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169Y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169Y1
KR200445169Y1 KR2020070017076U KR20070017076U KR200445169Y1 KR 200445169 Y1 KR200445169 Y1 KR 200445169Y1 KR 2020070017076 U KR2020070017076 U KR 2020070017076U KR 20070017076 U KR20070017076 U KR 20070017076U KR 200445169 Y1 KR200445169 Y1 KR 200445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lider
support
stopper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885U (ko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영 filed Critical 박진영
Priority to KR2020070017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16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1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우산살을 수용 지지하는 지지부; 및 슬라이더와 결부되어 승강하는 상부살통을 적정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스토퍼;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우산살의 일측 단부가 인입되는 지지부의 홈을 보다 넓게 형성하여 본래 두께의 우산살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자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슬라이더 외주연에 장착되어 승·하강하는 작동관을 하부살통과 적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하측으로 배치함으로써 작동관의 유동거리를 더욱 좁히면서도 우산이 쉽게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작동관 소정의 위치에는 우산살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수용홈을 형성하여 우산을 접었을 경우 자연스럽게 다수의 우산살이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어 정렬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우산, 자동우산

Description

우산{A right auto-umbrella}
본 고안은 접고 펴기가 용이한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을 펴거나 접을 때 작동관의 걸림 수단이 되는 걸림쇠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상기 걸림쇠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동작 없이 우산살과 탄성부재의 탄성만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한 우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우산의 구조를 더욱 간편화하여 자체 중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내구성을 갖추고, 접거나 펼칠 경우에 있어서 우산살 상호간에 가해지는 힘과 탄성부재의 복원력만으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기본적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다수 개의 우산살;과, 이들 우산살에 의해 펼쳐지는 다각형의 우산천;과, 상기 우산살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히지 않도록 각 우산살을 받쳐주는 받침살;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우산은 통상 자동우산과 수동우산으로 구분되는데, 자동우산의 경우 우산살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접혀진 우산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지만, 이러한 자동우산의 구성상 스프링이 다수 개 구비됨에 따라 우산의 무게가 가중되고, 우산을 펼 때에만 자동일 뿐 접을 때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힘으로 우산 손잡이까지 잡아당겨야만 하는바, 이는 아이들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엔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며, 또한 우산 자체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고, 급작스런 우산의 펼쳐짐으로 인해 자칫 아이들이 부상을 입을 수도 있어서 여전히 개선이 필요로 되고 있다.
한편, 수동우산은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각 우산살이 최대한 휘어져 우산천이 펴지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작동관을 우산대를 따라 승강시켜서 걸림쇠 상단에 위치되게 하여 승강관에 힌지 결합된 받침살이 우산살을 밀어 올림으로써 우산이 펴지게 하며, 작동관은 하강하지 않도록 걸림쇠가 지지하여 우산이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우산을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쇠를 눌러서 작동관에 대한 지지를 해제시키고, 작동관을 하강시킴으로써 받침살이 우산살을 당기게 하여 우산이 접히는 구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수동우산은 자체 중량을 최소화한 이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우산을 펼 때에 작동관을 걸림쇠 상단까지 밀어주어야 하므로 걸림쇠의 탄발력 이상의 힘이 필요하고, 걸림쇠의 파손 등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에는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우산을 접을 때는 사용자가 걸림쇠의 탄발력 이상으로 힘을 가하여 걸림쇠를 누른 후, 작동관을 손잡이 부근까지 하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우산을 펼치거나 접을 때 반드시 걸림쇠를 손가락으로 눌러 걸림 작용을 해제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 신속하게 우산을 펴거나 접어야 할 경우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특히 우산이 오래되어 걸림 쇠에 녹이 슬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때에는 걸림쇠를 눌러도 쉽게 들어가지 않아 손가락에 통증을 유발시키며,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우산을 사용하기가 더욱 원활하지 못함은 물론, 날카롭게 돌출된 걸림쇠에 이마 등 신체 일부가 부딪쳐 상처를 유발시키고, 우산을 접고자 할 경우 작동관과 걸림쇠 사이에 손가락이 집히게 되어 다치는 경우가 비일비해 함은 경험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동우산과 자동우산을 접목시켜 각 우산의 이점만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특히 우산 자체 무게의 경량화 및 조작이 간편하도록 기존 구성부품을 과감히 제거하여 최소한의 부품만으로 구성한 우산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우산살을 수용하는 지지부의 구성을 개선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우산의 상부를 보완하도록 구성하고, 우산을 사용하고 난 후 접었을 때 다수의 우산살이 자연스럽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며, 우산대를 따라 승강하는 작동관의 위치를 변화시켜 접고 펴는 일련의 동작들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우산살을 수용 지지하는 지지부; 및 슬라이더와 결부되어 승강하는 상부살통을 적정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스토퍼;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우산살의 단부가 인입되는 지지부의 홈을 보다 넓게 형성하여 본래 두께의 우산살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자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슬라이더 외주연에 장착되어 승·하강하는 작동관을 하부살통과 적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하측으로 배치함으로써 작동관의 유동거리를 더욱 좁히면서도 우산이 쉽게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작동관 소정의 위치에는 우산살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수용홈을 형성 하여 우산을 접었을 경우 자연스럽게 다수의 우산살이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어 정렬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작은 힘을 가하여 우산을 용이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고, 우산살의 지지력만으로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구성이 간편화되는 이점으로 인해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자체 무게를 경감시켜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노약자 내지 어린이들이 취급하기에도 적합하다.
또한, 우산살 및 받침살, 탄성부재를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주는 지지부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보다 튼튼한 우산을 구현하고, 작동관의 유동거리를 최소화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 등이 우산을 조작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며, 우산을 사용하고 난 후 접었을 때에는 다수의 우산살이 자연스럽게 정렬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 많은 이점이 기대된다.
본 고안은 방사상으로 구비된 다수의 받침살을 밀어 올리면 이들 받침살과 연결된 다수의 우산살이 상향 배치되면서 우산천이 펼쳐지고, 상기 받침살이 올라가는 과정에서 해당 우산살과 이루는 임계각에 도달되면 받침살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받침살과 연계된 작동관을 강하게 밀어 올리게 되면 각 받침살들이 임계각을 넘어서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우산살 쪽으로 근접되면서 우산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구성한 우산과 관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된 우산의 펼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지지부와 스토퍼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된 우산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a)(b)는 우산대가 지지부 홈에 수용되면서 밀착 고정될 수 있음을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7(a)(b)는 받침살이 상부살통 홈에 수용되면서 밀착 고정될 수 있음을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8(a)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우산살의 바람직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b)는 종래의 우산에 적용되던 우산살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는 슬라이더 내측으로 스토퍼의 하측 일부가 인입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음을 보인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우산(30)은 다수의 우산살(11)을 수용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상기 우산살과 힌지 결합되어 우산살의 받침 수단이 되는 다수의 받침살(12);과, 상기 받침살이 정렬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한 상부살통(18);과, 상기 상부살통 하측에 구비되어 탄성부재(13)를 수용 배치하는 하부살통(19);과, 상기 상부살통과 하부살통을 일체형으로 구비한 결속봉(22);과, 상기 결속봉과 함께 우산대(16) 외측에 장착되어 우산대를 따라 승·하강하는 슬라이더(17);와, 상기 슬라이더 외측에 결착되어 슬라이더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작동관(14);과, 상기 작동관(14) 소정의 위치에는 우산살과 동일한 개수의 홈으 로 이루어진 우산살수용홈(15)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우산(30)은 다수의 우산살에 의해 펼쳐지는 우산천이 구비되고, 우산천은 다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우산천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천연결구(미도시함)가 형성되고, 상기 천연결구에 해당 우산살의 끝단이 끼워져 우산살이 펼쳐지는 동안 우산천이 펼쳐지도록 구성함은 종래와 유사 내지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도 1 내지 5에 공통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0)의 구성과, 상기 지지부와 연계된 스토퍼(20) 및 슬라이더(17) 외측에 장착된 작동관(14)의 위치는 물론, 이러한 작동관의 구성을 개선하여 우산 자체의 중량은 최소화하면서도 우산을 조작함에 있어서 더욱 편리할 수 있는 조작이 간편한 경량화 우산을 구현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살(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20a)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인 우산의 지지수단이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지지부(10)는 그 두께를 확장하여 종래보다 다소 크게 형성시키고, 지지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20a) 또한 그 공간을 확대 형성하는 한편, 슬라이더(17)를 제어하는 스토퍼(20)를 이와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이는, 우산살(11)의 단부를 원래의 두께보다 축소시켜 지지부 홈(20a)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우산을 보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힘을 받는 지지부(10)가 더 이상 취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도면에서와 같이 우산살이 원래 두께 그대로 지지부에 수용됨으로 인해 우산을 펼쳤을 때 상측으로 치중되는 압력에 보다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고,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도 우산살이 회전되지 않 도록 방지하여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종래 우산에 적용되는 우산살은 그 단부가 취약하여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소폭 임의 회전하게 되면 지지부에 연계된 우산살의 단부 또한 쉽게 뒤틀리면서 끊어지거나 휘어져 파손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축소되지 않은 우산살을 적용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지지부(10)를 형성함으로써 우산대가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함은 물론, 회전한다 하더라도 지지부와 연계된 우산살의 자체적인 굵기로 인해 보다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게 되어 파손 내지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도 8a는 본 고안 우산에 적용되는 우산살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종래 우산에 적용되는 우산살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지지부에 형성된 홈(20a) 또한 공간적인 면에서 양자 대별됨을 알 수 있다
도 6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산을 펼친 경우 지지부 및 우산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우산을 접었을 경우 지지부 및 우산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우산을 접을 경우 우산살(11)은 아래 방향으로 치우치면서 확장 형성된 지지부의 각 홈(20a)으로 안착됨에 따라 안착된 우산살이 확장된 지지부 홈(20a)에 의해 정확히 끼워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살통(18)은 지지부(10)와 마찬가지로 받침살(12)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홈(18a)으로 형성되는바, 이러한 홈 또한 지지부의 홈과 동일한 형식으로 확장형성하여 슬라이더(17)에 의한 상부살통(18)이 하강함에 따라 받침살이 상측으로 접히면서 자연스럽게 상부살통의 홈(18a)으로 인입되는 구조이고, 이로 인하여 상부살통의 홈으로 인입된 받침살은 보다 안정감 있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도 7(a)(b)를 통해 상세히 도시하였다.
상기 스토퍼(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우산에서는 지지부의 하측에 별도로 형성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토퍼를 지지부와 일체되게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상기 슬라이더(17)에 비해 직경이 넓도록 하측 일부를 돌출 형성한 스토퍼의 돌출부(21a)로 하여금 승강하는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멈추게 하여 슬라이더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더불어, 상기 돌출부(21a)의 하측으로는 소정 길이만큼 스토퍼(20)를 더 연장 형성하여 도 4 및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결속봉(22)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스토퍼의 연장된 하측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로 인해 상승하는 슬라이더와 스토퍼가 맞물리게 됨은 물론, 스토퍼의 돌출부(21a) 또한 결속봉(22)과 맞물리게 되어 승강하는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토퍼(20)와 결속봉(22)이 끼움 방식으로 결합함에 따라 본 고안의 우산은 지지부(10)로부터 이어지는 주요 구성요소들이 상호 연결되면서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특히 지지부를 통해 우산살에 가해지는 힘을 상·하부살통(18,19)과 연계된 받침살 및 탄성부재로 분산시켜 그 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관(14)은 도 2 및 4에 도시한 것처럼 승·하강 운동을 행하는 슬라이더(17)의 외측에 구성되는 요소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잡을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우산대(16)에는 우산대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17)가 구축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에는 상 부살통(18)과 하부살통(19)이 일체 형성된 결속봉(22) 및 작동관(14)이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따라 이들 또한 동일한 움직임을 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사용자가 작동관(14)을 움켜쥐고 원하는 방향으로 밀어 주거나 당겨 줌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관(14)은 종래 우산에서처럼 하부살통(19)과 맞물려 형성되지 않고, 도 1에 나타낸 소정거리 R만큼 이격시켜 하향 배치되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우산을 펴기 위하여 보다 많은 거리만큼 작동관을 올려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상기 작동관을 조금만 상승시켜도 우산이 펴질 수 있는 유용한 구성이다. 또한, 우산을 접고자 할 때에도 종래에는 우산대의 2/3에 해당하는 높이에서 고정된 작동관을 하강시켜야만 했지만, 본 고안의 우산에서는 상기 작동관(14)이 하향 배치됨에 따라 우산을 펼쳤을 경우 우산대의 중간쯤 되는 지점에 작동관이 위치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보다 쉽게 작동관을 하강시켜 우산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나 힘이 약한 이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관(14)의 외면 소정의 위치에는 우산을 접었을 경우 지저분하게 위치되는 우산살(11)을 수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홈으로 구성된 우산살수용홈(15)을 형성시키되, 우산살 개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각각의 분리된 홈을 형성시켜 상기 홈으로 우산살을 각각 인입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정렬 배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우산을 접어 우산살이 포개지지 않도록 일일이 배치한 후 우산천에 구비된 끈으로 묶는 방식 또는 우산살을 정렬하여 우산 손잡이(21)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구현되던 종래 우산의 불편함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는, 도 5에 상세히 나타내 었으며, 우산살수용홈(15)에 끼워진 우산살의 단부는 작동관 하측 외주연에 맞물려 위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이상에서 언급한 실시 예를 토대로 본 고안 우산의 상세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우산살(11)을 수용 지지하는 지지부(10); 및 슬라이더(17)와 결부되어 승강하는 결속봉(22)을 적정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스토퍼(20);를 지지부와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우산살의 단부가 인입되는 지지부의 홈(20a)을 보다 넓게 형성하여 본래 두께의 우산살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자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슬라이더 외주연에 장착되어 승·하강하는 작동관(14)을 하부살통(19)과 적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하측으로 배치함으로써 작동관의 유동거리를 더욱 좁히면서도 우산이 쉽게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작동관에는 우산살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우산살수용홈(15)을 형성하여 우산을 접었을 경우 자연스럽게 다수의 우산살이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어 정렬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우산을 사용자가 펼 경우, 사용자는 슬라이더와 결부된 작동관(14)을 잡아 우산대를 따라 최초 상승시킴에 따라 우산살과 상부살통에 각각 그 양단이 힌지 결합된 받침살(12)이 우산살을 밀어 올리며, 이와 동시에 상기 받침살의 하측에서 우산살과 하부살통에 각각 그 양단이 힌지 결합된 탄성부재(13) 또한 상승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작동관을 계속 상승시켜서 슬라이더(17)가 평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우산살이 받침살에 힘을 가하기 시작하고, 반대로 받침살 또 한 우산살에 힘을 가하여 양자 상호간에 힘의 평형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힘의 평형위치를 슬라이더(17)가 통과한 후에는, 우산살이 받침살에 가하는 힘만 존재하게 되면서 더 이상 사용자가 작동관(14)을 밀어올리지 않아도 슬라이더가 스토퍼(20)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위치까지 우산살이 받침살에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상기 우산살은 받침살(12)에 계속 힘을 가하게 되고, 받침살과 힌지 결합된 상부살통(18)에 의해 슬라이더 또한 스토퍼에 맞물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우산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살통 및 하부살통이 장착된 결속봉(22)의 내측 공간으로 스토퍼(20)의 하측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부의 우산살에 집중되는 힘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우산대가 회전함에 따른 파손 내지 변형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우산을 접을 경우에는, 스토퍼(20)와 맞물려 머물던 슬라이더(17)를 평형위치 이하로 끌어내림에 따라 연장되었던 탄성부재(13)는 우산살을 끌어당기는 복원력을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 우산살이 받침살에 가하는 힘만 존재하게 되어 슬라이더와 함께 작동관이 하강하면서 우산은 접히게 되고, 접힌 우산은 탄성부재(13)의 복원력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우산의 전개 과정은 종래와 유사 내지 동일한 기술 개념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우산에 따르면 작동관(14)의 위치가 하향 배치되어 작동관을 조금만 상승시켜도 우산이 펼쳐질 수 있는 구조이어서 팔이 짧은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고, 우산을 접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작동 관이 통상 우산대의 상측에서 고정되던 종래 우산과 달리 우산대의 중간쯤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다. 더불어, 우산을 펴고 접을 수 있는 최소한의 구성요소들로만 제작하여 우산의 중량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자동우산이 가지고 있던 무게란 측면에서의 단점을 완전히 해소하였으며, 승강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마모되고 자칫 고장 내지 파손되는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자체적인 내구성을 겸할 수 있도록 지지부(10)와 스토퍼(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였다.
이처럼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세부적인 구성 요소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으로 표현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된 우산의 펼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지지부와 스토퍼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된 우산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a)(b)는 우산대가 지지부 홈에 수용되면서 밀착 고정될 수 있음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7(a)(b)는 받침살이 상부살통 홈에 수용되면서 밀착 고정될 수 있음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8(a)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우산살의 바람직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8(b)는 종래의 우산에 적용되던 우산살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슬라이더 내측으로 스토퍼의 하측 일부가 인입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음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부 11. 우산살
12. 받침살 13. 탄성부재
14. 작동관 15. 우산살수용홈
16. 우산대 17. 슬라이더
18. 상부살통 18a. 홈
19. 하부살통 20. 스토퍼
20a. 홈 21. 손잡이
21a. 돌출부 22. 결속봉
30. 우산

Claims (3)

  1. 우산살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으로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슬라이더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우산살과 힌지 결합되어 우산살의 받침 수단이 되는 다수의 받침살;과, 상기 받침살이 정렬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한 상부살통;과, 상기 상부살통 하측에 구비되어 탄성부재를 수용 배치하는 하부살통;과, 우산대를 따라 승·하강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외측에 결착되어 슬라이더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작동관;으로 이루어지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의 상측에 슬라이더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일체형으로 구성하며, 우산살의 굵기와 동일하게 홈을 확장하여 구성된 지지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 형성하되, 상부살통과 하부살통이 일체로 구성되어 슬라이더와 동일한 움직임으로 작동되게 구성된 결속봉;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에 형성하되, 상기 하부살통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향 배치되고, 우산살과 동일한 개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우산살 수용홈이 구비되어 슬라이더와 동일한 움직임으로 작동되게 구성된 작동관;
    하측이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하여 결속봉의 내측 공간에 끼워지게 구성된 스토퍼;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삭제
  3. 삭제
KR2020070017076U 2007-10-23 2007-10-23 우산 KR200445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76U KR200445169Y1 (ko) 2007-10-23 2007-10-23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76U KR200445169Y1 (ko) 2007-10-23 2007-10-23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85U KR20090003885U (ko) 2009-04-28
KR200445169Y1 true KR200445169Y1 (ko) 2009-07-03

Family

ID=4128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076U KR200445169Y1 (ko) 2007-10-23 2007-10-23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1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659Y1 (ko) 2011-12-30 2012-07-30 김복성 우산의 하부살통
WO2023121190A1 (ko) * 2021-12-20 2023-06-29 이성우 자동우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64Y1 (ko) 2000-09-05 2001-03-15 신성무역주식회사 펴고 접기에 용이한 우산
KR200376326Y1 (ko) 2004-11-15 2005-03-11 안영수 방풍 우산
KR200418377Y1 (ko) 2006-03-07 2006-06-12 주식회사 티에스 우산의 개폐장치
KR100742157B1 (ko) 2005-12-08 2007-07-24 송주홍 우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64Y1 (ko) 2000-09-05 2001-03-15 신성무역주식회사 펴고 접기에 용이한 우산
KR200376326Y1 (ko) 2004-11-15 2005-03-11 안영수 방풍 우산
KR100742157B1 (ko) 2005-12-08 2007-07-24 송주홍 우산
KR200418377Y1 (ko) 2006-03-07 2006-06-12 주식회사 티에스 우산의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659Y1 (ko) 2011-12-30 2012-07-30 김복성 우산의 하부살통
WO2023121190A1 (ko) * 2021-12-20 2023-06-29 이성우 자동우산
GB2622745A (en) * 2021-12-20 2024-03-27 Xiamen Mingho Brothers Mfg Co Ltd Automatic umbre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85U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1528B1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US5884645A (en) Collapsible sunshade
WO2006136066A1 (fr) Dispositif de fixation supérieure destiné à une charpente de tente semi-circulaire pliable
KR200445169Y1 (ko) 우산
CN209750048U (zh) 一种自动伞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US2816560A (en) Self-closing umbrella frame
KR101022598B1 (ko) 자동으로 접을 수 있는 다단 우산 접이 구조
US5158102A (en) Umbrella frame having folding ear structures
KR101535672B1 (ko) 발판을 구비한 클램핑 장치
KR101255844B1 (ko) 우산
US3008477A (en) Collapsible portable shelter
CN205866237U (zh) 一种自动折伞的开合控制装置
KR200454463Y1 (ko) 우산
KR100703132B1 (ko) 3단 접철식 우산
KR200229481Y1 (ko) 우산
JP3162118U (ja) 凧用自動折畳み構造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CN206238629U (zh) 一种折伞的开合操作装置
CN203341139U (zh) 一种自动开收多折伞的开收控制装置
CN202154168U (zh) 改进的自动开收伞中棒结构
KR101229082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200203263Y1 (ko) 접고펴기가 용이한 마스게임용 파라솔
KR890003772Y1 (ko) 소형 자동 우산
KR101743370B1 (ko) 핸즈프리 안전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