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884B1 -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 Google Patents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884B1
KR101064884B1 KR1020090132889A KR20090132889A KR101064884B1 KR 101064884 B1 KR101064884 B1 KR 101064884B1 KR 1020090132889 A KR1020090132889 A KR 1020090132889A KR 20090132889 A KR20090132889 A KR 20090132889A KR 101064884 B1 KR101064884 B1 KR 10106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haft
tent
shaft member
slid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237A (ko
Inventor
장정숙
Original Assignee
장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숙 filed Critical 장정숙
Priority to KR102009013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884B1/ko
Priority to CN201080058341.4A priority patent/CN102859099B/zh
Priority to PCT/KR2010/008691 priority patent/WO2011081312A2/ko
Publication of KR2011007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를 자동으로 설치 후 텐트가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날씨 상황에 적합하게 텐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폴대의 손상시 교체 작업이 극히 용이한 구조의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텐트 프레임 구조물의 중심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입설되는 중공형의 중심원통부재와; 상기 중심원통부재의 하단 외주에 수직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힌지 결속되는 복수개의 메인폴대와; 상기 중심원통부재의 상측 외주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접속되는 슬라이드 원통부재와;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원통부재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힌지로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도중에 힌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원통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슬라이드 원통부재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 쪽을 향해 펼쳐져 상기 메인폴대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폴대와;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폴대와 상기 메인폴대를 통해 텐트천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원통부재 내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슬라이드 원통부재 내에 상기 나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중심원통부재의 상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여 지나도록 허용하되 상기 나사축의 하단이 상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원통부 재를 항시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자동 텐트, 장력 조절부

Description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Frame structure of auto-umbrella type tent}
본 발명 우산의 원리를 이용하여 텐트천 본체와 텐트 프레임을 일체화시켜 빠르고 용이하게 텐트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한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 속의 야외 활동 중에 있어서는 텐트를 사용하게 되는 데, 최근 폴대 등의 구조물을 조립하는 일이 없이 자동으로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자동 텐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 텐트는 다른 말로는 접이식 텐트 또는 자바라식 텐트 등으로도 통용되고 있는데, 이는 설치할 장소에 텐트를 던져 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펼쳐지면서 돔을 형성하게 되며, 텐트를 접을 때에도 부재들의 분해 없이 단순하게 접기만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텐트의 설치 및 해체의 완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크게 증대시킨 텐트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텐트의 예로써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0223717호와 동 실용신안등록 0339799호, 동 실용신안등록 0344232호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20-0359030호(고안의 명칭:우산식 자동 텐트 프레임)에 개시된 것들이 있는데, 이들은 우산과 유사한 구조 및 작동 방식을 취해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소위 우산식(접이식) 텐트라고 불리우는 것들로서, 이는 우산의 형태와 유사하여 프레임의 최상부인 주축에 절첩의 구조를 가진 다수의 메인폴대가 회동을 이룰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결속되어 있고, 주축의 하부에 중심대가 연결되어 있어 중심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축이 관통되어 있으며, 지지축에 메인 폴대와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폴대가 회동을 이룰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결속되어 있고, 중심대의 최하단부에 텐트천 본체의 상단이 결속되어 있으며, 텐트의 하단 바닥면 모서리와 메인폴대의 최하단부가 결속되어 텐트프레임과 텐트천 본체가 일체화되어 있어, 마치 우산을 펴고 접듯이 텐트프레임과 텐트천 본체를 동시에 펴고 접을 수 있도록 고안된 형태의 텐트를 말하며, 특히 상기한 선등록 고안들의 중요한 공통점으로서 도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텐트를 보다 용이하게 펴고 접기 위해 자동우산의 원리를 응용하여 텐트의 중심대(1)에 직선의 탄성복원력을 가진 스프링(3)을 장착하여 슬라이드 작동체(4)의 상하 이동에 스프링(3)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텐트의 프레임구조물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였다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고안들은 텐트를 접을 때에는 폴대(7)를 오므려주도록 중심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중공 형태의 슬라이드 작동체(2)가 스프링(3)을 압축하면서 중심대(1)를 따라 하강하게 됨으로써 폴대(7)와 지지대(6)는 거의 수직 방향의 일직선 상에 놓여져 우산처럼 접혀지는 것이며, 텐트를 설치시에는 압축된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작동체(2)를 밀어올려 폴대(7)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어 텐트가 설치되어지게 되며, 이렇게 하여 텐트의 설치가 완성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수단(3)이 이완되어 풀림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모든 종래 기술들은 텐트의 자동 펼침을 위한 수단으로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는데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제기되어 오고 있다.
접혀있는 텐트를 설치하기 위해서 텐트를 설치 장소에 던져 놓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에의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슬라이드 작동체(2)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접혀져 있던 폴대(7)가 펼쳐지게 되어 텐트가 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인 데, 이 상태하에서는 스프링(3)이 이완된 상태가 됨으로써 텐트가 팽팽한 설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바람에 텐트천(8)이 펄럭여 소음 발생이 심하고, 설치된 텐트가 견고하지 못하여 출렁거림이 심할 뿐 아니라 상황에 맞추어 텐트천(8)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도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한국 실용신안등록 20-0359030호에 개시된 고안을 나타낸 도12 처럼 폴대(11)와 지지대(12)를 각기 원통몸체(10)(13)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접속함에 있어서는 원통몸체(10)(13)의 각각의 절개부 마다에 돌출된 2개의 돌기(15)(16) 에 각각의 폴대(11,12)의 개방홈(17)(18)을 끼워 장착하고 있는데, 상기한 방식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 폴대(11,12)들이 돌기(15)(16)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텐트가 무너질 우려가 높으며, 또 상기 돌기(15)(16) 대신에 원통몸체(10)(13)의 외주를 철사줄로 둘러 감되 폴대(11,12)의 몸체를 철사줄을 관통시키면서 꿰어 나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모든 폴대가 결속되면 철사줄의 양단을 꼬아 붙이는 방식도 현재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데, 이 방식의 경우 폴대가 손상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철사줄을 풀어낸 후 전체의 폴대를 분해하였다가 재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문제점들을 다시 정리하면 현존하는 자동 텐트는 대부분이 강철 철사나 FRP 폴대를 사용하고 있어 텐트를 설치하였을 때 비 바람에 약하며, 특히 접었을 때 원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부피가 커 운반이 용이하지 않은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외 현존하는 대부분의 자동텐트들의 경우 텐트 설치 시 위에서 끈을 잡아당기던지 아니면 아래에서 손으로 밀어주던지 하는 등의 보조 작동이 필요하여 실질적으로는 반자동이라 할 것이며, 특히 햇볕이 강한 한낮에는 텐트의 천이 팽창을 일으켜 천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므로 이때에는 천의 팽창을 고려하여 텐트의 장력을 낮출 필요가 있으며, 텐트천이 이슬에 젖게 되는 아침이나 비가 올 때에는 텐트 천이 처지는 것을 방지토록 텐트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날씨 상황에 따라 텐트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텐트를 자동으로 설치 후 텐트가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날씨 상황에 적합하게 텐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대의 손상시 교체 작업이 극히 용이한 구조의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텐트 프레임 구조물의 중심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입설되는 중공형의 중심중공축부재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단 외주에 수직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힌지 결속되는 복수개의 메인폴대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상측 외주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접속되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와;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힌지로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도중에 힌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 쪽을 향해 펼쳐져 상기 메인폴대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폴대와;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폴대와 상기 메인폴대를 통해 텐트천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 내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 내에 상기 나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상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여 지나도록 허용하되 상기 나사축의 하단이 상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탄력 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를 항시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에 상기 메인폴대를 접속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부와; 상기 각 절개부 사이를 가로질러 원통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축과; 서로 상하로 대향하는 2개의 상하 탄성걸림편과, 상기 탄성걸림편들 사이로 진입한 상기 힌지축이 안착되는 힌지축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회동부재와; 상기 상하 탄성걸림편들을 수용하여 걸림 작동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폴대가 상기 접속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와 상기 너트부재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다각형 구조로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메인폴대 단부에 1단 이상의 연장폴대가 접힘이 허용되는 구조의 연결부를 이용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텐트 프레임 구조물의 중심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입설되는 중공형의 중심중공축부재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단 외주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접속되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의 상단 외주에 수직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힌지 접속되는 복수개의 메인폴대와; 일단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도중에 힌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 쪽을 향해 펼쳐져 상기 메인폴대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폴대와;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폴대와 상기 메인폴대를 통해 텐트천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 내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 내에 상기 나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여 지나도록 허용하되 상기 나사축의 상단이 하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를 항시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압축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나사축을 포함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하고 있어,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압축스프링의 장력을 변화시켜 텐트천의 팽팽한 설치 정도를 날씨 및 현장 상황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텐트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으며, 또 바람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텐트 장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텐트천의 펄럭임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 메 인폴대 및 지지폴대를 중심중공축부재 및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에 접속함에 있어 단위체별로 분해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 메인폴대 및 지지폴대의 교체가 필요할 때 부품만 입수하면 누구라도 매우 손쉽게 교체 작업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손쉬우며, 또 계합 구조가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였으며,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를 설치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를 설치하였을 때 장력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 트를 설치하였을 때 장력조절부의 조절을 통해 텐트를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 중심중공축부재의 평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 폴대를 장력조절부(중심중공축부재 또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에 접속하는 연결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 폴대를 장력조절부에 접속하는 연결부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며, 도8a 내지 도8d는 본 발명의 메인폴대와 제1연장폴대, 제1연장폴대와 제2연장폴대 사이의 연결부 구조 및 절첩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9a와 도9b는 본 발명의 메인폴대와 제1연장폴대, 제1연장폴대와 제2연장폴대 사이의 연결부 구조에 탄성판스프링을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의 장력조절부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100)의 프레임 구조물(101, 이하 프레임 구조물이라 함은 텐트에서 텐트천을 제거한 골조 부분만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을 절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프레임 구조물(101)의 중앙부에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장력조절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텐트(100)의 프레임 구조물(101)은 그의 중심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입설되는 중공형의 중심중공축부재(10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의 하단 외주에 수직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힌지 결속되는 복수개의 메인폴대(104)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의 상측 외주에 수 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의 일단이 끼워진 형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텐트(100)의 프레임 구조물(101)은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힌지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104)의 도중에 힌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 쪽을 향해 펼쳐져 상기 메인폴대(104)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폴대(106)와; 텐트(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폴대(104)의 펼쳐짐에 의한 텐트(100)의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107)과;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 내에 상기 나사축(107)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너트부재(108)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의 상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107)이 관통하여 지나도록 허용하되 상기 나사축(107)의 하단이 상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부재(109) 와; 상기 너트부재(108)와 지지부재(109)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를 항시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와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 나사축(107), 탄성수단(110) 및 너트부재(108)등은 본 발명의 핵심인 장력 조절부(102)를 형성한다.
또 상기 메인폴대(104)는 연결부(111)를 개재하여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의 하단에는 원통몸체(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몸체(112)에는 상기 메인폴 대(104)를 접속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절개부(113)가 형성되며(이 절개부는 필요에 따라 4개 또는 6개 또는 8개가 형성되며, 도5 실시예에서는 8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절개부(113) 사이를 가로질러 원통몸체(112)와 일체가 되게 힌지축(114)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다.
상기 힌지축(114)에는 외측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는 회동부재(115)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ㄷ자 형상의 회동부재(115)는 서로 상하로 대향하는 2개의 상하 탄성걸림편(116A)(116B)과, 상기 탄성걸림편(116A)(116B)들 사이의 개방홈(117)을 통해 진입한 상기 힌지축(114)이 안착되는 힌지축공(118)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하 탄성걸림편(116A)(116B)은 화살촉 단부(119A)(119B)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회동부재(115)는 상기 힌지축(114)의 상부로부터 그의 개방홈(117)을 힌지축(114)에 일치시켜 내리누르면 상하 탄성걸림편(116A)(116B)들이 약간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힌지축(114)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하강하여, 상기 힌지축(114)이 상기 힌지축공(118)에 수용되면 상하 탄성걸림편(116A)(116B)이 오므러들어 힌지축(114)이 자연적 상태로는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115)는 접속부재(120)와 계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접속부재(120)는 상기 상하 탄성걸림편(116A)(116B)들을 수용하여 걸림 작동하도록 속이 빈 4각몸체(121)를 구비하며, 이 4각몸체(121)의 상하면에는 각기 상기 화살촉 단부(119A)(119B)가 끼워져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걸림구멍(122)(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4각몸체(121)의 중심에는 상기 회동부 재(115)의 상하 탄성걸림편(116A)(116B)들이 내부 공간(123)으로 진입할 때 상기 개방홈(117)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게 되는 1개 내지 2개의 돌출부재(1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재(124)의 선단은 호형면(125)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115)는 접속부재(120)가 완전하게 접속되면(즉, 화살촉단부(119A)(119B)들이 각기 걸림구멍(122)(122)에 끼워져 걸림된 상태), 상기 호형면(125)이 상기 힌지축(114) 표면에 접촉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힌지축공(118)의 빈 자리를 메우게 되는 것이며, 상기 메인폴대(104)는 상기 접속부재(120)의 접속구멍(126)에 끼워져 연장된다.
상기 지지폴대(106)는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에 연결부(127)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접속하며, 상기 연결부(127)는 다시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의 하단에 구비된 원통몸체(128)의 힌지축(129)과, 그 원통몸체(128)의 힌지축(129)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ㄷ자 형상의 회동부재(130) 및 그 회동부재(130)에 계합하는 접속부재(131)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접속부재(131)의 몸체가 둔각(α), 예를 들면 90~150°의 둔각(α)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점을 제외한다면 도3에 도시한 중심중공축부재(103)의 연결부(111)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반복 설명을 생략하며, 상기 메인폴대(104)의 도중에 지지폴대(106)의 일단을 힌지 접속하는 연결부(132)의 구성 역시 앞선 연결부(111)(127)들과 실질적으로 동일 구조 및 원리를 가지고 있어, 그들의 세부 구성은 도7을 참조하는 것으로 대신하였다.
상기한 나사축(107)의 상단에는 손잡이(133)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나사 축(107)의 정역 회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축(107)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108)는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를 타고 축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와 상기 너트부재(108)는 상기 너트부재(108)가 상기 나사축(107)과 함께 헛돌지 않도록 서로 다각형 단면구조(예를 들면 원형에 가까운 8각형 형상)로 계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이때 중심중공축부재103도 동일한 다각 형상으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108)가 하강 시엔 상기 탄성수단(110), 예를 들면 지지부재(109)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압축스프링을 압축하게 되는 것이며, 또 상기 지지부재(109) 밑으로 연장된 나사축(107)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109)의 구멍보다 큰 직경의 스톱퍼(134)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의 상승을 일정 높이로 제한하게 된다.
또 상기 각 메인폴대(104) 단부에 1단 이상의 제1 및 제2연장폴대(135)(136)가 접힘과 펼침이 허용되는 구조의 연결부(137)(138)를 이용하여 접속되며, 상기 연결부(138)는 상기 지지폴대(106)의 연결부(132)와는 일부 외형상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유사한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연결부(137)에 대해서만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8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연결부(137)는 양측벽(139)(139) 사이에 슬라이드 공간(140)을 가지는 고정부재(141)와, 그 고정부재(141)에 대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회동 힌지 구조로 접속하는 가동부재(142)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벽(139)(139) 사이를 가로질러 힌지핀(143)을 설치하되, 상기 힌지핀(143)은 상기 가동부재(142)에 형성된 장공(144)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142)는 상기 장공(144)의 길이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 공간(14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가동부재(142)가 일직선 방향으로 밀어넣어져 상기 슬라이드 공간(140) 내로 깊숙하게 진입하면 상기 힌지핀(143)은 도시 상태를 기준하여 상기 장공(144)의 좌측단에 걸리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가동부재(142)가 힌지핀(143)을 중심으로 한 회동 작동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 상태는 텐트(100)가 펼쳐져 설치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도2, 도8b 참조).
한편, 텐트(100)를 접을 때에는 상기 가동부재(142)를 바깥으로 잡아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부재(142)가 이동하여 상기 힌지핀(143)이 상기 장공(144)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도8a 참조).
이 상태에서는 가동부재(142)가 상기 힌지핀(143)을 중심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가동부재(142)를 고정부재(141)에 대해 꺽게 되면 도8c에서와 같이 꺽임이 일어나며, 완전히 꺽게 되면 연결부(137)가 도1처럼 접혀져 연장폴대(135)(136)들이 나란히 모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41)와 가동부재(142)에는 각기 화살촉 형상의 탄성편(145)(146)이 구비되어 있고, 이 탄성편(145)(146)들을 접속부재(147)(148)에 각기 끼워 고정하며(이 접속부재(147)(148)는 도7에 도시한 접속부재120과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폴대(135)(136)들을 상기 접속부재(147)(148)에 끼워 접속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7)에는 바람직하게는 도9(a,b)에 도시하는 것처럼 탄 성판스프링(149)을 더 설치하여, 탄성판스프링(149)이 항시 힌지핀(143)을 장공(144)의 우측단에 걸리도록 밀어내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면 폴대들을 접거나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에 따라 폴대들을 접게 되면 탄성판스프링(얇은 탄성판재나 또는 지름 1.5mm 정도의 탄성 있는 강철 철사로 구성)의 힘에 의해 도9a 처럼 되어 제2연장폴대(136)를 쉽게 접을 수 있으며, 텐트를 설치하게 되면 텐트천(1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스프링(149)에 힘이 가해져 도9b 처럼 되어 잠금 상태가 됨으로써 폴대가 접혀지지 않아 텐트가 튼튼하게 버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37)는 잠금부 구성(143,144,14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면에 상기 연결부(132,138)들은 잠금부 구성이 있을 경우 오히려 폴대들이 접히는데 문제가 있어 잠금부 구성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하에 본 발명의 작동 과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우산식 자동 텐트(100)의 프레임 구조물(101)은 도1과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별도의 케이스 커버 내에 넣어져 접혀진 상태로 최소 부피가 유지되도록 보관되며, 텐트(100)를 설치시에는 케이스 커버를 벗겨내고, 텐트(100)를 설치 장소에 던져 놓게 되면 구속이 해제된 장력 조절기(102)가 작동하여 텐트(100)가 펼쳐지게 된다.
즉, 텐트(100)가 접혀져 감싸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가 하강하여 2개의 원통몸체(112)(128)가 서로 접해 있으며, 이 때 탄성수단(110)은 서로 근접한 지지부재(109)와 너트부재(108) 사이에서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되는 데, 접힘을 강제하는 외력이 제거되는 순간 압축되었던 탄성수단(110)의 탄발력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가 밀어올려져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가 상승하면 양측 원통몸체(112)(128) 사이가 벌어지게 되면서, 거의 수직 방향으로 있던 지지폴대(106)가 메인폴대(104)를 견인하여 메인폴대(104)를 수평에 가깝게 끌어올리게 되며, 지지폴대(106)와 메인폴대(104)는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여 도2 및 도3 처럼 텐트(100)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텐트(10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탄성수단인 압축스프링(110)이 도3에서와 같이 길게 신장되어 있는 상태라서 메인폴대(104)를 강한 힘으로 당겨주지 못해 텐트천(150)이 팽팽함을 유지하기에는 텐트천(150)이 압축스프링(110)으로부터 받는 장력이 너무 약하여 텐트가 출렁거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장력 조절부(102)의 조절을 통해 텐트천(150)의 팽팽함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너트부재(108)가 하강하여 상기 압축스프링(110)을 압축시키도록 상기 나사축(107)의 손잡이(133)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너트부재(108)가 하강하여 압축스프링(110)을 압축하면, 압축스프링(110)의 신장하려고 하는 탄발력에 의해 먼저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가 상승하게 되며, 나사축(107) 하단의 스톱퍼(134)가 지지부재(109)에 걸려 지지되면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는 더 이상의 상승이 멈춰지며, 이후부터는 하강하는 너트부재(108)에 의해 압축스프링(110)의 압축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며, 이 압축력이 메인폴대(104)를 강하게 당기면서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가 상하로 출렁이는 것을 차단하여 텐트천(150)을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만일 매우 무더운 날씨로 인해 텐트천(150)의 팽창을 가져와 과도한 장력이 텐트천(150)에 작용한다고 판단되면, 이때는 장력 조절부(102)의 나사축(107)을 반대로 회전시켜, 너트부재(108)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신장되는 압축스프링(110)의 탄성력이 저하되므로 텐트천(150)에 작용하는 장력이 그만큼 줄어 텐트천(150)이 과도한 장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기온이 낮은 아침이나 또는 우천으로 인해 텐트천(150)이 늘어지게 되는 일이 발생하면, 이때에는 너트부재(108)를 하강시켜 압축스프링(110)을 압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의 증가로 인해 텐트천(150)이 팽팽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반대로 텐트(100)를 철거시에는 먼저 너트부재(108)를 상승시켜 압축스프링(110)이 신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펼쳐져 있는 양측의 메인폴대(104)를 잡고 오므려주도록 힘을 가하면 지지폴대(106)의 하강 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가 하강하게 되며, 양측의 원통몸체(112)(128)가 서로 당접하는 위치까지 접근하면 도1의 도시 상태와 같이 메인폴대(104) 및 지지폴대(106)들이 가지런히 모아져 접힌 상태가 되며, 이때 탄성수단인 압축스프링(110)은 압축되어 내부에 탄성력을 축적하고 있다가 텐트(100)의 설치시 텐트를 자동으로 펼쳐지게 만드는 작동원이 되는 것이며, 텐트가 접혀진 상태로 케이스에 집어넣어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1의 실시예는 장력조절부(102)가 텐트(100)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도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장력조절부(102A) 가 텐트(100A)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있는 데, 외부 설치 방식은 텐트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 적합하고, 텐트 내부에의 설치 방식은 텐트 높이가 높은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도10의 장력조절부(102A)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와 중심중공축부재(103A)의 상하 위치가 도3과는 반대이고, 또 메인폴대(104A)가 중심중공축부재(103A) 하단에 접속되고, 지지폴대(106A)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 하단에 장착된다는 차이를 제외한다면 도3의 실시예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텐트 프레임 구조물(101A)의 중심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입설되는 중공형의 중심중공축부재(103A)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A)의 하단 외주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접속되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와;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의 상단 외주에 수직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힌지 접속되는 복수개의 메인폴대(104A)와; 일단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A)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104A)의 도중에 힌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가 상승(상대적으로 중심중공축부재(103A)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가 하강(상대적으로 중심중공축부재(103A)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 쪽을 향해 펼쳐져 상기 메인폴대(104A)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폴대(106A)와; 텐트가 살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폴대(106A)와 상기 메인폴대(104A)를 통해 텐트천(150A)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 내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107A)과;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 내에 상기 나사축(107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너트부재(108A)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103A)의 하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107A)이 관통하여 지나도록 허용하되 상기 나사축(107A)이 하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부재(109A)와; 상기 너트부재(108A)와 지지부재(109A)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105A)를 항시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10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밖의 세부적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우산식 자동 텐트(100)(100A)의 프레임 구조물(101)(101A)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를 설치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를 설치하였을 때 장력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를 설치하였을 때 장력조절부의 조절을 통해 텐트를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 중심중공축부재의 평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 폴대를 장력조절부(중심중공축부재 또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에 접속하는 연결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 폴대를 장력조절부에 접속하는 연결부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며,
도8a 내지 도8d는 본 발명의 메인폴대와 제1연장폴대, 제1연장폴대와 제2연장폴대 사이의 연결부 구조 및 절첩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9a와 도9b는 본 발명의 메인폴대와 제1연장폴대, 제1연장폴대와 제2연장폴대 사이의 연결부 구조에 탄성판스프링을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식 자동 텐트의 장력조절부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1과 도12는 종래 기술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텐트 101:프레임 구조물
102:장력 조절부 103:중심중공축부재
104:메인폴대 105:슬라이드 중공축부재
106:지지폴대 107:나사축
108:너트부재 109:지지부재
110:탄성수단(압축스프링) 111,127,131:연결부
112,128:원통몸체 114,129:힌지축
115,130:회동부재 120,131:접속부재
133:손잡이 137:연결부
143:힌지핀 144:장공
149:탄성판스프링 150:텐트천

Claims (6)

  1. 텐트 프레임 구조물의 중심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입설되는 중공형의 중심중공축부재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단 외주에 수직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힌지 결속되는 복수개의 메인폴대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상측 외주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일단이 끼워져 접속되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와;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힌지로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도중에 힌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 쪽을 향해 펼쳐져 상기 메인폴대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폴대와;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폴대와 상기 메인폴대를 통해 텐트천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 내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 내에 상기 나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상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여 지나도록 허용하되 상기 나사축의 하단이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를 항시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중공중심축의 상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에 상기 메인폴대를 접속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부와; 상기 각 절개부 사이를 가로질러 원통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축과; 서로 상하로 대향하는 2개의 상하 탄성걸림편과, 상기 탄성걸림편들 사이로 진입한 상기 힌지축이 안착되는 힌지축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회동부재와; 상기 상하 탄성걸림편들을 수용하여 걸림 작동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폴대가 상기 접속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와 상기 너트부재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다각형 구조로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인폴대 단부에 1단 이상의 연장폴대가 접힘이 허용되는 구조의 연결부를 이용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6. 텐트 프레임 구조물의 중심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입설되는 중공형의 중심중공축부재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단 외주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일단이 끼워져 접속되는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의 상단 외주에 수직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힌지 접속되는 복수개의 메인폴대와; 일단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도중에 힌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 쪽을 향해 펼쳐져 상기 메인폴대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폴대와;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폴대와 상기 메인폴대를 통해 텐트천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 내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 내에 상기 나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측 내부에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여 지나도록 허용하되 상기 나사축의 상단이 상기 중심중공축부재의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중공축부재와 중심중공축부재가 항시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및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중공중심축의 하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KR1020090132889A 2009-12-29 2009-12-29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KR10106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89A KR101064884B1 (ko) 2009-12-29 2009-12-29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CN201080058341.4A CN102859099B (zh) 2009-12-29 2010-12-07 雨伞式自动帐篷支架结构
PCT/KR2010/008691 WO2011081312A2 (ko) 2009-12-29 2010-12-07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89A KR101064884B1 (ko) 2009-12-29 2009-12-29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237A KR20110076237A (ko) 2011-07-06
KR101064884B1 true KR101064884B1 (ko) 2011-09-16

Family

ID=4422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889A KR101064884B1 (ko) 2009-12-29 2009-12-29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64884B1 (ko)
CN (1) CN102859099B (ko)
WO (1) WO20110813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6988A (zh) * 2013-10-26 2014-01-22 王永妍 一种长度可调的帐篷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3906B1 (fr) * 2012-07-25 2014-08-08 Smc2 Dispositif de mise en tension d’une membrane de recouvrement
CN103774909A (zh) * 2012-10-23 2014-05-07 厦门丽嘉洋伞有限公司 全自动遮阳伞
CN105089335B (zh) * 2014-05-25 2017-08-18 武克学 一种折叠帐篷顶杆滑套上的顶杆防滑装置
KR101913542B1 (ko) * 2018-05-01 2018-10-30 전병태 절첩식 육각 천막
CN111622585B (zh) * 2020-05-22 2021-12-10 北京军威世纪野战装备科技有限公司 快速展开帐篷
CN113944366B (zh) * 2021-12-01 2023-01-10 深圳市乐惠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应急抢险的可快速搭建的帐篷
CN114342894B (zh) * 2022-01-04 2022-10-11 华南农业大学 一种户外便携灯诱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640A (ko) * 2000-07-06 2002-01-16 오근홍 차단막 장력구조
US6581617B2 (en) * 2000-12-07 2003-06-24 Ham Se-Ii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KR20040058126A (ko) * 2004-05-27 2004-07-03 (주)버팔로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100780461B1 (ko) * 2006-06-28 2007-11-29 배상진 아치형 캐노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383A (ja) * 1995-11-15 1997-06-03 Shimizu:Kk 釣用テント
CN2550449Y (zh) * 2002-04-18 2003-05-14 厦门进雄企业有限公司 帐篷顶部支撑件
KR200294997Y1 (ko) * 2002-08-07 2002-11-13 함세일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CN2828225Y (zh) * 2005-06-22 2006-10-18 厦门革新塑胶制品有限公司 半圆形折叠帐篷支架的顶部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640A (ko) * 2000-07-06 2002-01-16 오근홍 차단막 장력구조
US6581617B2 (en) * 2000-12-07 2003-06-24 Ham Se-Ii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KR20040058126A (ko) * 2004-05-27 2004-07-03 (주)버팔로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100780461B1 (ko) * 2006-06-28 2007-11-29 배상진 아치형 캐노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6988A (zh) * 2013-10-26 2014-01-22 王永妍 一种长度可调的帐篷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312A3 (ko) 2011-11-10
CN102859099A (zh) 2013-01-02
CN102859099B (zh) 2015-02-11
WO2011081312A2 (ko) 2011-07-07
KR20110076237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884B1 (ko)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JP4125343B2 (ja) ワンタッチ式の折り畳みテント
JP5138817B2 (ja) キャノピーテント
GB2491991A (en) Tent
KR20010051485A (ko) 프리 암 차양막
US11096458B1 (en) Multi-use umbrella with water filtration and sail functions
JP3240911U (ja) 層状屋根を備えた折りたたみ式テント
WO2006080750A1 (en) The tent and frame for one touch type tent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101425756B1 (ko) 높이 조정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KR100431410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200314952Y1 (ko) 용이한 설치 및 철거 구조를 가진 캐노피 텐트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KR200361483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구조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100963663B1 (ko) 정자형 파라솔
KR101084368B1 (ko) 파라솔
KR101031648B1 (ko) 거치형 파라솔
KR100735013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60133162A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50117718A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200175249Y1 (ko) 절첩식 차양을 가진 텐트
JP3228653U (ja) 日傘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458166Y1 (ko) 회전식 절첩 파라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