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606Y1 - 비가림 시설물 - Google Patents
비가림 시설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606Y1 KR200483606Y1 KR2020170001257U KR20170001257U KR200483606Y1 KR 200483606 Y1 KR200483606 Y1 KR 200483606Y1 KR 2020170001257 U KR2020170001257 U KR 2020170001257U KR 20170001257 U KR20170001257 U KR 20170001257U KR 200483606 Y1 KR200483606 Y1 KR 2004836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moving plate
- ring
- fixing means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관(200)이 지주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관(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수단(400)을 구비함으로써, 시설의 보수 작업시 위험하게 올라갈 필요 없이 높이를 낮추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비가림 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비가림 시설물은, 양단이 관통된 원통형 형상이며, 지주대(10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관(200); 상기 이동관(200)에서 장착되는 막구조물(300); 상기 이동관(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400);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하 관통된 원통형 형상의 본체(410);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밀착링(420);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밀착링(4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동판(430); 상기 본체(41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시 상기 이동판(430)을 상기 밀착링(4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밀착링(420)을 가압하는 작동레버(440); 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링(420)은 자유 상태시 내경이 상기 지주대(100)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이동판(430)에 의해 압축시 상기 지주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을 상기 지주대(100)에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비가림 시설물은, 양단이 관통된 원통형 형상이며, 지주대(10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관(200); 상기 이동관(200)에서 장착되는 막구조물(300); 상기 이동관(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400);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하 관통된 원통형 형상의 본체(410);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밀착링(420);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밀착링(4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동판(430); 상기 본체(41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시 상기 이동판(430)을 상기 밀착링(4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밀착링(420)을 가압하는 작동레버(440); 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링(420)은 자유 상태시 내경이 상기 지주대(100)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이동판(430)에 의해 압축시 상기 지주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을 상기 지주대(100)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비가림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작물, 퇴비 또는 다양한 야외 시설물 등을 비나 눈, 우박, 서리, 직사광선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비가림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비가림시설은 주요 지주를 중심으로 석가래 형식의 받침대를 엮고 그 위에 비닐이나 유사 포장을 덮어 수확기에 비를 가리는 역할을 하게 하는 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비가림을 함으로써 과실은 비에 의해 부패되는 현상과 아울러 병해충이 적어지고 또한 과실이나 열매의 품질이 개량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포도 비가림 시설로는 1-2W형 연동하우스 형태와 단동하우스의 연결형, 파이프 휨식 간이 비가림 시설, 영동지역에서 많이 이용되는 간이 비가림 시설 등 몇 가지가 있으나, 하우스형은 시설비가 많이 들고, 파이프 휨식 간이 비가림 시설은 시설의 설치가 까다로워서 실용성이 적었다.
또한. 간이 비가림시설은 설치가격은 저렴하지만 견고성이 매우 약해 생육기 중 비바람에 의해 쉽게 파손되며, 더욱이 종래의 간이 비가림 시설들은 모두가 공기유통이 불량하여 고온장해라는 공통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높게 설치된 비가림시설의 경우 일부 파손에 의해 수리를 하기 위해 시설물 위로 올라가서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우며, 한번 설치한 후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다른 농작물이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관(200)이 지주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관(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수단(400)을 구비함으로써, 시설의 보수 작업시 위험하게 올라갈 필요 없이 높이를 낮추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비가림 시설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비가림 시설물은, 양단이 관통된 원통형 형상이며, 지주대(10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관(200); 상기 이동관(200)에서 장착되는 막구조물(300); 상기 이동관(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400);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하 관통된 원통형 형상의 본체(410);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밀착링(420);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밀착링(4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동판(430); 상기 본체(41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시 상기 이동판(430)을 상기 밀착링(4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밀착링(420)을 가압하는 작동레버(440); 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링(420)은 자유 상태시 내경이 상기 지주대(100)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이동판(430)에 의해 압축시 상기 지주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을 상기 지주대(1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이동판(430)에는 경사부(431a)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440)에는 회전시 상기 경사부(431a)와 접하여 상기 이동판(430)을 상승시키는 작동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막구조물(300)은, 상기 이동관(2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지지대(311)가 형성된 골조부(310); 상기 골조부(310)를 덮는 덮개부(320); 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대(100)는 적어도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관(200)은 상기 지주대(100)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며, 상기 막구조물(300)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2개의 상기 이동관(200)에 장착되는 골조부(310); 상기 골조부(310) 사이를 덮는 덮개부(32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비가림 시설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길이 조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길이 조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길이 조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은, 지주대(100), 이동관(200), 막구조물(300) 및 고정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대(100)는 상하로 긴 원통형의 파이프이며, 하단이 지면 아래에 매설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관(2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이동관(200)은 상하 관통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이며, 상기 지지대(311)에 끼워져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관(200)의 상부에는 상기 막구조물(300)이 장착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수단(400)이 장착된다.
상기 막구조물(300)은 골조부(310)와 덮개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조부(310)는 상기 이동관(200)과 동일하게 상하이 관통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이며, 상기 지주대(100)에 끼워지고 상기 이동관(200)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동관(200)에는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지지대(31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11)는 5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관(20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골조부(310)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320)가 장착된다.
상기 덮개부(320)는 비닐로 이루어지며, 눈,비 또는 우박 등을 차단하게 된다.
물론 용도에 따라 상기 덮개부(320)는 그물망이나 천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막구조물(300)은 우산의 형태와 같이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주대(100)를 사용하여 지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이동관(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이 상기 지주대(100)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체(410), 밀착링(420), 이동판(430) 및 작동레버(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410)는 상기 이동관(200)과 동일하게 상하 관통된 원통형 형상이며, 상기 이동관(2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10)의 우측에는 후술할 상기 이동판(430)의 일단이 삽입 배치되는 제1개방홈(411)이 형성되고, 좌측에는 후술할 상기 이동판(430)의 타단이 삽입 장착되는 제2개방홈(4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홈(411)은 측방향 및 하방향으로 완전히 개방되며, 상기 제2개방홈(412)은 측방향으로 만 개방된다.
여기에서 측방향이란 상기 본체(410)의 지름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개방홈(411)의 둘레 방향, 즉 원주 방향 양측에는 후술할 상기 작동레버(4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결합부(4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밀착링(420)은 내경이 상기 지주대(100)의 외경보다 큰 원형의 링 형상이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밀착링(420)은 자유상태시 상기 지주대(100)와 접하지 않다가, 후술할 상기 이동판(430)에 의해 압축되면 내경이 작아지면서 상기 지주대(100)에 밀착 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430)은 납작한 원형 링 형상이며, 내경은 상기 지주대(1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이동관(4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430)의 일단에는 상기 제1개방홈(411)에 삽입되는 접촉돌기(4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개방홈(41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43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431)는 육면체 형상이며, 끝단이 원호 형상으로 곡면 처리되고, 하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431a)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431a)에서 상기 지주대(100) 방향 하부에는 제1평면부(431b)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31a)는 후술할 상기 작동레버(440)의 회전시 상기 작동레버(440)와 접하여 상기 이동판(430)이 상승되도록 하며, 상기 제1평면부(431b)가 상기 작동레버(440)와 접하게 되면 상기 이동판(430)이 정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432)는 납작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개방홈(41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제한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432)는 상기 이동판(430)의 타단 높이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이동판(430)의 일단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판(430)은 상기 걸림돌기(432)를 중심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440)는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4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접촉돌기(431)와 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레버(440)의 타단에는 원호 형상의 곡면부(441)와, 상기 곡면부(441)에서 연장된 제2평면부(4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440)의 가운데에는 손잡이(443)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440)를 손으로 잡고 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100)와 상기 이동관(200) 사이에는 상기 이동관(200)의 상하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500)은, 도르레와 동일한 원리로서, 상기 이동관(200)과 연결되어 상기 지주대(10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풀리(510)와,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고정풀리(520), 상기 지주대(100)의 중간 부근에 설치되는 권취풀리(530) 및 일단이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풀리(510)와 상기 고정풀리(520)를 지나 타단이 상기 권취풀리(530)에 감기는 와이어(5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승강수단(500)은 상기 권취풀리(5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풀리(510)가 상기 이동관(200)과 함께 상기 지주대(100)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이로 인해 높이 조절시 적은 힘으로 상기 이동관(200)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림 시설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4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작동레버(440)의 곡면부(441)가 상기 접촉돌기(431)의 경사부(431a)와 접하면서 상기 이동판(430)을 부드럽게 상승시키고, 계속해서 회전하여 상기 곡면부(441)가 상기 제1평면부(431b)와 접하게 되면 상기 이동판(430)은 더 이상 상승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판(430)에 의해 상기 밀착링(420)은 상하 가압되며, 내경이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지주대(10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본체(410)는 상기 지주대(100)에 고정된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4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작동레버(440)의 상기 곡면부(441)가 상기 경사부(431a)를 접하면서 상기 이동판(430)은 점점 하강하게 되고, 상기 작동레버(440)가 약 90도 각도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2평면부(442)가 상기 경사부(431a)와 접하여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판(430)의 타단이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밀착링(420)은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본체(410)는 상기 지주대(100)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관(200)이 지주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관(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수단(400)을 구비함으로써, 시설의 보수 작업시 위험하게 올라갈 필요 없이 높이를 낮추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4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판(430)이 상기 밀착링(420)을 가압시키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작을 편리하게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지주대 200 : 이동관
300 : 막구조물 310 : 골조부
320 : 덮개부 400 : 고정수단
410 : 본체 411 : 제1개방홈
412 : 제2개방홈 413 : 힌지결합부
420 : 밀착링 430 : 이동판
431 : 접촉돌기 431a : 경사부
431b : 제1평면부 440 : 작동레버
441 : 곡면부 442 : 제2평면부
510 : 승강수단
300 : 막구조물 310 : 골조부
320 : 덮개부 400 : 고정수단
410 : 본체 411 : 제1개방홈
412 : 제2개방홈 413 : 힌지결합부
420 : 밀착링 430 : 이동판
431 : 접촉돌기 431a : 경사부
431b : 제1평면부 440 : 작동레버
441 : 곡면부 442 : 제2평면부
510 : 승강수단
Claims (4)
- 양단이 관통된 원통형 형상이며, 지주대(10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관(200);
상기 이동관(200)에서 장착되는 막구조물(300);
상기 이동관(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400);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하 관통된 원통형 형상의 본체(410);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밀착링(420);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밀착링(4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동판(430);
상기 본체(41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시 상기 이동판(430)을 상기 밀착링(4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밀착링(420)을 가압하는 작동레버(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림 시설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링(420)은 자유 상태시 내경이 상기 지주대(100)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이동판(430)에 의해 압축시 상기 지주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관(200)을 상기 지주대(10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림 시설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430)에는 경사부(431a)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440)에는 회전시 상기 경사부(431a)와 접하여 상기 이동판(430)을 상승시키는 곡면부(441)와, 상기 경사부(431a)와 접하여 상기 이동판(430)을 정지시키는 제2평면부(4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림 시설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구조물(300)은,
상기 이동관(2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지지대(311)가 형성된 골조부(310);
상기 골조부(310)를 덮는 덮개부(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림 시설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257U KR200483606Y1 (ko) | 2017-03-16 | 2017-03-16 | 비가림 시설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257U KR200483606Y1 (ko) | 2017-03-16 | 2017-03-16 | 비가림 시설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3606Y1 true KR200483606Y1 (ko) | 2017-06-02 |
Family
ID=5909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1257U KR200483606Y1 (ko) | 2017-03-16 | 2017-03-16 | 비가림 시설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60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283Y1 (ko) * | 2018-10-01 | 2019-11-08 | 정혁 |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7962A (ko) * | 1998-02-19 | 1998-04-30 | 장근홍 | 농작물용 비가림 장치 |
KR200408062Y1 (ko) * | 2005-11-08 | 2006-02-07 | 김두억 | 차양막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 |
KR101261716B1 (ko) | 2011-01-17 | 2013-05-07 | 보령시농업기술센터 |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
-
2017
- 2017-03-16 KR KR2020170001257U patent/KR20048360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7962A (ko) * | 1998-02-19 | 1998-04-30 | 장근홍 | 농작물용 비가림 장치 |
KR200408062Y1 (ko) * | 2005-11-08 | 2006-02-07 | 김두억 | 차양막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파라솔 |
KR101261716B1 (ko) | 2011-01-17 | 2013-05-07 | 보령시농업기술센터 | 포도 재배용 간이 비가림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283Y1 (ko) * | 2018-10-01 | 2019-11-08 | 정혁 |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870062A (en) | Illuminated pavilion umbrella | |
KR200483606Y1 (ko) | 비가림 시설물 | |
US20110024418A1 (en) | Tank lid lifter and methods | |
CN204907353U (zh) | 一种可升降温室大棚 | |
CN111615964B (zh) | 一种抗风大棚支架 | |
CN107796193A (zh) | 一种农产品晾晒装置 | |
CN110154164A (zh) | 一种建筑用木地板切割设备 | |
US3388712A (en) | Parasol type shelter | |
CN206341651U (zh) | 一种结构强度稳定的多功能大棚系统 | |
KR200200073Y1 (ko) | 비닐하우스의 천창비닐 개폐구조 | |
KR20090062034A (ko) | 축사 및 비닐하우스 파이프용 압착장치 | |
KR20190004884A (ko) | 이동식 회전 가변주택 | |
KR200233774Y1 (ko) | 비닐 하우스의 보강 파이프 지지대 | |
US11253773B2 (en) | Sports field cover system | |
KR101513706B1 (ko) | 온실 기둥 상승 장치 | |
CN205694491U (zh) | 一种园林用果树快速剪枝装置 | |
CN112425409A (zh) | 一种装配式立体观光植物栽培装置 | |
CN209403148U (zh) | 一种藤蔓果蔬高效攀枝拉蔓装置 | |
CN217106338U (zh) | 一种建筑工地用防护棚 | |
CN115530042B (zh) | 一种果树树苗运输用根部自动包扎设备 | |
JP3467006B2 (ja) | 温室用保温カーテンの移動装置 | |
CN215957390U (zh) | 一种智能温室大棚的棚顶支架 | |
KR200300906Y1 (ko) | 천막 승하강장치 | |
CN212344608U (zh) | 一种供园林修剪具有多向调节的绿篱机 | |
CN218440084U (zh) | 一种弧形梁的可调节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