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83Y1 -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83Y1
KR200490283Y1 KR2020180004517U KR20180004517U KR200490283Y1 KR 200490283 Y1 KR200490283 Y1 KR 200490283Y1 KR 2020180004517 U KR2020180004517 U KR 2020180004517U KR 20180004517 U KR20180004517 U KR 20180004517U KR 200490283 Y1 KR200490283 Y1 KR 200490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haft
support rod
shaft
safet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혁
Original Assignee
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혁 filed Critical 정혁
Priority to KR2020180004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6Tents used as to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의 전개시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이동축(300)의 상승을 저지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는, 고정축(100);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축(10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축(10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는 제1지지살대(200); 상기 고정축(10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축(300);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축(30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이동축(30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는 보조살대(4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보조살대(400)를 힌지결합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5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전개시 상기 제1지지살대(200)를 바닥면으로 부터 지지하는 제2지지살대(6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를 감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700); 상기 이동축(300)이 상기 고정축(100)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가 전개되었을 때 상기 고정축(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축(300)의 상승을 저지하는 안전부재(8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Foldable tent with safety device}
본 고안은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폴대를 중심으로 다수의 보조폴대가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우산과 같이 절첩되는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에 관한 것이다.
텐트(tent)는 해체, 운반 및 조립이 가능한 이동식 가옥으로, 등산이나 낚시 또는 캠핑과 같은 야외 여가 활동시 사용된다.
텐트는 형상에 따라 A형, 돔형 또는 터널형으로 분류되고, 접거나 펼치는 방식에 따라 캐노피 텐트, 우산형 텐트로 분류된다.
캐노피(canopy) 텐트는 접이식 텐트로도 호칭되며, 기본 골조인 프레임을 수동으로 접거나 산개시키는 텐트이다.
캐노피 텐트는 소정 시간 동안 일시적인 휴식을 취하기 위한 간이 차양막으로도 사용된다.
우산식 텐트는 우산을 펴고 접는 동작과 동일/유사한 방법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텐트로, 프레임이 우산 형태로 산개된다.
도 1은 종래의 우산방식 텐트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500)(1)와, 상기 연결부재(500)(1)에 방사형으로 힌지체결되어 텐트의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지지폴(2), 상기 연결부재(500)(1)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안내축(3)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축(3)의 외측으로 압축스프링(4)과 원통형의 승강가이드(5)가 차례로 끼워진다.
상기 승강가이드(5)는 상기 압축스프링(4)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력을 부여받게 되며, 상기 안내축(3)의 하단에는 안내축(3)으로부터 승강가이드(5)가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6)가 나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가이드(5)에는 다수의 보조지지폴(7)이 방사형으로 힌지체결된 상태에서 지지폴(2)에 일대일로 힌지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 우산방식의 캐노피 텐트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 승강가이드(5)가 아래로 당겨지거나 지지폴(2)이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는 경우, 압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가이드(5)가 자동으로 안내축(3)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지지폴(2)이 펼쳐지게 되고, 펼쳐진 지지폴(2)이 보조지지폴(7)에 의해 지지되면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5)는 압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강한 하강력이 부여된 상태이고, 승강가이드(5)와 연결된 상기 보조지지폴(7)의 연결단부가 지지폴(2)과 연결된 연결단부 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이 이루어져 펼쳐진 지지폴(2)이 다시 접혀지지 않고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식 우산형 텐트는 흔들림이나 외력에 의해 잠금이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4640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텐트의 전개시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이동축(300)의 상승을 저지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는, 고정축(100);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축(10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축(10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는 제1지지살대(200); 상기 고정축(10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축(300);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축(30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이동축(30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는 보조살대(4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보조살대(400)를 힌지결합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5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전개시 상기 제1지지살대(200)를 바닥면으로 부터 지지하는 제2지지살대(6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를 감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700); 상기 이동축(300)이 상기 고정축(100)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가 전개되었을 때 상기 고정축(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축(300)의 상승을 저지하는 안전부재(800); 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부재(800)는, 양단이 상기 고정축(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이의 간격이 상기 고정축(100)의 외경보다 작은 가압부(810); 상기 가압부(8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820); 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부재(800)를 상기 고정축(100)의 상단에 연결하는 연결끈(85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축(100)에 상기 안전부재(800)가 장착될 때 상기 가압부(810)에 삽입되어 상기 안전부재(800)를 상기 고정축(100)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90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부재(800)에는 결합공(8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900)은, 상기 고정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구(910); 상기 결합구(910)를 상기 결합공(83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920); 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축(100)의 상단에는 상기 안전부재(800)가 끼워져 보관되는 고정돌기(150)가 돌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의 전개시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이동축(300)의 상승을 저지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특히, 유아들의 볼텐트로 사용될 경우, 유아들의 움직임에 의해 흔들람이 많이 발생 되더라도 전도되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연결끈(850)에 의해 상기 고정축(10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안전부재(800)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시 신속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합수단(900)은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고정축(100)에 끼워질 때 상기 결합구(910)가 상기 결합공(830)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안전부재(800)가 쉽게 임의로 상기 고정축(1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내구성 및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방식 텐트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안전부재(800)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접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일부 확대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일부 확대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안전부재(800)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접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일부 확대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의 일부 확대 단면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는, 고정축(100). 제1지지살대(200), 이동축(300), 보조살대(400), 연결부재(500), 제2지지살대(600), 커버부재(700) 및 안전부재(8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100)은 상하로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후술할 상기 제1지지살대(200)가 힌지결합되며, 하단에는 후술할 상기 이동축(3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지지살대(200)는 얇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약간의 탄성을 보유하고 있어 쉽게 부러지지 않고 약간의 휨 변형이 가능하고,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살대(200)는 6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축(100)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 각도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살대(200)는 상단이 상기 고정축(100)의 상단 외측에 힌지결합되며, 하단은 후술할 상기 제2지지살대(600)와 상호 힌지결합된다.
상기 이동축(300)은 상,하단이 관통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이며, 상기 고정축(100)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고정축(1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보조살대(400)는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는 상기 제1지지살대(200)보다 짧다.
또한, 상기 보조살대(400)는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마찬가지로 6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축(300)의 상단 외주연을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 각도 이격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이동축(3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연결부재(5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고정축(1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살대(200)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에서 상기 고정축(100)과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살대(400)의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5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500)는 6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살대(200)의 중간부분과 일단 사이에 각각 하나씩 결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지지살대(600)는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마찬가지로 얇고 긴 막대 형상이다.
또한, 6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살대(200)의 타단에 각각 하나씩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지지살대(60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지지살대(60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700)는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를 감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안전부재(800)는 상기 이동축(300)이 상기 고정축(100)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가 전개되었을 때,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축(300)의 상승을 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부재(800)는 가압부(810)와 손잡이부(8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810)는 양단이 상기 고정축(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이의 간격이 상기 고정축(1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810)를 상기 고정축(100)에 끼울 때에 상기 가압부(810)는 약간 벌어졌다가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일정 힘을 가해야만 상기 고정축(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820)는 상기 가압부(8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전부재(800)를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 또는 분리할 때 손으로 쉽게 잡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안전부재(800)는 상기 이동축(300)이 상기 고정축(100)의 하단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이동축(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이동축(300)은 상기 안전부재(800)에 의해 상기 고정축(10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부재(800)는 연결끈(850)에 의해 상기 고정축(100)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끈(850)은 일단이 상기 제1지지살대(2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안전부재(80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끈(850)의 길이는 상기 제1지지살대(200)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연결끈(850)에 의해 상기 고정축(10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안전부재(800)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시 신속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될 때 상기 안전부재(80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수단(9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은 도 4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 구조도이다.
상기 결합수단(900)은 결합구(910)와 탄성부재(9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축(100)에는 상기 결합구(910)와 상기 탄성부재(920)가 삽입되는 설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부재(800)에는 상기 결합구(910)의 일단이 삽입되는 결합공(83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910)는 원통 형상이며, 일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구(910)는 상기 고정축(100)의 상기 설치홈(110)에 삽입되어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축(100)의 외주면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920)는 압축코일스프링이며, 상기 고정축(100)의 설치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910)를 상기 결합공(83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수단(900)은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고정축(100)에 끼워질 때 상기 결합구(910)가 상기 결합공(830)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안전부재(800)가 쉽게 임의로 상기 고정축(1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내구성 및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전부재(800)를 상기 고정축(100)에서 분리할 때에는 상기 결합구(910)를 상기 고정축(100)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830)에서 이탈되게 하여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쉽게 상기 안정부재를 상기 고정축(100)에서 분리시킬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전부재(800)는 상기 연결끈(850) 없이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00)의 상단에는 고정돌기(15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50)의 직경은 상기 안전부재(800)의 상기 가압부(81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810)를 상기 고정돌기(150)에 억지 끼움하여 상기 고정돌기(150)에 임시로 고정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끈(850) 없이 상기 고정돌기(150)로 상기 안전부재(800)를 상기 고정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보조살대(400)와 엉킴 없이 편리하게 상기 안전부재(800)를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축(300)이 하강하면서 상기 보조살대(400)가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를 벌어지게 하여 전개시킨다.
이때, 상기 안전부재(800)를 상기 이동축(300)의 상부에 배치되게 하여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하여 상기 이동축(300)이 상승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의 전개시 상기 안전부재(800)가 상기 고정축(10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이동축(300)의 상승을 저지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특히, 유아들의 볼텐트로 사용될 경우, 유아들의 움직임에 의해 흔들람이 많이 발생되더라도 전도되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고정축 110 : 설치홈
150 : 고정돌기 200 : 제1지지살대
300 : 이동축 400 : 보조살대
500 : 연결부재 510 : 결합부
520 : 힌지부 600 : 제2지지살대
700 : 커버부재 800 : 안전부재
810 : 가압부 820 : 손잡이부
830 : 결합공 850 : 연결끈
900 : 결합수단
910 : 결합구 920 : 탄성부재

Claims (6)

  1. 삭제
  2. 상하로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제1지지살대(200)가 힌지결합되고, 하단에는 이동축(3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축(100);
    호 형상을 이루는 탄성을 갖도록 마련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축(10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고정축(10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제2지지살대(600)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1지지살대(200);
    상, 하단이 관통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축(100)의 하단에 끼워져 고정축(1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축(300);
    상기 제1지지살대(20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되,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축(300)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 각도 이격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이동축(3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제1지지살대(200)와 연결부재(500)에 의해 연결되는 보조살대(400);
    상기 고정축(1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살대(200)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에서 상기 고정축(100)과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살대(400)의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520)가 구비되고,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살대(200)의 중간부분과 일단 사이에 각각 하나씩 결합 고정되는 연결부재(5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전개시 상기 제1지지살대(200)를 바닥면으로 부터 지지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살대(6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를 감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700);
    상기 이동축(300)이 상기 고정축(100)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제1지지살대(200)와 상기 제2지지살대(600)가 전개되었을 때, 상기 고정축(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축(300)의 상승을 저지하도록 양단이 상기 고정축(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이의 간격이 상기 고정축(1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고정축(100)에 끼울 때에 벌어졌다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일정 힘을 가한 상태에서만 고정축(100)에서 분리되는 가압부(810)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8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820)가 구비되는 안전부재(800);
    상기 제1지지살대(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지지살대(2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안전부재(800)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부재(800)를 상기 고정축(100)의 상단에 연결하는 연결끈(850);
    상기 고정축(100)에 상기 안전부재(800)가 장착될 때 상기 가압부(810)에 삽입되어 상기 안전부재(800)를 상기 고정축(100)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900)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900)은,
    일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구(910);
    상기 고정축(100)의 설치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910)를 결합공(83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9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100)에는 상기 결합구(910)와 상기 탄성부재(920)가 삽입되는 설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부재(800)에는 결합구(910)의 일단이 삽입되는 결합공(8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100)의 상단에는 상기 안전부재(800)가 끼워져 보관되는 고정돌기(150)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150)의 직경은 상기 안전부재(800)의 상기 가압부(81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810)를 상기 고정돌기(150)에 억지 끼움하여 상기 고정돌기(150)에 임시로 고정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KR2020180004517U 2018-10-01 2018-10-01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KR200490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17U KR200490283Y1 (ko) 2018-10-01 2018-10-01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17U KR200490283Y1 (ko) 2018-10-01 2018-10-01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83Y1 true KR200490283Y1 (ko) 2019-11-08

Family

ID=6853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17U KR200490283Y1 (ko) 2018-10-01 2018-10-01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8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32Y1 (ko) * 2003-12-04 2004-03-11 김기현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100904640B1 (ko) 2008-12-01 2009-06-25 서정우 캐노피 텐트
KR20120109703A (ko) * 2011-03-25 2012-10-09 김성모 높이 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KR20130126265A (ko) * 2012-05-11 2013-11-20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KR200483606Y1 (ko) * 2017-03-16 2017-06-02 정주광 비가림 시설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32Y1 (ko) * 2003-12-04 2004-03-11 김기현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100904640B1 (ko) 2008-12-01 2009-06-25 서정우 캐노피 텐트
KR20120109703A (ko) * 2011-03-25 2012-10-09 김성모 높이 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KR20130126265A (ko) * 2012-05-11 2013-11-20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KR200483606Y1 (ko) * 2017-03-16 2017-06-02 정주광 비가림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967B2 (en)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JP5138817B2 (ja) キャノピーテント
US20070051399A1 (en) One-touch type foldable tent
CN108026736A (zh) 一种中心锁及帐篷
KR20050035848A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200372631Y1 (ko) 텐트 프레임
KR200490283Y1 (ko)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KR101425756B1 (ko) 높이 조정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US3119402A (en) Tent assembly
KR100904640B1 (ko) 캐노피 텐트
JP3238921U (ja) 複動式ロッキングテントフレーム構造
KR100582995B1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100587832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101098513B1 (ko) 자동텐트의 프레임 연결장치
KR20100119320A (ko) 텐트의 프레임
KR200491009Y1 (ko) 원터치 자동 텐트
KR200361483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구조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0963663B1 (ko) 정자형 파라솔
KR100735013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60133162A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294997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