    상단에 다수개의 제1 말단인입홈이 형성되는 상단힌지부 및
    하단에 다수개의 제2 말단인입홈이 형성된 하단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힌지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끼움 결합되되, 상기 우산살이 결합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상단과 체결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2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우산을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가 내삽되어, 상기 개폐부의 회전 방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단부와,
    중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에는 나사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단부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선과 체결되고,
    상기 중단부는,
    상기 하단힌지부의 둘레와 대응되기 위해 상기 개폐부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중단부는,
    상기 제1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는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도록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우산의 개폐를 위한 개폐방향을 조정하는 회전방향조절부와,
    하단에 외측 둘레를 따라 세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지닌 갈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내부에 상기 회전방향조절부가 내삽되어 돌출된 일부가 개방되도록 둘레를 따라 홀이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개폐부의 개폐 슬라이딩 방향의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외측 둘레를 따라 세로의 돌기가 수직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09639A 2022-01-24 2022-01-24 우산 KR10243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639A KR102433102B1 (ko) 2022-01-24 2022-01-24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639A KR102433102B1 (ko) 2022-01-24 2022-01-24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102B1 true KR102433102B1 (ko) 2022-08-18

Family

ID=8311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639A KR102433102B1 (ko) 2022-01-24 2022-01-24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1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197A (en) * 1992-07-06 1993-02-16 Lavine Edward L Collapsible umbrella handle
KR20050025862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KR200451093Y1 (ko) 2008-05-27 2010-11-24 채병복 우산 천을 플라스틱 살대에 끼우는 우산
KR20110002240U (ko) * 2009-08-28 2011-03-08 박진영 우산
KR102349305B1 (ko) * 2021-07-26 2022-01-11 정우재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197A (en) * 1992-07-06 1993-02-16 Lavine Edward L Collapsible umbrella handle
KR20050025862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KR200451093Y1 (ko) 2008-05-27 2010-11-24 채병복 우산 천을 플라스틱 살대에 끼우는 우산
KR20110002240U (ko) * 2009-08-28 2011-03-08 박진영 우산
KR102349305B1 (ko) * 2021-07-26 2022-01-11 정우재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577B2 (en) Structure of umbrella
CN101090651B (zh) 遮篷设备
US7523759B2 (en) Parasol
US6581617B2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US7726322B2 (en) Cosmetics case
AU651278B2 (en) An oblong umbrella
US20020092944A1 (en) Reel for a suspended sunshade
JP4579991B2 (ja) 非対称傘
JP4417436B2 (ja) 補強されたリブ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傘
US8316778B2 (en) Table with stowaway umbrella
JP2013505744A (ja) 傘および傘骨組用露先要素
KR101064884B1 (ko)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KR102433102B1 (ko) 우산
WO2007064114A1 (en) Structure controlling hight of tent roof
US6722382B2 (en) Umbrella
US4736761A (en) Umbrella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US20040255993A1 (en) Umbrella canopy orientating device
US7448399B2 (en) Umbrella
KR102349305B1 (ko)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
US4934395A (en) Short fold rib linkage for an umbrella
KR200411422Y1 (ko) 회전우산의 구조
US20080163912A1 (en) Umbrella
KR101687585B1 (ko) 바람개비 우산
JP3229170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