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997Y1 -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997Y1
KR200294997Y1 KR2020020023567U KR20020023567U KR200294997Y1 KR 200294997 Y1 KR200294997 Y1 KR 200294997Y1 KR 2020020023567 U KR2020020023567 U KR 2020020023567U KR 20020023567 U KR20020023567 U KR 20020023567U KR 200294997 Y1 KR200294997 Y1 KR 200294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onnecting member
central axis
suppor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세일
Original Assignee
함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세일 filed Critical 함세일
Priority to KR2020020023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997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는, 폴대(69)의 일측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요홈(62)이 외주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66)가 형성되는 폴대연결부재(60)와; 상기 공간부(66)의 중심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중심축(70)과; 상기 중심축(7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는 상기 중심축(70)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중심축(70)보다 크게 성형되는 스프링(80)과; 상기 각 폴대(69)와 힌지 연결된 지지대(99)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요홈(92)이 외주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8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 형태의 하우징(96)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80)은 이탈할 수 없고 상기 중심축(70)만 관통되는 관통구멍(98)이 형성되는 지지대연결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는 상기 중심축(7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캐노피 텐트의 철거시에는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가 상기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Device for locking poles for canopy tent with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본 고안은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해 텐트를 펼치거나 접어서 설치 및 철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에 있어서, 간단한 작동에 의해 상기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폴대들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낚시나 캠핑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텐트 중 캐노피(CANOPY) 텐트라 불리우는 특수 텐트는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 및 철거를 가능하게 하는 신개념의 텐트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노피 텐트는 다른 말로는 접이식 텐트 또는 자바라식 텐트 등으로도 통용되고 있는데, 이는 설치할 장소에 제품을 놓고 펴거나 접기만 하면 단시간 내에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캐노피 텐트에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으나, 그 중에서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해 설치 및 철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우산식 캐노피 텐트에 대해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너트부(11)를 형성하여 상부연결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부(21)에 체결되고, 텐트를 설치하거나 철거할 때 하부연결부재(30)가 슬라이딩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 역할을 하는 주축(10)과,
상기 주축(10)의 상부에 체결되며 하부연결부재(30)를 고정하는 고정편(22)이 형성되고, 제1폴(4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돌기(24)가 형성된 다수의 상부요홈(23)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최상부에 텐트천을 고정하는 고정판(25)이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부연결부재와(20),
상기 주축(10)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되며 제1폴(40)이 체결되는 상부연결부재(20)에 형성된 상부요홈(23)과 같은 수의 하부요홈(32)이 형성되며, 하부요홈에는 제1폴(40)을 지지하는 지지대(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20)에 형성된 고정편(22)으로 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고정편(22)을 상부연결부재(20)의 내부로 밀어 넣는 스위치(31)가 형성된 하부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우산식 캐노피 텐트는 자체의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해 실사용시 여러 가지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텐트를 철거할 경우에는 하부연결부재(30)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주축(10)을 상부연결부재(20)의 하부에 볼트식으로 체결하여야 하고, 설치 후에는 주축(10)의 볼트 상태를 해제하여 분리 보관하여야 하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어, 텐트를 펴거나 접어서 설치 및 철거하는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없도록 하는 문제와 관리상에 매우 불편한 문제를 발생시켰고,
둘째, 텐트 설치 상태의 유지를 고정편(22)과 스위치(31)만으로 지탱하여야 하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어, 실사용시 상기 고정편(22)과 스위치(31)가 자주 파손되어 텐트의 설치 및 철거를 이룰 수 없게 되는 문제를 빈번히 발생시켰으며,
셋째, 텐트의 설치 및 철거를 이루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하부연결부재(30)를 상하부로 슬라이딩시켜야 하는데 우산과는 달리 텐트는 상당히 큰 구조적 형태를 취하고 있어 이를 사용자가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해 텐트를 펼치거나 접어 설치 및 철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 텐트의 설치시 간단한 동작에 의해 폴대들을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캐노피 텐트의 철거시 간단한 동작에 의해 고정된 폴대들을 풀 수 있도록 하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도 3b,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폴대연결부재 62.....상부요홈
64.....상부돌기 66.....공간부
68.....볼트 69.....폴대
70.....중심축 80.....스프링
90.....지지대연결부재 92.....하부요홈
94.....하부돌기 96.....하우징
98.....관통구멍 99.....지지대
100....스토퍼 110....고정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는, 폴대의 일측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요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폴대연결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중심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는 상기 중심축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중심축보다 크게 성형되는 스프링과; 상기 각 폴대와 힌지 연결된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요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 형태의 하우징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은 이탈할 수 없고 상기 중심축만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지지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지지대연결부재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캐노피 텐트의 철거시에는 지지대연결부재의 상부가 상기 폴대연결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폴대의 일측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요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 형태의 하우징이 형성되는 폴대연결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중심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는 상기 중심축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중심축보다 크게 성형되는 스프링과; 상기 각 폴대와 힌지 연결된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요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은 이탈할 수 없고 상기 중심축만 관통되는 관통슬릿이 형성되는 지지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지지대연결부재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캐노피 텐트의 철거시에는 지지대연결부재의 상부가 상기 폴대연결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부에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폴대(69)가 연결되는 폴대연결부재(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대연결부재(60)의 외주에는, 각 폴대(69)가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각 폴대(69)의 단부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요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상부요홈(62)에 상기 폴대(69)들이 회동 가능하도록 폴대(69)와 폴대연결부재(60)를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예컨대, 2개의 상부돌기(64)가 성형되어 있거나, 또는 각 폴대(69)의 단부에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폴대(69)의 돌기가 삽입 연결될 수 있는 홈(도시되지 않음)이 각 상부요홈(62)에 성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대연결부재(60)의 저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66)가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66)의 중심에는, 다음에 설명할 중심축(70)과 폴대연결부재(6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구멍(67a)이 성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대연결부재(60)의 하부에는 중심축(7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중심축(70)은 긴 원통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70)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66)의 중심에 형성된 볼트 구멍(67a)에 대응되는 볼트 구멍(67b)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우 상기 폴대연결부재(60)와 중심축(70)은 볼트(68)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70)은, 상기 폴대연결부재(60) 공간부(66)의 중심에 그 일측 단부가 볼트(68)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70)의 일측 하부에는 고정핀 구멍(72a)이 성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심축(70)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스프링(80)에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80)이 상기 중심축(7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상기 스프링(80)이 상기 중심축(70)보다 길이가 짧게 성형되고, 상기 중심축(70)이 상기 스프링(8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80)의 내경이 상기 중심축(70)의 외경보다 크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폴대(69)와 힌지 연결을 이루고 있는 지지대(99)가 회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지지대(99)를 연결 구비하고 있는 지지대연결부재(90)가, 상기 중심축(70)을 따라서 승하강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다. 즉,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면은 스프링(8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이고, 저면은 스프링(80)은 통과되지 못하면서 상기 중심축(70)만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98)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는 상기 중심축(70)을 따라서 상하로 승하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8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 형태의 하우징(96)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의 하부 중심에는 상기 스프링(80)이 통과하지 못하는 관통구멍(98)이 성형되어 있어서, 지지대연결부재(90)는 상기 스프링(80)과 함께 일체로 상기 중심축(7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폴대연결부재(60)의 외주에 형성된 상부요홈(62)과 같은 수의 하부요홈(92)이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의 외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하부요홈(92)에는 각 지지대(99)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 하부요홈(92)에 상기 지지대(99)들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대(99)와 지지대연결부재(90)를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예컨대, 2개의 하부돌기(94)가 성형되어 있거나, 또는 각 지지대(99)의 단부에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99)의 돌기가 삽입 연결될 수 있는 홈(도시되지 않음)이 각 하부요홈(92)에 성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하부요홈(92)은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측 외주에 방사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때 지지대연결부재(90) 상부의 크기는 상기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에 삽입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70)의 하단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가 중심축(7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00)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스토퍼(100) 상면의 크기는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의 관통구멍(98)의 크기보다 더욱 크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심축(70)의 끝단부와 스토퍼(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중심축(70) 하부에 성형된 고정핀 구멍(72a)에 대응되는 고정핀 구멍(72b)이 상기 스토퍼(100)의 외측면에 성형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고정핀(110)에 의해 상기 중심축(70)과 스토퍼(10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a는 텐트가 철거된 상태에서의 본 고안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3b는 텐트가 설치 중인 상태에서의 본 고안의 동작을 나타내며, 도 3c는 텐트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본 고안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철거된 상태에서는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가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에 삽입되고, 따라서 상기 폴대연결부재(6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폴대(69)와,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대(99)는, 상호간에 거의 평행을 이루면서 내측을 향해, 즉 지면을 향한 상태로 접혀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텐트가 철거된 상태에서는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가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에 삽입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중심축(70)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80)은 지지대연결부재(90)의 하우징(96)과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고, 따라서 지지대연결부재(90)는 상기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의 힘을 받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내측으로 접혀져 있는 폴대(69)와 지지대(99)에 의해,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는 상기 스프링(80)의 복원력을 극복하여, 상기와 같이 스프링(80)을 압축시킨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텐트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폴대(69)를 외측으로 펼치게 되고, 이때 상기 각 폴대(69)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각 지지대(99)도 폴대(69)를 따라서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69)와 지지대(99)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면, 상기 각 폴대(69)는 텐트의 프레임을 구성하면서 텐트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폴대(69)에 의해 텐트가 그 형상을 갖추더라도,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는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에 삽입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물론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80)이 하방으로 일부 신장되고, 따라서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가 하방으로 일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지대연결부재(90)가 하방으로 일부 이동되더라도, 폴대(69)와 지지대(99)의 전체적인 형상은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어서, 즉 상기 지지대(99)는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어서, 상기 지지대(99)가 폴대(69)의 내측으로의 접힘을 막을 수 없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텐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폴대(69)와 지지대(99)가 다시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텐트의 설치를 완료하기 위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지대(99)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는 스프링(80)의 복원력과 지지대(99)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는 그 하단부가 중심축(70)의 하측 끝단부, 즉 스토퍼(100)에 접할 때까지 상기 중심축(70)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연결부재(9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각 지지대(99)는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되거나 또는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지지대(99)가 폴대(69)의 내측으로의 접힘을 막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 지지대(99)가 수평 또는 외측으로의 상향경사를 이루어서 폴대(69)를 고정시키게 되면, 외부로부터 텐트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텐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폴대(69)가 내측으로 접혀지지 않게 되어, 텐트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설치되는 텐트는 상기의 역순서에 의해 철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텐트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각 폴대(69)를 지지하고 있는 각 지지대(99)에 대해 상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지지대(99)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대연결부재(90)는 상기 스프링(8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중심축(70)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는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에 일부가 삽입되거나 공간부(66) 근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대연결부재(9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대(99)는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게 되어 더이상 폴대(69)를 지지하지 못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가 폴대(69)에 대해 내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폴대(69)의 탄성력에 의해 폴대(69) 및 지지대(99)는 내측으로 접혀지게 되며, 그로 인해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는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로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텐트의 설치 및 철거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텐트가 철거된 상태에서는 폴대(69)와 지지대(99)가 거의 평행을 이루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가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폴대연결부재(60)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66)가 성형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가 폴대연결부재(60)의공간부(66)에 완전히 삽입되면, 지지대연결부재(90)와 폴대연결부재(60) 사이에는 빈 공간이 너무 작게 되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80)의 강한 복원력 때문에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가 폴대연결부재(60)의 공간부(66)에 완전히 삽입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지대연결부재(90)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8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96)이 성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텐트의 철거 및 설치가 이루어는 본 고안의 구성에는, 반드시 폴대연결부재(60)의 저면에 함몰된 형태로 성형되는 공간부(66)와, 지지대연결부재(90)의 내부에 스프링(80)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우징(96)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지대연결부재(90)의 상부가 삽입되는 공간부(66)와, 스프링(80)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우징(96)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간부(66)는 폴대연결부재(60)의 저면에 형성되고, 하우징(96)은 지지대연결부재(9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이 폴대연결부재(60)의 내부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폴대연결부재(60)의 저면에 공간부(66)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66)와 연통되는 폴대연결부재(60)의 내부에는 스프링(80)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우징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연결부재(90)의 내부에는, 스프링(80)은 통과될 수 없고 중심축(70)만 관통될 수 있는 관통슬릿(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연결부재(90)가 상기 중심축(7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슬릿은 상면 및 저면이 모두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스프링이 상기 관통슬릿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관통슬릿의 상면 직경은 스프링의 외경보다 작아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우징과 관통슬릿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이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고, 그 동작관계도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진행된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는 단지 실시예로 들기 위한 기본 형태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고안은 유사한 형태와 목적을 가지고 있는 다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를 근본적으로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동작에 의해서도 텐트의 설치 및 철거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고, 특히 텐트의 설치시 각 지지대가 수평 또는 외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게 되어서, 탠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폴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하여 설치 및 철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에 있어서,
    폴대의 일측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요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폴대연결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중심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는 상기 중심축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중심축보다 크게 성형되는 스프링과;
    상기 각 폴대와 힌지 연결된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요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 형태의 하우징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은 이탈할 수 없고 상기 중심축만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지지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지지대연결부재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캐노피 텐트의 철거시에는 지지대연결부재의 상부가 상기 폴대연결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2.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하여 설치 및 철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에 있어서,
    폴대의 일측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요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 형태의 하우징이 형성되는 폴대연결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중심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는 상기 중심축보다 작고, 내경은 상기 중심축보다 크게 성형되는 스프링과;
    상기 각 폴대와 힌지 연결된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요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은 이탈할 수 없고 상기 중심축만 관통되는 관통슬릿이 형성되는 지지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지지대연결부재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캐노피 텐트의 철거시에는 지지대연결부재의 상부가 상기 폴대연결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KR2020020023567U 2002-08-07 2002-08-07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KR200294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67U KR200294997Y1 (ko) 2002-08-07 2002-08-07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67U KR200294997Y1 (ko) 2002-08-07 2002-08-07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997Y1 true KR200294997Y1 (ko) 2002-11-13

Family

ID=7307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567U KR200294997Y1 (ko) 2002-08-07 2002-08-07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9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4607A1 (en) * 2003-12-04 2005-06-16 Ki-Hyun Kim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WO2011081312A2 (ko) * 2009-12-29 2011-07-07 Jang Jung-Suk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KR101139651B1 (ko) * 2009-11-17 2012-05-14 차만용 캐노피의 프레임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4607A1 (en) * 2003-12-04 2005-06-16 Ki-Hyun Kim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KR101139651B1 (ko) * 2009-11-17 2012-05-14 차만용 캐노피의 프레임 구조
WO2011081312A2 (ko) * 2009-12-29 2011-07-07 Jang Jung-Suk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WO2011081312A3 (ko) * 2009-12-29 2011-11-10 Jang Jung-Suk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3717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
KR100558356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US8448656B2 (en) Roof connecting mechanism of foldable tent
JP3200660U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JP6438076B2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AU2002223147A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KR200294997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KR100906020B1 (ko) 절첩식 텐트
KR200314952Y1 (ko) 용이한 설치 및 철거 구조를 가진 캐노피 텐트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101098513B1 (ko) 자동텐트의 프레임 연결장치
KR100735013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382808Y1 (ko) 텐트용 폴대 절첩구조
KR200361483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구조
KR200359030Y1 (ko) 우산식 자동텐트 프레임
KR101084368B1 (ko) 파라솔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0475215B1 (ko)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KR20060133162A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60122187A (ko) 캐노피
KR200490283Y1 (ko)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WO2021249483A1 (zh) 一种可折叠帐篷
KR100625111B1 (ko) 접힘가능한 우산대를 포함한 우산
KR200172095Y1 (ko) 상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